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동하중을 받는 다중아치와 일반아치의 동적거동 분석

        임성순,김동용,손석호,공민식,Yhim, Sung Soon,Kim, Dong Yong,Son, Suk Ho,Kong, Min Sik 한국강구조학회 2005 韓國鋼構造學會 論文集 Vol.17 No.5

        본 논문은 아치리브와 보강거더를 두 개의 내부아치로 연결하는 새로운 아치구조 형식인 다중아치의 이동하중에 대한 구조적 효율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정적거동 및 동적거동을 일반아치와 비교 분석하였다. 내부아치에 의한 구조물의 동적거동에 대한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고유진동모드와 고유진동수를 검토하였으며, 열차하중을 다수의 집중하중으로 구성된 연행하중으로 이상화하여 정적 및 동적 거동을 분석하였다. 검토 결과, 첫째 다중아치는 보강거더와 아치리브를 연결하는 내부아치에 의한 구조물의 질량 증가 보다 강성의 증가가 크기 때문에 일반아치보다 보강거더의 단면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둘째 이동하중에 대하여 다중아치가 일반아치보다 동적거동이 대체적으로 안정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이동하중에 대한 구조물의 동적안정성 확보에 유리할 것으로 사료된다. MABB(Editor's note: Please spell out "MABB" upon first mention)is a new structural type of arch that connects arch ribs and stiffened girders with two internal arches. In this study, the static and dynamic behavior of MABB were analyzed in comparison with those of conventional arches for the investigation of the structural effect of MABB on moving loads. For the purpose of surveying the effect of internal arches on the dynamic behavior of structure, natural frequency and natural vibration mode were investigated and the static and dynamic behavior were analyzed by the method of idealizing train loads as traveling loads consisting of a group of concentrated loads. From the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known. First, it is concluded that with MABB, decreasing the section of stiffened girders is possible as compared with conventional arches because the increase of stiffness by internal arches is larger than that of the mass of internal arches. Second, MABB has the advantage of assurance of stability of dynamic behavior because the dynamic behavior of MABB on moving loads is usually investigated in a more stable way than that of conventional arches.

      • KCI등재

        아치형 석션 가물막이 상판의 구조거동 분석

        김정수,정연주,박민수,송성훈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20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Vol.33 No.6

        본 연구는 유한요소 해석모델을 이용해 아치 형상을 갖는 석션 상판의 거동을 분석하였다. 평판형 및 아치형 상판의 기본적인 구조 성능에 대해 비교함으로써 아치형 상판의 이점을 설명하였다. 또한 아치형 상판의 기하 및 보강재 배치 변화에 따른 거동 변화를 비교하여 각 인자가 상판의 응력 및 변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추가로 아치형 상판 가장자리의 경계조건 영향을 수치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아치형 상판의 보강재 배치와 가물막이 벽체와의 상호거동 영향을 규명하고 이를 통해 보강형 아치형 상판의 구조설계의 기본 개념을 도출하였다. 평판형 상판과 달리 환형 보강재가 아치형 상판의 구조 거동을 확연히 개선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방사 보강재의 역할은 상판 가장자리의 구속상태에 의존적이었다. In this study, the behaviors of a suction cap shaped as an arch were analyzed using finite element models. The fundamental structural behaviors of both flat- and arch-type caps were compared, and the advantages of the arch-shaped cap were explained. Moreover, the effects of geometric parameters and stiffener arrangements on the stress and deformation of the arch-shaped caps were investigated by comparisons of the changes in the behaviors of the caps. Additionally, the effects of boundary condition at the edge of the cap were analyzed to study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cap and cofferdam walls; these results were used to derive the fundamental structural design of stiffened arch caps. Unlike flat caps, the results showed that ring stiffeners could improve the structural behaviors of arch caps remarkably, while the contributions of the radial stiffeners to the structural behaviors of the caps are dependent on constraints at the edges of the caps.

      • KCI등재

        아치의 미적 특성을 적용한 현대 건축 공간에 관한 연구

        박윤 ( Park Yun ),조택연 ( Cho Taigyeo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7

        (연구 배경 및 목적) 최근 아치가 인테리어 디자인 트렌드로 주목받으며 국내 상업 공간과 주거 공간에서는 아치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 같은 유행 현상에 대한 구체적 원인은 제공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아치를 활용한 실내 디자인의 유행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 아치의 미적 가치에 대해 이해할 필요가 있다. 아치는 건축분야의 핵심적 키워드로서 오랜 시간에 걸쳐 논의되어왔지만 주로 역학적 관점에서의 분석이 대부분이며 미학의 관점에서 아치가 갖는 미적가치에 대한 분석은 거의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아치에 대한 보편적 호감을 이해하는 개념으로 진화심리학적 관점에서 아치가 갖는 미적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이후 디자인 영역에서 아치의 효율적 활용방안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론적 고찰 단계에서 아치의 개념과 건축공간에 있어서 아치의 역할을 분석하였다. 이후 진화심리학을 근거로 하는 생존미의식의 이론들을 고찰함으로서 아치가 갖는 미적 특성을 조형적, 환경적, 구조적 측면에서 각각 도출하였다. 도출된 특성들은 대칭성, 연속성, 개방성, 폐쇄성, 안정성, 탈중력성으로 이를 기반으로 실제 건축 공간에서의 적용도를 평가하기 위한 틀을 제작하였다. 사례조사는 아치의 활용을 특징으로 하는 최근 5년 이내의 국내 건축물을 선정하여 진행하며 이를 통해 실제 공간디자인 발견되는 아치의 미적 특성을 확인하고 반영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결과) 종합적으로 봤을 때 아치의 연속성이 가장 두드러진 특성으로 나타났으며 뒤이어 안정성과 폐쇄성이 높은 점수로 나타났다. 공간 디자인에 아치를 적용함으로서 공간을 구성하는 물리적 요소들이 분절되지 않고 부드럽게 이어지는 유기적 공간을 생성한다. 또한 아치의 삼차원적 확장형인 볼트 구조는 시각적 차폐의 기능을 수행하고 영역성을 확보함으로서 공간에 위요감을 유발해 이용자들의 심리적 만족감을 높인다. (결론) 본 연구는 진화심리학적 관점에서 자연발생적 형상으로서 아치가 갖는 선험적이고 보편적인 미의식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사례 조사를 통해 도출된 아치의 미적 특성이 실제 공간 디자인에 있어 비중 있게 반영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공간디자인에 있어 아치의 효율적 활용을 위해선 선험적 미의식의 측면을 고려한 접근 방식이 요구 될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Recently, arches are attracting attention as an interior design trend, and arches are actively used in domestic commercial and residential spaces. However, no specific cause has been provided for this tren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aesthetic value of arches in order to understand the trend of interior design using arches. Arches have been discussed for a long time as key keywords in the field of architecture, but most of the studies are analyzed from the mechanical point of view, and there is little analysis of the aesthetic value of arches from the aesthetic point of view.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arches from the perspective of evolutionary psychology as a concept to understand universal liking for arches. Through thi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uggest efficient use of arches in the future design area. (Method) At the stage of theoretical consideration, the concept of arches and the role of arches in the architectural space were analyzed. Later, by examining the theories of survival aesthetics based on evolutionary psychology,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arches were derived from the formative, environmental, and structural aspects. The derived characteristics were symmetry, continuity, openness, closedness, stability, and de-gravity. Based on this, a framework was made to evaluate the degree of application in the actual architectural space. The case study was conducted by selecting a domestic building within the last 5 years, characterized by the use of arches, and through this,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arches found in actual spatial design were confirmed and the aspects of reflection were examined. (Results) Overall, arches' continuity was the most prominent characteristic followed by high scores of stability and closedness. By applying an arch to the spatial design, the physical elements that make up the space are not segmented, but create an organic space that is smoothly connected. In addition, the vault structure, which is a three-dimensional extension of the arch, provides the function of visual shielding and secures territoriality, causing a sense of calmness in the space, thereby enhancing the psychological satisfaction of users. (Conclusion) This study examined the a priori and universal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arches as natural-generating shapes from the evolutionary psychological perspective. The case study also confirmed that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the arches derived were significantly reflected in the actual spatial design. Therefore, for the efficient use of arches in future spatial design, an approach that considers the aspect of a priori aesthetics is require.

      • KCI등재

        콘크리트 충전강관 아치교의 설계 최적화 및 경제성 분석

        김성찬,박종섭 한국복합신소재구조학회 2019 복합신소재구조학회논문집 Vol.10 No.5

        최근 세장한 구조의 장경간 아치교의 시공 및 설계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서 아치부재에 적용되는 강재를 경량화시킬 수 있는 콘크리트 충전강관 부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는 장경간 아치교량의 구조적 특성상 압축력 지지에 유리한 콘크리트를 강재와 같이 이용함으로써 구조적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 충전강관을 사용한 아치교 설계에 적용되는 초기변수를 고려하여 하로아치교를 대상으로 강관 단면 내 콘크리트 충전길이, 트러스타입의 아치리브 높이, 강관 단면의 재료강성 변화 등의 영향을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콘크리트 충전강관의 아치교 최적화 설계 방법을 제안하고 콘크리트 충전강관의 아치교 적용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경제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콘크리트 충전강관 아치리브단면 적용 시 기존 아치리브에 비해 하로아치교의 경우 22.0%의 강재절감이 가능하며 콘크리트 충전에 따른 비용증가는 발생하나 전체 공사비의 경우 18% 절감되어 경제적으로 효과를 보였다. The construction and design of long span arch bridges have been constantly increasing in various countries over the past few years. Several designs have been proposed to increase the structural stability of such bridges. One proposed method is the use of concrete-filled steel pipe as its structural member. This study aims to prove that the use of concrete-filled steel pipe can decrease the weight of the member and the presence of concrete can increase the structural compressive capacity of the section. The effects of concrete-fill length, truss type arch rib height, and change in material stiffness of steel pipe section were investigated for the Harro Arch Bridge. Based from the analyses, an optimal design method for arch bridge with concrete-filled steel pipe member was proposed. In addition, the economic efficiency of the concrete-filled steel pipe was analyzed to ensure its applicability to arch bridges. The results have shown that there is a 22.0% reduction of steel usage in the Harro Arch Bridge with concrete-ribbed tube section when compared to the existing arch rib design. The proposed design may have incurred an increase in construction costs due to the concrete charges, yet, it is still found to be cost-effective when considering the overall cost.

      • KCI우수등재

        마제형 대칭 타원 아치의 자유진동: 아치 정점의 합응력 경계조건 이용 再考

        이병구(Lee, Byoung Koo),이태은(Lee, Tae Eun),김권식(Kim, Gweon Sik),오상진(Oh, Sang Jin) 대한토목학회 2021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41 No.3

        이 논문은 아치의 자유진동 해석에서 아치 정점의 합응력 경계조건 이용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 대상 아치는 마제형 타원 대칭 아치이다. 마제형 타원 아치의 자유진동을 다룬 연구는 이미 문헌에 발표된 바 있다. 이 재고 논문은 기존 문헌에서 사용한 아치 양단의 경계조건을 대신할 수 있는 아치 정점의 합응력 경계조건의 적용성을 연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기존 문헌의 이론을 이용하여 아치 정점의 합응력 경계조건을 유도하고, 이를 이용하여 아치의 고유진동수와 진동형을 산정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기존 문헌 및 유한요소해 ADINA의 결과와 잘 일치하여, 아치 정점의 합응력 경계조건을 아치의 자유진동 해석에 적용할 수 있음을 검증하였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boundary conditions of the stress resultants at the mid-arc for free vibration analyses of the arch. The considered arch is a horseshoe symmetric elliptic arch. The work dealing with the boundary conditions of the deflection at both ends of the arch has already been reported in the open literature. This revisited paper aims to study the suitability of the boundary conditions of the stress resultants at the mid-arc to be replaced by the boundary condition at both ends. In this study, the boundary conditions of the stress resultants at the mid-arc are newly derived based on the theory of the previous work, and natural frequencies and mode shapes are obtained using the new boundary conditions of the stress resultants. The numerical results of this paper confirm that the new boundary conditions have been validated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and results of finite element ADINA.

      • KCI등재

        함북 방언 ‘모고지설’, ‘아치설’, ‘한설’의 어원에 대하여

        조항범 한국방언학회 2017 방언학 Vol.0 No.25

        문익환 목사가 그의 부모와 나눈 대화록 속에 ‘모고지설’, ‘아치설’, ‘한설’이라는 독특한 설 이름이 나온다. 문 목사의 부모는 함북 출신이어서 이들 설 이름은 함북 방언이다. 본고는 이들 세 단어에 주목하여 그 어원과 의미를 밝히는 데 목적을 두었다. ‘모고지설’은 대화록에 처음 보인다. 이는 ‘모고지’와 ‘설’로 분석되는데, ‘모고지’는 중세국어 ‘몯지’로 소급한다. ‘몯지’는 동사 ‘몯-[會]’과 ‘-[具備]’이 결합된 ‘*몯-’에 접미사 ‘-이’가 결합된 어형으로 ‘모임’의 뜻이며, 지금 ‘모꼬지’로 남아 있다. 그러므로 ‘*몯지설’, 곧 ‘모고지설’은 ‘설 이틀 전에 일가친척들이 미리 모여서 먹고 노는 날’ 정도로 해석된다. ‘아치설’ 또한 대화록에 처음 보인다. ‘아치설’에 대해서는 중세국어 ‘아설’이 ‘*아설>*아츠설’을 거쳐 나온 것으로 설명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ㅅ’ 앞에서 ‘ㄴ’이 탈락한 이유를 설명할 수 없다면 이와 같은 주장은 성립하기 어렵다. 이보다는 형용사 어간 ‘앛-[小]’과 명사 ‘설’이 결합된 ‘*앛설’이 ‘*아츠설’을 거쳐 ‘아치설’이 된 것으로 설명하는 것이 더 합리적이다. ‘*앛설’은 ‘작은설’의 뜻이므로, ‘아치설’ 또한 그와 같은 의미를 띤다. ‘한설’의 전날이 바로 ‘아치설’인 것이다. ‘아치설’은 민간어원에 의해 ‘가치설’을 거쳐 ‘치설’로 어형이 변하고, ‘까치가 쇠는 설’로 재해석된다. 그러나 ‘까치설’은 ‘작은설’일 뿐이다. ‘한설’은 16세기 문헌에도 보이는 단어이다. 그런데 이 단어는 근대국어 이후 문헌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설’에 밀려 사라진 뒤 함북 방언에 잔존하게 된 것이다. ‘한설’은 ‘하-[大]’의 관형사형 ‘한’과 명사 ‘설’이 결합된 어형으로 ‘큰 설’의 뜻이다. 정식 설을 그렇게 부른 것이다. 이로써 함북 지역에는 설을 3일씩이나 쇠는 독특한 설 문화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In the Conversation Records, where Moon Ik-hwan, a clergyman, made a conversation with his parents, three peculiar words, ‘모고지설, 아치설, and 한설,’ appear to refer to new year's day. As Moon's parents came from Hamgyeongbukdo province, the special names of the day are all regional dialects of Hamgyeongbukdo province. This paper studies the three words and tries to trace the etymology and meaning. The ‘모고지설’ was first seen in the Conversation Records. The word can be divided into ‘모고지’ and ‘설’, and ‘모고지’ goes back to the ‘몯지’ in the middle Korean. The ‘몯지’ is the word form, which a verb ‘몯-[會]’ combined with ‘-[具備],’ and then the ‘*몯-’ was united with a suffix ‘-이.’ The word means ‘모임’(a gathering) and it remains in the word form of ‘모꼬지’ at the present time. Therefore, ‘*몯지설’ or ‘모고지설’ can be interpreted as ‘a date 2 days before the new year, when the extended families have time to enjoy in advance.’ The ‘아치설’ was also first seen in the Conversation Records. The ‘아치설’ is commonly explained that the ‘아설’ in the middle Korean became ‘*아설>*아츠설’. However, if the phase of ‘ㄴ’ deletion in front of ‘ㅅ’ is not be explained fully, the premises would not be supported. Instead, it would be more reasonable to explain that an adjective stem ‘앛-[小]’ combined with ‘설’, and then the ‘*앛설’ became ‘*아츠설’, and remained in the form of ‘아치설’ in the final form. Since the ‘*앛설’ means ‘the day before new year’(작은설), the ‘아치설’ is same in the meaning with it. The ‘아치설’ became ‘가치설’ in the process of folk etymology, and then, took the form of ‘치설’, and again, it was interpreted as ‘new year's day for Korean magpies’(까치가 쇠는 설). Thus, the ‘까치설’ refers to the day of ‘작은설’ only. The ‘한설’ was also seen in documents in the 16th century. But, the word did not come out in documents after the modern Korean. It was constrained to be used because of ‘설,’ a standard word referring to the day, and then remained only in the dialect of Hamgyeongbukdo province. The ‘한설’ is a word form, combining a relativizer ‘한’ of ‘하-[大]’ with a noun ‘설’, that the word means ‘큰 설’(New Year's day). It refers to the New Year's day. While examining the etymology, it can be found that people had a unique culture celebrating the day for 3 days in Hamgyeongbukdo province.

      • KCI등재

        아치 리브를 따라 작용하는 등분포 하중을 받는 포물선 아치 리브의 비탄성 면내좌굴 강도

        윤기용,문지호,김성훈,이학은,Yoon. Ki-Yong,Moon. Ji-Ho,Kim. Sung-Hoon,Lee. Hak-Eun 한국방재학회 2005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5 No.1

        포물선 아치 리브는 원형 아치 리브와 더불어 실무에 폭넓게 적용되고 있는 아치 형상이다. 원형 아치 리브의 비탄성 면내 거동에 관한 연구는 1990년대 Trahair(1996)를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Yong-Lin Pi와 Bradford(2004)에 의하여 최근까지 연구가 활발히 진행 되고 있다. 포물선 아치 리브의 비탄성 면내 거동에 관한 연구는 일본의 연구자(Sinke, Kuranishi)을 중심으로 197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 초반에 이르기까지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러한 포물선 아치 리브에 관한 일본에서의 연구는 대부분 라이즈비가 <TEX>$0.1{\sim}0.2$</TEX>에 국한 되어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탄성 유한요소해석을 이용하여 라이즈비가 0.1에서 0.4에 이르는 박스형태의 단면을 갖는 포물선 아치 리브의 면내 거동에 관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라이즈비가 증가할수록 아치 단면에 휨모멘트가 증가하였으며, 압축력이 수직 등분포 하중을 받는 포물선 아치 리브의 면내 좌굴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은 감소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아치 리브를 따라 작용하는 수직등분포 하중을 받는 포물선 아치의 좌굴 곡선을 제안하였다. Parabolic arch ribs are widely used in practical. In case of circular arch ribs. Inelastic in-plane buckling behaviors were investigated by Trahair(1996). Recently Yong-lin Pi & Bradford(2004) investigated about in-plane design equation for circular arch ribs. In <TEX>$1970{\sim}1980$</TEX>. In-plane buckling strength about parabolic arch ribs were studied by some japan researchers (Sinke, Kuranishi). Study results of Sinke & kuranishi are only valid for rise-span ratio <TEX>$0.1{\sim}0.2$</TEX>. In this paper. The researchers investigated about in-plane inelastic buckling behaviors of parabolic arch ribs having rise-span ratio from 0.1 to 0.4. From the results. When the rise-span ratio increase, flexural moments increase and influence of axial force to in-plane buckling strength decrease. Finally, buckling curves for parabolic arch ribs subjected distributed loading along the axis were suggested.

      • 아웃리거 설치 분절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아치 시스템의 아치형성 실험

        전석현 ( Jeon Seok Hyeon ),하민균 ( Ha Min-gyun ),이학준 ( Lee Hak Joon ),조광일 ( Cho Kwang-il ),안진희 ( Ahn Jin-hee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0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4 No.1

        본 연구는 강재 아웃리거가 구비된 분절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아치 시스템의 아치 형성 과정에서 나타나는 프리캐스트 패널의 접합과 형상 구현 여부 등의 구조적 거동을 평가하기 위하여 인상 실험을 통한 아치형성 실험을 실시하였다. 아치형성 평가를 위하여 현장조건과 동일한 제원의 아치 실험체를 제작하였으며, 인상 과정 중 발생하는 아치 구성 부재의 거동과 아치 시스템의 거동 특성을 확인하였다. 대상 아치 시스템의 아치 형성 실험 결과, 인상과정에서 프리캐스트 패널간 연결로 인하여 아치 시스템의 형상이 원활하게 구현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에 따른 구성 부재들의 국부 변형 및 응력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고정지점을 갖는 낮은 포물선 아치의 면내 좌굴거동

        문지호(Moon Jiho),윤기용(Yoon Ki-Yong),이학은(Lee Hak-Eun) 대한토목학회 2008 대한토목학회논문집 A Vol.28 No.1A

        본 논문은 고정지점을 갖는 낮은 아치의 면내 안정성에 관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아치의 형상은 포물선 형태이며, 하중은 등분포 하중이다. 일반 아치의 비선형 지배 미분 방정식을 이용하여 고정지점을 갖는 낮은 아치의 증분 형태 하중-변위 관계와 좌굴 하중을 유도하였다. 연구 결과, 아치의 좌굴형상(대칭 혹은 비대칭 좌굴)은 아치의 라이즈비와 세장비의 함수로 이루어진 무차원 라이즈 H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밖에 본 연구에서는 고정지점을 갖는 낮은 아치의 좌굴 형상을 구분하는 경계와 좌굴하중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제안식은 일련의 유한요소해석 결과들과 비교하였으며, 본 연구의 제안식은 고정지점을 갖는 낮은 아치의 좌굴 하중을 적절히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in-plane stability of fixed shallow arches. The shape of the arches is parabolic and the uniformly distributed load is used in the study. The nonlinear governing equilibrium equation of the general arch is adopted to derive the incremental form of the load-displacement relationship and the buckling load of the fixed shallow arches. From the results, it is found that buckling modes (symmetric or asymmetric) of the arches are closely related to the dimensionless rise H, which is the function of slenderness ratio and the rise to span ratio of such arches. Moreover, the threshold of different buckling modes and buckling load for fixed shallow arches are proposed. A series of finite element analysis are conducted and then compared with proposed ones. From the comparative study, the proposed formula provides the good prediction of the buckling load of fixed shallow arches.

      • KCI등재

        <아치와 씨팍>의 패러디/패스티쉬적 성격에 관한 사례 연구

        권재웅(Jae-Woong Kwon)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11 애니메이션연구 Vol.7 No.4

        본 연구는 패러디 혹은 패스티쉬 개념이 적용된 것으로 보이는 최초의 한국 애니메이션인 <아치와 씨팍>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다. <아치와 씨팍>이라는 사례에 대한 심층적 분석을 통해 유형과 특성을 분석해 보면서 패러디 이론이 어떤 방식으로 적용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또한 <아치와 씨팍>에서 도출된 특성이 정확하게는 패러디인지 패스티쉬인지를 규명하면서 그 이유에 대해서도 고찰해 보고자 한다. <아치와 씨팍>을 통해 나타난 패러디/패스티쉬적 특성은 크게 두 가지로 나타난다. 첫째로 내러티브 구조 속에서는 패러디를 시도하지 않았지만 스토리의 전개를 주도하는 캐릭터의 설정에서는 패러디적 양상을 보여주었다는 점이다. 둘째로 시각적 이미지의 패러디에 주로 초점을 맞추고 있으면서 동양적 요소와 서양적 요소의 혼성적 패러디를 시도하고 있다는 점이다. 동양적 요소의 패러디는 한국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속에 포함된 요소들의 다각적 패러디가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에, 서양적 요소의 패러디는 즉 주로 미국에서 생산된 영화와 만화, 애니메이션 등을 패러디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아치와 씨팍>의 패러디는 패러디물이 가져야 하는 초맥락성을 뚜렷하게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작가의 비의도적 자기 반영에서 이루어진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즉 감독을 비롯해 제작 초기부터 작업을 같이 진행했던 미술감독과 배경감독 모두 비슷한 연령대의 사람들로써 그들이 접하는 사회 환경과 텍스트물에 대한 초맥락성의 노출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아치와 씨팍>은 그 성격 면에서 패러디보다는 패스티쉬적인 모습이라고 제시할 수 있다. 패스티쉬 대상을 다른 텍스트로부터 끌어오는 과정에서 기존의 의미까지 내재시키는 의도보다는 이미지의 무의미적 차용을 통해서 중립적 성격을 보였고, 의도적 비판과 풍자를 목적으로 만들지 않았다는 점, 그리고 <아치와 씨팍>의 스토리 전개에 필요한 폭력적, 선정적 이미지의 사용에서 이러한 부분의 표현이 가능한 이미지를 차용했다는 유사성의 강조는 <아치와 씨팍>은 패러디보다는 패스티쉬적 성격이 강하다는 것을 입증해 주고 있다. 이와 같은 패스티쉬적 성격의 기반은 <아치와 씨팍>의 제작이 시작되던 시기인 1990년대 후반에 문화현상으로써 뚜렷하게 나타났던 키치문화의 반영이라고 할 수 있다. 이전에는 사회라는 현실 공간에서 주로 표현되던 키치 문화의 요소들이, 정보통신산업의 발달로 인해 네트워크의 구축과 컴퓨터의 보급이 일반화되면서 온라인이라는 사이버 공간에서 일상적으로 쉽게 선택되지 못했던 혐오적인 소재들을 쉽게 다룰 수 있게 된 환경 속에서 제작자들의 자신만의 형식으로 <아치와 씨팍>을 내놓을 수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환경은 궁극적으로는 비판적 혹은 풍자적 의도보다는 다양한 요소의 반영이라는 차원에서 제작하도록 유도한 것이기 때문에 패스티쉬적 성향을 더욱 강하게 만들었다고 할 수 있다. This research explores <Aachi & Ssipak>, a Korean feature-length animation, which is unofficially recognized as the first Korean parody animation. By a way of in-depth analysis, this paper tries to find out what are the parodic characteristics. Also, on the basis of these characteristics, it tries to identify if <Aachi & Ssipak> is closer to either parody or pastiche. There are two major points. One is <Aachi & Ssipak> does not reveal any parodic characteristics in its narrative, but shows parodic elements in setting up main characters, Aachi and Ssipak. The other is this animation focuses on borrowing visual images from both the East and the West, which has not been seen in any parody texts of all time. While concentrating on the usage of the US films and comics mostly from the West, this animation makes use of a wide range of the East-especially Korean-elements from politics to culture. These two points clearly elucidates that intertextuality (trans-contextualization)-which is the essential nature that any parodic texts must possess-is immanent in <Aachi & Ssipak>, and is the expression of self-reflexivity of producers who have contacted and experienced so far. In addition, <Aachi & Ssipak> is more of a pastiche text because of three reasons; 1) it keeps on neutral practices when utilizing original sources, 2) it has neither intentional satire nor mockery, and 3) it emphasizes on the similarity rather than differences. The ground revealing these reasons is that <Aachi & Ssipak> is the reflection of “kitsch” that was popular when <Aachi & Ssipak> launched its production proc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