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애장왕・헌강왕대의 대일외교와 그 활용

        채미하 신라사학회 2018 新羅史學報 Vol.0 No.44

        These thesis is studying the records on envoys between Silla and Japan during king Aejang and king Heongang and their making use of it in the domestic politics. Japan during king Aejang dispatched envoys just after breaking nations’ relationship between Silla and In the third year of king Aejang, the reason Japan sent envoy to Silla is that they wanted to have assurance of safety in the sea and get help at their arrival in relation to Kyondangsa dispatch. King Aejang in his 2ndreigning year, tried to install a fake prince and send him to Japan as the envoy and in his fourth year, traded with Japan. King Aejang was active in relation with Japan because it was related to his opposition about China’s centered world order internationally. Domestically king Aejang made use of the diplomatic relation with Japan as one way to establish his direct ruling from Kim Unseong’s rule as regent. After beginning direct ruling, King Aejang held in check Tang and kept close relation with Japan. That is, when Tang’s Goaesa concurrent positioned Chekbongsa visited Silla in King Aejang ‘s 4thyear, they were treated poorly, but Japan’s envoy was greeted in Jowon-Jeon and treated hospitably in King Aejang’s 7thyear and 9thyear. And King Aejang tried to establish order internally and extenally through Binrye which was royal authority ceremony, and other various revolutionary politics helped King Aejang to have power centered around himself. In King Heongang’s period, the envoys between Silla and Japan visited each country. Japan’s envoy was sent in King Heongang 4thyear because pirates from Silla invaded Japan and there were worries of Silla’s invading Japan so Japan wanted to know the circumstances. At those days, Silla got through Hwangso’s uprising so they could not send envoys to Tang and also the politics were insecure internally and externally. King Heongang did ingyon the envoys at Jowon-jeon and tried to rid their worries and also tried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internally and externally at those days through effects of the ceremony. And at King Heongang’s 8th and 9th year, Japan’s envoy visited again to know news from Tang which caused King Heongang sent envoys to Tang in those years and sent envoys to Japan in his 10th and 11thyear. The reason why around King Heongang’s 10thyear, the king sent envoys to those two countries was related to the king’s feeling of insecurity about the successor to the throne at his late ruling years. Therefore King Heongang colluded with Hyo’s mother in his 10thyear and Hyo became King Hyogong later, and also through his diplomatic relation with Tang and Japan around his 10thyear, he tried to achive strengthening royal authority as well as stability of royal family. 본 논문은 애장왕대와 헌강왕대 신라와 일본의 사신 왕래 기사를 검토하고 애장왕과 헌강왕이 이것을 대내 정치에 활용한 측면을 생각해 본 것이다. 신라와 일본의 국교가 단절된 직후인 애장왕대 일본은 신라에 사신을 보낸다. 애장왕 3년 일본이 신라에 사신을 보낸 이유는 遣唐使 파견과 관련하여 신라로부터 해로의 안전을 보장받고 견당사가 漂着할 때 도움을 받고자 한 것이었다. 애장왕은 왕 2년에 假王子를 책봉하여 일본에 사신을 보내려고 하였고 왕 4년에는 일본과 ‘交聘’하였다. 애장왕이 대일본 외교에 적극적으로 나선 것은 대외적으로는 당 중심의 세계 질서에 대한 반발과 관련있었다. 대내적으로는 김언승의 섭정을 받았던 애장왕이 攝政期에 親政 구축을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 대일본 외교를 활용하였다. 친정 이후에도 애장왕은 당을 견제하고 일본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였다. 즉 왕 6년 신라에 온 당의 告哀使 겸 冊封使를 홀대하였지만, 왕 7년과 9년에 신라에 온 일본 사신은 朝元殿에서 引見하고 후대하였다. 그리고 애장왕은 왕권의례인 賓禮를 통해 대내외의 질서를 확립하려 하였고, 이와 연동되어 행해진 다양한 개혁정치는 애장왕에게 권력을 집중시켰다. 헌강왕대 역시 신라와 일본 사신은 왕래하였다. 헌강왕 4년 일본이 신라에 사신을 보낸 이유는 신라 해적의 침입과 신라가 침공한다는 우려가 팽배했기 때문에 그 사정을 알기 위해 온 것이라고 하였다. 당시 신라는 황소의 난으로 당에 사신을 보내지 못하였고 대내적으로는 정국이 불안정하였다. 헌강왕은 때마침 신라에 온 일본 사신을 조원전에서 인견함으로써 우선 일본의 우려를 불식시키려고 하였고, 의례가 지닌 기능을 통해 당시의 대내외적인 어려움을 극복하려고 하였다. 헌강왕 8년 일본 사신은 당의 소식을 알기 위해 신라에 왔는데, 헌강왕은 이를 계기로 왕 8년과 9년에 당에 사신을 보냈고 왕 10년과 11년에는 일본에도 사신을 파견하였다. 헌강왕 10년을 전후하여 헌강왕이 양국에 사신을 보낸 것은 헌강왕 후반기 왕위계승권자에 대한 불안감과 관련있다고 하였다. 이에 헌강왕은 왕 10년 觀獵에서 후일 효공왕이 되는 堯의 생모와 野合하였고, 왕 10년 전후 당과 일본과의 외교관계를 통해서는 왕권 강화와 왕실의 안정을 꾀하였다고 보았다.

      • KCI등재

        신라 애장왕대 해인사 창건과 왕실세력의 동향

        정선용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9 한국고대사탐구 Vol.32 No.-

        This paper looks into the background to the foundation of Haeinsa Temple with relation to the royal family during the period of King Ae-jang's reign in the late period of the Silla Dynasty. Built by Suneung Daedeok and Ijeong Seonbaek, Haeinsa Temple belonged to the Hwaeom sect and yet placed emphasis on the Udou-Zen sect. Therefore, unlike other temples of Hwaeom sect during the mid-period of Silla Dynasty that focused on Amitabha Buddha, Haeinsa Temple focused on Vairocana Buddha. In addition, King Ae-jang's royal family was deeply involved in the temple's foundation. Records differ in the sponsorship of Haeinsa: one claims it was built by King Ae-jang and the other, by his grandmother, Seongmok- Wangtaehu. The former record claims that King Ae-jang was motivated by the healing of his wife's incurable disease to order a 'Kuk-in' to establish Haeinsa Temple. The fact is that the 'Kuk-in' was Seongmok-Wangtaehu. Therefore, it is argued that the establishment of Haeinsa Temple was sponsored by Seongmok- Wangtaehu in preparation for her son, Kim Eon-seung, who acted as a regent, against King Ae-jang's direct rule. King Ae-jang's offering of 2,500 gyeol in land for Haeinsa Temple was in fact at the request by the regent power of Seongmok-Wangtaehu and Kim Eon-seung. That explains why King Ae-jang, after he started direct rule, ordered a decree to ban building new temples. The power for direct rule, consisting of King Ae-jang and his mother Queen Soseong, aimed through this decree to control the regent power while reinforcing their direct rule system. 이 논문은 애장왕대 신라 왕실과의 관계 속에서 해인사가 창건된 내막을 살펴본 글이다. 순응대덕과 이정선백에 의해 애장왕 3년(802)에 창건된 해인사는 기본적으로 화엄종 사찰이었지만 중국 화엄종 4대조 징관의 영향으로 우두선을 강조하기도 하였다. 그래서 중대의 화엄사찰이 아미타불을 강조하는 것과 달리, 해인사는 비로자나불 중심의 화엄사찰을 지향하였다. 또한 해인사의 창건은 애장왕대 왕실이 깊이 관여하고 있었는데, 기록상으로는 혹은 애장왕이 혹은 그의 조모인 성목왕태후가 주도했던 것처럼 구별되어 있다. 그렇지만 전자의 경우는 애장왕이 왕후의 난치병을 고친 뒤에 국인을 시켜서 창건한 것처럼 기록하고 있는데, 그 국인은 다름 아닌 성목왕태후였다. 따라서 해인사의 창건에 관여했던 왕실의 단원은 사실상 성목왕태후였다. 그가 해인사를 창건한 것은 자신의 아들이자 당시 섭정이었던 김언승이 애장왕의 친정에 대비하기 위한 대책이었다. 애장왕이 이때 해인사에 전 2,500결을 시납했던 것도 성목왕태후와 김언승을 중심으로 한 섭정세력의 요구에 따른 것이었다. 그래서 애장왕은 친정을 시작한 뒤인 동왕 7년(806)에 도리어 ‘신창불사’를 금하는 교서를 내렸다. 애장왕과 모후인 소성왕비를 중심으로 한 친정세력은 이를 통해 섭정세력을 견제하면서 친정체제를 강화시키려고 했던 것이다.

      • KCI등재

        신라의 冊封儀禮와 그 기능

        채미하(Chai, MiHa) 한국사학회 2017 史學硏究 Vol.0 No.127

        본 글은 신라의 책봉의례가 지니고 있는 정치적 기능을 대내외적으로 검토한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책봉 전후에 행해진 사신의 왕래와 그 의례에 대해 살펴보았다. 혜공왕의 예를 통해 신라는 책봉을 전후하여 당에 고애사와 사은사를, 당은 조제 겸 책명사를 보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효성왕대의 당 사신인 형숙을 통해서 당 황제와 신라 왕이 책봉을 授受하는 과정에서 빈례를 포함한 다양한 의례가 행해졌다고 하였다. 이와같은 책봉을 전후한 시기에 행해진 각종 의례는 당시 정치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었다. 책봉은 중국 중심의 세계질서에 대한 이념으로, 당 황제는 신라 왕에게 책문․관고․정절․예물 등을 보내 당이 천자국(황제국)이며 신라는 제후국(번국)임을 明示하였다. 특히 신라 하대에는 예물을 왕 이하에게도 내렸다. 하지만 신라왕은 당의 책봉을 당연하게 여기고, 책봉을 받은 이후 사은사를 보내지 않기도 하였다. 신라 역시 책봉의 주체국으로 문무왕은 안승을 보덕국왕으로 책봉하였으며, 안승이 문무왕에게 보낸 表는 신라가 당에 보낸 乞罪表와 그 형식이 같았고 애장왕은 탐라의 조공을 받기도 하였다. 이와 같이 신라왕 역시 蕃國을 둠으로써 책봉의 이념을 실현하려고 하였다. 한편 애장왕은 왕 6년에 당의 책봉을 받았고 왕 9년에는 아버지인 소성왕의 책봉조서를 요청하기도 하였다. 그런데 애장왕은 당의 책봉에 앞서 왕비와 왕모를 책봉하고 당의 고애사 겸 책명사를 홀대하였다. 애장왕은 초기부터 대일본외교를 통해 친당 외교 일변도에서 벗어났고 애장왕 5년 대열을 통해 군사권을 장악하면서 왕 6년 親政에 앞서 애장왕 중심으로 권력을 집중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애장왕은 왕비와 왕모를 책봉하였고 당의 고애사 겸 책명사를 홀대할 수 있었다고 하였다. 이후 당은 왕을 비롯하여 왕모 등을 책봉하였지만 애장왕은 당을 견제하였는데, 이것은 일본과의 우호관계 지속이라든가 개혁정치에서 알 수 있었다고 하였다. This thesis is studying the political function that Chaekbong ceremoy had internally and externally. First of all, it is studies about the coming and going of envoys and its ceremony. Seeing the example of King Hyegong, Silla sent Goaesa and Saunsa to Tang around the time of Chaekbong, while Tang sent Chaekmyungsa concurrent Joje. And seeing the example of Tang’s envoy, Hyungsook in king Hyosung period, various ceremonies including Binrye were performed in the course of rendering and receiving Chaekbong between Silla king and Tang emperor. Such ceremonies performed around Chaekbong had political character, and the ceremonies had inseparable relation with Chaekbong. Chaekbong is an idea about Chinese centered order to world, so Tang emperor sent Chaekmun, Gwango, Jeongjeol, Yemul etc. to Silla specifying that Tang is Chenjaguk(emperor country) and Silla is feudal country(Beonguk). But Silla’s kings would take Tang Chaekbong for granted, not sending Saunsa after taking it. And Silla also became a owner of Chaekbong that king Munmu did a Chaekbong to king Bodeokguk, so Pyo sent by Ansung had the same form as Pyo sent from Silla toTang. King Aejang would take Jogong from Tamla. As these showed, Silla’s kings also tried to realize the idea of Chaekbong by placing 번국. In the meanwhile, On his 6th king year, king Aejang took Chaekbong from Tang, and On his 9th king year, he asked for Chaekbongjoseo of his father, king Soseong. However king Aejang did chaekbong to the queen and king’s mother before Chaekbong from Tang and treated Chaekmyeongsa concurrent Goaesa poorly. King Aesjang broke out of pro-Tang foreign policy taking good foreign policy with Japan and seiged military power through his 5 years filing. Seen from this, king Aejang focused ruling power to king himself before his own ruling in his 6th king year. Begining his own ruling on this base, king Aejang did chaekbong to queen and king’s mother and could treat poorly chaekmyeongsa concurrent Goaesa from Tang, and Tang’s chaekbong rendered later was only a formal thing to him.

      • KCI등재

        신라 애장왕대의 종묘개편과 천자 지향

        안주홍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20 嶺南學 Vol.0 No.73

        이 글은 애장왕대의 종묘개편에 반영된 지위 관념을 분석한 글이다. 애장왕대의 개편은 『예기정의』와 대력 14년(779)의 묘의를 참고하여 王肅의 설에 따라, 제후 5묘로서 二昭二穆의 친묘 4를 부묘하고 태종대왕과 문무대왕의 불훼묘를 소목의 수에서 별립한 것이었다. 두 대왕은 여전히 종묘에 모셔진 것이므로, 두 대왕의 별립을 근거로 원성왕계의 확립을 말하기 어렵다. 혜공왕대의 개편으로 태종대왕과 문무대왕은 백제와 고구려를 평정한 大功德으로 대대로 허물지 않는 宗이 되었다. 이는 천자가 功德에 따라 祖宗을 세운 것과 같다. 신문왕 12년(692)의 태종 묘호 논쟁은 조종의 호를 둘러싼 갈등이었다. 태종호에 반영된 천자의식은 혜공왕대의 개편으로 문무왕까지 확대되었다. 조종은 시조와 같은 불훼묘였는데, 이는 시조와 같은 공통의 조상이 된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인식 속에서 원성왕은 ‘조종의 만파식적’을 계승할 수 있었고, 애장왕은 두 대왕을 계속 종묘에 모실 수 있었다. 皇祖, 皇考의 皇은 황제, 皇家를 의미한다. 이는 漢 宣帝가 皇考廟를 설립한 것과 唐 중종이 신룡 원년(705)에 종묘를 복원하며 皇家의 태묘, 皇考, 皇兄이라 표현한 것을 통해 알 수 있다. 애장왕대에 친묘 4를 부묘한 것은 증조 할아버지인 원성왕과 함께 할아버지인 혜충대왕을 계속 모시기 위한 것이었다. 섭정인 김언승은 개편을 통해 원성왕이 구축한 황가가 황조 혜충대왕과 황고 소성대왕으로 이어지는 것을 드러낼 수 있었다. 결국 애장왕대의 개편은 원성왕계라는 왕족의 확립이자 인겸계라는 근친 왕족의 분지화를 꾀한 것이라 하겠다. This text analyzes the Jongmyo reforms that occurred during the second year of the reign of King Aejang (801) and traces the concepts of rank reflected in the reforms. The reforms at the time referred to the discussion on the Jongmyo(廟議) in the 14th year of dali(大曆) of Tang(779) and lijizhengyi(禮記正義) that follows Wang Su(王肅)'s interpretation. Therefore King Taejong and King Munmu were excluded from the number of zhaomu(昭穆). Placed the four shrines of blood relatives(親廟 4) means that the number of the ancestral tablet(廟數) was five royal shrines(諸侯五廟) of two of zhao(昭) and two of mu(穆). The two great kings still was placed the Jongmyo. Therefore it is hard to say that King Wonseong's bloodline was established because their tablet was located in another place. During the reign of King Hyegong, King Taejong and King Munmu became the permanent ancestral tablet(宗) for their great achievements(大功德) in conquering Baekje and Goguryeo. This follows the logic of Giving the name 'Jojong(祖宗)' to ancestors with great achievements in the Cheonja seven shrine system. And Jojong means common ancestor. The dispute of The title Taejong in the 12th year of the reign of King Shinmun (692) was a conflict over the title of Jojong The title Jojong was extended to King Munmu due to the reform of King Hyegong's reign. This perception continued into the reign of Aejang. Hwang(皇) in Hwangjo(皇祖) and Hwanggo(皇考) means emperor and Imperial Family. This can be seen through two things. One is that king Xuandi(宣帝) of Han(漢) built a Hwanggomyo(皇考廟). The other is the discussion on the Jongmyo(廟議) in the first years of Shenlong of Tang(705). It can be said that the reforms were made to maintain the permanent memorial tablets of the two kings, who were common ancestors, while at the same time keeping the memorial tablets of King Wonseong, who was the king's great-grandfather, and King Hyechung, who was the king's grandfather. In the end, through reform, the near-chin royal family called the lineage of Ingyeom(Hyechung) was established within the royal family called the lineage of King Wonseong.

      • KCI등재

        신라 하대 초기 인겸계의 왕위계승과 분열

        권영오 대구사학회 2024 대구사학 Vol.154 No.-

        원성왕의 첫째 아들 김인겸은 원성왕 원년(785)에 태자로 책봉되었으나, 원성왕 7년(791)에 사망하여 즉위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김인겸의 4명의 아들 김준옹(소성왕) · 김언승(헌덕왕) · 김수종(흥덕왕) · 김충공(선강태자)은 모두 국왕으로 즉위하였거나 왕위계승자로 공인되었다. 김인겸(혜충대왕)은 소성왕에서 애장왕 · 헌덕왕 · 흥덕왕· 희강왕 · 민애왕대까지 5묘에 부묘되었고, 당시 왕실의 정신적 구심점이었다. 김언승은 형인 김준옹이 원성왕의 세 번째 태자로 책봉된 이후 김준옹이 맡았던 재상과 병부령을 이어받아 태자를 보좌하였을 뿐만 아니라, 김준옹의 유고에 대비하는 역할을 하였다. 김준옹이 왕위를 계승하여 김언승의 왕위계승 가능성은 낮아졌지만, 김언승은 자신의 정치 권력을 내려 놓지 않았다. 애장왕의 나이가 어려 모후 소성왕비가 섭정을 한다면, 이는 곧 외척 세력의 정치적 등장을 의미했다. 그러나 원성왕대부터 이루어진 왕실 가족의 권력 독점, 권력 장악을 유지한 결과 왕의 숙부인 김언승이 섭정을 하게 되었다. 애장왕의 친정은 인겸계 내에서 왕위를 차지한 소성왕 직계와 인겸계 방계 왕족들 간의 분열과 정치적 갈등을 초래하였다. 결국 이 갈등과 대립은 김언승과 제옹이 애장왕을 살해하고 왕위를 찬탈하는 것으로 끝이 났다. 하대 초기 정치에서는 중대와 달리 외척들의 정치 참여가 두드려 보이지 않는다. 이는 원성왕때부터 왕실친족집단원 중심의 정국 운영과 하대 초기 왕위를 독점한 인겸계의 근친혼에 그 이유가 있었다. 그러나 원성왕이나 김인겸이라는 구심점이 사라졌을 때 하대 초기 왕실은 분지화된 가계를 단위로 분열하고 대립하였다. 인겸계의 근친혼도 국왕 직계와 방계 왕족 간의 갈등을 불러오고 다른 진골귀족과 왕실을 고립시켰다. King Wonseong(元聖王)’s first son, Kim In-gyeom(金仁謙), was installed as the crown prince in the first year of King Wonseong(785), but he died in the seventh year of King Wonseong(791) and failed to be a king. However, all four sons of his either ascended the throne or were recognized as successors to the throne. In five shrines from King Soseong(昭聖王) to King Minae, ancestral rites were held for Kim In-gyeom (= Hyechungdaewang). Kim In-gyeom was the spiritual center of the royal family at that time. After his older brother, Kim Joon-ong, was appointed as the crown prince of King Wonseong, Kim Eon-seung(金彦昇) assisted him serving as Jaesang(宰相) and Byeongburyeong(兵部令), too. It also played roles in preparing for Kim Jun-ong’s possible death. Kim Eon-seung’s chances of succeeding the throne decreased as Kim Jun-ong succeeded to the throne, but Kim Eon-seung did not give up his political power. Unlike the middle period, the political participation of maternal relatives was not noticeable in the early period of late Silla dynasty. From the reign of King Wonseong, the political situation of the royal family’s monopoly of power and seizure of power continued. As a result, King Aejang(哀莊王) was crowned at a young age, but the king’s uncle, Kim Eon-seung, ruled as regent instead of the king’s mother, Mrs. Gyehwa. King Aejang’s family home caused division and political conflict between the immediate family of King Soseong who took the throne within the In-gyeom lineage and the collateral royal families of the In-gyeom lineage. Eventually, this conflict and confrontation ended with Kim Eon-seung and Je-ong killing King Aejang and usurping the throne.

      • KCI등재

        신라 하대초기 왕실여성의 책봉과 의미

        이현주(Lee, Hyun-ju) 신라사학회 2018 新羅史學報 Vol.0 No.42

        신라 하대는 선덕왕부터 경순왕에 이르는 시기를 말한다. 신라 하대초기 (선덕왕~헌안왕), 그 중에서도 선덕왕~흥덕왕에 이르는 시기는 원성왕계의 독점적인 왕위계승이 이루어진 동시에 원성왕계 사이의 왕위쟁탈전도 격심 했던 시기이다. 이 시기의 왕위계승을 둘러싼 갈등은 왕실여성, 그 중에서도 왕의 母와 妻의 칭호와 지위에도 영향을 미쳤다. 원성왕은 즉위 직후에 그의 직계 4조와 그의 모인 박씨를 추봉하고, 왕태자를 추봉하였다. 또한 五廟制를 개정하였다. 원성왕은 부계적 정통성을 세움으로써 왕위의 정당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원성왕과 김원량-김신술 세력은 母와 妻를 매개로 한 친인척 관계로, 원성왕의 즉위를 지지한 세력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성왕의 어머니와 부인에 대한 기록이 파편화되거나 멸실되었는데, 그 이유는 원성왕이 부계적 정통성을 강조함으로써 왕권의 정당성을 구축하고자 하였기 때문이었다. 이는 하대왕후의 위상과도 연관되었다. 하대 초기의 왕후 책봉은 태자 책봉 이전에 이루어졌는데, 이는 正妃가 낳은 태자에게 왕위계승의 정당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이었다. 신라 하대의 왕후책봉과 위상은 차기왕위계승권자인 태자와 연동된 사안이었다. 또한 신라 하대초기에는 당이 신라의 왕실여성을 책봉하는 일이 빈번하게 이루어졌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당의 책봉은 기본적으로 정치적 행위였다. 당의 입장에서는 주변국 군주에게 爵號를 내림으로써 중국과 주변국과의 왕과 신하의 관계를 설정하는 것이었다. 신라의 입장에서는 당의 책봉을 통해 왕권의 정통성 내지는 왕권을 유지하고자 의도하였다. 당의 책봉을 통해 왕권의 정당성을 인정받고 싶어 했던 것이다. 당이 신라의 왕뿐만 아니라 왕모 및 왕비에게 빈번하게 책봉하였던 것은 이와 같은 상황에서 기인한 것이었다. 당으로부터 신라왕의 어머니까지 책봉을 받았던 것은 소성왕, 애장왕, 헌덕왕, 흥덕왕에 한정된다. 원성왕과 애장왕은 五廟制를 직계 4祖로 개편하여 그를 통해 부계의 수직적 계통성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원성왕의 손자인 소성왕과 헌덕왕, 흥덕왕은 어머니가 동일하고, 소성왕의 아들인 애장왕만 어머니가 다르다. 헌덕왕과 흥덕왕은 조카인 애장왕을 죽이고, 왕으로 즉위한 이들이다. 즉 소성왕, 애장왕, 헌덕왕, 흥덕왕은 모두 원성왕계로 父系적 지지기반이 동일하다. 따라서 헌덕왕과 흥덕왕은 왕권의 정당성을 위하여 부계적 정통성은 물론 당의 책봉을 받은 왕모의 위상 역시 필요하였던 것이다. 이처럼 하대 초기의 원성왕계는 왕위의 정당성이 부족하였다. 이를 위하여 내부적으로는 父母를 追封하여 왕실 직계의 위상을 높여서 부계적 정통성을 내세웠고, 외부적으로는 당의 王母책봉을 받음으로써 왕권을 정당화 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新羅 哀莊王代의 政治變動과 金彦昇

        최홍조 한국고대사학회 2004 韓國古代史硏究 Vol.34 No.-

        King Aejang(哀莊王 : 800-809), the 40th king of the Silla dynasty(新羅), ascended the throne at the age of 13, was under the regency of Kim Eon-seung(金彦昇), his uncle, for some time, and was killed by rebels led by Kim after 10 years of his reign. Although it was relatively short, his period of reign witnessed important political upheavals including a series of political reforms. The intent of this study is to examine political upheavals and changes during the period of King Aejang's reign. Kim Eon - seung, who defeated King Aejang's mother to become the regent, was the strongest man in politics at that time. He had started his political activity from the period of King Wonseong(元聖王). It seems that his regency ended in 805, when King Aejang began to rule in his own right. Generally speaking, the regent meant a man or a woman who ruled in behalf of the legitimate but young king for some time, usually until the king came of age. In other words, the regent was a temporary, proxy ruler. King Aejang seemed to rule in his own right from 805, on the sixth year of his reign. It was usually at the beginning of king's accession to the throne that Chinese Tang(唐) emperors invested Silla kings with kings, who in turn invested their mothers and wives with great queens and queens. It was the sixth year of his reign that King Aejang was invested with king by the Tang emperor and he invested his mother and wife with great queen and queen. These investiture ceremonies were as good as the kings accession to the throne in political implications, suggesting that the king started ruling in his own right free from Kim Eon - seung's regency. King Aejang reviewed his troops on the fifth year of his reign. Because king's review of his troops symbolized his authority as commander - in chief of all troops, King Aejang's action was intended to strengthen his regal power. Since then, he newly built and repaired his crown princes palace, which revealed his intention that his young son should legitimately succeed him. Following these actions, he dispatched an envoy to Chinese Tang and asked the Tang emperor to invest him with Silla king. After he began to rule in his own right, King Aejang carried out a series of political refonns for new politics. He redressed the central administrative system, reorganized the local government, and tightened the control of Buddhism. The reformation by King Aejang to reorganize the ruling system and strengthen his regal power seemed to be led by kings own political forces. It was quite natural that regent Kim Eon - seung should resist his nephew's behavior and conflict with him. Finally, in the tenth year of King Aejang's rule, Kim Eon - seung killed the king and ascended the throne as King Heondeok(憲德王), the 41st king of Silla.

      • KCI등재

        안정복의 신라 국가제사에 대한 이해와 그 의미

        채미하 ( Chai Mi-ha ) 한국실학학회 2016 한국실학연구 Vol.0 No.32

        『동사강목』 선덕왕 4년조의 내용은 신라 국가제사 중 종묘제와 관련된 내용을 제외한 것을 정리한 것으로, 선덕왕 4년에 신라의 사직단이 설치되고 祀典이 정비되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선덕왕 4년의 사직단 설치와 祀典 정비에 대한 내용은 『삼국사절요』에 바탕한 것으로, 『삼국사절요』의 내용은 『삼국사기』 제사지 신라조와는 다른 전거에 의한 것이라고 하였다. 그런데 『삼국사절요』는 선덕왕대 정비된 祀典의 내용이 『삼국사기『제사지 신라조와 같은 반면 『동사강목』은 두 사서와 다르게 보았다. 안정복은 신라의 종묘제는 시조묘 신궁 오묘로, 이 중 시조묘는 오랑캐의 풍속으로 보아 신궁이 설치되면서 그것을 대체하였다고 이해하였다. 신궁의 주신은 혁거세로, 혁거세는 신문왕대 오묘의 태조로 모셔졌다. 이것은 안정복이 기왕의 신궁 제사를 염두에 두면서 신문왕대의 오묘를 이해하였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이와 같은 신문왕대의 오묘는 혜공왕대 김성 시조를 모심으로써 신라의 오묘가 始立되었고 애장왕대는 別廟를 설치하여 오묘를 更定하였다고 보았다. 그리고 혜공왕대 김성 시조를 모시는 오묘가 始立되면서 신궁제사와 석탈해에 대한 제사는 그 위상에 변화는 있었지만, 신라 내내 행해졌다고 하였다. 이와 같이 안정복은 신라 국가제사를 종묘와 사직을 중심으로 이해하였다. 이것은 당시 조선시대 지식인의 현실인식에 바탕한 것으로, 신라 국가제사체계인 祀典에 대한 이해도 마찬가지였다. 신라의 사전은 대 중 소사로 나누어져 있는데, 『삼국사기』 제사지 신라조와 『삼국사절요』에는 명산대천만으로 되어 있다. 하지만 안정복은 팔자 제사 이하의 농경제사와 삼산 오악 이하의 명산대천제사, 사성문제 이하의 기타제사가 포함되었다고 하였다. 안정복의 신라 종묘제에 대한 이해는 신라의 3姓交立, 이사금기의 왕위 계승을 긍정적으로 이해하면서 김씨왕실의 오묘제와 박씨 석씨의 시조 제사에 대한 系統을 세웠다고 보았다. This study is about understanding and its meaning on national rites in Silla by Ahn Jeongbok. The queen Seondeok`s 4th year records in Dongsagangmok had written about national rites but it had excluded of Jongmyoje, and also Sajikdan was established and Sajeon was organized in that year. Such establishment of Sajikdan and organization of Sajeon in Seondeok`s 4th year was based on Samgooksajeolyo, and its contents was referred by the different basis from Samgooksagi Jesaji Sillajo. However Samgooksajeolyo had the same contents about Sajeon organized at Queen Seondeok period with Samgooksagi Jesaji Sillajo while Dongsagangmok had different point of view. Anjeongbok thought Silla`s Jongmyo system consisted of Sijomyo, Shingung, Omyo and Sijomyo was regarded ceremony of barbarians and replaced by Shingung when it was established. The main god of Shingung was Hyeokgeose, who had been enshrined as Taejo of Omyo at king Shinmun period. This was because Anjeongbok understood Omyo of king Shinmun period with keeping the previous Shingung rites in mind. Omyo was established from enshrining Kim`s first ancestor at king Hyegong period since the Omyo of king Shinmun period and revised with setting up Byulmyo at king Aejang period. Implementing Omyoje that enshrines Kim`s first ancestor at king Hyegong period, Shingung rites and rites for Seoktalhe had to have some change in their staus, they were performed through Shilla dynasty. As above Anjeongbok understood national rites of Silla mainly Jongmyo and Sajik. This was based on realistic viewpoint of the intellegents of Joseon dynasty those days and Sajeon which was the national rites system was understood as the same way. Sajeon of Silla dynasty was devided into Tae. Joong. So-sa, only Myeongsandecheon was contented in Samgooksagi Jesaji Sillajo and Samgooksajeolyo. However Anjeongbok thought they included that agricultural rites under Palja rites, Myeongsandecheon rites under Samsan.Oak and the other rites under Saseongmunje were included. Anjeongbok`s understanding about Jongmyoje of Silla was that he positively understood about Silla`s three surnams gyolip, the thrones of Yisakum period and it led to establishing the systems of Omyoje of Kim`s royal family as well as Sijo rites for Park`s and Seok`s first ancestors.

      • KCI등재

        애장왕대 ‘新創佛寺’ 금지령과 그 의미

        이민주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20 민족문화논총 Vol.75 No.-

        The early 9th century was a period when the late Silla era(下代) had just begun, and it was a time when the whole society was not properly maintained. King Wongseong, who practically reformed the late Silla era (下代), tried to strengthen his kingdom by serving his prince because he was abnormally crowned. However, unlike his willing, Silla society in the late 8th c entury to early 9th c entury was politic ally very c onfused. Apart from the political situation, there was a peculiar phenomenon in Buddhism at this period. Monuments were built to establish temples or memorials of the ancient monarchs around King Wonseong. Before the crowning of King Wonseong, the father and mother of King Wonseong built Mujang Temple(鍪藏寺) and Galhang Temple(葛項寺), and their descendants continued to do Buddhist activities even after they came to the throne. King Ejang, who banned Shinchangbulsa(新創佛寺), also founded Haein Temple in his third year of reign(802). A year earlier, Gyeonghwa(桂花夫人), the mother of King Ejang, also built Amitabha in the Mujang Temple(鍪藏寺) worship her husband. The ancestors of King Wonseong were the forces that were pushed out of the mainstream throughout the middle period of Silla(中代). The middle period of Silla(中代) was a period in which power was secured around the direct descendants of King Muyeol, and the forces that were pushed out of the mainstream were born. Kim Kyungshin(King Wongseong) set up a transitional period for his ascension by placing King Yangsang(King Seondeok), who is close to the royal family at that time, in the confused gap of the King Hyegong. King Seondeok dies without aftermath and defeated Kim Joowon, eventually himself became the king. Therefore, King Wongseong had to present the vision of a new Silla society different from the previous era. It was Buddhism that King Wongseong presented as a vision of a new society. King Wongseong had to claim that the late period of Silla(下代) was different from the middle period of Silla(中代) and in that way, he pursuit the Middle-Ancient period of Silla(中古期). It is a remembranc e phenomenon of Lee Chadon, Ado, Wonhyo and Shinheng. So, the prohibition of Shinchangbulsa(新創佛寺) in the 7th year of King Ejang (806) can also be understood in the same context as the policy of King Wonseong. The time of prohibition of Shinchangbulsa(新創佛寺) and the time when remembrance was made about Lee Chadon(異次頓), Ado(阿道), Wonhyo(元曉) and Shinheng(神行) were same period. In addition, the ban on the usage of luxury goods, along with the prohibition of the Shinchangbulsa(新創佛寺), was intended to control the ec onomic base of the Jingol aristoc rats. This was due to the lac k of justification for the right of kings who had suffered in common with kings of the late period of Silla(下代) including King Wonseong. Because they were all threatened by kingship for different reasons, there were forces that threatened their throne. By regulating them, we can see that the intention was to increase the king's authority by distinguishing the king from the Jingol(眞骨) aristocra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