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상의 「실낙원」 연구

        오주리(Oh, Ju-Ri)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과학연구 Vol.0 No.40

        이 논문의 목적은 이상(李箱)의 시 ?실낙원(失樂園)?의 특성을 구명하는 것이다. ?실낙원?은 근대세계를 하나의 비극적인 지옥으로 묘사한다. 특히 이 작품은 장르의 문제에서 논쟁적이다. 그것은 이 작품이 형식과 내용 면에서 모두 복합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1장은 하나의 모나드의 우주로서의 ‘점’ 또는 ‘1/∞’을 다룬다. 이상의 ‘1’은 ?면경? 또는 ?자화상?이 보여주듯이 ‘∞’와 같은 의미를 지닌다. 한편, 인상주의의 기법인 점묘법은 ?조춘점묘?와 ?실낙원? 사이의 공통된 특성이다. 점묘법에 의해, 이상은 세계의 다양한 국면을 묘사하기 하는 데, 미시지각적인 동시에 거시지각적인 시각을 획득하는 데 성공한다. 2장은 실낙원의 하위 텍스트 여섯 편을 다룬다. 각각의 하위 텍스트에는 이른바 ‘애벌레 자아’라고 불리는 시적 자아가 나타난다. ‘애벌레 자아’는 들뢰즈에 따르면 미분화된 자아이다. 한편, ?실낙원?은 이 작품을 하나의 계열로 만드는, 여섯 편의 하위텍스트들의 중층구조를 지닌다. 3장은 ?실낙원?의 장르논쟁을 다룬다. 그러나 이상은 문학의 관습적인 기준에 제한받는 시인은 아니다. 이 작품은 여섯 편의 하위 텍스트가 상호 침투하여 만든, 일종의 카오스모제이다. 카오스모제는 코스모스인 동시에 카오스인 어떤 것을 가리키는 신조어이다. 한편, ?실낙원?은 한 편의 생성텍스트로 볼 수 있다. 이 작품은 끝나지 않는 것이 아니라 영원회귀의 힘에 의해 생성되는 중인 것이다. 결론적으로 이상의 ?실낙원?은 장르논쟁을 너머 문학사에서 더 가치 있는 작품으로 격상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Lee Sang’s Paradise Lost. Paradise Lost describes the modern world as a tragic hell. This work is especially disputative on the matter of the genre. It is because that this work has the complexity in form and content. The chapter I covers the poetics of ‘point’ or ‘1/∞’ as the universe of a monad. Lee Sang’s ‘1’ is equal to ‘∞’ in the case of Mirror and Self-portrait. In addition, the pointage as a technique of impressionism is the common characteristics between A Pointage of the Early Spring Days and Paradise Lost. By means of the pointage, he successes to get not only the microscopic perception but also the macroscopic perception for describing the different phases of the world. The chapter II covers the series of six sub-texts of Paradise Lost. In each sub-test, so-called, the ‘larva ego’ as the poetic ego appears. The ‘larva ego’ is the differentiated ego according to Gilles Deleuze. On the other hand, Paradise Lost has the multi-layered structure of six sub-texts that makes this work one affiliation. The chapter III covers the argument about the genre of Paradise Lost. But Lee Sang is not the poet that is restricted by the conservative standard of literature. This work is a kind of chaosmose that six sub-texts are osmosed each other. Chaosmose is a coinage that means something that is both cosmos and chaos. In the other hand, ?Paradise Lost?is a geno-text. This work is not unfinished but generating by the power of Ewige Wieder-Kunft. In conclusion, the worth of Lee Sang’s Paradise Lost shall be raised as the more valuable work in the literature history.

      • KCI등재후보

        기독교 이해 과목 강의에 밀턴의 <실낙원> 활용하기

        이대성 한국대학선교학회 2013 대학과 선교 Vol.24 No.-

        밀턴의 『실낙원』은 영어로 써진 작품 중에서 가장 많이 읽혀지는 작품 중하나이다. 우리나라 대학생들은 대부분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실낙원』의 중요성과 내용에 대해 배우고 대학에 입학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낙원』을문학이 아니고 기독교 이해를 위한 과목에서 활용하는 경우는 드물다. 이 논문을 통해 필자는 기독교 대학에서 필수로 요구되는 기독교 이해 과목에서 밀턴의 『실낙원』을 주교재로 활용할 때 얻을 수 있는 교육 효과와 그를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문헌적인 연구와 필자가 4년 동안 실제로 강의한 경험을 근거로 제시하려고 한다. 1장에서는 기독교 이해 과목이 다루는 다양한 주제들을 기독교신앙 일반, 성서의 이해, 문화와의 관계, 인간의 이해, 이렇게 네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2장에서는 『실낙원』의 이야기 전개를 각 장별로 요약하면서, 각 장에서 제시되는 신학적 주제들이 무엇이며 그들이 전체로서 어떻게 하나의 이야기로 연결되는지 살펴본다. 3장에서는 여기까지의 논의를 근거로 『실낙원』을 주교재로 사용한 기독교 이해 과목의 한 학기 강의계획서를 구체적인 제시하고, 강의할 때의 실제적으로 다룰 주제와 구체적 방법에 대한설명을 한다. 4장에서는 『실낙원』을 주교재로 사용한 강의가 기독교 이해 과목의 원래 교육 목표를 충족시키는지, 1장에서 확인한 네 영역의 주제와의 연관성을 통해 기술한다. 이 논문은 밀턴의 『실낙원』이 기독교 대학의 창립정신 교육심화, 다학제간의 통합적 연구의 활성화, 기독교인의 인문학적 소양 함양, 교회와 일반 문화의 소통 확산에 기여할 수 있음을 지적함으로 결론을 맺는다. Milton’s Paradise Lost is one of the most widely read classics. Most students who enter college come with some degree of knowledge on this book. However, this book has not been used as a main textbook for the Understanding Christianity classes in most Christian universities. This paper proposes that with proper preparation and method, we can educate students more effectively by using Paradise Lost as a main text. In Chapter 1, I categorize diverse topics taught in Understanding Christianity classes into four groups: Christian faith,the Bible, culture, human nature. In Chapter 2, I summarize the entire story of Paradise Lost chapter by chapter. In Chapter 3, I propose concrete lecture plans for a one-semester 16-week course. In Chapter 4, I evaluate the appropriateness of Paradise Lost for Understanding Christianity classes by showing that this book gives us a deeper understanding on those topics described in Chapter 1. As a conclusion, I contend that Milton’s Paradise Lost will be a great asset for the education of Christian founding philosophy of Christian universities, the expansion and deepening of interdisciplinary researches, the bringing-up of well grounded persons with broad and deep knowledge in the liberal arts, and the communication between church and society.

      • KCI등재

        찰스 웨슬리 찬송시에 나타난밀턴의 『실낙원』 영향 연구

        이현주 한국문학과종교학회 2015 문학과종교 Vol.20 No.3

        많은 웨슬리 학자들은 형 존 웨슬리와 더불어 감리교의 창시자이며, 기독교 시인이자 찬송시저자인 찰스 웨슬리의 문학적 기교 및 문체가 밀턴의 실낙원의 영향을 받았다고 주장해 왔다. 실낙원의 주석을 달고 복사할 뿐 아니라 1763년 밀턴의 실낙원의 발췌본을 발간할 정도로 일생동안 밀턴의 작품을 애송했던 형 존과 달리, 찰스는 밀턴의 작품을 번역하거나 자신의 저널이나 설교문에서 직접 인용하지 않았다. 그러나 찰스는 찬송시 곳곳에서 밀턴이 실낙원에서 사용한 단어와 개념을 암시적으로 사용하였다. 실낙원에서 쓰인 단어를 선택해 그대로 인용하거나 아니면 조합함으로써 자신이 말하고자 하는 신학적 입장이나 교리를 보다 분명하고 생생하게 제시한 것이다. 본 논문은 밀턴이 실낙원에서 쓴 시 구절이나 단어를 사용한 찰스의 찬송시를 분석함으로써 실낙원이 찰스의 찬송시에 끼친 문학적 영향에 대해 논해보고자 한다. Considered by many scholars, the literary style of Charles Wesley, a co-founder of Methodism, religious poet, and hymn writer, was influenced by that of Milton’s Paradise Lost. Wesley’s allusive use of the words and concepts of Paradise Lost in some of his hymns reflects on Milton’s literary effects on the creation of his poetic works even though Wesley carried different theological perspectives on the doctrines of Trinity and predestination from those of Milton. This article portrays the literary impact of Paradise Lost on the hymns of Wesley by analyzing some of Charles’ hymns that use poetic diction and concepts of Milton allusively.

      • KCI등재

        밀턴의 서사시적 영웅에 관한 재조명: 실낙원에 나타난 하나님의 정의와 인간의 자유

        박현경 한국문학과종교학회 2024 문학과종교 Vol.29 No.1

        본 논문은 존 밀턴의 실낙원 에 담긴 서사시의 전통을 영웅적 줄거리와 영웅적 자질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이를 통해 진정한 영웅은 누구인지를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호머의 그리스 영웅 아킬레우스와 오디세우스는 신의 계보를 가진 용맹한 군인이자 존경할 만한 지도자로서, 과오에도 불구하고 힘과 충성심으로 칭송을 받는다. 버질의 로마 영웅 아이네아스는 강력한 지도자이자 영광스러운 전사로, 신들의 명령을 이행하여 용맹한 나라의 토대를 구축한다. 비록 이니아스가 디도를 절망에 빠뜨린 채 떠나도, 그는 잊을 수 없는 의무에 대한 헌신으로 여전히 존경을 받는다. 밀턴의 실낙원 에 나타난 영국 서사시의 영웅적 자질은 그리스-로마 서사시의 영웅적 자질과는 근본적으로 다르다. 저항이 아닌 복종, 자만이 아닌 겸손, 영웅적 죽음 이후의 영광스러운 부활을 통해 실낙원 은 기독교적 영웅의 자질을 드러낸다. 사탄은 그리스-로마의 영웅을 답습하는 거짓 영웅이지만, 하나님은 예지하지만 허락하고 배신에도 불구하고 희생하며, 부활하여 구원함으로써 진정한 영웅으로 부상한다. 이러한 새로운 영웅적 자질로 인해 실낙원 은 왕정복고 시기의 사회정치적 소용돌이 속에서 영국의 기독교 서사시라는 새로운 전통으로 자리매김하게 된다. This paper is a study of the epic tradition in John Milton’s Paradise Lost, focusing on heroism to discuss the true hero of the English epic. Homer’s and Virgil’s heroes are valiant soldiers, respectable leaders, and mighty demigods to be honored for their commitment to gods-given duties. Milton’s Paradise Lost is an English epic wherein Christian heroism radically differs from that of ancient epics. Obedience, rather than defiance, humility than self-aggrandizement, characterizes Christian heroism, embodying glorious revival after heroic death and presenting God as a true hero. Whereas Satan is a pseudo-hero who conventionally succeeds to old heroism, God is a new epic hero who foresees but allows, sacrifices though betrayed, and revives to restore, which makes the poem a Christian epic in the English sociopolitical vortex of the Restoration period.

      • KCI등재

        『실낙원』과 장르의 정치학

        박은미(Park, Eun-mi)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07 외국문학연구 Vol.- No.26

        본 논문은 밀턴이 자신만의 고유한 신학적 서사시 혹은 기독교 서사시(Christian epic)의 정당성을 확보해 나가는 과정 속에 매개된 장르와 관련된 넓은 의미의 정치적이며 해석적인 특징에 대한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밀턴의 서사시는 고전 서사시를 모델로 하고 있지만 그 관례적 전통에 대한 단순한 모방이 아닌 더 복잡한 관계 속에서 씌여진 서사시이다. 그것은 르네상스 시대 장르에 있어 일종의 헤게모니 형식인 고전 서사시 전통의 전유와 협상뿐만 아니라 그에 대한 도전의 복잡한 양상을 띤다. 또한 밀턴이 왕정 복고이후에 정치적이고 이데올로기적인 목적을 위해서 오거스턴 신화를 활용하려는 왕당파의 시도에 불만을 가지고 있었고, 고전적인 전통을 전유하려는 당대의 문인, 특히 베르길리우스의 영웅적 양식을 차용한 드라이든과 경쟁관계에 있었다는 사실도 주목해 보아야한다. 필자는 여기서 기독교 서사시를 정당화하는 제반 과정을 『실낙원』에 나타난 장르의 정치학이라고 명명하였다. 이는 밀턴이 과거로부터 물려받은 두 개의 서사시 장르, 즉 고전 서사시와 헥사메론 서사시를 어떻게 변용하여 ‘주관적인 기독교의 서사시’ 혹은 ‘기독교적인 진실을 주관적으로 해석한 서사시‘로 만들어냈는지를 밝히는 과정이다. 『실낙원』에서 밀턴은 고전 서사시에서의 영웅적 가치와 헥사메론 서사시에서의 전통적인 기독교적 가치들을 반박한다. 그는 정신의 내면적 가치들을 강조하는 새로운 형태의 기독교적인 서사시를 창출해냈으며, 신에 대한 이단적이고 아리안적인 해석을 통해 자신의 독창적인 해석을 추구하려고 시도했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ways in which Milton establishes the legitimacy of a biblical or Christian epic as his own poetic project in Paradise Lost. Milton's project is achieved through his complex handling of the classical epic genre as a hegemonic form, or more precisely, through his appropriation of, negotiation with, and challenge to, the classical tradition. This also involves Milton's disaffection with the royalist attempt to use Augustan mythology for political and ideological purposes after the Restoration and his contestation with contemporary appropriations of the classical tradition, particularly with Dryden's appropriation of the Virgilian heroic mode. I would call the processes involved in Milton's legitimation of the Christian epic the politics of genre in Paradise Lost, which also involves Milton's modification of two epic genres handed down from the past, classical and hexameral epic genres, into a Christian epic of subjectivity, or an epic of subjective interpretation of Christian truths. In Paradise Lost Milton refuses at once the outer heroic values of classical epic and the conventional Christian values of hexameral epic. Instead he creates a new form of Christian epic emphasizing the inner values of the mind and seeking out his own individual interpretations of Christian theology as represented in his heretical, Arian interpretation of God.

      • KCI등재

        실낙원에서 복낙원으로의 귀환: 인공지능과 노동, 그리고 기본 소득

        곽호철(Ho chul Kwak)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8 신학사상 Vol.0 No.181

        이 논문은 인공지능에 의해 효율성과 생산성이 극대화하는 자동화 사회에서 일자리가 감소되고, 양극화가 심화될 때, 하나님 나라의 실현, 즉 회복된 낙원을 어떻게 구현할 수 있을지를 논의한다. 본고는 과학기술에 대한 전면적 부정이 아니라 과학 기술의 발전을 기독교 신앙의 오래된 약속, 즉 복락원을 실현할 수 있는 계기로 삼아야 함을 강조한다. 인공지능의 시대에 모든 분야에서 자동화가 진행·심화되면서 인간의 일자리가 줄어들고, 양극화가 확대될 때, 노동자들은 경제적 고통과 더불어, 정치 참여의 의지와 기회가 축소되고, 자신과 타인을 물화시키며 인간 존재의 가치를 부정할 위험성이 크다. 인공지능과 자동화가 초래하는 실업과 양극화, 그리고 그에 수반된 인간 가치의 하락을 고려할 때, 본고는 노동에 대한 근원적인 재개념화가 필요하며, 기독교적 개념으로는 실낙원의 저주받은 노동에서 복락원의 창조적 노동으로 전환이 필요하며, 유급 노동만이 유의미한 노동처럼 여겨지는 현 시대에 관심과 돌봄의 무급 노동의 가치와 중요성을 발견하고 지향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 노동의 변혁적 이해는 기본 소득의 바탕 위에 정립 가능하다. 기본 소득을 통해서 무급 노동을 주변화시키는 유급 노동 중심의 사회를 관계와 돌봄을 추구하는 무급 노동 중심의 사회로 만들어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방향으로 인공지능의 시대를 대처하면 기독교는 실낙원에서 복락원으로의 귀환이라는 새로운 희망과 변혁적 시야를 사회에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deals with ways in which we can realize the kingdom of God, that is, Paradise Regained, in a world in which unemployment rises and social polarization deepens and in which society is automated by systems where artificial intelligence maximizes efficiency and productivity. I contend that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can be a medium to realize the age-old promise of Christian faith, rather than be a stumbling block thereof. Having experienced lay-offs and social polarization, people are prone to objectify others, deny the value of human existence, and lose the will to participate in politics. Considering the rising unemployment and increasing social polarization which artificial intelligence and automation bring, we need to reconceptualize labor in a radical way. It is a transition from the labor of Paradise Lost to that of Paradise Regained. While we have regarded paid work as the only meaningful labor, in an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we need to place a high value on unpaid work of care. This radical understanding of labor is possible through basic income which provides everyone with a living wage. Transforming a society of paid work to that of unpaid work of care, we can prepare a way to return from Paradise Lost to Paradise Regained in the coming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 KCI등재

        신의 섭리를 정당화하는 매개로 읽는 밀턴의 『실낙원』에 나타난 이브의 꿈

        김시현 한국문학과종교학회 2019 문학과종교 Vol.24 No.3

        이 글은 존 밀턴의 『실낙원』 5권과 12권에 나타난 이브의 꿈을 신의 섭리를 정당화하는 매개임을 주장한다. 밀턴이 『실낙원』에서 성서와 다르게 타락 전 이브와 타락 후 이브에게 각각 두 차례 꿈을 꾸게 한 이유를 17세기 꿈에 대한 비평들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이브의 자유의지를 다룬다. 특히 밀턴의 “or”의 사용이 서로 다른 항목을 제공할 뿐 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지 않음으로써 결과가 불분명해지는 불확실의 기법이라는 점에 주목하여 밀턴이 이브가 타락 전 꿈을 꾸기 전 상황에서 “or”를 사용한 것을 분석한다. 이에 따라, 이브가 타락 전 꿈에서 선악과를 따 먹은 행위는 이브가 수동적이거나 사탄에 의해 타락한 것이 아니라 이브가 그녀 스스로 자유의지에 의해 행동한 것이라 읽는다. 또한 밀턴이 타락 후 이브에게도 아담과 마찬가지로 인류의 미래에 대한 꿈을 보여준 것은 이브가 신과의 관계에서 진정한 자아를 찾아가는 과정 속에 있는 존재임을 깨닫게 하려는 신의 섭리로 읽는다. This paper reads Eve’s dream in Book V and XII of Paradise Lost justifying the ways of God to men. Eve’s dream has long been discussed whether Eve is already fallen in dream before she actually eats the forbidden fruit. By focusing on Milton’s use of ‘or,’ this paper accounts the poem provides no explanation that Eve is fallen in dream of Book V, such as what causes Eve’s dream and whether it rises from Satan’s machinations only or from Eve’s desire as well. In addition, God makes the postlapsarian Eve dream in Book XII as what Adam dreams for next generation. By comparing the dreams of prelapsarian Eve in Book V and postlapsarian Eve in Book XII, this paper emphasize the status of Eve’s free will in regard to her dreams. Analyzing the cause of Eve’s dream and her action in the dream, I argue Eve is not passive and fallen in her dream but she chooses her action by free will.

      • KCI등재

        1950년대 ‘글 쓰는 여성’의 문화적 의미 연구

        김윤경(Yunkyung Kim)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7

        본 연구의 목적은 1950년대 여성지의 성장을 계기로 증가한 ‘글 쓰는 여성’의 문화적 의미가 무엇인지 분석하는것이다. 여성잡지를 매개로 하여 구성된 여성독자의 독서공동체는 문예공동체로서의 성격도 갖고 있었다. 여성독자는 잡지의 연재소설이나 독자문예 등에 대한 피드백을 적극적으로 표현하는 경향이 두드러졌다. 여성독자에게 있어서 글쓰기를 통한 자기표현의 욕구는 독서욕구와 거의 동일하게 일어나고 있었는데, 이는 분명 동시대의 남성독자와는 구별되는 여성독자의 두드러진 특징이었다. 이러한 현상은 1950년대 말에 몇몇 허구적 또는 실제 여성인물을 통해서 재구성되었는데, 연애소설의 열렬한 독자이자 그 자신이 연애소설의 작가이기도 한 새로운 여성인물의등장(김내성, 실낙원(失樂園)의 별 의 고영림)은 그 예이다. 실낙원의 별 의 여주인공 고영림은 낭만적 사랑을경험함으로써 주체적 인간으로 성장한다는 점에서는 기존 연애소설의 여성인물과 다르지 않지만, 자신의 연애경험을 소설로 재현하고 기록함으로써 자기를 완성하려 시도했다는 점에서 새로운 인물유형으로 이해된다. 지금까지여성인물은 독서를 통해 세계를 인식하고 자기를 완성하는 수동적인 주체로 묘사되었다면, 1950년대 말에 이르면자신의 사적 경험을 소설이라는 공식적인 예술장르로 재현함으로써 공적영역으로 진입하고자 하는 적극적인 여성인물로 진전된다. 이러한 여성은 소설 속 허구적 인물에 그치지 않고, 실제 여성 작가의 등장으로 이어졌다. 최희숙, 신희수 등의 여대생이 자신의 연애경험을 기록한 소설로 베스트셀러 작가가 되었던 것은, 해방 후 여성독자의 성장과 독서 글쓰기의 젠더화, 여성의 사적 경험의 스토리텔링이 공적 담론장에 본격적으로 진입하게 된 1950년대적특수성의 결과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ltural meaning of ‘Women who write’, which increased with the growth of women’s magazines in the 1950s. Women’s magazines introduced to write poems and novels liasing their comtemporary famous authors and literary people and commissioned public measurement for poems, novels and essays written by their readers. Such lectures by literary people and public literature measurement were exclusively seen in the women’s magazines and it was result of influences of readings according to increase of women readers and feminization of writing to publishing market in 1950’s. These phenomena were recomposed through some fictional and real women heroines in the late 1950’s and for example, the appearance of new women character who is not only a fervent reader of romance novels but also an author of this genre herself(Koh Young Rim, The Star of the Lost Paradise by Kim, Naeseong). These women were not limited to the fiction but real women writers emerged in to the real world. The emergence of female college student writer such as Choi Heesook and Shin Heesu, who recorded their own romance experiences as novel and became bestseller authors was the result of speciality of 1950’s of growth of women readers after independence from Japan, feminization of reading and writing and emergence of storytelling about women’s private experiences.

      • KCI등재

        1950년대 김내성의 신문소설에 나타난 ‘연애’ 연구: 『애인』과 『실낙원의 별』을 중심으로

        류경동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16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35 No.-

        이 논문의 목적은 1950년대 김내성의 신문소설에 나타난 연애의 양상을 분석하는 것이다. 『애인』과 『실낙원의 별』에서 연애는 인물의 인생관과 가치관을 드러내는 기제이자 당대의 연애담론과 대중의 욕망을 체현하고 있는 기호라 할 수 있다. 연애는 본능과 윤리, 욕망과 제도의 갈등, 즉 ‘생리와 윤리의 부조화’가 잘 드러나는 소재이기도 하다. 『애인』과 『실낙원의 별』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자신의 성격에 따라 상이한 방식의 연애를 하고 그 결과 서로 다른 운명의 길을 걷게 된다. 소설은 각 인물들의 연애와 그를 통해 실현되는 가치와 욕망을 서술한다. 성애를 목적으로 하는 자유연애는 교환의 논리를 채용하고 이를 논리적으로 표명한다. 그들은 논리적 언어와 수사를 동원하여 상대를 설득하는 방식을 취한다. 반면, 진실한 사랑을 추구하는 연애는 낭만성이 강조되거나 운명의 형식으로 현상한다. 『애인』은 연인의 정사(情死)를 통해 낭만적 이야기를 완결하지만, 『실낙원의 별』은 가정으로 복귀함으로써 가족의 가치를 지키는 것으로 마무리된다. 가정으로의 복귀는 절대적 사랑이 ‘외도’가 되어버리는 역설적 결과를 낳으며, 일탈에의 욕망을 가족주의로 통합시킨다. 이는 일탈적인 연애를 열망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가족 질서가 유지되기를 원하는 당시 독자의 양가적인 태도가 반영된 것이라 할 수 있다. This paper is intended to describe aspects of the analysis shown in the love story of a newspaper Kim Nae-seong 1950's. <The Lovers> and <The Star of Paradise Lost> are representative works of this period Kim Nae-seong and 1950‘s newspaper serial novel. Love is the mechanism revealing outlook on life and values ​​of the person in the <The Lovers> and <The Star of Paradise Lost>. And it can be regarded as a medium that embodies the love and desire of the public discourse of the time. Open relationship for the purpose of sexual employs the logic of the exchange and expressed them logically. They mobilized the logical language and the manner in which the investigation takes convince the audience inside. On the other hand, we love to pursue true love is the romantic castle or to highlight phenomena in the form of destiny. <The Lovers> complete the romantic story by the death of lovers. <The Star of Paradise Lost> is concluded by defending the value of the family returned home. Return to the home leads to the paradoxical result that would have been absolutely love affair and it incorporates a desire to deviate daehin family care.

      • KCI등재

        태조 이성계 어진과 존 밀턴의 『실낙원』에 나타난 거룩한 이미지 비교 연구

        김혜연,김민규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3

        본 논문은 조선의 태조 이성계 어진과 존 밀턴의 『실낙원』에 나타나는 성스럽고 거룩한 이미지를 비교 분석하여, 거룩한 이미지를 재현하고 있는 두 작품의 조형적 공통점을 발견하고 그 의미를 찾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동양과 서양, 회화와 언어라는 문명적, 도구적 차이를 뛰어넘어 태조 어진과 밀턴의 작품이 신성을 묘사 하는데 있어서 공통된 재현 방식을 보이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한다. 조선의 국조(國祖)였던 태조의 어진에서는 태조의 세속적 인간성 보다는 태조의 초월적 신성이 강조 되면서 추상적이고 도식적인 모습이 부각 된다. 특히 태조 어진에서는 태조의 신성이 강조 되면서 두 가지 조형적 특징을 보인다. 첫째, 태조 어진은 시선이 강조된 정면관 구도를 보여주며, 둘째, 완전한 좌우 대칭의 구도를 취하고 있다. 이를 통해 원근법이나 사실적 표현이 무시 되고, 모든 백관과 백성을 한 순간에 바라보고 있다는 태조의 신성과 관념성, 추상성이 부각 된다. 본 논문에서 주목 하고자 하는 점은, 바로 이러한 태조 어진의 두 가지 조형적 특성이, 밀턴의 『실낙원』에 나타나는 하나님의 신성의 재현 방식과 매우 흡사하다는 사실이다. 밀턴은 눈에 보이지 않는 하나님의 신성을 묘사하기 위하여 어진 화가들과 마찬 가지로, 신의 구체적, 사실적 묘사가 아닌, 하나님의 눈 혹은 시선의 강조를 통하여, 그리고 완전한 좌우 대칭적 천지 창조의 묘사를 통하여 하나님의 초월적 거룩함을 재현한다. 태조 어진과 밀턴의 『실낙원』에 나타나는 이러한 공통된 조형적, 묘사적 특징들은, 모두 신성의 거룩함을 ‘기억’하고 그 기억의 유지를 위한 제의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e similarity in description of divine image between the portrait of Tae Jo, a founder of Korean Joseon Dynasty, and John Milton’s Paradise Lost. Tae Jo's portrait in Joseon Dynasty (Tae Jo Au-Jin in Korean) is regarded as very unique in terms of its religious or ritualistic role, and every painting skill in the portrait had been developed to highlight its divinity. Surprisingly, divine or holy image of Milton’s God and the Au-Jin shares certain characteristics: composition with the focus on the eye of the divinity and perfect symmetry. In order to eliminate realistic humanity of the king, Au-Jin painters focused on the bodiless abstraction of that figure by using the composition of frontality. Naturally, eyes of the king become a focus of the whole painting, and this feature closely resembles Milton’s God. While Milton’s God has no bodily image in contrast to Satan, the poet stresses God’s eye seeing everything beyond time and space. Tae Jo Au-Jin, more than any other king’s portraits, also shows perfect symmetry, which is another characteristic of the holy image in Milton's Work. By comparing two divine images of different types of works, this paper studies different artists’ sharing anguish to ‘incarnate’ divinity and finds its considerable signific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