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세기 후반 양반의 성격변화와 재실의 건립

        정재영(Chung, Jae-Young) 역사문화학회 2014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17 No.1

        이 연구는 동성촌락인 청도군 수야리 박씨마을에서 재실의 건립과정과 ‘양반화’의 실상을 관련지어 신분적 불평등을 논하기 어려운 현대사회에서 여전히 양반이기를 고집하는 이들과 경제적 손실을 감수하면서도 양반이 되려하는 이들의 역동성이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과 그 문화적 원리를 검토한 것이다. 청도지역에서 ‘양반화’ 양상은 비향원집이 향교에 가입하여 향원집이 되는 현상으로 나타나는데, ‘위보(僞譜)’의 사례는 나타나지 않지만 ‘투탁(投託)’을 통한 양반화의 양상도 간혹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양반화의 양상은 향원집 즉, 양반의 증가를 초래하였다. 특히, 재실은 양반이 되고자 하는 문중과 이미 양반이 된 문중 사이에 타협이 이루어진 정치적?역사적 구조물로서 기존양반은 자신들의 지위를 확고히 다지기 위한 수단으로, 신생양반은 자신들의 지위를 상승시키기 위하여 재실을 이용한다. 따라서 지역민이 인식하는 양반수의 증가는 재실건립의 증가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재실이 ‘양반화’의 조건이기도 하거니와 양반으로의 입지를 다지는 정치적 전략으로 재실을 이용하기 때문이다. 재실과 같은 문화적 자본을 갖춘다는 것은 지역의 상위계급으로 존재할 수 있는 문화적 기반과 정체성을 구성하는 요건이 되기 때문에 청도의 지역민들은 재실의 건립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청도지역에서 양반의 성격변화는 ‘신양반’의 대두로 대변되는 ‘양반화’ 양상으로 파악이 되며 재실은 사회적 지위의 확보와 확립이라는 정치적 전략으로 이용된다. This article examines how the efforts of the Pak family in Suya-ri of Cheongdo county to establish their ancestral shrines were connected to their insistence on representing themselves as yangban (aristocracy) or becoming yangban in the modern egalitarian society despite the financial costs and mental pressures resulting from such efforts. It is also aimed towards finding out the influences their efforts to become yangban had upon the local community and the cultural implications these efforts had. The pursuit of yangban status in the local community of Cheongdo is represented by the practice of non-landed gentry gaining membership in the Confucian school in order to become gentry. Even though there were no cases of families falsifying their genealogical records to become yangban, there were some cases of families gaining yangban status through borrowed yangban lineages. This phenomenon led to the increase of those recognized as landed gentry, that is, those recognized as yangban. The establishment of ancestral shrines, a result of political compromise between previously established yangban families and those newly recognized as yangban, was utilized as a means to strengthen their yangban status on the part of the former and upgrade their social status on the part of the latter. Accordingly, the increase of the ancestral shrines corresponded with that of those recognized as yangban in the local community. Because their possession of cultural assets such as ancestral shrines implies that they have the culture and identity of the upper class, the residents of Cheongdo still make efforts to erect their own ancestral shrines.

      • KCI등재

        ‘양반되기’ 서사를 통해 본 조선시대 양반의 조건 -「구복막동」과 「양반전」을 중심으로-

        전경목 ( Chon Kyoung-mok ) 한국한문학회 2021 韓國漢文學硏究 Vol.- No.81

        본고에서 필자는 조선후기에 널리 읽힌 한문서사 중 「구복막동」과 「양반전」을 분석해서 사내종 막동이 어떻게 신분상승 즉 양반되기에 성공할 수 있었는지 그 전략과 기반을 살펴보고 정선군수가 작성한 양반매매문서를 통해 정선부자가 왜 양반되기에 실패했는지 그 이유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사내종이었던 막동은 4단계 10가지 전략을 펼쳐 양반이 되었다. 이에 비해 경제력만을 갖춘 정선부자는 오직 이득만을 추구하고 문화적 기반이나 사회적 여건을 전혀 갖추지 못했기 때문에 양반사회나 양반문화에 대해 이해하지 못한 채 스스로 양반되기를 거부 또는 포기했다. 사내종 막동은 양반되기에 성공했으나 오히려 그보다 상위에 있던 평민 출신의 정선부자가 양반되기에 실패했는데 그 이유는 막동은 호노로서 양반문화를 학습할 기회를 가졌던 데에 비해 정선부자는 그러할 계제를 갖지 못했기 때문이었다. 물론 문자해독능력의 유무도 결정적 요인 중의 하나였다. 조선시대의 양반은 정치ㆍ경제ㆍ사회ㆍ문화적으로 여러 여건을 갖춘 자들이었다. 그런데 조선후기 신분상승에 대해 주목하는 연구자들은 오로지 경제적인 측면만 주목해서 돈을 주면 얼마든지 양반 신분을 살 수 있는 것처럼 주장해 왔다. 이러한 주장은 조선시대 양반에 대해 너무 단편적인 이해에 바탕을 둔 것이라는 사실이 「구복막동」과 「양반전」의 분석을 통해 드러났다. 계급 혹은 계층이 존재하는 한, 어느 시대 어느 사회나 ‘따라잡기’와 ‘구별짓기’는 있었다. 하위 계급과 계층에서는 언제나 상위 계급이나 계층을 따라잡으려 노력했으며 상위 계급과 계층에서는 하위 계급 혹은 하위 계층과 구별짓기를 시도해 왔다. 따라서 ‘따라잡기’와 ‘구별짓기’를 동시에 고찰해야만 당시 사회의 다양성이 드러날 것으로 판단된다. Gubok Makdong [Male Slave Makdong] and Yangbanjeon [Story of Aristocrat] are among the narrative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and were popular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is paper examines what strategies the male slave Makdong adopted to be a yangban, aristocrat, and why a rich man in Jeonseon County refused to become a yangban even if it was possible to buy the status. Makdong became a yangban through four steps by adopting ten strategies. In contrast, a rich man in Jeongseon County who owned only material wealth refused to become yangban because he only pursued material profits lacking cultural background and social conditions as yangban, and did not understand the yangban culture. While Makdong, as 'hono' slave, had opportunities to learn yangban culture, the rich man in Jeongseon did not have such opportunities. Whether one was literate was one of the crucial factors. The yangban in Joseon Dynasty was equipped with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conditions as aristocrats. Researchers dealing with status upgrading in the late Joeseon Dynasty have argued that the yanban status could be bought easily, focusing only on the economic aspect. But, Gubok Makdong and Yangbanjeon reveal that such arguments are based on so much fragmental understanding of the era. In any society any time where there are class or status divisions between the upper and the lower ones, there have been efforts to 'keep up with' the upper class among members of the lower class, on the one hand, and, efforts to 'differentiate themselves from the lower class' among members of the upper class, on the other hand. Consequently, when we consider both the two different kinds of efforts, we can get the real variety of a specific society.

      • KCI등재

        연암 박지원의 「양반전」과 「허생전」에 나타난 자본의 양상

        김영미 한민족어문학회 2019 韓民族語文學 Vol.0 No.85

        Yangban-jeon and Heosaeng-jeon, Jiwon Park’s (his pen name is Yeonam) major works richly reveal a sense of economy of the late of Chosun period. In their works, the power of capital is a medium leading narratives. This study focuses on the idea of not only ‘economic capital’, but also ‘cultural capital’ which has differentiated noblemen (yangban) from other classes, ‘social capital’ which has created social unity and bondages in the Confucian scholars’ group, and ‘symbolic capital’ which is socially accepted only in the case of having previous three capital. The nobleman’s status itself was a powerful symbolic capital. which worked as an economic capital, cultural capital, and social capital, But in Yangban-jeon, ‘the reading’ which worked as the nobleman’s typical characteristic was useless for solving poverty of economic capital. This work describes the fall of symbolic capital which the status of nobleman in Jeongsun is naturally involved with because his economic inability is satirized by the mayor, his wife, and a rich man who wants to buy the status of a nobleman. Heosaeng-jeon is substantially identified with the content of Yangban-jeon until Heosaeng’s poor economic capital is magnified by his wife. However, unlike the nobleman in Jeongsun, Heosaeng took part in economic activities which revealed that economic capital was largely enlarged and expanded in the late Chosun period. But in Heosaeng-jeon, the dilemma of making money as a nobleman and observing good manners is overlapped between lines. This means that his economic activity is not only for his advantage. It was because Chosun was moved into the society of monetary economy in reality. However, noblemen at the time lived in the dilemma in which they could not put an emphasis on money under the idea of neo-Confucianism. In addition, the essence of cultural capital advocates a moral doctrine and virtues through Heosaeng. 「양반전」과 「허생전」은 조선 후기 경제관념이 농후하게 드러나는 연암 박지원의 대표작으로, 자본의 위력이 두 작품의 서사를 추동하는 매개체이다. 본 논문에서는 ‘경제자본’뿐만 아니라 양반이 다른 계급과 구별 짓는 ‘문화자본’, 사족으로 사회적 연대와 결속을 창출하는 ‘사회자본’, 양반의 제 자본이 사회적으로 인정받는 ‘상징자본’의 개념을 바탕으로 「양반전」과 「허생전」을 분석해 보았다. 기존 ‘양반’이라는 신분은 경제자본, 문화자본, 사회자본으로 기능하며 가장 강력한 상징자본이었다. 그런데 「양반전」에서는 사족으로 다른 계급과 구별 짓는 정선 양반의 ‘글 읽기’가 경제자본의 빈약함을 해결하는 데 아무런 기능을 발휘하지 못한다. 그리고 정선 양반의 무능함은 관찰사, 양반의 아내, 양반 신분을 매매하려는 부자에 의해 차례로 풍자의 대상이 되며 ‘양반’ 신분이 갖는 상징자본의 몰락이 그려지고 있다. 경제자본의 몰락이 문화자본과 사회자본의 상실을 초래하고 결국 양반의 상징 권력도 무너지게 하는 것이다. 「허생전」역시 허생의 빈약한 경제자본이 그의 처에 의해 도드라지는 지점까지는 「양반전」의 내용과 대동소이하다. 그러나 허생은 무능한 정선 양반과 달리 적극적으로 경제활동에 참여하면서 조선 후기 경제자본이 집중적으로 팽창되고 확대되는 사회상을 보여준다. 동시에 「허생전」에는 허생이 양반으로서 돈을 버는 행위를 하는 것과 양반으로서 지켜야 하는 예(禮) 사이의 딜레마가 행간 사이에 중첩되어 있다. 그래서 허생의 경제활동은 단순히 개인적인 이익을 위한 것이 아닌, 도(道)와 덕(德)이 뒤따르는 것임을 암시하고 있다. 조선 후기 사회가 현실적으로는 경제자본 중심의 사회로 변화되고 있었지만 양반들은 여전히 성리학적 이념에서 ‘돈’을 표면적으로 내세우기 어려운 시대적 딜레마 속에 있었음을 허생을 통해 보여준다. 나아가 허생을 통해 문화자본의 실질이 ‘도(道)’와 ‘덕(德)’에 있음을 표방하고 있는 것이다.

      • KCI등재

        문화콘텐츠의 인식범위 확장과 생산ㆍ소비 메커니즘 진단

        김진형(Kim, Jin-Hyung) 인문콘텐츠학회 2016 인문콘텐츠 Vol.0 No.42

        ‘문화를 담은 내용물’이라는 문화콘텐츠의 광의적 개념을 따르면, 문화콘텐츠를 종적 차원으로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기에 그 인식영역을 ‘전통사회’로까지 확장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인식범위의 확장에 따라 우리나라 문화콘텐츠의 유형적 확대과정을 보면, 1) 상고시대 이전은 축제콘텐츠가 독자적으로 전승된 시기, 2) 상고시대부터 조선후기까지는 축제콘텐츠와 공연콘텐츠가 양립해서 전승된 시기, 3) 구한말부터 일제강점기 초기까지는 문화콘텐츠의 상품화가 이루어지면서 공연콘텐츠 장르가 확장된 시기, 4) 일제강점기는 문화콘텐츠의 유형적 전승축이 양대축에서 삼각축으로 확장된 시기, 5) 현대사회는 문화콘텐츠 유형이 폭발적으로 증가되는 시기로 파악된다. 이와 같은 인식과 내용을 바탕으로, 전통사회와 현대사회의 대표성을 지닌 문화콘텐츠에 나타나는 생산․소비 메커니즘의 차이점을 파악한 결과, 1) 문화콘텐츠의 생산방식을 볼 때 전통사회는 주로 공동작 형태의 생산방식이었는데, 현대사회는 합작 형태의 생산방식이 많다. 2) 문화콘텐츠의 생산기간을 볼 때 전통사회는 장기간이었는데, 현대사회는 상대적으로 단기간이다. 3) 문화콘텐츠의 소비방식을 볼 때 전통사회는 주로 공동적 소비방식이었는데, 현대사회는 주로 개인적 소비방식이다. 4) 문화콘텐츠의 공유방식을 볼 때 전통사회는 무상공유방식이었는데, 현대사회는 유상공유방식에 가깝다. 5) 문화콘텐츠의 생산과 소비의 상호관계를 볼 때 전통사회는 순환관계였는데, 현대사회는 일반적으로 불순환관계이다. 6) 문화콘텐츠의 기능을 볼 때 전통사회는 공동체적 통합을 이루었는데, 현대사회는 상대적으로 개인의 문화적 소비욕구를 충족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통사회와 현대사회의 문화콘텐츠 생산․소비 메커니즘의 영역별 비교결과, 전비교영역에서 후자가 전자에 비해 생산․소비 메커니즘에 한계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현대사회 문화콘텐츠의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전통사회 문화콘텐츠처럼 거시적 차원에서 마을공동체 단위의 축제콘텐츠와 공연콘텐츠가 중점적으로 육성되어야 한다. 그리고 미시적 차원에서 공동작 형태의 생산, 장기간의 생산, 공동소비, 무상공유, 순환, 공동체적 통합의 가치가 적용되어야 한다. According to the broad concept of cultural contents - contents produced with culture - it is allowable to recognize cultural contents in vertical levels, which makes it expanded to the traditional society. Based on such expansion of cognitive range, the expansion process of Korean cultural contents by type is as follows: 1) Before ancient times, festival contents were passed down independently. 2) From ancient times to the late Joseon dynasty, festival contents and performance contents were handed down in a compatible way. 3)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to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 genre of performance contents was expanded with commercialization of cultural contents. 4)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the type of cultural contents was expanded from two large axes to triangular axes. 5) In the modern society, the types of cultural contents increased explosively. Based on the recognition and contents, the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 in production and consumption mechanism of cultural contents between the traditional society and the modern society. The result is as follows: 1) When it comes to the production method of cultural contents, the traditional society mostly employed group production method, while the modern society mainly used collaborative production method. 2) As for the production period of cultural contents, the traditional society took a long time, but the modern society spent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time. 3) In terms of consumption method of cultural contents, the traditional society was mostly focused on group consumption method, while the modern society was on individual consumption. 4) For the method of sharing cultural contents, while the traditional society took joint ownership, that of the modern society was close to paid sharing. 5) When it comes to the mutual relationship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cultural contents, the traditional society had a recursive relationship, but the modern society had a non-recursive relationship. 6) As for the function of cultural contents, they provided community integration in the traditional society, whereas they satisfied individual desires to consume culture in the modern society. As a result of comparing production and consumption mechanism of cultural contents in the traditional society and the modern society by sector, it was revealed that the former had limitations in production and consumption mechanism compared to the latter in all comparison sectors. In order to overcome such limitations of cultural contents in the modern society, it is necessary to promote focused on festival contents and performance contents by community unit in macroscopic scale as in the traditional society. In addition, joint production, long-term production, group consumption, joint ownership, recursive relationship and the value of community integration need to be applied in microscopic scale.

      • KCI등재

        일반 : 필사본 고소설의 지역별 유통과 문화지도 작성

        김재웅 ( Jae Woong Kim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4 大東文化硏究 Vol.88 No.-

        전국에 유통된 필사본은 19세기 중반에서 20세기 후반까지 511종이 분포한다. 영남은 120년 동안 222종, 호남은 80년 동안 83종, 충청은 100년 동안 132종, 서울과 경기는 56년 동안 50종 등과 같이 작품은 유통시기와 유통량의 차이를 보여준다. 영남에는 작품이 풍부한 반면에 서울과 경기에는 작품이 빈약한 실정이다. 필사본은 삼남 지방에 풍부하지만 서울과 경기에는 빈약하다. 필사본은 유교문화적 전통이 오랫동안 유지된 농촌에 풍부한 보편성을 보여준다. 필사본의 지역별 유통과 문화지도 작성은 향촌사회의 문학생활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필사본은 소백산맥과 노령산맥의 기슭에 풍부하다. 이곳에는 양반 집성촌과 선비집안이 집중적으로 분포하기 때문이다. 필사본 고소설은 농촌에 풍부한 반면에 어촌이나 해안가에는 상당히 빈약하다. 필사본은 제주도와 울릉도의 섬과 어촌 및 해안에는 필사본의 유통이 확인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필사본은 삼남 지방의 농촌에 풍부하여 농촌문화권의 유교문화적 전통을 내포하고 있다. 작품의 유형은 영웅소설이 가장 풍부하게 유통되었다. 영웅소설(79)은 <유충렬전>, <조웅전>, 판소리계 소설(44)은 <춘향전>, 가정소설(36)은 <황월선전>, <정을선전>, 장편소설(37)은 <구운몽>, <옥루몽>, <유씨삼대록>, <창란호연록> 등의 필사본이 풍부하다. 필사본의 향유층은 영웅소설, 판소리계 소설, 장편소설, 가정소설 등을 선호했지만 영남은 장편소설, 호남은 판소리계 소설, 충청 및 서울과 경기는 영웅소설 등을 각각 선호했다. 그 덕분에 필사본은 <유충렬전>, <춘향전>, <창선감의록>, <조웅전> 등의 순으로 풍부한 실정이다. 필사본은 방각본이나 활자본과 관계없이 고소설 필사의 전통을 유지하고 있다. 필사본과 판본의 이본을 비교한 결과 일부 작품을 제외하면 영향관계가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필사본 고소설은 방각본과 활자본의 향유층과 일정하게 구별되었다. 이러한 필사본은 한문본(22)보다 국문본(489)이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한다. 여성은 국문본을 선호한 반면에 남성은 한문본을 선호하고 있다. 더욱이 필사본 향유층은 남성(87)보다 여성(265)이 풍부하다. 영남과 충청은 여성이 풍부한 반면에 호남, 서울과 경기는 남성이 점차 증가한다. 고소설은 농번기(53)보다 농한기(181)에 집중적으로 필사되었다. 삼남 지방에서는 농한기에 작품을 필사한 반면에 상업이 발달한 서울과 경기는 농사주기가 별다른 의미가 없다. 필사본 향유층의 신분계층은 양반집안(90)과 선비집안(121)로 나타난다. 선비집안의 여성은 농한기에 단편소설을 필사하고 양반집안의 여성은 농번기에 장편소설을 필사했다. 이러한 필사본 고소설의 유통 문화지도 작성을 통해 당시 향촌사회의 문화적 기반과 문학생활을 실증적으로 비교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There are 511 kinds of handwritten novels distributed over the country from the mid-19th century to the late-20th century. Youngnam has 222kinds, Honam 83 kinds, Chungcheong 132 kinds, and Seoul and Gyeonggi 50 kinds. Samnam(三南) provinces are rich in handwritten works, but Seoul and Gyeonggi are poor. Especially the foots of the Sobaek(小白) and Noryeong(蘆嶺) mountain chain are rich in handwritten novels. That is because clan villages of Yangban are intensively distributed there. Agricultural villages are rich in handwritten novels, but fishing villages are fairly poor. Agricultural villages where confucian tradition was maintained have rich handwritten novel. The types of works are regionally different. Youngnam is rich in long novels, Honam in Pansori novels, and Chungcheong, Seoul and Gyeonggi in hero novels respectively. Especially there are plenty of novels such as <Changseongamuirok(彰善感義錄)>,<Chunhyangjeon(春香傳)>, <Yuchungryeoljeon(劉忠烈傳)>, and <Joungjeon(趙雄傳)>. Novels handwritten in Korean(國文) are much more than ones handwritten in Chinese(漢文) characters. Moreover, female readers(265) enjoyed handwritten novels are more than male ones(87). Youngnam and Chungcheong are rich in female readers, but Seoul and Gyeonggi in males. Classic novels were handwritten during the agricultural off season(53) more intensively than the busy season(181). Works of Samnam(三南) provinces were handwritten during the agricultural off season, but Seoul and Gyeonggi were not related with the agricultural season.

      • KCI등재

        사회공간적 범주화와 ‘양반다움’의 문화정치적 구성: 현대 청도 종족에 대한 민족지적 연구

        박성용 ( Park Song-yong ) 한국문화인류학회 2021 韓國文化人類學 Vol.54 No.1

        이 논문의 목적은 오늘날 청도 양반 종족원이 문화적 정체성을 두고 경합하면서 어떻게 행정경계와 다르게 사회공간적 범주화를 실천하였는지를 이해하는 데 있다. 아울러서 필자는 집과 마을, 군의 하위지역, 도의 접경 지역에서 그들이 창출한 여러 가지 사회적 공간의제 형태와 문화적 경계를 해석하고자 하였다. 먼저, 양반 가문의 후손이 청도를 분획한 ‘산동’과 ‘산서’ 지역에 대한 사회공간적 표상은 문화적 맥락에서 ‘양반다움’을 드러내는 정치적 행동과 관련될 뿐만 아니라 사회적 거리가 공간적 거리로 전환됨을 보여준다. 청도의 지리적 상이성을 토대로 한 종족집단의 정치적 지배력에 대한 경합은 산동과 산서의 분절된 사회적 공간을 생산하는 데 영향을 주었다. 특히 산서 지역에서는 서원이나 재실의 수가 놀랄 만하게 증가하는데 이것은 신양반이 정치적 권력과 경제적 능력을 확보하여 지역 엘리트로서 사회적 우위를 유지하기 위한 문화적 실천을 하는 데서 비롯한다. 이러한 연구결과와 더불어서 종족촌의 사회공간적 범주의 제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영토적 장소로서 중심된 마을은 ‘큰집’과 ‘작은 집’의 관계로 배열되어 있다. 사회적 범주로서의 집은 종족으로 영속되고 있다. 분파된 종족집단은 군 경계를 넘어 위치하고 있다. 특히 양가와 생가 사이에 재산상속 문제와 관련된 파양(罷養)이나 재양자 지정, 입양 이후 형성된 파(派) 갈림으로 인해 마을의 사회적 공간도 구분된다. 둘째, 입가자에게는 사회적 구심력이, 출가자에게는 사회적 원심력이 작용하였다. 1970년대 이후 마을 사람들의 통혼권은 산서 지역에서 전국적으로 확대되었다. 셋째, 묘소공간은 가까운 친척과 먼 친척의 관계망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 묘소공간은 산록 아래에서 위로 올라가면서 입촌한 선조로부터 아랫세대의 후손을 매장하는 역장의 방식으로 조성되어 있다. 두 문중이 한 산소를 두고 벌인 묘시비로 인해 마을과 미시 지역, 그리고 접경 지역을 넘어서 사회적 위계를 두고 다투는 권력장이 형성되었다.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how today’s descendants of the Yangban lineages in Cheongdo practice socio-spatial categorization which differs from that of official administrative boundaries when contesting for cultural identity. By looking more closely at the diverse forms of social spaces they created through established cultural boundaries in villages, county subregions, and provincial border regions,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on these descendants' cultural identity. Initially, the socio-spatial representation of the Sandong and Sanseo regions, which were separated by the descendants of the yangban lineages, is one example of how the cultural influence of yangbanness has manifested in a political manner, resulting in the transformation of a social distance into a spatial distance in Cheongdo. The contestation between lineage groups over the political domination of physical territory has continued to influence the production of divided social spaces between Sandong and Sanseo. Particularly in the case of the Sanseo region, the number of Confucian academies, shrines has increased remarkably; which came about as a result of new elites’ social practices which focused on the maintenance of their social superiority through the enforcement of political and economic power during the era. In addition to these finding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cio-spatial categories in Sinchon as a lineage village are as follows. Firstly, their main village consisted of a territorial place that included both a big house and a little house, which reveals how the house society, as a social unit, continued to perpetuate the concept of lineage. The segmented lineage groups are located across county boundaries, and the residents’ social space has been divided between the adoptive family and the adopted family, in accordance with the dissolution of adoption in relation to the succession of property, the designation of the re-adopter, and the division of family branch formed after adoption. Secondly, the social centripetal force which acts on women who marry into family, and the social centrifugal force’s effects on the women who marry out of the family. Since the 1970s, the marriage spheres of villagers have enlarged from the Sanseo region to across the country. Thirdly, the tomb spaces are arranged by networks of near kin and distant kin, and they are constructed in the manner of an upside-down burial, in which the descendants of the lower generation from the ancestors who entered the village are arranged from the bottom of the mountain to the top. The tomb lawsuits between the two lineages over the same graveyard created power fields which resulted in the quarreling over social hierarchy beyond their village, micro-region and border region.

      • KCI등재

        언간을 통해 본 19세기 양반가의 일상과 문화-초계 정씨 가문의 여성 한글 간찰을 중심으로-

        홍인숙 한국고전연구학회 2019 한국고전연구 Vol.0 No.47

        This study researches the cultural significance and the characteristics of Eongan(Korean old vernacular letter) materials of Chogye Jung’s clan as a noble family in Geochang region, Gyeongnam in the late 19th century. The Eongan preserved in Jung’s clan about 40 letters in total. The information of the writers and characters of these letters could be traced, and the background of the time could be determined as the 1880s-1890s. And they also show the intertextuality that could assume a specific personal affair or family history by recomposing individual information between letters. Especially,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ten letters by Mrs. Milyang Byeon who was a daughter-in-law of Jung’s clan. Those letters by Mrs. Byeon are very long and concrete, filled with vivid expressions, which is very different from Hangeul letters by other women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rough the old Hangeul letters by Mrs. Byeon, this study analyzed two things as follows. First, the noble women in the late Joseon Dynasty played the overall roles in the economic management and direction of clans. Second, they played the core roles like actively discussing and supporting the strategy and planning of civil service examinations for men. In the future, there should be more detailed follow-up researches on the rest letters of Jung’s clan. The themes like the relationship of main characters shown in Eongan of Jung’s clan, examination of personal affairs of each character, and the recomposition of family history would be handled in the next research. 이 글은 19세기 후반 거창 지역에 세거했던 초계 정씨 가문의 한글 간찰의 자료적 특징을 밝히고 그 문화사적 의의를 밝히고자 했다. 주요 필자인 밀양 변씨의 간찰 10편을 중심으로 조선후기 양반 가문의 일상 문화와 양반 여성이 수행했던 가문에서의 실질적 경영자로서의 역할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았다. 우선 한국학중앙연구원 편 『조선후기 한글 간찰(언간)의 역주 연구』 자료집 10권에 실려 있는 ‘초계 정씨 한글 간찰’ 40여 편을 대상으로 주요 필자와 등장 인물, 왕래 관계, 작성 연대 등을 밝히는 기본 작업을 진행했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초계 정씨 간찰이 조선후기 다른 가문의 언간 자료군과는 변별되는 특성으로 인물과 시기 면에서 ‘집중성’을 갖고 있음을 밝히고, 여러 간찰에서 공통적으로 언급되는 가족사적 기점 사건과 세대별 중심 인물 및 핵심 관계들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정씨 언간에서 가장 핵심 필자인 정현상의 며느리이자 정씨 가문의 종부였던 밀양 변씨의 언간을 중심으로 ‘가문의 실질적 경영자’로서의 여성의 역할에 초점을 맞추어 당시 양반 가문의 생활 문화를 살펴보았다. 첫째, 변씨의 간찰은 조선후기 지방의 양반 가문에서 수입과 지출의 다양한 경제적 활동을 총체적으로 관리하고 지휘하는 역할을 맡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보았다. 둘째, 나아가 가문의 주요 구성원들이 과거 시험을 보기 위한 전략과 기획의 차원을 적극적으로 의논하고 조정하며 지원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본고에서는 초계 정씨 언간의 전체 자료 양상을 파악하는 작업에 이어 주요 필자인 밀양 변씨의 언간을 중심으로 한 일상 문화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였다. 향후 정씨 언간의 주요 인물들의 관계성, 인물 각각의 개인사 구명, 개별 인물의 접점과 각각의 간찰에 나타난 정보들의 재취합을 통한 가족사의 재구성 등의 후속 연구가 이어질 필요가 있다.

      • KCI등재

        [瑣編]에 나타난 술[酒]에 대한 인식과 조선 중‧후기 양반들의 飮酒文化

        남윤덕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2019 장서각 Vol.0 No.41

        Lim Cheon-sang introduced amusing anecdotes related to various drinking cultures that occurred Yangban society in the Joseon dynasty. Lim Cheon-sang recognized the meaning of Alcoholic drink through the encounter with the person who loved Alcoholic drink, father-in-law, Yoon Gwang–rye. It is not merely for us to be drunken but for us to enrich of lives as roles and meanings. Lim Cheon-sang has taught the readers to learn and to laugh at the funny and strange anecdotes related to the alcoholics drink of Yangban society in the Joseon dynasty. In order to add to the content interest of 『Soaepyeon』, Lim Cheon-sang, who knew better than anybody that the interesting events were not always ending in the place where alcohol existed, collected the stories related to one who loves to Alcoholic drink the envoys and actively reflected them through the adding process. The story of the liquor shown on the 『Soaepyeon』 makes it possible to communicate with all the drinkers of today's modern society. In addition, it has secured diversity of drinking culture that was concentrated on poetry and novels as a writing and a story house. Especially, showing the aspect of drinking culture of middle and late Joseon is worthy of cultural value. 任天常은 『瑣編』에서 조선 중‧후기 양반사회에서 일어났던 여러 다양한 술[酒]문화와 관련된 흥미로운 일화들을 공개하였다. 임천상은 愛酒家였던 丈人 尹光禮와의 만남을 통해 술이 단순히 취하기 위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삶을 풍요롭게 하고 즐겁게 만드는 하나의 촉매제로서 역할과 의미를 동반한다는 사실을 인식한다. 임천상은 조선 중‧후기 양반들의 술과 관련된 재미나고 기이한 일화들을 때로는 진지하게 때로는 해학적으로 풍자하여 독자들로 하여금 교훈과 웃음을 자아내게 하였다. 술이 있는 곳엔 언제나 흥미로운 사건들이 끊이질 않는다는 사실을 누구보다 잘 알았던 임천상은 『쇄편』의 내용적 흥미를 더하기 위해 애주가들에 얽힌 이야기들을 수집하여 이를 적극적으로 반영했던 것이다. 『쇄편』에 보이는 술 이야기는 오늘날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이 시대의 모든 애주가들과의 소통을 가능케 한다. 아울러 필기‧야담집으로써 詩歌類와 小說類에 편중되었던 음주문화의 다양성을 확보해 주었다. 특히 조선 중‧후기 양반들의 음주문화의 일면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은 문화사적으로도 그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겠다.

      • KCI등재

        판소리 독서물 탄생의 기반 사유 -<춘향전> 필사본을 통한 고찰-

        차충환 ( Choung Hwan Cha ) 한국공연문화학회 (구,한국고전희곡학회) 2011 공연문화연구 Vol.0 No.23

        판소리작품 필사본을 읽다 보면, 방각본이나 창본 등 다른 이본에는 보이지 않는 생소한 내용이나 장면을 드물지 않게 발견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보고, 해당 이본의 작가는 어떠한 목적으로 그처럼 생소한 내용이나 장면을 설정했을까 하는 의문을 가지게 되었는데, 이러한 의문이 본고의 출발점이다. 다른 이본에는 존재하지 않아 공유성이 거의 없는 내용이나 장면은 해당 이본의 작가가 새롭게 창조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그러한 이본은 대개 독서물로 유통된 작품이라고 판단된다. 그래서 본고에서는 일부 <춘향전> 필사본을 대상으로, 생소한 내용이나 장면에 초점을 맞춰, 판소리 독서물 탄생에 개재된 기반 사유를 추론해 보았다. 그 결과 첫째, <춘향전> 독서물 중에는 작가가 자신의 지식을 현시하기 위해 전에 없던 사설과 장면을 창조한 예를 볼 수 있었다. 이에 해당하는 이본으로는 김광순소장28장본 <별춘향가>, 사재동소장87장본 <춘향전>, 홍윤표소장154장본 <춘향전> 등이 있다. 이들 이본에 나타난 지식의 현시는 19세기 전후에 폭넓게 부상한 지식문화의 영향을 크게 받은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 일부 <춘향전> 이본을 보면 마치 조선후기의 연희 현장을 재현한 듯한 모습을 발견하게 된다. 이에 해당하는 이본으로 본고에서 주목한 것은 경상대소장75장본 <춘향전>과 계명대소장52장본 <춘향전>이다. 전자에는 주점 여객들의 이야기판, 판소리명창의 판소리판이 장면화되어 있고, 후자에는 왈자들의 연희판이 장면화되어 있다. 이러한 특징은 해당 이본의 작가가 조선후기 당대에 흔히 접할 수 있었던 연희판을 자신의 작품 속에 재현해 보려는 목적이 있었기에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 실제로 조선후기 연희 현장에는 판소리가 다른 예능들과 늘 함께 있었다. 판소리의 이러한 존재 환경이 판소리 작가에게 주목되었고, 그 결과로 독서물에 연희판을 재현한 듯한 장면이 등장할 수 있었다고 본다. 셋째, 일부 <춘향전>에는 양반권력을 풍자·비판하려는 목적이 좀 더 강화된 모습을 볼 수 있다. 이에 해당하는 이본으로는 충남대소장72장본 <춘향전>과 그 계열, 박순호소장59장본 <춘향전>과 그 계열이 있다. 양반권력에 대한 퐁자와 비판은 판소리작품이면 거의 모두 공유하는 것인데, 위 계열의 작가는 다른 이본에는 없는 내용과 장면을 새롭게 설정하여 그 점을 좀 더 강화했다. This thesis investigated basic thinking of Pansori reading text appearance. Among Pansori reading texts, it is versions include unfamiliar contents and scenes in text. They was created by writers of Pansori reading text. Why created a writers of Pansori reading text them? First, writers of Pansori reading text created new contents and scenes in order to show their knowledge. Reading texts of this feature are 28pages version Chunhyangjun belonged to Kim Kwang-sun, 87pages version Chunhyangjun belonged to Sa Jae-dong, 154pages version Chunhyangjun belonged to Hong Yun-pyo etc. This reading texts was effected on knowledge culture of Chosun later period. Second, writers of Pansori reading text created new contents and scenes in order to reenact festivities field. Reading texts of this feature are 75pages version Chunhyangjun belonged to Kyungsang university, 52pages version Chunhyangjun belonged to Keimyung university etc. the former shows story field and Pansori field, the latter shows play field of Walja. Third, writers of Pansori reading text created new contents and scenes in order to lampoon yangban authority. Reading texts of this feature are 72pages version Chunhyangjun belonged to Chungnam university and it`s affiliation, 59pages version Chunhyangjun belonged to Park Sun-ho and it`s affiliation etc.

      • KCI등재

        밀양 백중놀이에 나타난 서사구조 및 문화적 기능

        신경화 ( Shin Kyung-hwa ) 한국무용연구학회 2017 한국무용연구 Vol.35 No.1

        본 연구는 밀양 백중놀이안에 나타난 서사구조 및 문화적 기능을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연구하였다. 밀양백중놀이는 문화재지정 전후 변화과정은 지정되기 전에는 놀음마당 → 신풀이 → 판 굿 순으로 나뉘었으며, 지정 이후에는 앞놀이 → 본놀이 → 전마당으로 진행되었다. 앞놀이에는 잡귀막이굿, 모정자놀이, 농신제로 이루어져 있고 본놀이에는 작두말타기, 양반춤, 병신춤, 범부춤이 있다. 전마당에는 오북춤, 화동마당으로 이루어져 있다. 밀양 백중놀이의 다양한 춤과 진행과정에서 문화적 기능을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휴머니즘 측면에서 종교적 농경의례로 풍년과 마을의 안정을 기원하고, 둘째 이데올로기 측면에서 피지배층이 놀이의 즐거움과 정신적인 자유를 만끽하며, 셋째, 사회적 측면에서 공동체 구성원인 연행자와 수용자 모두 적극적으로 감정이입하며, 넷째, 예술적 측면에서 다양한 춤사위를 보여주며 극적인 멋과 예술성을 드러낸다. 따라서 연구결과를 토대로 밀양백중놀이는 밀양 문화지식인과 결합하여 밀양 지역의 민속 문화와 예술을 중요한 자원임을 인식시키고 백중놀이가 보호 되어야 하며, 축제콘텐츠로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narrative structures and cultural functions in Miryang Baekjung Nori. I studied the literary methods, narrative structures and performative acts of the actual performance sequences. I analyzed cultural functions in terms of the various dances and individual dancing steps of Miryang Baekjung Nori and the result is as follows. I derived the cultural functions by analyzing its humanism aspect, ideology aspect, social aspect and artistic aspect, and analyzed the changing process of the Miryang Baekjung Nori after it was designated as a cultural asset. I will deduce a fostering plan for Miryang Baekjung Nori. I analyzed cultural functions in terms of the various dances and individual dancing steps of Miryang Baekjung Nori and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ly, as a religious agricultural rite, it prays for a bumper year and stability of a town from the humanism aspect, secondly, it let the subjugated class have fun with the play enjoy and psychological freedom from the ideology aspect, thirdly, it makes the performers and audiences empathize with the performance from the social aspect and fourthly, it shows dramatic artistry by showing various dancing steps from the artistic aspect. Therefore, Miryang Baekjung Nori should be combined with Miryang culture intellectuals and let people know that the folk cultures and arts in Miryang is important assets. Baekjung Nori should be protected and developed as a festival cont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