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비교사들이 지각하는 학습자의 실수의 개념화

        신종호(Jongho Shin),연은모(Eun Mo Yeon),김종백(Jong-Baeg Kim),설보연(Boyeon Seol),강미라(Mira Kang) 한국교육심리학회 2016 敎育心理硏究 Vol.30 No.4

        교사의 암묵적인 태도는 학습자의 성취와 행동을 예견하는 중요변인으로 간주된다. 교실 내 대화를 통한 일상적 형태로 전해지는 교사의 생각이 자연스럽게 학생의 암묵적 지식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사실에 기초하여 실수가 가지는 교육적 가치를 학습상황에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학생들의 긍정적 실수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의 실수에 대한 인식에 관심을 두었다. 구체적으로 실수가 가지는 교육적 가치를 학습상황에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교사들의 의견 수렴으로부터 시작하여 예비교사들이 학생들의 실수에 대해 가지는 인식을 탐색하였다. 이를 교사의 실수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는 척도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였다. 즉, 학습상황에서 불가피하게 경험하는 실수에 초점을 두어 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실수발생원인은 무엇이며, 실수를 범하는 학생들의 특성은 유형화될 수 있는지, 그리고 실수가 교사와 학생 각각에 미치는 긍정적 및 부정적 역할은 무엇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먼저 심층 설문을 통해 수집된 현직 교사가 지각하는 실수발생원인, 실수발생특성 및 실수의 역할에 대해 합의적 질적 연구방법(CQR)을 활용하여 내용분석을 한 후, 전문가 및 교사 집단의 평정을 통해 160문항을 추출하였다. 이를 422명의 예비교사에게 설문조사를 하고 탐색적 및 확인적 요인분석을 거쳐 총 141문항을 도출하였다. 설문문항을 실수발생원인 50문항(개인/환경), 실수발생특성 39문항(개인/환경), 실수의 역할 52문항(개인/교사, 긍정/부정)으로 구분하여 예비교사들의 실수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도출된 결과는 새로운 척도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교육 현장에서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eachers’ perception is considered as an important variable which predicts learners’ achievement and behavior. That’s because teacher’s belief and attitude can be delivered by conscious and unconscious responses in teacher-students interaction, classroom instructional practices and so on, which constitute classroom climate. Therefore, the research explored pre-teachers’ perception including implicit knowledge on the causes of error,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 who frequently makes error, and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f error to enhance the positive educational value of error in learning context. The study of open-ended questionnaire of 18 in-service teachers was conducted to identify teachers’ implicit beliefs of error in general learning circumstance. at the preliminary level. The data was analyzed by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and 160 items of the causes of error,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ho frequently makes error, and the roles of error in learning were selected. As a result of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n selected 160 items, 141 items(causes of error 50 items, characteristics of student who frequently makes error 39 items, and roles of error 52 items) were finalized by 422 pre-service teachers in South Korea. The results of construct validation will be applied to develop new error scale and to improve education field regarding to error.

      • KCI등재

        대학생의 실수 인식에 대한 잠재적 유형과 주관적 안녕감, 학업적 자기평가 간의 관계

        연은모(延殷模),신종호(申宗昊),최효식(崔孝植),김정아(金貞雅)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5 아시아교육연구 Vol.1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의 실수에 대한 인식에 관한 다중 심리적 속성에 접근한 연구가 부족하다는 문제의식에 근거하여 학습자의 실수 인식에 대한 잠재적 집단을 도출하여 각 집단에 속해있는 학습자의 특성을 파악하고, 잠재적 집단 분류에 따라 학업적 자기평가와 주관적 안녕감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경북 소재 6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364명을 대상으로 실수에 대한 인식, 주관적 안녕감 및 학업적 자기평가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고, 잠재프로파일분석, 다변량분산분석, 일원분산분석을 활용하여 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학습자의 실수에 대한 인식은 실수로부터 학습할 수 있다는 생각, 실수를 도전적으로 받아들이는 태도, 실수의 활용방안에 대한 고찰, 그리고 실수에 대한 긴장의 다중 속성에 의해 (1) 실수 활용 초점 집단, (2) 실수 불안 초점 집단, (3) 실수 예방 초점 집단의 세 개 하위 잠재 집단으로 구분되었으며, 실수를 활용하는데 초점을 맞출수록 학습자들의 주관적 안녕감과 학업적 자기평가 수준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교육 현장에서 미래인재를 양성할 때 평가적인 관점에서 실수의 발생 자체에 관심을 두고 이를 예방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실수가 발생했을 때 어떻게 받아들이고 대처해야하는지를 가르치는 것이 실수를 추후 학습에 활용하는 데 있어 더욱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latent groups of learners’ error perception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with academic achievements and subjective well-being among latent groups. Survey data from 364 university students enrolled at universities in Seoul and 5 near metropolitan cities were used to analyzed. As a result, three groups were generated regarding students’ beliefs in learning from errors, preferences for risk-taking, effort for thinking about errors, and strain on errors: (1) error management focused group (2) error strain focused group (3) error prevention focused group. In order to examine th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indices of learners’ error perception, a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As a results, students’ subjective well-being and academic achieveme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t patterns among groups. In detail, learners with high academic achievements and subjective well-being were more likely to focus how to manage their errors and have positive perceptive of error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ere is a need to encourage that students could obtain positive perception of errors to display potential of errors in learning.

      • KCI등재

        학교목표구조, 개인목표성향 및 학업적 자기평가가 학습자의 실수 인식에 미치는 영향

        신종호(Jong Ho Shin),최효식(Hyo Sik Choi),연은모(Eun Mo Yeon) 한국교육심리학회 2014 敎育心理硏究 Vol.28 No.1

        본 연구는 실수의 교육적 가치 탐색을 위해 학습자의 실수에 대한 인식 및 긍정적인 실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초등학교와 중ㆍ고등학교 학생 625명을 대상으로 학교목표구조 및 개인목표성향과 학습자의 실수 인식 간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고, 학업적 자기평가가 실수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실수에 대한 인식은 학교급이 올라갈수록 부정적으로 변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성별에 의한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 둘째, 초등학교와 중ㆍ고등학교 모두에서 자신이 속한 공동체 목표를 숙달적으로 인식하고 숙달접근목표를 가질수록 실수로부터 학습할 수 있다고 생각하며, 실수를 줄이고자 노력함과 동시에 수행 증진에 활용하고자 더 많이 고민하고 실수에 대해 도전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ㆍ고등학생의 경우에는 수행접근목표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초등학교와 중ㆍ고등학교 모두에서 학업적 자기평가를 높게 하는 학생들의 경우 실수에 대해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창의미래인재 육성을 위해 실수를 교육 현장에서 보다 적응적으로 활용하기에 앞서 실수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고취해주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구체적으로, 긍정적 실수 인식 함양을 위해 숙달목표를 강조하는 환경을 조성하고 학습자 역시 숙달접근적인 목표를 가질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Students frequently make errors in learning and, their errors offer many positive educational implications. However, not enough researches have been practiced in students` perception of errors and in exploring variables which can affect on their perception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relationships among classroom goal structur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academic achievement, and perception of errors. In details, we aimed to examine differences in students` perception of errors between elementary school and secondary school and to explore relationships between academic achievements and perception of errors. Moreover, effects of classroom goal structure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on perception of errors were examined. Using sample of 625 elementary and secondary students,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classroom goal structur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academic achievement, and perception of error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students` perception of errors was turned negatively from elementary school to secondary school, but no gender differences were founded. Nevertheless, high achieving students were more positively perceived errors. Furthermore, mastery goal structure of classroom and mastery-approach goal and performance-approach goal orientations have fostered positive thoughts in perception of error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create mastery goal structure classroom and encourage students to pursue mastery-approach goal and performance-approach goal to optimize positive implications that is included in students` errors in learning.

      • KCI등재

        중학교 태권도 선수의 성취목표성향이 실수인식과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김수연 ( Kim Su-yeon ) 국기원 2020 국기원태권도연구 Vol.11 No.3

        이 연구는 중학교 태권도 겨루기 선수의 성취목표성향이 실수인식과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수도권(서울·경기·인천)과 강원, 충남지역의 중학교 태권도 겨루기 선수들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여 330명의 표본을 추출하였으며, 이 중 응답의 일관성이 결여되는 31명의 자료를 제외한 총 299명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처리는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SPSS 23.0 통계프로그램과 AMOS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성취목표성향의 하위요인인 과제목표는 중학교 태권도 겨루기 선수의 실수학습, 실수고찰, 실수도전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실수부담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목표는 실수부담, 실수고찰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실수학습, 실수도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학교 태권도 겨루기 선수의 성취목표성향이 인지된 경기력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실수인식의 하위 요인인 실수부담은 부(-)적으로, 실수고찰 정(+)적으로 인지된 경기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실수학습, 실수도전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n the perception of errors and perceived performance of middle school Taekwondo players. to achieve this, a sample of 330 drawn out of the middle school Taekwondo players from Seoul and Gyeonggi, Incheon, Gangwon, Chungnam was selected as a population. data acquired from 31 people were excluded due to inconsistency in their responses. Therefore, the data of 299 people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The acquir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rom the statistical software SPSS 23.0 and Amos 23.0.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process were as follows. First, the task goal orient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from mistakes, considering mistakes, challenge to mistakes. However, it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on burden of mistakes. Also the ego goal orienr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burden of mistakes, consideration of mistakes. but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learning from mistakes, challenge to mistakes. Second, th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was found to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erceived performance. Third, the burden of mistakes was found to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perceived performance and the considering mistakes was found to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erceived performance. but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learning from mistakes, challenge to mistakes.

      • KCI등재

        부모학업성취압력이 학습자 실수인식에 미치는 영향

        오아름(Ahreum Oh),신태섭(Tae Seob Shin) 한국교육심리학회 2017 敎育心理硏究 Vol.3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실수인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부모 요인으로서 학업성취압력의 영향을 분석하고, 두 변인 간 관계에서 나타나는 학습자 요인인 성취목표지향성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5~6학년 544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한 후, 부모학업성취압력이 학습자 성취목표지향성을 매개로 실수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우선 부모학업성취압력이 실수인식의 하위요인 중 실수에 대한 고찰과 실수에 대한 부담에 이르는 직접적인 경로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숙달목표지향성은 실수인식 중 실수로부터 학습할 수 있다는 생각, 실수에 대한 도전적인 태도 및 실수에 대한 고찰에 이르는 경로가 유의하였다. 셋째, 부모학업성취압력은 학습자 수행접근목표지향성에 영향을 미쳤으며, 수행접근목표지향성은 실수에 대한 고찰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넷째, 부모학업성취압력에서 실수에 대한 부담으로 이어지는 경로에서 수행회피목표지향성의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부모학업성취압력과 실수에 대한 부담의 관계에서 수행회피목표지향성의 역할을 확인하였으며, 더불어 학습자의 실수에 대한 부담을 낮출 수 있는 교육적 실천 가능성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학습자의 실수인식에 대한 부모 학업성취압력의 영향력을 확인하고 이를 매개하는 학습자 성취목표지향성의 역할을 검증하였으며, 교육적 개입의 가능성을 확장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o extend the potential benefits of learning from errors,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parental academic pressure on students" perception of errors. The role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f students in mediating relations between parental academic pressure and the perception of errors also was examined. The study participants(544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drawn from Seoul and the Gyeonggi regions. The data was analyzed applying Pearson"s correlati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by SPSS 22.0 and M-Plus 7.0.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es indicated that the direct paths from parental academic pressure to thinking about errors and error strain were significant. Second, the paths from mastery goal orientation to learning from errors, error risk taking and thinking about errors were significant. Therefore, the educational importance of mastery goal orientation and the way to raise it are suggested. Third, parental academic pressure have effects on learners’ performance approach goal orientation and performance approach goals are related to thinking about errors. The ambivalent effect of performance approach goals in learning and the relevance between performance approach goals and error are discussed. At last, mediating effects of performance avoidance goals were found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and students" error strain. Moreover, the ways to reduce error strain are suggested.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understanding of the effects of parental academic pressure. In addition, the mediating effects of student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were identified. Thus, the possibility of educational intervention and strategies extended.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for parents not to pressure academically and for parents and educators to encourage learners to pursue mastery goals.

      • KCI등재

        실수-기반 학습의 의미와 교육적 시사점

        김종백(Jong Baeg Kim) 한국교육심리학회 2010 敎育心理硏究 Vol.24 No.4

        학습의 과정에서 학생들은 많은 실수를 범하고 또한 학습의 실패를 경험한다. 실수(error)는 그것이 단순한 주의의 문제에 기인한 것에서부터 잘못된 절차의 적용과 문제상황의 이해에 이르기까지 원인이 다양할 수 있다. 실수들은 학습의 실패나 부진의 원인이 되는데 이를 피할 수 있도록 전략과 해결책들을 가르치고 몇 가지 전형적인 내용에 대한 이해를 알려주는 것이 현재와 같은 교육 및 평가 시스템 내에서는 효과적일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교수실천(teaching practices)은 유연성이 낮은 지식구조와 현실 문제들에 대한 해결능력 제고에 제약이 된다. 실수와 실패는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교육적으로 긍정적 의미를 가지고 있다. 그 방법은 실수와 작은 실패를 허용하는 환경에서 학생들이 스스로 내용영역과 문제공간을 탐색하며 이해의 창의적 구성과 해결전략을 학습하도록 비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교사가 효율성을 위해서 학생들의 경험을 규정하거나 제한하기 보다는 되도록 학생들이 넓고 복잡한 교과관련 내용영역을 주도적으로 탐색하도록 허용한다면 학생들의 실수와 실패는 교육적 기능과 역할을 한다. 교사의 역할은 교육과정의 전달에서 내용영역(curriculum)의 학습에서 학생들이 어떠한 경로를 거쳐서 발달해나가는 지에 대해 이해하고 각각의 발달단계별로 학생들의 전형적인 실수 혹은 오류의 성격과 교수전략에 대한 전문성을 갖추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실수의 교육적 의미와 역할을 기술하고 교실에서 실수를 활용할 수 있는 전략을 학습 공간 확대, 교육과정 구성의 개방성, 실수를 공유할 수 있는 교실문화, 실수에 따른 피드백 전략, 그리고 실수에 대한 정서적 불안감 해소의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Students make errors and experience failures in their learning processes. The cause of errors is various from allocation of attentional resources to representational problems. In general, teachers attempt to avoid situations students making errors, because they hinder faster and efficient teaching of contents in the short period of time. Therefore, students are taught with a few typical strategies to solve problems or understandings of specific contents. Although this might look effective method, this kind of teaching practices offer students with less flexible knowledge structure for multiple authentic situations. Errors and failures have positive educational implications. Teachers should allow small failure to occur so that students explore problem space freely and provide them with relevant scaffoldings. To make this work, teachers should research how a curriculum is connected with students` understanding. In addition, teachers should have expertise in relationship between specific content area and typical errors and mistakes they make.

      • KCI등재

        성취지향목표가 학습자의 실수인식에 미치는 영향

        신종호(Jong Ho Shin),최효식(Hyo Sik Choi),연은모(Eun Mo Yeon),홍윤정(Yoon Jeong Hong) 한국교육심리학회 2015 敎育心理硏究 Vol.29 No.1

        개인이 가치를 두는 목표는 행동을 이끄는 중요한 원동력으로 어떠한 목표를 가지는가는 학습에서 실수나 실패를 바라보는 시각에 서로 다른 영향을 미친다. 특히 높은 성취를 추구하며 타인과 비교해 성공에 최우선 가치를 두는 성취지향목표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울 및 경기 소재의 초등학교와 중학교 학생과 학부모 320명을 대상으로 성취지향목표가 학습상황에서의 실수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를 확인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때 청소년기는 유의미한 타인(예: 부모나 교사)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는 시기이기 때문에, 유의미한 타인으로서 부모의 성취지향목표가 학습자의 실수 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도 함께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학습자의 성취지향목표는 실수로부터 학습할 수 있다고 여기고 자신의 수행 증진을 위해 실수를 보다 발전적인 방향으로 활용하고 도전의 기회로 삼고자 하는 태도와 같은 실수에 대한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부모의 성취지향목표는 이러한 학습자의 실수에 대한 인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부모의 성취지향목표와 실수 인식에 대한 관계는 초등학생에 비해 중학생에게서 보다 분명하게 나타났다. 개인의 성취지향목표는 실수에 대한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타인의 성취지향목표는 실수에 대한 인식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한 본 연구결과는 미래인재를 양성하는 과정에서 실수의 교육적 가치를 활용하기 위해 학습자 스스로 목표를 찾고 노력할 수 있게 지원해 주어야함을 시사한다. Student’s errors may offer positive implications, but still only few researches have been practiced in exploring variables that may affect on students’ perception of err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chievement goal which practices maladaptive learning strategies on students perception of errors. In details, we aimed to explore how individual and their parents’s achievement goal differently related to students’ perception of error by using sample of 320 elementary and secondary students and their parents. The results show that students’ achievement goal was positively influenced on students’ perception of errors while parents’s achievement goal negatively influenced. In addition, this negative influences get increased from elementary school to middle school. The results indicated that students’ personal achievement goal which are known for maladaptive academic motivation can also have positive influences on students’ perception of errors whereas other’s achievement goal leads negative influences and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educating students to pursue autonomous achievement goal.

      • KCI등재

        상담 대학원생들의 실수염려 완벽주의와 문화성향에 따른 다문화 감수성의 차이

        하정희,장한소리 한국상담학회 2020 상담학연구 Vol.21 No.5

        Both pers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in comprehending the level of an individual’s cultural sensitivity. It would be meaningful to explore how ‘concern over mistakes’ of perfectionism combined with ‘individualism/collectivism’ affects cultural sensitivity. A total of 209 counseling graduate student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s to find out how subscales of the cultural sensitivity can differ from the clusters formed by the combination of concern over mistakes and individualism/collectivis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groups with high collectivism and low concern over mistake, and those with a high horizontal individualism and low concern over mistakes, are more confident in interaction with cultural sensitivity than those with high verticalism and high levels of concern over mistakes. Second, regarding interaction attentiveness, a group with high levels of individualism with moderate levels of concern over mistakes showed higher cultural sensitivity than those with high levels of vertical collectivism and high levels of concern over mistakes. Lastly, groups showing high horizontal individualism with low and moderate concern over mistakes had higher levels of cultural sensitivity than those with a predominance of verticalism and high levels of concern over mistakes. 한 개인의 다문화 감수성의 수준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개인적 특성과 환경적 특성을 함께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문화 감수성을 발달시키는데 방해하는 하나의 성격 요인으로 여겨졌던 ‘실수염려 완벽주의’가 ‘개인주의/집단주의’의 문화성향과 조합하였을 때 다문화 감수성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탐색해 보는 것은 의미가 있을 것이다. 이에 209명의 상담전공(학교상담, 성인상담)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다문화 감수성의 하위차원들이 실수염려 완벽주의와 개인주의/집단주의 유형에 따라 형성된 군집 간에 어떠한 차이가 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다문화 감수성의 하위차원인 ‘상호작용 자신도’에 있어서 집단주의 성향이 우세하며 실수염려 완벽주의 성향이 낮은 집단과 수평적 개인주의가 높고 실수염려 완벽주의 성향이 낮은 집단이 수직주의가 높고 실수염려 완벽주의가 높은 집단보다 다문화 감수성의 상호작용 자신도가 더 높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둘째, 다문화 감수성의 하위차원인 ‘상호작용 주의도’에 있어서는 개인주의 성향이 강하고 평균적인 실수염려 완벽주의 성향을 갖고 있는 집단이 집단주의가 우세하며 실수염려 완벽주의성향이 낮은 집단 및 수직주의가 우세하며 실수염려 완벽주의적 성향이 높은 집단에 비해 다문화 감수성에 있어서 상호작용 주의도가 더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다문화 감수성의 하위차원인 ‘상호작용 참여도’에 있어서는 수평적 개인주의 성향이 강하고 낮은 실수염려 완벽주의 성향을 갖고 있는 집단과 개인주의 성향이 강하며 평균적인 실수염려 완벽주의 성향인 집단이 수직주의가 우세하고 높은 실수염려 완벽주의 성향을 가진 집단보다 다문화 감수성의 상호작용 참여도가 더 높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액션 게임상의 Pressured NPC에 따른 다각적 유저타입의 행동 실수처벌 및 복합요인분석 연구

        이흔우(Li, Xin Yu),조동민(Cho, Dong Mi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1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9 No.3

        본 연구 목적은 게임의 긍정적인 측면을 이해의 필요에 부응하기 위하여 다각적 유저타입, 유저 압박감을 가진 적의 요소, 유저 잘못된 행동의 실수, 게임의 처벌에 관한 실증적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즉, 액션 게임에서 유저 압박감을 가진 적의 요인 및 유저가 저지르는 실수 요인을 찾아내고 유저에게 압박감을 주는 적 요소는 유저의 행동 실수에 어떤 영향을 초래하며, 게임에서 유저에 대한 처벌이 게임 체험을 방해하는지 확인하였다. 중국 액션 게임의 디자인과 발전을 촉진하기 위해서 연구대상은 액션 게임을 플레이한 경험이 있는 중국 유저로 선정하여, 1차 실험에서 요인 분석 시행하였으며 2차 실험에서 경로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유저 압박감을 가진 적의 요인 분석한 결과 총 4개 요인인 ‘공격상태’, ‘적의 형태’, ‘공격 범위’, ‘적의 리듬’으로 분류되었다. 압박감을 가진 적 요소로 인한 유저의 행동 실수 요인 분석한 결과 총 4개 요인인 ‘적의 형태로 인한 실수’, ‘적의 공격으로 인한 실수’, ‘공격 형태로 인한 실수’, ‘원거리 속박으로 인한 실수’로 분류되었다. 또한, 경로 분석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유저에게 압박감을 주는 적의 요소는 유저의 행동 실수에 직접 영향을 미치게 되며, 게임 처벌은 유저의 행동 실수와 압박감을 주는 적의 요소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게임의 숙련도가 압박감을 주는 적의 요소와 유저의 행동 실수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nemy elements that have the user"s sense of pressure and the user"s fault elements in action games, the enemy elements that bring pressure to the user will have some influence on the user"s behavior error, and the punishment to the user in the game will confirm whether it interferes with the game experience. In order to promote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action games in China, the research subjects selected Chinese users with experience in playing action games.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in the first batch of experiments, and path analysis was conducted in the second batch of experim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enemy elements with the user"s pressure can be divided into four factors: "Attack Status", "Enemy Form", "Attack Range" and "Enemy Rhythm". Analyzing the reasons for user errors of wrong action by the pressure enemy elements, the results show that there are four factors: "Error of Enemy Form", "Error of Enemy Attack", "Error of Attack Form" and "Error of Ranged Bound". In addition, from the path analysis, it can be seen that the enemy factor that causes pressure on the user directly affects the user"s errors of wrong action, and the game punishment also affects the user"s errors of wrong action and the enemy factor that causes pressure. User"s proficiency has a negative impact on the enemy factor that causes stress and the user"s errors of wrong action.

      • KCI등재

        창의적 자기효능감이 실수에 대한 인식을 매개로 창의적 수행에 미치는 영향: 도전 목표의 조절된 매개효과

        신종호,김명섭,최병호,박준수,김종백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8 창의력교육연구 Vol.18 No.1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that perception of error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e self- efficacy and creative performance. This study also examined whether challenge goal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f the errors perception. One hundred thirty-four college students performed creative tasks under 1 of 2 groups: Challenge goal group and control group. After performing creative tasks, participants were asked to indicate their perception of errors during creative tasks. Participants' creative performance was assessed by using consensual assessment technique. The results showed that creative self-efficacy positively affected the perception of errors. Error risk-taking, espec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e self-efficacy and creative performance (fluency and originality). These mediating effects were only significant when challenge goal was presented.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crucial roles of creative self-efficacy and challenge goal for promoting creative performance. 본 연구에서는 창의적 자기효능감이 실수에 대한 인식을 매개로 창의적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지, 또 실수에 대한 인식의 매개효과가 도전 목표의 제시 여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검정하고자 하였다. 대학생 134명을 대상으로 창의성 과제를 수행하도록 한 후, 과제 중 실수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였다. 이때 참여자들을 두 집단으로 나누어 한 집단에는 도전 목표를 제시하였고 다른 집단에는 단순히 성취 기준만을 제시하였다. 이후 전문가합의법을 활용하여 유창성과 독창성을 평정하였다. 연구 결과 창의적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과제 중 발생하는 실수를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수에 대한 인식 중 실수 위험 감수는 창의적 자기효능감과 유창성, 독창성 간의 관계를 유의하게 매개하였으며, 도전 목표의 제시 여부가 매개효과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단순히 성취 기준만 제시한 경우에는 창의적 자기효능감과 실수에 대한 인식, 창의적 수행 간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지 않았지만, 도전 목표를 제시한 경우에는 실수에 대한 인식의 매개효과가 유의했다. 본 연구 결과는 실수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대학생의 창의적 수행과 밀접한 관련을 맺으며, 이 과정에서 창의적 자기효능감 증진과 도전 목표의 제시를 중요하게 고려해야 함을 보여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