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문학(漢文學)에 나타난 갈등(葛藤)의 문학적(文學的) 해소(解消) -신흠(申欽)의 질병(疾病)으로 인한 갈등(葛藤)과 해소(解消)를 중심으로-

        강민구 ( Min Gu Kang ) 동방한문학회 2010 東方漢文學 Vol.0 No.43

        본고는 신흠의 경우를 통하여 중세인의 질병으로 인한 고통·갈등과 그것으로 인한 깨달음, 그것을 문학 창작으로 해소하는 양상을 분석하였다. 신흠은 眼疾·귓병·毒感·학疾·腦종·종기를 앓았다. 신흠은 白苔로 추정되는 眼疾을 앓아 시력을 거의 상실하였다. 귓병은 독감으로 인한 것으로 거의 청력을 상실하였다. 신흠은 腦종을 여러 번 앓아 머리에서 피를 흘리고 半身의 기능에 문제가 생겼다고 한다. 그리고 학疾도 심하게 앓은 것으로 확인된다. 마침내 신흠은 어깨에 난 악성 종기로 인해 생을 마쳤다. 신흠이 각종 질환을 경험하면서 쓴 시에는 그 특유의 사상이 토대로 작용하고 있다. 그는 시력과 청력을 상실한 고통과 좌절감을 토로하는데 그치지 않고 그로 인해 現象의 왜곡을 극복하고 본질을 인식할 수 있는 능력을 얻게 되었다고 도리어 다행스러워 하였다. 이는 그의 畵論이나 詩論등에도 적용된 사상으로, 聲과 色으로 표현된 現象에 구속되어 본질을 놓쳐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움직이지 못하고 누워있을 수밖에 없는 학질이나 뇌종을 앓을 때는 오히려 한가로운 시간을 얻게 되어 다행스럽게 생각하였다. 이는 그가 병중에도 평정심을 잃지 않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었다. 신흠은 질병으로 인한 고립감과 괴리감을 孤興으로 轉化하였다. 그는 고흥으로 번다한 고뇌를 해소할 수 있었다. 신흠에게 있어서, 시 창작은 고흥을 형성하게 한媒體였고 興은 煩累를 해소하도록 만든 機制였다. This thesis analyzes a pain, a conflict, an enlightenment and the literary solution incurred in line of disease. Sin Heum(申欽) has an eye disease, an ear infection, an influenza, a malaria and an abscess. He loses his eyesight because of a morbid coating on the eyeball that interferes with vision. He loses his hearing because of an ear infection in the line of influenza. He is suffering from a brain tumor in several times, so his head is bled. As a result, he became paralyzed. He suffers from an influenza. Finally, he died on account of an abscess on his shoulder. Sin Heum(申欽)`s poetry that really show his thought`s works. He thinks those disease could be more than just pain. He recognizes those disease as an opportunity for an overcoming of phenomenon irregularities. Through those experience, he gets a cognitive power of essence. This is so for Painting Theory[畵論] and ars poetica[詩論]. Sin Heum(申欽) changes over from feelings of isolation and gap caused by disease to Goheung[孤興]. Goheung[孤興] removes his frequent suffering. In Sin Heum(申欽), writing a poetry is a vehicle for the formation of Goheung[孤興], and Heung[興] acts as a suffering solution mechanism.

      • KCI등재

        擬古詩창작의 전통과 申欽의 <後十九首> 연구 — 李攀龍의 <古詩後十九首>와의 擬古양상 비교를 중심으로 —

        이훈 동양고전학회 2020 東洋古典硏究 Vol.0 No.81

        본고는 의고시 창작의 전통을 고찰하고, 신흠의 <後十九首>에 나타 난 擬古의 양상을 이반룡의 <古詩後十九首>와 비교하여 분석한 것이 다. 의고시는 광의적 개념과 협의적 개념을 지니는데, 본고에서는 협의 적 개념을 적용하여 의고시를 <古詩十九首>를 모의한 작품군으로 규정 하였다. 전통적으로 의고시는 學詩의 과정, 전범의 재현, 내면화된 서정 성의 구현 등의 목적으로 창작되었다. <고시십구수>의 체재를 모의한 양상에 있어 신흠의 <後十九首>는 이반룡의 <古詩後十九首>에 비해 파격적이고 독자적인 면모를 보인다. 운자의 운용 방면에서 이반룡은 엄격한 일운도저 위주의 압운법을 운용 하였고, 신흠은 임의적인 환운 위주의 압운법을 운용하였다. 그리고 원 작의 句數를 운용하는 방면에서 이반룡은 원작의 구조를 최대한 유지하 면서 자신의 관점으로 원작의 詩意를 해석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반 면에 신흠은 원작의 구조를 유지하기도 하고 변형시키기도 하면서 독자 적인 詩意와 내면화된 서정성을 구현하는 데에 주력하였다. <고시십구수>의 대표적인 수사적 특징은 疊字와 連環句의 사용이다. 양자는 모두 첩자를 사용하여 강한 리듬감을 형성하면서 공간과 인물에 생동감을 부여하였다. 이반룡은 연환구를 사용하지 않은 반면에 신흠은 <고시십구수>보다 더 많은 횟수로 연환구를 사용하였다. 이러한 점은 신흠의 <後十九首>가 이반룡의 <古詩後十九首>와 구별되는 주요한 특징으로, 신흠은 원작의 시의와 정서를 유지하면서 유배지에서 느끼는 자신의 여러 가지 情意를 우회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연환구를 활용하였 다. 요컨대 신흠의 <後十九首>는 형식적인 모의를 넘어 <고시십구수> 가 지닌 諷刺의 정신과 寓意의 기법을 자기화함으로써 현실과의 갈등과 그 극복의지를 형상화한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tradition of archaic poems creation, and analyzes the aspects of archaism in Shin Heum(申欽)'s <Husipgusu(後十九首)> by comparing with <Gosihusipgusu(古詩後十九首)> by Li Pan-long(李攀龍). The concept of archaic poems is divided into two types: broad and narrow. In this study, the latter is applied and the archaic poems are defined as a group of works that imitated <Gosisipgusu(古詩十九首)>. Traditionally, the archaic poems were created for the purposes such as process of learning poems, reproduction of the original ones, and embodiment of internalized lyricism. Looking at the aspects of how the two writers imitated the original poems, <Gosisipgusu>, Shin Heum's work shows a more unconventional and unique features than Li Pan-long's work. Li Pan-long focused on reinterpreting the poetic themes of <Gosisipgusu> while maintaining the structure of it as much as possible. On the other hand, Shin Heum concentrated on not only maintaining or transforming the structure of the original poems, but also realizing his own poetic themes and internalized lyricism. The use of circular phrases(連環句) and repeated words(疊字) are the representative rhetorical figures in <Gosisipgusu>. Both writers, by using the repeated words, created a strong sense of rhythm so that could enliven the poetic space and characters. Li Pan-long didn't use the circular phrases, whereas Shin Heum used it frequently. This is a noticeable difference in imitating of the original poems between Li and Shin.

      • KCI등재

        문학 : 신흠(申欽)의 시세계에 미친 주역(周易)생태관의 영향

        정연정 ( Yeon Jung Jung ) 온지학회 2011 溫知論叢 Vol.0 No.27

        이 순간에도 지구생태계의 파괴는 계속되고 있다. 생태계위기는 존재의 위기이며, 인간과 자연의 총체적 위기이다. 21세기의 대표적인 화두가 ``생태담론``이라고는 하지만 ``생태담론``이 우리의 내면으로 깊이 침투되어 실천적 담론으로까지 확대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현 시점에서 생태학적 사유가 빈곤한 현대인에게 필요한 것은 생태주의에 대한 인식의 전환과 내면화 과정이다. 생태론적 세계관에 대한 자각과 반성의 한 방법론을 생태적 지혜가 풍부하며 근원적인 한국의 전통 사상에서 찾아보았다. 象村 申欽(1566~1628)은 한국의 전통 문인들 가운데 月象谿澤이라 통칭되는 조선 중기 한문사대가로서 그의 작품은 깊고 근원적인 생태적 성찰을 보여주기에 주목된다. 새로운 자연시학을 낳은 그의 작품세계를 구성하고 있는 가장 큰 줄기는 ``易學``이라 할 수 있다. 신흠의 자연시학의 밑바탕에 놓여 있는 건 바로 역학을 중심체계로 하여 세계와 사물을 인식함에 있어서 한쪽 면에 치우치지 않고 각각의 존재 가치를 인정하는 생태평형·음양평형법칙·우주적 조화에 대한 주역적 사고이다. 신흠의 주역생태관이 표백된 작품들은 사상적으로도 큰 의의가 있을 뿐만 아니라, 생태주의에 입각한 새로운 학문과 사상을 모색하고자 심각한 고민에 빠져 있는 현대인들에게 적잖은 시사를 준다. 이 점이 바로 생태 위기에 직면한 21세기가 17세기를 살았던 신흠의 생태학적 자연관을 경청해야 할 이유다. Even at this very moment, the destruction of Earth`s ecology is being continued. The ecological crisis is the crisis of existence and the overall crisis for human beings and nature. It has been said that the representative thought of the 21st century is ``the discourse on ecology`` but it has infiltrated deep into our psyche and not being turned into the practical discourse. In such point in time, what is needed in the people of the contemporary era who lack the ecological causes, is the change in perception and internalizing process for ecologism. The awakening of the world view from the ecological perspective and one methodology for the reflection have been examined in Korea`s traditional thoughts which were rich in fundamental ecological knowledge. Sangchon Shin Heum(申欽, 1566~1628) is one of the four masters of Chinese poetry in the middle of the Chosun(朝鮮) Dynasty, who were referred to as Wol-Sang-Gye-Taek(月象谿澤), from the traditional literati of Korea. His works display very in-depth and fundamental insight into ecology which is notable. The biggest stem constituting his works which gave rise to the new nature poetics, would be ``Yijing(易學)``. The underlying view of nature poetics of Shin Heum(申欽) are from the thoughts about Ecological Balance in Zhouyi(周易)ecologism, theory of Yin-Yang(陰陽) balance and cosmological harmony, recognizing the value of each existence while not leaning to one side with the perception of the world and objects based on the Yijing as the core conception. Shin Heum(申欽)`s works displayed with the Zhouyi(周易)ecological view, not only has an ideological significance, but provides implications for the people in the contemporary era, who are contemplating to seek new studies and thoughts based on ecologism. This is the reason why people of the 21st century confronted with the ecological crisis must listen to the ecological view of nature by Shin Heum(申欽) who had lived the 17th century.

      • KCI등재

        [특집, 조선시대 지식,지식인 생산체계 : 17~18세기 평산 신씨를 중심으로] : 신흠의 상수역학과 역사철학 - 邵易과 春秋를 중심으로 -

        전성건 ( Sung Kun Jeon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4 民族文化硏究 Vol.65 No.-

        본 논문은 조선의 지식사회로서의 모습을 다각도로 살펴보려는 .조선시대 지식,지식인 재생산 체계에 관한 연구-17~18세기를 중심으로.의 일환으로 작성되었다. 여기에서는 평산 신문의 일원 가운데 핵심 인물인 상촌 신흠의 상수역학과역사철학을 邵易과 春秋에 대한 그의 시각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신흠이 소역과 춘추를 대하는 관점은 심학정신을 기반으로 하는데, 그것은 中正한 마음을 학문 의 토대정신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천지만물의 보편적 이치인 一理를 파악하기 위해 요구된 것이다. 이를 대략적이나마 구체화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촌 신흠의 수학과정을 통해서 드러나는 그의 학문정신을 심학정신으로 규정하고, 그가 易學과 史學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복희의 先 天圖를 역학의 원형으로 간주하는 신흠은 천지만물에 내재해있는 一理를 파악하 기 위해서는 中正한 마음을 갖고 있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신흠은 복희로 대표 되는 上古시대, 문왕으로 대표되는 中古시대, 그리고 공자로 대표되는 下古시대라 는 역사단계를 토대로 자신만의 독특한 역사철학을 전개한다. 다음으로, 소옹 역학에서 一理가 도출되는 과정을 살펴보고, 그것이 현실세계 에서 어떻게 구현되고 묘사되는지, 신흠 자신이 임금에게 상주한 .陳言箚.를 구 체적으로 분석하여 검토해 보았다. 또한 .彙言.과 .求正錄. 등에 보이는 그의 상 수역학과 역사철학의 관점을 통해 그가 당대의 문제의식을 어떻게 파악하고 있는 지 君子와 小人의 분별이라는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신흠에 의해서 마련된 학문전통인 상수역학과 역사철학을 기반으 로 한 易學과 曆法이 어떻게 후대로 전수되는지를 살펴보았다. 신흠의 아들인 樂 全堂 申翊聖은 신흠의 학풍을 계승하여 만년에 상수학 연구에 침잠하는 한편, .皇 極經世書東史補編.을 저술하여 상수학적 관점에서 단군에서부터 고려 공양왕 시 기까지의 역사를 정리해 인조에게 바치기도 한다. 신익성의 아들인 春沼 申最 또 한 .皇極經世書.의 圖說 관련 글과 .洪範皇極內篇.의 數義를 통해 상수학 중심의 가학을 잇는다. 또 華隱 申炅은 曆理에 정통해서 효종시기 역법의 교체과정에서 자문을 받기도 한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처럼 당대에 신흠 가문은 삼대에 걸쳐 상수 역학에 정통했던 것으로 인식되었다. This paper is on the universal principle and situatinal principle in the case of Shin-Heum. He put emphasis on the impartial heart-mind to the principles. Subjects of this study is Shaoyong’s I-Ching Learning, Chun-Chiu, and so on. Shaoyong’s I-Ching Learning is on the basic matter of universal principle and Chun-Chiu is on the basic matter of situatinal principle. We can examine that his learning spirit is based on the perspective of mind-learning through his learning experience. He have learned the I-Ching, Chun-Chiu and so on since he was a little child. He applied mind-learning to the two books. The mind-learning is located between I-Ching and Chun-Chiu which are standard in the real world which is a lot of things to iron out. Shin-Heum was absorbed in finding out the universal principle in the cosmological nature and finally discovered the universal principle and the Meaning of Number. Universal principle is a kind of natural law going through one and again the universal principle is divided into situational principles which are recognized as the numbers. We can understand solutions to the problems of real world through comprehending to discover the meanings of numbers. In short, Shin-Heum’s viewpoint of world and history was formed by the cosmological law which is discovered not only in the nature, but also in the ancient chinese books of I-Ching and Chun-Chiu. Therefore the books is the exemplary standard for a person who is getting down to earth persistingly.

      • KCI등재

        申欽 擬古樂府의 ≪文選≫ 樂府詩 수용 연구

        孫紀斯 열상고전연구회 2020 열상고전연구 Vol.71 No.-

        본고는 조선 중기 문인 申欽(1566-1628)의 擬古樂府에 초점을 맞추어, 그 작 품들이 중국 梁 蕭統이 편찬한 ≪文選≫에 수록된 樂府詩를 어떻게 수용했는가에 대해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文選≫은 先秦 시대부터 양나라까지의 대표 적인 시문을 모아 편찬한 시문선집으로 ≪昭明文選≫으로 부르기도 하는데, 사대 부의 과거용 교과서로 쓰이는 등 중국 문단은 물론 한국 한문학의 흐름에서도 매우 중요한 지위를 지닌다. 신흠 역시 예외는 아니다. 그는 전대 문인들과는 비견할 수 없을 정도로 수준 높은 의고악부를 대량 창작했다. ≪象村稿≫에 수록된 그의 의고작품 232수 중에는 ≪문선≫에 수록된 악부시와 유사한 점이 많이 발견된다. 특히 ≪문선≫에 수록된 古樂府, ‘三曹’ 樂府, 그리고 陸機 樂府에 나타난 시어, 對句, 意象, 분위기, 표현 방식 등과는 유독 많은 공통점이 나타난다. 이에 본고는 ≪문선≫의 이 3종 악부시의 분석을 통해 신흠 의고악부의 수용을 고찰했다. 본고는 우선 ≪문선≫의 악부시를 수록 상황을 분석했고 이를 바탕으로, 신흠이 의고악부를 창작한 시대적 문학적 배경을 고찰했으며 마지막으로 ≪상촌고≫에 수 록된 악부시를 분석하면서 신흠이 위 3종 악부시에 대한 수용을 검토했다. 신흠의 의고악부 중 <短歌行>이 ‘삼조’ 악부 중 조조의 작품에 대한 수용 흔적이 가장 뚜렷해 서 이를 중점적으로 논의했으며 조비의 작품과 동일한 시제를 사용한 <燕歌行>도 영향 관계가 비교적 크므로 이를 중점적으로 서술했다. 육기의 악부 중에서는 상관 관계가 비교적 긴밀한 <悲哉行>을 대상으로 그의 수용 상황을 검토했다. This thesis focus on the Uigoakbu(擬古樂府) that Shin-Heum(申欽) created, in order to examine that the acceptance pattern about Akbu(樂府) poetries included in ≪Moon-Seon(文選)≫ which compiled by So-Tong(蕭統) in Liang Dynasty of China in Shin-Heum’s works. ≪Moon-Seon≫ includes poetries and proses from Pre Qin Era to Liang Dynasty of China which is also called ≪Somyeong-Moonseon(昭明文選)≫. It occupied very important position in the past Chinese dynasties’ literary circles, and also had irreplaceable posi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As an important textbook for text well in the imperial examination, it had great influence on ancient scholars and Shin-Heum is precisely the one of them. Shin-Heum created a large number of high level Uigoakbu which former scholars can not compared with. If scope on ≪Sang-Chongo(象村稿)≫ we can find that there are many similarities between the Uigoakbu in Shin-Heum’s more than 200 Akbu works and the Akbu poems included in ≪Moon-Seon≫. Especially Shin-Heum’s Uigoakbu have many common points on the aspects of poetic languages, couplets, imagery, atmosphere, and ways of expression with Ko-Akbu(古樂府), ‘Sam-Jo(三曹)’ Akbu, and Yuk-Gi(陸 機) Akbu which in ≪Moon-Seon≫. So this thesis selected three kinds of Akbu poems in ≪Moon-Seon≫ and examined Shin-Heum Uigoakbu’s acceptance patterns. Starting from the Akbu poems in ≪Moon-Seon≫ and based on the background and chance that Shin-Heum created Uigoakbu, than discussed the Akbu poems included in≪Sang-Chongo≫ generally. In the part of “acceptance pattern about ≪Moon-Seon≫ Akbu poems in Shin-Heum’s Uigoakbu”, have a careful analysis of one Ko-Akbu that quoted from ≪Sang-Chongo≫ and ≪Moon-Seon≫. Than specially discussed the acceptance pattern about Jo-Jo(曹操)’s poems in Shin-Heum’s <Dan-Gahaeng(短歌行)> because of the obvious acceptance marks. meanwhile quoted Jo-Bi(曹丕) and Shin-Heum’s <Yeon-Gahaeng(燕歌行)> examined the acceptance patterns in Shin-Heum’s works. at last quoted and reviewed Yuk-Gi and Shin-Heum’s <Bi-Jaehaeng(悲哉行)>. The relevance between Shin-Heum and ≪Moon-Seon≫ is not so far as this. I am sure that there are other direction and aspect where we can find more similarities and influences. So on this basis I will do more in-depth research in the future.

      • KCI등재

        申欽의 末世觀과 시조에 나타난 隱居의 두 양상

        이승준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16 고전과 해석 Vol.20 No.-

        申欽의 시조에 나타난 隱者의 세계는 17세기 상·하층 사대부의 시조에 共出되는 양상을 보인다는 점에서 일찍이 학계의 주목을 받았다. 이는 17세기 사대부 일반을 관류하는 시대 인식의 구도가 형성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이면서, ‘개인의 정치적 부침’이라는 현실적 조건의 제한성을 벗어난 해석의 시각이 요구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신흠 시조에 나타난 은자의 세계를 17세기의 시각에서 이해하기 위해서는 隱居觀에 대한 원론적 층위의 접근이 필요하다. 논자는 이상의 문제의식을 토대로 末世의 용어에 주목하였다. 말세는 나라가 망하기 직전 환란에 처한 상황을 의미하는 데, 신흠을 비롯한 서인계열 뿐만 아니라 광해군과 북인 등도 모두 당대를 말세로 이해하고 있었다. 이는 당쟁의 역학관계를 벗어난 시대 인식의 구도가 성립된 것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신흠에게 말세의 용어가 지니는 당대적 의미는 임진왜란을 거치면서 나라의 혼란을 걱정하는 수사적 표현만이 아니라 中華의 문명이 붕괴되어 가는 세태에 대한 경계의 의미를 지녔다. 이러한 신흠의 末世觀은 隱居의 삶에 영향을 미쳤다. 초창기 신흠은 자신의 放逐을 黨爭의 역학관계에 따른 결과가 아닌 말세로 인해 벌어진 현상으로 이해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때문에 자신의 운명을 수용하고 은거의 공간에 몰입하기 위해 노력하였고, 이를 통해 정치적으로 불우한 자신의 처지를 유가의 이데올로기 속에서 포용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인식과 태도가 가능했던 이유는 화이관의 영향 속에서 중화의 문명이 회복되리라는 강한 믿음이 전제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방축 초기 그의 시조에는 현실에 대한 불만보다 은거의 공간 또는 은거를 대하는 자세의 문제와 이데올로기적 성취감 등에 집중되어 있다. 그러나 청진 131부터는 정치 현실에 대한 노골적인 비판과 대립이 문면에 직접적으로 나타난다. 현실과의 격절성을 전제로 제시된 은거의 삶에 정치 현실의 문제와 그에 따른 파장이 형성된 원인은 1614년 초 永昌大君이 살해된 사건과 관련이 있다. 신흠은 영창대군의 죽음을 천륜의 붕괴로 대변되는 사건이자, 중화의 정체성을 완벽하게 상실해 버린 상황으로 받아들였다. 즉 방축 초기와는 달리 중화의 문명이 회복될 가능성을 상실해 버린 상황으로 받아들여진 것이다. 따라서 그는 현실을 철저히 잊기 위해 더욱 몸부림치지만, 이는 사대부로서의 직분상 실현 불가능한 일이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오는 심리적 갈등은 그의 시조에서 해소 불가능한 시름의 깊이로 제시되어 있다. The world of hermit shown in Shin Heum's Sijo is also found in Sijo by Sadaebu in 17th century. This implies that Awareness of time of 17th century Sadaebu was formed. Therefore, the perception of interpretation beyond the limitations of the realistic condition of 'political ups and downs of individuals' is required. Hermit world indicated in Shin Heum's sijo is needed to access to the theoretical point of hermit according to Awareness of time. This study focused on the terms of eschatology in order to clarify the awareness of time in the 17century that was indicated in both Seoin and Bukin including Shin Heum. The terms of eschatology had a significance of making cautions against reality that the Sinocentric civilization had been collapsing because of the influence of hwayigwan through the Imjin War. Shin Heum’s eschatology affected his hermit life. Initially, Shin Heum was trying to understand that the reason why he was banished was not the result of the dynamics of party strife but the phenomenon by eschatology. So he tried to accept his fate and to immerse in the space of hermit. And also he tried to embrace his adversed position in political situation using Confucian ideology. It was possible for him to do so because he had a strong belief of the restoration of Sinocentric civilization. However, the fierce criticism and opposition about the reality of politics appeared to be directly on the face of the Sijo in Chengjin 131. This was because he regarded the assassination of Prince Yŏngch’ang as the case that corresponded to the collapse of the moral laws of sky and as the situation that fully lost the identify of Sinocentric civilization. That is, he would have recognized that there was no the possibility of recovery of the Sinocentric civilization. He tried to forget reality more and more. But it was unrealizable because he had to keep his duty as a sadaebu. His psychological conflicts were represented through the depth of the unalleviated anguish in his sijo.

      • KCI등재

        申欽 擬古樂府의 ≪文選≫ 樂府詩 수용 연구

        손지수 열상고전연구회 2020 열상고전연구 Vol.71 No.-

        This thesis focus on the Uigoakbu(擬古樂府) that Shin-Heum(申欽) created, in order to examine that the acceptance pattern about Akbu(樂府) poetries included in≪Moon-Seon(文選)≫ which compiled by So-Tong(蕭統) in Liang Dynasty of China in Shin-Heum’s works. ≪Moon-Seon≫ includes poetries and proses from Pre Qin Era to Liang Dynasty of China which is also called ≪Somyeong-Moonseon(昭明文選)≫. It occupied very important position in the past Chinese dynasties’ literary circles, and also had irreplaceable posi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As an important textbook for text well in the imperial examination, it had great influence on ancient scholars and Shin-Heum is precisely the one of them. Shin-Heum created a large number of high level Uigoakbu which former scholars can not compared with. If scope on ≪Sang-Chongo(象村稿)≫ we can find that there are many similarities between the Uigoakbu in Shin-Heum’s more than 200 Akbu works and the Akbu poems included in ≪Moon-Seon≫. Especially Shin-Heum’s Uigoakbu have many common points on the aspects of poetic languages, couplets, imagery, atmosphere, and ways of expression with Ko-Akbu(古樂府), ‘Sam-Jo(三曹)’ Akbu, and Yuk-Gi(陸機) Akbu which in ≪Moon-Seon≫. So this thesis selected three kinds of Akbu poems in ≪Moon-Seon≫ and examined Shin-Heum Uigoakbu’s acceptance patterns. Starting from the Akbu poems in ≪Moon-Seon≫ and based on the background and chance that Shin-Heum created Uigoakbu, than discussed the Akbu poems included in≪Sang-Chongo≫ generally. In the part of “acceptance pattern about ≪Moon-Seon≫ Akbu poems in Shin-Heum’s Uigoakbu”, have a careful analysis of one Ko-Akbu that quoted from ≪Sang-Chongo≫ and ≪Moon-Seon≫. Than specially discussed the acceptance pattern about Jo-Jo(曹操)’s poems in Shin-Heum’s <Dan-Gahaeng(短歌行)> because of the obvious acceptance marks. meanwhile quoted Jo-Bi(曹丕) and Shin-Heum’s <Yeon-Gahaeng(燕歌行)> examined the acceptance patterns in Shin-Heum’s works. at last quoted and reviewed Yuk-Gi and Shin-Heum’s <Bi-Jaehaeng(悲哉行)>. The relevance between Shin-Heum and ≪Moon-Seon≫ is not so far as this. I am sure that there are other direction and aspect where we can find more similarities and influences. So on this basis I will do more in-depth research in the future. 본고는 조선 중기 문인 申欽(1566-1628)의 擬古樂府에 초점을 맞추어, 그 작품들이 중국 梁 蕭統이 편찬한 ≪文選≫에 수록된 樂府詩를 어떻게 수용했는가에 대해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文選≫은 先秦 시대부터 양나라까지의 대표적인 시문을 모아 편찬한 시문선집으로 ≪昭明文選≫으로 부르기도 하는데, 사대부의 과거용 교과서로 쓰이는 등 중국 문단은 물론 한국 한문학의 흐름에서도 매우 중요한 지위를 지닌다. 신흠 역시 예외는 아니다. 그는 전대 문인들과는 비견할 수 없을 정도로 수준 높은 의고악부를 대량 창작했다. ≪象村稿≫에 수록된 그의 의고작품 232수 중에는 ≪문선≫에 수록된 악부시와 유사한 점이 많이 발견된다. 특히 ≪문선≫에 수록된 古樂府, ‘三曹’ 樂府, 그리고 陸機 樂府에 나타난 시어, 對句, 意象, 분위기, 표현 방식 등과는 유독 많은 공통점이 나타난다. 이에 본고는 ≪문선≫의 이 3종 악부시의 분석을 통해 신흠 의고악부의 수용을 고찰했다. 본고는 우선 ≪문선≫의 악부시를 수록 상황을 분석했고 이를 바탕으로, 신흠이 의고악부를 창작한 시대적 문학적 배경을 고찰했으며 마지막으로 ≪상촌고≫에 수록된 악부시를 분석하면서 신흠이 위 3종 악부시에 대한 수용을 검토했다. 신흠의 의고악부 중 <短歌行>이 ‘삼조’ 악부 중 조조의 작품에 대한 수용 흔적이 가장 뚜렷해서 이를 중점적으로 논의했으며 조비의 작품과 동일한 시제를 사용한 <燕歌行>도 영향 관계가 비교적 크므로 이를 중점적으로 서술했다. 육기의 악부 중에서는 상관관계가 비교적 긴밀한 <悲哉行>을 대상으로 그의 수용 상황을 검토했다.

      • KCI등재

        상촌 신흠의 역학에서 상수역과 의리역의 상보적 특성

        엄연석 한국동양철학회 2017 동양철학 Vol.0 No.48

        This essay intended to illuminate how meaning Sang Chon Shin Heum's emblemo-numerology, through which he succeeded Seo Keyungduk's apriority I Hsüeh, has in connection with his total system of confucianism and view of moral-principle science of I Ching. Especially in this article, writer tries to concentrate on analysis and explanation about matters with relation to moral-principle science of I Ching in the system of his emblemo-numerology of I Ching that was succeed to Shao Yong's apriority I Hsüeh. In Shin Heum's philosophy, the principle is revealed through number[數] which is inherent in outward things making a various transition with directivity of luck or misfortune, good and evil. It is because number is a key factor in elucidation of the principle that Shin Heum especially emphasized emblemo-numerology of I Ching by inheriting Shao Yong and Seo Keyungduk's apriority I Hsüeh. Though underlined apriority and emblemo-numerology of I Ching, he had purpose to make emblemo-numerology and moral-principle science of I Ching synthetic and harmony through correction of research trend weighted toward moral-principle. Shin Heum interpreted the Zhouyi in the direction of moral-principle science of I Ching by connecting symbolic meaning involved in the sentence of hexagram and lines, hexagram name of the Zhouyi with moral cultivation or practice for the purpose of human affairs. Summing up, the final objective of Shin Heum's apriority and emblemo-numerology of I Ching can be concatenated in moral cultivation and practice had been stressed in the moral-principle science of I Ching. Shin Heum's emblemo-numerology of I Ching has meaning as basis for the moral-principle science of I Ching, in which puts stress on preservation of mind and cultivation of human nature, and understanding of moral principle through number. Seen like this, on the one hand Shin Heum's emblemo-numerology of I Ching emphasizes emblemo-numerology, on the other it is combined systematically with moral-principle science of I Ching that involves moral cultivation and practice. 본 논문은 象村 申欽이 서경덕의 선천역학을 계승하면서 강조했던 상수역학이 그의 유학사상 전체 체계 및 의리역학적 관점과 연관하여 어떤 의미가 있는가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특히 본고에서는 소옹의 선천역학을 계승한 그의 상수역학 체계 속에 의리역학과 연관된 의미가 어떻게 내포되어 있는가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신흠에서 理는 길흉선악의 방향성을 가지고 여러 다양한 변화를 이루는 외부 사물들에서 數를 통하여 드러난다. 신흠이 소옹과 서경덕의 선천역학을 이어서 상수역을 특별히 강조한 것은 理를 밝혀 주는데 있어서, 수가 핵심적인 위치를 가지기 때문이다. 신흠은 선천 수리역학을 강조하였지만, 그것은 어디까지나 당시의 의리 쪽으로 치우친 역학 연구경향을 교정함으로써 상수역과 의리역을 종합하고 조화시키려는 목적을 가졌다고 말할 수 있다. 신흠은 『주역』 괘효사나 괘명 등에 내포되어 있는 상징적 의미를 人事에 있어서의 도덕적 함양 또는 실천과 연결하여 의리역학적인 방향으로 『주역』을 해석하였다. 요컨대, 신흠의 선천 수리역학이 지향하는 최종의 목표는 의리역학적 관점에서 도덕적 함양과 실천에 연속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신흠의 수리역학은 마음의 함양과 性의 보존, 그리고 數를 통한 리의 파악을 중시하는 의리역학을 위한 토대로서의 의미를 가진다. 이렇게 볼 때, 신흠의 상수역학은 조선중기 역학사에서 상수와 수리를 강조하면서도 이것을 의리역학적 관점에 체계적으로 결합하여 그 연속성을 제시한 학설로서의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象村 申欽(1566~1628)의 道文觀과 思想的 특징

        오세현 조선시대사학회 2013 朝鮮時代史學報 Vol.66 No.-

        Studies of the Philosophical history of the ‘middl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should begin with the attempt to understand the social status of Neo-Confucianism at the time, because the people's perspective upon the most important concept of the Joseon period, ‘Samun(斯文,This Culture of Ours)' was changing at the middle point of the dynasty. Coming into this period, the people were still trying to respect and preserve the inherent quality and virtue of 'literature,' but they also wanted to provide the concept of the 'Way of Life' with a higher status even above literature. The conflict between these two perspectives, which was essentially a conflict over the matter of how to interpret the merit of 'Samun(斯文,This Culture of Ours),' should be kept in mind so that we can explain how the Joseon society actually changed at the end of its early half, and how the early and latter halves were different from each other. Literary capability in the past had been sometimes recognized as ‘less fundamental’ than the "Way of Life" studies, but their skills were vigorously sought for in the government as diplomatic needs arose. In the early half of the Joseon dynasty, people never doubted the notion of literature being the most efficient tool of realizing Confucius' ideals in the real world. Shin Heum(申欽) was the most typical good writer in the middle period when the value of literature and the role of the literary figures still stay after the early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Through the influential good writer, Shin Heum’s reaction to the qualitative change of the Joseon dynasty, we can explain how the Joseon society actually changed at the end of its early half, and how the early and latter halves were different from each other. Shin Heum focus on the literary and it’s value of So Sik(蘇軾) who was unilaterally excluded on the forming the legitimate line of succession concerning the Way of life(道統). Jung Yi(程頤) who emphasis the superiority of studies of the Way of Life(Do'hak/道學) to the Literature was set up the core person of the legitimate line of succession concerning the Way of life. Shin Heum object the criticism on So Sik by a moralist in the middl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because the criticism is so unilateral and confined. Because Shin Heum’s view on the relation literature and studies of the Way of Life represent the legitimate line of succession concerning the literature, we need to attention about the vested rights of literature and the forming the legitimate line of succession concerning the Way of life and it means the conflict of the social value. The conservative party which was trying to protect the value of literature, and the new progressive stance to place the value of the Way of life studies above all else, were parting from each other in a grand display of divergence at the middle of the dynasty. Shin Heum displayed a positive acknowledgement toward the independent value of literature, as in their eyes Neo-Confucianism was coexisting with Buddhist and Taoist conditions at the time. Most of the Sa/Dae'bu figures of the early Joseon period, while being Neo-Confucian scholars in nature, associated themselves with Taoist practices and Buddhism without hesitation. 조선중기 사상사의 과제는 성리학의 사회적 위상에 대한 이해에서 시작되어야 한다. 그 이유는 전기와 후기의 조선사회를 이해할 수 있는 핵심적인 키워드인 ‘斯文’의 인식에 대한 변화가 중기에 진행되었기 때문이다. ‘文’의 독자적 가치를 유지하려 했던 노력들은 전기부터 지속되었는데 중기에 이르러서는 ‘道’의 가치를 최상에 위치시키려는 움직임 또한 확산되기 시작했다. 조선중기 ‘斯文’의 해석을 두고 벌어진 문과 도의 줄다리기는 전기와 후기 조선사회의 질적 변화를 설명하는 중요한 주제이다. 근본인 도학에 비해 상대적으로 말단으로 인식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문장은 事大交隣이라는 외교적 필요성에 의해 주목받았다. 공자가 강조했던 ‘文質彬彬’의 이상을 현실에서 실천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수단이 바로 문장이라는 생각이 조선전기 내내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었다. 신흠은 문장의 가치와 역할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가 조선 개국 초 이래로 지속되고 있던 조선중기의 대표적인 문장가이다. 조선중기 대표적인 문장가인 동시에 영향력 있는 사대부였던 신흠이 이러한 조선사회의 질적 변화에 대응하는 모습을 통해 전기와 후기의 성격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살펴볼 수 있다. 신흠은 송대 도통론이 성립되는 과정에서 일방적으로 배제되었던 소식의 문장과 그 가치에 주목했다. 성리학의 도통론이 성립되는 과정에서 문장에 대한 도학의 절대적 우위를 주창했던 程頤가 도통론의 핵심 인물로 설정되었던 반면 실제로 당시 사회에서 막중한 영향력을 지녔던 소식은 도학자들에 의해 의도적으로 배제되었다. 신흠은 조선중기 도학자들에 의해 제기되었던 소식의 문장에 대한 비판이 너무 일방적이고 협소하다고 반대했다. 신흠의 도문론이 도통론에 대한 文統論의 견해를 대변하는 것이라는 점에서 문장의 지속적인 기득권과 성리학의 확산에 기반한 새로운 도학의 창출이라는 사회적 가치의 충돌 문제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여기에는 조선전기 유학의 전통을 고수하려는 이들과 조선후기 새로운 성리학 전통을 만들어가는 이들의 사상적 분기가 근본에 자리하고 있다. 신흠이 보여준 문장의 독자적 가치와 그에 대한 긍정은 성리학의 心學化에 바탕한 유불도 삼교의 공존 및 포용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다. 조선전기 다수의 사대부들이 유학자임에도 불구하고 노장철학과 불교에 대한 이해 및 동질화의 태도를 보였던 모습을 조선중기 신흠에게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 KCI등재

        象村 申欽의 記文 硏究

        김광년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18 고전과 해석 Vol.24 No.-

        이 논문에서 필자는 象村 申欽의 기문에 대한 실제 분석을 통해 그 특징적 면모를 해명하였다. 신흠의 기문은 신흠의 작가적 개성을 뚜렷이 보여주는 동시에 조선중기 기문의 새로운 변모 양상을 보여주는 표본으로서도 가치가 높다고 할 수 있다. 탐색의 결과는 아래와 같이 요약된다. 첫째, 다양한 수사 기법을 활용하여 자구를 단련하고, 이를 통해 주제를 부각시켰다. 뿐만 아니라 다채로운 전고의 활용, 行文의 전환 등을 다양하게 활용하였다. 이러한 사실을 「樂民樓記」, 「崇賢書院記」 등의 작품에 대한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둘째, 다양한 議論을 통해 자신의 출처관을 드러냈다. 구체적으로 「穿井記」의 경우는 易理를 풀이하는 방법을 통해 자신의 초월적 출처관을 보여주었고, 「寄齋記」에서 老壯 思想을 통해 인생의 고난에 대한 초월 의지를 보여주었다. 이는 조선 중기 기문이 기존의 투식에서 벗어나 새로이 변화하는 모습이 반영된 결과이기도 하다. 한편으로 이들 작품들에서는 자구 단련을 통한 배비구가 빈번히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기문뿐만 아니라 신흠 산문에서 일반적으로 드러나는 특징적 면모라 해도 무리가 없을 것이다. This article explained the features of Shin Heum(申欽)'s ji(記) style works through analysis. Shin Heum's ji style works clearly shows his artist's personality, and it can be said that it is highly valuable as a sample showing the new changes of ji style prose of the mid-Joseon Dynasty. The results of the 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his works used various rhetorical techniques to train the wording, thereby highlighting themes. In addition, he utilized various methods such as the use of various techniques and the conversion of sentences. Second, he revealed his transcendental views on outing and retirement through various discussions, especially used the logic of I Ching(易經) and ideology of Taoism. This is also the result of the fact that the literature of mid-Joseon Dynasty has changed from the existing on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