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신(神) 사유 가능성과 인식 불가능성 사이의 신앙 가능성

        김웅래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2014 누리와 말씀 Vol.- No.36

        칸트의 인식론은 인간의 인식능력에 있어서 가능한 것과 불가능한 것을 구분하게 한다. 그가 인간 인식을 주체의 경험과 대상의 현상에 한정시킴으로써, 사고와 인식의 차이가 명확하게 구별되며, 신은 사유될 수 있어도 인간에 의해 인식되지 않는다는 사실이 드러난다. 신은 인간 인식능력의 바깥에 위치하는 것이다. 신 인식 불가능성은 그러나 결코 신앙의 불가능성을 의미하진 않는다. 역설적으로 신 인식 불가능성을 의미하는 신 사유 가능성은 단순히 ‘가능성’에 머물지 않고 ‘필연성’의 위치를 점한다. 이론 이성 안에서 끊임없이 떠오르는 신은 칸트에 의하면 인간 이성의 본성 때문에 기인하는 것이다. 이러한 이론적인 이성 안에 필연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신개념은, 비록 그것이 인식을 위해서는 항상 부족하지만, 적어도 신앙을 위한 긍정적인 가능성을 열어두게 한다. 하지만 이러한 필연적인 ‘전제’는 신의 실존이나 그것에 걸맞는 신앙을 위해서는 충분하지 않다. 때문에 칸트는 신을 실천이성 안에서 요청하게 된다. 그것을 통해서 인간은 도덕적인 신앙 안에서 신에 더 잘 도달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배경들 하에서 『순수이성비판』에서 칸트의 이론철학은 신앙의 이성적 타당성을 위한 긍정적인 변론으로 이해될 수 있다. 비록 신이 인식가능한 대상으로 허용되진 않지만, 칸트는 신 사유 가능성과 인식 불가능성 사이에서 신앙 가능성을 열어둔다. Die Erkenntnistheorie Kants bestimmt über die Möglichkeit und Unmöglichkeit des menschlichen Erkenntnisvermögens. Indem Kant die menschliche Erkenntnis auf die Erfahrung des Subjekts und die Erscheinung des Objektes einschränkt, folgen die Ergebnisse: Denken und Erkennen werden deutlich eingeteilt und es wird bewiesen, dass Gott zwar gedacht, aber von Menschen nicht erkannt werden kann. Gott steht eigentlich ausserhalb unseres Erkenntnisvermögens. Die Unerkennbarkeit Gottes bedeutet aber keineswegs eine Unmöglichkeit des Gottesglaubens. Die Denkbarkeit Gottes, welche paradoxerweise die Unerkennbarkeit Gottes bedeutet, bleibt nicht einfach das "Mögliche", sondern erreicht die Stufe der "Notwendigkeit". Die unaufhörliche Annahme Gottes in der theoretischen Vernunft entspringt nach Kant aus dem Bedürfnis der Vernunft. Durch diese notwendige Annahme Gottes, den zu erkennen immer noch unmöglich ist, könnte man mindestens die positive Möglichkeit des Gottesglaubens offen lassen. Jedoch ist diese notwendige "Hypothese" nicht hinreichend für die Existenz Gottes und den dementsprechenden Gottesglauben. Deswegen postuliert Kant Gott in der praktischen Vernunft. Dadurch weist Kant darauf hin, dass man mit Gott im moralischen Glauben besser umgehen kann. Vor diesen Hintergründen könnte die theoretische Philosophie Kants in der 『Kritik der reinen Vernunft』 als positives Plädoyer für die Vernünftigkeit des Gottesglaubens verstanden werden. Obwohl Gott nicht als erkennbarer Gegenstand gebilligt werden kann, lässt Kant die Möglichkeit des Gottesglaubens zwischen Denkbarkeit Gottes und der Unerkennbarkeit Gottes zu.

      • KCI등재

        ‘분석’ 과정에서 꿈과 환상으로 나타난 ‘신(神)의 육화(肉化)’ 상징의 의미와 치유적, 창조적 작용에 관한 고찰 - C.G. 융의 '자기실현(Self-realization)'과의 비교연구를 중심으로 -

        김계희 한국실천신학회 2017 신학과 실천 Vol.0 No.54

        '정신치료'와 '분석' 과정에서 '신(神)의 육화(肉化)’를 주제로 하는 '상(Imago)'과 '상징'이 꿈과 환상을 통해 반복적으로 나타나고 있으므로, '상'과 '상징'이 가지는 의미와 '상'이 개인의 인격과 삶에 미치는 영향력을 중심으로, 고찰하고 연구하였다. 의식과 무의식을 성찰하고 자기자신을 알아가게 되는 과정에서 '신'이라고 부를 수 밖에 없는 '존재'가 자신 안에 있음을 놀라움과 충격 속에서 인식하게 된 후, 이후의 분석과정과 삶에서 이전과는 근본적으로 달라진 변화를 겪어가게 되는 R의 체험과 분석과정을 연구의 기초로 하였으며 본 논문에 소개하였다. 자신의 내면에 '신적 존재'가 있음을 인식하게 된 그 순간은 R의 인생에서 결코 잊을 수 없는 '영원'과도 같은 순간이 되었다. R이 내면의 '신적 존재'를 인식하게 되면서 '존재'는 R의 꿈과 환상을 통해 현신하여 마치 계시와도 같이 '신'인 '존재'와 인간인 R의 인연과 서로간의 용무에 대한 진실을 고지한다. R이 삶 속에서 겪고 있던 고통은 다름아닌 '존재' 혹은 '영혼'의 고통이기도 하며, 삶 속에서 체험하던 R의 생각과 느낌과 충동은 다름아닌 R을 통해 비밀스럽게 이 삶을 드나들고 있던 '존재' 혹은 '영혼'의 느낌이고 생각이며 충동이기도 하다. '존재' 혹은 '영혼'의 고통이기도 한 R의 고통의 이유, 고통의 의미, 그리고 이러한 모든 과정의 목적에 대해 '신적 존재'는 R에게 말한다. 오래고 오랜 시간을 살고 있는 늙디 늙은 '존재'가 R의 몸 속으로 들어와 다시 태어나기 위함이다. R을 통해 다시 태어난 어려지고 젊어진 '존재'가 R과 하나되어 이 삶을 살기 위함이다. R은 자신 안에서 '신적 존재'를 인식하고 체험하게 됨으로써 자신이 누구인지 알아가게 되고, 놀랍고 값진 인식의 빛과 치유와 구원의 느낌을 체험하게 된다. R의 인격의 창조적 변환과 더불어 R을 둘러싼 세상 또한 새롭게 창조되고 변환하고 있음을 체험하게 된다. R에게 다가와 이름을 부르며 R을 필요로 하는 '내면의 신'과의 인연을 풀어나가고 완수해야 하는 내적 필연성을 느끼게 되며 기도와도 같은 기꺼운 소명의식을 가지게 된다. R의 꿈과 환상에서 나타나고 있는 '신이 인간에게 먼저 다가옴', '신이 인간을 필요로 함', '자신 안에 신이 있음을 인식하고 보게 됨,' '조물주에 의해 다시 빚어짐' '다시 태어남' ‘그리움과 허기가 치유됨’ '인간의 몸에서 신이 태어남,' '아들과 딸이 태어남,' '물고기가 인간이 되어 아들로 옴' ‘네 번째,’ '인간의 몸이 기체(하늘)같이 됨,' ‘최후의 심판(시험)’ 등의 상(Imago)과 상징을 확충(amplification)하고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 C.G.융을 비롯한 역사적 인물들의 저술을 소개하고 참고문헌으로 채택하였다. ‘자기실현(Self-realization)’과 ‘쿤달리니 요가(Kundalini Yoga)의 심리학’에 관한 C.G.융의 저술, ‘태을금화종지’를 비롯한 연금술 문헌, '신(神)'과 '종교체험(신비체험)'에 관한 폴 틸리히(P. Tillich)와 마이스터 에크하르트(M. Eckhart)의 저술, 그리고 학술지 '신학과 실천'에 게재된 논문 다수를 참고하고 비교연구하였다. 본 논문은, 같은 주제로 향후 이어지게 될 논문들 중 첫 번째 논문이며 개괄적이며 심층적인 조망이기도 하다. 자신의 소중한 체험과 분석 과정의 일부를 본 논문에 실어 세상사람들과 함께 나눌 것을 기꺼이 결심해 주신 R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In this dissertation, I investigated and studied on ‘Incarnation’ symbol which is repeatedly manifested in dreams and visions of R in the process of ‘analysis,’ while focusing on the meaning of Imago and its influence on R's personality and life. I will also introduce experiences of R who recognized the ‘existence’ of ‘God’ and have experienced fundamental changes.. To amplify and understand the Imago and Symbol including ‘God’s reaching down to man,’ ‘God’s need for man,’ ‘Man’s recognition of God within oneself,’ ‘Man’s sighting of God,’ ‘Rebirth’, ‘God’s becoming flesh,’ ‘Birth of God from man,’ ‘Father’s becoming son, ‘Mother’s becoming young and beautiful,’ ‘Man’s becoming spirit’ ‘healing,’ ‘sense of redemption,’ ‘the fourth,’ which are manifested in dreams and fantasies of R. I introduced and referenced the writings of historic figures including C.G. Jung. Moreover, I referenced the writings of C.G. Jung on Self-realization and literature on alchemy. For the part of God and experience of conversion, I referenced and compared several writings of Paul Tillich and Meister Eckhart, and dissertations on the journal ‘Theology and Practice.’ Experiencing ‘Self’ cannot be distinguished empirically from experiencing ‘God’ in R, The experience of encountering ‘God’ is, essentially and empirically, no different from contacting the ‘Self archetype’ in ‘collective unconscious’. The most powerful psychological factor in people is ‘God-within-us’ and Jung referred to ‘Self’ as ‘God-within-us.’ When we embrace the ‘God,’ the existence that holds the most important value, from an external subject by recognizing the projection, Heremains within ourselves and then we stay in bliss. This is the very moment when religious experience is realized. Religious experience is experiencing ‘God-within-us,’ and ‘incarnation’ is no different from ‘self-realization’ which takes place in the process of psychotherapy and analysis. Since libido is the most projected in the image of ‘God’, the withdrawal of such a projection triggers huge changes on people. That is, people restore the meaning of existence, have the sense of redemption, feel the vitality full of vibrant life, and experience creative transformations of personality.

      • 환경,경제의 상생 기반 구축 및 잠재력 활성화 : 폐자원 및 바이오에너지의 용도별적정 배분방안(2): 목질계 바이오매스를 중심으로

        이희선,조지혜,주현수,강만옥,이창훈,이소라,서아람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5 기후환경정책연구 Vol.2015 No.-

        우리나라는 기후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저탄소형 에너지 공급 및 높은 에너지해외의존도를 해결하기 위한 에너지 다변화 수단의 하나로 국내 에너지원인 신ㆍ재생에너지개발을 선택하고, 이의 확대를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전력 분야에서는 2012년부터「신ㆍ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제도(Renewable energy Portfolio Standards, RPS)」를, 수송 분야에서는 2015년부터 바이오디젤에 대해「신ㆍ재생에너지연료 혼합의무화제도(Renewable FuelStandard, RFS)」를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 열 공급 분야에서는 전력 및 수송 분야와 같은 신ㆍ재생에너지 확대 제도가 마련되어 있지 못하다. 이에 한국 정부는 가까운 시일 내에 열에너지 분야에도 전력 분야와 유사한 구조를 지닌「신ㆍ재생열에너지 공급의무화제도 (Renewable Heat Obligation, RHO)」를 도입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 특히 향후 열에너지에 대한 수요가 지속해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신ㆍ재생열에너지 또한 확대해 나갈 필요가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대표적인 열에너지원인 천연가스, 석탄 등의 생산단가에 비해 신ㆍ재생열에너지원의 생산단가가 높다. 따라서 단가하락을 위해 신ㆍ재생열원에 대한 지속적인 기술 개발 노력과 함께, 의무량 할당 등 규제나 인센티브에 의한 신ㆍ재생열에너지 시장확대를 통해 규모의 경제에 따른 단가하락 노력도 함께해야 한다. 신ㆍ재생열에너지는 기존의 석탄을 활용한 열에너지에 비해 이산화탄소 등 온실가스가 적게 배출되는 동시에, 국내에서 생산되는 열원을 사용하기 때문에 에너지 안보 차원에서도 도입이 필요한 에너지원이다. 또한 신ㆍ재생열에너지는 지역에서 생산되는 상대적으로 소형의 열 생산과 공급이 가능한 분산 발전원으로, 에너지 공급의 다변화 측면에서도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뿐만 아니라 신ㆍ재생열에너지 원료의 공급과 관련된 다양한 산업 분야가 형성되어, 고용창출과 소득증대에도 크게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신기술과의 접목을 통해 국가 성장동력으로 성장할 잠재력을 지닌 분야도 있다. 특히, 바이오에너지를 이용한 신ㆍ재생열에너지 공급 분야는 국내 다양한 바이오매스를 활용함으로써 임업 및 농업 부산물의 활용도를 높이고, 산림자원의 효율적 이용을 촉진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현재도 바이오에너지 중 우드칩은 집단에너지 전체 원료사용량(열량toe 기준)의 18.3%를 차지할 정도로 주요 열에너지원으로 활용되고 있다.1) 그러나 바이오매스의 경우 에너지화를 위해 활용되는 경로 이외에도 사료, 인공목재, 비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어, 향후 국내 바이오매스만으로 충족 가능한 국내 수급 잠재력이 어느 정도 되는지도 현시점에서 검토되어야 한다. 즉 향후에 바이오매스를 열에너지원으로 사용할 양을 전망하고, 이를 통해 필요한 경우 수입할 바이오에너지에 대해 미리 검토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신ㆍ재생열에너지의 RHO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면, 「대체에너지 개발 및 이용ㆍ촉진법」 제2조에 따른 11개 신ㆍ재생에너지 분야 중 태양열, 바이오매스, 지열이 대상이 될수 있다. 현재 신ㆍ재생열에너지 전체 대비 태양열과 지열은 각각 약 5%와 16%로 공급되고있는 한편, 우드칩, 펠릿과 같은 목질계 바이오매스는 전체의 80%가량을 차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목질계 바이오매스를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이를 ‘폐목재(임목폐목재, 생활폐목재, 건설폐목재, 사업장폐목재)’, ‘부산물류(임목부산물, 농수산부산물)’, ‘순수목재(바이오순환림)’로 세분류하여 열에너지 분야에 활용될 때의 잠재량, 즉 가용에너지양을 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제2차 에너지 기본계획에서 제시한 방법론을 적용하여 이론적(Theoretical), 지리적(Geographical), 기술적(Technical), 시장(Market) 잠재량 단계별로 입지, 보급여건, 기술 수준, 정부의 정책 목표 등을 반영하여 실질적으로 공급 가능한 양을 산정하였다. 그 결과, 2013년 기준 국내 목질계 바이오매스의 가용에너지양(시장 잠재량에 해당)은 총 4,888천Gcal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현재 목질계 바이오매스는 RPS 제도가 시행된 이후 발전용으로 상당량 사용되며 그 사용량은 해마다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에, 앞서 제시한 총 가용에 너지양에서 발전으로 사용되는 양을 제외한 결과 2013년 기준으로 3,178천Gcal로 산정되었다. 이와 더불어, 현재 열에너지 생산량당 생산단가가 태양열, 지열 등 다른 신ㆍ재생열에너지에 비해 낮은 상황에서 RHO 제도를 도입할 경우 열에너지 생산 및 공급업자들은 대부분 바이오매스를 열 생산의 주요 원료로 사용할 가능성이 큰 만큼, 바이오에너지 수요에 대한 최대한의 수요량과 최소한의 수요량을 사전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향후 RHO제도에 대한 시나리오를 설정하고, 시나리오별로 얼마만큼의 바이오에너지에 대한 수요가 예상되는지를 전망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의무부과 대상에 대해 시나리오를 설정하였으며 크게 두 가지 대안, 1) 신축건물주에게 부과하는 경우, 2) 열 생산 및 공급업자에게 부과하는 경우로 구분해볼 수 있다. 대안1은 일정 규모 이상의 대형 건물을 신축할 경우 해당 신축건축물의 소유자에 대해 냉ㆍ난방에 필요한 열에너지 소비의 일정 부분을 신ㆍ재생열에너지에서 소비하도록 의무화하는 것이며, 대안2는 열에너지 생산ㆍ공급자에 대해서 생산ㆍ공급량의 일정 부분을 신ㆍ재생에너지열로 생산ㆍ공급하도록 의무화하는 것이다. 위의 두 대안에 대한 각각의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향후 2030년까지 예상되는 열에너지 소비량을 추정하였다. 또한 두 가지 대안에 대해 생산단가로 인해 바이오매스로 100% 수요를 충당할 경우와 정부가 규제 등을 통해 52%까지 바이오매스를 사용하는 경우로 나누어 향후 수요량을 전망하였다. 특히, 후자의 경우 대안 1에 대해서는 2016년 885천Gcal, 2020년 4,458천Gcal, 2030년에는 총 20,415천Gcal의 에너지 수요가 발생하며, 대안 2에 대해서는 2016년 3,110천Gcal, 2020년8,298천Gcal, 2030년에는 총 24,610천Gcal의 에너지 수요가 각각 발생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를 국내 가용에너지양(2013년 기준 공급가능량과 바이오순환림으로 인한 추가공급량 합산= 3,693천Gcal)과 비교하면, 향후 수요 전망치가 국내 공급량을 훨씬 초과함을 알 수 있다. 대안별 온실가스 대체효과는 국내의 현실과 가장 근접한 혼합(석탄 및 LNG) 연료 유형을 바이오매스(100%)로 대체할 경우, 2030년 대안 1 및 대안 2의 온실가스 저감량은 각각 9,915및 12,678 CO2-eq천 톤으로 나타났다. 대안 2인 집단에너지시설의 바이오매스 의무사용 정책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온실가스 저감량은 2012년 국내 폐기물 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14,800 CO2-eq천 톤)의 86%에 해당한다. 결론적으로 대안 1 및 대안 2의 바이오매스 의무사용 확대정책은 온실가스 감축에 매우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또한 4개 대안에 대한 연료 유형별로 유해대기오염물질(크롬, 다환족 유기물질, 포름알데히드, 수은) 배출량을 산정한 결과, 대안 1 및 대안 2의 바이오매스 의무사용 확대정책은 유해대기오염물질 배출 측면에서 유리한 점과 불리한 점이 공존하고 있으며, 특히 다환족 유기물질과 포름알데히드 배출 면에서 현재의 에너지믹스보다 불리한 연료유형으로 분석된다. 특히, 인구밀집 지역에서의 바이오매스 확대는 신중하게 접근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현재 RPS 제도가 운영되고 있는 상황에서, 향후 RHO 제도가 도입된다면 한정된 국내 바이오매스 공급량을 놓고 이를 수요하기 위해 RPS 제도에 포함된 전력생산업자와 RHO 제도에 포함된 열생산업자 간에 경쟁이 예상된다. 이러한 초과수요는 전력생산업자와 열생산업자 간에 심각한 경쟁구도를 야기할 가능성이 크며, 국내에서 신규 바이오매스원을 발굴하거나 해외에서 공급부족분에 대한 수입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RHO 제도 도입에 앞서 원료의 안정적인 공급 및 신.재생열에너지의 보급 활성화 측면에서 사전 검토와 준비 사항들이 존재한다. 첫째, 향후 수요 증가 전망에 대비하여 국내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서는 추가 공급가능량 발굴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 대상으로 하는 목질계 바이오매스 가용에너지양(시장잠재량에 해당)은 이론적 잠재량 대비 약 10% 내외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활용 잠재력이 높은 원료를 발굴해 나감으로써 시장 잠재량을 확대해 나가야 할 것이다. 특히, 임목부산물의 경우 발생량이 타 바이오매스보다 더 많으며 불순물의 함량도 적어 활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비록 현재는 수집비용 문제나 제도적 문제로 인해 효율적 활용에 어려움이 있으나 향후 임목부산물의 활용을 높일 수 있다면 국내 원료 자급률은 크게 향상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현재 통계가 미흡하여 본 연구에서의 잠재량 산정에는 배제되었으나 향후 농수산부산물에 대해서도 더욱 체계적인 관리방안이 도출되고 유통현황이 더 명확해진다면 양질의 목질계 자원으로써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목질계 외 타 바이오매스의 잠재량에 대한 파악 또한 필요하다. 두 번째로는 열부문 목질계 바이오매스 표준화와 수입 바이오매스 관리 측면을 검토할 수 있다. 앞서의 시나리오 분석대로 RHO 제도 도입에 따라 수요 전망치가 국내 공급가능량을 초과할 경우 부족분에 대해서는 수입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국내 공급 부족량을 대체하기 위해 무분별한 수입이 이루어져 저급 혹은 유해물질이 함유된 원료가 국내에 공급될경우 심각한 환경오염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그러므로 신·재생에너지열원으로 활용하기 위한 목질계 바이오매스의 표준화가 필요하며, 수입 원료에 대한 품질관리를 더 철저히 할 필요가 있다. 또한 가공 과정을 거쳐 생산된 폐목재 연료의 공급 과정에 대한 정보를 관리해야 할것이다. 이와 함께 해외 바이오에너지에 대한 수입을 고려할 경우, 생산단가나 국내 환경에 미치는 영향, 온실가스 감축 효과 산정과 관련된 다양한 분야에 대한 사전적인 준비 작업이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estimates the amount of domestically available energy from woody biomass in the future. In the power sector, the RPS (Renewable Portfolio Standards) have been implemented from 2012 and in the transport sector, the RFS (Renewable Fuel Standard) has been enforced from 2015. However, renewable energy policy in the heat sector has not provided a standard yet. Therefore, the RHO (Renewable Heat Obligation) that obligates the use of fixed amount of renewable energy such as biomass, solar heat and geothermal energy as heating fuel is going to be implemented soon. In particular, bioenergy has the potential to promote the efficient use of a variety of organic wastes and biomass resources. Among them, wood chip currently accounts for 18.3% of total community energy service (CES) energy sources as the major heat energy source. However, little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regarding the domestic energy potential and contribution level of woody waste and biomass for RHO. The target sources of the RHO can include solar, biomass and geothermal heat. And solar energy accounts for about 5% and geothermal energy accounts for about 16% of total renewable heat energy supply. Meanwhile, woody biomass such as wood chips and pellets represents about 80% of the total. In this study, therefore, woody biomass was classified into wood wastes, by-product and unpolluted wood and the amount of woody biomass available for heat energy was estimated. A prediction model suggested by the 2nd master plan for national energy was selected. The amount of available energy that can be realistically supplied is predicted through the ``theoretical``, ``geographical``, ``technical`` and ``market potential`` stages and by considering location, dissemination, technical conditions, and national policy goals among others. Consequently, the market potential of domestic woody biomass in heat generation is estimated at 3,178,000Gcal in 2013. In addition, two scenarios for the RHO was established and projections were made on the future demand for bioenergy in each scenario. Scenario 1 imposes the obligation to the owner of new buildings while scenario 2 places the onus on heat producers and suppliers. In addition, there are two cases in each scenario. One assumes that the total renewable heat energy demand is covered by biomass due to production cost, and the other postulates that 52% of the demand is covered by biomass through government regulation. In the latter case (52%) in particular, it is expected that 20,415,000Gcal of energy demand will be generated in 2030 in scenario 1, and 24,610,000Gcal energy demand will be produced in 2030 in scenario 2. Compared with the fact that the potential of domestic woody biomass in heat generation in the future is 3,693,000Gcal (sum of the market potential in 2013 and expected amount of bioenergy harvested from wood), the estimated level of future demand far exceeds the amount of domestically available energy. Under the current circumstances, preliminary review and preparations must be made in order to stably supply energy resources and promote the propagation of renewable heat energy prior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RHO. First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dditionally available energy resources in anticipation of growth in future demand. In particular, as forest residues are generated in a much higher volume than other woody biomass and contain less impurities, they can be very useful. At present, it is difficult to use them effectively due to high collection cost and institutional problems. Once these issues are addressed, domestic self-sufficiency of fuel could be greatly improved by better utilizing forest residues. Secondly, ``standardization of national woody biomass`` and ``stringent import restriction`` need to be reviewed. If low quality materials or materials containing hazardous substances are supplied by indiscriminate import to make up for the shortage, they can cause serious environmental pollution. Therefore, the quality of imported materials needs to be controlled more strictly, and the information on the supply chain of waste wood fuel produced through processing must be managed. In addition, when considering the import of biomass, in-advance preparations in various aspects must be made such as estimations of production cost, impact on the environment and greenhouse gas reduction effect.

      • KCI등재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에 대한 앎

        장건익 ( Jang¸ Gun-ik ) 한국가톨릭철학회 2007 가톨릭철학 Vol.0 No.9

        본 논문의 목적은 토마스 아퀴나스가 말하는 신에 대한 앎을 검토하는 데 있다. 토마스 아퀴나스는 신이 존재한다는 것은 이성적으로 알 수 있지만 신의 본성에 대해서 우리는 어떠한 표상이나 개념, 범주에 의해서도 알 수 없다고 말하고 있다. 즉 그는 신의 존재에 대한 앎은 가능하지만 신의 본성 즉 그의 존재방식은 우리에게 감추어져 있다는 것이다. 우리가 알 수 있는 것은 오로지 부정의 방법에 의해서 ‘신이 무엇이 아닌지’만을 알 수 있다는 것이다. 토마스는 이것을 두 가지로 구분한다. 첫 번째 방식은 부정에 의해 부정되는 것과 다른 새로운 의미가 도출되는 방법이다. 토마스는 이것을 적극적 의미 또는 차이(positive difference)를 생산하는 부정의 방식이라고 한다. 이 방식은 토마스가 신에게 적용하고 있는 부정의 방법이 아니다. 신에게 적용하는 부정의 방법은 어떤 적극적 내용이나 새로운 의미가 생산되지 않는 방법(negative difference)이다. 말하자면 언어의 의미나 관념의 내용을 지우는 것이며, 의미화나 관념화하는 작용 자체를 포기하는 방식을 말하고 있다. 그래서 그는 부정의 방법과 제거의 방법이라는 말을 동일한 의미로 사용한다. 이러한 부정의 방법에 의해 도달되는 최종 결론은 신에 대한 ‘무지(無知)의 지(智)’이다. 즉 인간의 “신에 대한 최고의 앎은 신에 대해서 알 수 없다는 것을 아는 것”이라는 것이다. 이것은 신에 대한 앎에 대한 단순한 부정이나 불가지론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토마스는 신에 대한 무지의 지는 인간에게 허용된 한에서 신에 대한 앎이자 지혜라고 말한다. 또한 그럼에도 불구하고 토마스는 우리가 신에 대해 전혀 말을 할 수 없는 것은 아니라고 한다. 그에 의하면 우리가 신에 대해서 말을 할 수는 있지만 그것은 매우 부적절하고 제한적이며, 그때 사용된 말의 의미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과 완전히 다른 것도 아니며 동시에 동일한 것으로 받아들여서도 안 된다는 것이다. 이것이 그의 유비이론이다. 그는 의미하는 바(what the name signify)와 의미하는 방식(mode of signification)의 구분을 통해, 비록 불완전하지만 인간의 언어로 신에 대해 말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knowledge of God in St. Thomas Aquinas. He argues that although human intellect has the capacity to arrive at the knowledge that God exists by reasoning from effect to cause, it can’t never reach the nature of God in this life by any means of sensory images, concepts, and categories. We can know only ‘what He is not’ by the method of negation. But Aquinas distinguishes between the ‘positive difference’ and the ‘negative difference’. Human knowledge based on a series of affirmations may indeed deliver knowledge of what something is along with an understanding of how it positively differs from all else. But knowledge of a thing that is grasped through succeeding negations will not yield conceptual knowledge of that thing; it will only show us that it negatively differs from others. It is only this second kind of knowledge of God, which we can attain in this life by means of demonstration. By this method of negation, we finally reach God who remains completely unknown to us. But this ignorance of God means neither a simple negation of God nor agnostic attitude towards God. Thomas Aquinas insists that it represents the wisdom of God. Thomas also defends that God can be named by us from creatures. This is his theory of analogy. He maintains that these names do not signify the divine essence as it is in itself; however, according to him, certain names can be predicated of God substantially, albeit, imperfectly and properly. He appeals to the distinction between what the names of pure perfections are intended to signify(res significata) and the way in which they signify( modus significandi). As regards that which they signify, such names are properly applied to God, but not as regards the way in which they signify.

      • KCI등재후보

        알 가잘리의 신과 인간의 관계

        박성은 ( Seung Eun Park ) 한국기독교철학회 2008 기독교철학 Vol.7 No.1

        본 논문은 알 가잘리의 신과 인간의 관계를 정통 이슬람과 수피즘의 입장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한다. 알 가잘리의 "신과 인간의 관계"에 있어서 신은 `신은 초월적인가? 아니면 내재적인가?`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따위히드(Tawhid, 신의 유일성) 개념은 신의 전적 초월성과 신의 약한 내재성을 함축한다. 알 가잘리가 신과 인간과의 관계에서 신의 현존(現存)을 추구함은 "신의 유일성(따위히드)"개념에 결여(缺如)된 신의 내재에 대한 보완이라 사료된다. 정통 이슬람의 관점에 따르면, 신과 인간의 관계에서는 신의 전적 초월과 약한 내재성이 동시에 나타나며 이것은 신의 완전성과 모순되지 않는다. 창조주신에 대한 인간의 응답은 신에 대한 절대 복종으로 표현되기 때문에 신과 인간의 인격적인 관계는 아주 약하다. 결국 신과 인간과의 밀접한 관계를 추구하는 무슬림은 그들의 실존에서 영적(靈的) 갈증을 체험하게 되고 영적 구원의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알 가잘리에 따르면, 인간은 신을 추구하는 존재이다. 그러므로 알 가잘리는 수피즘에서 신과의 합일을 추구한다. 수피즘에서 말하는 신의 내재란 인간이 주체가 되어 신에게로 가는 신과의 합일이다. 그러므로 신이 주체가 되어 인간을 향해 내려오는 내재를 주장하는 기독교의 입장과 상반된다. 알 가잘리는 "따위히드(Tawhid, 신의 유일성)" 개념에 결여된 신의 전적 내재성을 수피즘의 화나(Fana, 신과의 합일) 개념을 통해서 그의 신 개념을 보완 혹은 심화시켰다. 이러한 현상은 정통 이슬람의 "따위히드" 신 개념이 완전한 신 개념이라고 전제할 때 모순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알 가잘리가 신과 인간과의 관계에서 신의 전적 내재성을 요청한 것은 신의 사랑을 갈망하였기 때문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ompare Al-Gahzahli`s orthodoxy Islam position with supism`s on relationship between Islamic God and human being. I try to analyze the reason why having process of changing the concept of Al-Gahzahli`s Islamic God from orthodoxy Islam`s position to supism`s. I think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human being is closely with the concepts of transcendence and of immanence. In Orthodoxy Islam, the concept of God`s transcendence is emphasized, at the same time concept of God`s immanence is very weak. God`s immanence is compatible with His transcendence. Human being should obey to God. Therefore Al-Ghazali Pursues entire God`s immanence in sufism. In sufism, Al-Ghazali emphasizes the concept of fana, union of God with Human being. The concepts of unity of God are very differ in both`s position. In orthodoxy Islam`s position, It means unity of God, Tawhid, According to sufism`s position it means union of God with human being, Fana. In fact, this phenomenon is inconsistent with the concept of Islamic God. I think that Sufism is a Al-Ghazali`s magnificent theological work. In orthodoxy Islam`s view point, Immanence of God is very weak, therefore Al-Ghazali tried to make up for the weak points in immanence of God. Between Immanence in Sufism and God`s immanence in Christianity, concepts of immanence are so different. God`s immanence in Christianity can be well known in the event that God becomes human, namely Incarnation. But immanence in Sufism means union with God from Human being.

      • KCI등재

        유식 논서에 나타난 ‘신(信)’심소에 관한 고찰

        김명우 ( Kim Myung-woo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0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41

        본 논문은 11개의 선(善)심소 중에서 ‘신(信, śraddhā)’의 본질과 작용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이를 규명하기 위해 『유식삼십송석』을 비롯한 유식 논서에 나타난 신에 대한 정의와 구체적인 주석 내용을 살펴보았다. 유식에서 신(信)은 절대자를 믿고 따르는 신앙이나 인간관계에서 누구를 신뢰한다 등의 단순한 의미가 아니다. 유식 논서에서 신의 본질적인 성질은 ‘진리의 본체가 실유하는 것을 확실하게 아는 것’, ‘삼보[불법승]에 대해 청정한 마음을 일으키는 것’, ‘능력에 대해 희망하는 것’이라고 정의한다. 서양철학의 용어로 설명하자면 진리를 이성으로 아는 것[지성], 삼보를 좋아하고 구하는 것[감성], 자신의 능력을 믿고 실천하는 것[의지]을 신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신의 부수적인 작용[성질]이 ‘욕의 의지처’라는 점에서 신(信)심소는 독자적으로 생기는 것이 아니라 다른 심소와의 관계 속에서 생긴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신심소는 별경인 승해(勝解)에 의지하여 생기며, 동시에 신은 욕(欲) 심소의 의지처가 되는 것이다. 나아가 욕은 근[정진]의 의지처가 되는데, 본고에서 필자는 신심소를 중심으로 승해, 신, 욕, 정진의 심소가 생기는 메커니즘을 밝히고자 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the nature and function of śraddhā(faith) among eleven kuśala-caitta. To clarify this, I looked at the definition and commentary on śraddhā in the Literature of Vijñaptimātra. In Vijñaptimātra, śraddhā is not simply a means of trusting someone in faith or human relations that believe and follow the Absolute. The intrinsic nature of śraddhā in the Literature of Vijñaptimātra is defined as “the body of truth knows astitva with certainty,” “to raise a pure mind for tri-ratna,” and “abhilāsa for śakyatva.” In terms of Western philosophy, śraddhā can be defined as knowing truth as reason[intelligence], like and seek tri-ratna[emotion], and believing and practicing one's own abilities[will]. And by defining the secondary nature of śraddhā as “the will of the chanda,” śraddhā-caitta does not arise on its own, but in relation to other caitta. In other words, śraddhā-caitta comes from adhimokṣa(勝解), a vinayata, while śraddhā becomes the will of chanda-caitta. And chanda becomes the will of vīrya. In other words, this study attempted to elucidate the mechanism of caitta of adhimokṣa, śraddhā, chanda, and vīrya centered on śraddhā-caitta. Also, in the Literature of Vijñaptimātra, I looked at the details of what kind of mind the adhimokṣa-caitta, the cause of śraddhā-caitta, and chanda, the result of śraddhā.

      • KCI등재

        新HSK 5급의 화제 범주와 출제의 경향성 고찰: 2012년, 2014년 기출문제를 중심으로

        임춘영(Lim, Chun-Young)(林春英),김자은(Kim, Ja-Eun)(金慈恩) 대한중국학회 2019 중국학 Vol.68 No.-

        This study, based on the ‘topic syllabus’ of New HSK Test Syllabus (2015) analyzes the topic categories of the materials from the tests of the new HSK level 5 and based on the results, examines the topic tendency. First, to acknowledge that the study was based on New HSK Test Syllabus (2015) , the topic points of International Curriculum (2014) and New HSK Test Syllabus (2015) were compared. In the case of the ‘Chinese teaching topic’ category of International Curriculum (2014), school life was the core part and it was designed for the learners to select according to their level. When it comes to the ‘topic syllabus’ of New HSK Test Syllabus (2015), level-category and category-item were systematically defined in the overall workplace level. The topic category of the new HSK level 5 presupposed the learners situation where they had to experience social life. In the new HSK level 5 questions, the highest distribution rate was the daily life. Comparing 2012 to 2014, the rate of reduction of empirical awareness was the highest. In the case of the topic categories, the new HSK level 5 tends to address questions that reflect reality or judge social values. The question items related to the everyday life, science and technology, nature and economic categories reflect reality. The question types of literary arts, empirical enlightenment, work and job, culture and education categories are determining social values. Based on distribution rates, the rate of reality-based questions were higher than that of social value-oriented questions. 이 글은 중국어 평가와 교육의 변화에 주목하면서 HSK 교과교육에서 다루어야 할 교육내용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新HSK大綱(2015)』의 ‘話題大綱’을 기준 삼아 新HSK 5급 기출문제의 화제 범주를 분석하고 출제의 경향성을 고찰한 것이다. 먼저, 교육기준인 『國際大綱(2014)』의 ‘漢語敎學話題’와 평가기준인 『新HSK大綱(2015)』의 ‘話題大綱’을 비교하고 『新HSK大綱(2015)』의 ‘話題’가 등급별로 범주와 항목이 체계적으로 확정되어 있음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2012년과 2014년 기출문제의 화제 범주를 분석하여 新HSK 5급의 화제 범주는 사회생활을 체험해야 하는 학습자의 상황을 전제로 한 내용들이고 일상생활이 가장 높은 분포율을 보였음을 파악하였다. 마지막으로, 新HSK 5급 기출문제의 화제 범주와 항목 내용을 중심으로 新HSK 5급의 출제 경향을 논의하였다. 일상생활, 과학기술, 자연, 경제 범주의 문제는 주로 현실을 반영하고 있고, 문학예술, 체험적 깨달음, 일과직업, 문화, 교육 범주의 문제는 주로 사회적 가치를 판단하고 있음을 밝혔다. 분포율에 근거할 때, 현실을 반영하는 문제가 가치를 판단하는 문제보다 비중이 높았음을 고찰하였다.

      • KCI등재

        신(神)의 ‘모험(冒險)’과 인간(人間)의 ‘책임(責任)’ -한스 요나스의 ‘아우슈비츠 이후(以後)의 신(神) 개념(槪念)’-

        김종국 ( Kim Jong-gook ) 한국가톨릭철학회 2014 가톨릭철학 Vol.0 No.23

        이 글은 아우슈비츠로 대표되는 ‘무고한 자의 고난’이라는 결론으로부터 ‘전능하지 않은 신’이라는 근거로의 요나스적 추론 및 이러한 신과 인간의 관계를 드러내고, 이러한 신의 철학사적 의의를 간략히 짚어 본다. 첫째, 아우슈비츠라는 결론의 이유는 물리적으로 무능한, 전능하지 않은 신이다. 둘째, 신이 전능하지 않은 것은 피조물에 자신의 힘을 전적으로 양도하는 모험을 감행했기 때문이다. 셋째, 이 신은 그러나 세상과 함께 변화하고, 인간에 의해 고난당하고, 인간사를 염려하며, 선의 요구로 인간의 정신에 개입하는 신이다. 넷째, 신이 전능하지 않기로 결단한 이유는 인간의 자유, ‘책임의 도덕성’을 위해서이다. 다섯째, 필자가 보기에 요나스의 ‘전능하지 않은 신’의 진원지는 칸트의 ‘이성의 사실로서의 도덕법’이다. In meinem Aufsatz, welcher H. Jonas’ nicht-allmächtigen Gott vorstellt und dessen gegenwärtige Bedeutung ermisst, möchte ich folgende fünf Thesen geltend machen. Ein nicht-allmächtiger, d. h. von physischer Seite ohnmächtiger Gott hatte Auschwitz geschehen lassen(1); Gottes Nicht-Allmächtigkeit geht auf das Ereignis zurück, dass er wagte, seine ganze Kraft zu entäußern(2); Dieser Gott ist ein werdender, sich leidender, sorgender Gott, und zugleich ein mit Anspruch in den menschlichen Geist eingreifender Gott(3); Seine endgültige Schöpfungsabsicht besteht darin, die menschliche Freiheit, d. h die Moralität der Verantwortung zu ermöglichen(4); Meines Erachtens stammt Jonas’ Begriff eines nicht-allmächtigen Gottes aus dem Kants Begriff vom Moralgesetz als Faktum der Vernunft(5).

      • KCI등재

        제주도 「당신본풀이」와 아이누(アイヌ)의 「오이나 Oina」 비교 검토

        이춘희(Lee, Chunhee) 한국무속학회 2015 한국무속학 Vol.0 No.30

        본 논문은 제주도의 ?당신본풀이?와 일본 홋카이도 아이누족의 ?오이나 Oina?를 비교 검토하여, 그 형성 조건 및 서사구조의 상동성을 중심으로 국가와 민족의 차이를 뛰어넘는 두 서사시의 공통 기반을 밝히고, 전승 과정과 서사 형식의 차이를 조명하여 각자의 개별적 특성을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주도와 아이누는 지리적 조건과 역사적 사실 안에서 그들만의 정체성을 확인할 수 있는 독자적인 문화의 하나로 구비서사시가 존재한다. 제주도의 ‘본풀이’와 아이누족의 ‘유카르(yukar)’가 그것이다. 논의의 효율성을 위하여 연구의 범주는 治病神 등장 서사시로 제한하였다. 두 작품에는 질병에 대한 두려움과 이를 신의 힘으로 극복하려는 기원이 공통의 내용으로 들어 있다. 3장에서는 이러한 두려움을 제주도와 홋카이도 사람들이 어떻게 인식했고, 이는 신화화의 메커니즘을 거쳐 어떠한 신격과 서사로 빚어졌으며, 둘 사이에는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지 밝힌다. 4장에서는 도출된 상이성을 환경의 차이와 역사 조건의 시각에서 바라보았다. 그 결과 첫째, 제주도의 외래신은 신의 양면적인 모습을 보이며 인간들은 신에게 경외심을 가진다. 아이누의 치병신인 시조신은 선함만을 가지고 있고 인간들은 그 신을 찬양한다. 신의 성격에 따라 인간이 신을 바라보는 태도가 달랐다. 둘째, 외래신인 치병신은 결국 제주도의 토착신들과 함께 공존했지만 아이누의 외래신인 질병신은 토착신인 치병신에게 패했다. 두 양상은 모두 제주도와 아이누의 역사 조건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인간이 기억하는 역사적 의식이 두 지역에 존재하는 신들의 모습을 다르게 만든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scribe the singularity of the DangShinBonpuri of the Jeju-do and Oina of the Ainu tribe of Hokkaido, by comparing and reviewing each text. This paper attempts to reveal the common ground of both narratives which exceeds the difference between nations and ethnicity, focusing on the homology of the formation conditions and the narrative structure. Also, this research attempts to shed light on the difference between transmission and narrative form of both texts. For the efficiency of the discussion, the scope of research is limited to the Chibyungshin narratives. Both texts, the DangshinBonpuri and Oina, commonly deal with the fear of disease and praying to a god. Pre-modern mankind considered that the disease was influenced by the supernatural and people tried to overcome the disease through magical or religious power. Many of the rites and fairy tales show their thoughts of the disease. This paper attempts to answer the following matters: the way people of Jeju-do and Hokkaido, who commonly reside in an isolated island, aware the origin of the disease and healing process. Also, the way how these awareness are mythologized and become a narrative. Lastly,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DangshinBonpuri and Oina.

      • KCI등재

        『논어(論語)』의 신(信)에 대한 연구 - 주희(朱熹)와 진순(陳淳)의 관점을 중심으로

        정지연 ( Jeong Ji-yeon ) 우리한문학회 2017 漢文學報 Vol.36 No.-

        본고는 주자학파를 대표하는 朱熹와 陳淳을 중심으로 『論語』의 信 개념을 고찰하는 것을 주요 목표로 하였다. 주희와 진순은 信을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이해하였다. 인간의 性이 仁義禮智信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할 때, 仁義禮智信(五常)의 하나로서의 信이 첫 번째 류의 信이다. 이 信을 ‘五常의 信’이라 할 수 있는데, ‘五常의 信’은 仁義禮智 따위를 실제로 존재하게 하는 ‘실제적인 이치’를 뜻한다. 두 번째 류의 信은 ‘五常의 信’이 인간의 말이나 행동을 통해 겉으로 드러났을 때의 信으로서, 이 경우의 信을 ‘忠信의 信’이라 할 수 있다. 주자학파는 ‘五常의 信’을 ‘忠信의 信’으로 발현시키는 것을 중시한다. 즉, 내면의 실제적 이치(‘五常의 信’)를 근본으로 하여 외부의 믿음직한 언행(‘忠信의 信’)을 수행할 것을 중시한 것으로, 주자학파는 1차적으로 내면의 실제적 이치가 선행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이 과정에서 忠은 體가 되고, 信(忠信의 信)은 用이 됨으로써, 忠과 信은 매우 밀접한 개념이 된다. 단, 주희와 진순이 信에 관한 이해가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진순은 信을 ‘말을 실천하는 것’이라고 해석하기도 한다. 忠과 信을 분리할 수 있는 여지를 남긴 것이다. 『논어』 경문에 대한 주석을 보면, 주희는 ‘忠信’을 함께 묶어 설명하는 반면에 진순은 忠과 信을 분리하여 설명하는 방식을 택한다. 진순의 이러한 해석은 주자학파 사이에서 독특한 것으로, 忠과 信을 비교적 분명하게 분리하는 경향이 있는 조선의 실학파나 일본의 고학파와 오히려 유사하기에 주목되는 부분이다. 주희와 진순 등을 포함한 주자학파의 信에 대한 이해는 조선과 일본에도 영향을 미쳤다. 조선 전기 주자학파 중 林泳, 權得己, 李震相 등은 주희와 마찬가지로 忠과 信을 體用관계로 여겨 ‘忠信’을 하나로 간주한다. 반면, 조선 후기 실학파에게서는 忠과 信이 비교적 분리되는 모습을 발견할 수 있고, 忠과 信이 남과의 관계 속에서 정의됨으로써, 주자학에서의 ‘忠信’에 대한 체용관계적 이해가 와해되기 시작한다. 일본 고학파 오규 소라 이에 이르면, 忠과 信은 완전하게 분리되어 忠과 信이 각각 공자 문하의 독립된 과목으로 이해된다. 특히 일본 고학파의 이러한 관점은 진순의 『北溪字義』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조선 후기 실학파나 일본 고학파의 信에 대한 관점이, 주자학을 회의하는 과정에서 독자적으로 정립된 것인지, 혹은 중국 등 어딘가에서 영향을 받은 것인지 등의 연구가 필요하다. 『논어』의 信을, 인간 내면의 실제적 이치까지 담지한 개념으로 파악할 것인가, 아니면 말에 대한 실천성을 일컫는 개념, 즉 언행일치적 개념으로 파악할 것인가의 문제도 정리될 필요가 있다. 두 갈래 입장 중 어느 입장을 택하는가에 따라 『논어』의 信에 대한 독해법이 달라질 것이기 때문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oncept Xin (信, faithfulness) in the Analects, focusing on the views of Zhu Xi (朱熹, 1130-1200) and Chen Chun (陳淳, 1483-1544). The notion was divided by them into two categories: faithfulness as part of five constant virtues (wuchang 五常) and faithfulness as the outer manifestation of words or behavior. While the former refers to the ‘substantial principle’ that makes humanity (ren 仁), righteousness (yi 義), propriety (li 禮), and wisdom (zhi 智) as basic human virtues manifest, the latter means the manifestation of the former in words or behavior as in case of loyalty and faithfulness (zhongxin 忠信). Chu Xi and his followers emphasized the transformation of the former into the latter. In this context, loyalty was viewed as essence (ti 體) and faithfulness as its function (yung 用). However, according to their commentaries to the Analects, Zhu Xi and Chen Chun were different in their understanding of faithfulness. While Zhu Xi explained it combining loyalty and faithfulness, Chen Chun defined it as materializing one’s words into action, leaving room for the separation of the two concepts, which is special in the School of Zhu Xi. Their ideas had influenced scholars of Joseon (朝鮮) Korea (1392-1910) and Edo (江戶) Japan (1603-1868). Confucian scholars of Korea in the early Joseon period, including Yim Yeong (林泳, 1649-1696), Gwon Deukki (權得己, 1570-1622), and Yi Jinsang (李震相, 1818-1886), viewed loyalty as essence and faithfulness as its function, considering loyalty and faithfulness as one, following Zhu Xi’s idea. In contrast, Korean scholars of Silhak (實學 Practical Learning) in late Joseon and Literati-Physicians [古學派] in Edo Japan separated loyalty and faithfulness, criticizing Zhu Xi’s idea and supporting Chen Chun’s. Following issues remain for further research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faithfulness in the Analects: whether was Korean and Japanese scholars’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developed independently against Zhu Xi’s idea or was it a result of external influence?; and does the notion of faithfulness embrace internal sincerity or does it need to be interpreted in the context of coincidence of word and 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