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lastic net 벌점회귀모형을 활용한 대학생의 실무역량 예측 변수 분석: A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유지원 한국교육방법학회 2022 교육방법연구 Vol.34 No.2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실무역량 예측에 관련성이 높은 변수를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실무역량 예측에는 경기도 소재 A대학에서 수집된 재학생 4,054명의 배경정보, 핵심역량 및 학습활동 참여, 대학만족도 자료를 활용하였고, 기계학습 기법 중 벌점회귀모형인 elastic net을 활용하였다. 실무역량을 반응변수로 설정하고, 165개의 변수를 설명변수로 투입하여 벌점회귀모형인 elastic net으로 분석한 결과, 최종적으로 실무역량 예측에 높은 관련성을 보인 53개의 변수가 선택되었다. 실무역량 예측에 선택된 개인적 배경요인은 학년과 계열 정보가 포함되었다. 핵심역량 관련 변수 중에서는 협력역량 관련 변수 5개, 의사소통역량 관련 변수 6개, 비전수립 및 자기관리역량 관련 변수 8개, 문제해결역량 관련 변수 4개, 정보문해역량 관련 변수 12개, 글로벌역량 관련 변수 3개 등 총 38개의 역량 변수가 실무역량 예측에 선택되었다. 학생들의 활동 경험 변수 중에서는 인턴십 및 현장실습, 취업·진로프로그램, 봉사활동, 동아리활동, 리더로 활동한 경험, 교수자와의 진로상담, 근로활동 시간, 자기계발 활동 시간, 그리고 대학생활만족도 관련 변수 3개가 실무역량 예측에 선택되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실무역량 함양을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학교급별 보건교사의 학교보건 실무역량과 전문직 태도

        이규영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1

        목적 본 연구는 보건교사들의 학교급별에 따른 학교보건실무역량과 전문직 태도 수준을 파악하고, 두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여 향후 보건교사들의 학교보건실무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보건교사 연수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경기도 소재 초⋅중⋅고 보건교사 전수 1,267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학교보건실무역량, 전문직 태도를 자기 기입식 설문조사로 실시하였으며, 분석 방법은 SPSS / WIN 23.0을 사용하여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 Coefficient Correlation을 실시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수준은 0.05로 하였다. 결과 학교보건 실무역량은 초등학교가 147.59점, 중학교 148.17점, 고등학교 143.55점으로 나왔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F=6.35, p=.002). 학교보건 실무역량 중 가장 높다고 응답한 항목은 ‘성 문제 해결능력’이 가장 높았고(F=8.19, p<.001), 신체발달의 이해 17.64점(F=4.08, p=.017), 가족 기능의 이해 16.82점(F=3.62, p=.027), 학교보건 개념적 틀에 대한 이해 16.79점순으로 유의하게 나왔다(F=8.50, p<.001). 실무역량이 가장 낮은 항목은 ‘제도 활용 능력’이었다(F=4.26, p=.014). 전문직 태도는초등학교와 중학교가 고등학교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F=4.50, p=0.11), 가장 높았던 항목은 ‘전문직은 계속 교육이필요하다’였고, 가장 낮았던 항목은 ‘보상과 가치가 따르는 직업이다’였다. 학교보건실무역량과 전문직 태도 간에는 양의 상관관계가있었다(r=.42, p<.001). 본 연구와 같은 도구로 2002년에 측정한 연구 결과와 비교해 보면 보건교사의 학교보건실무역량은 높아졌으나 전문직 태도는 낮아진 것으로 나왔다. 결론 초⋅중⋅고 보건교사들의 학교급별 학교보건 실무역량 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므로 학교급별 맞춤형 보건교사 연수프로그램이 필요하며, 학교보건 실무역량에서 낮게 나왔던 ‘제도 활용’ 영역은 모든 학교급에 적용하여 통합적인 연수로 운영할 필요가있겠다.

      • KCI등재후보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실무자 역량모델개발

        윤항숙,박용호 고려대학교 HRD정책연구소 2022 휴먼웨어 연구 Vol.5 No.2

        본 연구는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실무자가 업무를 효율적으로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역량을 규명하고 행동지표를 개발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를 고찰하였고, 재직 중인 우수 실무자를 대상으로 BEI 및 FGI를 실행하여 잠정적 역량모델을 구축하였다. 이러한 잠정안에 대한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청소년전문가와 우수실무자를 통해 델파이검사를 진행하여 내용을 검증하였고 최종 역량모델을 도출하였다. 팀장에게는 9개 역량 52개의 행동지표가 필요하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담임에게는 10개의 역량 59개의 행동지표가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팀장과 담임 역량모델에서 5개 역량은 두 집단에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역량이었는데, 이들 공통역량도 행동지표는 팀장과 담임이 다소 다름을 확인하였다. 즉 같은 역량이라도 수행하는 업무와 직급에 따라 다른 요구되는 행동지표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연구수행을 위해 델파이 조사에서는 응답자들의 평균값과 CVR값을 확인하여 기준값 이상의 역량과 행동지표만 확정하였는데 이를 통해 교육 및 평가에 활용할 수 있는 신뢰할 수 있는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역량모델이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도출된 역량모델을 향후 교육이나 평가 등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산업제품디자이너의 실무역량 연구

        고정욱 한국기초조형학회 2024 기초조형학연구 Vol.25 No.4

        교육계의 주요 이슈인 ‘역량 기반 교육’은 ‘무엇을 아는가’에서 ‘무엇을 할 수 있는가’로 교육 패러다임의 전환을 의미한다. 이는 제품 디자이너 양성을 위한 교육 방법으로 적합하다. 그러나 학술적 디자인 개념의 확장은 교육 측면에서 역량 설정의 모호성 문제를 초래하였다. 이로 인해 디자인의 고유한 전문성이 간과될 수 있다. 실로 제품 디자인의 교육 수준과 실무 요구 수준의 간극이 커지고 있다. 이에 실무 디자이너 양성에 적합한 역량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산업 제품 개발 프로세스에서 요구되는 디자이너의 실천 역량에 주목하여 현 사회적, 기술적 변화에 대응하고, 효과적인 디자인 업무 수행을 위한 제품 디자인 실무역량 모델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은 첫째, 선행연구들의 역량 프레임과 여러 디자인 역량 고찰. 둘째, 제품 디자인의 고유성을 탐색을 통한 역량 설정 방향 제시. 셋째, 다수 문헌과 전문가 설문조사에서 나타난 역량 키워드에 대한 Affinity Diagram 분석을 통해 제품 디자인 실무역량의 맥락을 파악하는 것으로 진행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로서 제품 디자인 고유성에 따른 배타적 범주화의 실무역량 모델을 개발하였다. 첫째, 고유 역량 군 중 토대 역량은 ‘조형 요소와 원리 등 디자인 근간 지식, 제품 디자인 데이터 구현 도구 활용 기술, 디자인 마인드 셋과 프로세스 활용 태도’이며, 핵심 역량은 ‘디자인 콘셉트 창출 근간 지식, 디자인 감각 및 완성도 확보 기술, 디자인 안목 및 디자인 정신’이다. 둘째, 사회적 확장 역량 군은 ‘인문학 및 경제학 범용 지식, 산업 생산 및 미디어 활용 기술, 사회적 디자인 가치 확산 노력의 태도’이다. 셋째, 신기술 융합 역량 군은 ‘CX & 트렌드 데이터 리터러시 지식, AI & XR 등 ICT 활용 디자인 기술, 호기심과 지속적인 학습 태도’이다. 이는 제품 디자이너 실무역량 강화 교육에 도움을 줄 것이다. 다학제 융합 시대에 디자이너의 전문 역량을 명확히 이해할 때 디자인 역할의 가치는 보다 선명해질 것이다. The major issue in education, ‘competency-based education,’ signifies a paradigm shift from ‘what one knows’ to ‘what one can do.’ This approach is suitable for training product designers. However, the expansion of academic design concepts has led to ambiguity in competency settings within educational context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model of product design practice competencies for effective design work by focusing on the designers’ practice competencies required in the industrial product development process. To this end, the competency frameworks and design competencies presented in previous studies were reviewed, and the practical design competencies were identified through an Affinity Diagram analysis of numerous competency keywords derived from related literature and expert surveys. Based on these findings, an exclusive categorization model of practical competencies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uniqueness of product design. First, within the unique competency group, the foundational competencies include ‘basic knowledge of design elements and principles, skills in utilizing tools for product design data implementation, and the mindset and attitude for process utilization.’ The core competencies encompass ‘basic knowledge for creating design concepts, skills for ensuring design sensitivity and completeness, and design insight and spirit.’ Second, the social expansion competency group consists of ‘general knowledge of humanities and economics, skills for industrial production and media utilization, and an attitude towards efforts to expand the social value of design.’ Third, the new technology convergence competency group comprises ‘knowledge of CX and trend data literacy, design skills utilizing ICT technologies such as AI & XR, and a curiosity and continuous learning attitude.’ This is expected to aid in enhancing the practical competencies of product designers. This model will aid in strengthening the practical competencies of product designers.

      • KCI등재후보

        아시아-유럽 6개국 교육이해관계집단의 핵심역량으로서의 기업가정신에 대한 인식

        진미석(JIN Misug),윤수린(YOON Soorin),김효정(KIM Hyojung) 한국핵심역량교육학회 2019 핵심역량교육연구 Vol.4 No.1

        본 논문에서는 아시아유럽정상회담(ASEM) 교육장관회의 소속 혁신역량/기업가정신 (Innovative Competence/Entrepreneurial Skills) 실무그룹 소속 6개 회원국을 대상으로 기업가정신에 대한 교육행정가, 교사, 고용주 등 이해관계집단의 인식을 탐색적으로 분석하였다. 기업가정신은 빠른 과학기술과 통신기술의 발전으로 급격한 노동시장변화와 고용없는 성장의 추세가 진전되면서, 청소년의 미래역량으로 전세계적으로 강조되고 있는 핵심역량이다. ASEM 교육부장관회의 의제 회의 중 하나인 혁신역량/기업가정신 교육(Innovative Competence/ Entrepreneurial Skills) 실무그룹은 2014년에 결성하여 제1단계(2013-2015)에서는 시대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핵심역량에 대한 개념적 논의를 진행하였고, 제2단계(2016-2018)에서 각국마다 혁신역량/기업가정신에 대한 인식을 실제로 살펴보는 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논문은 실태조사결과를 분석하여 제시한 것이다. 6개국의 다른 경제상황과 교육, 문화의 맥락에서 기업가정신에 대한 주요이해관계 집단의 인식을 살펴 본 바, 각국의 교육이해관계집단들은 공통적으로 기업가정신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었고, 특히 고용주들은 기업가정신을 더욱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그리고 이해관계자들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은 강하다고 판단되나 실패에 대한 관용이나 위험이 따르는 새로운 대안 모색 등 기업가정신장려 문화나 혁신역량을 강화하는 교육이나 지원시스템은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결과의 시사점으로 청소년들의 미래역량으로서 혁신역량/기업가정신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기업가정신 교육의 강화, 산업체와의 연계, 교사교육 강화, 실패를 허용하고 연습하는 프로그램 등을 도출하였다. Entrepreneurship is a core competence that is emphasized globally as the future capacity of young people along with the rapid change of labor market and the growth without employment growth. The Innovative Competence/ Entrepreneurial Skills Working Group, one of the agenda of the ASEM ㅡMinisters of Education, was formed in 2013, and in the first phase (2013-2015), the conceptualization of core competencies was discussed and in the second phase (2016-2018), a survey on the perception of innovative competence/ entrepreneurial skills in 6 countries was conducted. This study is based on the analysis of this survey.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could find that all education interest groups such as education policy officers, teachers, employers, etc. perceived innovative competency/entrepreneurial skills are very important as the core competence to cope with changing society. However, it is recognized that the culture such as tolerance on risk taking and generosity to failure is not pervasive in each society. The lack of industry involvement in innovation competence/ entrepreneurship education was reaffirmed as in other areas of education. The survey showed that the industry is not actively involved in innovative competency/entrepreneurial skills education and that it lacks systems to support it.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have a variety of ways to encourage industry participation in the contents and delivery method of innovative competency/entrepreneurial skills education. Young entrepreneurs who have proven their innovation capability can be invited as role-models for entrepre­ neurship education. Risk takers and management competencies should be included and emphasized especially in content competency training. Risk-related factors can include planning and implementation of new projects, mock-ups, lectures by seniors, and performance-based tasks. In addition, since the risk-taking capacity is accumulated by learning and experiencing it repeatedly, we should provide opportunities to take various risk-taking and failure experiences starting from a young age. Teachers agree on the need for innovative competency/entrepreneurial skills education, but there is limited will or expertise to actually participate. There must be a lot of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teachers training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In this respect, many of the international best practices shared during Phase 1 and Phase 2 of the ASEM Working Group could be good reference cases. Based on experience in this working group, it would be helpful to build and operate a platform to share relevant knowledge and disseminate best practi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education interest groups agreed on the necessity, but the integrated efforts such as education policy area, school education, industry collaboration and cooperation were lacking. It is suggested that support system is needed for the expansion of innovative competency/entrepreneurial skills education and should support the ecosystem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cluding industry, school, parents, and government. Despite the difference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the administrative environment, and the situation of the research culture and administrative support, the survey was conducted in the same frame to discover common trends in different situations and to identify points of significant difference. However, due to financial and time limitations, it is difficult to strictly limit the size and sampling of the subjects to be surveyed. The results of this survey should be interpreted with caution and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size of the sampling and the sampling method for the future research.

      • KCI등재후보

        회계전공자의 실무역량 강화를 위한 PBL 수업의 효과 분석

        주해봉 ( Ju Hae-bong ),김영락 ( Kim Young-rok ),이종승 ( Lee Jong-seung ),임상종 ( Lim Sang-jong ) 한국세무회계학회 2017 세무회계연구 Vol.0 No.51

        본 연구는 회계전공자들이 졸업 후 사회에 진출하였을 때 실무역량의 부재로 인하여 다시 실무중심의 교육을 받는데 많은 자원과 시간을 투자하는 현실을 인식하고 대학에서의 회계 관련 과목의 학습이 기업현장에서 필요한 실무역량을 효과적으로 향상 시키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기존의 강의식 학습방법은 실무역량을 제고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실무에서 발생하는 사건에 대해서 스스로 문제점을 진단하고 해결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문제해결능력을 가져야한다. 이에 연구자는 비구조적인 문제를 가지고 자기 주도적으로 팀별 학습을 진행 할 수 있는 PBL(Preblem-Based Learing)이 실무역량을 강화시키는데 적합한 학습방법이라고 판단했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PBL의 적용사례들을 분석해본 결과의사소통능력, 협동학습능력, 문제해결능력, 통합능력,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같은 요소가 실무역량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K대학교 세무회계정보과 회계 관련 과목을 수강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실험군인 PBL 수업의 수강생들과 대조군인 강의식 수업의 수강생들의 학습효과 설문조사를 통한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검증하고자 했던 모든 측정항목에서 PBL 적용 수업이 더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특히 협동능력에서 가장 큰 차이를 보였으며 다음으로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 학습능력, 통합능력, 의사소통능력 순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fact that accounting majors invest a lot of resources and time in getting back to the practice-oriented education due to the lack of practical ability when they enter society after graduation. And to see how they effectively improve their working capacity. The existing lecture learning method has limitations in enhancing the practical ability.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is, it is necessary to have problem solving ability to diagnose problems and to present solutions for the events occurring in the work. Therefore, the researcher decided that PBL (Preblem-Based Learning), which enables self-directed team-based learning with unstructured problems, is a suitable learning method for strengthening practical skills. Based on previous studies, it was found that factors such as communication ability, cooperative learning ability, problem solving ability, integration abilit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have positive effects on improving working capac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BL class in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students in the control clas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PBL-based instruction was more effective in all the items to be tested. In particular, they showed the greatest difference in cooperative ability, followed by problem solving abilit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tegration ability, and communication ability.

      • KCI등재

        대학생의 현장실습교육 경험 유무 집단에 따른 실무역량, 진로탄력성, 진로통찰력, 진로정체성의 잠재평균 비교

        유지원(You, Ji Won),송윤희(Song, Yunhee) 한국진로교육학회 2017 진로교육연구 Vol.30 No.1

        최근 대학은 대학생의 진로 역량과 취업률 향상을 위해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하고 있으며, 그 중 현장실습교육은 학생의 전공 관련 현장체험을 통해 학습한 지식을 실무에 적용하며 실무역량 향상을 도모하는 대표적인 프로그램이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현장실습교육 경험 유무에 따라 학생이 인지하는 실무역량과 진로동기의 3 구성요소인 진로탄력성, 진로통찰력, 진로정체성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수행되었다. 수도권 소재 4년제 대학 재학생 3,126명을 대상으로 현장실습교육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지를 묻고, 응답자의 지각하는 실무역량, 진로탄력성, 진로통찰력, 진로정체성을 측정하였다. 현장실습교육의 경험 유무에 따라 현장실습교육 유(有)경험 집단(n=1,483)과 무(無)경험 집단(n=1,433)으로 구분한 후, 두 집단의 실무역량, 진로탄력성, 진로통찰력, 진로정체성 간의 잠재평균을 비교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현장실습교육을 경험한 학생 집단의 실무역량, 진로탄력성, 진로통찰력, 진로정체성 잠재평균이 무경험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나 현장실습교육이 학생의 실무역량과 진로동기를 촉진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현장실습교육의 효과와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Recently colleges and universities endeavor to increase students’ employment rate and career development skills. Therefore, schools encourage students to participate field experience because having real job experience in the major related fields would advance students’ job competencies and expand their career motivation. In this contex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difference on career resilience, career insight, career identity and job competencies between students’ having field experience and students’ without field experience. Data were collected from 3,126 college students, and data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status of field experience. The latent mean analysis was employed to test the hypotheses. As a result, a group with field experience (n=1,483) had significantly higher mean values than a group without field experience (n=1,433) on career resilience, career insight, career identity and job competencies. These results implied that field experience enhanced students’ job competencies and career motivation including career resilience, career insight, and career identity. The implications based on the findings were discussed.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근거기반실무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김남영,김은아 한국자료분석학회 2014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6 No.5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근거기반실무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관계 조사연구이다. G광역시와 C도에 소재한 5개 4년제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간호학생 430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이용하여 비판적 사고성향, 정보활용능력, 근거기반실무 역량에 대해 자료수집 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 상관계수(correlation coefficients), 단계별 다중회귀분석(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근거기반실무 역량은 정보활용능력(r=.725, p<.001), 비판적 사고성향(r=.551, p<.001)과 양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활용능력, 비판적 사고성향, 연구방법론 수업 이수는 간호대학생의 근거기반실무 역량을 60.5% 설명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비판적 사고성향과 정보활용능력 및 연구방법론 수업 이수가 근거기반실무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기 때문에, 학부과정에서 충분히 학습될 수 있도록 교수학습법을 개발하여 다양한 교과목에 접목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은 졸업 후 임상현장에서 근거기반실무 역량을 발휘하게 되고, 임상간호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적의 근거를 사용함으로써 실무의 향상을 이끌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relationships among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nformation literacy and evidence-based practice (EBP) competency, and especially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of EBP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A cross-sectional design was used, with a convenience sample of 430 nursing students at 5 nursing colleges in G city and C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evaluation questionnaires from May to June, 2011.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test, one-way ANOVA, and stepwise multiple linear regression with SPSS/WIN 21.0 program. The mean score of nursing student competency for EBP was 3.42±0.39 points. EBP competency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information literacy (r=.725, p<.001)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r=.551, p<.001). Factors influencing of EBP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were identified as information literacy (β=.606, p<.001),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β=.210, p<.001), and completion of research methodology (β=.132, p<.001), and these factors explained 60.5% of the total varia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factors that influence EBP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Therefore, it supports the implementation of the educational method as an integral aspect of improving EBP competency.

      • KCI등재

        특성화고등학교에서 양성할 지식재산 실무인력의 핵심 역량 요소에 관한 연구

        김태훈,이병욱,류병구 한국직업교육학회 2012 職業 敎育 硏究 Vol.3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factors of key competence of intellectual property personals based on the analysis of knowledge and function required to have as intellectual property personals, which are also available to educate at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knowledge and function required to have as intellectual property personals which are also available to educate at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are derived from three different areas. In particular, ‘work of production’ is derived from the area of creating intellectual property; ‘work of conducting drawing’ is derived from the area of protecting intellectual property; ‘work of crackdown on violation’ is derived from the area of making use of intellectual property. Additionally, as factors of key competence on the perspective of knowledge of intellectual property personals, knowledge related with ‘information search’, ‘production and technology’, ‘regulation related with intellectual property’, ‘terms in intellectual property’, ‘procedures of having intellectual property a right’, ‘laws related with intellectual property’, ‘scope of patent right’, ‘technique of paten analysis’, and ‘work of intellectual property’ are suggested. Also, as factors of key competence required on the perspective of function, function related with ‘information search’, ‘information collection’, ‘information analysis’, ‘information assessment’, ‘understanding products and technology’, ‘understanding patent’, ‘understanding work’, ‘conducting drawing’, ‘understanding drawing’, ‘understanding documents’, ‘communic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 skill’ are suggested. The factors of key competence suggested in this study are fundamental data to educate intellectual property personals systematically. Thus, sustainable study should be conducted to have the factors developed as subjects at school for liaison with curriculum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In accordance with shared characteristics of the knowledge and function, the suggested factors of key competence can be grouped to be developed into a subject, which can be later concluded as a subject which integrates theory and practice and also, a subject which focuses on practice. In conclusion, factors of key competence can be available to make concrete the scope of curriculum to educate intellectual property personals and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shape direction of personals education. Furthermore, they are expected to be utilized to establish accrediting system of intellectual property personals. 이 연구는 특성화고 수준에서 양성 가능한 지식재산 실무인력이 갖추어야 할 지식과 기능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식재산 실무인력의 핵심 역량 요소를 도출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특성화고 졸업 수준에서 접근 가능한 지식재산 실무인력에게 요구되는 지식과 기능을 지식재산 창출 영역의 ‘생산 직무’, 지식재산 보호 영역의 ‘도면 작성 직무’와 ‘지식재산 정보 제공 직무’, 지식재산 활용 영역의 ‘침해 단속 직무 수준’에서 도출하였다. 지식재산 실무인력의 지식적인 측면에서 요구되는 핵심 역량 요소는 ‘정보 검색’, ‘제품 및 기술’, ‘지식재산 관련 제도’, ‘지식재산 관련 용어’, ‘지식재산 권리화 절차’, ‘지식재산 관련 법’, ‘특허 권리 범위’, ‘특허 분석 기법’, ‘지식재산 업무’와 관련된 지식이다. 기능적인 측면에서 요구되는 핵심 역량 요소는 ‘정보 검색’, ‘정보 수집’, ‘정보 분석’, ‘정보 평가’, ‘제품 및 기술 이해’, ‘특허 이해’, ‘업무 이해’, ‘도면 작성’, ‘도면 이해’, ‘문서 이해’, ‘의사소통’, ‘대인관계’와 관련된 기능이다. 이 연구에서 제시된 핵심 역량 요소는 체계적인 지식재산 실무인력 양성을 위한 기초 자료로서 특성화고 교육과정과의 연계를 위해서 교과목화할 수 있는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여야 할 것이다. 제시된 핵심 역량 요소들을 지식과 기능의 공통적인 특성에 따라 유목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이론․실습 통합 교과 성격의 교과목 또는 실습 중심의 교과목 도출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핵심 역량 요소는 지식재산 실무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범위의 구체화와 실무 인력 양성 방향 정립에 기초 자료로 활용 가능하며, 나아가 지식재산 실무인력 자격 제도의 확립에도 활용 가능할 것이다.

      • KCI등재

        자연과학계열 대학생의 현장실습교육이 실무역량 및 진로통찰력에 미치는 효과

        이미나(Lee, Mi Na),유지원(You, Ji Won) 한국진로교육학회 2019 진로교육연구 Vol.32 No.1

        최근 대학에서는 실무역량과 진로역량 함양을 위해 현장실습교육이 확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취업 관련 지표에서 상대적으로 취약한 자연과학계열 대학생을 대상으로 현장실습교육이 실무역량과 진로통찰력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지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수행되었다. 자료 수집은 수도권 A대학의 자연과학계열 대학생 182명으로부터 현장실습교육이 진행되는 전후로 실무역량과 진로통찰력을 측정하였다. 이 중 현장실습교육에 참여 여부에 따라 참여 집단(n=92)과 미참여 집단(n=90)으로 분류하고 연구변인에서 두 집단 간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였다. 또한 참여한 학생의 개인별 실무역량과 진로통찰력의 사전-사후 점수를 비교하여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현장실습교육 참여 학생 집단의 사후 실무역량과 진로통찰력은 미참여 집단 학생의 사후 점수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참여 학생 개인별 사전-사후 비교 분석에서도 실무역량과 진로통찰력이 향상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자연과학계열 대학생에게서 현장실습교육의 교육적 성과를 논의하고, 현장실습교육 개발 및 운영에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In recent years, field experience has been expanded for college students to promote job competency and career develop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field experience for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natural sciences who are known to have difficulties in their career development.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82 college students of the natural sciences at an A university near Seoul, and their job competency and career insight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field experience was placed. Since students participated in field experience voluntarily, there were two groups of students: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field experience(n=92) and students who did not(n=90). Differences in research variables between the two groups was tested. As a result, the group with field experience had higher mean values in job competency and career insight than those of the group without field experience. In addition, the mean values of job competency and career insight of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field experience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before. Based on the findings, the importance of field experience to the students of majoring in natural science was discussed, and implications we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