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태권도 시범기술 수행의 실패요인 탐색

        장권,김종수 한국스포츠학회 2017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5 No.1

        이 연구는 태권도 시범단원들이 시범기술 수행에서 실패에 대한 요인을 탐색하기 위해 전국에서 현재 각 태권도 시범단에 소속되어 시범단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단원들 100명을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개방형 설문의 내용을 귀납적 범주화하여 실패요인을 탐색한 결과 태권도 시범기술 수행의 실패요인은 21개의 세부영역으로 분류되었고, 21개의 세부영역은 사고 조절 미흡, 불안 조절 미흡, 마음 조절 미흡, 신체 조절 미흡, 외부 환경 의식의 5개 의 일반영역으로 분류되었으며, 5개의 일반영역은 2개의 내적요인과 외적요인으로 구분되었다. 귀납적범주화로 도출 된 실패 요인의 내용을 토대로, 태권도 시범단원 5명과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내용을 분석하여 실패요인들을 구 체화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태권도 시범에서 사고조절 미흡은 시범기술의 실수로 이어지는 가장 큰 실패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태권도 시범에서 불안조절 미흡은 시범기술 수행에 실패로 이어지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태권도 시범을 하는 단원들이 자신의 마음을 조절하지 못하면 시범기술을 실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태권도 시범에서 시범단원들의 신체조절 미흡 즉 체력이나 컨디션으로 인한 집중력 저하, 연습 부족 등이 시범기술 수행의 실패요인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태권도 시범에서 외부 환경의 의식은 태권도 시범기술 수행에 실패와 연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order to investigate failure factors in taekwondo demonstration team members' performance of demonstration technique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including open-ended questions amongst 100 people who belong to taekwondo demonstration teams in various parts of the countr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failure factors through the inductive categorization of the answers to open-ended survey questions, failure factors in the performance of taekwondo demonstration techniques were classified into 21 specific areas. The 21 specific areas were classified into 5 general areas including the lack of thought control, the lack of anxiety control, the lack of mind control, the lack of body control, and the consciousness of external environments. The 5 general areas were classified into 2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On the basis of failure factors derived from the inductive categorization, in-depth interviews were carried out with 5 members who had more than 5 years of experiences of taekwondo demonstration team activity. First, it was found that the lack of thought control in taekwondo demonstration was the biggest factor of failure that causes mistakes in demonstration techniques. Second, the lack of anxiety control in taekwondo demonstration was found to be a factor leading to failed performances of demonstration techniques. Third, the team members' lack of mind control led to the failure in the performance of demonstration techniques. Fourth, when the team members were unable to control their body, that is, when their concentration was declined due to their weakened physical strength or exhaustion or when they did not practice enough, they failed to perform demonstration techniques properly. Fifth, when the team members were conscious of external environments, they showed poor performance in taekwondo demonstration techniques.

      • KCI등재

        스포츠 수행 실패 평가 척도의 개념구조 확인 및 타당화 검증

        척우비,천승현,송용관 한국코칭능력개발원 2023 코칭능력개발지 Vol.2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validation and conceptualization of Korean version of Failure Appraisal Inventory-Revised (K-PFAI-R), in which to design to assess athlete performance failure in sport context. It was originally developed by Conroy, Willow, and Metzler (2002). K-PFAI-R consists of five factors with 25 items—namely, fear of experiencing shame and embarrassment (7 items), fear of devaluing one’s self-estimate (4 items), fear of having an uncertain future (4 items), fear of important others losing interest (5 items) and fear of upsetting important others (5 items). Two hundred fifty-five students (high school and colleg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completed the questionnaire in order to the K-PFAI-R in sport context. To test the validity of K-PFAI-R, the factorial structure of the scale was tested us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As results, in the CFA model fit of K-PFAI-R was excellent by structuring five actors—namely, 1) fear of experiencing shame and embarrassment, 2) fear of devaluing one’s self-estimate, 3)fear of having an uncertain future, 4)fear of important others losing interest and 5)fear of upsetting important others than EFA. The supported model comprised five-factor structure in CFA, which represented hypothesized interrelated dimensions of performance failure in sport context. Overall, the Korean version of failure appraisal inventory-revised demonstrated good internal, factorial, and validity, as well as internal consistency. The conceptualization on the fear of performance failure is discussed, and recommend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and directions are made concerning the usage of the K-PFAI-R in physical education or sport context. 국내 스포츠 분야에서 수행 실패 평가 척도는 타당화 검증 과정 없이 그리고 잘못된 척도 표기 방식으로 활용되면서 문제점이 도출되고 있다. 이 연구는 스포츠 상황에서 선수들이 느끼는 수행 실패에 대한 두려움을 측정할 수 있도록 Conroy, Willow와 Metzler(2002) 가 개발한 개정 수행 실패 평가 척도(performance failure appraisal inventory-revised)가 국내 상황에서 적합하게 활용될 수 있는지 검증하였다. 구체적으로 수행 실패 평가 척도의 개념구조를 재확인하고 요인구조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고등학교와 대학교에서 팀 스포츠에 참여하고 있는 학생운동선수 225명(고등학생 105명, 대학생 1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기반으로 수행 실패 평가 척도의 요인구조를 확인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진행하여 타당도를 비교하였다. 부가적으로 정신력을 준거변인으로 활용하여, 준거타당도와 예측타당도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탐색적 요인분석에서는 5요인 16문항의 타당성이 확인되었으며, 확인적 요인분석에서는 5요인 25문항에 대한 타당성이 확보되었다. 확인적 요인분석에서는 모든 요인 구조가 적합한 것으로 밝혀졌지만, 탐색적 요인분석에서는 일부 문항이 요인구조가 부적합한 것으로 확인되면서 반복적인 검증이 요구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선수들이 인식하는 수행 실패 평가는 정신력과도 부적 상관을 보이며, 정신력을 예측하는 선행변인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앞으로 지속적으로 수행 실패 평가 척도의 타당도를 다양한 상황과 종목을 대상으로 검증해야 하는 시사점과 함께 성취과정에서 선수들이 인식하고 있는 실패에 대한 두려움을 보다 구체적으로 측정하고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한국판 인지실패 질문지의 타당화: 대학생을 대상으로

        박창호,강희양 한국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0 No.1

        Cognitive Failures Questionnaire (CFQ) was developed as a measure of everyday cognitive errors by Broadbent, Cooper, Fitzgerald, and Parkes (1982). Concerning the factor structure of this questionnaire, there have been various models suggested, including a 4-factor model which was suggested by Wallace, Kass, and Stanny (2002) and was validated by Wallace (2004). This study was performed to make Korean version of CFQ and to evaluate its factor structure and validity. With 293 college students, scores of cognitive failures, everyday attention, everyday memory, and five factor scales of personality, and their levels of academic achievement were surveyed. Factor analysis of CFQ suggested 5 factors, whose fit indices were assessed positively b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cognitive failures correlated highly with everyday attention and memory, but not with academic achievement level. As expected, cognitive failures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neuroticism and negative correlation with conscientiousness. In conclusion, Korean version of CFQ was judged to have a lot of validity, but it revealed somewhat different factor structure from the English one suggested by Wallace. Limitations of CFQ and directions of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일상적으로 경험하는 인지 오류를 포괄적으로 측정하는 도구로서, Broadbent, Cooper, Fitzgerald와 Parkes(1982)는 인지실패 질문지를 개발하였다. 이 질문지의 요인구조들이 여러 가지로 제안되어 왔는데, Wallace(2004)는 자신과 동료들(Wallace, Kass, & Stanny, 2002)이 제안한 4 요인 모형의 타당성을 주장하였다. 본 연구는 번안된 인지실패질문지의 요인구조와 타당성을 검토하고자 수행되었다. 293 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인지실패, 일상주의, 일상기억, 성격의 5 요인 척도 및 학업성취 수준을 조사하였다. 인지실패 질문지를 요인분석하여 추출한 5개 요인으로 구성된 모형의 적합도를 확인적 요인분석으로 평가하였을 때, 이 모형이 수용할 만한 것으로 보였다. 척도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을 때, 인지실패는 주의 및 기억과 높은 상관을 보이나 학업성취 수준과는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성격의 5 요인 중, 신경증과는 정적 상관을, 성실성과는 부적 상관을 보이는, 예상되는 결과가 얻어졌다. 번안한 인지실패 질문지는 타당한 것으로 보이지만, 그 요인구조는 Wallace(2004)의 제안과 차이가 있었다. 이는 인지실패 질문지에 대한 한국판의 고려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인지실패질문지의 한계점과 개선 방향에 대한 논의를 하였다.

      • KCI등재

        기술혁신 저해요인의 결정 요인과 상호보완성

        이경남(Kyoungnam Lee),장효정(Hyo Jung Jang),최상옥(Sang Ok Choi) 한국정책과학학회 2016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20 No.4

        급변하는 기술 발전과 시장 변화에 대응하여 기업이 생존하기 위해서 혁신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혁신 성공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혁신 실패 관점에서 기술혁신을 저해하는 요인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품혁신을 어렵게 하는 저해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 요인을 규명하고 저해요인간 상호보완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기술혁신 저해요인들을 이론적 분석틀에 기초하여 체계화하고 각 저해요인별로 영향을 미치는 결정 요인들의 차별적인 영향을 검증하였다. 또한 저해요인간 상호보완적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서 선행연구에서 활용된 다변량 프로빗 모델(multivariate probit model)을 적용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혁신활동 시도 횟수, 기업 특성, 산업 특성, 기술 특성 등에 따라서 혁신과정에서 직면하는 저해요인의 종류와 정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저해요인간의 상호보완적 관계도 매우 긴밀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혁신실패기업의 경우 성공기업에 비해서 기업규모, 창업여부, 수출여부에 따라 저해요인을 두드러지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혁신활동횟수가 높아짐에 따라 저해요인을 높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는 혁신실패에 대한 질적인 분석에 의존하는 기존 연구의 한계를 넘어서서 계량적 분석을 통해 혁신의 성공을 저해하는 요인에 대한 구체적인 함의를 제시하고, 나아가 개별 기업 및 정부가 혁신 실패 가능성을 낮추는 효과적인 전략을 수립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determinants and complementarities of the obstacles to technological innovation from Korean manufacturing firms. The results of the multivariate probit model show that there are differentiations of the determinants among industry, size and type of the firm, technological characteristics and degree of engagement in innovative activities. We use data from the Korean Innovation Survey (K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firm"s engagement in innovation and their perception of the barriers to innovation and complementarities between those obstacles. These results expect to contribute to establish innovation policy in manufacturing industry.

      • KCI등재
      • KCI등재

        음식점의 성공요인 vs. 실패요인 - 단골 및 방문 중단 음식점을 중심으로 결정적 사건기법(CIT) 활용 -

        왕윤찬 한국외식경영학회 2020 외식경영연구 Vol.23 No.2

        This study is to find out success and failure factors of restaurants, and is designed as a qualitative study on strengths, shortcomings and factors of overcoming shortcomings of the most visited restaurants and reasons for the suspension of visit to the restaurant no longer visit. The researcher had used a critical incident technique for qualitative research and had analyzed 257 parts excluding defects by surveying 288 people living in Korea with open-ended questions. As results of the study, the researcher derived eight critical strengths, ten critical shortcomings, seven critical success factors, and five critical failure factors. Critical success factors are taste, accessibility, price, mood & interior, quality, menu, competitive advantage, and critical failure factors are kindness, taste, cleanliness & hygiene, price, accessibility. The study is considered to have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in that it is the first qualitative research to categorize success factors of the most visited restaurants and failure factors of the stop-visit restaurants. 본 연구는 고객들을 대상으로 음식점의 중요한 성공요인과 실패요인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고객들이 가장 많이 방문하는 단골 음식점에 대해서는 강점, 단점, 단점극복요인(성공요인)을, 더 이상 방문하지 않는 음식점에 대해서는 그 이유(실패요인)를 결정적 사건기법을 활용하여 탐색하는 질적 연구로 설계하고, 전국에 거주하는 288명을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을 조사하여 불량을 제외한 257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맛, 가격 및 접근성은 성공과 실패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나, 분위기·인테리어, 메뉴, 질 및 경쟁우위(인내·대체불가)는 중요한 성공요인이고, 친절도와 청결·위생은 치명적인 실패요인으로 나타났다. 단골 음식점의 중요성공요인 중 맛과 질은 중요한 강점이어야 하지만, 가격, 접근성, 분위기·인테리어 및 메뉴는 중요한 단점인 경우라도 다른 대체 가능한 중요성공요인이 있거나, 주변 음식점과 비교하여 경쟁우위에 있으면 고객들이 지속적으로 방문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본 연구는 결정적 사건 기법과 품질관리기법을 활용하여 고객들을 대상으로 단골 음식점의 중요성공요인과 방문 중단 음식점의 중요실패요인을 도출한 최초의 질적 연구라는 점에서 학문적 및 실무적으로 시사점이 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대학교육에서 플립러닝 성공 및 실패 요인에 관한 교수자 관점의 연구

        김민정(Minjeong Kim) 한국열린교육학회 2022 열린교육연구 Vol.30 No.6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교육에서 플립러닝을 운영한 교수자들의 경험을 통하여 플립러닝 운영의 성공 및 실패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요인을 심층적으로 탐색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성공사례기법(SCM)을 활용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성공사례기법의 절차를 응용하여 1) 대상 플립러닝 수업 선정, 2) 플립러닝 효과 모델 개발, 3) 플립러닝 효과측정 설문 개발과 활용을 통한 인터뷰 대상자의 선정 4) 플립러닝 성공 요인 및 실패 요인의 도출 순서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플립러닝의 효과에 영향을 미친 핵심 성공 요인은 교수자들의 특성요인으로 플립러닝의 활용 목적에 대한 명확한 이해, 교육 철학과의 일치, 도전적 성향이 나왔고, 교수설계 요인으로는 수업 교과의 특징, 평가와 플립러닝 과정의 연계가 나왔으며, 조직지원 요인으로는 교무 정책적 지원이 도출되었다. 반면 플립러닝 효과에 영향을 미친 핵심 실패 요인으로는 교수자 특성요인으로 플립러닝에 대한 단편적 이해, 학습자 특성요인으로 플립러닝에 대한 낮은 이해와 기대치, 변화한 교육 패러다임에 적응 미숙, 교수설계 요인으로 비효율적인 예습자료, 고차원적 사고 활동 없는 본 수업 활동, 체계적 수업 설계 절차의 미비가 나왔다. 마지막 조직지원 요인으로는 학습자 교육 지원 부재, 교무정책 부재 등이 도출되었다. 연구의 끝에서는 이상의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플립러닝 지원전략에 대해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facilitating factors and barrier factors affecting the success and failure of flipped learning from the instructor’s perspectives. To this end, this study used the Success Case Method (SCM).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process of 1) selecting a target education program, 2) developing a flipped learning effect model, 3) selecting interviewees through th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a flipped learning effect measurement survey and 4) deriving key facilitating factors and barrier factors affecting the success of flipped learning.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key facilitating factors influencing the effect of flipped learning were instructor factors (e.g. clear understanding of the purpose of flipped learning, consistency with educational philosophies, and challenging tendencies), instructional design factors (e.g. the characteristics of curriculum and the linkage between course evaluation and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organizational support factors. On the other hand, major obstacles to the effectiveness of flipped learning are instructor characteristics (e.g., superficial understanding of flipped learning), student characteristics (e.g., lack of understanding and expectation of flipped learning, lack of understanding of new educational paradigms), educational design factors (e.g., poorly designed pre-learning materials and activities in this class, etc.) and organizational support. At the end of the study, flipped learning support strategies were discussed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 KCI등재후보

        정규직 노조의 비정규직 조직화 경험 사례연구 - 성공과 실패 요인 분석을 중심으로 -

        박현미(Park Hyun-Mi) 고려대학교 노동문제연구소 2019 노동연구 Vol.38 No.-

        본 논문은 중소기업 정규직 노조의 비정규직에 대한 조직화 성공요인과 실패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정규직 주도로 진행된 직접고용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제도를 통한 조직화 경험을 살펴보았다. 본논문에서사용한 자료는 한국노총 중앙연구원에서 2017년 5∼6월에 조사한 각 노조의 간부와 조합원의 심층 면접자료, 금속 안산지역대표자모임과의 간담회, 한국노총 금속노련 안산지역 사업장 조사 자료 등이다. 비정규직 조직화의 성공요인과 실패요인은 노조 요인, 작업장 요인을 중심으로 분석했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노조 요인을 보면, 성공 사례에서는 정규직 노조의 비정규직 보호와 조직화를 위한 노동조합의 방침과 대표자의 의지, 교육/선전활동/투쟁과정을 통한 내부 동의 확보, 비정규직의 권익보호 활동, 노조와 조합원 간의 신뢰관계를 볼 수 있다. 반면에 실패 사례에서는 정규직 노조의 비정규직 조직화 중단, 비정규직 보호 활동 미약, 노조의 정규직 조합원에 대한 책임감 등으로 나타나고 있다. 작업장 요인을 보면, 성공사례의 특징은 양호한 회사 경영사정, 동일라인 동일작업으로 인한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의 친밀한 인간관계 형성,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의 크지 않은 노동조건 등이다. 반면 실패사례의 특징은 경영위기에 따른 두 번의 구조조정, 노조의 조합원 고용보장에 대한 책임감,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의 노동조건 차이 등이다. 이외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을 통한 조직화에 성공한 사례에서는 지역연대활동을 활발히 하고 있는 사업장인 반면 실패 사업장의 경우 내부활동에 집중하고 있었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key success and failure factors in organizing non-regular workers led by trade unions of regular workers i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i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d regular worker unions’ experience of organizing non-regular workers which was established by the institutionalization of the practice on the conversion of non-regular workers into regular ones. The data used were as follows ; indepth interviews of trade union officials and union members in four workplaces in Ansan conducted from May to June 2017, a round-table discussion of workplace union representatives affiliated to the Federation of Korean Metalworkers’ Trade Unions (FKMTU), and the survey on FKMTU’ workplaces under the Federation of Korean Trade Unions (FKTU), etc. Key success and failure factors were analyzed focusing on the trade union factor and workplace factor. The findings are as follows; According to the trade union factor, success cases were characterized by regular worker unions’ policy and union leaders’ strong will with regard to the protection and organizing of contingent workers, internal consensus among union members achieved by education, propaganda and protest activities for contingent workers, activities for contingent workers’ rights and interest, and union members’ trust in trade unions. On the other hand, the features of failure cases were summarized as the abandonment of organizing contingent workers by regular worker unions, inactive protection of contingent workers, and union’s responsibilities for regular workers. According to the trade union factor, the characteristics of success cases were sound financial status of the companies, well-develope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between regular and non-regular workers resulting from conducting the same types of job on the same production lines, minor differences in working conditions between regular and non-regular workers, etc. On the other hand, failure factors were featured by two times of company restructuring resulting from financial crises, union’s responsibilities on job security for its members, and discrimination in working conditions against contingent workers. In addition, success cases were found among unions which were actively engaged in solidarity activities at regional level while failure cases were dominant in unions which concentrated on internal activities.

      • KCI등재

        FMEA 기법을 활용한 공동주택 골조공사의 건설실패 핵심관리요인 분석

        오치돈,박찬식,Oh, Chi-Don,Park, Chan-Sik 한국건설관리학회 2012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3 No.3

        국내의 건설실패 관련 연구는 체계화된 실패정보 분류체계 및 실패정보의 활용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나, 건설현장의 한정된 관리자가 건설실패를 유발하는 다양한 원인에 대한 예방대책을 수립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따라서, 효율적인 건설실패 예방활동이 이루지기 위해서는 많은 실패원인에 대한 정량적 평가를 통해 우선순위를 정하여 효율적인 예방대책이 수립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정량적인 평가를 통해 실패를 유발하는 핵심관리요인을 도출 할 수 있도록 FMEA(Failure Mode and Effect Analysis) 기법을 활용한 건설실패 핵심관리요인 선정방법을 제시하고, 공동주택 골조공사를 대상으로 핵심관리요인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FMEA 기법의 위험도를 실패 위험성과 예방성으로 구분하여 평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핵심관리요인 평가방법은 건설실패의 사전예방대책을 효율적으로 수립하는데 활용될 수 있으며, 향후 유사한 연구를 통해 프로젝트 수행 단계별 혹은 다양한 시설 및 공종에 대한 핵심관리요인을 도출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Previous construction failure researches were focused on the utilization plan based on failure information and development of failure classification. However, it has limitation to set up the plan for prevention of construction failure due to the lack of the number of on-site staffs. In order to prevent effectively construction failure, a prevention plan should be established through quantitative evaluation of failure cau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assessment method for selection Critical Management Factor(CMF) and to analyze the CMF on the apartment structural framework using FMEA(Failure Mode and Effective Analysis) which is one of the methods of quantitative evaluation. The element of risk evaluation separated degree of failure risk and prevention respectively. The assessment method for selection of CMF can be utilized for planning proactive solutions on the failure, and it can be also selected critical factors about each project phases, type of facility and construction work.

      • KCI등재

        특수교사의 성실실패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허유성(Heo Yu-sung),김정연(Kim Jeong-youn),김나연(Kim Na-yeon)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18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1 No.3

        이 연구는 특수교사의 성실실패에 관한 인식을 탐색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특수교사 15명을 대상으로 2회의 FGI를 실시하였다. 면담을 통해 특수교사가 경험한 성공과 실패에 관한 사례와 경험을 바탕으로 그 과정에서 갖게 된 성실실패에 관한 인식을 알아보았다. 참여자들의 공유된 경험과 사례를 바탕으로 수집된 자료는 전사하여 분석하였다. 그룹면담 자료를 분석한 결과 4개의 대주제와 21개의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다. 도출된 4개 주제에 대한 주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성공과 실패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요인, (2) 성공과 실패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적 요인, (3) 특수교사가 경험한 성실실패 사례, (4) 성실실패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 연구 결과에서는 특수교사의 성공과 실패의 경험을 바탕으로 성실했음에도 불구하고 실패감을 느끼고 있는 특수교사의 교직 수행 경험을 고찰하고, 성실실패를 벗어나서 좋은 특수교사로 성장하는 과정을 탐색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에서는 ‘성실’을 갖추고 있는 특수교사가 교육현장에서 유능하고 좋은 특수교사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 방안에 관해 제언하였다.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ognizanc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on an honorable-failure. 15 teachers were subjected FGI two times for this purpose.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teachers’ perceptions based on the experiences and the cases of successes and failures. Collected data of shared experiences and cases among the participants were investigated. As a result, 4 ultimate themes and 21 sub themes were drawn. The 4 subjects are as followed: (1) individual variables and (2) external variables affecting successes and failures, (3) the cases of the honorable-failure experienced by special education teachers, (4) efforts to overcome an honorable-failure. In the conclusion, procedures of becoming a good teacher, after overcoming an honorable-failure, were examined based on the analysis of faithful, but failed teaching experienc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reflective thinking about those experiences. In the discussion, supportive measures for a teacher who have a ‘sincerity’ to become a competent and great special education teacher in the field we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