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의 기질 및 어머니의 언어통제 유형과 유아의 자아탄력성과의 관계

        조부월 미래유아교육학회 2019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of young children’s ego-resilience with their temperament and their mothers’ verbal control styles. For this purpose, the dependence of the ego-resilience on each factor and the relative influencing strength of each factor to the ego-resilience were analyzed. The subjects of the study consisted of 317 pairs of a young child and his/her mother in Gyeonggi-Do, Korea. The analysis was performed in terms of correlation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values using SPSS 21.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oth the relationships of young children’s ego-resilience with their effortful control and extrovers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On the other hand, the relationship of young children’s ego-resilience with their negative emotion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der-oriented verbal control styles of the mothers and the ego-resilience of the young children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However, the personal-oriented verbal control styles of the mother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ego-resilience with a statistical significance. Lastly, if the effectiveness of each variable on young children’s ego-resilience was considered, the order-oriented verbal control style of the mothers was found to be the most effective one. The degree of extroversion of the young children was the second and the person-oriented verbal control style of the mothers was the third.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in order to develop the ego-resilience of young children, mothers should avoid an order-oriented verbal control style with their best efforts, respect their extroversion, and control them verbally in personal-oriented styles.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기질 및 어머니의 언어통제 유형과 유아의 자아탄력성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언어통제 유형이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경기 지역 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3-6세 317명과 그들의 어머니였다. 연구수행을 위해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언어통제 유형, 유아의 자아탄력성을 측정 하였고, spss 21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상관관계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첫째, 기질의 구성 요인인 유아의 외향성과 의도적 통제력은 유아의 자아탄력성과 정적 상관을 보였고, 유아의 부정적 정서는 자아탄력성과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어머니의 명령적 언어통제 유형은 유아의 자아탄력성과 부적 상관을 보였고, 인성적 언어통제 유형은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지위적 언어통제 유형은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유아의 자아 탄력성에 영향을 주는 변인은 어머니의 명령적 언어통제 유형, 유아의 외향성, 어머니의 인성적 언어통제 유형 순이었으며, 명령적 언어통제 유형은 부정적인 영향, 유아의 외향성과 어머니의 인성적 언어통제 유형은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유아의 자아탄력성 발달을 위해 어머니는 자녀와의 관계에서 명령적 언어통제를 줄이고, 자녀의 외향성을 존중하면서, 인성적 언어통제를 해야 함을 시사한다.

      •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이 만 4세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홍해성 ( Hae Sung Hong ),오은순 ( Eun Soon Oh ) 한국Montessori교육학회 2009 실천유아교육 Vol.14 No.2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이 만 4세 남, 여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알아보았다. 연구의 대상은 유아교육기관에 재원중인 만 4세 유아 400명과 그의 어머니 400명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 4세 유아 성별에 따른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과 리더십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 성별에 따른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이 유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은 남아·여아 모두 전반적으로 어머니의 인성지향적 언어통제유형이 높을수록 리더십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이 만 4세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은 어머니가 인성지향적일수록 종속변인인 리더십 5가지 하위요인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resent study is to find out influence that the language control type of a mother affects leadership of an children, and its purpose is to find out relations between the language control type of a mother and leadership of an children and to find out about how much the language control type affects leadership of an children. Hence, if the research results are summarized in the present research, it is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a relationship between the language control type of a mother and leadership according to a gender of children of 4 years old, it appeared that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of the language control type of a mother. Also, the leadership according to a gender of children showed that a boy children is higher than a girl children in only pro-social leadership, and it appeared that a girl children is higher than a boy children in the proactivity, creativity, cognitive abilities and decision-making leadership and there was signigicant difference. Second,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influence that the language control type of a mother affects leadership of an children according to a gender of an children are as follows. ① It appeared that as the person-oriented language control type of parents of all boy and girl children is higher, the pro-social leadership of children is raised. ② It appeared that as the imperatives language control type is higher, the proactive leadership of a boy children gets lower. It appeared that as the status-oriented and person-oriented language control types are higher, the proactive leadership of a children gets higher. It appeared that as the status-oriented language control type is higher, the proactive leadership of a girl children gets lower. It appeared that as the person-oriented language control type is higher, the proactive leadership of an children gets higher. ③ It appeared that as the person-oriented language control type of parents of all boy and girl children is higher, the creative leadership of an children gets higher. ④ It appeared that as the imperatives language control type is higher, the leadership of cognitive abilities of a boy children gets lower, and it appeared that as the person-oriented language control type is higher, the leadership of cognitive abilities of children gets higher. It appeared that as the person-oriented language control type is higher, the leadership of cognitive abilities of a girl children gets higher. ⑤ It appeared that as the person-oriented language control type is higher, the decision-making leadership of boy infants gets higher, and it appeared that as the imperative and status-oriented language control type is higher, the decision-making leadership of girl children gets lower. And it appeared that as the person-oriented language control type is higher, the decision-making leadership of children gets higher.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ce that the language control type of a mother affects leadership of an children of 4 years old, it appeared that as the language control type of a mother gets more person-oriented, the leadership of an children is enhanced. As a result,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language control type of a mother has much influence on children, and first of all, when a mother use the person-oriented language rather than using the imperative and status-oriented language control, it has much influence on the leadership`s lower domain of children.

      • KCI등재

        어머니의 결혼불만족도에 따른 언어통제유형

        구현숙(Hyun-Suk Koo),문혜련(Hae-Lyun Moon)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5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9 No.4

        본 연구는 어머니의 변인에 따른 결혼불만족도와 언어통제유형의 전반적인 경향을 살펴보고, 어머니의 결혼불만족도에 따른 언어통제유형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결혼불만족도가 자녀와의 상호작용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대한 이해를 돕고, 보다 바람직한 언어적 상호작용을 할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 13곳에 재원하고 있는 만 5세 유아의 어머니 322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SPS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 독립-t검증과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 다. 첫째, 어머니의 개인변인(연령, 학력, 가정내 월평균 소득)에 따른 결혼불만족도를 살펴보면, 연령, 학력, 가정 내 월평균 소득이 낮을수록 결혼불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은 인성 지향적 통제가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었으며, 다음으로 지위 지향적 통제, 명령 지향적 통제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결혼불만족도가 높은 어머니가 낮은 어머니보다 자녀에게 명령지향적 언어통제유형을더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즉, 어머니의 결혼불만족도는 자녀양육시 언어통제유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어머니의 결혼불만족도를 낮추고 자녀와 바람직한 상호작용을 할 수 있도록 다양 한 부부 및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실속있게 실행하는 것의 중요성을 시사하였다. In this research, an attempt was made to examine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and overall trend of verbal control style based on the mother’s personal variables in order to analyze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 in verbal control style based on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The aim is to help understand what kind of role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plays in the interaction between a mother and her children and provide basic data that can be used to promote more desirable verbal interaction. For the purpose, data was collected from 322 mothers who have 5 year old children attending one of 13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that are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d with this data, an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SPSS program to find out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and implement independent t-test and one-way ANOVA. Result of the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hen marital satisfaction was examined based on mother’s personal variables (age, education level, average monthly income of the family), the lower are age, education level, and average monthly income of the family, marital satisfaction turned out to be low. Second, regarding mother’s verbal control style, character-oriented control was used most frequently, to be followed by status-oriented control and order-oriented control in descending order. Third, mother with higher marital satisfaction used more order-oriented verbal control style to their children than mother with lower marital satisfaction. In other words, we can infer from this that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has important effects on verbal control style when rearing children. And this research suggests the importance of implementing diverse conjugal and parental education programs in earnest in order to enhance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that can induce more desirable interaction with children.

      • KCI등재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이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과또래놀이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채영란,장문영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3

        Effect of Mother’s Language Control Style on Infant’sEmotional Regulation Ability and Peer Play InteractionYoungran Chae & Munyoung Jang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mother’s language control style on infant’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and peer play interac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50 children aged 4-5 who were hospitalized in G city and their mothers. For the collected data,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by-step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24.0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imperative control, a sub-factor of mother’s language control type,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Command control and positional control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play interference, which is a sub-factor of peer interac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among the types of mother’s language control, imperative control had a negative effect on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and positive play interaction, and positional control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and positive play inter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parent education conducted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by knowing the importance of mother’s language control type. Key Words: Mother, Language Control Type, Infant,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Peer Play Interaction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이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과또래놀이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채 영 란*ㆍ장 문 영** 요약: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이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과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G시의 재원중인 만 4, 5세 유아 250명과 그들의 어머니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관계 분석과 단계적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어머니의 언어통제 유형의 하위요인인 명령적 통제는 정서조절 능력과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명령적 통제와 지위적 통제는 또래놀이 상호작용의 하위요인인 놀이 방해와 정적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언어통제 유형 중 명령적 통제가 정서조절 능력과 긍정적 놀이 상호작용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며 지위적 통제는 정서조절 능력과 긍정적 놀이 상호작용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의 중요성을 알고 유아교육현장에서 실시하는 부모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핵심어: 어머니, 언어통제유형, 유아, 정서 조절 능력, 또래놀이 상호작용 □ 접수일: 2022년 5월 11일, 수정일: 2022년 6월 6일, 게재확정일: 2022년 6월 20일* 주저자, 호남대학교 유아교육학과 교수(First Author, Professor, Honam Univ., Email: orange7421@naver.com)** 교신저자, 호남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Corresponding Author, Doctoral Course, Honam Univ., Email: 144014@hanmail.net)

      • KCI등재후보

        어머니의 정서표현성 및 언어통제 유형에 따론 유아의 정서지능

        남현정(Nam Hyun-Jung),서현아(Seo Hyun-Ah)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8 인문학논총 Vol.13 No.2

        본 연구는 사회 인구학적 배경에 따른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언어통제유형, 유아의 정서지능이 어떠하며,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언어통제유형이 유아의 정서 지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부산 지역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 8군데에 다니는 만 4세, 만 5세 유아 320명과 유아의 어머니 320명이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Window용 SPSS 12.0 통계 프로그랩을 사용하여 t-검증 및 F-검증, Scheffe 사후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 인구학적 배경에 따른 어머니의 정서표현성은 어머니의 연령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사회 인구학적 배경에 따른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은 어머니의 취업여부, 가정의 월수입에 따라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사회 인구학적 배경에 따른 유아의 정서지능은 어머니의 연령, 어머니의 교육수준, 어머니의 취업여부, 가정의 월수입, 유아의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정서표현성에 따른 유아의 정서지능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에 따른 유아의 정서지능은 정서 지능 4개의 하위요인 중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대해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ccording to Mother’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Verbal Control Style according to background of social population, and tells how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is affected by Mother's Emotional Expressi veness and Verbal Control Style. The result of this study follows. 1. Mother's Emotional Positive Expressiveness according to the background of social population, differs statistically to mother’s age. Maternal Verbal Control Style according to background of social population differs to mother's job, monthly income. Mothers, without job was appeared to use humanity-directed language in many ways.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ccording to background of social population differs as mother’s job, their age, an educational standard, monthly income, and infant’s sex distinction. 2. There is no difference in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ccording to Mother’s Emotional Positive Expressiveness. 3.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ccording to Maternal Verbal Control Style differs to only Self-regulation.

      • KCI등재

        유아의 마음이론 및 어머니의 언어통제가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남연정(Nam, Younjung),김희태(Kim, Wheetai) 한국열린교육학회 2014 열린교육연구 Vol.22 No.2

        본 연구는 유아의 성과 연령에 따른 마음이론, 어머니의 언어통제 유형 및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의 차이와 마음이론 및 어머니의 언어통제 유형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110명의 유아와 그들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마음이론 발달에서 성과 연령차가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언어통제 유형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서 성차가 나타났다. 마음이론과 사회적 유능감과의 관계에서 마음이론의 하위 요소인 믿음이해와 대인관계기술과는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어머니의 언어통제 유형의 명령지향적 언어통제와 사회적 유능감의 대인관계 기술, 사회적 규범이해에서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마음이론과 어머니의 언어통제 유형이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어머니의 명령지향적 언어통제가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의 정서조절, 정서성, 사회적 규범이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며, 어머니의 명령지향적 언어통제와 믿음이해가 대인관계기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증진을 위한 계획에 있어서 성차를 고려하여야 하며, 마음이론과 어머니의 언어통제가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이를 사회적 유능감 증진에 필요한 요인으로 다룰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the effect of young children's theory of mind and mother's language control patterns on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ory of mind, mother's language control patterns, and social competence according to young children's gender and age. 110 young children and their mothers were analysed using several tests with rating sca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gender and age difference in the theory of mind, in mother's language control patterns and in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 positive correlation and a negative correlation appeared in imperative-oriented control of the mother's language control patterns, in achievement of interpersonal skills for social competence, and in understanding of social norms. This study showed that theory of mind and mother's language control patterns were effective for young children's emotional control, emotionality, understanding of social norms, and trust understanding toward elevating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This study also showed that mother's imperative-oriented control was effective for young children's achievement of interpersonal skills. This study therefore implies that young children's gender and age difference should be considered for their social competence, and also that the theory of mind and mother's language control have affected young children's social competence, which should be treated as a necessary factor for social competence improvement.

      • KCI등재

        아동권리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이 언어통제유형에 미치는 영향

        오현정(Oh, Hyun-Jung),문혜련(Moon Hae-Lyun)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20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만 5세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아동권리에 대한 인식 수준이 언어통제유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 6곳에 재원하고 있는 만 5세 자녀를 둔 어머니 194명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아동권리에 대한 인식과 명령적 언어통제유형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보호권에 대한 인식은 지위적 언어통제유형 간의 관계에서도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보호권에 대한 인식은 명령적 언어통제유형과 지위적 언어통제유형에 유의한 음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어머니의 아동권리 중 특히 보호권에 대한 인식은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는 어머니의 아동권리에 대한 인식 특히 차별하지 않고 유아의 심리적·신체적 보호를 위한 아동권리교육 및 홍보활동 활성화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levels of awareness of child rights on the types of language control in mothers with 5 years old children..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194 mothers with 5 years old children who are in six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located in Gyeonggi-do. The obtained experiment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mother s awareness of children s rights and the imperative language control types, and the recognition of protection rights also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atus language control type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mother s perception of protection rights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influence on the imperative language control type and the status language control type. In conclusion, it was confirmed in the present study that especially, mother s perception of protection rights among children s rights was closely related to mother s language control type. These findings suggests the importance of vitalizing education for improving mothers awareness of child rights. especially about children s rights and public relations activities for the psychological and physical protection of infants without discrimination.

      •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언어통제 유형이 유아의 숙달동기에 미치는 영향

        김안나,윤현정,장경은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21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21 No.11

        본 연구는 유아의 기질 및 어머니의 언어통제 유형과의 관계를 파악하고 두 변인이 유아의 숙달동기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만 3~5세 유아 256명과 그들의 어머니이다. 수집된 자료는 Pearson의 적률 상관관계 분석과 단계적 중다회귀 분석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기질의 구성 요인인 유아의 의도적 통제는 숙달동기와 정적 상관을 보였고 부정적 정서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그리고 어머니 언어통제 유형의 하위요인인 명령적 언어통제는 숙달동기와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언어통제 유형이 숙달동기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유아의 의도적 통제가 가장 강력한 예축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추가적으로 어머니의 명령적 언어통제, 유아의 부정적 정서가 부적예측 변인, 어머니의 인성적 언어통제는 정적예측 변인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숙달동기의 하위변인 별로 분석한 결과, 표현적 숙달동기에서 유아의 의도적 통제, 외향성은 정적 영향을 미치며 부정적 정서는 부적 영향을 미치는 예측 변인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어머니의 언어통제 유형 및 유아의 공감과 유아교육기관 적응 간의 관계

        조순옥(Cho, Soon-ok) 한국육아지원학회 2014 육아지원연구 Vol.9 No.1

        본 연구는 어머니 언어통제 유형 및 유아의 공감과 유아교육기관 적응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언어통 제 유형과 공감이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전라 북도에 위치한 9개 유아교육기관의 만 3, 4, 5세 유아와 그들의 어머니 207명과 담임교사 12명이다. 세 변인들 간의 상관과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일반적 배경변인 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t test와 ANOVA, 사후검정으로 Duncan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언어형태, 유아의 공감,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서 유아의 성과 연령에서만 차이가 나타났고 어머니의 취업 유무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즉, 어 머니는 여아에게 인성 지향형울 더 많이 사용하였다. 공감과 유아교육기관 적응 전반에서도 여아가 남아 에 비해 평균점수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공감과 유아교육기관 적응 하위요인 중 자아 상태를 제 외한 모든 영역에서 연령이 높을수록 적응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언어통제 유형, 유 아의 공감, 유아교육기관 적응, 이 세 변인들 간에 상관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어머니의 명령 지향형과 공감은 부적 상관을, 인성 지향형과는 정적 상관을 나타내고, 지위 지향형과는 상관이 없었다. 셋째, 유아 교육기관 적응에 대한 어머니의 언어통제 유형과 공감의 상대적 영향력에서는 어머니의 인성 지향형과 공감 전체, 두 요인 모두 영향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있어서 바람직한 언어 사용을 위한 부모교육과 유아의 공감 증진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mother's verbal control modes, children's empathy, and their adjustment in preschooler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07 children, their mothers, and 12 teachers in Jeonbuk. Self-questionnaires, mother's verbal control modes and adjustment in preschoolers were given to mothers and teachers. Affective Situation Tests were used to measure children's empathy. The data were analyzed by computing the correlation and multiple liner regr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difference in mother's verbal control modes depending on children's gender, but not on age. Mother's verbal control modes for girls showed more person-oriented verbal control modes than those for boys. Girls scored higher than boys in their empathy and adjustment.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mother's person-oriented verbal control modes and children's empathy demonstra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On the other h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her's order-oriented verbal control modes and children's empathy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The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empathy and adjustment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lso, the mother's verbal control modes and children's empathy, and their adjustment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Third, in terms of the relative strength of each variable on the preschooler's adjustment was considered, it was shown that the mother's person-oriented verbal control modes and children's empathy were both effective.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arent education is necessary to provide a desirable speech function in facilitating preschooler's adjustment.

      • KCI등재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과 아동의 자아존중감의 관계

        김성일(Kim, Sung-Il),임성용(Lim, Seong-Yong)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09 敎育問題硏究 Vol.0 No.33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언어통제 유형에 따른 자아존중감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서 강릉시 소재 3개 초등학교 5학년 430명을 대상으로 어머니의 언어통제 유형 척도와 아동의 자아존중감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 결과, 아동의 성별에 따른 어머니의 언어통제 유형은 남녀 모두 인성지향적 유형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왔다. 그러나 상대적인 면에서 볼 때, 여자에게는 인성지향적 유형이 다소 많고, 남자에게는 지위지향적 유형이 많은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어머니의 교육수준이 고졸이하인 경우에는 명령지향적이 많았으나, 대졸이상인 경우에는 인성지향적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가 인성지향적이거나 지위지향적 언어통제를 사용할 때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높고, 명령지향적일 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자아존중감의 4개 하위 영역에서도 마찬가지이었다. 따라서 어머니가 강요하는 일방적인 관계로서 명령적 언어통제보다는 아동의 특성과 규칙을 존중하는 인성지향적 또는 지위지향적 유형을 사용하는 것이 아동의 자아존중감 발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논의되었다. To find the verbal regulation pattern of mothers that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self-esteem, 430 fifth graders responded to the maternal verbal regulation scale and children's self-esteem test. The person-oriented mode among maternal verbal regulation patterns was the highest for both sexes. However, girls perceived higher than boys in the person-oriented mode, while boys did higher than girls in the position-oriented mode. And mothers graduated high school and below were higher in imperative-oriented mode when interacting with their children, while those graduated college were higher in person-oriented mode. Also, children's self-esteem was highest when mother used person-oriented verbal control and lowest when imperative-oriented pattern was used. Furthermore, all the components of self-esteem, that is, self-depreca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leadership and popularity, self-assertion and anxiety, showed most positive when mother's verbal regulation was person-ori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