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정에 대한 실존주의 심리학적 접근

        洪性烈 한국교정학회 2001 矯正硏究 Vol.- No.13

        수형자들은 범행의도를 인정하고, 교정시설에서 그에 상응하는 벌을 받고 있는 사람들이다. 그러나 교정 프로그램은 수형자들이 범죄를 선택한 자유의지에 바탕을 둔 내적 변화보다는 상과 벌에 의한 외현적 행동수정을 우선적으로 추구한다. 그래서 처벌과 교정은 서로 일치하지 않는다. 범행의도에 의해서 별을 받는 수형자들에게 자유의지를 기본으로 하는 교정을 수행하기 위해서 실존주의 심리학적 접근이 타당하다. 실존주의 심리학적은 수형자들이 자신의 현존재를 솔직하게 받아들이게 하고, 자신이 세상에 존재하는 이유를 분명히 깨닭게 하고, 그리고 세상 을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것이다. Convicted persons are those who have accepted the responsibility for their criminal behaviors and are being punished in the correctional institutions. And then the correctional programs should be performed according to those aimed to the change of the inner aspects of criminals. However the currently using programs stress the changes of criminals' extrovert behaviors through behavioral modification by rewards and punishments rather than those of inner ones. Furthermore it is agreeable that the whole climate of correction institutions is nearer to punishments rather than rewards. The effects of punishment especially is temporary and behaviors punished only show the reduction of the number of responses. Therefore if punishment is quit, behaviors that were repressed will be recovered to the first situation. For this reason, the two, the purposes of correction and the reasons of sentences are inconsistent one another. Such incompatibility can generate such problems as rationalization about criminal behaviors in the short term and repeated offenses in the long term. The congruously correctional programs between them are definitely needed for criminals' behaviors to be changed. Also the necessity should be first found within the reason of sentencing because sentencing is prior to correction. For leading to inner change of criminals, it is desirable for existential psychology to be applied to the correction situation. It helps criminals approve their current existence within the world, recognize the real reason for their existence, and design freely their own world. When all those things are possible, the genuine repentance of criminals' sins will be followed and then the successful effects of correction will be shown.

      • KCI등재

        존재론적 특징과 연결성으로 보는 불교 실존심리학

        윤희조 한국동서철학회 2019 동서철학연구 Vol.0 No.92

        Buddhist existential psychology is a field of Buddhist psychology which studies the problem of existence in a Buddhist psychological viewpoint. In Buddhism, existential problems are a matter of suffering. Centering on the human, the being, the world, and the viewpoint of time revealed through the solution of this problem, I would like to present a Buddhist psychological alternative to the problems posed by Western existentialism. Existence precedes essence, which is revealed in Buddhism as the ontology of here and now through the nature of dhamma. Buddhism's ontological characteristic and the connectivity show the viewpoint of Buddhist existential psychology about the meaning of existentialism, freedom, anxiety, death, alienation, healing, and choice. The existential situation of the human being as a layman is revealed as five aggregates of clinging. Meaning is developed centered on oneself in the five aggregates of clinging. It moves on to the deconstruction of meaning through deconstruction of oneself. Through this, only the connectivity remains, and the meaning of this connectivity is as diverse as that of the connectivity itself. In the meaning of connectivity, freedom is not from one’s own, but freedom as liberation according to the flow of being. Ontological anxiety is an existential and fundamental anxiety about death. This is because death and birth are seen as disconnection. However, ontological anxiety is anxiety caused by the ontological characteristic of here and now, not death. Knowing these characteristics is an answer to anxiety. Ontological non-rigidness cleanses anxiety and does not make anxiety more anxious. In existentialism death is the last bearer of meaninglessness. This is because death is seen as a disconnection. When death is regarded as a change of existing modes, death becomes a kind of existence, and the connection of meaning is secured. Death is now involved in life here. Human beings are not beings that have been conquered by birth and death. The connection of birth, life and death is secured. In this way, alienation and disconnection are merely false views and discrimination in terms of ontological connectivity. The awareness of ontological characteristic and connectivity leads to Buddhist healing of the existence. Healing results in a problem of existential choice. This choice is connected by mind. One of the representative functions of the mind is the choices. And the mind becomes the subject of Buddhist psychology. At this point, Buddhist existential psychology is connected with Buddhist psychology. 불교 실존심리학은 불교심리학적 관점에서 실존의 문제를 연구하는 불교심리학의 한 분야라고 할 수 있다. 불교에서 실존적 문제는 괴로움의 문제이다. 이 문제의 해결을 통해서 드러난 인간, 존재, 세계, 시간에 대한 관점을 중심으로 서구의 실존주의가 제시한 문제에 대한 불교심리학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실존은 본질에 앞선다는 테제는 불교에서는 법의 생멸성을 통해서 지금 여기의 존재론으로 드러나고 있다. 불교의 존재론적 특징인 삼법인과 연기의 연결성은 실존주의가 제시하는 의미, 자유, 불안, 죽음, 소외, 치유, 선택의 문제에 대한 불교 실존심리학의 관점을 보여준다. 범부인 인간의 실존적인 상황은 오취온으로 드러난다. 오취온적 상황 하에서 의미는 나 중심으로 전개된다. 이러한 나의 해체를 통한 의미해체론으로 나아간다. 이를 통해서 연기의 연결망만이 남게 되고, 이 연결망의 다양성만큼이나 다양한 의미가 관계적 맥락하에서 성립한다. 의미의 연기성에서 보면 자유는 나로 인한 것이 아니고 존재론적 흐름에 따른 자유이다. 존재론적 불안은 죽음에 대한 실존적이고 근원적인 불안이다. 이는 죽음과 탄생을 단절로 보기 때문에 발생한다. 그러나 존재론적 불안은 먼 죽음이 아니라 지금 여기에서 존재론적 특징으로 인해서 발생하는 불안이다. 이러한 특징을 아는 것 자체가 불안에 대한 대처가 된다. 존재론적인 비고정성은 불안을 비고정화시키고 불안을 더 이상 불안으로 성립시키지 않는다. 실존주의에서 죽음은 의미없음의 최후의 담지자이다. 이는 죽음을 단절로 보기 때문이다. 죽음을 존재 양태의 변화로 볼 경우 죽음은 일종의 존재가 되고, 의미의 연결성은 확보된다. 죽음은 지금 여기에서 삶에 개입하고 있기 때문이다. 인간은 탄생과 죽음으로 인해서 피투된 존재와 기투될 존재가 아니게 된다. 탄생과 삶과 죽음의 연결성이 확보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소외와 단절은 존재론적 연결성의 관점에서 보면 단지 전도된 사유이고, 분별된 사고가 된다. 존재론적 특징과 연결성에 대한 자각은 실존에 대한 불교적 치유로 나아간다. 연기성으로 인해서 인간은 원래 소외될 수 없는 존재이고, 나 중심의 의미는 해체되고, 자유가 아니라 해탈로 나아가고, 죽음이 아니라 존재 양태의 변화로 나아간다. 이처럼 치유는 존재론적 특징과 연결성과 연관되어 있다. 이는 결국 오취온을 기반으로 할 것인가 존재론적 특징과 연결성을 자각한 오법온을 기반으로 할 것인가 하는 실존적 선택의 문제로 귀결된다. 이러한 선택은 마음으로 연결된다. 마음이 가지는 대표적인 기능 가운데 하나가 결택 즉 선택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마음은 불교심리학의 주제가 된다. 이 지점에서 불교 실존심리학은 불교심리학과 연결된다.

      • KCI등재

        노인자살 원인으로서의 소외에 대한 분석과 소외 극복을 위한 기독교 상담

        김미진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014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Vol.25 No.3

        This research is on alienation, the cause of suicide in the elderly. This research has studied on alienation as cause of the suicide in aged people considering that fact that alienation is the main cause of the suicide for the elderly. In addition, the research has been done from Yalom’s existential psychological and Fromm’s socio–psychological and Tillich’s existential theology point of view. This research also has applied and proved clinically the creative concept that has been derived by integrating and applying these concept of alienation to the suicide of the elderly through quantitative study and qualitative study. The important conclusion showed 4 elements as the cause of suicide in the elderly; self–alienation, alienation in personal relationship, socio–psychological alienation and alienation from the God. The conclusion of the consultive method to overcome the alienation was that the participants could overcome the uneasiness about death by confronting death and they get the force to confront alienation through the truthful meeting with the consultant, and that confronting the alienation not evading it was the very overcoming of the alienation. The end result obtained through the christian consultive consideration in order to overcome the alienation, the cause of the suicide in the elderly, is the suggestion the new being for overcoming the alienation and the desire for death, as the passive type of suicide during old age, should be transformed into the desire for the ultimate interest. Also it is important to plan the way of overcoming the alienation by a wholesome consultation. 본 연구는 노년기 자살에서 자살의 원인이 되는 소외에 관한 연구이다. 소외가 노인자살의 주요한 원인이 되는 것에 착안하여 노인자살의 원인으로서의 소외에 관한 연구를 시도하게 되었다. 아울러 소외에 관하여는 Irvin Yalom의 실존주의 심리학적 관점과 Erich Fromm의 사회심리학적 관점, Paul Tillich 실존신학적 관점에서 연구를 하였다. 그리고 이들의 소외 개념을 통합하여 노인자살 문제에 적용했으며 또한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를 통하여 임상적으로 입증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드러난 노인자살의 원인으로 소외현상은 네 가지로 나타났는데, 자기소외, 대인관계의 소외, 사회심리적 소외, 신과의 소외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의 소외 극복을 위한 상담 방법적 결론은 상담자와의 참 만남을 통하여 소외에 직면할 힘을 가지게 됨의 중요성과, 죽음을 피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죽음에 직면함으로 죽음 불안을 극복하는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노인자살의 원인으로 소외를 극복하기 위해 기독교 상담학적인 고찰을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소외 극복을 위한 새로운 존재의 가능성을 제시하였고 노년기 자살의 수동적인 유형으로 죽음에 대해 소망하는 것을 궁극적 관심에 대한 소망으로의 전환과 전인적인 기독교 상담을 통한 소외 극복 방안의 필요성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폴 틸리히의 상관관계방법론을 통한 기독교 상담방법론

        임경수 연세대학교 신과대학 연합신학대학원 2019 신학논단 Vol.95 No.-

        The Korean church is suffering a crisis from a lack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growth. Probably there are lots of reason for the crisis. But one, I believe, is that the church has not changed its traditional perspectives on human beings and culture, and it is not paying attention to human contexts in which human dilemmas and existential anxieties appear. The church is repeating its own traditional answers without listening to the concerns, anxieties, and questions of people. In this perspective,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pply Paul Tillich’s method of correlation to the Christian counseling methodology to make it more effective. Tillich’s suggests that people have to ask questions about human existence and that theology must give answers based on these questions. If there are no questions, then theology has no answers. Answers come only in response to questions. This process brings us close to the will of God. What Tillich considers are religious taboos,rules and norms constructed in the periods of heteronomy. Thus these things should be questions, because there will be no creative answers given to human beings without tensions between heteronomy and autonomy. These questions span the boundary between heteronomy and autonomy. The questions cause tension and fear, but they are necessary. In this sense, depth psychology and existentialism are two important tools to investigate human beings and the boundary. These tools illuminate the human condition, and allow us to approach more closely a human being’s existential problems and anxieties. These insights help us to see the human’s positive side of the symbolic self and a negative side of the animal self, which focuses on only selfish purposes. All these academic endeavors and insights make us to realize that human beings live with a conflict within themselves. Not only humans’ ambiguities in view of depth psychology, but also human being’s anxiety in a given time and space is another important agenda which has to be dealt with by Christian counseling. Because humans are limited by time and space, they feel the anxiety of death. Without knowing exactly this anxiety, we are controlled by it. And it leads to an unbalanced life where we try to avoid the anxiety of death. This death anxiety is a given one, but when we accept it we may live a more balanced life. Christian counseling should be exploring the two areas emphasized by Tillich in order to understand human inner conflicts and desires. Questions raised by these fields will help Christian counselors to see human ambiguities and lead them to answers that are close to the genuine meanings. 한국교희의 현실은 질적 및 양적성장의 문제를 겪고 있는 시기다. 여러가지 이유 중의 하나는 한국교회가 전통적인 관점을 변하지 않고 문화와 인간에 대한 고정된 관념을 가지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그래서 인간살아가는 장을 통한 인간의 딜레머 불안 그리고 그들의 질문에 대해 교회에 듣지 않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기독교상담은 틸리히의 상관관계방법론을 통하여 좀 더 교회와 문화 간의 소통을 하고, 그의 상관관계방법론을 통하여 기독교상담의 정체성을 규명해 보려고 한다. 틸리히의 신학은 인간이 질문하고, 교회와 기독교가 답변을 하는 신학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래서 만일 물어보지 않으면 하나님으로 부터의 답은 없는 것이다. 이 물어보고 답변하느 과정이 인간을 하나님에게 근접하게 한다. 현재 우리가 가지고 있는 대부분의 금기와 규정은 타율성의 시대에 만들어 진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형성된 규정은 자율성과 타율성의 긴장을 가지지 않은 것이기 때문에 창의적인 답이 주어질수없다. 틸리히는 이 창의적인 답을 얻기 위해서 심층심리학과 실존주의의 통찰이 기독교에 들어와야 한다고 본다. 그리고 이 두가지 도구의 긴장은 타율성으로 굳어진 규범을 새롭게 하여 생명력이 나타나게 한다. 그리고 이 두가지 도구는 인간이 가진 어두운 면과 밝은 면을 동시에 볼 수 있도록 해서, 인간이 가진 동물적 자기와 상징적 자기의 양면성을 보도록 한다. 이러한 틸리의 상관관계론 방법에서 제시하는 심층심리학과 실존주의는 기독교상담의 세계를 더 통찰력있는 학문으로 만들것이다.

      • KCI등재

        죽음을 대하는 현대의학의 태도 비판- 어네스트 베커의 실존주의 심리학의 관점에서

        박중철 한국의철학회 2017 의철학연구 Vol.24 No.-

        Since the solidarity of the traditional community has collapsed, deaths in modern society are proceeding with privatization, banalization, and medicalization. In particular, 75 percent of Koreans are dying in medical institutions today, so the death in hospitals has become a common occurrence. There is also a proliferation of medical futility in life-sustaining treatment, which is closely related to attitude of medicine toward death. Such attitude have several characteristics. First, the medical profession recognize death as a medical defeat, and they resist it through advanced technology. Second, such resistance is rationalizing through ‘Dogma’, such as ‘principles of ethics’ and ‘treatment guidelines’. This article analyze the medical futility relying on ‘technological possibility’ and ‘medical dogmas’ in perspective of ‘existentialist psychology’ which persist that Human beings overcome the fear of death through an attempt to be a hero. One of them, Ernest Becker, explained how human beings become heroes through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of ‘narcissism’ and ‘transference’. According to Becker, It is narcissism to regard one’s ability as basis of self-esteem, and transference is the identification by subjugate ones’ own self under superior groups or cultures. Modern medicine has depended on the technological narcissism, and subjugating under the dogmas(laws, principle of ethics, treatment guidelines) to preserve itself from the fear of death. Ultimately, these technicism and dogmatism have become the identity of modern medicine against inevitable death. This identity of medical practice ultimately justifies life-sustaining treatment by allowing it’s intervention to deprive patients’ sovereignty in their dying process. If the patient wants to refuse life-sustaining treatment, they should rely on the legal and ethical principles of the law. In this case, the death of a patient is because of its own abandonment, not because of medical failures. And medicine can preserve the identity which it have to struggle against death. Medicine now needs a new identity to protect its self-esteem without violating patients’ sovereignty over their dying process. In order to achieve this, it is necessary to move the goal of medical practice to helping the completion of life not artificial prolongation of life. Ultimately, this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for our society to renew the culture of death.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