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교사의 진로수업에 나타난 실천적 지식에 대한 사례 연구

        이진명,송현순 한국실과교육학회 2015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seeing out what appeared to have practical knowledg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eaching career. Three participants were selected three teachers who have interest in teaching career, and practice teaching career steadily. Classroom observation, pre-interview, an interview after class were conducted. It was analyzed using the method of continuously comparing the data collected. Analysis of the results were expressed by developing practical knowledge framework. It contained the source of practical knowledge and the structure of practical knowledge. Practical Knowledge in the final structure of the framework is shown in the image, principle, and rules. Practical principle is shown broken down into objectives related to, contents related to, methods related to practical principles. Summarizing the meaning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in teaching career was like this. First, sources of practical knowledge were different. Second, images of teaching career affected rules and principles of practical knowledge. Third, there is a difference in practical rules of practical knowledge presented in class.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의 진로수업에 나타난 실천적 지식이 무엇인지를 알아보는데 있다.이를 위하여 진로 수업에 대한 관심이 크고, 진로 수업을 꾸준히 실천하고 있는 세 명의 연구 참여교사를 선정하였다. 연구 참여교사들을 대상으로 수업관찰, 사전 면담, 수업 후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들을 연속적 비교분석법을 활용하여 위계별로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는 실천적 지식의 원천과 실천적 지식의 구조를 중심으로 실천적 지식 분석틀을 개발하여 표현했다. 최종 분석틀에서 실천적 지식의 구조는 이미지, 원리, 규칙을 도식화하여 나타냈다. 실천적 원리는 목적 관련 실천적 원리, 내용 관련 실천적 원리, 방법 관련 실천적 원리로 세분화하여 나타냈다. 실천적 지식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초등교사의 진로수업에 나타난 실천적 지식에 대한 의미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세 교사의 진로수업에 대한 실천적 지식의 원천은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그것은 교사의 이전의 삶이 수업의 전체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이 될 수 있음을 드러내는 것이라 볼 수 있다. 둘째, 실천적 지식의 구조에서 진로 수업에 대한 이미지, 원리를 분석했을 때 교사가 진로 수업에 대해 가지고 있는 이미지는 실천적 지식 구조와 실천적 지식의 규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때문에 세 교사에게서 나타나는 이미지의 차이는 원리와 규칙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교사마다 다른 원리와 규칙의 양상으로 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셋째, 초등교사의 진로수업에 나타난 실천적 지식의 구조 중 실천적 규칙에 차이가 있다. 교사들이 구현하는 진로수업을 전체적으로 정리하여 실천적 지식의 규칙은 각 수업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나며, 각 교사별 실천적 지식에 따라 수업이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실천적 지식의 탐색: 교사교육에의 함의와 문제

        김은주 한국교원교육학회 2010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7 No.4

        교사 교육기관에서는 예비교사들에게 각종 전문지식과 기술, 교육자적인 신념을 습득시킴으로써 교사의 전문성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하지만 교사 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는 직전교육의 효과성은 생각만큼 크지 않다. 직전교육이 가정하는 이상성, 안정성, 일반성이 현실적이고, 돌발적이며, 특수한 교육현장과 부합되지 않기 때문이다. 직전교육과 교육현장의 괴리 속에서 신규교사들은 자신의 전문성에 대해 절망하고 직전교육의 효용성을 의심한다. 최근 교사들이 교육현장에서 경험을 통해 체득한 실천적 지식이 이러한 간극을 메워 교사의 전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식으로 각광받고 있다. 이에 따라 실천적 지식을 교사교육에 다양한 방식으로 접목하고자 하는 시도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실천적 지식 또한 많은 문제를 가지고 있음을 주지할 필요가 있다. 실천적 지식의 문제는 현실 순응, 통제성, 맥락 부적합 등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측면은 실천적 지식의 무분별한 적용에 대한 경계와 비판적 사고를 촉구한다. 기타 실천적 지식을 교사교육에 도입함에 있어 주의할 점들이 연구의 말미에 제시되었다.

      • KCI등재

        교사의 실천적 지식 이해 : 구조와 내러티브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김민정 한국교원교육학회 2012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9 No.1

        본 연구는 포스터모더니즘 사회가 요구하는 관점이 교사의 실천적 지식에 어떤 시사점과 문제의식을 제공해 주는가를 논의하였다. 이러한 논의는 교육과정의 새로운 패러다임인 교사의 실천적 지식에 대한 해석이 구조주의적 관점과 현상학적 관점의 한계를 극복하려는 대화의 장을 마련하려는 시도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발맞추고자 하였다. 따라서 이에 대한 연구의 첫 번째 단계는 교사의 실천적 지식에 대한 구조적 접근과 실천적 지식의 내러티브적 접근의 관점의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다. 다음 두 번째 내용으로 이러한 대립적인 연구의 관점에서 상호성의 가능성을 엿보고, 교사의 실천적 지식에 대한 구조와 내러티브의 상호성을 검토할 수 있는 대화를 만들어 낼 수 있는지 탐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리나라의 연구 작업들과 외국의 연구 작업 중 Elbaz와 Bruner를 중심으로 교사의 실천적 지식에 대한 토론의 도구를 제안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우리나라에서 추후 이루어져야할 교사의 실천적 지식에 대한 시사점으로 학교 교육 일반, 교사 교육 정책, 그리고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을 통해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보다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교육과정 실행에 관한 교사의 이론: 혼합적 연구 방법을 통한 교사의 실천적지식의 탐구

        김두정 ( Doo Jung Kim ) 한국교육과정학회 2009 교육과정연구 Vol.27 No.3

        본 연구는 Elbaz의 교사의 실천적 지식을 기본 틀로 한다. 교사의 실천적 지식은 내용, 구조, 정향의 세 양상이 있다. 본 연구는 수업, 즉 교실 교육과정 실행 중 교사의 실천적 지식이 표현되는 구조와 형성 배경인 정향에 초점을 맞추었다. 교사의 실천적 지식은 기본적으로 개별적이지만 획일적 국가 교육과정이 실행되는 우리 교육 상황에서 교사 간 공유 요소가 많으리라는 전제에서 그것을 개인적 측면과 집단적 측면에서 탐구하였다. 개인적 측면과 집단 측면의 탐구는 질적·양적 연구 방법을 모두 사용하는 혼합적 연구 방법이 적절하다. 연구 문제는 크게 다음 세 가지이다; 1) 교사의 실천적 지식의 구조는 개인적, 집단적 측면에서 무엇인가? 2)특정 교사의 실천적 지식의 구조의 정향은 무엇인가? 3) 교사 집단의 실천적 지식의 구조의 정향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교사의 실천적 지식의 구조를 단원 범위 수업 내용으로 축소하여 탐구했다. 이는 교사의 실천적 지식은 내용 특수적(content-specific)이라 기존 연구들처럼 교과 범위로 확대함은 문제가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초등학교 4학년 P 교사의 경제 단원 수업을 1 개월간(총 14차시) 참여 관찰하고 인터뷰하여 P 교사의 실천적 지식의 구조와 정향을 분석했으며, P 교사의 실천적 지식의 구조를 기초로 집단용 설문지를 제작하여 동일한 4학년 교사들로부터 응답을 받아 실천적 지식의 구조와 정향의 집단 경향을 분석했다. 연구 결과, 초등 4학년 경제 대단원에 대한 P 교사의 4개의 이미지, 10개의 실천적 원리, 30 개의 실천의 규칙들을 도출했으며 교사 집단의 실천적 지식의 구조도 분석했다. P 교사의 실천적 지식의 정향 및 교사 집단의 실천적 지식의 구조와 정향 또한 분석되었다. This study aims to find the structure and orientation of teacher`s practical knowledge(TPK) in Korea`s educational context. According to Elbaz(1983), the structure of TPK is expressive aspect of image, practical principle, or rule of practice through teacher`s behavior or language while orientation of TPK is the way that TPK is held though those such as experience, situation, or theory. TPK is teacher`s "theory" or knowledge formed in the process of dealing with classroom situations and solving practical dilemmas in relation to teaching. Literature review in the field of TPK in Korea has shown two weak points: (1) TPK studies have been sought in terms of either individual teachers or common aspects of teachers, and (2) TPK studies have dealt with too wide range of instructional contents. The current study tried to improve the two weak points: it has sought TPK focused on TPK`s collective aspects as well as individual aspects. It also focused on a unit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instead of a wide range of instructional contents like a subject area. An elementary teacher was selected and her classroom instructions for a unit of 4th grade social studies were observed for a month. She was also interviewed in relation to the instructions and her educational beliefs. As a result from the analysis of instruction observation and interview data, 4 images, 10 practical principles and 30 rules of practice were drawn. Based on the structure of selected teacher`s TPK, an instrument to ask the degree of agreement with it by collective teachers was made and administered. There were considerable differences in rule of practice between TPK of the selected teacher and that of collective teachers. However, there were common elements of TPK-images and practical principles-between them. Orientations of selected teacher`s TPK and those of collective teachers were different though. Discussions are made in view of individuality of TPK among teachers, linkage of TPK structure, orientation of TPK, and educational validity of TPK on the basis of study`s findings. Finally, recommendations are made for education general, teacher education policy, and future studies together with conclusions based on the findings.

      • KCI등재

        실천적 지식 구성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 개발

        한수민 ( Soomin Han ),임병노 ( Byungro Lim ) 한국교육공학회 2016 교육공학연구 Vol.32 No.4

        실천적 지식은 가정생활, 직업생활 등 개인이 위치한 삶의 모든 영역에서 자신의 최선의 역량을 발휘하도록 하는 지식으로서 매우 중요하지만 그동안 단편적인 행동 수행이나 성과 도출을 위한 지식으로 왜곡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는 실천적 지식에 대한 본질적 개념을 정립하고, 실천적 지식 구성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에 기반한 형성적 연구방법론에 따라 ① 문헌연구 및 이론적 탐색을 통한 실천적 지식의 개념 정립, 이를 토대로 한 실천적 지식 구성을 위한 교수-학습 원리 도출 ② 도출한 원리를 중심으로 모형의 설계 요소 및 설계 전략을 구체화하여 원형 모형 개발, 전문가 타당화 실시 ③ 전문가 의견을 반영하여 수정·보완된 원형 모형에 따라 수업사례 개발 및 적용, 결과 자료 분석 및 이를 반영한 원형 모형을 수정 및 보완 ④ 최종 도출된 모형에 대한 전문가 타당화 실시의 절차로 개발하였다. 연구 결과로 개발된 실천적 지식 구성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PKC 모형)은 ① 사전학습활동(수업소개, 학습주제와 관련한 이론, 가치, 실천경험 측면의 선지식 활성화 및 동기유발(전체 맥락 조망, 학습주제 조망), 팀구성, 가치규명 및 성찰) ② 본학습활동(학습자 분석 및 요구에 따른 실제 문제를 활용한 문제해결활동(팀별 실천경험활동, 개별 실천계획수립활동), 학습정리) ③ 사후학습활동(실천계획수립에 따른 실천 및 지속적인 성찰적 실천을 통한 지식 재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모형에 대한 평가 결과 실천적 지식 구성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으로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PKC 모형은 실천적 지식에 대한 개념 정립을 바탕으로 실천적 지식이 효과적으로 구성될 수 있는 지식 구성 과정을 모형화한 것으로서 실천적 지식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실천적 지식 구성을 돕는 효과적인 모형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instructional model for practical knowledge construction (PKC Model). Practical knowledge helps learners to exert one`s competencies in many areas of life such as family life and vocational life.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1) to define practical knowledge and identify its components, 2) to draw knowledge construction principles, and 3) to develop a practical model for the knowledge. Based on formative research methodology, this study took four steps: 1)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practical knowledge` and its elements were defined, 2) after instructional principles, design elements and strategies were identified, a model prototype was developed, 3) the model prototype was applied in the real setting in a college, and 4) the model was revis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and finally validated. As a result, stages and components of the model are as follow: 1) Pre-learning activity stage: Introduction, activity of prior knowledge and motivation, team organization, value identification and reflection. 2) Main-learning activity stage: Learning to solve problem based on real problems, review. 3) Post-learning activity stage: Practice by planning detailed practice in a context, and practical knowledge construction through continuous reflection-in-action. The PCK model helps students to learn how to construct practical knowledge and to construct practical knowledge on real problems related to subjects through the activities. The model is expected to efficiently facilitate practical knowledge building.

      • KCI등재후보

        교사의 실천적 지식에 대한 이론적 탐색

        김자영,김정효 한국교원교육학회 2003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0 No.2

        실천적 지식이란 교사 개개인이 그가 가지고 있는 이론적 지식을, 그가 관계하는 실제 상황에 맞도록, 그 자신의 가치관이나 신념을 바탕으로 종합하고 재구성한 지식으로, 이러한 실천적 지식은 그의 교수행위에 근거가 된다. 교사의 실천적 지식에 대한 연구는 실제 교수행위에 묻혀있는 교사의 실천적 지식을 드러내고 이해하고자 하는 측면과 교사로서 더 성장할 수 있도록 교사가 가지는 실천적 지식에 대하여 자각하고 재평가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는 측면에서 접근되어왔다. 본 연구는 직전 교사교육에서는 예비교사가 다양한 교수상황에서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는 실천적 지식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돕는 일이 필요하며, 현직 교사교육에서는 교사로 하여금 그들이 가지고 있는 실천적 지식을 계속적으로 반성하고 개발해 나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일이 필요하다는 점을 밝히고 있다.

      • KCI등재

        교사공동체의 실천적 지식

        서경혜 한국교원교육학회 2010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7 No.1

        본 연구는 교사공동체의 실천적 지식 형성 및 발전에 대한 심층탐구를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온라인 교사공동체인 인디스쿨을 사례로 선정하여 인디스쿨에서 실천적 지식이 어떻게 형성, 발전되는지 탐구하였다. 인디스쿨 웹사이트 관찰, 교사 면담, 교사들의 제작물 수집 등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은 원자료 정리, 코드 추출, 주제 생성 등의 과정을 거쳐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인디스쿨 교사공동체는 실천적 지식의 외현화, 공유, 검증, 재구성의 과정을 통해 공동의 실천적 지식을 형성, 발전시켰다. 교사들은 그들 실천 기저의 암묵적 성격의 실천적 지식을 외현하여 인디스쿨 웹사이트에 게시하였다. 이때 외현화는 자료, 이야기, 문답 등 여러 가지 형태로 이루어졌다. 이렇게 교사 개개인의 실천 기저의 암묵지를 외현함으로써 교사 개인 수준의 실천적 지식은 공유 가능한 공적 지식이 되었다. 인디스쿨 교사들은 웹사이트 게시물을 조회하고 필요한 것들을 다운로드하며 실천적 지식을 공유하였다. 그리고 이 공유지식을 각자 자신의 교실에서 실천에 옮겨 검증하였다. 교사들은 검증 결과를 해당 게시물에 댓글을 다는 방식으로 서로 공유하였다. 댓글이 많이 달린 게시물은 유용한 지식을 담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었고, 이 지식은 교사들 사이에서 빠르게 확산되었다. 나아가서 교사들은 실천 결과를 토대로 공동체의 공유지식을 재구성하였다. 그리고 재구성한 공유지식을 자료, 이야기, 문답 등의 형태로 외현하여 웹사이트에 게시, 공동체 구성원들과 공유하였다. 이러한 외현화, 공유, 검증, 재구성의 순환적 과정을 통해 인디스쿨 교사들은 그들 개개인의 실천적 지식은 물론 공동체 공동의 실천적 지식을 계속해서 발전시켜 나아갔다. 이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교사의 실천적 지식에 대한 공동체적 접근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청각장애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실천적 지식의 정향과 구조의 관계 연구

        최성규 ( Sung Kyu Choi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4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6 No.3

        이 연구는 청각장애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실천적 지식의 정향과 구조에 대한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전국의 20개 청각장애학교 교사 309명의 설문지가 분석되었다. 이 연구의 설문지는 두 양상을 분석하기 위하여 적용되었다. 실천적 지식의 정향은 5개 구성요인으로 구성되었으며, 모두 25개의 문항으로 작성되었다. 실천적 지식의 구조는 3개의 구성요인의 15개 문항으로 제작되었다. 설문지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위한 요인분석, 배경변인별 검증을 위한 t/F 분석, 그리고 Amos 모델링 방법 등이 적용되었다. 설문지의 타당도와 신뢰도 분석에서 실천적 지식의 정향은 5개 요인으로 구성되었으며, 실천적 지식의 구조는 3개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천적 지식의 정향은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배경변인별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실천적 지식의 구조는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교직경력에 영향을 받는다. 특히 실천적 지식의 구조에 대한 인식이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교직경력이 높을수록 긍정적인데, 이는 실천의 규칙 하위요인의 영향으로 설명된다. 둘째, 실천적 지식의 정향과 구조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인다. 이 연구에서는 또한 실천적 지식의 정향과 구조의 중요성에 대하여 논의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llustr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orientation and structure of practical knowledge of the hearing impaired school teachers. This study was proposed by survey design. The questionnaire was divided into two parts, orientation of the practical knowledge with five sub-factors of 25 questions and structure of the practical knowledge with three sub-factors of 15 questions. The 309 teachers who were working for 20 hearing impairment schools were participated for this study. The factor analysis, t/F test, and Amos were utilized for this study, however the one item in the structure of the practical knowledge was deleted by low reliability. The orientation of the practical knowledge was consisted with five factors, however the structure of the practical knowledge was consisted with three fac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a) there were not any relationships in the background variables of the hearing impairment school teachers in the orientation of the practical knowledge, however, the teaching experience was an important background variable to determine the structure of the practical knowledge, especially the rule of the practical knowledge; and (b) there was high reliability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orientation of the practical knowledge and the structure of the practical knowledge. Therefore, this study discussed what were the importances the orientation and structure of the practical knowledge.

      • KCI등재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생애사적 배경과 실천적 지식의 내용, 정향, 구조와의 관계 분석

        최성규 국립특수교육원 2015 특수교육연구 Vol.22 No.1

        이 연구는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생애사적 배경과 실천적 지식의 양상인 내용, 정향, 구조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조사연구로 수행되었다. 모두 96개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전국의 청각장애학교 교사에게 배부하여 309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통계자료는 SPSS와 AMOS19.0을 활용하여 처리하였다.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분석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생애사적 배경은 실천적 지식의 양상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실천적 지식의 세 양상은 정향과 구조, 내용과 정향, 그리고 내용과 구조의 순으로 높은 관련성을 보였다. 셋째,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실천적 지식의 정향은 내용에 정적인 직접적 영향을 미치고, 실천적 지식의 구조에는 정적인 직접적 효과와 부적인 간접적 영향에 노출되어 있었다. 그리고 실천적 지식의 내용은 실천적 지식의 구조에 부적인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천적 지식의 세 양상은 각각의 하위요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타 양상의 하위요인에는 간접적인 영향을 제공하는 관계임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실천적 지식을 구성하는 세 양상의 특성이 달리 작용하는 구조임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실천적 지식의 정향과 내용에 대한 인식이 올라갈수록 실천적 지식의 구조는 부적으로 수정되는 구조임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메를로-퐁티의 몸의 현상학과 간호에서의 실천적 지식

        공병혜(Byung-Hye Kong) 한국현상학회 2006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31 No.-

        이 글은 메를로 퐁티의 몸의 현상학에 기초하여 간호에서의 실천적 지식의 실천적 특성을 이해하고자 한다. 간호란 이론적 지식뿐만이 아니라 경험을 통해서 어떻게 실천에 옮겨야 하는지에 대한 앎이 축척되어 체득된 실천적 지식을 요구한다. 특히 곤경에 처한 취약한 개인의 임상적, 윤리적 상황의 요구를 지각하여 이것에 적합하게 반응하는 돌봄의 실천은 몸으로 체현된 실천적 지식의 특성을 보여준다. 이러한 간호의 실천적 지식을 이해하기 위한 이론적 근거는 메를로-퐁티의 『지각의 현상학』에서 전개된 ‘세계에로’ 나아가는 몸의 지향성의 구조, 즉 몸의 도식과 지향호(intentional arc)에 대한 이해에서 찾을 수 있다. 왜냐하면 메를로-퐁티는 주체의 의식에 기초한 지식습득에 대한 지성주의 모델을 비판하면서 상황을 받아들이는 봄 습관과 몸의 자유의 능력인 지향호라는 개념을 통해 실천적 지식의 근거를 제시하기 때문이다. 실무경험을 통해 상황을 맞이하는 몸 습관의 획득은 임상상황에 적합한 지각과 운동기술의 습득과 관계한다. 이러한 몸 습관을 기반으로 하는 지향호는 환자를 돌보고자하는 실천적 의식을 몸의 실천적 운동으로 결합해 내어 상황의 요구에 적합하게 반응하는 몸의 실존적 능력이며, 이것이 바로 간호에서 실천적 지식의 토대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몸 습관과 지향호를 기초로 하여 실천적 지식의 근거를 제시한 메를로-퐁티의 몸의 이론은 돌봄을 요구하는 임상상황에 참여하는 간호에서 실천적 지식의 특성을 드러내는 데 적합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한다고 여겨진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main characteristics of practical knowledge in nursing based on Merleau-Ponty's phenomenology of body. Merleau-Ponty criticizes an intellectual model for explicating acquisition of skill in practice, and suggests a model of embodiment for it. Firstly, this paper tries to elucidate the practical knowledge based on central notions of his phenomenology of embodiment, namely schema of body(bodily habit) and intentional arc: The schema of body is understood as a way that my body is situated and dwells in the world. The intentional arc based on the embodiment signifies the interconnection of skilful action and perception. Furthermore it represents body's disposition, which responds to solicitations of situation. Secondly, this paper seeks to show that these central notions of the embodiment in Merleau-Ponty's phenomenology can provide a theoretical basis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practical knowledge in nursing. Expertise of clinical nurse requires embodied habits and caring skill, because this becomes incarnated into the body of clinicians through lived-experience. Only by the acquisition of the bodily habit and caring skills, expert nurses can be involved in clinical situations and cope with it. Their caring skills also imply ethical comportment, because based on embodied moral sensibility they can appreciate the need of patients who are in the plight. Moreover by the caring act they can appropriately respond to demands of this vulnerable clinical situ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