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교사-어머니 관계의 어려움에 대한 상호인식

        김순환(Kim Soon Hwan),김하진(Kim Ha Jin),나원정(Na Won Jeong) 한국육아지원학회 2014 육아지원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유아교사와 어머니 관계에서 나타나는 교사와 어머니 유형별 어려움(발생빈도 인식, 스트 레스 정도)과 어려움의 차이를 교사변인과 부모변인에 따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에 소 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영유아를 담당하는 교사 32명과 이들 교사의 학급에 자녀를 보내고 있는 어 머니 61명을 대상으로 어머니용, 교사용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교사는 극성형 어머니유형에 대해 어머니는 방임형 교사유형에 대해 어려움을 빈번하게 인식하였고 스트레스를 많이 느꼈다. 변인별로 첫째, 교사 변인에 따른 교사의 어려움을 알아본 결과 어린이집 교사, 경력이 2년 이 상 5년 미만과 10년 이상의 교사 집단이 보다 어려움을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 측면에서는 보육교사 양성원을 졸업한 교사가 전문대학 및 대학교 이상을 졸업한 교사보다 어머니와의 관계에서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교사의 연령이나 결혼여부는 교사의 발생빈도인식과 스트레 스 정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어머니 변인에 따른 어머니의 어려움을 알아본 결 과, 자녀의 연령이 어릴수록, 교육기관 경험이 세 군데 이상일수록 어려움을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 났다. 어머니의 연령과 학력은 관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어머니가 직업이 있는 경우 교사와의 관 계에서 어려움을 보다 자주, 강하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와 어머니의 상호어려움에 있어서는 유아교사가 어머니보다 어려움을 보다 빈번하게 인식하였고 스트레스를 많이 느꼈다. 교사와 어머니의 관계에 나타난 어려움의 경우, 특정 교사 및 어머니 유형별 교사-어머니 관계에서 어려움을 더 빈번하게 또는 스트레스를 더 많이 인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difficulties early childhood educators and mothers face in a dyad relationship, the difference in their mutual perceptions and details concerning the problems. In this regard we looked into the mutual difficulties between early childhood educators and mothers engaged in a dyad relationship with diverse personal variables. The respondents were 61 mother-early childhood educator pairs from two kindergartens and one day-care center in the capital region of Korea. Thirty two early childhood educators were asked to answer the questionnaire and to solicit two mothers in their classes, the first two in alphabetic orders of children per class, to participate.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separate questionnaires for each group. The research was measured by using the Questionnaire for Teachers about Parents(QTP) by Prakke, Peet, & Wolf(2007) which was developed to measure the difficulties Dutch elementary school teachers face in the relationship with parents. The questionnaire for teachers was interpreted then modified to fit the actual circumstances of Korea’s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e term ‘parents’ was modified to ‘mothers’. Then we newly developed a questionnaire for mothers based on the modified Korean QTP.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early childhood educator variables, day-care center teachers felt greater difficulty facing mothers compared with kindergarten teachers. Teachers with more than two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felt more difficulties than those who had less than two years of work experience. Those who studied at Caregiver Training Centers felt more difficulties in the relationship than those who studied at Colleges or Universities. However, the teacher's age or marital status did not affect the relationship. Second, in terms of mother variables, when the age of the child was younger, and when the child has experienced more than three institutes, the mother felt more difficulties in dealing with the early childhood educator. Mother's age or academic background did not affect the relationship, but working mothers felt difficulties in the relationship with teachers more often and more strongly than stay at home mothers. Third, in terms of mutual difficulties, the early childhood educator felt difficulties more often and more strongly than the mother.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frequency and intensity of the difficulties that mothers and teachers perceive in their relationship generally. As for teachers they did not only perceive difficulties with mothers in general, but also felt the difficulties accordingly with types of problematic mother behavior.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as we found that teachers felt much more difficulties than mothers, methods to resolve the teachers’ problems should come first to improve and support the relationship. And as we found that teachers with more than two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felt more difficulties, support towards novice teachers should not stop, and persistently be given even to teachers who have career experience.

      • KCI등재

        개원공립병설유치원에 근무하는 교사의 교직생활의 어려움과 어려움을 이겨내는 과정

        Yun Min Choi(최윤미),Dae Kyun Lee(이대균)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5 유아교육학논집 Vol.19 No.3

        본 연구는 개원공립병설유치원에 근무하는 교사가 경험한 교직생활의 어려움과 그 어려움을 이겨내는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공립유치원 개원 및 개원 준비의 효율적인 방향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14년 개원한 공립병설유치원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들을 연구 참여자로 하여 2014년 10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총12주 동안 개별 면담, 서신 면담 등의 방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개원공립병설유치원에 근무하는 교사의 어려움은 첫째, 행정적 측면에서의 어려움으로 상급기관과 관리자의 개원 행정 업무 지원 부족으로 인한 어려움, 교육지원청의 지도·점검으로 인한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둘째, 시간적 측면의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개원공립병설유치원 교사가 개원 시기와 인사발령 시기가 비슷한 시기로 인해 유치원 개원 업무 추진에 시간적 부족을 느끼고 있었고 개원에 따른 많은 민원이 제기됨에 따라 민원 해결에 업무 시간을 할애함으로써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셋째, 예산 측면에서의 어려움으로 부족한 예산 배정과 그로 인해 인적 물적 자원의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넷째, 교육의 문제로서 미흡한 시설·설비에 따른 어려움, 부족한 교재·교구로 인한 어려움, 교육의 틀을 잡는 것에 대한 어려움, 교육 경력에 따른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이러한 어려움 속에서 개원공립병설유치원에 근무하는 교사들은 첫째, 주변 교사들에게 도움 요청하기와 스스로 노력하기. 둘째, 동료 교사로 부터의 긍정적 지지. 셋째, 학부모로 부터의 긍정적 지지 등을 경험하며 어려움을 이겨내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solving the problems as well as types of difficulties or challenges of teachers in opening public elementary schools annexed kindergartens. For this study, 5 teachers who works at a public kindergarten, opened in 2014, participated in in-depth interviews, and email and telephone interviews for 12 weeks from October to December 2014. The data were analyzed for these perspectives: types of difficulties or challenges of teachers’ working in an opening public kindergarten and the process of overcoming them. As a result, types of difficulties or challenges are: excessive administrative duties, lack of systematic support from the Office of Education; short time period for both initial tasks and civil affair administration that accompany founding a kindergarten; budgetary shortfalls causing insufficiency of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inferior circumstances of education such as facilities, teaching materials and guidance frameworks. Despite all the difficulties, the participants try to solve the problems in their own ways. Those are: asking for help from colleagues and putting efforts into their duties encouragement and support from co-workers positive feedback from fellow teachers and parents.

      • KCI우수등재

        코로나19와 물질적 어려움: 팬데믹 상황에서 누가 더 경제적으로 취약한가?

        남재현,이래혁 한국사회복지학회 2023 한국사회복지학 Vol.75 No.3

        In this study, we focused on the qualitative aspects of the economic difficulties that we have experienced in our daily lives as a consequence of the COVID-19 crisis. Given that income-based economic measures, such as unemployment rate, income, consumption, and poverty rate, often fail to account for the qualitative aspects of household economy, we examined the effects of COVID-19 especially on material hardships using data from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Our analysis revealed that, first, households overall experienced a decrease in material hardships even after the COVID-19 pandemic. This decline was observed not only in the overall and the severe material hardships, but also in subcategories, such as food insecurity, difficulties in paying utility bills, housing insecurity, medical difficulties, and poor credit. Second, although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our findings indicate a potential rise in material hardships after the COVID-19 pandemic, particularly among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ose with dependent self-employed workers. Third, we found that the elderly, who are traditionally vulnerable, experienced a decline in material hardships during the pandemic compared to general households. However, the households with temporary and daily workers, those with unemployed, and those with unpaid family workers experienced significantly higher material hardships compared to those with permanent employees. Lastly, we observed differences in material hardships according to household income level. As household income increased, material hardships significantly declined, and households receiving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benefits experienced a significant increase in material hardships. Based on our findings, we discussed income security systems needed for the post-COVID-19 era by identifying actually who experienced economic difficulties, rather than simply stating that the vulnerable have suffered during the pandemic. 본 연구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코로나)의 충격 중 일상생활에서 경험하는 경제적 어려움의 질적인 측면에 주목하였다. 소득 기반의 경제 지표들(예를 들어, 실업률, 소득, 소비, 빈곤율 등)은 가계 경제의 질적 측면을 간과하는 경향이 있어 물질적 어려움에 주목하여 코로나의 충격을 분석하였다. 한국복지패널 조사자료를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첫째, 코로나 이후 개별 가구의 물질적 어려움은 오히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 어려움과 중복 어려움뿐만 아니라 식품 미보장, 공과금 납부의 어려움, 신용 불량, 주거 곤란, 의료 곤란 등의 하위 항목에서도 코로나 이후 물질적 어려움을 경험한 가구는 감소했다. 둘째, 일차차분 모형 분석을 통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은 아니었으나 다문화가구와 특수고용형태 근로자 가구에서만 코로나 이후 물질적 어려움이 증가한 경향을 확인했다. 셋째,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코로나 팬데믹 상황에서 일반가구에 비해 전통적인 취약계층인 노인가구에서 물질적 어려움이 오히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상용직 근로자 가구에 비해 임시일용직 근로자 가구와 실업·비경제활동 및 무급가족종사자 가구의 물질적 어려움이 유의하게 높았다. 마지막으로, 가구 소득 수준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가구 소득이 높을수록 물질적 어려움이 유의하게 감소했고,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수급 가구일 경우 물질적 어려움이 유의하게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기반으로 코로나 팬데믹 상황에서 단순히 취약집단의 삶이 어려워졌다는 진단보다는 구체적으로 누구에게 경제적 어려움이 집중되었는지를 파악하여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요구되는 소득보장제도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 KCI등재

        건강정보검색에서 노인이 경험하는 어려움과 감정변화

        나경식,정용선,Na, Kyoungsik,Jeong, Yongsun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7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8 No.1

        This study aims to explore older adults' experiences on cognitive and physical barriers and emotional changes of interactions from their health information seeking. Total of 10 older adults aged 65 or more were individually interviewed. The results show that the older adults may experience more difficulty from the perspectives on cognitive and physical barriers. The cognitive barriers are to: 1) know information resource and information search skills, 2) to choose relevant information, and 3) to know information search tools. The physical barriers for them to consider are eyes, hands, legs, and the whole body when accessing health information. In terms of emotion, the older adults express curiosity and negative emotion and at the beginning of the search and then they have more emotional expressions in the middle, and then they express positive emotion at the end of the search. The results suggest that information professionals should consider library as a connection to help them reduce these barriers and stabilize emotional changes. 본 연구는 노인이 건강정보검색에서 어떠한 어려움과 감정변화를 경험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총 10명의 노인들을 대상으로 개별면담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참여한 노인들이 경험하는 어려움에는 크게 인지적 어려움과 신체적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적인 어려움에는 첫째, 어디에서 어떻게 건강정보를 찾는지의 어려움을 나타내었고, 둘째, 정보검색도구의 이용의 어려움을 나타내었고, 셋째, 신뢰할 수 있는 정확한 정보선택의 어려움을 나타내었다. 참여한 노인들의 신체적인 어려움에 대해서는 눈, 손, 다리, 몸 전체에 어려움이 있다고 나타내고 있었다. 감정변화에 대해서는 정보검색 초기에는 '궁금하다'와 '감정이 없었다'가 중간단계에는 여러 감정상태를 보이다가 정보를 찾은 후에는 긍정적인 감정표현과 건강에 대한 경각심이나 두려움이 한편으로 생기기도 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도서관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논의한 후, 노인들을 위한 도서관의 역할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소비자 정보탐색단계별 탐색어려움과 구매결정 - 상품 유형성을 중심으로 -

        구명진,여정성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5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1 No.2

        소비자의 기존 지식과 경험이 빠르게 노후화되는 현대 소비사회에서 새로운 정보의 탐색은 합리적 구매의 결정적 요인이 되었다. 본 연구는 소비자의 정보탐색과정에서의 경험을 실질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소비자의 정보탐색과정을 5단계(탐색과업 설정, 정보원 탐색, 정보이해, 정보여과, 정보종합)로 세분화하고, 각 단계별 소비자가 경험한 탐색적 어려움을 측정하였다. 또한, 상품의 유형성에 따라 분류한 유형상품(PC․노트북, 의류)과 무형상품(여행상품, 공연상품)별로 각 탐색단계의 어려움이 어떻게 나타나며, 탐색어려움과 구매결정간의 관계는 어떠한지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먼저 소비자의 정보탐색단계별 어려움은 PC․노트북을 제외한 세 가지 상품 모두 3단계인 정보이해 단계에서 가장 낮았다. 이는 대부분의 상품정보를 탐색할 때, 소비자들이 초반에 어떤 정보를 어디에서 찾아야하는지와, 후반의 정보 여과와 종합에 어려움을 더 많이 경험함을 보여준다. 상품지식수준별 집단 간 비교 결과에서도 어려움의 높낮이 차이는 나타났지만, 탐색단계별 어려움의 패턴은 유사하였다. 둘째, 유․무형 상품별 비교 시, 정보탐색 각 단계에서 소비자의 어려움은 정보탐색 초반 단계인 탐색과업 설정 단계와 정보원 탐색 단계에서 모두 무형상품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이 유형상품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소비자의 정보탐색어려움과 탐색 후 구매결정의 관계는 유형상품의 경우 탐색어려움이 구매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용 후 복원이 어려운 무형상품은 정보탐색어려움을 느낀 소비자가 정보탐색 후 구매를 하지 않을 가능성이 더 높게 나타났다. 도출된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함의를 제시할 수 있다. 정보탐색과정에서 소비자의 어려움을 줄이기 위해서는 정보탐색 초반단계의 탐색 가이드라인 제공 및 획득한 정보의 필터링과 종합 도구의 제공이 중요하다. 둘째, 물리적 실체가 없는 무형상품은 유형상품에 비해 정보탐색 초반의 길잡이가 될 수 있는 정보의 제공에 더욱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셋째, 이용 후 환불 및 교환이 어려워 소비자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무형상품의 경우, 명확하고 믿을만한 정보를 제시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 본 연구는 소비자 정보탐색과정 자체에 초점을 맞추어 단계를 세분화하고 각 단계별 소비자의 어려움을 직접적으로 측정함으로써, 더욱 실질적으로 소비자의 경험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할 수 있었다. 또한 상품 유형성에 따른 단계별 정보탐색어려움의 차이를 파악하고, 정보탐색어려움과 구매결정간의 관계가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를 제시함으로써, 상품이 가진 공통적 속성에 따른 결과를 제시하여 보다 일반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였다는 의의를 가진다. Consumers’ Information Search became more important for reasonable purchasing decision in current consumption environment. This study investigated consumers’ difficulties in their pre-purchase information search process. For more detailed and in-depth study on consumers’ real experience, information search process was divided into 5 stages, which are 1) information searching task definition 2) information channel search 3) information understanding 4) information filtering 5) information synthesizing. Especially, the differences of information searching difficulties between tangible goods(PC·laptop computer, apparel) and intangible goods(tour package, performance).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tion searching difficulties and purchasing decision was also measured in the study. First of all, consumers experienced less difficulty in the 3rd stage rather than other 4 stages when searching information on all goods except PC·laptop computer. Same result was shown in both 2 groups which was divided by the level of knowledge on each product. This result shows that most consumers’ difficulties in information search are caused from the ignorance of what and where to search, and the hardship of filtering and synthesizing information they already got. Secondly, Consumers felt more difficult at the 1st and 2nd stages when they searched information on intangible goods than when they did on tangible goods. Third, in tangible goods, consumers’ information searching difficulties raised the probability of not purchasing the product. Considering the opposite result of tangible goods, which had no difference of information searching difficulties between purchaser group and non-purchaser group, consumer who couldn’t find enough information may hesitate more to buy intangible goods with restoration problem after purchase compared with tangible goods. Based on the result of analysis, implication are proposed as follows: First, information searching guidelines for the early phase and the easy-to-use tool for filtering and synthesizing gained information are needed for the improvemet of consumers’ information searching experiences. Second, providing enough information for early stages of information search process is relatively more important for intangible goods than tangible goods. Third, for intangible goods, product providers need to make more effort to help consumers’ purchasing decision compared with tangible goods. This study provides useful solutions for the improvement of consumers’ real experiences in information search by focusing on the detailed stages of information search process. It also has strength to generalizing the result about the effect of tangibility of products either on information searching difficulties themselv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ormation searching difficulties and purchasing decision.

      • KCI등재

        미술치료사의 직업적 어려움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김보현,박보람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7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3 No.4

        본 연구는 미술치료사들의 직업적 어려움에 대한 경험을 심층적으로 고찰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자는 연구를 위해 임상 경력이 3년 이상에서 5년 이하인 미술치료사 6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한 후,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는 ‘직업적 어려움을 야기하는 구조적 요인’, ‘직업적 어려움을 야기하는 개인적 요인’, ‘직업적 어려움 극복을 위한 노력’, ‘직업적 어려움 극복을 통한 성장 경험’, ‘직업적 어려움 해결을 위한 기대사항’으로 5개의 구성요소와 14개의 하위 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미술치료사들이 경험한 직업적 어려움을 극복하는 과정을 통해 성숙한 인간으로서 그리고 전문적인 미술치료사로서 성장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직업적 어려움은 개인적인 ‘나’와 전문가인 ‘미술치료사’로서 발달을 촉진하는 촉매제 역할을 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이 연구는 동료 미술치료사들과 후속 세대 미술치료사들이 미술치료 현장에서 직업적 어려움을 개선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되는 것에 의의가 있다. 더불어 미술치료사들이 전문 인력으로 지지받고 보호받는 제도들이 성립되어 앞으로 미술치료 분야가 더욱 발전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study in depth to the art therapists’ difficulty experienced in their art therapy practice using phenomenology study. The researchers then conducted an in-depth clinical interviews with 6 art therapist who worked for three to five years to collect data and analyzed them through a phenomenological approach developed by Giorgi and derived the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s, art therapists’ difficulty experienced in their art therapy practice were categorized into a total of 5 themes including 'systematic factor what causes occupational difficulties', 'individual factor what causes occupational difficulties', 'efforts for endure the occupational difficulties', 'growth experience through endure the occupational difficulties', 'expectation matter for solve the occupational difficulties' and 14 categories were derived. These results showed that an art therapist grow as a not only mature human but also art therapist through overcome the difficulty experienced in their art therapy practice. In addition, occupational difficulties is thought that it will act as a catalyst to accelerate the development of 'self' as an individual and 'art therapist' as a professional.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c data that peer art therapists and next generation art therapists improve occupational difficulties in their art therapy clinical field. In addition, I hope that art therapists are supported as professional workers and protected institutionally so the art therapy field will be further developed in the future.

      • KCI등재

        예비보육교사의 보육실습 어려움에 관한 연구

        김양은(Kim, Yang Eun),하지영(Ha, Ji 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0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보육교사들이 보육실습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을 탐색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졸업 후 보육교사를 희망하며 보육실습에 임한 예비교사 41명 이었으며, 실습 시작 전부터 실습 후까지 총 3개월에 걸쳐 실습 전, 중, 후에 작 성한 저널과 실습 중 일지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내용은 실습을 하면서 겪게될 예상되는 어려움과 실습 중에 실제로 경험하는 어려움, 실습 이후 반성적 저널쓰기에 나타난 실습기간 동안 겪었던 어려움에 관한 내용들이었고, 연구자 분석 후 연 구대상자들이 그들의 경험과 의견이 잘 반영되었는지 확인하는 과정(valididate)을 거쳤다. 분석결과 예비교사들이 토로한 어려움은 크게 전문적 자질과 개인적 자질로 분류되었다. 구체적으로 전문적 자질에는 수업에 대한 어려움, 영유아 상호작용에 대한 어려움, 생활지도에 대한 어려움, 영유아 발달에 대한 지식 부족의 어려움, 서류 작성 및 교구제작에 관한 어려움이 있었다. 또, 개인적 자질에는 적응에 대한 어려움, 의사소통의 어려움, 인간관계에 대한 어려움, 신체적·정신적 어려움을 경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예비교사들이 교사로서의 자질을 확인하며 경험하는 어려움을 파악하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지원체계가 구축되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iculties that preliminary daycare teachers experience in daycare teaching practice. Objects of study are 41 preliminary daycare teachers who hope daycare teachers after graduation and attend daycare teaching practice, and daily records before, during, and after practice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nalysis contents are the expected difficulty that are experienced in practice, the difficulty that are really experienced in practice, and the difficulty experienced in practice that are showed in reflective journal writing after practice. In addition, the researcher went through validate to confirm whether experience and opinion of the objects are well reflected after an analysis of the researcher. In detail, the special qualities are the difficulty of class, the difficulty of infant interaction, the difficulty of guidance, the difficulty of insufficient knowledge about infant development, and the difficulty of document preparation and production of teaching aids. In addition, the individual qualities are the difficulty of adaptation, the difficulty of communication, the difficulty of relationship, and the physical and mental difficulties. The researcher hopes that the qualities of preliminary teachers will be confirmed, the experienced difficulties will be understood, and a support system to overcome it will be established based on these results of study

      • KCI등재

        개원공립병설유치원에 근무하는 교사의 교직생활의 어려움과 어려움을 이겨내는 과정

        최윤미,이대균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5 유아교육학논집 Vol.1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solving the problems as well as types of difficulties or challenges of teachers in opening public elementary schools annexed kindergartens. For this study, 5 teachers who works at a public kindergarten, opened in 2014, participated in in-depth interviews, and email and telephone interviews for 12 weeks from October to December 2014. The data were analyzed for these perspectives: types of difficulties or challenges of teachers' working in an opening public kindergarten and the process of overcoming them. As a result, types of difficulties or challenges are: •excessive administrative duties, lack of systematic support from the Office of Education; •short time period for both initial tasks and civil affair administration that accompany founding a kindergarten; •budgetary shortfalls causing insufficiency of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inferior circumstances of education such as facilities, teaching materials and guidance frameworks. Despite all the difficulties, the participants try to solve the problems in their own ways. Those are: •asking for help from colleagues and putting efforts into their duties •encouragement and support from co-workers •positive feedback from fellow teachers and parents. 본 연구는 개원공립병설유치원에 근무하는 교사가 경험한 교직생활의 어려움과 그 어려움을 이겨내는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공립유치원 개원 및 개원 준비의 효율적인 방향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14년 개원한 공립병설유치원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들을 연구 참여자로 하여 2014년 10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총12주 동안 개별 면담, 서신 면담 등의 방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개원공립병설유치원에 근무하는 교사의 어려움은 첫째, 행정적 측면에서의 어려움으로 상급기관과 관리자의 개원 행정 업무 지원 부족으로 인한 어려움, 교육지원청의 지도․점검으로 인한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둘째, 시간적 측면의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개원공립병설유치원 교사가 개원 시기와 인사발령 시기가 비슷한 시기로 인해 유치원 개원 업무 추진에 시간적 부족을 느끼고 있었고 개원에 따른 많은 민원이 제기됨에 따라 민원 해결에 업무 시간을 할애함으로써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셋째, 예산 측면에서의 어려움으로 부족한 예산 배정과 그로 인해 인적 물적 자원의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넷째, 교육의 문제로서 미흡한 시설․설비에 따른 어려움, 부족한 교재․교구로 인한 어려움, 교육의 틀을 잡는 것에 대한 어려움, 교육 경력에 따른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이러한 어려움 속에서 개원공립병설유치원에 근무하는 교사들은 첫째, 주변 교사들에게 도움 요청하기와 스스로 노력하기. 둘째, 동료 교사로 부터의 긍정적 지지. 셋째, 학부모로 부터의 긍정적 지지 등을 경험하며 어려움을 이겨내고 있었다.

      • KCI등재

        고등학교 학생들의 전자기학 문제 풀이 과정에서 겪는 과정 지식 관련 어려움 분석

        임준홍,이봉우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13 교과교육학연구 Vol.1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학생들이 물리 문제를 풀이하는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을 분석하는 것이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전자기학과 관련된 문제를 풀이하는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 중에서 과정 지식과 관련된 어려움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고등학생 50명을 대상으로 전자기학과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면서 어려움을 겪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조사하고 면담을 통하여 관련된 사례 100개를 수집하였다. 이중에서 전자기학 문제를 풀이할 때 겪는과정 지식과 관련된 어려움의 사례 55개를‘이해’ 과정, ‘계획’ 과정, ‘풀이’과정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전자기학 문제를 풀이하는 과정에서 ‘풀이’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보다‘ 이해’과정과 ‘계획’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이 더 많았다. 둘째, ‘이해’ 과정에서는‘문제의 조건 이해부족 으로 인한 어려움이 가장 많았고, ‘계획’과정에서는 ‘상황변환능력부족’으로 인한 어려움이 가장 많았다. 셋째, ‘풀이’과정에서는 ‘수학적 활용 능력 부족’에서 가장 많은 어려움이 발견 되었는데, 다른 어려움 요인 보다 많이 발견되지는 않았다. 추가적으로 수학적 어려움과 물리적 어려움과의 관계 및 전자기학 문제풀이 의지도 방안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ifficulties that high school students experience in solving physics problems. In particular, the difficulties related to procedural knowledge in electro-magnetism problems were analyzed. The participants were fifty high school students. One hundred cases where students experienced difficulties in solving electro-magnetism problems were found. Fifty-five cases related to “Procedural Knowledge Difficulty” were analyzed and some examples presen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re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and 'planning' processes than in the 'solving' processes were found. Second, the most difficult part of the 'understanding' process was a 'lack of ability to understand conditions', while the most difficult part of the 'planning' process was a 'lack of ability to consider context'. Third, the most difficult part of the 'solution' process was a 'lack of mathematical literacy', although this was not the most difficult factor.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could provide insights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mathematical difficulties and physics difficulties, and into teaching strategies for solving electro-magnetism problems.

      • KCI등재

        초보 음악치료사의 직업적 어려움에 관한 합의적 질적 연구

        김영신,임이랑,최아람 한국음악치료학회 2014 한국음악치료학회지 Vol.16 No.2

        이 연구는 초보 음악치료사의 직업적 어려움에 대한 경험을 고찰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행되었다. 이를 위해 연구자들은 석사과정을 마치고 전문 음악치료사로 일한지 1년 이내의 치료사 9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합의적 질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초보 치료사들의 직업적 어려움 경험은 ‘어려움의 이유,’ ‘어려움이 미치는 부정적 영향,’ ‘어려움 극복의 동인,’ ‘개인의 극복 노력,’ ‘음악치료 공동체에 대한 기대’의 5영역으로 나타났으며, 각 영역에 따른 37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교차 분석 결과에 따른 이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보 음악치료사의 어려움 경험은 크게 구조적 어려움과 개인적 어려움으로 구분되어지며, 이중 치료사들은 구조적 어려움을 일반적으로 더 많이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참여자들의 어려움 경험은 궁극적으로 현실 안주, 부정적 감정과 평가불안, 치료의 질 저하, 소진 등과 같은 부정적인 결과로 이어졌음이 드러났다. 셋째, 초보 음악치료사를 위한 물리적, 정서적, 정보적 지원과 더불어 음악치료 전문인으로서 자신의 임상에 대한 자신감과 성취가 그들의 어려움 극복 동인으로 나타났다. 넷째, 초보 음악치료사들의 어려움 예방과 완화를 위하여 음악치료 공동체가 개선하고 수정해야할 변화가 확인되었다. This study explores novice music therapists’ difficulty experienced in their music therapy practice us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The nine music therapists who have been practicing music therapy less than one year were interviewed. Five domains and 37 categories were created from the cross-analysis of the data. The domains of this study were: (a) reasons for difficulty; (b) negative effects of difficulty; (c) factors contributing to overcoming difficulty; (d) personal efforts to overcome difficulty; and (e) expectations for music therapy community. Based on the frequency label of each category, three types of categories were generated: general (8-9 cases), typical (5-7 cases), and variant (2-3 cases). The result showed that novice music therapists experienced difficulty systematically and personally, and systematic difficulty was more commonly experienced than personal difficulty among the participants. Secondly, such experienced difficulty led to complacent attitudes, negative emotions, evaluation anxiety, decreased quality of music therapy service, and burnout. Thirdly, professional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were revealed as important factors to overcome their difficulties as well as physical, emotional, and informational supports. Lastly, changes that music therapy community should promote in order to protect and ameliorate novice music therapists’ difficulty were identifi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