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초등학생 학부모를 위한 식품첨가물(아질산, 아황산)의 Risk Communication 매체 개발

        권대희,최성희,김정원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0 實科敎育硏究 Vol.16 No.3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어린이들이 선호하는 햄, 소시지, 마른 과일 등의 가공식품에 사용되는 식품첨가물인 아질산·아황산에 대한 인식 및 정보요구도를 조사하여 아질산·아황산에 대하여 올바른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정보 전달 매체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아질산·아황산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2009년 4월, 서울, 경기지역 초등학교 5, 6학년 학부모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학부모들은 식품첨가물의 안전성에 대해 가장 염려하고 불안해하는데 반해, 실제 섭취량은 ADI(1일섭취허용량: 사람이 어떤 물질을 일생 동안 매일 먹더라도 유해한 작용을 일으키지 않는 하루 체중 1kg당 섭취량)에 훨씬 못 미치는 안전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결과를 바탕으로 브레인스토밍 및 전문가 자문을 통해 위해 정보 전달 매체인 ‘Smart Mom-아황산·아질산 바로알기’ 매체 및 e-book을 개발하였으며, 다음의 내용을 포함하였다. 첫째, 식품첨가물에 대한 기초적인 정보 제공을 위해 식품첨가물의 의미, 식품첨가물의 종류가 증가하는 이유, 엄격한 안전성 실험, 식품성분표시 읽기를 담았다. 둘째, 초등학생들의 건강한 식생활을 주도하고 있는 학부모들의 관심을 고려하여 아질산·아황산 함유 식품, 엄마표 홈메이드 소시지 만들기, 첨가물을 줄일 수 있는 조리법을 담았다. 셋째, 학부모들의 막연한 불안감을 해소하고 식품첨가물에 대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얻을 수 있게 안내하기 위해 1일섭취허용량(ADI) 알아보기, 알아 두면 유용한 사이트를 담았다. 학부모 대상 현장 시범 적용을 통해 개발 된 매체의 이해도와 만족도를 평가한 결과, 매체의 내용이 식품첨가물에 대한 올바른 지식을 얻고, 식품의 안전성에 대한 의식을 높이며 아질산·아황산에 대한 올바른 태도를 형성하는데 기여하였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매체는 초등학교 학생을 자녀로 둔 학부모들에게 식품첨가물과 아질산·아황산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가질 수 있는 정보 전달 매체로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risk communication materials on food additives (nitrite, sulfur dioxide) for the parent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Nitrite and sulfur dioxide are the food additives used in ham, sausage and dried fruits which are the favorite processed foods of children. A survey was conducted from 350 parents whose children attended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d their perception and information demand on food additives were analyzed focused on nitrite and sulfur dioxide. Although the parents were very concerned about the safety of food additives, the consumption levels through processed food, were far below the ADI. Based on the survey results, a booklet called 'Smart Mom - sulfur dioxide and nitrite' was developed, and the contents included the following: the meaning and kinds of food additives, how to read food ingredient label, how to reduce food additives during cooking, ADI (Acceptable Daily Intake), useful web site to resolve a fear and getting sound information on food additives, etc.. When the developed risk communication booklet was applied to 90 parents as a dietary educational material, the results were very satisfactory, which suggested the effectiveness of the material. Therefore, the developed material 'Smart Mom - sulfur dioxide and nitrite' could be used to facilitate the risk communication on food additives for parents who have great interests on their children's dietary life by providing sound information on food additives.

      • KCI등재

        식품첨가물(아황산․아질산)에 대한 초등학생용 교육정보 매체 개발 및 평가

        양상희(Sang-Hee Yang),김정원(Jeong-Weon Kim) 한국실과교육학회 2010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3 No.1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어린이 기호가공식품인 햄, 소시지, 말린 과일 등에 사용되는 식품첨가물인 아황산․아질산에 대한 인식과 섭취실태 및 정보 요구를 파악하여 아황산․아질산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위해 정보 전달 매체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2009년 3월부터 아황산․아질산에 관한 선행 연구 자료를 분석하고, 서울 및 수도권 소재 초등학교 5, 6학년 남녀학생 341명을 대상으로 사전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학생들의 인식과 정보 요구를 분석하였다. 가공식품 섭취빈도조사 결과 설문대상자들의 아황산․아질산 섭취수준은 1일허용섭취량에 크게 미치지 못하는 수준으로 나타났다.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전문가 협의 과정을 거쳐 정보 전달 매체인 ‘GO! 애디스쿨! 말린과일․소시지 등에 들어있는 아황산․아질산 바로 알기’ 책자를 과학잡지의 형태로 개발하였다. 책자에서 제공한 내용은 아황산․아질산에 대한 기초적인 정보를 만화의 형태로 흥미있게 구성하였으며, 1일섭취허용량의 개념과 계산, 이야기식 설명 등의 내용을 담았다. 또한 어린이 식생활 실천 지침과 식품구성탑에 대한 정보를 실어 안전하고 건강한 식생활에 대한 안내를 하였으며,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수준에 맞춘퀴즈, 인터넷을 이용하여 유용하게 학습할 수 있는 사이트 소개의 정보를 제공하였다. 개발된 매체를 시범 적용하여 설문을 통해 평가해 본 결과,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에게 아황산․아질산에 대한 올바른 지식을 전달하고 식품 안전성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함양시키기 위한 연구 목적을 충실히 달성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매체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에게 식품첨가물과 아황산․아질산에 대한 이해를 돕고, 식생활 교육에 효과적인 식품 안전 정보 전달 매체로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향후 식품첨가물 위해 정보 전달 매체 개발에 있어 기초자료로도 활용 가능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risk communication materials on sulfur dioxide․ nitrite for elementary students based on the perception and the intake condi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food additives. From March 2009,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was conducted, and a survey was conducted to diagnose the current perception and information needs of elementary students on food additives including sulfur dioxide․nitrite from 341 students in Seoul and metropolitan area. Unlike the fear against food additives, the elementary students intake level of sulfur dioxide․nitrite was very lower than ADI level. Based on the results, the contents on sulfur dioxide․nitrite were developed as a science magazine form by brainstorming and consultation by experts. The material developed was titled as Go! Addy school! Understanding rightly of sulfur dioxide․nitrite and contained the comics of basic information, definition and calculation of ADI, scientific stories on food additives, usage of sulfur dioxide․nitrite, quizzes, introducing useful web sites, etc. When the material developed was evaluated by elementary students, very positive effects of risk communication including understanding on sulfur dioxide․nitrite and raising good attitude to food additives were observed. Therefore, the material developed could achieve its purpose to assist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ving proper perception on sulfur dioxide․nitrite and be widely used as effective materials in dietary education. Also it could facilitate the risk communication on sulfur dioxide․nitrite and elementary dietary education, and further contents should be developed on other food additives.

      • KCI등재

        식품첨가물(아황산․아질산)에 대한 초등학생용 교육정보 매체 개발 및 평가

        양상희,김정원 한국실과교육학회 2010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risk communication materials on sulfur dioxide․nitrite for elementary students based on the perception and the intake condi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food additives. From March 2009,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was conducted, and a survey was conducted to diagnose the current perception and information needs of elementary students on food additives including sulfur dioxide․nitrite from 341 students in Seoul and metropolitan area. Unlike the fear against food additives, the elementary students' intake level of sulfur dioxide․nitrite was very lower than ADI level. Based on the results, the contents on sulfur dioxide․nitrite were developed as a science magazine form by brainstorming and consultation by experts. The material developed was titled as 'Go! Addy school! Understanding rightly of sulfur dioxide․nitrite' and contained the comics of basic information, definition and calculation of ADI, scientific stories on food additives, usage of sulfur dioxide․nitrite, quizzes, introducing useful web sites, etc. When the material developed was evaluated by elementary students, very positive effects of risk communication including understanding on sulfur dioxide․nitrite and raising good attitude to food additives were observed. Therefore, the material developed could achieve its purpose to assist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ving proper perception on sulfur dioxide․nitrite and be widely used as effective materials in dietary education. Also it could facilitate the risk communication on sulfur dioxide․nitrite and elementary dietary education, and further contents should be developed on other food additives.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어린이 기호가공식품인 햄, 소시지, 말린 과일 등에 사용되는 식품첨가물인 아황산․아질산에 대한 인식과 섭취실태 및 정보 요구를 파악하여 아황산․아질산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위해 정보 전달 매체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2009년 3월부터 아황산․아질산에 관한 선행 연구 자료를 분석하고, 서울 및 수도권 소재 초등학교 5, 6학년 남녀학생 341명을 대상으로 사전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학생들의 인식과 정보 요구를 분석하였다. 가공식품 섭취빈도 조사 결과 설문대상자들의 아황산․아질산 섭취수준은 1일허용섭취량에 크게 미치지 못하는 수준으로 나타났다.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전문가 협의 과정을 거쳐 정보 전달 매체인 ‘GO! 애디스쿨! 말린과일․소시지 등에 들어있는 아황산․아질산 바로 알기’ 책자를 과학잡지의 형태로 개발하였다. 책자에서 제공한 내용은 아황산․아질산에 대한 기초적인 정보를 만화의 형태로 흥미있게 구성하였으며, 1일섭취허용량의 개념과 계산, 이야기식 설명 등의 내용을 담았다. 또한 어린이 식생활 실천 지침과 식품구성탑에 대한 정보를 실어 안전하고 건강한 식생활에 대한 안내를 하였으며,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수준에 맞춘 퀴즈, 인터넷을 이용하여 유용하게 학습할 수 있는 사이트 소개의 정보를 제공하였다. 개발된 매체를 시범 적용하여 설문을 통해 평가해 본 결과,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에게 아황산․아질산에 대한 올바른 지식을 전달하고 식품 안전성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함양시키기 위한 연구 목적을 충실히 달성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매체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에게 식품첨가물과 아황산․아질산에 대한 이해를 돕고, 식생활 교육에 효과적인 식품 안전 정보 전달 매체로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향후 식품첨가물 위해 정보 전달 매체 개발에 있어 기초자료로도 활용 가능할 것이다.

      • KCI등재

        고정(固定) 흡착층(吸着層)에서 망간단괴(團塊)의 $SO_2$ 가스 흡착(吸着) 특성(特性)에 관한 연구(硏究)

        백미화,김동수,정선희,박경호,Baek, Mi-Hwa,Kim, Dong-Su,Jung, Sun-Hee,Park, Kyoung-Ho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06 資源 리싸이클링 Vol.15 No.4

        망간단괴를 흡착제로 활용하고자 망간단괴에 대한 아황산가스의 흡착실험을 수행하였다. EGME 흡착법에 의해 측정한 망간단괴의 비표면적은 약 $221.5m^{2}/g$ 정도의 수치를 보였으며, 망간단괴의 화학조성을 살펴본 결과 58% 이상을 Mn이 차지함을 알 수 있었고 아황산가스 흡착 후 S의 함량은 15.4%로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아황산가스로 흡착된 망간단괴를 증류수 및 메탄올로 세척하여 EPMA를 분석한 결과 S의 함량이 각각 14.7% 및 13.1%로 약간 감소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망간단괴의 X-선 회절 스펙트럼을 통해 망간단괴는 망간 산화물인 Todorokite 와 Bimessite 그리고 실리콘 산화물인 Quartz 및 칼슘 알루미늄 산화물인 Anorthite 로 판명되는 약한 peat 만이 나타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아황산가스로 흡착시킨 후 망간단괴의 X-선 회절 스펙트럼은 약간의 변화를 나타냈으며 $MnSO_{4}$로 판명되는 약한 피크를 확인할 수 있었다. 타흡착제로 사용한 석회석에 대한 아황산가스의 흡착반응은 $CaSO_{4}$의 생성을 야기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흡착제의 입자 크기가 증가할수록 파과시간은 감소하고 망간단괴에 대한 아황산가스의 흡착량 또한 감소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아황산가스의 유량이 증가할수록 흡착량은 감소함을 보였고, 타흡착제로 사용한 석회석은 망간단괴에 비해 단위 g당 흡착되는 양이 작았으며 석회석과의 혼합은 망간단괴에 대한 아황산가스의 흡착량 향상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반응온도가 증가할수록 같은 반응시간동안 망간단괴에 흡착된 아황산가스의 양은 감소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he feasibility for the employment of manganese nodule as an adsorbent for $SO_{2}$ gas has been investigated. The specific surface area of manganese nodule particle, which used in the experiments, was ca. $221.5m^{2}/g$ and the content of sulfur in manganese nodule was observed to significantly increase after $SO_{2}$ was adsorbed on it. The EPMA for the distilled water-washed and methanol-washed manganese nodule particle after $SO_{2}$ adsorption showed that its sulfur content was slightly decreased to 14.7% and 13.1% respectively, from 15.4% before washing. The XRD analysis of manganese nodule showed that todorokite and birnessite, which are manganese oxides, and quartz and anorthite were the major mineralogical components and weak $MnSO_{4}$ peaks were detected after $SO_{2}$ was adsorbed on manganese nodule. For an comparative investigation, limestone was also tested as an adsorbent for $SO_{2}$, however, no peaks for $CaSO_{4}$ were found by XRD analysis after the adsorption of $SO_{2}$. As the size of adsorbent increased, time for breakthrough was decreased and the adsorbed amount of $SO_{2}$ was also diminished. The $SO_{2}$ adsorption was hindered when its flow rate became high and the adsorption capacity of manganese nodule was observed to be superior to that of limestone. In addition, the mixture of manganese nodule and limestone did not show an increase in the adsorption of $SO_{2}$. Finally, as the temperature was raised, the adsorbed amount of adsorbate on manganese nodule was found to be decreased.

      • KCI등재

        중국의 대기오염 배출 결정요인에 대한 경험적 분석

        리드미트리 ( Dmitriy D Li ),왕웬 ( Wang Wen ),배정환 ( Bae Jeong Hwan ) 한국환경경제학회·한국자원경제학회(구 한국환경경제학회) 2020 자원·환경경제연구 Vol.29 No.1

        중국의 급속한 경제성장은 환경에 커다란 부하를 초래하였고, 이를 통해 대기오염 문제도 심각해졌다. 본 연구는 중국의 대기오염 원인을 경험적으로 분석하였다. 표준오차 패널수정 추정기법(PCSE)을 이용하여 중국의 30개 성을 대상으로 아황산가스 및 질소산화물의 배출요인을 분석하였다. 아황산가스의 경우 일인당 실질소득이 증가할수록 배출 수준이 감소하고, 질소산화물은 일인당 실질소득과 역N자형의 관계에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소득 이외의 배출요인으로 우선 전기소비량은 아황산가스나 질소산화물을 증가시키는 요인이었고, 석탄소비량은 아황산가스 배출을 증가시키는 반면에 천연가스 소비량은 아황산가스 배출을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한편 에너지 산업에 대한 투자와 폐가스처리에 대한 투자는 아황산가스 배출을 감소시키는 결정요인이지만 질소산화물 배출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디젤 소비량, 트럭 비율 및 차량 수는 질소산화물 배출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수량의 증가도 아황산가스와 질소산화물의 배출을 감소시킨 요인이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정책적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rapid economic growth has brought tremendous pressure on the environment and caused severe air pollution in China.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causes of air pollution in China. Panel-corrected standard errors procedure (PCSE) was used to analyze major determinants of increasing or reducing emissions of sulfur dioxide (SO<sub>2</sub>) and nitrogen oxides (NO<sub>X</sub>) in 30 Chinese provinces. The estimation results show that SO<sub>2</sub> emission is mitigated as per capita regional GDP increases, but the relation between emission of NO<sub>X</sub> and per capita regional GDP is found to have an inverse N-shaped curve, which implies that emission of NO<sub>X</sub> is ultimately expected to decline with economic growth. As for increasing factors of air pollutants, electricity consumption is a significant common source of SO<sub>2</sub> and NO<sub>X</sub> emissions. Moreover, the results show that increment of coal consumption significantly affects emission of SO<sub>2</sub> while increase of natural gas consumption reduce emission of SO<sub>2</sub>. On the other side, investment in energy industry, and investment on treatment of waste gases are determinants of mitigating emissions of SO<sub>2</sub>, but have no impact on NO<sub>X</sub>. Consumption of diesel, truck ratio and number of vehicles increase emission of NO<sub>X</sub>. Meanwhile, higher precipitation rate is a common determinant of mitigating emissions of SO<sub>2</sub> and NO<sub>X</sub>. Policy implications are suggested in the conclusion.

      • KCI등재

        Marginal Abatement Cost of SO₂ Emission Reduction of the US Phase I Generating Units

        Dong-Woon Noh(노동운) 에너지경제연구원 2003 에너지경제연구 Vol.2 No.1

        미국의 261개 제1단계 아황산가스 배출규제대상 발전기는 1990년 대기정화법에 의해 아황산가스 배출을 제1단계 기간(1995-1999)에 백만BTU연료소비당 2.5파운드까지 감축해야 한다. 제1단계에는 아황산가스 배출권 거래제도가 도입되었기 때문에 동 제도가 효율적이라면 발전기 및 저감수단별 한계저감비용(MAC)은 배출권의 시장가격과 일치할 것이고 저감수단별 차이도 없을 것이며, 따라서 발전기는 최소 비용의 배출저감을 실현했을 것이다. 그러나l 배출권 거래의 제한 등과 갈은 부적절한 규제나 불확실성으로 인해 저감비용이 최소화되지 못했을 가능성이 있다. 본 논문은 미국의 제1단계 규제대상 발전기의 비용함수를 추정하고, 추정계수를 이용하여 각 저감수단별 한계저감비용을 계산했다. 추정결과에 의하면연료전환수단과 배출권구매수단을 채택한 발전기 그룹의 한계저감비용(각 $88/SO2, $77/SO2)은 배출권의 실제 시장가격($82/SO2)과 큰 차이가 없지만 탈황수단과 기타수단 ($621/SO2, $1420/SO2)은 배출권의 시장가격을 크게 상회한 것으로 나타났다. 배출권의 shadow가격은 실제 배출권의 시장가격보다 훨씬 높게 추정됨에 따라 배출권 거래제도의 이용도가 낮아 비효율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배출권 거래 제도를 제한했던 주정부의 규제로 인해 아황산가스의 한계저감비용은 효율적인 배출권거래 제도하에서의 비용에 비해 높고 사회적 저감비용도 증가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 KCI등재

        역삼투 공정에 적용 가능한 시판 염소중화제의 효율 비교

        윤지수(Zi Sue Yoon),이원태(Wontae Lee) 대한환경공학회 2022 대한환경공학회지 Vol.44 No.4

        목적: 역삼투 공정에 주로 사용되는염소중화제인 아황산수소나트륨(SBS)의 경우 사용시 악취 문제가 발생하여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중화제를 찾고자 하였다. 방법: 경제성, 사용편의성, 생태독성 등을 고려하여 후보군(메타중아황산나트륨(SM), 티오황산나트륨(ST), 아황산나트륨(SS))을 선정하고 유기물 유무에 따른 잔류염소의 변화, 염소중화제별 적정 주입량 비교, 염소 중화시 처리수의 pH에 따른 영향 등을 실험하였다. 결과 및 토의: 염소중화제 주입시 이론적 염소제거 지점에서 염소가 전부 제거되지 않고 약 10~40%가량 남았다. 평가된 세 가지 중화제 모두 초순수를 이용한 실험에서 이론적 주입량보다 1.6~2.6배(ST 1.6배, SM 1.9배, SS 2.6배) 많은 양을 주입해야 염소를 완전히 중화할 수 있었다. 수돗물을 이용한 실험에서는 1.8~3.1배(ST 1.8배, SM 2.2배, SS 3.1배) 많은 양을 주입해야 한다. 주입량만 고려하면 염소 중화를 위한 처리수의 pH가 9 이상이면 ST를 사용하고 pH 9 이하이면 SM을 사용하는 것이 염소제거에 효율적이다. 결론: 제품 가격과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한다면 악취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ST를 염소중화제로 사용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Objectives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find a promising dechlorination chemical which can replace sodium bisulfite (SBS), which is mainly used as a dechlorination agent in reverse osmosis processes but can cause odor issues. Methods : Candidate chemicals wer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economic feasibility, ease of use, and toxicity. These included sodium metabisulfite (SM), sodium thiosulfate (ST), and sodium sulfite (SS).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organic matters in water on residual chlorine decomposition and compared the appropriate injection amounts for each dechlorination chemicals. Also, the effect of the pH of treated water upon dechlorination was assessed. Results and Discussion : Upon injection of dechlorination chemicals at the theoretical chlorine removal point, the chlorine was not completely removed but 10% to 40% remained. In ultrapure water, it was possible to completely dechlorinate by injecting 1.6 to 2.6 times more than the theoretical injection amount: 1.8, 2.2, and 3.1 times more for ST, SM, and SS, respectively. Considering only the injection amount, ST is an efficient dechlorination chemical for water with pH 9 or higher, and SM is for pH 9 or less Conclusion : Considering the product price and user convenience, it is feasible to use ST, which can resolve the odor problem.

      • KCI등재

        Alamine336에 추출(抽出)된 염화(鹽化) 제 2철(鐵)의 무기산용액(無機酸溶液)에 의한 탈거(奪去)

        이만승,채종귀,Lee, Man-Seung,Chae, Jong-Gwee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08 資源 리싸이클링 Vol.17 No.5

        Alamine336에 추출된 염화 제 2철의 탈거실험을 위해 아황산과 염산 및 황산용액의 농도와 탈거조건을 변화시키며 탈거실험을 수행했다. 염산과 황산용액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철의 탈거율은 감소했으나, 아황산용액의 경우에는 3M의 농도범위에서 산의 농도에 따라 탈거율이 증가하였다. 탈거온도가 증가하면 아황산용액에 의한 철의 탈거율은 감소하나, 염산용액의 경우에는 탈거율이 증가하였다. 0.5M의 철이 함유된 유기상으로부터 O/A=1/10의 조건에서 0.1 M의 염산의 경우에는 3단에 의해, 0.1M의 황산용액으로는 4단에 의해 0.05M농도의 철이 탈거된 용액을 얻을 수 있는 것을 등온탈거곡선으로부터 알 수 있었다. Stripping experiments of iron from the loaded Alamine336 by sulfurous, chloric and sulfuric acid solutions have been performed by varying the concentration of acid and stripping conditions. The stripping percentage of iron decreased with the increase of HCl and $H_{2}SO_4$ concentration, while that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H_{2}SO_3$ concentration up to 3 M. Stripping temperature had adverse effect on the stripping percentage of iron in the stripping by $H_{2}SO_3$ solution, while the stripping percentage of iron by HCl solution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temperature. Stripping isotherm of iron by 0.1 M HCl and 0.1 M $H_{2}SO_4$ solution indicated that three and four stripping stages could result in a solution containing 0.05 M iron at an O/A ratio of 1/10 from the loaded Alamine336 phase where iron concentration was 0.5 M.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선박용 노후 디젤기관의 성능에 미치는 연료 분사시기의 영향(실습선 "해림호"를 중심으로)

        임재근,조상곤,이호현,임형섭,Lim, Jae-Keun,Cho, Sang-Gon,Lee, Ho-Heon,Im, Hyung-Sup 해양환경안전학회 2013 海洋環境安全學會誌 Vol.19 No.5

        In this study, the generator engine of training ship M/S "HAE RIM" of Kunsan National University which is being operated for 20 years was used in the experiment.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under the engine speed of 1200rpm, then the load was varied 30 kW intervals from 0 to 90 kW and the injection timing was varied $2^{\circ}$CA intervals from BTDC $19^{\circ}$ to $23^{\circ}$CA. In the case of advancing fuel injection timing from BTDC $21^{\circ}$CA to $23^{\circ}$CA, specific fuel consumption is decreased by 1.37%, NOx is increased by 11.59 %, soot is decreased by 23.5 % and $SO_2$ is decreased by 2.8 %. Accoring to the analysis of effects of fuel injection timing on combustion & exhaust emissions characteristics on an old marine diesel engine, it is proved that the optimum fuel injection timing is BTDC $23^{\circ}$ which is $2^{\circ}$ faster than that of original injection timing. 본 연구에서는 건조 후 20여년 운항한 군산대학교 실습선 해림호의 발전기를 대상으로 직접 선박현장에서 실험하여 최적 연료 분사시기를 규명해서 선박의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인 운항에 도움을 주고자 연구하였다. 실험은 기관회전속도 1,200 rpm으로 일정히 유지하고, 기관부하를 0 kW에서 90 kW까지 30 kW간격으로 변화시켰으며, 연료분사시기는 BTDC $19^{\circ}$에서 $23^{\circ}$까지 $2^{\circ}$ 간격으로 변화시키면서 실험하였다. 실험결과 연료분사시기를 BTDC $21^{\circ}$에서 BTDC $23^{\circ}$로 앞당길 경우, 연료소비율은 1.37 % 감소하였고, 질소산화물은 11.59 % 증가하였으며, 매연은 23.5 % 감소하였고, 아황산가스는 2.8 % 감소하였다. 따라서 노후 발전기 엔진에 있어서 연료분사시기가 연소특성 및 배기배출물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분석 고찰한 결과, 최적 연료분사시기는 원래의 분사시기보다 $2^{\circ}$ 앞당겨진 BTDC $23^{\circ}$로 확인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