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국 북장로회 선교사 호러스 G. 언더우드의 내한에 관한 연구

        박형우 ( Hyoungwoo Park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5 동방학지 Vol.170 No.-

        이 논문은 미국 북장로회에서 임명한 한국의 첫 목회 선교사로서, 한국의 개신교의 초기 정착과정에 지대한 역할을 수행했던 호러스 G. 언더우드의 가족 배경, 교육 배경, 그리고 선교사 지원 및 내한 과정을 다루었다. 이 연구를 위해 미국 장로회 역사협회에 소장되어 있는 다양한 1차 사료, 영국과 미국에 산재되어 있는 총인구조사, 신문 기사, 그리고 언더우드가 다녔던 뉴욕대학교, 뉴브런즈윅의 화란개혁신학교와 관련된자료 등 아직 제대로 소개되지 않았던 여러 사료들을 이용하였다. 그동안 언더우드에 관해 적지 않은 연구 논문들이 발표되었음에도 정작 그의 집안 배경, 교육 배경 및 선교사 임명 과정에 대해서는 극히 제한된 자료가 반복되어 인용되어 왔다. 제한된 자료는 바로 1909년 미국 북장로회 한국선교 25주년을 기념하여 언더우드가 자신의 내한과 관련하여 회고한 것과, 언더우드의 사후 부인 호튼이 저술한 Underwood of Korea에 포함되어 있는 언더우드의 집안 배경을 말한다. 내한 이전 언더우드와 관련하여 이 연구에서밝혀진 중요한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언더우드의 생모 및 계모와 관련된 측면이다. 호튼이 기술한 바와 같이 언더우드의 생모는 ‘현모양처’였을 것으로 판단되지만, 생모 못지않게 계모도 언더우드 집안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하였다. 남편 존이 1872년 미국으로 건너간 뒤 1년 동안 런던에 남아 아이들을 양육했고, 특히 언더우드와 형 프레데릭이 프랑스의 가톨릭 기숙학교로 유학하는데 큰 역할을 한 것으로 추정된다.둘째, 언더우드의 교육과 관련된 측면이다. 어려서부터 ‘목사 및 선교사’가 되고 싶었던 언더우드는 아버지의 배려로 어려서부터 교육을 받았고, 미국으로 이주한 후에는 저지 시(市)의 명문학교인 해스브룩학원에서 교육을 받은 후 그로브개혁교회의 신자가 되면서 담임목사 메이본으로부터 그리스어를 사사 받았다. 언더우드가 뉴욕대학교에 입학할 수 있었던 데에는 아버지의 교육열, 메이본 목사로부터 받은 사사, 당시 뉴욕대학교의 등록금이 무료였던 점 등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언더우드는 특히 웅변에 남다른 재질을 보였으며, 다양한 활동을 통해 뉴욕대학교의 ‘훌륭한 학생’으로 인정받았다. 화란개혁신학교와 관련하여 언더우드에게 큰 영향을 미친 사람은 메이본 목사와, 언더우드가 다니던 뉴브런즈윅 제1개혁교회의 목사 이스턴이었다. 언더우드는 이스턴을 도와 각종 부흥회에 참석했고, 2학년을 마친 여름 방학에는 담임 목사가 없었던 폼프톤 교회에서 활동하면서 담임 목사 이상으로 교회를 부흥시켰다. 셋째, 언더우드의 선교사 지원과 관련된 측면이다. 언더우드는 1909년 미국 북장로회 한국선교개시 25주년을 기념하여 자신의 선교사 지원과 관련하여 회고를 한 바 있으나, 그 내용이 자신의 선교사 자원 편지에 담긴 내용과 다른 부분이 많다. 이 연구를 통해 제기된 의문은 1) 언더우드가 한국을 알게 된 시기가 불명확한 점, 2) 자신은 인도선교사로 소명을 받았고 그 준비를 했다는데, 미국 북장로회로 보낸 선교사 지원 편지에 이런 내용이 전혀 언급되어 있지 않고 자신이 속해 있는 개혁교회 선교본부는 중국 아모이(厦門) 선교부로 파송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었던 점, 3) 언더우드가 과연 1년 동안 의학 공부를 했었는가 하는점, 4) 화란개혁교회에 속한 언더우드는 장로회나감리회의 한국에 대한 선교 계획에 대해 잘 몰랐을 가능성이 있다는 점, 5) 자신이 한국 선교를 결심하게 된 것이 갑자기 떠올랐던 생각들 때문이었다는 회고는 너무 주관적인 것이며, 자신의 선교사 지원 편지에는 이수정의 호소에 의해 마음이 움직였다고 적었다는 점 등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연구는 새로 발굴된 일차 자료에 근거하여 언더우드의 내한 배경 및 과정을 보다 객관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저자가 아직 찾지 못한 자료가 더 있을 것이고, 또 자료 해석에 있어 미진한 부분이 많을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한국 개신교 도입사에 너무나도 중요한 역할을 했던 언더우드에 관해 극히제한된 자료를 이용했던 기존의 연구를 넘어, 보다 명확하게 언더우드를 이해함으로써 130년 전내한했던 그의 의미를 다시 한 번 살펴보는 계기를 제공했다고 생각한다. By analysing newly discovered primary materials, the familial and educational backgrounds, and the appointment as a missionary to Korea of Horace G. Underwood were reexamined. Newly discovered facts are as follows: First, about his biological mother and stepmother. His stepmother also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Underwood family after John``s left in 1882. Second, about educational background. Admission of Horace to NYU may have been possible due to support from people around him, such as his father, who had a passion in his son’s education, from valuable teaching by his pastor Mabon, and from NYU’s free tuition policy at the time. There are two peoples who were very important to Underwood regarding the Dutch Reformed Theological Seminary, Rev. Mabon and Thomas C. Easton, a pastor of the New Brunswick First Reformed Church. Third, about Underwood’s application for missionary to Korea. This study raises the following five questions. 1) What was the exact date when Underwood first recognized Korea? 2) To which field Underwood had prepared to become a missionary? 3) Did Underwood study medicine for a year? 4) Whether Underwood had been fully informed about the plan for Korea of other denominations? 5) The influence of Rijutei``s appeal to the American church.

      • KCI등재

        H. G. 언더우드에 대한 연구 동향 및 전망

        이혜원 한국교회사학회 2021 韓國敎會史學會誌 Vol.60 No.-

        본 연구는 H. G. 언더우드에 대한 연구사를 정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해방 이전과 이후로 나눠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다. 해방 이전에는 총 7 편의 언더우드 연구가 있었는데, 그 중 L. H. 언더우드(1918)와 백낙준 (1934)의 연구가 현재까지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과 연구자 다수가 언더 우드의 사역 중 교파연합운동을 가장 높이 평가하고 있는 것이 발견된다. 해방 이후에는 22권의 단행본, 86편의 학술논문, 30편의 학위논문이 발표 되었는데, 2004년 언더우드 일가의 귀국, 2010년 언더우드 자료집 완간, 2016년 언더우드 서거 100주년이 계기가 되어 언더우드 연구가 일시적으로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주제별로는 언더우드의 생애와 초기 사역, 신학, 교육활동, 문서활동, 근대화, 한국학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해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최근에는 신학계보다 역사학계와 한국학계에서 언더우드의 사역에 더 관심을 보이는 것이 하나의 추세이며, 신학계에서 언더우드에 대한 관심이 줄어들면서, 최근 15년 간 언더우드를 주제로 삼은 학위 논문의 숫자가 점차 줄어들고 있는 현상도 발견된다. This study aims to summarize the research history of H. G. Underwood and examines research trends both before and after the Korean liberation. Before the liberation, there were seven studies on Underwood, of which the studies by L. H. Underwood(1918) and George L. Paik(1934) continue to have great influence today. Of Underwood’s work, it was found that the ecumenical movement was highly valued by researchers. After the liberation, 22 books, 86 articles, and 30 master’s and doctoral theses were published. Research on Underwood temporarily increased following a series of events, including the return of the Underwood family to the US in 2004, the completion and publication of the Underwood resource book in 2010, and the 100th anniversary of Underwood’s death in 2016. By subject area, studies examined a variety of topics including Underwood’s life, early mission work, theology, educational activities, documentary movements, modernization, and Korean studies. More recently, historians and scholars of Korean Studies have shown greater interest in Underwood than theologians. With declining interest in Underwood among theologians, the number of thesis papers on Underwood has been decreasing over the past 15 years.

      • KCI등재

        호레이스 G. 언더우드의 한국종교 연구

        김흥수(Kim Heung-Soo)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06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25 No.-

        언더우드는 1885년 내한해서 처음에는 선교활동의 기초를 닦는 작업에 전념했으나 세월이 흐르면서 한국 종교에도 관심을 갖게 되었다. 언더우드는 그 시대의 다른 동료 선교사들처럼 한국의 종교를 기력을 상실한 과거의 종교일 뿐만 아니라 한국인들의 기대로부터 떠난 종교로 보았다. 언더우드는 중국, 한국, 일본 종교를 비교 연구하는 The Religions of Eastern Asia에서도 자신의 한국 종교 관찰과 경험에 의지하여 인생의 제 문제를 푸는 데 동아시아 종교가 절대적으로 불충분할 뿐만 아니라 신의 최고의 이상을 전달할 능력도 없다는 것을 논증하고자 했다. The Religions of Eastern Asia은 1908년 뉴욕대학에서 한 강연을 출판한 것으로 도교, 신도, 샤머니즘, 유교, 불교 등이 동아시아에서 어떤 역할을 해왔으며, 지금은 어떠한가를 다루면서 그 종교들이 어떤 신 개념을 가지고 있는가를 고찰하는 것이었다. 한국 종교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에도 불구하고 선교적 차원에서 보면 한국의 전통적인 하나님 신앙은 언더우드에게는 기독교 전파에 중요한 토대가 될 자양분으로 보였다. 이런 차원에서 언더우드가 한국 종교 중에서 그래도 호감을 갖고 본 것은 유교와 샤머니즘이었다. 그 중에서도 언더우드는 샤머니즘이 한국의 대표적이고도 고유한 신앙전통인 것을 발견하고 그것의 실체 파악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그는 샤머니즘을 부정적으로 바라보면서도 샤머니즘으로부터 한국인의 고유한 하나님 신앙을 찾아내서 그것을 통해 한국인들이 고대부터 신에 대한 신앙을 가지고 있었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서 언더우드는 한국 종교에 대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첫째, 고대 한국에 일신교가 존재하였으며 오늘날은 일신교의 잔존물만 남아 있다. 둘째, 종교 진화론에 반대하고 종교 하강설을 주장하였다. 한국 종교사는 종교 하강설을 입증해 주는 좋은 예다. 셋째, 한국 종교는 전통적인 하나님 신앙을 통해 기독교 복음을 예비하였다. 넷째, 기독교의 신 개념이 한국 종교의 신 개념보다 우월하다. 언더우드는 한국 종교를 부정적으로 보면서도 그것을 이해하고 한국 종교와 기독교의 접촉점을 발견하려고 노력하였다. 언더우드의 이런 태도는 오늘날 많은 교회에서 한국의 전통종교와 전통문화가 무조건 배척되거나 무시되는 상황에서 그것들에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지 시사하는 바가 크다. Horace Grant Underwood(1859~1916), first ordained missionary from the Presbyterian Church of the United States to Korea, rendered great services to educational, religious, and social developments in Korea. Notable but unknown among his contributions was the research into Korean religions, which resulted in The Call of Korea: Political, Social, Religious(1908) and The Religions of Eastern Asia(1910). In the latter book, Dr. Underwood described in chapter form the East Asian religions of Chinese Taoism, Japanese Shinto, Korean Shamanism, and Chinese and Japanese Confucianism and Mahayana Buddhism to study the religions and practices of East Asian peoples and to ascertain what conceptions of God they hold. This essay examines Underwood's understanding of the Korean Shamanism, Confucianism, and Buddhism in order to understand his view on the Korean religions. Though Underwood regarded Shamanism as superstition, Confucianism as a mere system of morality, and Buddhism as an idol religion, he recognized the positive value of these religions such as Shamanism and Confucianism. Above all, Underwood paid attention to the belief in Hanamim of Korean Shamanism, a Shamanistic god, to find the points of contact between Christianity and the Korean religions. Underwood found that the idea of Hananim could be a point of contact for the Christian gospel. According to Underwood, in the most primitive times the peoples of Korea were monotheists, but the ancient faith retrograded to gods in the present-day Korean Shamanism.

      • KCI등재

        호러스 G. 언더우드의 선교지 결정과 출발

        정운형 ( Woon Hyung Jung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6 동방학지 Vol.175 No.-

        미국 교회들은 조미수호통상조약이 체결된 후 조선 선교에 관심을 두었다. 언더우드는 올트만스로부터 조선 선교에 관한 이야기를 처음 들었으며, 그 사실을 미국 북 장로교회 한국 선교제25주년 기념대회에서 회고했다. 일찍이 인도 선교를 생각하고 있던 언더우드 는 신학교에 입학한 직후 선교 사역에 헌신하기로 했다. 그런데 『미국 개혁교회 해외선교부 제52차 연례 보고서』 (1884)에 의하면, 그는 미국 교회가 조선에 선교사를 파송해 달라는 이수정의 요청에 반응하여, 선교사 지원서를 제출하였다. 그는 몇 차례 거절을 겪은 후 미국 북 장로교회 해외선교부로부터 조선의 개신교 첫 선교 목사로 임명되었다. 언더우드는 제4차 신학교 간 선교사 연맹 집회(1883)에 참석하여 하지와 고든의 강연을 들었다. 그들의 강연은 그에게 선교사의 자세, 특히 선교지의 부름을 구체적으로 이해하는 전기 가 되었다. 그로 인해 그는 얼마 동안 선교지 문제로 갈등한 것으로 보인다. 이 글에서 그 갈등이 기존의 주장보다 앞선 시기에 게재된 이수정의 글을 읽고 해결되었음을 구명하였다. 필자는 언더우드가 선교지를 변경하게 되는 과정과 파송이 결정된 이후 조선으로 출발하는 과정을 언급하고 있는 기존의 주장을 숙고하여 분별하 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 언더우드가 여동생에게 보낸 한 사신(私信)은 이전 연구에서 빠진 부분을 채우는 결정적인 사료이다. 그 편지와 편지에 묘사한 군사시찰단과 관련된 자료들을 살펴 언더우드의 출발 일정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샌프란시스코에서 출발한 날이 1884년 12월 31일이었다는 것과 시카고에서 일본까지 한 달여 일정은 일본 군사시찰단과 일치하고 있음을 밝혔다. 이 논문은 언더우드가 선교지를 조선으로 결정하는 과정과 파송 과정에 관한 기존 연구를 궁구하고, 그의 명확한 미국 출발 시점을 일본군사시찰단의 관련 자료를 이용하여 분별한 것 이다. 언더우드에 관한 많은 연구가 있으나 불가 피하게 간과되거나 누락된 부분이 여전히 많이 있다. 따라서 누적된 연구 논문이 많은 경우라 할지라도 기존 연구의 재고와 새로운 연구는 유효하다 하겠다. Horace G. Underwood (1859.7.19-1916.10.12) initially considered going to India, until some time before he graduated from the New Brunswick Theological Seminary. In the early part of his first year in the Seminary, he determined to devote his whole life to foreign missionary labor. However, he struggled to decide which field he ought to enter after attending the 4th Inter-Seminary Missionary Alliance Convention (1883). A few months later, in response to Rijutei’s appeal, he applied to the Board of Foreign missions to be appointed and sent as a clerical missionary to Korea.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presence of the Japanese officers who appear in his letter and the idea that they took the train together based on a comparison of the records written by Nozu Michitsura (1841~1908) and Underwood’s letter. The statement that they would be taking a steam ship together in San Francisco is also verified as a historical fact. Thus, the paper examines the process by which Underwood came to choose Korea as his mission field and left the United States to work as a missionary. Although much research has already been carried out on Underwood, many aspects have unavoidably been overlooked or left out. In such cases, it can prove fruitful to both re-examine the existing research and to conduct new research.

      • KCI등재

        언더우드의 교육정신과 연세교육

        김인회(Kim, In-whoe)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04 미래교육학연구 Vol.17 No.1

        이 논문에서는 언더우드의 선교적 삶의 한 축으로서의 교육사업활동에서 드러난 교육정신의 실체와 그 교육정신이 연세교육 및 한국교육에서 지니는 정신사적 의미를 고찰했다. 이를 통해 교육적 격동의 현 상황에서 연세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찾아보고자 했다. 언더우드 및 언더우드 가문의 교육정신의 특징은, 기독교적 사해동포주의와 민족주의에 근간을 두고서, 인류 역사 경험 중에서 가장 좋은 것과 동시에 한국적인 것을 아울러 교육내용으로 삼아 개방적이고 봉사적인 인재를 양성하는 교육을 지향했다는 점이다. 이 교육정신을 거울삼아서, 과연 오늘날 연세교육이 이 시대에 필요한 민족주의와 참된 기독교정신을 구현하고 있는지, 최고수준의 교육실천을 이루어내고 있는지를 반성할 필요가 있다. 연세교육이 가장 연세다운 교육이 되려면 언더우드의 교육정신에 근거한 국학과 인문학 전통의 회복이 절실하다. This article is to explore the spirit and the meaning of educational thought revealed through the educational and missionary life of Horace Grant Underwood in modern history of Korea. In addition, this article aims at identification of the vision and goal of education that Yonsei University should currently seek. It has been the characteristic of educational spirit of the Underwood family to educate christian leaders who have open mind and devoted spirit based on cosmopolitanism and nationalism. In order to raise such leaders, the Underwood family has stressed on building the curriculum chosen from the best of human experiences and unique Korean culture. From the view point of the educational spirit of the Underwood family, it is strongly recommended to examine whether Yonsei University has actualized the nationalism and christianity needed in korean society of 21st century, and whether Yonsei University has maximized the quality of education. For Yonsei University to be on the right track in this global era, it is emphasized that the prestigious tradition of liberal arts and Korean Studies based on the Underwood's educational thought should be revitalized on Yonsei campus.

      • KCI등재

        언더우드(H. G. Underwood)의 기도문 ‐ 그 사용사(使用史)와 비판적 성찰(1984-2019) ‐

        고훈(Ko, Hoon)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2021 장신논단 Vol.53 No.1

        본 논문의 목적은 언더우드(H. G. Underwood)의 기도를 사용한 배경에 대하여 서술하고, 그의 기도문을 사용한 의도를 추론해 보고, 그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다음의 연구 절차를 따른다. 첫째, 2장은 정연희를 시작으로 누가 언더우드의 기도에 관심을 가졌으며, 어떠한 배경에서 그들은 왜 그의 기도문을 (해석)사용하였을까에 대한 추론을 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언도우드의 기도가 진짜 언더우드의 기도인 줄 알고, 혹은 소설의 한 부분인 것을 알면서도 사실로 포장하여 사용한 개인 혹은 그룹(단체)은 누구였는지 그리고 그러한 그의 기도에 관심을 가지고 사용할 때, 그들의 상황은 어떠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추가적으로 본 논문의 시기와 관련하여, 정연희의 소설 『양화진』이 출판된 1984년부터 언더우드 선교사 탄생 160주년인 2019년까지 한정하고, 네 시기로 구분(1984-1992, 2004-2013, 2015-2016, 2019)하여 다루고자 한다. 둘째, 2장에서 도출된 결론을 중심으로, 비판적 성찰을 시도하고자 한다. 셋째, 앞선 논의들을 간단히 정리하고, 필자의 의견과 본 논문의 의의와 한계를 다루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a use history of H. G. Underwood’s prayer and to reflect on the results from its use history critically. To achieve this, I will observe the following procedures; first, section two describes why Yeon Hee Jeong (the maker of Underwood’s prayer) and her followers did by using a method of interpretation history, which explores the author’s background and the context or community in which the author interpreted something. Moreover, I will deal with an interpretation history of Underwood’s prayer by focusing on the period from 1984, the year of the publication of Yeon Hee Jeong’s novel Yanghwajin, to 2019, the year of the 160th anniversary of Underwood death. Section three reflects on the results from the previous section critically. Section four summarizes this paper, expresses my opinion on Underwood’s prayer, and deals with some limits of this paper. The contribution from this paper organizes/reflects on the interpretations of Underwood’s prayer and fills in a gap which Sung-Deuk Oak has not explored in his book Rewriting a History of Early Church History in Korea, which argues that Underwood’s prayer is fiction from Jeong’s novel Yanghwajin.

      • 차상진의 사역과 그 역사적 위치 : 피어선기념성경학원의 그의 사역을 중심으로

        류금주 평택대학교 피어선기념성경연구원 2014 피어선 신학 논단 Vol.3 No.2

        Arthur T. Pierson Memorial Bible Institute is one of the significant examples of the unitive movement which were sprung from the historic Pyeng Yang Revival in 1907. Sang-Jin Cha served as the first Dean of the Arthur T. Pierson Memorial Bible Institute for 7 years who was affiliated with Presbyterian Church. It had been a lengthy time which constituted as much as one third of his ministry as a Presbyterian divine. He was ordained minister in the year of 1916, and his service to the Arthur T. Pierson Memorial Bible Institute covered the whole span of his ministry in the sense that he served the Arthur T. Pierson Memorial Bible Institute directly and indirectly. In that sense it is to be ascertained that he committed himself to the Arthur T. Pierson Memorial Bible Institute throughout the whole span of his life-long ministry. The period fell on that of the time when the Kyoung Sung Presbytery to which the Arthur T. Pierson Memorial Bible Institute affiliated separated itself from the Kyoung KI Presbytery in 1932. For illustrations, he paid condolence as the moderator-elected of the Kyoung Ki Tchoong Chung Presbytery to the Underwood family when the first President of the Arthur T. Pierson Memorial Bible Institute passed away; he supported the Arthur T. Pierson Memorial Bible Institute in a great extent as then the minister-in-charge of the Seung Dong Presbyterian Church; he dispatched the Arthur T. Pierson Memorial Bible Institute students as evangelists to the Kyoung Ki Province even after his resignation from the Arthur T. Pierson Memorial Bible Institute. As we have seen above, his works and endeavours whatever in Korean Churches had been ever centered upon the Arthur T. Pierson Memorial Bible Institute. Furthermore, his distinguished ecumenical spirit for the two major denominations(Methodist and Presbyterian) reached at large to the grand ecumenical spirit of the great H. G. Underwood. His ecclesiastical theology of the Cross and his strong conviction that Korean Churches firmly founded upon the Rock of Jesus Christ were noticeably identical with the theology of Underwood. Actually Underwood visualized that the christianized Korea should step into the stage of the world in order to bring about the united Christendom of three nations of the Far East. He had been visibly and thoroughly presented to the Korean churches as the real and the object lesson of the United Church of Korea, especially during the period when he acted as the Dean of the Arthur T. Pierson Memorial Bible Institute from 1922 to 1929. He was the first Presbyterian Dean of Arthur T. Pierson Memorial Bible Institute under the Japanese reign of Korea, and at the same time he was the first Presbyterian officer after Underwood the founder of the Arthur T. Pierson Memorial Bible Institute. Prior to Sang-Jin Cha the position of the Deans was occupied by the Korean Methodists only. The position of the President was also held by the Methodist Missionaries except Underwood the first President. Then there is no wonder that the Presbyterian students flourished after Sang-Jin Cha was nominated as the Dean. Furthermore, the period when Sang-Jin Cha served as the Dean was the only period when the united academic management was practically carried out by the Methodist missionary President and the Korean Presbyterian Dean. The period of the Dean-ship of Sang-Jin Cha was the significant time of transition when the chief management of the administration was held by the Presbyterian Presidents and Deans after the decease of Underwood. Accordingly it is to be said that the period when Sang-Jin Cha was serving the Arthur T. Pierson Memorial Bible Institute was the only period when every mission and every church in Korea were working together hands in hands as the ecumenical partnership. He was rightly celebrated as the real and the object lesson of the united Christian educationin Korea. 피어선기념성경학원은 1907년 대부흥운동의 결과로 생겨난 장감 연합 교육사업의 대표적 실례 중 하나이다. 차상진은 피어선기념성경학원의 첫 장로교 원감으로 7년여의 시간을 봉직했다. 그것은 목사 차상진의 사역의 거의 1/3에 달하는 오랜 시간이었다. 그런데 1916년 목사로 임직하여 그 사역을 시작한 벽두부터 피어선기념성경학원이 소재한 경성노회가 1932년 경기노회로부터 분립하던 무렵까지 차상진의 사역은 피어선기념성경학원을 구심으로 하여 드넓게 펼쳐지고 있었다 . 1916년 경기충청노회장에 선임된 차상진이 그 첫 임무로 동 성경학원의 설립자이자 초대 원장인 언더우드 박사의 유족을 위문한 일이나 승동교회 위임목사 당시의 피어선기념성경학원 지원이나 피어선기념성경학원에서 물러난 후 동 성경학원 학생을 전도인으로 파송한 것 등이 그것이다. 그런데 차상진 사역에서 나타나는 피어선기념성경학원 구심성은 단순한 사업적 문제에서만이 아니었다. 차상진의 장감 연합 정신은 동 성경학원의 설립자언더우드의 연합 정신에 가 닿고 있었다. 차상진의 십자가의 교회주의와 장감 양교회가 공히 예수 그리스도의 반석 위에 세워졌다는 그의 굳건한 사상은 기독교한국을 중심으로 동북아의 삼국이 기독교국으로서의 연합을 이룰 것이라는 언더우드의 사상과 다르지 않았다. 한편 1922-1929년까지 피어선기념성경학원 원감으로 봉직하는 내내 그는장감 연합의 실체이자 실물교육으로서 현존하고 있었다. 차상진은 일제하의 피어선기념성경학원에 등장한 첫 장로교 원감이었다. 동시에 그는 설립자 언더우드 이후 첫 장로교 임원이었다. 차상진 이전의 한국인 원감은 모두 감리교 목사였을 뿐 아니라 장감 양 선교부의 선교사들이 맡아왔던 원장 역시 초대원장 언더우드 이후에는 모두 감리교 선교사였던 것이다. 차상진 원감의 부임 이후 장로교 학생들이 크게 증가한 것은 결코 우연한 일이 아니었다. 나아가 차상진의 피어선기념성경학원 재임 기간은 유일하게 장감 연합 학사운영의 실물교육이 가능했던 때였다. 차상진의 재임기간은 언더우드 서거 후 계속된 감리교 원장과 원감의 학사운영 주축이 다시 장로교 선교사 원장과 원감으로 옮겨지던 과도기였다. 따라서 차상진의 피어선기념성경학원 재임기간은 감리교 원장과 장로교 원감, 서양 선교사 원장과 한국인 목사 원감이 나란히 재임했던유일한 경우였다. 그는 장감 연합 교육의 실체이자 실물교육으로서 피어선기념성경학원 내에 현존하고 있었다.

      • KCI등재

        고전의 재발굴 : H. H. 언더우드의 『Modern Education in Korea』와 일제시기 한국교육사 연구

        강명숙 ( Myoung Sook Kang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4 동방학지 Vol.165 No.-

        본 연구에서는 H. H. 언더우드의 『Modern Education in Korea』(조선의 근대교육)의 한국교육사 연구에서의 연구사적 의미 및 학술사적 의의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H. H. 언더우드는 미국 북장로교회 파견의 선교사로 1934년부터 연희전문학교 교장을 역임하고, 미군정기에는 고문관으로 교육정책을 조언한 한국에서 태어난 선교사 2세이다. 1926년 뉴욕대학교에서 교육학 박사 학위를 받고 책으로 출간한 것이 『Modern Education in Korea』이다. H. H. 언더우드의 『Modern Education in Korea』는 조선의 근대적 학교교육체제 도입 과정에서 선교사들이 수행한 교육활동을 정리하고 그 의미를 부각시킨 연구서로, 근대교육학적인 방법과 이론으로 연구된 최초의 우리나라 교육사 연구서로 평가받는 책이다. 하지만 선교사관에 입각하였고, 각종 자료를 사용하여 단순히 교육현황을 정리 기술한 책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하지만 H. H. 언더우드의 『Modern Education in Korea』는 선교사의 입장에서 또 1920년대의 조선 교육 연구 경향에 비추어 재고해 볼 필요가 있다. 출간 당시 『Modern Education in Korea』는 조선교육의 "능동적인 참여자"로서 그동안의 선교교육에 대하여 내밀하고 자세하게 정리하였고, 또 조선 교육 연구라는 새로운 분야를 개척했다고 평가받았다. 1920년대는 조선 교육에 대한 연구 관심이 제기되는 시기로서, 조선총독부의 교육정책을 대변하는 식민지 관료들의 역사적 연구가 나오고 있었고, 연구라기보다는 논설문에 가까운 조선인들의 저서가 출간되는 형편이었다. H. H. 언더우드는 『Modern Education in Korea』에서 조선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관점을 제공하고자 "관찰자"의 입장에서 조선총독부의 정책을 살펴보고, "능동적인 참여자"의 입장에서 조선에서의 선교교육을 정리하였다. 또 조선 정부와 조선인의 근대 교육 도입과 운영 노력도 다루었다. 결론에서는 "교육에서의 멋진 실험을 위한 실험실"로서 조선총독부, 선교사, 조선인 모두에게 다양한 기회가 있음을 제안했다. H. H. 언더우드의 연구는 선교 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목적이었다 할지라도 한국 근대교육체제 형성에서 기독교계 교육의 역할에 대한 탁월한 사실적 연구로서 의미가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historical and academic significance of H. H. Underwood``s book Modern Education in Korea. Underwood was a missionary with the Northern Presbyterian mission in America and served as the principal of Chosen Christian College from 1934 and as an educational advisor in the USAMGIK(U.S. Army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He obtained a Ph.D. from New York University in 1926 and published a doctoral thesis titled Modern Education in Korea. Modern Education in Korea is a study of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the missionaries and is considered the first research on Korea``s education history using modern educational methods and theories. However, it is based on a missionary``s view of history and has been criticized as merely arranging the state of education with several data. However, Modern Education in Korea needs to be reconsidered in the context of the contemporary situation and research trends of the 1920s. At the time of its publication, it was seen as a study of missionary education in Joseon by an active participant that broke ground in a new field- Korean Studies. In the 1920s, there were already some studies of the educational policies of the Japanese government, which were done under the influence of national academism by Japanese researchers in normal schools and at Keijo Imperial University, and by Koreans who had studied education both in Korea and abroad. However, these studies were devoted to the introduction of the Western educational theories and were less interested in the study of Korean education per se. H. H. Underwood endeavored to provide a general understanding of Korean education from the viewpoint of a spectator and active participant. He looked at the policies and educational works of the Japanese government, surveyed missionary educational activities in Korea, and summarized Korean public and private education. He also proposed many opportunities for the Japanese government, Korean private education, and missionary education, suggesting that Korea could be a laboratory to experiment with education for all. Although his research was aimed at mission education, Modern Education in Korea was an excellent piece of research on missionary educational activities and their role , and it opened the way for historical research on Korean educat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