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TUDY OF AN ECOLOGICAL VIEW OF LANGUAGE ACQUISITION AND LANGUAGE DEVELOPMENT IN PHILIPPINES

        Melanie G. Riva(리바),Virgilio U. Manzano(만자노),Kim, Gun Do(김건도) 한국아시아학회 2022 아시아연구 Vol.25 No.4

        수세기동안 철학자들과 심리학자 그리고 다중언어학자들은 우리 인류가 어떻게 언어를 쉽고 빠르게 습득하여 완는지 연구하고 논쟁해 왔다. 언어심리학자들은 4가지 주요 언어습득 이론들 행동주의론, 생득설주의론, 구성주의론 그리고 사회상호작용주론 등을 제시하고 있다. 언어습득은 인간에게 내재된 선천적 본능 능력에 의해 언어습득이 이루어진다는 논리와 주어진 환경적 요인 속에서 주요한 역활들을 통해 언어가 자연스럽게 습득된다는 논리사이에서 주목 할 만한 논쟁을 펼쳐왔다고 하겠다. 언어 습득과 발달에 대한 생태학적 조망은 언어습득과정의 초반기 진행되는 양상에 대한 관점들로 유아기 아기와 유아의 언어환경 사이에서 상호작용을 통해 긴박한 결과들로 습득된다고 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Urie Bronfenbrenner의 생태학적 연구모델을 활용하여 성장기 어린이의 다른 환경속에서 언어습득 과정을 조망해 보기 위한 시도이다. 또한 사례 연구를 활용하여 성장기 아동 학습자가 생태환경의 다른 조건수준에서 상호 작용을 통해 어떻게 모국어와 다양한 언어 공동체 안에서 다른 언어를 습득해 왔는지 조망하였다. 결론적으로 생태학적시스템 이론 적용은 가장 가까운 주변부(미시적)로부터 가장 먼쪽(거시적) 환경까지 주변 환경의 다양한 수준에서 영향들을 받는다는 것이다. 관계망 안에서 어린이가 위치되면서 어린이의 언어습득과 발달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하겠으며 생태학적 이론 적용은 아동의 언어 발달에 환경적인 영향들을 포괄적으로 조망하는 관점들을 제시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For centuries, philosophers, psychologists, and linguists have debated how we acquire language with such ease and speed. Psycholinguistics proposes four major theories of language acquisition - behaviorism, nativism, constructivism, and social interactionism. The acquisition of language has been a remarkable argument between nature, which is anchored on the belief that language is an innate ability, and nurture, wherein the environment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process of acquiring language. An ecological view of language acquisition and development views that the early phases of the language acquisition process are an emergent consequence of the interaction between the infant and its linguistic environment. This paper is an attempt to examine language acquisition using the ecological model of Urie Bronfenbrenner which focuses on the different environments of the developing child. Using a single case study, we examined how a learner acquired her first language and how she learned other languages in a language-diverse community through interactions with the different levels of her ecological system. Ecological systems theory provides a comprehensive framework of environmental influences on the development, including the child’s language acquisition and development, by situating a child within a system of relationships affected by multiple levels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from the most proximal (microsystem) to the most distal (macrosystem) levels.

      • KCI등재

        생태학적 관점에서 접근한 국어과 진단평가 본질과 과제

        김정란(Kim, Jeong R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생태학적 관점에서 국어과 진단평가를 듣기 말하기 영역을 중심으로 본질을 구명하고 해결 과제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음성언어인 듣기 말하기는 학습자들의 일반적 언어 생태가 가장 잘 반영되어 나타나므로 국어과 영역에 서 생태학적 관점으로 접근하기에 용이하다. 특히 일상적 언어 생활의 진단에 초점을 맞추어 평가의 본질을 목적과 개념 중심으로 살펴 본 후 현장에서 실현을 위한 해결 과제를 제안한다. 생태학적 관점에서 듣기 말하기 진단평가는 음성언어 생태 기반, 학습자 지원, 생활 환경에서 언어 사용이라는 세 차원에서 통합적으로 접근해야 한다. 교육의 주체인 학습자, 교사, 학부모가 연합하여 최종적으로 학습자들의 언어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귀결되어야 한다. 그러한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해서 개념과 목적을 분명히 인식할 필요가 있다. 기존의 진단평가 대상과 내용을 확장하는 차원에서 학습자의 구어 발달을 지원하기 위한 환경이 조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생태학적 관 점에서 진단 평가 개념을 교육 공동체가 통합 환경에서 언어 수행을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중재하기 위한 일련의 연속적인 과정으로 개념화하였다. 언어 사용과 환경 맥락을 근거로 평가 범주로 설정하고 하위 항목의 예를 제시해 보았다. 현장에서 이러한 평가를 실천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해결 과제가 해결되어야한다. ① 교사는 학습자의 음성 생태를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누적화하여 근거 자료로 확보할 수 있어야 한다. ② 능동적이고 정보를 갖춘 학부모들의 참여를 유도하는 지원체계를 갖추어야 한다. ③ 일상생활 맥락에서 사용하는 언어 생태와 교육 내용요소와 관련성을 찾아 평가 항목을 재구성해야 한다. This study introduced the ecological point of view which emphasizes the interaction of the organism and the environment, in order to diagnose speaking, to seek a diagnostic assessment. Unlike existing diagnostic evaluation and perspectives of life, the day-to-day language learners outside of the classroom and will be the basis of the individual learner language in the context of a real-world environment that can be diagnosed using a diagnostic assessment of the ecological speaking in the sense of righteousness. The diagnostic assessment of ecological and understand the language of the state of the problem and its causes will be there to meet the individual learner support a variety of purposes, including aspects of prevention and treatment, and the class of learners support side. Topic knowledge, linguistic knowledge,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al context of the socio-cultural environment, psychological environment, and the use of language in relation to the context of the environment, the use of language elements set hyeongga item.

      • Lingua Franca or Language of Domination? : Implications of the Two Faces of English 영어의 두 얼굴이 갖는 함의

        Plumlee, Marilyn K.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 종합연구센터 언어연구소 2003 언어와 언어학 Vol.0 No.32

        오늘날 한국사회에서 영어의 위상 문제나 영어구사능력을 취득하려는 열기는 단순한 사회교육차원의 토론거리를 넘어 중요한 정치적 문제로 부상하고 있다. 이것은 영어 구사력을 갖춘 인력을 우선시하는 경제발전 목표 때문인다. 본 논문은 언어생태학적 패러다임(Tsuda 1997, Skuttnabb-Kangas 2000, Skuttnabb-Kangas and Phillipson 2001)과 세계 영어[World Englishes] (Kachru 1985, 1986, 1988, 1992 [1982])의 준거틀을 토대로 한다. 언어생태학적 패러다임은 서로 다른 언어를 구사하는 모든 화자(話者)들의 평등과 함께 언어문화적 다양성을 지지한다. 세계 영어 이론은 현지화된 다양한 변종 영어를 인정하는 한편 사용 규범의 유일한 결정권자로서의 영어원어민의 역할에 이의를 제기한다. 이런 배경에서 본 논문은 우선 영어 사용을 ‘현지화’함으로써 대다수 한국인 영어학습자가 경험하는 부정적인 정치?심리학적 측면을 최소화하는 것이 보다 폭넓은 계층의 영어구사력 향상을 이루는데 중요한 열쇠가 된다는 점을 강조한다. 그러나 국제무대에서 표준적으로 통용되는 이해가능성을 희생하자는 의미가 아니라, 한국인들 스스로 사용하는 영어에 대한 ‘주인의식’을 주장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에 주의를 환기시키고자 한다. 이를 위해 영어교습 모델과 내용 모두를 재조정할 필요가 있으므로, 이의 출발점으로 삼을 수 있도록 본 논문에서 몇 가지 대안 샘플을 제공할 것이다. 두 번째로 본 논문은 일본이나 유럽처럼 영어를 도구로 한 피식민경험을 갖지 않은 다른 국가들의 언어정책을 제시한다. 현대 한국은 영어를 공식언어로 공표하는 문제에 대한 공론이 심화되고 있는 시점에 있다. 이런 시점에서 본 논문은 언어학자, 정책결정권자 및 언론이 영어를 공용어로 사용하는 문제에 대해 한국과 유사한 입장에 있는 국가들의 언어정책 및 언어사용발전상황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일반대중들에게 제시함으로써 정확한 정보를 토대로 한 토론이 이루어지게 하는데 기여하여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 KCI등재

        공용어인가, 아니면 지배도구로서의 언어인가? -여어의 두 얼굴이 갖는 함의-

        ( Marilyn K Plumlee ) 한국외국어대학교 언어연구소 2003 언어와 언어학 Vol.0 No.32

        오늘날 한국사회에서 영어의 위상 문제나 영어구사능력을 취득하려는 열기는 단순한 사회교육차원의 토론거리를 넘어 중요한 정치적 문제로 부상하고 있다. 이것은 영어 구사력을 갖춘 인력을 우선시하는 경제발전 목표 때문이다 본 논문은 언어생태학적 패러다임(Tsuda 1997. Skuttnabb-Kangas 2000. Skuttnabb-Kangas and Phillipson 2001)과 세계 영어 (World Englishes) (Kachru 1985. 1986. 1988. 1992 (1982))의 준거틀을 토대로 한다. 언어생태학적 패러다임은 서로 다른 언어를 구사하는 모든 화자(話者)들의 평등과 함께 언어문화적 다양성을 지지한다. 세계 영어 이론은 현지화된 다양한 변종 영어를 인정하는 한편 영어 사용 규범의 유일한 결정권 자로서의 영어원어민의 역할에 이의를 제기한다. 이런 배경에서 본 논문은 우선 영어 사용을 .현지화’함으로써 대다수 한국인 영어학습 자가 경험하는 부정적인 정치·심리학적 측면을 최소화하는 것이 보다 폭넓은 계층의 영어구사력 향상을 이루는데 중요한 열쇠가 된다는 점을 강조한다. 그러나 국제무대에서 표준적으로 통용되는 이해가능성을 희생하자는 의미가 아니라. 한국인들 스스로 사용하는 영어에 대한 ‘주인의식’을 주장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에 주의를 환기시키고자 한다. 이를 위해 영어교습 모텔과 내용 모두를 재조정할 필요가 있으므로, 이의 출발점으로 삼을 수 있도록 본 논문에서 몇 가지 대안 샘플을 제공할 것이다. 두번째로 본 논문은 일본이나 유럽처럼 영어를 도구로 한 피식민경험을 갖지 않은 다른 국가들의 언어정책을 제시한다. 현재 한국은 영어를 공식언어로 공표하는 문제에 대한 공론이 심화되고 있는 시점에 있다. 이런 시점에서 본 논문은 언어학자, 정책결정권자 및 언론이 영어를 공용어로 사용하는 문제에 대해 한국과 유사한 입장에 있는 국가들의 언어 정책 및 언어사용발전상황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일반대중들에게 제시함으로써 정확한 정보를 토대로 한 토론이 이루어지게 하는데 기여하여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 KCI등재

        생태언어학 관점의 국어사 교육 방향 모색

        김효연(Kim, Hyo-yeon),김규훈(Kim, Kyoo-hoon) 우리말글학회 2016 우리말 글 Vol.68 No.-

        이 연구는 현행 국어사 교육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바탕으로 하여 생태언어학 관점의 국어사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먼저 국어사 교육의 주요 논의를 정리하여 국어사 교육이 국어에 대한 구조적 지식뿐만 아니라 생활문화의 측면을 포괄하여 나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국어사 교육 담론과 동궤를 형성하면서 보다 실질적인 교육 내용의 전환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생태언어학의 관점을 도입하였다. 생태언어학은 인간과 환경의 관계 속에서 언어의 통시적이고 공시적인 작용 양상을 균형성의 관점에서 탐구하는 학문이다. 생태언어학의 세부 연구 영역 가운데 ‘언어의 생태학’은 언어생성, 언어소멸, 언어접촉 등과 같은 언어 변이의 생태를 연구한다. ‘언어 변이의 생태’는 언어를 살아 숨 쉬는 유기체와 같이 인식하며, 언어의 모습이 ‘언어’를 둘러싼 ‘사용자’와 ‘환경’의 맥락적 관여와 긴밀한 관계에 놓여 있음에 주목하는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기존 국어사 교육의 내용 범주, ‘한글의 창제원리와 가치, 국어의 변천, 국어 수난과 발전’을 생태언어학적으로 전환할 수 있다. 그 결과, ‘한글의 창제 원리와 가치’에서는 ‘한글 창제를 둘러싼 시대적 환경’과 ‘한글이라는 문자’의 상관관계를, ‘국어의 변천’에서는 ‘당대 언중의 특성’과 ‘집단의 국어 사용’의 관련성을, ‘국어 수난과 발전’에서는 ‘피지배의 역사적 환경’과 ‘지배 언어의 압력’, 그리고 ‘당대 민중의 삶’에 대한 관계성을 중심으로 기존의 내용 요소를 생태적으로 구성해 볼 수 있다. 이는 국어사 교육의 본연적 성격을 되살려 국어와 삶의 생태를 총체적으로 교수-학습하는 국어사 교육의 내용을 고민해 본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at finding a way of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on ecolinguistics perspective. It has a basis of critical awareness of the current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First of all, this study looks at major discussions about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and finds out that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includes not only structural knowledges of Korean language but also features of Korean living-culture. This study adopts ecolinguistics to recover essence of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Ecolinguistics is a study to inquiry diachronic and synchronic using aspects of language in a relationship with humans and environments. “The ecology of language”, which is a detailed domain of ecolinguistics, discusses an ecology of language variations like language creation, language extinction, and language contact. “An ecology of language variations” realizes a language as an organism, and it emphasizes that language is related closely on participants and environments. Based on these, the current contents categories of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which are “Hangeul’s creating principles and values, Transition of Korean language, Suffering and developing of Korean language”, could be converted into getting the nature of ecolinguistics. As a result, this study suggests a way to construct contents of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ecologically. It suggests an interrelationship with “Hangeul’s creating principles and values” and “timely environments surrounding Hangeul’s creation”, an understanding “Korean language change” through “language use groups of Korean language”, and a relationship in “historical environments of subordinates”, “a dominant language pressure” and “the public’s contemporary life”. This study has a meaning to agonize educational contents of Korean language history, which are connecting the ecology of Korean language and Korean living-culture.

      • KCI등재

        국어교육 제재의 생태학적 가치 탐색을 위한 준거 마련

        김규훈(Kim, Kyoo-hoon) 우리말글학회 2016 우리말 글 Vol.70 No.-

        이 연구는 국어교육 제재의 생태학적 가치를 탐색하기 위한 준거를 마련하는 작업이다. 이를 위해 먼저 국어교육 제재 연구의 경향을 살펴서 제재에 숨은 다양한 가치를 탐색하는 방향을 제안한다. 이 연구는 다양한 가치 가운데 생태학적 가치에 주목한다. 생태학적 가치는 생태학과 생태언어학의 핵심 명제인 ‘지속가능성’이다. 지속가능성의 텍스트가 국어교육 제재로 도입된다면, 국어과 교수-학습 과정에 질적이고 윤리적인 내용을 구안하는 방향을 열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를 위해 국어교육 제재에서 생태학적 가치를 탐색할 수 있는 내용 준거를 마련하는 데 초점을 둔다. 그 결과 생태언어학의 연구 영역과 생태언어학의 텍스트 분석 요소를 근간으로 삼아 ‘언어 생태, 인간 관계, 사회 이념, 자연 상생’이라는 생태학적 내용 준거를 설정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rrange criteria for searching ecological value in Korean educational materials. To accomplish this purpose, first of all, this study reviews tendency of Korean educational materials research, and suggests a way of searching various values hidden in the materials.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he ecological value among various values in Korean education. The ecological value is the “sustainability”, which is a core thesis of the ecology and ecolinguistics. When texts of sustainability adopt as Korean educational materials, it could open to make qualitative and ethical educational contents in Korean teaching-learning process. Toward this way, this study focuses on arranging contents criteria to search ecological value in Korean educational materials. As a result, the ecological contents criteria, “language ecology, human relationship, social ideology, nature coexistence” could be arranged by theoretically based on ecolinguistics’ study areas and text analysis elements of ecolinguistics.

      • KCI등재

        박경리 소설 <토지>의 언어 생태학-인물 간 대화를 중심으로-

        김근호 한중인문학회 2014 한중인문학연구 Vol.45 No.-

        소설의 사상은 언어로 구체화되고 소설의 언어는 사상으로 생명력을 지닐 수 있다. 그런점에서 박경리의 소설 <토지>는 유용한 논점을 제공하는 바, 이 작품의 특징적인 언어 형식이라 할 수 있는 인물 간 대화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크게 보면, <토지>의 대화는 농민들이주를 이루는 뒷담화와 식자층의 공적 대화 그리고 그 둘 사 이의 결락을 메우면서 전체 서사에생기를 불어넣는 자유주의자들의 대화로 구성된다. 우선, 소문이나 수수께끼라는 용어가 유독 많이 등장하는 <토지>에는 인물 간의 뒷담화행위가 빈번하게 활용 된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다. 즉 <토지>는 복수의 인물들을 서로간의시선을 통해 중층적으로 재현함으로써 인 간이 타자와 함께 살아간다는 점, 그 삶은 주로 말로영위된다는 점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면서 가치 혼돈의 세계 를 형상화한다. 두 번째, 식자층의대화는 스토리의 공적 맥락을 환기시켜 다소간 산만해질 수 있는 서사의 흐 름을 통합시켜준다. 그들이 펼치는 공적 대화는 한국의 근대사라는 실제 역사의 흐름과 작중 식자층의 말과운 명을 은유적으로 연결시켜 줌으로써 허구와 역사의 교섭과 통합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면서도 그들의 언어 역 시 가치 혼돈의 세계를 표상한다. 세 번째로는 자유주의자의 언어이다. 윤보와 주갑이가 대표적이고 김환과 길 상이 그리고 송관수 등이 이에 속한다. 이런 유형의 인물들이 보여주는 말과 대화는 가치 혼돈의 상황에서 하 나의 윤리적 준칙으로 작용한다. 하지만 이들 역시 한국의 근대 전환기가 겪는 가치 혼란을 어떤 식으로든 표 상하고 있다. 요컨대 <토지>의 인물 대화는 공동체적 결속과 함께 가치 혼란의 상황을 표상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토지>의 인물 대화는 작가의 생명 사상과 관련이 깊다. <토지>에서처럼 서술 방식으로서의 대화를 전면에 내세운 것은 인간의 공동체적 연대성을 강화하기 위한 서사 전략이다. 불완전할 수밖에 없는 인간은 언 어로 타자와 인연을 맺고 살아가며 타자의 언어에 의해스스로의 삶이 규정된다는 것이다. 생명 원칙으로서의 윤리인 셈인데, 이처럼 인물 간 대화를전경화하는 방식을 통해 <토지>는 생명 윤리에 대한 언어적 형상을 구 축했다. 그러므로 <토지>의 언어 생태학은 근대성의 성찰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The idea of novel is embodied in language, the language of the novel can havea vitality through thought. In that sense, the Park Kyung-ni’s novel <Toji> isa bar that provides a useful issue,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distinctive language format of this work. In large scale, in <Toji>, the talksbehind someone’ s back produced by farmers, and the public dialogue betweenthe intelligentsia, and the liberalist’s dialogue filling up former two dialoguesand inspiring a vitality into the whole narrative. First of all, a lot of rumors and mystery, the term frequently appears in<Toji>and makes many talks behind someone’s back. <Toji> is shaped by aplurality of each other’s eyes that humans are going live with others. And thiswork shows us the truth that life is engaged in language world fulled with valuechaos. Second, the dialogues of the intelligentsia gives the method of integratethe flow of the narrative, which can be somewhat distracting, to remind thepublic context of the story. Their public dialogue connects the their words withthe fate of the flow of the actual history of the intelligentsia and modern historyof Korea, and metaphorically enables the integration of fiction and history. Butalso their languages represents value chaos. The third is a liberalist’s language. Yunbo and Jugap are representative characters and Kim Hwan and Songgwan-su are like that characters. The dialogues produced by this type ofcharacters make one of the ethical standards in the context of value chaos. Butthese are also the values of modern transitional chaos experienced in Korea andare represented in some way. In short, The dialogues in <Toji> represent acommunal solidarity and value chaos. The dialogues in <Toji> are closely related to the author’s life thought. Thedialogue foregrounded in a textual surface is a narrative strategy to strengthenhuman solidarity and community. Incomplete human being lives with others through language, makes the regulated self by other’s language. I cansummarize this the ethics as principles of life, or the bioethics based on alinguistic form. Therefore, the language ecology in <Toji> has the meaning ofreflection on modernity.

      • KCI등재

        企劃主題(기획주제) : 한국어 교육에서의 한자,한자어 교육의 위상 정립과 방안 연구의 필요성한국어 교육에서의 한자,한자어 교육의 발전 방향 -언어 이론을 중심으로-

        김대희 ( Dae Hee Kim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3 漢字 漢文敎育 Vol.32 No.-

        이 연구는 외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에서의 한자·한자어 교육을 언어 이론을 바탕으로 고찰하여 더 나은 방향으로의 발전을 위한 몇 가지 제언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 연구에서는 언어 인식, 언어와 인지의 관계, 생태학적 관점에서 외국인 학습자 대상의 한자·한자어 교육의 문제를 바라보았다. 언어 인식의 측면에서는 한국어 교육에서의 한자·한자어 교육이 외국인 학습자의 언어 인식을 고려하여 계획과 실천이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였다. 비판적 언어 인식을 고려한 한국어 교육에서의 한자·한자어 교육은 단순히 어휘 의미의 해독과 이해를 넘어 사회적·문화적·이데올로기적 실천을 견인할 수 있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함을 언급하였다. 언어와 인지의 관계에 대한 논의에서는 인지 내용과 인지, 언어와의 관계 고찰을 통해 지식과 정보, 현상에 대한 외국인 학습자의 인지 활동을 들여다보았다. 외국인 학습자는 자신들의 모국어로 사고하고, 사고한 내용에 대해 한국어 표현을 찾고, 한국어로 표현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한자·한자어 교육이 언어 발달에 얼마나 기여할 수 있을지 검증하는 절차가 필요함을 제기하였다. 생태학적 관점 측면에서는 한국어교육에서의 한자·한자어 학습이 어휘력 신장의 미시적 관점에서 벗어나 학습자가 언어적 환경에 적응하는 데 기여할 것을 주문하였다. 한자·한자어 교육이 학습자의 실제의 삶에 얼마나 유의미한 가치를 지니는지 근접하여 들여다 볼 필요가 있으며, 그 과정을 통해 한자·한자어 교육은 외국인이 한국에서 언어생활을 영위하는 데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재설계되어야 함을 역설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some proposals for educational development of the Chinese character in KFL/KSL. This study prospect the Chinese character education in view of language awareness, relation between language and cognition, and language-ecology. In aspect of language awareness, this study involves the argument of plans and practices which have considered foreign students` critical language awareness in the Chinese character education. The Chinese character education should get forward to lead the social, cultural, and ideological practice beyond decoding and understanding In KFL/KSL class. The discuss about language and cognition contains the foreign students` cognitive activity about the knowledge, information and phenomenon through considering the relation between contents, cognition and language. This study suggest verification whether the Chinese character education contributes language development or not in cognitive process. In view of language-Ecology, the Chinese character education should contribute that foreign learners adapt to language environment. This study emphasized that the Chinese character education has to have a meaningful valuation in learner`s life and redesign for providing authentic helps for leading an ordinary language life.

      • KCI등재

        國語 醇化와 21세기 言語文化 改善 運動

        박덕유,박지인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5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3 No.2

        As 21st century is age of globalization and langage competition, disappearance rate of languages is so fast. In this situation, our language culture's reality is serious level. Because public language uses many foreign language, media language is rampant low-class language and adolescents language is commonplace swear word. Also, In internet and mobile, destroying the wording ‘writing culture’ is to zoom in society, the situation in the rate of destruction of the Korean linguistics norm is going very fast. In modern speech community, we face to language competition because of globalization. So we try to use right language in variety of ecological linguistic environment. Therefore this study insist that purified target is vocabulary as well as abusive or violent or vulgar slang expressions. And we need fined korean language movement expanded correct representation and expression across a wide living language including pronunciation, sentence, discourse. So this study consider improvement plan of 21st century language culture as suggesting practice campaign that divided public language, broadcasting language and adolescents language. 21세기는 世界化 시대이며 言語競爭 時代로 言語 消滅 速度는 굉장히 빠르다. 이러한 상황 속에 外國語 사용이 늘어나는 公共言語, 低品格 언어가 亂舞하고 있는 媒體言語, 욕설이 일상화된 靑少年言語 등 우리 言語文化 현실은 매우 심각한 수준이다. 또한, 인터넷과 모바일 공간에서 語法을 파괴한 ‘쓰기 문화’가 사회 전반에 확대되면서 國語 規範을 파괴하는 속도가 매우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현대의 言語社會는 세계화라는 명목 하에 言語競爭 시대에 직면하고 있어 다양한 生態學的 언어 환경에서 올바른 언어를 사용해야 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醇化 對象을 語彙에 국한시키지 않고, 욕설이나 비속어 등 暴力的이거나 低俗한 표현도 순화 대상으로 삼아야 하며, 아울러 文章, 談話 등 언어생활 전반에 걸쳐 正確한 表記와 表現으로까지 확대하여 國語 醇化 운동을 펼쳐야 한다고 제기하였다.

      • KCI등재

        생태학의 관점에 따른 인터넷 매체언어 교육 내용의 비판적 고찰

        김성희 ( Seong Hee Kim ) 국어교육학회 2012 國語敎育學硏究 Vol.43 No.-

        매체 생태학은 매체를 환경으로 보고 인간에게 미치는 다양한 영향을 연구하는 학문 분야라고 할 수 있다. 여기에는 인간이 주변 환경과 유기적으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산다는 생태학적 관점과 매체가 인간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환경 중 하나라는 관점이 모두 포함되어 있다. 매체 생태학의 원리 중에서 매체언어교육에 필요한 것을 재개념화할 필요가 있다. 첫째, 매체 환경을 가시적으로 인식하고 매체의 속성과 편향성 등을 이해해야 한다. 둘째, 매체와 사회적, 정치적, 문화적 제도의 상호작용을 이해해야 한다. 셋째, 매체들 사이의 관계와 현재의 혼성 매체에 대해 통시적으로 이해해야 한다. 이러한 원리에 따라 인터넷 매체언어 교육의 내용을 비판적으로 고찰해 보았다. 대부분의 내용에서는 인터넷 매체의 소통 도구적 측면을 중심으로 하여 그 소통 능력을 신장시키는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그리고 상당히 많은 내용에서 윤리와 예절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소통 능력의 신장과 윤리적인 태도의 강조는 인터넷 매체언어 교육의 내용에서 꼭 필요한 것들이다. 다만 앞서 말한 생태적 관점에 따르면 많은 보완이 필요하다. 우선 환경으로서의 매체가 가지는 특성과 그에 따라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이 추가 보완되어야 한다. 또한 매체와 사회적, 정치적, 문화적 제도가 맺는 관계에 대한 부분이 추가하여야 한다. 아울러 인터넷 매체를 포함하여 최근의 혼성 매체에 대한 이해도 추가되어야 할 내용이다. Media Ecology is a science which sees media as an environment and studies the various effects of media on human beings. It includes the ecological viewpoint that human beings live while getting organically interacted with surrounding environments and the viewpoint that media is one of the environments which have tremendous effects on human beings. Of the principles of media ecology, it is needed to redefine what is necessary to media language education. First, we should tangibly recognize media environments, and understand the attributes and bias of the media. Second, we should understand the interaction between the media and social, political, and cultural institutions. Third, we should simultaneously understand the relationship among media and the current mixed media. We have critically studied the contents of Internet media language according to such principles. Most of the contents, which deal mainly with the Internet media as a communication instrument, are focused on enhancingits communication ability. And they stress ethics and manners in many cases. Such an emphasis on the enhancement of communication ability and ethical attitudes is indispensible to the contents of the Internet media language education. But if we see it from the ecological viewpoint we mentioned before, a lot of supplementation is needed. First of all, the characteristics which the media as an environment has and the effects which the media has due to those characteristics on human beings should be added andsupplemented.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dia and social, political, and cultural institutions should be added.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recent mixed media including the Internet should be ad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