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대 동아시아 서예자료와 월성 해자 목간

        정현숙 한국목간학회 2018 목간과 문자 Vol.0 No.20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calligraphic characteristic of the Wolseong Moat wooden tablets of Silla, to find out the calligraphic relationship with two village documents of the United Silla, and to search for the calligraphic influence to the wooden tablets of Aska, Japan. First, calligraphy of the document wooden tablets among all the Wolseong Moat wooden tablets shows round turning brush and square turning brush, fluidness and strongness, and change and restraint. Especially, by the end of the 6th century the Northern Wei style showing the changeable process from the ancient Silla style to the Chinese style clearly appears on the tag wooden tablets. The Northern Wei style of Wolseong Moat wooden tablets is more fluent than that of Iseongsanseong Fortress wooden tablets of the early 7th century. It tells us that the writing of capital officials is superior to that of local officials. Next, the regular and running scripts on the two village documents of the United Silla from the late 7th to the early 8th century are more advanced than those of Wolseong Moat wooden tablets of Silla. It reveals the calligraphic change of Silla for more than one hundred years and means that calligraphy culture was transmitted from the Silla to the United Silla. Lastly, we can confirm that the calligraphy of wooden tablets of Aska, Japan, in the 7th century was influenced by that of Baekje and Silla. Especially, the Northern Wei style on Hujiwarakyo wooden tablets in the early 8th century seems to be the influence of Silla. Ancient Japan produced numerous wooden tablets compared to ancient Korea. It means that the administrational documents using wooden tablets were actively used. Nonetheless, the writing of wooden tablets of Aska in the late 7th century does not reach that of Wolseong Moat wooden tablets of Silla in change and skill. Wolseong Moat wooden tablets showing the excellent writing by capital officials are outstanding calligraphic materials holding a dominant position in the history of East Asian calligraphy. 본고는 신라 월성 해자 목간 글씨의 특징을 살펴보고, 그것과 두 종의 통일신라 촌락문서 글씨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고, 일본 아스카 목간 글씨와의 비교를 통해 그 영향관계를 고찰함으로써 월성 해자 목간 서예가 동아시아 서예사에서 차지하는 위상을 살피기 위한 것이다. 먼저 월성 해자 목간 가운데 문서 목간 글씨는 원전과 방절, 유려함과 힘참, 변화미와 절제미 등 다양한 모습을 보여 준다. 특히 6세기 말경 하찰 목간에 북위풍이 나타나 신라의 서풍이 고풍에서 중국풍으로 변화되는 과정을 알 수 있다. 그 북위풍은 7세 초 이성산성 목간의 북위풍보다 더 능숙하여 왕경 관리의 글씨가 지방 관리의 글씨보다 우월하다는 것을 말해 준다. 다음으로 7세기 말, 8세기 전반의 것으로 추정되는 통일신라의 두 촌락문서 해서와 행서의 노련함과 출중함은 월성 해자 목간 글씨를 한 단계 발전시킨 것이다. 이는 100년 신라 서예의 진전을 보여 주는 것으로, 서예가 신라에서 통일신라로 계승되었음을 증명한다. 마지막으로 7세기 일본 아스카 목간은 문장의 양식이나 글씨에서 백제, 신라를 계승한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8세기 초의 후지와라경 목간에는 북위풍이 쓰여, 이는 100여 년 전 신라에서 성행한 북위풍이 전승되었음을 말해 준다. 고대 일본은 고대 한국보다 출토 목간의 수가 월등히 많아 목간을 통한 문서 행정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7세기 후반 아스카 목간의 글씨는 6세기 후반 월성 해자 목간 글씨의 변화무쌍함과 능수능란함에는 미치지 못한다. 따라서 신라 왕경 관리 글씨의 출중함을 그대로 드러낸 월성 해자 목간은 동아시아 서예사에서 우위를 점하는 서예 자료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나라 · 야마토와 『만요슈』

        구정호 중앙대학교 일본연구소 2015 日本 硏究 Vol.0 No.38

        This dissertation is an argument between capital between the ancient Japan and Manyoshu from the presentation from Fall International Symposium of Institute of Japanese Studies in Chung Ang University. One of characteristics of Manyoshu is songs(Uta) have many names of region, especially from Nara and Yamato. The ancient Japanese changed their capital around Aska and Nara from the end of 7th to the beginning of AD 8th century. It met with the most important work of Termo. to build a new capital. Therefore, culture of the age was flourished in Nara and Yamato. The capital was settled down in Nara when Heijokyo was founded in AD 710. This dissertation examined transfer of the ancient Japan through the record of Nihonshoki Shoku-nihongi and Manyoshu.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