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학습장애아의 실행기능에 관한 교육적 탐색: 이론적 특성 및 개별교수적 접근을 중심으로
송찬원 한국학습장애학회 2010 학습장애연구 Vol.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ducational research on executive function of the children with learning disorders. especially, This aims to examine the theoretical basis and property of the executive function for effective teaching for children with learning disorders and to research an appropriate teaching strategy based on the property of the executive function. For its methodology, this study collected the precedent domestic and overseas studies regarding the executive function and then carried ut the documentary analysis and examin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the executive function is a high-level perceptional function, and a defect of this executive function has been pointed out as a main factor in learning disorders. In other words, it is a perceptional factor which may bring about learning defects and behavioral problems and then cause a negative effect on learning achievement. Second, In sub-type of executive function of learning disability, there are obvious difference of function of attention, function of verbal, function of memorial, function of sight-space. Until now, a study and approach on the executive function of children with learning disorders has been rarely carried out. Specially, i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executive function for effective teaching for children with learning disorders, and it is required to approach a individualized teaching strategy considering the sub-type of executive function. 본 연구는 학습장애아의 실행기능에 관한 교육적 탐색을 시도하였다. 구체적으로 실행기능에 관한 전반적인 이론적 근거와 실행기능의 하위요소 특성을 간략히 살펴보았고, 마지막으로 실행기능의 강화를 위해 개별교수적 측면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에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은 실행기능 관련 국내외의 선행 연구들을 중심으로 간략히 연구 추이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실행기능은 상위인지기능이며, 실행기능의 결함은 학습장애의 주요 원인으로 지적되었다. 실행기능은 학습결함과 행동문제를 수반하여 학업성취도에 부정적 결과를 초래하는 인지요인으로 밝혀졌다. 또한 학습장애아의 실행기능은 주의기능, 언어기능, 시공간기능, 기억기능의 4가지 하위요소별 특성이 각기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현재 우리나라에서 학습장애아의 실행기능에 관한 연구와 접근은 매우 초기단계이며, 향후 학습장애아의 효과적인 학습지도를 위해서 실행기능의 특성에 적합한 개별교수적 접근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특히 정확교수의 경우 주의기능, 직접교수의 경우 언어기능과 시공간기능, 임상교수의 경우 언어기능, 시공간기능, 기억기능, 정보처리 접근법의 경우 주의기능, 시공간기능, 기억기능, 인지-행동 접근법의 경우 주의기능, 언어기능, 시공간기능, 기억기능의 강화에 효과적인 개별교수가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2007년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해설에 따른 교수․학습 실행 방안
김경익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0 漢字 漢文敎育 Vol.24 No.-
이 글의 목적은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해설에 따른 교수․학습 실행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고려해야 될 점과 실행의 곤란 요인을 규명하고, 효율적인 실행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해설에 따른 실행의 전제를 고찰해 보고, 단위 학교에서 개정 교육과정의 효율적인 실행을 위해 학생 관련 자료를 어떻게 수집할 수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해설에 따라 효율적인 교수․학습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한문과 교수․학습 관련 연구가 활성화되고, 한문과 교수․학습 관련 변인에 대한 고려가 선행되어야 한다. 한문과 교수․학습 관련 연구의 활성화는 교수․학습 관련 개념의 정립, 다양한 사례 연구, 내용 영역별 교수․학습 모형 및 방법의 개발을 구체적으로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수․학습 관련 변인은 교육과정 자체, 학습자 변인, 교사 변인, 텍스트 변인, 상황 맥락을 제시하였다. 이 중 교사는 교육과정 전달자로서 교육과정 성공의 핵심이라 할 수 있다. 한문과 교육과정을 실행하는 교사는 교육과정의 내용을 학생들의 학습 능력에 따라 재구성할 수 있어야 한다. 학생들의 학습 능력과 학습 곤란 요인을 파악은 실행의 기초작업이다. 연구자는 이를 위해 검사와 설문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해당 학생들은 한문 독해의 기초 능력이 부족하며 그 원인은 문맥에 따른 한자의 뜻 파악 능력 부족, 직역 능력 부족 등이었다. 또한 한문 학습에 대해 흥미를 느끼지 못하는 학생은 한문 학습에 동기부여가 이루어지지 않고, 한문 교과를 他者化하려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자는 이런 결과를 토대로 향후 교수․학습 전략을 수정․보완해야 하는 과제를 부여받게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searching for a solution to implement the Curriculum of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as amended in 2007. I looked for Points to consider in detail and Difficulty factor of Korean classical Chinese Learning. To this end, I looked up the prerequisites of running. And I run training courses in schools with students how to gather the relevant data were reviewed. For efficient Implementation of a Teaching and Learning According to the Curriculum of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as amended in 2007,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teaching - learning related research should be activated. And the first professor of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learning-related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Its activation is prerequisite. That teaching - learning related to formulation of the concept, and various case studies, information, domain-specific teaching - learning models and methods are developed. According to the revised curriculum teaching - learning process itself is an education-related variables, learner variables, teacher variables, text variables, the situation is the context. The teacher of the course content based on student learning should be reconstructed. Student learning and learning difficulties identify the factors is the execution of the basic tasks. The researchers conducted tests and questionnaires.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Result, students lack basic skills in reading Korean classical Chinese. The cause of the Chinese characters mean in the context of lack of understanding, lack of reading skills and so on. The Korean classical Chinese do not feel interested in learning about the motivation of students learning the Korean classical Chinese were weak. Based on these results, future researchers, teaching - learning strategies were modified and supplemented and given a task.
개별화 교수전략을 적용한 AI 기반 적응형 학습 시스템 활용 중학교 기초학력 미달 수업에 관한 참여적 실행연구
이봉규,정경욱,이원경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4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ction research on a mathematics class for students with below basic academic ability using an AI-based adaptive learning system to which a personalized instruction strategy is applied and to explore educational changes between learners and teachers in this process. Methods For this reason, teachers and researchers conducted math classes using an AI-based adaptive learning system that applied personalized instruction strategies derived for middle school students with the achievement of below basic proficiency level for about four months. Collecting main data was from observation logs, reflection logs, interview, learning data, and mathematical learning affective domain test, and the data were analyzed as the mixed research method. Results During research, a class for students with below basic academic ability was changed to a personalized class using the AI-based adaptive learning system, and in this process, planning, execution, and reflection of personalized class using AI-based adaptive learning were analyzed. The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diagnosed and recovered the prerequisite learning deficits and the cognitive domains generally increased, 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affective domains.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we confirmed that mathematical interest and mathematical self-efficacy improved and learning satisfaction increased. Teachers realized personalized classes, experienced roles of new instructors, and discovered the possibility of personalized and customized instruction within the school.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ementation process, advantages, and limitations of classes using the AI-based adaptive learning system applied with personalized instruction strategies were reviewed, and measures were discussed to realize personalized instruction at schools.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개별화 교수전략을 적용한 AI 기반 적응형 학습 시스템 활용 기초학력 미달 수학 수업에 실행연구를 실시하고이 과정에서 학습자와 교사의 교육적 변화를 탐색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교사와 연구진이 약 4개월간 중학교 기초학력 미달 학생을 대상으로 도출된 개별화 교수전략을 적용한 AI 기반적응형 학습 시스템 활용 수학 수업을 실시하였다. 주요 자료 수집은 관찰일지, 성찰일지, 면담, 학습데이터와 수학학습 정의적 영역검사로 해당 자료들은 혼합적 연구 방법으로 분석되었다. 결과 실행연구를 진행하며 기초학력 미달 수업은 AI 기반 적응형 학습 시스템을 활용한 개별화 수업으로 변하였고, 이 과정에서AI 기반 적응형 학습 시스템을 활용한 개별화 수업의 계획, 실행, 성찰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 참여한 학습자들은 선수학습 결손부분을 진단 및 회복하여 인지적 영역은 대체로 상승하였고, 정의적 영역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질적 분석을 통해수학적 흥미, 수학적 자기효능감이 향상되고 학습 만족도가 높아졌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교사는 개별화 수업을 실현하였고 새로운 교수자의 역할을 경험하며 학교 안에서 개별화 맞춤형 수업의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개별화 교수전략을 적용한 AI 기반 적응형 학습 시스템 활용 수업의 실행과정, 장점과 한계점을살펴보고 이를 통해 학교에서 개별화 수업이 실현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정민수(Minsoo 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15
목적 본 연구는 학습자의 역량형성 관점에서 2022 개정교육과정의 배경을 살펴보고, 개념기반 역량형성 수업의 단원 설계 및 실행을 통해 초등학교 교실수업의 적용 방향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자문그룹과 워킹그룹을 조직하여 6개월에 걸쳐 개념기반 역량형성 수업을 실행하였다. 특히 실행연구의 틀을 ‘이해-탐색-코칭-실행-성찰’ 단계로 마련하여 개념기반 역량형성 수업을 명료화-구조화-구체화-정교화하였다. 또한 의도적 표본추출 방법을 통해 개념기반 역량형성 수업을 교수학습 맥락에서 개별교실수업과 협력교실수업으로 구분하여 실행하고, 수업의 단원 설계 및 적용에 따른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결과 분석결과, 개념기반 역량형성 수업은 탐구학습을 통해 얻은 지식과 정보를 연결하여 핵심개념을 형성하고 다양한 상황과 맥락으로 전이하는 ‘깊이 있는 학습’을 지향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개별교실 수업모형(문제의 이해, 해결계획 수립, 해결계획 실행, 해결과정 검토)과 협력교실 수업모형(중심문제 발견, 아이디어 생성, 교호적 상호작용, 실생활 응용)의 단원 설계 및 적용으로 ‘깊이 있는 학습’에 의한 학습자의 역량형성을 모색하고 있었다. 또한 개별교실수업과 협력교실수업에 맞춰 탐구요소를 질문과 탐구, 구성과 설명, 이해와 행동, 정리와 성찰로 설정하고 개념기반 역량형성 수업의 시너지 전략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시너지 전략으로 개별교실수업과 협력교실수업에 대한 수업을 디자인하고 전문가 의견을 반영하여 개념기반 역량형성 수업에 대한 단원 설계 측면의 고려사항을 정리하였다. 결론 개념기반 역량형성 수업은 개별교실수업과 협력교실수업의 특성과 학습 환경을 반영하여 단원 설계를 주제확인, 주제탐색, 과제실행, 과제평가로 전개할 때 ‘깊이 있는 학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background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from the perspective of learner competency formation and explore the direction of application to elementary school classroom classes through unit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oncept-based competency formation classes. Methods To this end, an advisory group and a working group were organized and concept-based competency formation classes were implemented over a period of six months. In particular, the framework of action research was established in the stages of ‘understanding-exploration-coaching-implementation-reflection’ to clarify, structure, concrete, and elaborate concept-based competency formation classes. In addition, through a purposeful sampling method, concept-based competency formation classes were divided into individual classroom classes and collaborative classroom classes in the context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implications were derived from the design and application of class units.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concept-based competency formation classes aim for ‘deep learning’ that connects knowledge and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inquiry learning to form core concepts and transfer them to various situations and contexts. In particular, the unit design and application of the individual classroom teaching model (understanding the problem, establishing a solution plan, implementing the solution plan, reviewing the solution process) and the collaborative classroom teaching model (discovering the central problem, generating ideas, interactive interaction, and real-life application) We were seeking to build learners' capabilities through ‘deep learning’. In addition, according to individual classroom classes and collaborative classroom classes, the inquiry elements were set as questions and exploration, composition and explanation, understanding and action, and organization and reflection, and a synergy strategy for concept-based competency formation classes was presented. Using this synergy strategy, we designed classes for individual classroom classes and collaborative classroom classes and reflected expert opinions to organize considerations in terms of unit design for concept-based competency formation classes. Conclusions Concept-based competency formation classes reflect the characteristics and learning environment of individual classroom classes and collaborative classroom classes, and it was found that “in-depth learning” is effective when unit design is developed into subject identification, subject exploration, task execution, and task evaluation.
박나리(Park, NaRi),송해덕(Song, Hae-De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4
본 연구는 대학에서 효과적인 학습자 중심 수업의 실현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학생들의 인식을 바탕으로, 학습자 중심 수업에 대한 중요도와 실제 수업의 실행도를 비교·분석하였다. 먼저,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학습자 중심 수업을 실현하기 위한 핵심 요소를 도출하였고, 경기도 소재 S 대학의 학생 515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학습자 중심 수업에 대한 인식자료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학습자 중심 수업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의 인식을 파악하여, 중요도-실행도 분석(IPA)을 통해 인식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학습자 중심 수업에 대하여 중요하다고 인식하지만, 실제 실행수준은 낮았다. 둘째, ‘의사소통 및 상호작용’은 중요도와 실행도가 모두 높은 영역으로 나타났다. 셋째, IPA 분석결과 개선 노력을 위한 집중영역에 영역별 ‘학습관’, ‘교수학습활동’, ‘수업목표’의 3개 영역, 세부항목별 총 10개 항목이 도출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향후 대학에서 학습자 중심 수업의 효과적인 실현을 위한 실제적인 방안들을 논의하고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learner-centered classes in universities. To this purpose, importance of learner-centered instruction and actual class performance were compared and analyzed based on the perception of college students. First, the core elements for realizing learner-centered instruction were derived through a review of prior studies, and data on learner-centered instruction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targeting 515 students at S University in Gyeonggi-province, Korea. In addition, the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degree of learner-centered instruction was analyzed through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perceived that the learner-centered instruction was important, but the actual level of performance was low. Second,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was found to be a high level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Third, as a result of IPA analysis, a total of 10 items were derived for each area, three areas: “Learning philosophes”,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and “Class Objectives” as the focus areas for improvement effort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and suggested practical plans for the effective realization of learner-centered instruction in future universities.
일학습병행 기업현장교사 선정의 적절성, 현장 훈련 실행 및 학습 전이의 관계에 대한 학습 전이 풍토의 조절된 매개효과
김대영,박상오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8 직업능력개발연구 Vol.21 No.2
이 연구는 일학습병행 기업현장교사 선정의 적절성, 그리고 기업현장교사의 현장 훈련 실행과 학습근로자의 학습 전이의 관계에 대한 학습 전이 풍토의 조절된 매개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일학습병행에 참여하는 기계·로봇, 전기·전자, 정보통신 분야의 기업현장교사와 학습근로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기업현장교사에게는 기업현장교사 선정의 적절성과 현장 훈련 실행에 관한 것을, 학습근로자에게는 학습 전이와 학습 전이 풍토에 대해 질문하였다. 총 349쌍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학습병행 기업현장교사 선정의 적절성, 기업현장교사의 현장 훈련 실행 수준, 학습근로자의 학습 전이 및 학습 전이 풍토는 상호 정적인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업현장교사의 현장 훈련 실행은 기업현장교사 선정의 적절성과 학습근로자의 학습 전이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 전이 풍토의 조절된 매개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일학습병행 현장 훈련의 효과성 향상을 위한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several things. First, it examines the appropriateness of designating in-company trainers for a work-learning dual system. Next, it examines the moderated-mediating effect of learning transfer climate (LTC) on the in-company trainer's on-the-job training, and the correspondent work-learner's learning transfer (LT). Subjects were small and medium-sized Korean businesses in mechanical and robotics industries, electrical and electronic industries, and information technology sectors. Trainers were asked about the appropriateness of their selection criteria, including consideration for various competencies and aspects of on-the-job training. Learners were asked about LT and LTC. A total of 349 data set points were collected from the trainers and learners and used for data analysis. Analyses found several things. First, appropriate trainer selection criteria, on-the job training performance levels, learner's LT and LTC are positively correlated. Second, a trainer's OJT performance fully mediates trainer selection criteria and the corresponding learner's LT. Thir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LTC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lications of the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propose points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work-learning dual system OJT.
이성흠(李聖欽),윤초희(尹蕉熙),최상봉(崔相鳳)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1 아시아교육연구 Vol.12 No.4
지식기반사회의 성숙과 함께 학문공동체에서는 연구윤리에 대한 담론이 활발하다. 연구윤리는 책임 있는 연구수행을 위해 준수해야 할 윤리원칙 또는 행동양식이다. 이 연구는 학습하는 과정에서 개인적인 윤리 확립을 위한 실천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학습윤리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을 조사?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대상은 서울특별시 K대학교 공과대학 재학생 183(남: 142, 여: 41)명이며, 설문지는 ‘학습윤리’에 관한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들은 보고서 작성 항목에서 대리작성, 아이디어 도용, 과제물 구매 등에서는 준수의 중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지만, 중복제출과 짜깁기에서는 중요성 인식의 정도가 낮았다. 학습윤리에 대한 실행도(준수정도)에서는 대리작성, 중복제출, 과제물 구매 등에서 높게(즉, 위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짜깁기와 표절에서는 실행도가 낮았다. 중요도와 실행도 점수 차이는 중복제출, 짜깁기, 과제물 구매, 표절, 대리작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학습윤리 위반에 대한 이유는 ‘더 좋은 학점에 대한 욕심’, ‘시간의 부족’, ‘자료에 대한 쉬운 접근성’이었다. 둘째, 기타 학업수행(출석, 협동과제, 시험 등) 측면에서 학습윤리 중요도는 대리시험, 시험부정행위, 무임승차에서는 높았지만 대리출석과 무단조퇴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이들 항목에 대한 실행도에서도 비슷한 경향이 나타났다. 중요도-실행도 점수 차이는 대리출석, 무단조퇴, 대리시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셋째, 학습윤리의 중요도와 실행도 차이 분석 결과, 중요도는 높으나 실행도가 낮은 약점 항목으로 집중관리가 필요한 부분은 ‘표절’, ‘위조’, ‘변조’로 나타났다. 중요도와 실행도가 모두 높은 강점 특성으로는 ‘과제물 구매’, ‘대리작성’, ‘아이디어 도용’과 ‘대리시험’, ‘무임승차’, ‘시험부정 행위’가 포함되었다. 중요도와 실행도의 인식 수준이 모두 낮은 항목은 ‘짜깁기’를 포함하여 ‘대리출석’, ‘무단조퇴’ 항목이다. 중요도는 낮지만 실행도는 비교적 높은 투자 및 집중도 조절이 요구되는 불필요한 강점 항목에는 ‘중복제출’이 포함되었다. Nowadays ‘academic honesty/academic integrity’ becomes an important issue in the research community. The issue of ‘academic ethics’ is particularly relevant to college student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nalyze college students’ conceptions of ‘academic ethics’. For this purpose, one hundred eighty-three (142 males and 41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recruited from K University in Seoul. The survey instrument used for the study consisted of thirteen questions regarding academic ethic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ollege students reported high importance in compliance with the items of agency creating, idea stealing, and homework buying, but they reported lower importance on the items of weaves in writing and duplicate submission. Second, students also reported high importance in compliance with the items of surrogate test, test cheating, and free riding in homeworks, but they reported lower importance on the items of valet attendance and unauthorized leaving early. For the items of performance, compliance scores showed a similar trend. Lastly, the results of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showed that the items of academic ethics in the ‘concentrate’ area were ‘plagiarism’, ‘fake’, and ‘modulation’, respectively. In conclusion, plagiarism as a violation of academic ethics may occur when students don’t know how to appropriately quote from resources. In order to establish ‘academic ethics’ code for college students in university, we should design, develop, and implement appropriate courses such as ‘research ethics,’ ‘academic writing,’ etc.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학교 안 전문적학습공동체 참여 경험과 의미: 통합학급 수업 참여를 중심으로
소리나,홍재영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3
목적 이 연구는 장애학생의 의미 있는 통합학급 수업 참여를 위해 학교 안 전문적학습공동체에 참여한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경험과 그 의미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연구자는 협력적 실행연구 방법을 활용하였다. 이 연구는 실행연구의 절차인 문제 발견-계획 수립-실행-성찰-계획 수정 및 재실행의 연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특수교사와 두 명의 일반교사는 연구자와 연구참여자가되어 학교 안 전문적학습공동체를 조직하여 운영하였다. 결과 먼저, 장애학생의 의미 있는 수업 참여를 위해 학교 안 전문적학습공동체에 참여한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협력적 실행연구과정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는 학교 현장의 문제를 개선해나가며 점차 긍정적인 변화를 경험하는 학교 구성원들의 모습을 발견할 수 있었다. 둘째, 이 연구는 학교 안 전문적학습공동체의 교육적 가치를 경험하고 필요성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이 연구는 특수교사와 일반교사가 협력적 실행연구를 통해 서로 협력하는 동반자적 관계를 형성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장애학생의의미 있는 수업 참여를 위해 학교 안 전문적학습공동체에 참여한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경험과 그 의미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안 전문적학습공동체에 참여한 교사는 긍정적인 교사 인식의 변화를 경험할 수 있었다. 둘째, 학교 안 전문적학습공동체에 참여한 교사는 학교 구성원 간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변화를 경험할 수 있었다. 셋째, 학교 안 전문적학습공동체에 참여한 교사는수업 전문성을 개발할 수 있었다. 결론 이 연구의 결과는 앞으로 학교 안 전문적학습공동체를 통한 통합교육의 효율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데 기틀을 마련할 수 있을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special and general teachers’ experiences and implications of participating in an in-school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to encourage the disabled students to participate in the inclusive classes. Methods The researcher used the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used the action research method of problem addressing-planning-implementing-introspecting-modifying of the plan and re-implementing. To this end, the researcher organized and operated an in-school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wherein a special teacher and two general ones would participate. Results First of all, the results of teachers’ cooperative participation in the in-school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to encourage the disabled students to participate positively in learning can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the school community members experienced some positive changes, while improving the problems in the school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through the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study. Secondly, through the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study, the school community members could experience and perceive the educational value of the professional in-school learning community. Thirdly, it was found that the special teacher and general ones could form a partnership for a cooperative learning. Next, the conclusion about teachers’ experiences and implication of their participation in the in-school learning community can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in-school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would experience the positive change of teachers’ perception. Secondly, the teachers would experience a positive change in the interactions with the school community members. Thirdly, th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would be able to develop their educational professionalism. Conclusion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ould provide for some basic data to explore an effective method of enhancing inclusive education through the in-school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성공적인 학습에 필요한 요인에 대한 대학생의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 분석
김지영(Kim, Ji 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
The current study examined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and execution of necessary factors for successful study at university. It also investigated whether the difference between students perception of importance and execution impacts on academic achievement, satisfaction, and stres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135 students attending at S university in Seoul.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students are in need of developing self-directed attitude, obtaining sufficient study time, and blocking factors which disturb learning.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and grade. It was revealed that in general, consistency between the importance and execution of necessary factors for successful study has a significant impact on academic achievement, satisfaction, and stres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a group who has high consistency between the importance and execution is more excellent in classroom participation than a group who has discrepancy between them.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priorities for support to improve students learning competency and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strategies of the support. 본 연구는 대학에서의 성공적인 학습을 위해 필요한 요인에 대한 대학생들의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을 파악하고,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가 학점, 학업 만족도, 학업 스트레스, 그리고 수업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해 대학에서의 성공적인 학습을 위해 필요한 요인들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학생들의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수도권에 위치한 S대학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총 2,135명의 자료를 바탕으로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를 분석하여 학습관련 요구도를 파악한 결과, 자기주도적인 태도, 학습 방해 요소 차단, 충분한 학습 시간 확보에 있어 학생들의 요구가 높았다. 성별과 학년에 따른 요구의 차이는 크지 않았다. 학습에 필요한 요인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 차이는 학점, 학업 만족도, 학업 스트레스에 전반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중요도와 실행도의 일치가 높은 집단은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전반적으로 수업 참여를 더 잘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학생의 요구도 파악 을 통해 대학생들의 학습력 향상을 위한 학습 지원의 방향 및 지원 전략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운동학습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의 작업기억, 전환능력, 억제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장녕(Kim, Jang-Nyoung) 한독심리운동학회 2020 심리운동연구 Vol.6 No.2
이 연구에서는 운동학습프로그램이 아동기의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초등학교 5학년, 6학년 총 28명을 운동학습프로그램을 실시한 집단14명과 운동을 실시하지 않는 집단 14명으로 나누어 이들의 실행기능의 하위요소 억제능력, 전환능력, 작업기억을 측정하였다. 실행기능 검사는 운동학습프로그램을 시작한 직후 10월과운동학습프로그램을 12주 마친 12월에 각각 측정하였다. 억제능력은 스트룹검사(Stroop Color and Word Test)로 측정하였고 전환능력은 아동색선로 검사(Children s Color Trails Test)로 측정하였고, 작업기억은 숫자따라하기(DSF), 숫자 거꾸로 말하기(DSB) 과제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실행기능의 운동학습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 보다 억제능력의 검사 단어, 색상, 색상-단어검사 점수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왔고 전환능력의검사의 CCTT2에서는 통제집단 보다 실험군이 점수에서 유의하게 높게 측정되었으며, 마지막으로 작업기억력검사 숫자따라하기(DSF), 숫자거꾸로따라하기(DSB)검사 실험군이 점수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왔다. 이렇듯 실험집단이 실행기능에 전반적으로 향상되었으며, 이는 운동학습프로그램이 실행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영향을 알 수 있으며 운동학습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아동기 때 실행기능의 향상을 위해 교육현장에 활용될 수 있을것으로 보인다. In this study, we tried to find out the effect of motor learning program on executive funtion. in total, 28 students in fifth and sixth grade are divided into groups that do not exercise program and group that non exercise who 14 students in fifth grade. we measured inhibition, shifiting and working memory of 28 students in fifth and sixth grade by dividing them into to two groups, students who already took the exerxise program and students who did not. Execution function was tested on october immediately at the start of the exercise program and on decemeber when the 12weeks exercise program ended. the ability to suppress was by stroop color and word test, the ability to switch was by children s color trail test and work memory was by tasks DSF, DSB. As a result, the group that ran the exercise program had better execution capabilities. This has positive effects on the execution function and suggests that motor learning programs can be utilized at educational sites to improve the childhood execution function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