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언어상대성 가설에 대한 재조명

        권연진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인문과학연구 Vol.0 No.60

        Language affects people’s thought, lifestyle, world view, values, and behavioral styles beyond just communication tools. This means that if we use different languages, we can have different ways of thinking or behavior. Therefore, language, thought, and culture have close interconnection, and we can not understand culture without considering language. Interconnection between language, thought, and culture have been discussed in terms of linguistic universals and language relativity. In terms of linguistic universality, there are universal traits in all languages, regardless of specific cultures. On the contrary, in terms of linguistic relativity, different cultural characteristics appear in each language, and individual native speakers think in different ways. In this study, we focus on the interconnection between language, thought, and culture from the viewpoint of linguistic relativity. And as objective evidences of the linguistic relativity hypothesis, we examine lexical, grammatical, and cognitive linguistic aspects. Finally, we reexamine the linguistic relativity hypothesis by looking at some Korean data. 언어는 단순히 의사소통의 도구를 넘어서 언어를 사용하고 있는 사람들의 사고방식이나 생활방식, 세계관, 가치관, 행동양식에까지 영향을 미치며 심지어 민족성을 반영하기도 한다. 이것은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한다면 서로 다른 사고방식이나 행동양식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언어와 사고, 그리고 문화는 밀접한 상호연관성을 지니고 있으며 언어를 고려하지 않고서는 문화를 이해하기 어렵다. 또한 문화를 배제하고서 언어를 이해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실정이다. 언어와 사고, 그리고 문화와의 상호연관성에 대해서 언어보편성(linguistic universals)인 관점과 언어상대성(linguistic relativity)인 관점에서 논의되어 왔는데, 언어보편성의 측면에서 본다면 모든 언어에는 특정 문화와 상관없이 공통적이고 보편적인 요소와 특성들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이와는 반대로, 언어상대성의 측면에서 본다면 개별언어마다 서로 다른 독특한 문화적 특징이 나타나며 서로 다른 모국어 화자들은 언어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서로 다른 방식으로 사고한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언어와 사고, 그리고 문화와의 상호연관성에 대해서 언어상대성의 관점에서 독일 언어철학자 Humboldt와 미국 인류학자인 Sapir와 그의 제자인 Whorf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그리고 언어상대성 가설에 대한 객관적 증거로서 어휘적인 측면과 문법적인 측면, 그리고 인지언어학적 측면에서 고찰한다. 마지막으로 한국어가 한국인의 사고방식 내지는 행동양식과는 어떤 상관성이 있는지를 높임법, ‘나’가 아닌 ‘우리’라는 어휘의 사용, 그리고 친족어를 중심으로 살펴봄으로써 언어상대설 가설을 재조명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독일어와 한국어를 비교한 언어 유형적 분석

        박진길,Park Jin-Gil Korean Society For German Linguistics/Koreanische 2003 독어학 Vol.7 No.-

        우리는 지금까지 독일어와 한국어 두 언어간의 오류분석을 논의해 왔다. 특히 언어유형학적인 측면에서 몇 가지 오류유형과 분석을 시도했다. 그 결과는 대체로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독일어와 한국어가 서로 근본적으로 상반되는 언어현상과 더불어 약간의 공통성을 나타내며 일정한 유형을 나타낸다. 이는 두로 인간의 언어습득장치<SEM/LAD>에 기인된 언어습득의 결정주의(Determinismus)에서 비롯될 것이다. 언어특성/문제의 체계성/규칙성 또는 일관성은 이를 반영한다. 거대한 언어자료 중에 극히 미미한 일부, 즉 언어최소량<SMQ/MAL>를 정복함으로써 그 효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를 연구 이용하는 경우에는 엄청난 효과와 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1) 독일어와 한국어의 학습 및 오류분석에서 가장 핵심적인 것은 언어유형학적으로 드러난 언어특성, 즉 전치성(독일어/영어)과 후치성(한국어)이다. 이를 토대로 형성된 대립적인 면과 공통적인 문제를 체계화하는 것이 역시 오류분석 문제의 관건이다. 또한 독일어가 아직 후치성 언어(한국어(TXV))에서 출발해서 전치성 언어(영어(SVX))로 발전/변화해 가는 과정, 즉 중간단계인 TVX에 머물고 있다는 사실이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즉 그들의 대극성과 유사성을 연결하는 실마리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2) 일치(Kongruenz)/상관(Korrelation) 및 반복(Wiederholung) 현상, 그리고 격변화와 인칭변화 현상은 어순문제와 더불어 형태론적 문제를 통해 문법적인 확인수단으로 작용한다. 이들은 대부분 체계적/구조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학습자는 흔히 같은 유형에서 반복적으로 오류를 범하기 마련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언어 유형학적 오류분석을 이해하고 또한 이를 통해 오류를 줄이거나 예방하는 학습이 필요하다. (3) 명사가 한정사구 안에서 성/수/격에 따라 변화하는 것과 동사가 동사구에서 주어의 인칭/수에 따라 인칭변화 하는 것은 우리 한국인에게는 아주 이색적인 현상이다. 이는 양면적인 수식구조에 대한 확인수단 및 원자가에 의한 강력한 형식위주 언어인 독일어와 전위적인 단일 수식구조와 부정형 동사를 특성으로 형성된 핵/최소문 언어간의 필연적인 적응관계 및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이 두 가지 유형 역시 언어특성에 따라 도식화/공식화 할 수 있다. (4) 괄호현상, 즉 으뜸머리(Hauptkopf)가 버금머리(Nebenkopf)와 분리하는 것은 우리 한국인에게는 아주 이색적인 언어현상이다. 한국어에는 머리의 이동이 없기 때문이다. 긴 구문에서 버금머리를 잊어버리거나 실수하는 것은 모든 괄호구문에서 예견되는 결과이다. 그러나 이는 정치성과 후치성 언어간의 전이 과정으로 이해될 수 있다. 으뜸머리가 원래의 자리를 박차고 소속 구/문의 앞자리로 도약한 것처럼 느껴지기 때문이다. (5) 전치 및 후치 수식이 유동적으로 작용하는 독일어는 전치 수식만으로 고정된 한국어보다 복잡하지만 균형적인 언어구조이다. 이러한 수식구조에서 한국인은 흔히 형태 및 어순에서, 그리고 번역에서 오류를 범하고 만다. (6) 그러나 가장 중요한 것은 아는 것을 제대로 이용하는 문제이다. 모국어/L2를 자유로이 말하고 쓸 때까지, 즉 언어습득에는 일체이 문법이나 도표/도식을 이용할 필요가 없다는 사실이다. 이는 17세기 서구의 이성주의 철학자들의 한결같은 경고이다. 오늘날 초고속 과학문명에서 더욱 빛을 발하는 것은 당

      • KCI등재

        루마니아어와 한국어에서 나타나는 성별 언어의 정체성 비교연구

        엄태현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동유럽발칸연구소 2018 동유럽발칸연구 Vol.4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oretically linguistic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female language. Romanian and Korean linguistic phenomena are compared, eventually extending the theoretical basis and promoting an understanding of the female language. In the theoretical approaches, I divided female language into two groups: one being the language spoken by women and the other spoken to women. Particularly, I gave special attention to the mechanism by which linguistic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gender differences interact in society. In general, recogni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female language is mainly attributed to recognition of the male language as the standard, and it seems that the basis of such recognition is based on traditional ideas of gender discrimination. In addition, language seems to have formed a link that reproduces and extends gender discrimination. Regarding language characteristics of Romanians and Koreans, I reaffirmed th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nd society mentioned above. Gender discrimination is similar for both languages, but it appears to be more severe in Korea. Linguistic changes in both countries indicate that the gender difference is maintained by power, and competitiveness is becoming more evident. Today’s gender conflicts can be interpreted on the surface as sexual conflicts; however, on a deeper level, they are conflicts arising from changes in the power structure.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언어의 특징을 중심으로 성에 따른 언어적 차이를이론적으로 고찰하고 이를 루마니아어와 한국어 현상에 대입하여 교차 비교해봄으로써 여성언어에 대한 이론적 기반을 넓히고 동시에 두 언어에서나타나는 여성언어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데 있다. 본 연구는 여성이 발화하는 언어와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언어로 구분하여 접근하였다. 일반적으로 여성언어의 특징이 유표적으로 인식되는 것은남성언어가 기준으로 인식되기 때문이며 그 인식의 기반에는 성차별적인오랜 관념이 자리 잡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그 언어는 다시 사회적으로 성차별적 관념에 영향을 미치는 확대 재생산의 연결고리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루마니아어와 한국어에서 나타나는 현상에서 앞서 언급한 언어와 사회의 관계를 재확인 할 수 있었다. 두 언어 모두 성차별적인특징은 유사하지만 한국어에서 좀 더 심한 정도로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성별 언어는 과거에 비해 좀 더 평등한 방향으로 변해가는 것으로 보이며 이는 성차가 하나의 권력으로 공고히 유지되던 사회가 좀 더 경쟁적으로변화하는 있다는 점을 시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오늘날의 남녀갈등은 표면적으로는 성의 대립이지만 심층적으로는 권력 구조의 변화에서 오는 갈등으로 해석할 수 있기 때문이다.

      • KCI등재

        Warum soll man den Fremdsprachen-unterricht einsprachig halten?

        Park, Jin-Gil 한국독일어문학회 2003 독일어문학 Vol.21 No.-

        지식 정보시대로 요약되는 21세기는 극과 극을 보여주는 시대이다. 즉 교육의 성공여부에 따라 국가, 사회 및 국민의 장래가 엄청나게 달라지는 심각한 경쟁시대에 살고 있다. 그 중에서도 우리의 외국어 교육에 대한 시대적인 요구와 비평, 그리고 이에 동반되는 시간과 경비에 대한 부담은 우리에게 깊은 연구와 개혁을 절감하게 한다. 이러한 분위기에서 언어습득의 삼대요소, 모국어의 습득과정, 특히 원어강의와 교수법을 중심으로 관찰하고 논의해 왔다. 그 몇 가지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모든 인간은 누구나 말할 수 있고 또한 그렇게 배울 수 있다. 유전적으로 말할 수 있는 능력과 가능성을 갖추고 태어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한국인이 서구인과 달리 외국어를 잘 구사하지 못하는 것은 반드시 그 이유를 밝혀 수정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모든 인간이 똑같이 타고나는 <언어습득장치>(SEM/LAD)에 대한 깊은 이해가 필요하다. * 외국어 교육에서도 우리의 초등학교에서처럼 말하고(90%) 쓰는(10%) 기본능력을 반드시 보장해야 한다. 한국에서 초등학교를 나오고 말도 못하고 쓰지도 못하는 것이 마냥 방치될 수 없듯이 외국어 교육 역시 그러하다. 이 기본능력을 책임지고, 보장하는 교육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원어수업/교육>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일 뿐이다. 즉 외국어 시간을 한국어로 일관하는 관행은 이제 척결돼야 한다. * 인간에게 부여된 타고난/숙명적인 언어능력, 이를 가능하게 하는 언어습득의 삼대요소 역시 선택적일 수 없다. 특히 인간의 절대적인 노력을 요하는, 즉 <원어수업/교육> 역시 그러하다. 다시 말하면, 타고나는 <언어습득장치>, 반드시 충족돼야 가능한 <언어최소량>, 그리고 언어자료에 대한 적극적인 경험을 보장되는 <원어수업/교육>이 그 전부이기 때문이다. 인간의 의식, 끊임없는 체험과 노력으로 결정되는 마지막 요소는 우선 국어의 활용을 최소화하는 것이 우선 그 관건이다. 모국어 사용을 억제하는 것은 인간의 본능이나 반사적인 자기 방어를 자제하는 것과 비유되는 참으로 어려운 일이다. 그래서 더욱 <원어수업/교육>에 대한 단호한 결단과 훌륭한 <교수법>이 요구되는 것이다. * 이를 위해 언어습득의 3대 요소를 깊이 이해해야 할 것이다. 언어습득은 타고난 장치에도 불구하고 끊임없는 모방과 실수는 물론이고 반드시 <콩글리쉬>단계를 거치며, 집요한 수정활동으로 완숙단계에 이른다. 이러한 이유에서 이를 수행하는 것은 처음부터 특수한 실력을 갖춘 자가 아님을 알 수 있다. 즉 실제적인 언어자료를 두고 모방하고, 반복하고, 수정하는 것을 포기하지 않는 사람이면 원칙적으로 누구에게나 가능한 일이다. 그러기에 모국어로 일관하는 수업은 아무리 즐겁고 내용 있는 것이라 해도 외국어 교육에는 역행이요 방해일 뿐이다. 우리의 관행인 문법 및 번역위주 수업의 결과가 어떠한가를 생각할 필요가 있다. <원어교육>의 제도화는 대물림하는 벙어리에다 문맹교육이라는 불명예에서 합리성을 추구하는 새로운 교육의 출발일 것이다. 초등학교 입학생이 비슷하게 말하는 것은 모국어학습에서의 핵심인 한가지 언어, 즉 원어학습/교육으로 일관하는 언어환경/언어공동체 속에서 누구나 <언어최소량>을 충족시켰기 때문이다. 우리를 놀라게 하는 것은 언어습득의 가능성과 능력이 절대적이고 결정적(determiniert) 이라는 사실이다. 의학에서 게놈이 차지하는 중요성과 마찬가지로 인간의 사고 및 언어능력의 근간인 <언어습득장치>, 이에 따른 <언어최소량>에 대한 조건은 이제 결정론/숙명론(Determinismus)으로 각인되고 있다. 그러나 <원어학습/교육>은 인간의 확고한 의지와 과학문명의 활용으로 획기적인 변수로 부각되고 있다. 우리는 승리하여 행복을 누리는 극을 택해야 한다. 노력할 충분한 가치가 있다.

      • KCI등재

        간호학 용어의 언어학적 고찰

        조남신 ( Nam Shin Cho ),길숙영 ( Suk Yong Kil ) 한국외국어대학교 언어연구소 2017 언어와 언어학 Vol.0 No.75

        Human beings develop their thoughts and build their own unique culture based on their native language. Thus, how to accept foreign terminology is not merely a personal issue of the specialists on the subject. In the nursing education, it requires for the students to make unnecessary efforts and impedes an access to Nursing, because it takes a lot of time to understand nursing terminology rather than the contents of Nursing. It is because the burden of the learners is inevitably increased, when difficult terminology or unclear terms are extensively used in the nursing education and nursing practice.

      • KCI등재

        드니 빌뇌브의 〈컨택트〉에서 드러나는 비선형적 시간 지각과 자유의지의 문제

        박영석(Park, Young-seok) 한국영화학회 2018 영화연구 Vol.0 No.75

        본 논문은 드니 빌뇌브 감독의 SF 영화 〈컨택트〉(2016)에서 드러나는 비선형적 시간관과 이와 관련된 문제의식을 원작 소설인 테드 창의 「네 인생의 이야기」와 함께 분석한다. 두 작품의 주제는 비선형적 시간 지각을 기반으로 형성되는 ‘미래의 기억’이라는 역설이다. 이 개념의 핵심은 그것이 주체의 ‘정신 안’에서 벌어지는 일이라는 점에 있으며, 그 심층적 의미는 질 들뢰즈의 시간철학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반복을 응시하는 주체의 정신 안에서 지각되는 차이로부터 시간을 사유하고, 시간의 역설들과 ‘순수 과거’(passé pur)와 관련된 논증을 통해 시간의 종합을 구성해내는 들뢰즈의 철학은 본고의 시간론의 핵심을 이룬다. 〈컨택트〉에서 인간이 현재와 미래를 동시적으로 지각할 수 있게 되는 매체는 바로 언어이다. 외계인 ‘헵타포드’의 언어는 본질적으로 비선형적이고 시간에 독립적인 성격을 가지며, 세계를 목적론적으로 지각하는 사고체계에 기반을 둔다. 여기에는 새로운 언어를 배우는 일이 인간의 뇌와 사고방식에 근본적인 변화를 준다고 믿는 ‘언어 상대성 가설’의 영향이 있다. 이 영화에서 비선형적 시간 지각을 통해 제기되는 문제의식은 다음과 같은 질문으로 귀결된다. 당신의 인생이 어떻게 흘러갈지, 누구와 만나고 사랑하고 이별하며 결정적으로 언제 죽음을 맞이할지 완전히 안다면, 당신은 무엇을 할 것인가? 이 질문은 결정론과 자유의지의 대립이라는 난제와 관련되는데, 본 논문에서는 〈컨택트〉의 내러티브를 자세히 분석함으로써 이에 대한 논증을 시도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nonlinear perception of time and related critical issues presented in Denis Villeneuve’s SF film Arrival, based on its original fiction Story of Your Life by Ted Chiang. These two works are a paradox of ‘future memory’ established in the nonlinear perception of time. The core of this perception is the fact that the future memory occurs ‘within subject’s mind’ and its in-depth meaning can be traced with Gilles Deleuze’s philosophy of time. The core of this study’s time theory consists of the philosophy of Deleuze who thinks over time with the difference perceived within the mind of subject who stares at repetition, and composes the syntheses of time through time paradox and ‘passé pur-related’ argumentation. In Arrival, the medium with which human beings could perceive present and future simultaneously is the very language. The language of alien ‘Heptapods’ is essentially nonlinear and independent from time, and based on the system of thinking which perceives the world teleologically. And there is the influence of ‘linguistic relativity hypothesis’ which believes that to learn a new language fundamentally changes human brain and way of thinking. The critical issue posed through the nonlinear perception of time in this film can be concluded by following question: If you completely know ‘what is your destiny of life, whom do you meet and fall in love with, and separate from, and when you die’, then what do you do? This question is related to the difficult issue of confrontation between determinism and free will, and this study examines this issue based on the detailed analysis of narratives of Arrival.

      • Sapir-Whorf 가정. W. v. Humboldt의 언어적 세계관과 비교됨

        홍승우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 종합연구센터 언어연구소 2003 언어와 언어학 Vol.0 No.32

        This paper shows difference between the hypothesis of the linguistic world view by W. v Humboldt and that by B. L. Whorf, which have been known to be similar on their objectives. A critic arguing against Humboldt's view says that it takes the view of a linguistic determinism, which is unacceptable. In other words, diversities of particular languages can never determine human thoughts from the beginning. Universality of languages and translatability are used as disproof in the critic. However, it is overlooked that Humboldt also says that our thoughts "are dependent on a language at all" and "determined by each particular language" only at a certain degree(IV-21). Furthermore, we must notice the fact that a language is not a closed but a opened system. After all. what is understood on the concept of translation is not a meaning exchange but merely a notation one. Therefore, the argument of the translatability refers to a notational level, while the hypothesis of the linguistic world view takes a sight of a semantic level. In sum, there is neither any relation nor contradiction between the thesis of the linguistic world view and the argument of the translatability.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외국인 학습자에 대한 문예교육에 선행해야 할 이질문화의 언어적 이해 -한,중 "죽음" 어휘에 대한 언어결정론적 접근

        김진호 ( Jin Ho Kim ) 단국대학교 한국문화기술연구소 2011 한국문화기술 Vol.11 No.-

        This paper attempts to highlight the significance and importance we may attach to a cross-cultural understanding of language in the course of a literary education of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for foreign students. Since language is closely linked to the influence of culture on the perception, value orientations, ways of expression, and behavior patterns of the people enjoying that culture, language is inseparable from culture. Undeniably, a proper understanding of the culture inherent in the language of a people is prerequisite to the efficient teaching of literary works as a cultural product of the people using that language. According to Linguistic Determinism, or the Sapir-Whorf hypothesis, there are two kinds of approach toward the problem of the long-debated language and culture relationship: one is that the language of a people is determined by, or reflects, their culture and the other that the language of a people determines and moulds their culture. In this paper, we have conducted a lexical approach to the relationship of language to culture and thought within a framework of the Sapir-Whorf hypothesis. Especially, through an overall survey of the specification and differentiation found in death-related vocabulary words, Korean and Chinese, we have proved that cultural awareness supposedly achieved in the course of a proper understanding of focal areas of cultural emphasis may contribute greatly to the success in a literary education for foreign students of language.

      • KCI등재

        《몽어유해(蒙語類解)》에 나타난 친족어휘의 민속학적 연구

        박환영 ( Hwan Young Park ) 한국알타이학회 2004 알타이학보 Vol.0 No.14

        With the aid of Mongoyuhae it is possible to reconstruct the Mongolian terminology that was used to identify kin members in the eighteenth century and earlier. As shown in Mongoyuhae, according to the system of the eighteenth century, Mongolian kinship extends for nine generations, from four generations previous to ego and to the four generations after ego. This kinship system shows these nine generations in a vertical line, beginning at the top with the founder of the kin group (töröl övög), and extending through the nine generations of the patrilineal line from the great great grandfather (hulants övög) to the great great grandson (guch). In the eighteenth century, paternal uncles and aunts(the father's siblings) were terminologically differentiated from their maternal counterparts. Whereas kin terms for affinal kinsmen demonstrate some of the characteristics of eighteenth century Mongolian kinship. The use of kin terms in what we might call the “descriptive mode” is visible in some cases. In addition, there was a tendency in eighteenth century Mongolian society to employ elaborate kin terms such as hüü, ach, jich and guch patrilineal descendants (e.g., son, grandson, great grandson and great great grandson). This tendency suggests that Mongolian society at that period had a strong sense of patrilineal descent than it does no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