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야외지질학습에 대한 예비 중등 지구과학 교사의 인식 탐색

        최윤성,김찬종,최승언 한국지구과학회 2018 한국지구과학회지 Vol.3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re-service middle school earth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about the learning of geological field trip. The study sample consists of 39 undergraduate students at the university located in a metropolitan city. Additionally, 4 pre-service earth science teachers are semi-structure interviewed. The instrument of the study includes a 5-category perception about the learning of geological field trip, which consists of needs, educational values, educational experience, teaching methods, and training for learn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articipants are important to the need and educational values of learning about the geological field trip regardless of gender and grade level. Second, all participants have experienced geological field trip in college. They have more opportunities to experiment for field trip as they advance to higher grade.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lower and higher graders in terms of the goal of learning about geological field trip. It needs a new lesson model to teach geology between men and women regarding teaching methods category. In order to practice geological field trip in school, participants perceive that they need the knowledge of geological context, experiment of field trips, and how to teach geological field trip to students. This study suggests that pre-service earth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include how to teach and learn geological field trip during their college year. 이번 연구는 예비 중등 지구과학 교사의 야외지질학습에 관한 인식을 조사하여 야외지질학습을 활성화하기 위 한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서울 소재 대학교 예비 중등 지구과학교사 39명을 대상으로 야외지질학 습의 필요성, 교육적 가치, 야외지질학습을 위한 교육적 경험, 야외지질학습을 교수하기 위한 지도방법, 예비교사 단계 에서 필요로 하는 교육에 관해 인식조사를 실시하였다. 4명의 예비 중등 지구과학교사와는 추가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이번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 참여자는 성별과 학년에 유의미한 차이 없이 야외지질학습이 필요하다고 인식하 고 있었다. 또한 야외지질학습에 대한 교육적 가치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야외지질학습을 위한 교 육적 경험에 관한 문항에서는 모든 예비교사들이 야외지질답사 경험이 있다고 하였으며 학년이 올라갈수록 경험의 횟 수가 증가하였다. 그리고 야외지질학습 지도 방법에 관한 문항에서는 야외지질학습의 목적에 대해서 학년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볼 수 있었고, 새로운 수업 모듈을 개발해야한다는 문항에서는 남녀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야외 지질학습을 실행하기 위해 예비교사 과정에서 필요로 하는 교육은 지질학적인 지식, 야외답사 경험, 야외지질학습을 지도하기 위한 새로운 교수법에 관한 것이다. 이번 연구는 야외지질학습을 실행하기 위해 교사 양성단계에서 필요로 교육 을 포함하여 야외지질학습에 대한 인식을 탐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포천 한탄강 지질공원에 대한 야외학습 프로그램 개발

        김재연,조재희,김학성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2 科學敎育硏究誌 Vol.46 No.2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field trip program for the Hantan River geopark in Pocheon using Orion’s field trip model. The selected learning sites were the Hwajeogyeon and Bidulginang Falls, famous geosites of the Hantan River geopark in Pocheon. The field trip program consisted of six preparatory units, two field trip units, and two summary units. The preparatory stage helped reduce the novelty space considering cognitive, psychological, and geographical factors. In the field trip stage, students acquire concepts linked to learning elements in the curriculum scientifically and encourage interest in science. In the summary stage, students organized the geological phenomena observed in the field and inferred the vicinity of the Pocheon Hantan River region. The field trip program was modified to give enough time for observation activities to increase students’ interest in science and to connect concepts with learning elements in the curriculum in the outdoor learning phase to allow students’ convergent thinking. Implementing the field trip program raises students' interest and attitude in science. 본 연구는 포천 한탄강 지질공원에 대한 야외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하여 Orion의 야외학습 모형을 적용하여 개발하였다. 야외학습 지점은 포천 한탄강 지질공원의 지질명소 중 화적연과 비둘기낭 폭포로 선정하였다. 준비 단계 6종, 야외학습 단계 2종, 정리 단계 2종의 총 10종의 자료를 개발하였으며, 예비수업에 적용하고 설문 조사를 하였다. 준비 단계에서 인지적, 심리적, 지리적 요소를 고려하여 생소함의 공간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되도록 구성하였다. 야외학습 단계에서는 학생들이 교육과정과 연계된 학습 개념을 과학적 방법으로 습득하고 과학에 대한 흥미를 높일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정리 단계에서는 학생들이 야외에서 관찰한 지질학적 현상을 정리하고 포천 한탄강 일대의 지사를 유추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구성하였다. 개발된 야외학습 프로그램을 예비수업에 적용하여 학생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각 학습 지점에서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흥미를 키워줄 수 있는 관찰 활동에 충분한 시간을 주도록 수정하였다. 또한, 전문가 타당도 검사를 바탕으로 야외학습 단계의 학습 요소와 교육과정과의 연계를 고려하여 융합적 사고가 촉진될 수 있는 발문을 보완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포천 한탄강 지질공원에 대한 야외학습 프로그램은 야외 지질학습을 통해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흥미와 과학적 태도를 높여줄 수 있었다.

      • KCI등재

        남해 해상 국립공원 신수도의 지질명소 및 3D 파노라마 야외학습장 개발

        조재희,윤마병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22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15 No.1

        Sinsu Island in Korea National Marine Park is suitable for geological learning and geotourism as various geological structures, geological activities, and fossils can be observed. In this study, eight geosites were developed by analyzing 2015 revision science curriculum. The 3D panoramic geological virtual field trips were developed according to the three-step outdoor learning model. The 3D panoramic geological virtual field trips, which consist of 8 classes, are composed of cooperative learning by group, enabling autonomous inquiry activities. It is designed to realize convergence education that can learn not only geology but also creativity and humanity through nodular Limestones, exfoliation, salt weathering, perforated shell holes, sedimentary structures and environments, dinosaurs habitats, and volcanic activity. Five experts revised and supplemented the Delphi analysis metho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development purpose and direction. The satisfaction with the geological field for Sinsu Island course was 4.52, indicating that the overall satisfaction with the field course was high. By reflecting on the opinions of each student and reinforcing safety education, we completed the 3D panoramic geological virtual field trips for Sinsu Island. The 3D panoramic geological virtual field trips in Sinsu Island in Korea National Marine Park will be a good example of geology learning tourism where you can make memories and enjoy while studying geology. 남해 해상 국립공원의 신수도는 다양한 형태의 지질구조와 화성활동, 화석 등을 관찰할 수 있어 지질학습과 지질관광에 적합한 곳이다.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핵심 요소를 분석하여 신수도의 8지점 지질명소를 탐색하고 3D 파노라마 야외학습장을 개발하였다. 신수도의 지질명소 탐색을 통한 3D 파노라마 야외학습장은 3단계 야외학습 모형에 따라 개발하였다. 8차시로 구성된 3D 파노라마 야외학습장은 모둠별 협동 학습으로 구성하여 자율적인 탐구 활동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석회암 단괴, 박리작용, 염풍화 작용, 천공 조개 구멍, 퇴적구조와 퇴적환경, 공룡의 서식지, 화산활동을 통한 지질학습과 더불어 창의와 인성을 학습할 수 있는 융합 교육이 실현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5명의 전문가에 의해 델파이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수정 및 보완되었고, 개발 목적과 방향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받았다. 3D 파노라마 야외학습장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는 4.52로, 전체적으로 야외학습에 대한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었다. 3D 파노라마 야외학습장과 관련한 학생들의 면담 의견을 반영하여 개인의 수준을 고려하고 안전교육을 강화하여 신수도의 야외학습장을 완성하였다. 신수도의 3D 파노라마 야외학습장은 지질학습 및 관광을 하면서 과학적이해와 더불어 심미적으로 감상하고 추억을 생성할 수있는 지질학습 및 관광의 좋은 사례가 될 것이다.

      • KCI등재

        과학적 모델의 사회적 구성을 활용한 야외지질학습 개발 및 적용

        최윤성,김찬종,최승언 한국지구과학회 2018 한국지구과학회지 Vol.39 No.2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nd apply on learning on geological field trip utilizing the social construction of scientific model. We developed field trip places by considering not only Orion (1993)’s novelty space but also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2015 national curriculum.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8 in the ‘G’ science gifted education center. We conducted a study using the theme of ‘How was formed Mt. Gwanak?’ on 5 lessons including a series of 2 field trip lessons and 3 lessons utilizing the social construction of scientific model. Students participated in pre- and post-test on the understanding of scientific knowledge about formation of mountain. Semi-structured interview was used to analyze students’ learning about geological field trip in terms of affective do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2 places of upper-stream valley and down-stream valley separately. They contained outcrops gneiss, granite, joint in the valley, xenolith, fault plane, mineral in the valley. Second, pre- and post-test and semi-structure interview were analyzed in terms of what scientific knowledge students learned about and how Mt. Gwanak was formed. Seven students explained that Mt. Gwanak was volcano during pretest. Seven students described how granite was formed to form Mt. Gwanak. They also understood geological time scale, i.e., metamorphic rock. Third, the geological field trip was effective to low achievement geoscience students as they engaged in the activities of field trip. Using positive responses on affective learning was effective on learning on geological field trip when utilizing the social construction of scientific model. This study suggests that teachers use an example ‘model’ on geoscience education.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teachers apply the social construction of scientific model to geological field trip. 본 연구의 목적은 야외지질답사 장소를 개발하고 과학적 모델의 사회적 구성을 야외지질학습에 적용하는 것이 다. Orion(1993)의 가상의 공간(Novelty Space)과 2015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고려하고 답사 장소를 개발하였다. G 영재 교육원 과학과 8명 학생을 대상으로 ‘관악산 형성과정’이라는 것을 주제로 하여 총 5차시 분량의 과학적 모델 의 사회적 구성을 활용한 야외지질학습을 실시하였다. 야외지질학습 전후로 1차시 분량의 설문 검사를 통해 학생들의 개념 이해 정도를 파악하고, 심층 면담에서는 개념 확인과 야외지질학습의 정의적인 면을 다루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 과 같다. 첫 번째, 야외 답사 장소는 계곡 하류와 상류로 각각 명명하였고 변성암, 화강암, 절리, 포획암, 광물 입자를 관찰하도록 구성하였다. 두 번째, 사전 조사에서 관악산은 화산으로 만들어졌다고 응답한 학생이 7명이었다. 반면, 야외 지질학습이 종료된 이후에는 7명 학생이 화강암의 형성과정을 설명하고 변성암을 예시로 지질시대를 이야기 하는 것으로 시간적인 스케일을 이해했음을 보여주었다. 더욱이 심층면담에서 지질학에 대한 낮은 성취를 보여주는 학생이 야외 지질학습에 대해 긍정적인 답변을 주었다. 즉, 학습의 정의적인 면을 고려하였을 때 야외지질학습에 과학적 모델의 사 회적 구성 활용이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번 연구는 지질교육에 모델을 적용한 사례이고 동시에 교사에 게 야외답사 장소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야외지질학습에 과학적 모델의 사회적 구성을 적용한 사례로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광물과 암석’ 관련 야외지질학습에서 초등학생들의 학습 효과에 대한 탐색 - 생소한 경험 공간을 중심으로 -

        최윤성,김종욱 한국지구과학회 2022 한국지구과학회지 Vol.4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learning effect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a geological field trip conducted under the theme ‘minerals and rocks’, focusing on novelty space. A total of 10 sixthgrad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held at a public elementary school in Seoul as part of after-school club activities. Students observed mineral and rock samples in a classroom and outdoor learning environment. The authors collected activity papers (texts, drawing), researchers’ participation notes, video and audio recordings containing the study participants’ activities, and post-interview data To analyze the learning effects in the cognitive domain of students, the observation analysis framework for rock classification of Remmen and Frøyland (2020) and the rock description analysis framework of Oh (2020) were used. Additionally, to explore the learning effects of psychological and geographic areas, students’ drawings, texts, discourses, and interview data were inductively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tudents demonstrated ‘everyday’ and ‘transitional’ observations in the classroom learning environment, while in the outdoor learning environment (school playground, community-based activities), they demonstrated ‘transitional’ and ‘scientific’ observations. Moreover, as the scientific observation stage progressed, more types of descriptive words for rocks were used. In terms of psychological and geographic aspects, students showed their selection of places to explore familiar outdoor learning environments, positive perceptions of outdoor learning, and aesthetic appreciation. Finally, this study not only discussed novelty space as a tool for analyzing students’ learning effects but also suggested the need for an academic approach considering new learning environments, such as learning through virtual field trips. 이 연구는 광물과 암석을 주제로 진행된 야외지질학습에 참여한 초등학생들의 학습 효과를 생소한 경험 공간(Novelty space) 개념을 중심으로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과 후 자율 동아리 활동 형식으로 서울의 한 공립초등학교에서 진행된 본 프로그램에 6학년 학생 총 10명이 참여하였다. 학생들은 교실 학습 환경에서 광물과 암석 표본을, 야외 학습 환경에서 노두에 노출되었거나 정원석 등으로 쓰이고 있는 광물과 암석을 각각 관찰하였다. 저자들은 각 차시별 연구 참여자들이 작성한 활동지(글, 그림), 연구자 참여 노트, 연구 참여자의 활동이 담긴 영상 및 음성 자료와 사후 인터뷰 자료를 수집하였다. 인지적 영역에서 학생들의 학습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Remmen and Frøyland (2020)의 암석 분류를 위한 관찰 분석틀과 Oh (2020)의 암석 기술어 분석틀을 활용하였다. 또한 심리 및 지리적 영역의 학습 효과를 탐색하기 위해 학생들의 그림과 담화 및 면담 자료를 귀납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교실 학습 환경에서 ‘일상적’, ‘과도기적’ 관찰 양상을 보였으며 야외 학습 환경에서(학교 운동장, 지역사회)는 ‘과도기적’ 및 ‘과학적’ 관찰 단계까지 발전하는 모습을 나타냈다. 덧붙여 과학적 관찰 단계로 갈수록 더 많은 종류의 암석 기술어가 사용되는 것 또한 확인되었다. 심리, 지리적 측면에서 학생들은 익숙한 야외 학습 환경으로의 답사 장소 선정, 야외지질학습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 심미적 감상 등을 표현하였다. 끝으로 이 연구는 학생들의 학습 효과 분석을 위한 도구로써 생소한 경험 공간 개념이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음을 강조하며 아울러 가상야외지질학습과 같은 새로운 학습환경을 고려하는 학술적인 접근이 필요함을 제안하는 바이다.

      • KCI등재

        초등학교 야외 지질 학습장 개발 및 교수·학습자료 제안 -장흥군 유치면 대천리 중심으로-

        박기락(Ki Rak Park)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2024 교육발전 Vol.44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장흥군 유치면 대천리 일대를 초등학교 야외 지질 학습장으로 개발하고 야외 지질 교수·학습 자료를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연구 지역에서 관찰할 수 있는 지질학적 현상과 2015 및 2022 개정 초등학교 과학과 고체지구 성취기준의 연관성을 분석하였고, 야외 지질 교수·학습 모형을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지역에는 역암, 사암, 셰일 등의 퇴적암과 암맥, 응회암 등의 화성암, 층리, 연흔과 같은 퇴적구조, 절리와 돌개구멍, 자유곡류하천 및 식물 뿌리에 의한 풍화작용을 관찰할 수 있었는데 이들은 모두 현행과 차기 초등학교 과학과 성취기준에 부합하였다. 야외 지질 교수·학습 자료는 ‘새로운 경험의 공간’을 고려하면서 준비, 야외 답사, 정리의 세 단계로 구분하여 제안하였다. 연구 지역에는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의 학습 요소인 지층과 화석이 나타나지 않아서 이와 관련한 학습이 어려운 점이 이 연구 지역의 한계이다. 추후 연구 지역에서 야외 지질 학습을 수행하여 이 연구에서 제안한 교수·학습 자료를 실제에 맞게 수정·보완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Daecheon-ri, Yuchi-myeon, Jangheung-gun, as an elementary school geological field course and to propose outdoor geology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To this purpose, the geological phenomena observable in this study area and the 2015 and 2022 revised elementary school science solid earth achievement standards were analyzed, and an outdoor geology teaching and learning model was examined. The results showed that this study area contains sedimentary rocks such as conglomerate, sandstone, and shale; igneous rocks such as dyke and tuff; sedimentary structures such as stratification and ripple mark; joint and pothole, free meander, and weathering by plant roots, all of which are aligned with the current and upcoming elementary science achievement standard. The outdoor geology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were proposed in three phases: preparation, fieldwork, and summary, considering the ‘novelty space’. A limitation of this study area is that strata and fossils, which are learning components of the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do not occur in this study area, making it difficult to learn about them.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conduct outdoor geological studies in this study area and modify and supplement the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proposed in this study to suit reality.

      • KCI등재

        야외학습의 융합 문제해결과정에서 불확실 상황 변수로 인한 전략 수정 사례연구

        주은정(Ju, Eunj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

        이 연구는 야외학습의 불확실한 상황 변수가 변화되었을 때, 학생들의 문제해결전략 수정 과정과 협력 방식, 그에 따른 학생들의 학습 만족도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질적 사례연구 기반 혼합연구 방법으로 실시되었다. 연구에 참여했던 학급의 학생들은 문제해결과정은 야외학습을 가기 전 교실에서 문제 확인, 문제 표현, 전략 선택의 단계를 거친 후, 야외학습 기간 중에 달라진 상황 변수를 이해하고 계획 전략을 유지 할지 수정할지에 대한 판단을 한 후 전략을 수정하거나 유지하면서 문제를 해결하였다. 야외 학습 후에는 결과를 평가하고 과정을 분석하는 단계를 거쳤다. 세 팀이 야외 학습을 가기 전에 세웠던 문제해결전략은 유사하였다. 그러나 야외학습에서 문제 해결을 위한 상황 변수가 달라졌던 두 팀은 공통적으로 달라진 변수를 인식한 후, 당황하는 모습을 보였다. 교실에서와는 달리 차분히 전략을 논의하기 보다는 성숙하지 않은 의사소통을 바탕으로 팀이 분열되는 양상을 보였다. 두 팀에서는 팀원들은 논의에 기반하기보다는 팀원 중 한 명 또는 소수가 아이디어를 내고 이를 독자적으로 검증한 후 실행 전략을 내놓는 방식으로 수정되었다. 수정된 실행 전략은 계획 전략에 비해 비구조적이었으며 팀원들은 태양의 고도를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암묵적 미션으로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었으므로 문제해결전략이 수정된 과정에 대해 만족도가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p =0.003).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mixed method based on a qualitative case study to examine the modification of problem solving strategy, cooperation process and students satisfaction of learning when uncertain situation variables were changed. The students problem-solving process, after going through the stages of problem identification, problem expression, and strategy selection in the classroom, They understood the situation variables that changed during the field trip, determined whether to maintain or modify the strategy and then the problem-solving strategy was modified or maintained. After the outdoor learning, the results were evaluated and the process was analyzed. All of the three teams participating in the study had similar problem-solving strategies before going trip. However, the two teams who met the changed situation variables embarrassed at first. The teams were divided on the basis of immature communication rather than discussing strategies carefully in the classroom. In the two teams, the team members were not based on the discussion, but rather by one or a few of the team members who gave their ideas and verified them independently and then implemented a strategy. The two team members’ satisfaction of learning was significantly low because the modified execution strategy in both teams was unstructured and the team members tended to accept the sun altitude as a tacit mission to solve the problem(p = 0.003).

      • KCI등재

        탈식민주의 장소학습에 따른 학생의 장소 스키마 변화 탐색

        한동균(Han Dong Kyun) 글로벌교육연구학회 2016 글로벌교육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학습’의 관점에서 사회과 야외학습으로서 탈식민주의 장소학습에 따라 학생의 장소 스키마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탐색하였다. 구체적으로 학생의 장소경험을 설명하기 위해 야외학습 전후로 설문조사, 워크시트 작성, 심층 면담 등을 실시하여 학생의 장소 스키마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양적 분석을 통해 집단별 장소 스키마의 변화 정도를 수치화하였으며, 질적 분석을 통해 개별 장소 스키마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사회과 지리교육에의 시사점을 유추할 수 있었다. 첫째, 장소학습 방법으로서 야외학습은 학생의 학습에 효과적이다. 둘째, 야외학습의 효과는 장소에 관한 사전 지식이 많을 경우 극대화된다. 셋째, 학생은 야외학습을 통해 장소에 대한 개인지리를 공적지리로 전환한다. 넷째, 학생의 장소학습 경험을 분석하는데 장소 스키마가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다섯째, 장소 스키마는 교육적으로 차이의 이해 방식으로 활용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place schema of students varied depending on the Postcolonial place-based learning as the fieldwork of social studies, from the perspective of 'learning'. In order to explain place experience of students specifically, a survey and an in-depth interview were conducted and students were asked to fill out worksheets. Then, place scheme changes of students were analyzed. The place scheme change in each group was quantified using quantitative analysis and the individual place schema change aspects were analyzed using qualitative analysis. The implications for geography education of social studies extracted from thes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ieldwork is effective in learning as a place learning method. Second, the effect of fieldwork is maximized when there are a lot of prior knowledge about places. Third, students change personal geography of place into public geography through the fieldwork. Fourth, place schema is useful in analyzing place learning experience of students. Fifth, place schema can be used as a way of understanding differences educationally.

      • KCI등재

        가상 야외지질답사 모듈 개발에 참여한 초등학생들의 학습 효과 탐색

        최윤성,김종욱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22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1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inductively learning effects of virtual field trips(VFTs) programs develop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under the theme of minerals and rocks, focusing on learning in virtual geological components. Ten students attending 'H' elementary school in the metropolitan area voluntarily participated. In order to develop a virtual field trips programs, pre-actual outdoor geological field trips were conducted and virtual field trips programs were developed. In this process, written data of students observing, all video recording and voice recording materials of the course in which students participated, VR development data, and post-interview data were collected. Data were inductively analyzed focusing on four areas(cognitive, psychological, geography, and technical components) of learning in virtual geological field trips. As a result, there were positive learning effects for students in four areas.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study participants were not just participants in virtual learning, but rather developed classes for virtual field trips programs, which had significant results in terms of authentic inquiry. 이 연구의 목적은 광물과 암석을 주제로 초등학생들이 가상 야외지질답사 모듈 개발에 직접 참여함으로써 관찰되는 학생들의 학습 효과를 귀납적으로 탐색하는 것이다. 수도권 소재 ‘H’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10 명의 학생들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학생들은 가상야외지질답사 모듈 개발을 위해 사전에 실제로 야외지질답사를 실행하고 가상 야외지질답사 모듈을 개발하였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이 작성한 서면 자료와 비디오 녹화 영상, 음성 자료, 그리고 모든 연구가 종료된이후 진행된 면담 자료를 수집하였다. 가상 야외지질학습의 구성 요소 중 네 가지 영역(인지, 심리, 지리, 기술)을 중심으로 연구 참여자들의 학습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가상 야외지질학습의 네 가지 요소, 인지, 지리, 심리, 기술 영역에서 긍정적인 학습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연구 참여자들이 가상 야외지질학습에 단순 참여자가 아니라 가상 야외지질답사모듈 수업 개발자로서 참탐구의 측면에서 지질학 학습에 유의미한 결과가 있음을 밝혔다.

      • KCI등재후보

        실제지형연구를 통한 야회학습요소의 추출과 지도방안

        박철웅 한국지형학회 2004 한국지형학회지 Vol.11 No.2

        Fieldwork is considered an important component that makes students enthusiastic about geography. In addition, fieldwork is recognized as an excellent instruction tool in education of physical geography. Unfortunately, fieldwork has not been practiced due to a lot of reasons, such as fundamental problems in the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system, time, costs, safety, and organizational issues. However, the constructivistic education system emphasizes the practical experience learning process that requires students to choose the context and learning course in their own learning process. A long-term field survey for landform analysis enabled us to identify the fieldwork elements that are appropriate ! for geography education. Thus, here we report on the elements of landform that conforms to the contextual system of the 7th curriculum educational process. In addition, teaching methods are proposed for the students to determining and exploring the fieldwork sites according to the fieldwork elements provided. In the future, further geographical research for regional units should be performed to better implement the proposed fieldwork elements, and it is recommended to substantiate the fieldwork as a required course in geography education. 야외학습(Fieldwork)은 지리라는 학문에 대한 열정을 갖게 해주는 주요 구성요소이다. 또한 야외학습은 자연 지리교육의 훌륭한 수업 도구로 인정되고 있다. 하지만 입시제도, 시간과 비용, 안전, 조직 문제 등으로 실질적 으론 거의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학습자가 내용의 선정이나 학습과정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구성주의적 교육 과정에서는 현장체험학습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오랜 답사 경험과 지형 연구를 통하여 밝혀진 지형요소 들 중 제 7차 교육과정 내용체계의 분석을 통하여, 지리교육에 적합한 야외학습의 요소를 추출하였다. 그리고 이 학습요소(해안단구)를 중심으로 학생들이 직접 야외에서 관찰하고 탐구할 수 있는 야외학습 장소의 탐색과 거기에 맞는 지도 방안을 제시했다. 앞으로의 과제는 지역단위의 세밀한 지리 연구가 뒷받침되어야 한다. 아울러 지리과 교육과정에서 야외학습의 실행이 뒷받침되면 지리과 야외학습은 더욱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