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학습장애아의 실행기능에 관한 교육적 탐색: 이론적 특성 및 개별교수적 접근을 중심으로

        송찬원 한국학습장애학회 2010 학습장애연구 Vol.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ducational research on executive function of the children with learning disorders. especially, This aims to examine the theoretical basis and property of the executive function for effective teaching for children with learning disorders and to research an appropriate teaching strategy based on the property of the executive function. For its methodology, this study collected the precedent domestic and overseas studies regarding the executive function and then carried ut the documentary analysis and examin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the executive function is a high-level perceptional function, and a defect of this executive function has been pointed out as a main factor in learning disorders. In other words, it is a perceptional factor which may bring about learning defects and behavioral problems and then cause a negative effect on learning achievement. Second, In sub-type of executive function of learning disability, there are obvious difference of function of attention, function of verbal, function of memorial, function of sight-space. Until now, a study and approach on the executive function of children with learning disorders has been rarely carried out. Specially, i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executive function for effective teaching for children with learning disorders, and it is required to approach a individualized teaching strategy considering the sub-type of executive function. 본 연구는 학습장애아의 실행기능에 관한 교육적 탐색을 시도하였다. 구체적으로 실행기능에 관한 전반적인 이론적 근거와 실행기능의 하위요소 특성을 간략히 살펴보았고, 마지막으로 실행기능의 강화를 위해 개별교수적 측면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에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은 실행기능 관련 국내외의 선행 연구들을 중심으로 간략히 연구 추이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실행기능은 상위인지기능이며, 실행기능의 결함은 학습장애의 주요 원인으로 지적되었다. 실행기능은 학습결함과 행동문제를 수반하여 학업성취도에 부정적 결과를 초래하는 인지요인으로 밝혀졌다. 또한 학습장애아의 실행기능은 주의기능, 언어기능, 시공간기능, 기억기능의 4가지 하위요소별 특성이 각기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현재 우리나라에서 학습장애아의 실행기능에 관한 연구와 접근은 매우 초기단계이며, 향후 학습장애아의 효과적인 학습지도를 위해서 실행기능의 특성에 적합한 개별교수적 접근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특히 정확교수의 경우 주의기능, 직접교수의 경우 언어기능과 시공간기능, 임상교수의 경우 언어기능, 시공간기능, 기억기능, 정보처리 접근법의 경우 주의기능, 시공간기능, 기억기능, 인지-행동 접근법의 경우 주의기능, 언어기능, 시공간기능, 기억기능의 강화에 효과적인 개별교수가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 KCI등재후보

        아동의 실행기능 결함 및 ADHD 증상이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송미림 ( Mi Rim Song ),하은혜 ( Eun Hye Ha ) 한국놀이치료학회 2014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17 No.2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실행기능 및 ADHD 증상이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 1,016명을 대상으로 아동용 실행기능 결함 척도, ADHD 아동용 척도,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척도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변인들의 상관관계를 확인한 결과, 아동의 실행기능 결함 및 ADHD 증상은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둘째, 아동의 실행기능 결함은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그 하위요인인 학습계획, 학습실행, 학습평가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였고, 실행기능의 결함이 많을수록 자기주도 학습능력이 낮게 나타났다. 실행기능 결함의 하위요인 중 주의집중, 계획 및 조직화, 행동 및 정서조절의 결함은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그 하위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계획 및 조직화의 상대적 영향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아동의 ADHD 증상은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그 하위요인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였고, ADHD 증상이 심할수록 자기주도 학습능력이 낮게 나타났다. ADHD 증상의 하위요인 중 주의산만과 충동성 증상은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그 하위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주의산만의 상대적 영향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편 과잉행동 증상은 자기주도 학습능력의 하위요인 중 학습실행에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자기보고식의 아동용 실행기능 결함 척도와 ADHD 증상 척도를 사용하였고, 아동의 실행기능 및 ADHD 증상이 학습관련 변인인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impairments and ADHD symptoms on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y. The subjects comprised 1,016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fifth grade and sixth grades. They were assessed by means of The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Deficits Inventory(CEFDI), The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Evaluation Scale-Children Version, and The Self-Directed Learning Scal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executive function impairments and ADHD symptoms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with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y. Second,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impairmen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total score of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y and the sub-factors associated with it. Concentration, planning and organization, and behavioral and emotional regulation of executive function impairments had effects on the total score of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y. Third, children`s ADHD symptoms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total score of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y and sub-factors associated with it. Inattention and impulsivity of ADHD symptoms had effects on the total score of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y. This study confirmed the effects of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impairments and ADHD symptoms on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y.

      • KCI등재

        온라인 토론학습의 영향요인에 대한 학습자의 중요도 및 실행도 인식 분석

        한안나 ( Ahn Na Han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8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4 No.2

        웹 기반 온라인 토론학습은 학습자의 참여를 이끌어내고 상호작용을 유도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으로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토론학습활동에 대한 학습자들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온라인 토론학습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을 알아보고자 사이버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온라인 토론학습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3개 영역(학습자 내적요인, 설계관련요인, 인적요인)의 12개 항목(컴퓨터매개통신에 대한 태도, 글쓰기에 대한 태도, 토론학습방법에 대한 인식, 내적/외적 동기, 토론주제의 관련성, 교수자와의 상호작용, 심리적/물리적 환경, 교수전략, 토론방법지원, 원격학습자요인, 동료학습자 요인, 교수자 요인)을 도출하였다. 조사결과, 선행연구에서 도출한 12개 항목 모두에 대해 중요도는 높게 나타났으며 실행도는 보통 정도의 수준으로 나타났고, 중요도가 높은 항목으로는 교수자 요인과 토론방법지원, 교수전략으로 나타났다. 또한 모든 영역에서 중요도와 실행도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중요도-실행도 차이 순위 분석 및 매트릭스 분석결과, 컴퓨터매개통신에 대한 태도, 글쓰기에 대한 태도가 중요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장 낮은 실행도를 보였으며 집중관리항목으로 나타나 온라인 토론학습을 위해서는 이에 대한 학습자의 사전교육과 안내가 필요하다는 실행전략이 도출되었다. Online discussion in Web-based instruction paly an important role in quality control for the students` successful participation and interaction.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udent`s perception on online discussion learning and to identify most significant difficulties faced to student when engaged in online discussion learning. This study derives three categories(learner-related factor, design-related factor, human-related factor), twelve elements(attitude toward CMC, attitude toward writing, awareness of discussion methods, extrinsic/intrinsic motivation, relevance of the discussion topic, interaction with instructor, psychological/physical environment, instructional strategics, discussion method support , distance-learner factor, peer-learner factor, instructor factor) which affect effectiveness of online discussion learning through the review of literature, and examines students`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rdering of the twelve elements and performance level in each elements of online discussion learning in a survey of 81 students at cyber university in Korea. Based on the result, the priorities among various elements of online discussion are set forth and their implementing strategies for successful online discussion learning are suggested. According to the study, all of twelve elements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ir perceptions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level in online discussion learning. After performing importance-performance matrix, I find that the attitude toward CMC and writing are in need of systematic improvement and support.

      • KCI등재

        전공심화과정의 영유아 학급운영관리 과목에서 팀 기반학습(Team based-learning) 적용에 관한 실행연구

        곽영숙 ( Young-suk Kwak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연구 Vol.37 No.4

        본 연구는 몇 년째 강의해오던 영유아 학급운영관리 과목에서 적용했던 교수학습방법이 학습자에게 스스로 참여하고 의사결정을 할 기회를 제공하지 못한다는 문제의식을 가지고 팀 기반학습을 적용하고자 한 실행연구이다. 개선을 위한 계획을 수립하고, 실행하고, 평가하는 순환과정의 실행연구를 통해 팀 기반학습 적용의 실행과정과 팀 기반학습 적용의 실행이 학습자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Kemmis와 McTaggart(2005)가 제시한 순환적인 실행연구 과정에 따라 총 5회차의 실행이 이루어졌으며, 실행 중 적용된 팀 기반학습은 사전계획단계, 선행학습단계, 준비도 확인단계, 개념적용 문제해결단계 의 절차를 거쳤다. 5차 실행을 거칠 때마다 구체적인 문제를 파악하고 개선계획을 수립하고, 실행과정을 관찰하고, 평가하고, 평가와 반성을 기초로 다시 계획을 수정하고는 과정을 순환적으로 반복하며 연구를 진행해 나가고자 하였다. 팀 기반학습이 학습자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질적 자료는 팀 기반학습에서 나의 역할 돌아보기, 실제 현장의 적용 가능에 대한 기대감, 팀 학습에 대한 매력 느끼기, 팀 학습이 학습과 성장에 기여하는 것들을 체감하기로 분석되었다. 팀 기반학습이 학습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팀만족도와 팀 효능감 의 사전-사후 조사를 통해 팀 만족도와 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action research project examines the application of a team-based learning system in response to the problem that the historic approach to teaching and learning in infant-toddler class operation management does not give learners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or to make decisions for themselves.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how team-based learning processes and practices affect learners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improvement plans and practices, as well as cyclical action research for evaluation. This study conducted practices on five occasions according to the cyclical action research model proposed by Kemmis and McTaggart(2005). The team-based learning consisted of the following stages: preplanning stage, prerequisite learning stage, readiness assurance stage, and conceptual application with problem resolution stage. By conducting the practices five times, this study intended to repeat the following evaluation criteria, on an ongoing basis, identification of specific issue and establishment of improvement plan, observation and evaluation of the procedure, and, modification of the plan based on the evaluation. The qualitative data related to the effect of team-based learning on learners is analyzed as searching for the individual s role in team-based learning systems, recognizing applicable expectations in real education field, being drawn to team learning, and experiencing how team learning affects learning and growth. It was verified through the pre-to-post investigation of team satisfaction and team efficacy that these two areas were positively affected, by team-based learning.

      • KCI등재

        2007년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해설에 따른 교수․학습 실행 방안

        김경익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0 漢字 漢文敎育 Vol.24 No.-

        이 글의 목적은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해설에 따른 교수․학습 실행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고려해야 될 점과 실행의 곤란 요인을 규명하고, 효율적인 실행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해설에 따른 실행의 전제를 고찰해 보고, 단위 학교에서 개정 교육과정의 효율적인 실행을 위해 학생 관련 자료를 어떻게 수집할 수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해설에 따라 효율적인 교수․학습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한문과 교수․학습 관련 연구가 활성화되고, 한문과 교수․학습 관련 변인에 대한 고려가 선행되어야 한다. 한문과 교수․학습 관련 연구의 활성화는 교수․학습 관련 개념의 정립, 다양한 사례 연구, 내용 영역별 교수․학습 모형 및 방법의 개발을 구체적으로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수․학습 관련 변인은 교육과정 자체, 학습자 변인, 교사 변인, 텍스트 변인, 상황 맥락을 제시하였다. 이 중 교사는 교육과정 전달자로서 교육과정 성공의 핵심이라 할 수 있다. 한문과 교육과정을 실행하는 교사는 교육과정의 내용을 학생들의 학습 능력에 따라 재구성할 수 있어야 한다. 학생들의 학습 능력과 학습 곤란 요인을 파악은 실행의 기초작업이다. 연구자는 이를 위해 검사와 설문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해당 학생들은 한문 독해의 기초 능력이 부족하며 그 원인은 문맥에 따른 한자의 뜻 파악 능력 부족, 직역 능력 부족 등이었다. 또한 한문 학습에 대해 흥미를 느끼지 못하는 학생은 한문 학습에 동기부여가 이루어지지 않고, 한문 교과를 他者化하려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자는 이런 결과를 토대로 향후 교수․학습 전략을 수정․보완해야 하는 과제를 부여받게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searching for a solution to implement the Curriculum of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as amended in 2007. I looked for Points to consider in detail and Difficulty factor of Korean classical Chinese Learning. To this end, I looked up the prerequisites of running. And I run training courses in schools with students how to gather the relevant data were reviewed. For efficient Implementation of a Teaching and Learning According to the Curriculum of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as amended in 2007,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teaching - learning related research should be activated. And the first professor of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learning-related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Its activation is prerequisite. That teaching - learning related to formulation of the concept, and various case studies, information, domain-specific teaching - learning models and methods are developed. According to the revised curriculum teaching - learning process itself is an education-related variables, learner variables, teacher variables, text variables, the situation is the context. The teacher of the course content based on student learning should be reconstructed. Student learning and learning difficulties identify the factors is the execution of the basic tasks. The researchers conducted tests and questionnaires.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Result, students lack basic skills in reading Korean classical Chinese. The cause of the Chinese characters mean in the context of lack of understanding, lack of reading skills and so on. The Korean classical Chinese do not feel interested in learning about the motivation of students learning the Korean classical Chinese were weak. Based on these results, future researchers, teaching - learning strategies were modified and supplemented and given a task.

      • KCI등재

        개별화 교수전략을 적용한 AI 기반 적응형 학습 시스템 활용 중학교 기초학력 미달 수업에 관한 참여적 실행연구

        이봉규,정경욱,이원경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4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ction research on a mathematics class for students with below basic academic ability using an AI-based adaptive learning system to which a personalized instruction strategy is applied and to explore educational changes between learners and teachers in this process. Methods For this reason, teachers and researchers conducted math classes using an AI-based adaptive learning system that applied personalized instruction strategies derived for middle school students with the achievement of below basic proficiency level for about four months. Collecting main data was from observation logs, reflection logs, interview, learning data, and mathematical learning affective domain test, and the data were analyzed as the mixed research method. Results During research, a class for students with below basic academic ability was changed to a personalized class using the AI-based adaptive learning system, and in this process, planning, execution, and reflection of personalized class using AI-based adaptive learning were analyzed. The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diagnosed and recovered the prerequisite learning deficits and the cognitive domains generally increased, 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affective domains.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we confirmed that mathematical interest and mathematical self-efficacy improved and learning satisfaction increased. Teachers realized personalized classes, experienced roles of new instructors, and discovered the possibility of personalized and customized instruction within the school.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ementation process, advantages, and limitations of classes using the AI-based adaptive learning system applied with personalized instruction strategies were reviewed, and measures were discussed to realize personalized instruction at schools.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개별화 교수전략을 적용한 AI 기반 적응형 학습 시스템 활용 기초학력 미달 수학 수업에 실행연구를 실시하고이 과정에서 학습자와 교사의 교육적 변화를 탐색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교사와 연구진이 약 4개월간 중학교 기초학력 미달 학생을 대상으로 도출된 개별화 교수전략을 적용한 AI 기반적응형 학습 시스템 활용 수학 수업을 실시하였다. 주요 자료 수집은 관찰일지, 성찰일지, 면담, 학습데이터와 수학학습 정의적 영역검사로 해당 자료들은 혼합적 연구 방법으로 분석되었다. 결과 실행연구를 진행하며 기초학력 미달 수업은 AI 기반 적응형 학습 시스템을 활용한 개별화 수업으로 변하였고, 이 과정에서AI 기반 적응형 학습 시스템을 활용한 개별화 수업의 계획, 실행, 성찰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 참여한 학습자들은 선수학습 결손부분을 진단 및 회복하여 인지적 영역은 대체로 상승하였고, 정의적 영역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질적 분석을 통해수학적 흥미, 수학적 자기효능감이 향상되고 학습 만족도가 높아졌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교사는 개별화 수업을 실현하였고 새로운 교수자의 역할을 경험하며 학교 안에서 개별화 맞춤형 수업의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개별화 교수전략을 적용한 AI 기반 적응형 학습 시스템 활용 수업의 실행과정, 장점과 한계점을살펴보고 이를 통해 학교에서 개별화 수업이 실현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학습윤리’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이성흠(李聖欽),윤초희(尹蕉熙),최상봉(崔相鳳)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1 아시아교육연구 Vol.12 No.4

        지식기반사회의 성숙과 함께 학문공동체에서는 연구윤리에 대한 담론이 활발하다. 연구윤리는 책임 있는 연구수행을 위해 준수해야 할 윤리원칙 또는 행동양식이다. 이 연구는 학습하는 과정에서 개인적인 윤리 확립을 위한 실천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학습윤리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을 조사?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대상은 서울특별시 K대학교 공과대학 재학생 183(남: 142, 여: 41)명이며, 설문지는 ‘학습윤리’에 관한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들은 보고서 작성 항목에서 대리작성, 아이디어 도용, 과제물 구매 등에서는 준수의 중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지만, 중복제출과 짜깁기에서는 중요성 인식의 정도가 낮았다. 학습윤리에 대한 실행도(준수정도)에서는 대리작성, 중복제출, 과제물 구매 등에서 높게(즉, 위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짜깁기와 표절에서는 실행도가 낮았다. 중요도와 실행도 점수 차이는 중복제출, 짜깁기, 과제물 구매, 표절, 대리작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학습윤리 위반에 대한 이유는 ‘더 좋은 학점에 대한 욕심’, ‘시간의 부족’, ‘자료에 대한 쉬운 접근성’이었다. 둘째, 기타 학업수행(출석, 협동과제, 시험 등) 측면에서 학습윤리 중요도는 대리시험, 시험부정행위, 무임승차에서는 높았지만 대리출석과 무단조퇴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이들 항목에 대한 실행도에서도 비슷한 경향이 나타났다. 중요도-실행도 점수 차이는 대리출석, 무단조퇴, 대리시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셋째, 학습윤리의 중요도와 실행도 차이 분석 결과, 중요도는 높으나 실행도가 낮은 약점 항목으로 집중관리가 필요한 부분은 ‘표절’, ‘위조’, ‘변조’로 나타났다. 중요도와 실행도가 모두 높은 강점 특성으로는 ‘과제물 구매’, ‘대리작성’, ‘아이디어 도용’과 ‘대리시험’, ‘무임승차’, ‘시험부정 행위’가 포함되었다. 중요도와 실행도의 인식 수준이 모두 낮은 항목은 ‘짜깁기’를 포함하여 ‘대리출석’, ‘무단조퇴’ 항목이다. 중요도는 낮지만 실행도는 비교적 높은 투자 및 집중도 조절이 요구되는 불필요한 강점 항목에는 ‘중복제출’이 포함되었다. Nowadays ‘academic honesty/academic integrity’ becomes an important issue in the research community. The issue of ‘academic ethics’ is particularly relevant to college student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nalyze college students’ conceptions of ‘academic ethics’. For this purpose, one hundred eighty-three (142 males and 41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recruited from K University in Seoul. The survey instrument used for the study consisted of thirteen questions regarding academic ethic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ollege students reported high importance in compliance with the items of agency creating, idea stealing, and homework buying, but they reported lower importance on the items of weaves in writing and duplicate submission. Second, students also reported high importance in compliance with the items of surrogate test, test cheating, and free riding in homeworks, but they reported lower importance on the items of valet attendance and unauthorized leaving early. For the items of performance, compliance scores showed a similar trend. Lastly, the results of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showed that the items of academic ethics in the ‘concentrate’ area were ‘plagiarism’, ‘fake’, and ‘modulation’, respectively. In conclusion, plagiarism as a violation of academic ethics may occur when students don’t know how to appropriately quote from resources. In order to establish ‘academic ethics’ code for college students in university, we should design, develop, and implement appropriate courses such as ‘research ethics,’ ‘academic writing,’ etc.

      • KCI등재

        의과대학 환자안전교육을 위한사례기반 학습모형 개발

        고보경,임철일 한국교육공학회 2022 교육공학연구 Vol.3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learning model for effective and efficient implementation of case-based learning for patient safety education in medical schools an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As patient safety education was designated as mandatory in Korean medical schools nationwide in 2016, the demand and interest in patient safety education in domestic medical education is increasing. However the research on it is still lacking. Therefore, this study developed a learning model and implementation guidelines that systematically support the optimal planning and implementation of patient safety education for student doctors in the medical school by using the design and development research methodology. An initial model and implementation guidelines were developed by synthesizing the contents and methods of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then the models and implementation guidelines were derived through expert validation over 4 rounds. For external validation, a medical school professor and 29 third-year medical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As a result of the study, a case-based learning model and 17 implementation guidelines were developed for patient safety education in the medical school.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developed a learning model that comprehensively supports patient safety education for student doctors by exploring the teaching-learning elements for case-based patient safety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의과대학의 환자안전교육 맥락에서 사례기반학습이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실행되기 위한 학습모형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2016년 전국 의과대학에 환자안전교육이 필수로 지정되면서 국내 의학교육에서 환자안전교육에 대한 수요와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나 환자안전교육에 대한 인식 부족, 변화에 대한 강한 저항감 등으로 인하여 환자안전교육 방법에 대한 연구는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설계․개발연구방법론을 활용해 의과대학 학생의사대상 환자안전교육의 최적화된 계획과 실행을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학습모형과 실행지침을 개발하였다. 선행문헌고찰을 통해 국․내외 환자안전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종합하여 초기학습모형 및 실행지침을 개발하고, 이후 4차에 걸친 전문가타당화를 통해 모형과 실행지침이 도출하였다. 외적타당화를 위해 의과대학 교수 1명과 본과 3학년 학생 29명 대상으로 본 모형 기반의 수업을 설계 후 실행하여 반응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반영한 형성적수정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의과대학 환자안전교육을 위한 사례기반 학습모형과 17개의 실행 지침이 개발되었다. 학습모형은 1) 수업 목표 확인하기, 2) 사전지식 확인하기, 3) 학습조직 구성하기, 4) 사례 제시하기, 5) 사례분석 지원하기, 6) 환자안전요소 탐색 지원하기, 7) 사례기반 역할극 유도하기, 8) 환자안전 원칙개발 및 적용 촉진하기, 9) 성찰 유도하기의 아홉 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실행지침은 각 학습 단계 별 하위 절차에 대한 예시 및 해설을 포함하는 형태로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사례기반 환자안전교육을 위한 교수-학습요소를 종합적으로 탐색해 학생의사대상 환자안전교육을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학습모형을 개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학교 안 전문적학습공동체 참여 경험과 의미: 통합학급 수업 참여를 중심으로

        소리나,홍재영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3

        목적 이 연구는 장애학생의 의미 있는 통합학급 수업 참여를 위해 학교 안 전문적학습공동체에 참여한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경험과 그 의미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연구자는 협력적 실행연구 방법을 활용하였다. 이 연구는 실행연구의 절차인 문제 발견-계획 수립-실행-성찰-계획 수정 및 재실행의 연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특수교사와 두 명의 일반교사는 연구자와 연구참여자가되어 학교 안 전문적학습공동체를 조직하여 운영하였다. 결과 먼저, 장애학생의 의미 있는 수업 참여를 위해 학교 안 전문적학습공동체에 참여한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협력적 실행연구과정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는 학교 현장의 문제를 개선해나가며 점차 긍정적인 변화를 경험하는 학교 구성원들의 모습을 발견할 수 있었다. 둘째, 이 연구는 학교 안 전문적학습공동체의 교육적 가치를 경험하고 필요성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이 연구는 특수교사와 일반교사가 협력적 실행연구를 통해 서로 협력하는 동반자적 관계를 형성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장애학생의의미 있는 수업 참여를 위해 학교 안 전문적학습공동체에 참여한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경험과 그 의미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안 전문적학습공동체에 참여한 교사는 긍정적인 교사 인식의 변화를 경험할 수 있었다. 둘째, 학교 안 전문적학습공동체에 참여한 교사는 학교 구성원 간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변화를 경험할 수 있었다. 셋째, 학교 안 전문적학습공동체에 참여한 교사는수업 전문성을 개발할 수 있었다. 결론 이 연구의 결과는 앞으로 학교 안 전문적학습공동체를 통한 통합교육의 효율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데 기틀을 마련할 수 있을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special and general teachers’ experiences and implications of participating in an in-school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to encourage the disabled students to participate in the inclusive classes. Methods The researcher used the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used the action research method of problem addressing-planning-implementing-introspecting-modifying of the plan and re-implementing. To this end, the researcher organized and operated an in-school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wherein a special teacher and two general ones would participate. Results First of all, the results of teachers’ cooperative participation in the in-school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to encourage the disabled students to participate positively in learning can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the school community members experienced some positive changes, while improving the problems in the school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through the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study. Secondly, through the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study, the school community members could experience and perceive the educational value of the professional in-school learning community. Thirdly, it was found that the special teacher and general ones could form a partnership for a cooperative learning. Next, the conclusion about teachers’ experiences and implication of their participation in the in-school learning community can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in-school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would experience the positive change of teachers’ perception. Secondly, the teachers would experience a positive change in the interactions with the school community members. Thirdly, th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would be able to develop their educational professionalism. Conclusion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ould provide for some basic data to explore an effective method of enhancing inclusive education through the in-school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 KCI등재

        성공적인 학습에 필요한 요인에 대한 대학생의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 분석

        김지영(Kim, Ji 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

        The current study examined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and execution of necessary factors for successful study at university. It also investigated whether the difference between students perception of importance and execution impacts on academic achievement, satisfaction, and stres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135 students attending at S university in Seoul.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students are in need of developing self-directed attitude, obtaining sufficient study time, and blocking factors which disturb learning.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and grade. It was revealed that in general, consistency between the importance and execution of necessary factors for successful study has a significant impact on academic achievement, satisfaction, and stres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a group who has high consistency between the importance and execution is more excellent in classroom participation than a group who has discrepancy between them.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priorities for support to improve students learning competency and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strategies of the support. 본 연구는 대학에서의 성공적인 학습을 위해 필요한 요인에 대한 대학생들의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을 파악하고,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가 학점, 학업 만족도, 학업 스트레스, 그리고 수업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해 대학에서의 성공적인 학습을 위해 필요한 요인들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학생들의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수도권에 위치한 S대학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총 2,135명의 자료를 바탕으로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를 분석하여 학습관련 요구도를 파악한 결과, 자기주도적인 태도, 학습 방해 요소 차단, 충분한 학습 시간 확보에 있어 학생들의 요구가 높았다. 성별과 학년에 따른 요구의 차이는 크지 않았다. 학습에 필요한 요인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 차이는 학점, 학업 만족도, 학업 스트레스에 전반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중요도와 실행도의 일치가 높은 집단은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전반적으로 수업 참여를 더 잘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학생의 요구도 파악 을 통해 대학생들의 학습력 향상을 위한 학습 지원의 방향 및 지원 전략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