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도약선수의 실패내성과 훈련관여의 관계

        윤재희 ( Yoon Jaehee ),성창훈 ( Seong Changhoon ) 인천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소 2018 스포츠科學硏究誌 Vol.31 No.0

        이 연구는 도약선수의 실패내성과 훈련관여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4명의 도약선수들을 편의표본추출 방식으로 표집 하였고, 실패내성 척도와 훈련관여 척도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 · 분석하였다. 먼저, 실패내성과 훈련관여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실패내성 요인 들은 훈련관여 요인과 정적인 관계가 있었으며, 실패내성은 훈련관여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었다. 특히, 실패내성은 인지적 관여에 보다 더 많은 영향을 미쳤으며, 세부적으로 실패내성 3요인 중 과제 난이도 요인이 훈련관여 4요인에 모두 영향을 미쳤다. 둘째, 성별과 학교급 모두 실패내성이 훈련관여 4요인에 영향을 미쳤으며, 선수들의 성별에 따른 차이 없이 실패내성은 정서적 관여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쳤다. 더불어 실패내성은 중학교 선수들의 인지적 관여, 고등학교 선수들은 인지적, 정서적 관여에 가장 많이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실패내성 수준에 따른 훈련관여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실패내성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훈련에 대한 관여도가 높았다. 결론적으로 개인의 성격 특성인 실패내성이 훈련의 참가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의미한다. The purpose or this study i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failure tolerance and training engagement among jumpers. For this, I have samples 204 jumpers based on the convenient sampling method and collected/analyzed relevant data using the scales of failure tolerance and training engagement. First,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ilure tolerance and training indicates that failure tolerance factors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raining engagement factors and that failure tolerance serves as a variable that influences training engagement. In particular, failure tolerance has had more effect on cognitive engagement with the difficulty factor among three failure tolerance factors affecting all four training engagement factors. Second, failure tolerance has turned out to have influence four training engagement factors in terms of both gender and school class with the biggest impact on emotional engagement regardless of gender. In addition, failure tolerance has had the biggest impact on the cognitive engagement for middle school jumpers and cognitive and emotional engagement for high school jumpers. Lastly, when it comes to the relationship between failure tolerance and training engagement, those with higher level of failure tolerance have shown to have a higher level of training engagement that those with low level. In conclusion, failure tolerance, one of the individual character properties, serves as one of the major factors that have effect on training engagement activities among jumpers.

      • KCI등재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와 초등학생의 학구적 실패내성 간의 관계

        김종운,김유진 한국상담학회 2009 상담학연구 Vol.10 No.1

        This study intended to examin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academic failure-tolerance. That is why some previous studies showed that parenting attitudes of major family variables has an effect on children's attitude in failure-situation. The participants were 400 students(207 male and 193 female) in third to sixth grade from 2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Busan. And then,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regraded third and forth grade as middle grade and fifth and sixth grade high grade to study academic failure-tolerance's difference by grade.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Frist, there were sex differences; boys' academic failure-tolerance was higher than girls' and girls' behavior level was higher than boys'. Second, there weren't grade differences. Third,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erceived parenting attitude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ademic failure-tolerance. In other words, parenting attitude oriented affection, elf-regulation, achievement, and rationality was the most important variable in predicting the level of academic failure-tolerance. Fourth, as the results of MANOVA to examine the influence of perceived parenting attitude to academic failure-tolerance, achievement oriented parenting attitudes were the most important variable in predicting the level of academic failure-tolerance and task difficulty preference, while affection oriented parenting attitudes were the most important variable in predicting the level of feeling and behavior. But rationality oriented parenting attitudes weren't explain academic failure-tolerance. These findings provide parents, counselor, teacher, and school social workers with useful insight as to how they take care of and counsel their children for tolerance's elevation in academic failure situation by showing the influence of parenting attitudes as major family variable on academic failure-tolerance. 본 연구는 실패상황에서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학구적 실패내성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부산에 소재한 2개 초등학교의 3~6학년 남․여 학생 총 400명(남자 207명, 여자 193명)이며, 학년에 따른 학구적 실패내성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3․4학년을 중학년으로, 5․6학년을 고학년으로 설정하여 두 집단을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초등학생의 학구적 실패내성 전체 및 하위요인 중 행동에서 성별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전체 수준에서는 남학생 집단이, 하위요인 중 행동 수준에서는 여학생 집단이 각각 유의미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구적 실패내성 전체 및 하위요인 수준에서 초등학생 집단 내에서 학년 간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의 양육태도와 초등학생의 학구적 실패내성 수준 간에는 전반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여 부모의 양육태도를 애정적․자율적․성취적․합리적으로 지각하는 초등학생일수록 학구적 실패내성 수준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지각된 부모 양육태도의 초등학생의 학구적 실패내성 전체 및 하위요인들에 대한 설명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부모의 양육태도가 성취지향적일수록 학구적 실패내성 전체 수준과 과제수준선호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학구적 실패내성의 다른 하위요인인 감정과 행동에 있어서는 부모의 애정적인 양육태도가 보다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부모의 양육태도 중 합리지향 요인은 학구적 실패내성 전체 및 하위요인을 설명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구적 실패내성에 관한 기존의 연구에서 개인변인에 초점을 맞춘 것에서 나아가 환경적 변인에 초점을 맞추고 그 중에서도 학습자의 성장과 발달이 시작되는 최초의 환경인 부모-자녀 관계에서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와 초등학생의 학구적 실패내성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교육장면에서 피할 수 없는 학구적 실패에 대한 내성을 길러주기 위해 부모가 어떠한 양육태도를 지녀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 KCI등재

        엘리트 유도선수들의 성격 강점이 실패내성에 미치는 영향

        박상혁,안효성,김민철,박인혜 한국코칭능력개발원 2023 코칭능력개발지 Vol.2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personality strengths perceived by elite judo players and the level of failure tolerance that is effectively evaluated to overcome failure, and to find out the factors of personality strengths that affect failure tolerance. To this end, 201 elite judo players were sampled to measure personality strength and failure resistance, and the results were calculated through multivariat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data collection procedur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difference in personality strengths according to affiliation was higher in the business team and the national team than in high school students in analysis, persistence, and moderation factors, and college athletes showed higher psychological control factor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failure resistance according to their affiliation, business teams and national team players showed higher failure resistance than high school players in terms of task difficulty after failure and emotional factors after failure.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influence of the personality strengths of elite judo players on failure tolerance, it was found that moderation and creativity factors affect task difficulty after failure, sincerity, creativity, moderation, and persistence in the order of failure. Finally, the factors of failure tolerance that influence emotional control after failure were sincerity, creativity, confidence, and persistence. Therefore,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based on previous studies. 본 연구의 목적은 엘리트 유도선수들이 지각하는 성격 강점과 실패를 극복하기 위해 효과적으로 평가되는 실패내성 수준을 알아보고, 실패내성에 영향을 미치는 성격 강점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명의 엘리트 유도선수를 표본으로 하여 성격 강점과실패내성을 측정하였으며, 자료수집 절차에 따른 다변량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결과를 산출하였다. 분석 결과 소속에 따른 성격 강점의 차이는 분석, 끈기, 절제 요인에서 고등학생 선수보다 실업팀과 국가대표 선수가 더 높았고, 심리조절 요인에서는 대학 선수가 더 높은 심리조절 강점을 보였다. 둘째, 소속에 따른 실패내성 차이를 분석한 결과, 실업팀과 국가대표 선수들은 실패후 과제난이도와 실패 후 정서적 요인 측면에서 고등학교 선수들에 비해 실패내성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엘리트 유도선수들의성격 강점이 실패내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절제와 창의성 요인이 실패 후 과제난이도, 실패 후 행동에 성실, 창의, 절제, 끈기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실패 후 감정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실패내성 요인은 성실, 창의, 자신감, 끈기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논의되었다

      • KCI등재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 애착, 성격 5요인, 학업적 실패내성, 학교적응 간 구조적 관계

        최효식,연은모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0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parental attachment, big five personality traits, academic failure tolerance and school adjustment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details, the study explored the sequential mediato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school adjustment. Methods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conducted using 1,129 data from the 12th waves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in 2019.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oth perceived mother and father attach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directly affect on their big five personality traits; positively affect on extraversion, agreeableness, and conscientiousness and negatively affect on neuroticism. At same time, only perceived mother attachment showed positive affects on openness. Moreover, perceived mother attachment showed no effect on academic failure tolerance, in meanwhile perceived father attachment a direct positive effect on academic failure tolerance. Openness and conscientiousness also presented a positive effect on academic failure tolerance while neuroticism showed a negative effect and same pattern repeated on academic adjustment. And, academic failure tolerance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cientiousness and positive school adjustment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neuroticism and positive school adjustment for both perceived mother and father attach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nclus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perceived parent attachmen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rough encouraging healthy personality and academic failure tolerance in order to increase school adjustment. 목적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이 지각한 모 애착, 부 애착, 성격 5요인, 학업적 실패내성, 학교적응 간 구조적 관계를 경험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구체적으로 모 애착, 부 애착이 성격 5요인, 학업적 실패내성을 순차 매개로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한국아동패널 12차(2019년) 자료(육아정책연구소)의 1,129명의 데이터를 사용했으며, 12차(2019년) 자료를 사용한 이유는 초등학생의 성격 5요인 데이터가 12차 자료에 제시되어 있기 때문이다. 모 애착, 부 애착, 성격 5요인, 학업적 실패내성, 학교적응간 구조적 관계 탐색을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구체적으로 측정모형과 구조모형을 검증하는 순으로 진행하였다. 측정모형과 구조모형 모두 최대우도법(ML)에 기초한 모수를 추정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첫째, 부 애착과 모 애착 모두 외향성, 친화성, 성실성에 정적 영향, 신경증에 부적 영향을 미쳤으며, 모 애착은 추가로 개방성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모 애착은 학업적 실패내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부 애착은 학업적 실패내성에 정적 영향을미쳤다. 성격 5요인 중 개방성, 성실성은 학업적 실패내성에 정적 영향, 신경증은 학업적 실패내성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외향성, 친화성, 성실성은 학교적응에 정적 영향, 신경증은 학교적응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부 애착과 모 애착 모두 외향성, 친화성, 성실성, 신경증을 매개로 학교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부 애착과 모 애착 모두 성실성과 학업적 실패내성을 순차 매개로, 신경증과 학업적 실패내성을 순차 매개로 학교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결론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학교적응 수준을 향상하기 위해 모 애착과 부 애착을 강화함으로써 건강한 성격 형성과 학업적 실패내성을 높여주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교수자 지지가 대학생의 학업적 지연행동에 미치는 융합적 영향 : 학업적 실패내성의 매개효과

        송성숙,함현진 한국융합학회 2021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교수자 지지가 대학생의 학업적 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업적 실패내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경기도 D대학교 학생 211명을 대상으로 Google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 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학업적 실패내성의 매개효과는 Baron과 Kenny의 3단계 회귀분석과 Sobel Test를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수자 지지는 학업적 지연행동과 부적상관이 있었 고, 학업적 실패내성과 정적상관이 있었다. 또한 학업적 실패내성과 학업적 지연행동 간에는 부적상관이 나타났다. 둘 째, 교수자 지지가 학업적 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업적 실패내성은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학생의 학업적 상황에서 교수자의 지지와 학업적 실패내성의 수준을 높여줄 수 있는 교육환경 조성이 필요함을 시사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학업적 지연행동을 낮추고 학업적 실패내성을 강화할 수 있는 교수자의 지지프로 그램 제공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ed effect of academic failure tolerance in the influence of professor support on academic procrastination of university students. A Google survey was conducted on 211 students at D University in Gyeonggi-do, and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 program with collected data. The mediated effect of academic failure tolerance has been verified through three stages of regression analysis (Baron and Kenny) and Sobel Tes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professor support ha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academic procrastination, an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cademic failure tolerance. In addition,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academic failure tolerance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Second, it showed that academic failure tolerance has a full mediated effect in the influence of professor support on academic procrastination. This implies that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can raise the level of professor support and academic failure tolerance of university students in the academic situation.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the need of providing a program of professor support that can improve academic procrastination problems and strengthen the academic failure tolerance of students.

      • KCI등재

        실패내성의 스포츠수행 예측 안정성

        성창훈 ( Chang Hoon Seong ),박상혁 ( Sang Hyuk Park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13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24 No.2

        이 연구는 스포츠 상황에서 실패내성의 수행 예측성을 검증하기 위해 실패내성→정신력→수행 간의 경로모형을 제안하고 성공과 실패의 다양한 지표와 잠재성장모형 분석을 통해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243명의 씨름 선수를 표집하여 경기력 수준(우수-비우수)과 목표달성여부(목표달성-실패), 시합성적(좋은성적-나쁜성적)의 집단을 변별한 후 연구문제에 근거한 계량적 통계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실패내성→정신력→수행의 모형은 타당한 것으로 발견되었다. 특히, 목표달성 집단에서는 실패 후의 과제난이도 선호→승부욕→수행의 관계가 유의했으며, 좋은 성적을 거둔 집단은 실패 후 행동→노력인내→수행의 경로가 유의하였다. 마지막으로 선수들의 경기력 수준과 시합성적을 통해 시즌 동안의 스포츠 실패 내성과 정신력의 성장을 확인한 결과, 선수들의 실패내성은 경기력 수준과 시합성적 성장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스포츠 상황에서 안정적인 성격 변인인 실패내성의 중요성을 부각시키는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ilure tolerance and mental toughness using latent growth model and objective indicators of success and failure in situation of sport performance. For this purpose, 243 SsiReum players were collected and divided groups following the performance level(excellent-nonexcellent), expected goals results(achievement-fail) and competition result(good-bad) after then,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based on research process and data analysis. As the result of analysis, achievement group was shown preference of task level→competitive→performance after fail and, getting good result group was explained the process which is behavior→effort patience→performance after failure. Finally, the result of growth in sport failure tolerance and mental toughness during the season was that sport failure tolerance had influence on athletic performance level and development of competition result.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was discussed from the perspective of preceding research and filed application.

      • KCI등재

        성인진입기 대학생의 목표인식특성과 실패내성의 관계에서 그릿(Grit), 실패공포, 숙달접근목표의 매개효과

        오수진 ( Soo Jin Oh ),안주현 ( Joo Hyun An ),양수진 ( Su Jin Yang )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22 미래청소년학회지 Vol.19 No.1

        본 연구는 성인진입기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신의 목표에 대한 주도적이고 실제적인 인식이 학업적 실패에 건설적인 태도로 반응하는 경향성인 실패내성을 예측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그 관계에서 그릿(Grit), 실패공포 그리고 성취목표지향의 하위요인인 숙달접근목표의 매개 역할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만 18~25세의 대학생 449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Process Macro(Model 81)를 사용하여 매개효과 및 변인들 간의 경로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목표인식특성과 실패내성 간의 직접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그릿, 실패공포 그리고 숙달접근목표를 통한 단순매개효과는 유의하였다(p< .01). 또한, 두 변인 간의 관계에서 그릿과 실패공포 및 그릿과 숙달접근목표를 통한 순차적 이중매개 효과가 모두 유의하였다(p< .05). 즉, 목표인식특성은 장기적 목표 추구를 위한 그릿을 촉진하여 실패에 대한 공포를 낮추고, 나아가 숙달접근 목표지향성을 높여 실패내성을 강화하는데 기여함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실패내성을 키우기 위해 고려해야 할 개입 요소로, 단순한 목표 설정 및 인식만이 아닌 지속적인 실행력을 위한 개인의 성격 특성, 실패에 대한 역기능적 신념 극복 및 숙달 과정에 초점을 맞추는 통합적 기제가 중요함을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sought to identify whether the leading and practical perception of one's goals predicts failure tolerance, a tendency to respond constructively to academic failures. In addition, we aimed to verify the mediating roles of grit, fear of failure and goal orientation(mastery goals) in the aforementioned relation. The data from 449 college students aged 18 to 25 was analyzed using Process Macro (Model 81). The results showed that although there was no direct effect between goal recognition characteristics and failure tolerance, three simple mediations through grit, fear of failure and mastery goals were all significant (p< .01). Two sets of double medition (grit and fear of failure; grit and mastery goals) were also found to be significant (p< .05). The results signify that goal recognition characteristics contribute to enhancing failure tolerance by promoting grits for long-term goal-pursuit, lowering fear of failure, and further increasing master approach goal orienta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resilient characteristics to failure can develop by an integrative intervention that strengthens the underlying workings of both personality, beliefs, and goal orientation.

      • KCI등재

        아동기 통제 기질이 청소년기 학업적 실패내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장나리,곽금주,김연수 한국융합학회 2018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9 No.9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기의 통제 기질이 청소년기의 학업적 실패내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그릿의 매개효과를 검증하 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서울과 경기 지역의 참여자 108명을 대상으로 만 8세 때에는 기질을 측정하고, 만 14세 때에는 그릿과 학업적 실패내성을 측정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아동의 통제 기질은 청소년기의 학업적 실패내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통제를 잘 하는 아동일수록 실패내성이 높은 경향이 있었다. 둘째, 그릿은 학업적 실패내성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쳤다. 그릿이 높을수록 실패 상황을 극복하게 하는 열정과 끈기가 높아 실패 상황에 대해 건설적인 자세로 대응하는 경향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아동기의 통제 기질이 청소년기 학업적 실패내성에 미치 는 영향에서 그릿의 매개효과가 유의미하였다. 즉, 그릿은 통제 기질의 영향력을 증가시켜 학업적 실패내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역할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Temperamental Effortful Control and adolescents’ Academic failure tolerance(AFT). Specifically, Grit effect as a mediator between Effortful Control and AFT was also determined. A total of 108 children participated as they were at age 8, and as they turned 14 years old. Children Behavior Questionnaire (CBQ) was measured to investigate children’s Effortful Control, and Grit scale and AFT scale were measured to investigate adolescents’ Grit and their response to fail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children’s Effortful Control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AFT. And adolescents’ Grit was also positively related to adolescents’ AFT. In addition, Effortful Control was related to Grit. Finally, Grit par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ffortful Control and AFT.

      • KCI등재

        대학생의 자아탄력성, 실패내성, 자기자비, 시험불안과의 관계: 자기자비와 실패내성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전선영,조한익 한국청소년학회 2022 청소년학연구 Vol.29 No.10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silience, failure tolerance, self-compassion, and test anxiety among college students suffering from job anx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test anxiety and failure tolerance is modulated. For the collected data,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1.0. The results of mediating effect analysis using Process Macro 3.5 are as follows. First, failure tolerance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silience and test anxiety of college students. Second, self-compassion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ilure tolerance and test anxiety. Third, there was a mediating effect in which self-compassion was regulated in the indirect effect of ego resilience mediated failure tolerance to affect test anxiety. Accordingl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revealing that college students' self-compassion has a high relationship with test anxiety and failure tolerance. 본 연구는 취업에 대한 불안을 겪고 있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자아탄력성, 실패내성, 자기자비, 시험불안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실패내성을 매개로 자아탄력성이 시험불안에 영향을 미칠 때, 자기자비가 시험불안과 실패내성과의 관계를 조절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국의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659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를 이용하여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 기술통계, 신뢰도분석을 실시하였고 Process Macro 3.5를 이용하여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자아탄력성과 시험불안과의 관계에서 실패내성은 매개효과가 있었다. 둘째, 자기자비는 실패내성과 시험불안의 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있었다. 셋째, 자아탄력성이 실패내성을 매개로 하여 시험불안에 영향을 주는 간접효과에서 자기자비가 조절된 매개효과가 있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기자비가 시험불안과 실패내성에 높은 관계성이 있음을 밝혀낸데 의의가 있으며, 향후 대학생뿐만 아니라 일반인을 대상으로 후속 연구를 통해 연구결과의 타당성을 검증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대학생의 성장적 실패마인드셋과 그릿의 관계: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학업적 실패내성의 매개효과

        안태영,양수진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23 미래청소년학회지 Vol.20 No.4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이 장기적인 목표를 향한 열정과 인내를 의미하는 그릿(Grit)을 발휘하는 데 영향을 주는 내적 자원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의 성장적 실패마인드셋과 그릿의 관계에서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학업적 실패내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대학생 449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2.0과 Mplus 7.0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중매개모형을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장적 실패마인드셋,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학업적 실패내성, 그릿 간 유의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그릿에 대한 성장적 실패마인드셋의 직접효과가 정적으로 유의하였다. 또한 성장적 실패마인드셋이 그릿을 예측하는 경로에서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단순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학업적 실패내성의 이중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반면 실패마인드셋과 그릿 간 관계에서 학업적 실패내성의 단순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이 자신의 내적 특성을 활용하여 그릿을 발휘하기 위한 심리적 기제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또한 성취와 관련된 심리적 특성의 발현을 위해서는 성공뿐 아니라 실패경험에 대한 개인의 관점과 반응성에도 주목하고 개입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였다. 더불어 본 연구의 한계와 추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