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심박변이도(HRV) 실험을 통한 공간에서의 심리적 안정과 감성변화의 관계성 분석

        서지은,조현경 한국주거학회 2024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Vol.35 No.4

        본 연구는 공간에서의 심리적 안정과 감성변화의 관계성을 모색하는 것으로, SD법을 통한 ‘공간 감성’과 ‘맥파(HRV)’ 실험을 통한 ‘스트레스 및 신체방어기능척도(RMSSD) 지수’와의 관계를 분석하여 심리적 안정을 유도하는 감성 변화에 대해 파악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맥파(HRV)실험으로 스트레스 지수가 낮아지고 RMSSD 지수가 증가하는 조명이 켜진 환경의 ‘이미지 2’와 ’이미지 4’에서 조명이 켜지기 전의 공간보다 심리적 안정도가 높은 것으로 알 수 있다. 그러나 조명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따뜻한’ 감성은 변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공간에서의 심리적 환경요소를 활용한 기본 디자인이 크게 작용하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둘째, 동일한 공간에서라도 조명이 켜지게 되면 심리적 안정에 영향을 미치는 ‘편안한’, ‘따뜻한’, ‘부드러운’ 감성을 유도하면서 이용자들에게 심리적 안정을 주게 되는데, 이들의 감성은 조명에 의해 형성되는 음영의 ‘대비’를 통해 ‘무겁고’, ‘어둡고’, ‘차분한’ 감성이 영향을 주어 위의 3개의 감성을 유도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셋째, 맥파(HRV)실험 결과와 감성평가 결과의 관계성 분석을 통하여 공간 내 이용자들의 심리적 안정은 공간 감성에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조명’은 공간감성을 변화시켜 심리적 안정 유도에 중요한 요소이며, ‘색채’, ‘형태’, ‘질감’ 등 심리환경요소들에 대한 조명의 ‘대비’ 효과로 공간지각이 변화하고 이러한 변화가 심리적 안정에 영향을 미치는 감성으로 유도함으로 심리적 안정에 ‘대비’를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이에 치유공간 디자인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기 위해서는 공간에서의 다양한 심리환경요소들에 의한 공간지각과 감성변화를 파악하고 심리적 안정과의 관계를 모색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하겠다. Since the focus is on psychological healing in spaces where people live their daily lives due to problems such as stress, anxiety, and depression, and this is affected by spatial sensitivity,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stability and emotional change in space through the Heart Rate Variability (HRV) experiment. The research method selects spatial images centered on “form,” “color,” “contrast,” and “texture,” first evaluates them through the “Likert 5-point scale” of emotional vocabulary, compares the values before and after lighting, analyzes emotional changes and differences, and secondly, through the Heart Rate Variability (HRV) experiment, analyzes the “stress index” and the “body defense function scale (RMSD) index”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stability” and “space sensitivity.” At this time, the spatial image is two pairs before and after lighting, and the subjects are 20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spatial design. Looking at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stability and spatial sensitivity, it can be seen that the illuminated space is psychologically stable at this time, and the “heavy,” “dark,” and “calm” atmosphere created by “contrast” of “color” or “shape” caused by lighting induces “comfortable,” “warm,” and “soft” emotions that affect emotionally.

      • KCI등재

        기업 근로자의 심리적 안정감에 관한 메타분석

        문세연(Seyeon Moon),이진화(Jinhwa Lee) 한국기업교육학회 2022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24 No.2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기업 근로자의 심리적 안정감에 관한 연구를 종합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하여 국내에서 발행된 학술지 47편을 선정하였으며, 심리적 안정감 선행변인및 결과변인의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심리적 안정감의 개인 수준 선행변인은 자기효능감, 임파워링 리더십, 참여적 리더십, 포용적 리더십, 긍정심리자본, 긍정적정서, 긍정적 리더관계, LMX, 여가활동, 직무특성, 사회적 자본, 진정성 리더십, 변혁적 리더십, 리더 유머 사용 순으로 효과크기가 크게 나타나 개인의 긍정 정서와 긍정적 리더 관계 관련 변인들이 주요한 선행변인으로확인되었다. 또한, 심리적 안정감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침묵풍토도 효과크기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둘째, 그룹 수준의 선행변인과 심리적 안정감의 관계에서는 변혁적 리더십과 긍정적 리더관계가 정(+)적으로 유의한 관련이 있었으며, 팀 규모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심리적 안정감의 개인 수준 결과변인은 혁신행동, 직무열의, 발언행동, 조직몰입, 창의성, 조직시민행동, 직무성과, 침묵행동, 주도적행동 순으로 효과크기가 크게 나타났다. 넷째, 그룹 수준의 결과변인과 심리적 안정감의 관계에서는 팀 유효성과 팀 성과가 정(+)적으로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기업 근로자의 심리적 안정감 관련 변인들에 관한 연구 확대, 심리적 안정감 관련 개념 및 측정 방법을 고려한 비교분석 등의 후속 연구를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o a comprehensive meta-analysis on psychological safety of corporate employees. This study analyzed 47 journal papers in Korea for identifying the effect sizesbetween psychological safety and its related variable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among individual-level antecedents variables of psychological safety, the effect sizes were identified highly in order of self-efficacy, empowering leadership, participative leadership, inclusive leadership,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positive emotions, positive leader relations, LMX, leisure activities, job characteristics, social capital, authentic leadership,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leader’s use of humor. In addition, climate of silence and psychological safety were negatively related. Seco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positive leader relations were positively related with psychological safety in group-level. Third, among individual-level outcomes variables of psychological safety, the effect sizes were identified highly in order of innovation behavior, job engagement, voice behavior, organizational commitment, creativity,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job performance, silence behavior, taking change behavior. Forth, team effectiveness and team performance were positively related with psychological safety in group-level. Some recommenda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suggested such as expanding related variables or comparing individual level with group level.

      • KCI등재

        코칭 리더십과 심리적 안정감이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조직변화풍토의 조절된 매개모형

        최석봉 대한경영학회 2022 大韓經營學會誌 Vol.35 No.10

        Creative problem-solving is recognized as an important determinant of organizational innovation and sustainable growth. Despite this importance, there is still a lack of studies analyzing the antecedents and situational factors that enhance creative problem-solving.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coaching leadership on creative problem-solving capacity. We also examine whether psychological safety positively mediates the above relationship. In addition, we address the moderating role of organizational change climat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safety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capacity. Finally, we test the moderated mediating role of organizational change climate for the indirect effect of coaching leadership on creative problem solving capacity through psychological safety. By using a cross-sectional design, with a questionnaire administered to 221 employees working in Korean manufacturing and service firms, the hypotheses were tested.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test have shown that coaching leadership was positively related to creative problem-solving capacity. We also found that psychological safety positiv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aching leadership and creative problem-solving capacity. Moreover, there was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hange climat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safety and creative problem-solving capacity. Finally, our empirical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has been the moderated mediating role of organizational change climate, which meant that when the level of organizational change climate is high, the positive effect of coaching leadership through psychological stability on creative problem-solving capacity was strengthened. This study has theoretical contributions to the existing literature in the following ways. First, it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on leadership and creativity by addressing the effect of coaching leadership on creative problem-solving capacity. Most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the effect of many types of leadership on firm innovation and creative performance. Our study has extended this literatures by revealing the positive effect of coaching leadership on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capacity. Second, this study extended the previous studies by addressing a key mediator to explicate how coaching leadership induces creative problem-solving capacity. Therefore, our findings show that psychological safety is a bridging mechanis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aching leadership and creative problem-solving. In particular, we found that psychological safety is a crucial psychological pathway influencing employees' capacity towards creative performance. Therefore, this study enriched our understanding of how coaching leadership promoted creative problem-solving capacity. Third, we also identified organizational change climate as an important moderator enhancing the positive effect of psychological safety on creative problem-solving capacity. By identifying such a boundary condition, this study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organizational climate as a condition for enhancing employees' creative problem solving capacity. Moreover, identifying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coaching leadership on creative problem-solving capacity via psychological safety has provided an integrated picture to understand the role of leadership style on determinant, process and condition for developing creative capacity of employees. Our results also suggest several practical implications. First, our results indicate that organizational managers should be aware of the important role of coaching leadership, which positively affect creative problem-solving capacity. Second, managers should recognize the importance of psychological safety linking coaching leadership to creative problem-solving capacity. Thus, the organization-level efforts and support are needed to ensure psychological safety for stimulating empl... 종업원의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은 조직혁신의 중요한 선행요인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중요성에도불구하고 종업원의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과 상황요인을 분석한 연구는 여전히 부족한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선행요인으로 코칭 리더십의 효과를 실증분석한다. 더불어 종업원이 직장에서 편안함을 느끼는 상태인 심리적 안정감을 매개변수로 간주하고 이들 관계를분석하였다. 또한 종업원의 창의적 문제해결을 촉진시키는 상황요인으로 조직변화풍토를 상정하고 조절효과를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심리적 안정감을 통하여 코칭 리더십이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에 이르는 간접효과가조직변화풍토 수준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예상하고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국내 제조 및 서비스 기업에종사하는 종업원 221명의 설문을 바탕으로 실증 분석한 결과, 첫째 코칭 리더십은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에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발견하였다. 둘째, 심리적 안정감은 이들 관계를 긍정적으로 매개하는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직변화풍토는 심리적 안정감과 창의적 문제해결능력 간의 관계를 긍정적으로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조직변화풍토는 심리적 안정감을 매개로하는 코칭 리더십과 창의적문제해결능력 간의 간접관계를 긍정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이론적 시사점을제시한다. 먼저, 본 연구는 종업원의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을 높이는 선행요인으로 코칭 리더십의 중요성을조명하였다. 둘째, 코칭 리더십이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을 촉진시키는 과정에서 심리적 안정감의 매개역할을확인함으로써 코칭 리더십이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에 이르는 과정을 보다 깊이 이해할 수 있었다. 셋째, 조직변화풍토를 조절변수로 상정함으로써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을 높이기 위한 조직환경의 중요성과 조건을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조직변화풍토의 조절된 매개변수 역할을 확인함으로써 코칭 리더십이 심리적 안정감을통하여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을 높이는 통합된 과정을 밝힘으로 코칭 리더십의 긍정적인 효과를 이해하는데통찰력을 제공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먼저 종업원들의 창의적문제해결능력을 높이기 위한 코칭 리더십의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둘째, 심리적 안정감의 역할을 조명함으로관리자들에게 종업원이 조직에서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심리적 안정감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시사하였다. 셋째,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을 증가시키는 상황요인으로 조직변화풍토의 역할을 확인함으로 창의적문제해결능력과 혁신을 위한 변화지향적인 조직풍토구축에 대한 관심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한계점 및 미래 연구를 위한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성과보상 연계성과 직무불안정이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계약위반의 매개효과, 개인주의 성향의 조절효과

        오현수,조윤형 대한경영학회 2024 대한경영학회지 Vol.37 No.5

        본 연구는 MZ세대 직장인들에서 나타나는 주요 현상인 조용한 사직의 주요 선행변수들을 규명하려는 목적에서수행되었다. 조용한 사직은 마음은 일터에서 떠나 최소한의 업무만 하겠다는 것으로 기업들에서도 MZ세대직장인들의 조용한 사직에 대한 문제에 주목하고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조용한 사직의주요 선행변수로 성과보상 연계성과 직무불안정의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또한 조용한 사직과 성과보상 연계성, 직무불안정과의 관계를 심리적 계약위반이 매개하는지도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개인의 가치성향인 개인주의 성향을조절변수로 설정하여 과정 측면과 맥락 측면을 모두 고려하였다. 조용한 사직은 문항은 연구자들이 여러 개발단계를거쳐 직접 개발된 문항을 활용하였으며, 타당도 및 신뢰도를 확인하였다. 연구가설의 검증은 설문을 통해이루어졌다. 동일방법편의 방지를 위해 시차를 두어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1차, 2차 동일한 응답자를 확인하였다. 총 313부의 설문을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성과보상 연계성은 조용한 사직에부(-)의 영향, 직무불안정은 조용한 사직에 정(+)의 영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과보상 연계성은 심리적계약위반에 부(-)의 영향, 직무불안정은 심리적 계약위반에 정(+)의 영향을 보이고 있었다. 심리적 계약위반은직무불안정과 조용한 사직과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성과보상 연계성과 조용한 사직과의관계에서는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개인주의 성향은 성과보상 연계성, 직무불안정과 심리적 계약위반과의관계를 조절하고 있었다. 개인주의 성향이 높은 경우 성과보상 연계성이 심리적 계약위반에 미치는 부(-)의 영향력은더욱 강하게 나타났다. 또한 직무불안정이 심리적 계약위반에 미치는 정(+)의 영향력도 더욱 강하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개인주의 성향으로 조절된 심리적 계약위반의 매개효과의 경우 직무불안정과 조용한 사직과의 관계에서개인주의 성향으로 조절된 심리적 계약위반의 매개효과가 나타나고 있었다. 즉, 개인주의 성향이 높은 경우 심리적계약위반의 매개효과는 더욱 높게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통해 최근 들어서 주목받는 조용한 사직의 주요 선행변수, 그리고 이를 심리적 계약위반의 매개, 개인주의 성향의 조절을 고려하였다는 점에서 이론적, 실무적으로 의미를갖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ntecedents of quiet quitting, as a major phenomenon among MZ employees.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companies are paying attention to the problem of quiet quitting, which means that they does not leave the workplace but doing minimal and only assigned work. In this study, we draw the influence of pay-for-performance and job insecurity as the main antecedents of quiet quitting. We also investigate whether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quiet quitting and pay-for-performance, job insecurity, also we considered both process and contextual aspects by setting individualistic value orientation, as a moderating variable. Our research model show Figure 1. The quiet quitting items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themselves through several stages of development, and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checked. The research hypotheses were tested through questionnaires. To prevent the common method bias, we conducted respondents were identified in the first and second rounds. A total of 313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show that first, pay-for-performance, has a negative effect on quiet quitting, and job insecurity has a positive effect on quiet quitting. Pay-for-performance had a negative effect on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And job insecurity had a positive effect on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insecurity and quiet quitting, but did no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ay-for-performance and quiet quitting. Individualistic value orientation moder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pay-for-performance, job insecurity, and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When individualistic value orientation was high, the negative effect of pay-for-performance on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was stronger and the positive effect of job insecurity on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was stronger. Finally,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moderated by individualistic value orientation showed a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moderated by individualistic value orient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insecurity and quiet quitting. Also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was stronger when individualistic value orientation was high. Our research findings hav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in that they consider the antecedents of quiet quitting, which have recently company’s concern.

      • KCI등재

        리더의 유머 사용과 창의성의 관계에서 구성원의 심리적 안정성의 매개효과와 개방적 성격의 조절효과

        한준구,김성은 대한경영정보학회 2016 경영과 정보연구 Vol.35 No.5

        본 연구의 목적은 리더의 유머 사용이 창의성에 어떻게, 언제 영향을 주는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기존의 연구들이 유머가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논의를 하고 있으나, 아직 해결하지 못한 이슈들이 존재한다. 본 연구는 기존의 블랙박스로 남아있던 리더의 유머 사용이 언제, 어떻게 창의성에 연결될 수 있을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선행연구와 확장-구축이론을 바탕으로 심리적 안정성을 리더의 유머 사용이 창의성으로 연결되는 메커니즘으로 설정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또한 창의성의 상호작용 이론에 기반을 두어 개인의 개방적인 성격이 심리적 안정성과 창의성 사이를 조절할 것이라고 가설을 세우고 이를 검증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건설, 패션, 교육과 관련된 기업(기관)에 있는 124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 결과 리더가 유머를 많이 사용할수록 구성원의 창의성은 향상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리더의 유머 사용은 심리적 안정성을 통하여 창의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심리적 안정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구성원 개인의 성격 중 하나인 개방성은 심리적 안정성과 창의성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부분에서는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use of leader's humor. This study focuses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ity and use of leader's humor. Furthermore, it attempts to understand the mediating role of psychological safety and the moderating role of openness of experience. For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124 and four hypotheses were verified.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leaders' humor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al effect on creativity. Second, there is a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safety between leader's humor and creativity. Third, there is a moderating effect of openness of experience between leader's humor and creativity. This study is meaningful that it helps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 humor, creativity, psychological safety and openness of experience that it proposes implications on vitalizing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and personnel training.

      • KCI등재

        외식업체 조리사의 조리경력이 자아존중감, 심리적 안정감,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이재규,심기훈,유경민 한국관광연구학회 2020 관광연구저널 Vol.34 No.5

        본 연구는 외식업체 조리사들의 조리경력과 자아존중감, 심리적 안정감, 대인관계와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조리사를 무작위로 선정하여 설문을 진행하였다. 연구에 활용된 설문지는 총 293부 였으며, 데이터 코딩작업을 거쳐 SPSS 24.0과 AMOS 24.0을 활용하여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고,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조리경력은 2개의 요인(가치지향성, 자기주도성)으로 나타났으며, 자기존중감(자아가치성, 자아긍정성), 심리적 안정감(개인안정감, 팀안정감), 대인관계(팀원관계, 고객관계) 등이 모두 2개의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리사의 조리경력과 자아존중감과의 관계를 검증한 결과 조리사의 조리경력은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조리사의 조리경력은 심리적 안정감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조리사의 조리경력은 대인관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리사의 자아존중감은 심리적 안정감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조리사의 자아존중감은 대인관계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리사의 심리적 안정감은 대인관계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외식업체에서 근무하는 조리사들의 경력, 자아존중감, 심리적 안정감과 대인관계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이들의 자아존중감과 심리적 안정감의 향상을 통해 팀원과 고객관계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효과적 대안을 모색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학교풍토로서 심리적 안정감 척도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문영빛(Young Bit Moon),엄문영(Moon Young Eom),정현주(Hyun Joo Jeong) 한국지방교육경영학회 2021 지방교육경영 Vol.24 No.3

        본 연구는 학교풍토를 형성하는 기제로 심리적 안정감 개념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고 이를 측정하기 위한 척도를 개발하기 위한 예비조사 문항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첫째, 문헌 분석을 통해 ‘심리적 안정감’이 조직 학습, 성과, 발전과 관련이 있고 심리적 임파워먼트, 직무몰입, 신뢰와 유사한 개념으로 학교풍토를 형성하는 개념인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심리적 안정감 개념 정의 및 구성요인을 ‘자유로운 의견제시’, ‘수용’, ‘인정’, ‘협력’, ‘소통’으로 유형화하였다. 셋째, 교직 전문성에 대한 논의(전문적 자본, 4C 등) 그리고 ‘업무 복잡성’, ‘중첩된 구조’, ‘위계 구조’, ‘전문성 규범’ 등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조직과의 비교를 통해 심리적 안정감이 학교조직에 적합한 개념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추후 ‘심리적 안정감’의 척도화 과정을 진행하는 기초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후속적으로 학급 수준의 ‘심리적 안정감’에 대한 연구들도 진행해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oncept of 'psychological safety' in order to scale the concept of 'psychological safety', and to check whether a concept of 'psychological safety' is to apply in the educational field. To achieve the purpose, analyzed various literatures related to ‘psychological safety’ and compared similar concepts for proving the concept of ‘psychological safety’, and categorized sub-factors using by survey questions in another studies. And the applicability of the concept in education fields was confirmed by compa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cal organization with the educational organization. As a result, the concept of 'psychological safety' could be said to be 'the environment of an organization where members believe that it will be safe no matter what opinions they offer in relation to the job'. The sub-factors of 'psychological safety' inferred based on the questionnaire items could be categorized into 'free expression of opinion', 'acceptance', 'recognition', 'cooperation', and 'communication'. In addition, 'psychological safety' is a suitable concept for the recent discussion of teacher professionalism(professional capital, 4C, etc.).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cept was sufficiently applicable in the educational field.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can be used as a basis for the scaling process of 'psychological safety' in the future, and it is expected that studies on 'psychological safety' at the class level can be conducted subsequently.

      • 불안정애착 중년기의 자아회복탄력성과 심리적안녕감에 관한 현상학적연구 - 영유아 어린이집 부모 대상 -

        신수원 제주대학교 지능소프트웨어 교육연구소 2023 지능정보융합과 미래교육 Vol.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 자녀를 둔 중년기 부모가 불안정애착 표상의 도출로 자아회복탄성과 심리적안녕감의 관련성을 아는데 있 다. 연구대상은 어린이집에 다니는 영유아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성인애착 설문지를 실시한 후, 부 3명, 모 6 명을 심층 인터뷰하여 그 중 부 3명, 모 3명의 자료를 Giorgi연구방법으로 불안정애착 27개, 자아회복탄력성 39개, 심리적안녕 감 33개 등 총 99개의 의미단위를 도출하였다. 결론은 영유아 자녀를 둔 중년기 부모의 불안정애착 경험은 애착불안, 애착회피 로 원가족 부모 관계에서 심리적·정서적으로 불안정한 관계를 형성하고, 자아회복탄력성은 자기조절능력과 긍정성으로 나뉘며 자기조절능력은 감정조절, 원인분석으로 긍정성은 자아낙관성, 생활만족, 감사로 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적안녕감은 자 아수용성, 긍정적 대인관계, 개인의 성장, 삶의 목적, 환경에 대한 통제를 나타내며, 자아 수용적인 모습으로 경험한 것을 있는 그대로 인정하고, 긍정적 대인관계로 개인의 성장과 성숙이 만족스러운 삶으로 나타났다. 이에 부모의 불안정애착은 자신과 주 변인에게 영향을 주고, 영유아기의 애착은 전 생애에 걸쳐 중요하므로 부모와 자녀가 심리적·정서적으로 안정되어야 한다는 점 을 시사한다. 다만, 본 연구는 어린이집에 다니는 중년기 부모의 영유아 자녀로 한정되어 연구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대상의 다양화와 부모의 불안정애착 경험과 자녀의 불안정애착 경험을 포함하여 시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silie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by deriving the representation of insecure attachment for middle-aged parents with infants and young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o conduct an adult attachment questionnaire for middle-aged parents who send their infants and toddlers to daycare centers, and then conduct in-depth interviews with 3 fathers and 6 mothers. A total of 99 semantic units were derived, including 39 units of self-resilience and 33 units of psychological well-being. In conclusion, the experience of insecure attachment of middle-aged parents with infants and young children forms a psychologically and emotionally unstable relationship in the parent-of-origin relationship due to attachment anxiety and attachment avoidance, and self-resilience is divided into self-regulation ability and positivity. Emotion control and cause analysis showed that positivity was expressed as self-optimism, life satisfaction, and gratitude. Psychological well-being represents self-acceptance,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personal growth, life purpose, and control over the environment, acknowledging experiences as they are in a self-accepting manner, and satisfying personal growth and maturation through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ppeared in life. This suggests that parents and children should be psychologically and emotionally stable because parents' insecure attachment affects themselves and those around them, and attachment in infancy is important throughout life. However, this study is limited to infants and toddlers of middle-aged parents attending daycare centers, so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the subjects and include parents' insecure attachment experiences and children's insecure attachment experiences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study.

      • KCI등재후보

        호텔기업 종사원의 고용불안정성, 심리적 소진,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 부산지역 호텔기업을 중심으로 -

        장병주 동북아관광학회 2015 동북아관광연구 Vol.11 No.2

        본 연구에서 설계한 이론 모델의 실증분석을 위한 설문조사는 2014년 6월 1일~31 일까지 부산지역 특1급 호텔에 근무하는 종사원을 대상으로 총 300부의 설문지를 배 포하여 250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여 불성실한 응답 설문지 23부를 제외한 227부를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계한 이론모델의 검증을 위하여 SPSS와 AMOS 20.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였다. 검증결과, 고용불안정성과 이직의도, 고용불안정성과 직무스트레스,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 심리적 소진과 이직의도의 관계에 있어서는 정(+)의 관계가 성립함을 확인하였다. 고용불안정성과 심리적 소진,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의 관계에 있어서 는 정(+)의 관계가 성립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부산지역 특1급 호텔종사원의 고용불안정성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 있어서 고용이 불안정하다고 해 서 호텔종사원이 심리적으로 소진 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부산지역 특1 급 호텔에 근무하는 종사원은 직무스트레스를 받는다고 하여도 이직을 할 의사가 없 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이직을 하여도 현재의 호텔에서 받는 직무스트레스를 이 직을 희망하는 기업에서도 받을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The questionnaire survey for empirical testing of research model in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June 1 to 31, 2014. The subjects for the survey were the employees of the super deluxe hotels in Busan. A total of 3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250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227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excluding 23 questionnaires with unreliable responses. To test the research model designed in this study, SPSS and AMOS 22.0 statistical programs were used, and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were adopted in the research. The results show that there exist positive relationships among the cause-and-effect relationship of the job insecurity and turnover intention, job insecurity and job stress, job stress and psychological burnout, psychological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On the other hand, a negative relationship existed for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job insecurity and psychological burnout,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These findings show that as for the relationship of job insecurity and psychological burnout, super deluxe hotel employees in Busan are not burnt out psychologically even if their employment is insecure. Also, the employees working at super deluxe hotels in Busan have no intention for moving to another hotel. It can be assumed that the employees are aware of the situation that even though they change their workplace, they will face the same amount of stress at the new hotel.

      • KCI등재

        심리적 계약위반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조직기반 자긍심과 직무 불안정성의 매개적 역할

        이한근,조윤형 조선대학교 지식경영연구원 2023 기업과 혁신연구 Vol.46 No.3

        본 연구는 서비스 종업원이 지각하는 심리적 계약위반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매개효과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심리적 계약위반과 관련된 이중 메커니즘을 설정하여 파악하고자 한다. 즉, 조직에 대한 종업원의 심리적 메커니즘(즉, 조직기반 자긍심)과 개인의 직무불안정성에 대한 심리적 메커니즘을 설정하여 실증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먼저 심리적 계약위반은 고객지향성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심리적 계약위반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조직기반 자긍심과 직무 불안정성에 관해 각각의 매개역할을 살펴보았다. 이에 조직기반 자긍심은 심리적계약 위반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하지만, 직무불안정성은 심리적 계약위반과 고객지향성간의 관계에 있어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실증 분석을 기반으로 본 연구는 다양한 학문적·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mechanism of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on customer orientation. Accordingly, we investigated a dual process mechanism. first, we examined the mediating role of organization-based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and customer orientation. Also, we showed the job insecurity as a mediation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and customer orientation. After literature review of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customer orientation, organization-based self-esteem, and job insecurity, we proposed the mediation research hypothesis. The results of empirical test showed that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and negatively related to customer orientation. Second, organization-based self-esteem did mediat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and customer orientation. However, job insecurity dis not mediat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contract violation and customer orientation.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empirical test, we suggested various implic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