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원론 연구에 관한 소고

        이문수(Lee, Mun-Suh)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04 동유럽발칸연구 Vol.12 No.2

        This article is a study on the Etymology of the Indo-European Languages, with reference to Romance Languages. We can see the first relatively detailed discussion of the etymological problems in the Dialog<Kratylos> of Platon in which he showed an interest in the origin of the names of human beings, of animals or of things. At that time Etymology was the science of researching <the true meaning>. This kind of tradition for the etymological study was succeeded by the Roman Grammarian Varro through the Grecian Scholars of late Stoa School, above all Chrysipos. In the Medieval epoch the ancient etymological concept was not basically changed . It is not going too far to say that the modern Etymology began with the appearance of the Historical Comparative Linguistics. From about 1900 onward Romance Linguistics became the field in which new methods were adopted under the dominant influence of Indo-European studies. For the etymologists of this generation Etymology means no more than the earliest form and meaning of a word, regardless of whether any statements is made about the original meaning of the word. Henceforth, it was governed by new principles. Firstly, the importance of word-blends is recognized with increased awareness. Secondly, Onomatopoeia is reinstated as a reputable source of linguistic creations. Thirdly, the appearance of linguistic geography, which is treated as a universal method for finding out the real truth of word-history, was influential in the research. The notion of Etymology becomes ambiguous: the old type, phonological, so-called <étymologieorigine> contrasts with the modern, semantic, <étymologie-histoire du mot>. In the light of these developments it is clear that today Etymology in the Indo-European Languages embraces two essentially different questions. One is the original form as well as the original meaning of the Indo-European Prototype. The other is its subsequent history down to a point indicated by the documentation of the cognate language concerned. Etymology in the modern sense is biography of the word; its origin would be nothing but a point of departure for further research. Therefore for ideal etymological research we need further examination not only of phonological, semantical but also of morphological and syntactical form in consideration of both sides, namely internal and external facts of language. 성)라는 두 단어가 합쳐진 것으로 어원론의 원의는 ‘참된 어의를 연구하는 학문’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플 라톤은 일찍이 사물의 명칭과 그 의미의 개연성에 관하여 의문을 제기한 바 있으며, 그 후 어원연구에 관한 관 심은 크리시포스(Chrysippos) 등과 같은 고대 그리스의 후기 스토아학파를 거쳐 고대 로마제국의 학자들에 의 해 계승되어졌다. 고대 로마제국의 라틴어 문법학자였던 바로(Varro)는 어원론을 ‘단어들이 왜 그리고 어디서 온 것인지’를 연구하는 것으로 간주하였다. 이와 같이 서양에서는 이미 고대 그리스 및 로마시대에 낱말의 기원 에 관한 관심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그 당시 학자들은 어원 분석이나 의미 변화에 있어서 그것을 정확히 규명 하지는 못했다. 중세의 어원론은 고대 그리스, 로마시대의 이론을 거의 그대로 계승했다고 보아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19세기에 접어들면서 어원연구는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된다. 19세기 역사-비교언어학의 연구방법이 확 립되면서 어원연구도 규칙적인 음운변화에 관심을 집중시키게 된다. 19세기 말 의미론이 과학적 학문으로 발전 하기 시작하면서 어원론에도 낱말의 의미를 다시 중요시하게 된다. 이러한 변화는 언어지리학 연구에 의해서 크게 확산되었다. 또한 당시의 실증주의적인 학문연구 방법에 입각하여 문헌상의 충분한 증거자료를 제시하는 방법론적인 영향을 받아 어원연구에도 새로운 변화가 일어났다. 즉, 전통적 음운 변화 법칙에 입각해서 그 기원 을 찾고자하는 기원 어원론〉에서 의미 변화에 의해서 낱말의 변화 과정을 강조하는 〈낱말의 역사 어원론〉 으로 바뀐 것이다. 20세기 초에는 한 때 어원연구에 있어서 음성적인 면과 의미적인 면이 대립하였으나 1 차 세계 대전 이후 그러한 대립에 관한 무모한 논쟁이 사라졌으며 〈언어 내적〉 사실과 〈언어 외적〉 사실을 고려하여 음운론적, 의미론적 자료뿐만 아니라 형태 통사론적인 면도 엄밀히 검토해야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게 되었다.

      • KCI등재

        한국어와 몽골어 사이의 동원어(同源語)에 대한 기초적 연구

        고경재(Koh, KyeongJae) 한국어학회 2018 한국어학 Vol.79 No.-

        In this paper I have extracted some Korean words which correspond to Mongolian words within the framework of cognation, and identified some facts of historical phonology. In chpater 2, I have examined the methods of etymology. In 2.1., I have presented phonological·semantic criteria, and in 2.2., I have distinguished the cognate words with the loanwords. In chapter 3, I presented cognate words between Korean and Mongolian language, which are based on Ramstedt(1949) and Poppe(1950). Recently many scholars talking mainly about loanwords, but if the words which have been presented in <table 2> could correspond each other, Korean and Mongolian language could also be discussed from an etymological point of view.

      • KCI등재

        DOOM²에서 나타나는 신조 어휘에 대한 고찰

        엄태현(Oum, Tae Hyun)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12 동유럽발칸연구 Vol.30 No.-

        The main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se recently listed words in DOOM²(Romanian dictionary of Orthography, Orthoepic and Morphology) which is a revised edition in the year 2005. Newly listed words are analysed from the view points of Etymology, Word Formation and Semantics. This Orthographic Dictionary DOOM² is published by official institute which is in charge of Romanian Language Policies and it contains not only normative words, but also words which could be normative because these are widely used by many speakers. From the view point of Etymology, influences from English are showing a rapid progresses, but the words frequencies were not expected to be as high as it's proportion between loan words. From the view point of Word Formation, proportion of compound words are much higher than ordinary Romanian vocabulary. From the view point of Semantics, many recent words were founded from specialized domains of economy like banking, management, trade etc, of technology like IT, machine etc, of sports. This aspect is expected to be same in the other languages. Characteristics founded in the Romanian words are there many new word in the domain of art like music, film making, show business etc. Many new words which have a close relations with hman being's every day life like foods, clothes, houses were introduced to Romania. 본 연구의 주 내용은 2005년에 개정된 루마니아어 정서법 사전인 DOOM²에 새롭게 등재된 어휘를 분석하는 것으로서 이를 통해서 신조어휘가 생성되고 사용되는 양상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 정서법 사전은 루마니아의 언어정책을 담당하는 기관에서 출판된 것으로서 사전에 등재된 어휘는 공식적인 어휘이거나 공식적인 어휘는 아니더라도 널리 회자되는 공식어휘가 될 가능성이 많은 어휘인 것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 신조어휘들을 크게 생성방식과 사용방식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생성방식에서는 외부 차용된 어휘에 대해서는 어원적 측면을, 내부적으로 조합된 경우 조어론적 측면을 살펴보았다. 의미분야에서는 신조어휘로 등장한 외래어들의 의미 분야를 분류하여 계량적인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결과로 어원론적인 면에서 볼 때 영어 어휘의 약진이 눈에 띠며 조어론적인 면에서는 합성어의 비율이 일반어휘에서의 비율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의미 분야로 나누어 볼 때 전문 분야의 어휘에서는 금융, 경영, 무역 등 경제 분야, IT, 기계 등 기술 분야, 스포츠 분야의 신조어가 많았는데 이것은 타 언어에서도 비슷할 것으로 보인다. 특이한 점으로는 음악, 영화, 방송, 공연 등의 예술분야에서의 신조어가 많이 나타났다는 점이다. 전문분야에서 영어의 영향은 일반어휘에서 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어휘에서는 인간의 삶과 깊은 연관성을 가진 의식주, 물품, 쇼핑 등과 관계된 어휘가 많이 도입되었다.

      • KCI등재후보

        20세기 초중반 한국어학의 사상적 면모 : 주시경과 게봉우를 중심으로

        조원형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0 한국학연구 Vol.0 No.23

        이 연구에서는 주시경이 지은 『국어문법』과 게봉우가 지은 『조선말의 되어진 법』에 드러난 민족주의적 면모와 일반언어학적 면모를 밝히고자 한다 이 두 저서는 각각 20세기 초반과 20세기 중반에 집필한 것으로서 일반언어학적 원리를 바탕으로 한국어의 주체성을 강조하고자 한 저자의 의지가 각 저서에 공통적으로 드러나 있다 주시경은 고유어 문법 용어를 고안하여 한국어 문법을 분석하였으며 ‘말’과 ‘일’의 관계를 통하여 기호학적 개념을 발전시켰다 게봉우는 역사비교 언어학의 방법론을 참고하여 한국어 단어의 어원을 고유어 안에서 찾고자 노력하였다 이들의 연구 성과 자체는 비록 후대에 충실히 계승되지 못하였으나 이 두 학자가 지녔던 언어관과 언어 사상은 그 의의가 충분히 인정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nationalistic and general linguistic features of the linguistic writings of Gugeomunbeop(Korean Grammar) written by Ju Si gyeong and Joseonmareui Doeeojin Beop(The Etymology of Korean Language) written by Ge Bong u. These two writings, written in early and middle 20th Century, emphasizes the subjectivity of Korean language, based on general linguistic principles. Ju Si gyeong analysed the Korean grammar with his own linguistic terms stemed from original Korean words, while he developed the semiotic ideas with the relationship of ‘mal’(word) and ‘il’(matter). Ge Bong u tried to find the etymology of Korean words only in the original Korean words, consulting the methodology of historical comparative linguistics. The standpoint and thought of these two linguists must be considerably recognised, although their linguistic study results themselves are not wholly succeede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Baba w języku i kulturze Słowian

        D.Kruk 한국슬라브어학회 2014 슬라브어연구 Vol.19 No.1

        The paper analyzes the properties of the Slavic lexeme baba from diachronic perspective. The author makes use of Polish and Slavonic etymological dictionaries in order to outline various hypotheses concerning the origin of the word. Most of the linguists claims that the Proto-Slavic word *baba is imitative of children's talk (babble words), but not all scientists accept this interpretation. First Jan Baudouin de Courtenay, and then Andrzej Bańkowski, said that the word coming from the Indo-European root *bha- 'to speak'. The Proto-Slavic word *baba had lots of different meaning, including 'sorceress', which survived in the Slavic languages into 19c. The word baba in the Slavic mythology is also the name of the demons, for example Baba Jaga, baba żytnia. Słowo baba jest głęboko zakorzenione w kulturze Słowian. Słowniki historyczne języków słowiańskich charakteryzują je jako wieloznaczne, o trudnym do sprecyzowania znaczeniu pierwotnym. O tym, że odgrywało ono ważną rolę w świecie słowiańskim, świadczą liczne toponimy – Baba, Babice, Babi Jar, Dyszobaba czy Babia Góra, jak również opisy wierzeń i legend dawnych Słowian, w których pojawia się nie tylko znana postać Baby Jagi, lecz także Złota Baba czy baby żytnie. Baba to również nazwa kamiennego posągu, związanego zapewne z obrzędami kultowymi. Celem mojego artykułu jest charakterystyka diachroniczna wyrażenia baba – opis hipotez dotyczących pochodzenia oraz tego, w jaki sposób było ono używane na terenie Słowiańszczyzny do XIX w. Podstawę mojej analizy stanowić będzie materiał zarejestrowany w słownikach etymologicznych i historycznych języków słowiańskich oraz słownikach ogólnych wydawanych do XIX wieku. W odkrywaniu pochodzenia prasłowiańskiej baby będą mnie interesowały zarówno fakty językowe, jak i pozajęzykowe związane z kulturą duchową dawnych Słowian – opisy obyczajów, obrzędów, wierzeń. Nie stawiam ich na równi z materiałem lingwistycznym, sądzę jednak, że mogą być pomocne w formułowaniu czy potwierdzaniu hipotez.

      • KCI등재

        루마니아인을 뜻하는 어휘 român 에 대한 어원론적 고찰

        이문수(Lee Mun-Suh)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10 동유럽발칸연구 Vol.25 No.1

        고대 로마인은 스스로를 Roma 라는 지명에서 파생된 어휘인 romanus 라고 지칭하였다. 오늘날 로망스어권에서 이 어휘를 계승하여 자국민을 지칭하는 의미로 사용하고 있는 나라는 루마니아가 유일하다. 현대 루마니아어에서는 루마니아인을 뜻하는 어휘로 라틴어휘 romanus 로부터 유래된 român 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밖에도 루마니아의 국호 România 를 비롯하여 româncă, românesc, româneşte 등과 같은 다양한 파생어휘들이 사용되고 있다. 한 때 남동유럽 및 발칸지역 일대가 고대 로마제국의 식민지였었던 관계로 이 지역에 로마문화와 라틴어가 보급됐었지만 현재는 이미 사어가 된 달마티아어를 제외하면 루마니아어가 유일하게 생존하고 있는 발칸 로망스어이다. 하지만 고대 로마인들이 A.D. 271년 오늘날 루마니아 영토에 해당하는 당시의 다키아지방으로부터 철수한 이후 상당기간동안 이 지역에 대한 역사적인 기록이 부재하였으므로 루마니아인의 고대 역사가 오랜 기간 공백으로 남아있다. 이런 역사기록상의 침묵을 깨고 루마니아인이 유럽역사에서 다시 등장하게 된 것은 중세 때 소위 ‘블라흐족’이라는 이름으로 언급되기 시작하면서다. 현존하고 있는 문헌상에서 루마니아어휘 român 이 처음으로 나타나기 시작한 것은 1581년에 출판된 오러슈티에의 구약성서(Palia de la Orăştie)에서 român 이라고 언급되면서부터이다. 비슷한 시기인 16세기 후반에 루마니아의 코레시(Coresi)에 의해 출판된 사도행전(Apostol)에 비록 키릴문자로 표기되어 있기는 하지만 rumân 이란 어휘가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 어휘가 다코루마니아어의 român(또는 rumân), 아루마니아어의 armân, arămân(또는 aromân), 메글레노루마니아어의 rumon, 이스트로루마니아어의 rumăr(또는 rumër) 등과 같이 소위 광의의 루마니아어 방언들 모두에서 보존되고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이 방언들이 분리되기 이전 단계인 루마니아어의 공통조어에서 이미 사용됐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루마니아인들의 문자사용 시기가 13세기 말경에서 14세기 초반으로서 비교적 늦은 편인데다 그마저도 처음으로 사용하게 된 문자가 키릴문자이었기 때문에 중세 때 발칸지역 일대의 민족들은 루마니아인을 가리킬 때 고고 독어인 Walhos, Walha 등으로부터 유래된 어휘를 각 민족마다의 고유한 발음습관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들인 Blachi, Blochi, Vlachi, Volochi, Walachi, Wlachi 등과 같이 사용한 반면 루마니아인은 스스로를 지칭할 때 일찌감치 라틴어휘 romanus, romani(<단수 romanus) 로부터 유래된 români, rumâni 등과 같은 표현을 사용하였으며 그들의 국호를 România, Ţara românească 등으로 표기한 것으로 밝혀졌다. 결론적으로 루마니아인의 선조들은 발칸지역 일대의 다사다난한 지정학적인 여건 하에서 생존하기 위하여 주거지를 옮겨 다녀야만 했던 상황에서도 로마제국의 명성으로부터 오로지 언어만을 보존하게 되었으며, 이것이 루마니아인들로 하여금 유구한 역사를 통한 각종 위기를 모면할 수 있었고 루마니아어가 오늘날까지 발칸지역에서 유일하게 로망스어의 명맥을 이어갈 수 있었던 원동력이 된 것으로 사료된다. From the viewpoint of the genealogical linguistics, nobody can deny the fact that Romanian is one of Itallic branch of Indo-European, namely Romance Languages, such as Italian, Franch, Spanish and Portuguese. Nowadays it is only Romania in the world that uses for the people of a country the word derived directly from Latin romanus , namely român. Besides the word român in Romanian exist a lot of derivatives from Latin romanus, for example, România, româncă, românesc, româneşte etc. Given the absence of the historical descriptions after the withdrawal of the Roman army from the province Dacia in 271, no Romanian population north of the Danube was mentioned for almost 1,000 years, until the beginning of the 13th century, when Vlachs were first recorded there. The word român first appeared in Romanian in the Old Textament from Orăştie in the year 1581. In the almost same time appeared the word rumân in the Acts of the Apostles published by the Romanian Deacon Coresi, even though it was written in the Cyrillic writing system. However, judging from that this word is preserved in all four Romanian varieties in a wider sense, for example, român(or rumân) in Daco-Romani an, armân(or arămân) in Aromanian, rumon in Megleno-Romanian and rumăr(or rumër) in Istro-Romanian, we can recognize the fact that the word was widely used in the Common Romanian language, namely in Old Romanian before the split of four Romanian varieties. While the peoples of the Balkan area described the Romance population including the ancestor of the Romanians in medieval time, according to the manner of their articulation and pronunciation, with the words borrowed from Old Germanic Walhos such as Blachi, Blochi, Vlachi, Volochi, Walachi, Wlachi respectively, the Romanians have called themselves with the word derived from Latin romanus as români and their country as România or Ţara românească etc. We may now conclude that the ancestor of Romanian people who had been Romance population of the Balkan peninsular were able to preserve the language of Roman Empire even though they have begun to use the Cyrillic writing system from the end of 13th cuntury for the first time. It would be the reason that they can today survive as the unique Romance population under the difficult circumstances of this areas.

      • KCI등재

        루마니아인을 뜻하는 어휘 român 에 대한 어원론적 고찰 -고고 독어휘 Walhos 와의 비교연구를 중심으로-

        이문수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동유럽발칸연구소 2010 동유럽발칸연구 Vol.25 No.1

        From the viewpoint of the genealogical linguistics, nobody can deny the fact that Romanian is one of Itallic branch of Indo-European, namely Romance Languages, such as Italian, Franch, Spanish and Portuguese. Nowadays it is only Romania in the world that uses for the people of a country the word derived directly from Latin romanus , namely român. Besides the word român in Romanian exist a lot of derivatives from Latin romanus, for example, România, româncă, românesc, româneşte etc. Given the absence of the historical descriptions after the withdrawal of the Roman army from the province Dacia in 271, no Romanian population north of the Danube was mentioned for almost 1,000 years, until the beginning of the 13th century, when Vlachs were first recorded there. The word român first appeared in Romanian in the Old Textament from Orăştie in the year 1581. In the almost same time appeared the word rumân in the Acts of the Apostles published by the Romanian Deacon Coresi, even though it was written in the Cyrillic writing system. However, judging from that this word is preserved in all four Romanian varieties in a wider sense, for example, român(or rumân) in Daco-Romani an, armân(or arămân) in Aromanian, rumon in Megleno-Romanian and rumăr(or rumër) in Istro-Romanian, we can recognize the fact that the word was widely used in the Common Romanian language, namely in Old Romanian before the split of four Romanian varieties. While the peoples of the Balkan area described the Romance population including the ancestor of the Romanians in medieval time, according to the manner of their articulation and pronunciation, with the words borrowed from Old Germanic Walhos such as Blachi, Blochi, Vlachi, Volochi, Walachi, Wlachi respectively, the Romanians have called themselves with the word derived from Latin romanus as români and their country as România or Ţara românească etc. We may now conclude that the ancestor of Romanian people who had been Romance population of the Balkan peninsular were able to preserve the language of Roman Empire even though they have begun to use the Cyrillic writing system from the end of 13th cuntury for the first time. It would be the reason that they can today survive as the unique Romance population under the difficult circumstances of this areas. 고대 로마인은 스스로를 Roma 라는 지명에서 파생된 어휘인 romanus 라고 지칭하였다. 오늘날 로망스어권에서 이 어휘를 계승하여 자국민을 지칭하는 의미로 사용하고 있는 나라는 루마니아가 유일하다. 현대 루마니아어에서는 루마니아인을 뜻하는 어휘로 라틴어휘 romanus 로부터 유래된 român 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밖에도 루마니아의 국호 România 를 비롯하여 româncă, românesc, româneşte 등과 같은 다양한 파생어휘들이 사용되고 있다. 한 때 남동유럽 및 발칸지역 일대가 고대 로마제국의 식민지였었던 관계로 이 지역에 로마문화와 라틴어가 보급됐었지만 현재는 이미 사어가 된 달마티아어를 제외하면 루마니아어가 유일하게 생존하고 있는 발칸 로망스어이다. 하지만 고대 로마인들이 A.D. 271년 오늘날 루마니아 영토에 해당하는 당시의 다키아지방으로부터 철수한 이후 상당기간동안 이 지역에 대한 역사적인 기록이 부재하였으므로 루마니아인의 고대 역사가 오랜 기간 공백으로 남아있다. 이런 역사기록상의 침묵을 깨고 루마니아인이 유럽역사에서 다시 등장하게 된 것은 중세 때 소위 ‘블라흐족’이라는 이름으로 언급되기 시작하면서다. 현존하고 있는 문헌상에서 루마니아어휘 român 이 처음으로 나타나기 시작한 것은 1581년에 출판된 오러슈티에의 구약성서(Palia de la Orăştie)에서 român 이라고 언급되면서부터이다. 비슷한 시기인 16세기 후반에 루마니아의 코레시(Coresi)에 의해 출판된 사도행전(Apostol)에 비록 키릴문자로 표기되어 있기는 하지만 rumân 이란 어휘가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 어휘가 다코루마니아어의 român(또는 rumân), 아루마니아어의 armân, arămân(또는 aromân), 메글레노루마니아어의 rumon, 이스트로루마니아어의 rumăr(또는 rumër) 등과 같이 소위 광의의 루마니아어 방언들 모두에서 보존되고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이 방언들이 분리되기 이전 단계인 루마니아어의 공통조어에서 이미 사용됐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루마니아인들의 문자사용 시기가 13세기 말경에서 14세기 초반으로서 비교적 늦은 편인데다 그마저도 처음으로 사용하게 된 문자가 키릴문자이었기 때문에 중세 때 발칸지역 일대의 민족들은 루마니아인을 가리킬 때 고고 독어인 Walhos, Walha 등으로부터 유래된 어휘를 각 민족마다의 고유한 발음습관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들인 Blachi, Blochi, Vlachi, Volochi, Walachi, Wlachi 등과 같이 사용한 반면 루마니아인은 스스로를 지칭할 때 일찌감치 라틴어휘 romanus, romani(<단수 romanus) 로부터 유래된 români, rumâni 등과 같은 표현을 사용하였으며 그들의 국호를 România, Ţara românească 등으로 표기한 것으로 밝혀졌다. 결론적으로 루마니아인의 선조들은 발칸지역 일대의 다사다난한 지정학적인 여건 하에서 생존하기 위하여 주거지를 옮겨 다녀야만 했던 상황에서도 로마제국의 명성으로부터 오로지 언어만을 보존하게 되었으며, 이것이 루마니아인들로 하여금 유구한 역사를 통한 각종 위기를 모면할 수 있었고 루마니아어가 오늘날까지 발칸지역에서 유일하게 로망스어의 명맥을 이어갈 수 있었던 원동력이 된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