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판넨베르그와 헤프너의 신학에서 바라본 신학적 인간학의 역할

        이신형(Shin Hyuing Lee)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0 선교와 신학 Vol.26 No.-

        본 논문이 논의하는 것은 신학적 인간론의 신학에서의 위치와 역할에 대한 것이다. 신학적 인간론이 신학의 주제인 신에 대한 진술에서 전제로 작용할 것인가 아니면 구성 원리가 되어야 하는가에 대한 가치 판단적인 논의를 하는 것이 논문의 주요한 내용이다. 논의를 끌어가기 위해서 신학적 인간론에 대한 두 가지 입장이 선택된다. 판넨베르그의 신학적 인간론과 헤프너의 신학적 인간론이다. 그러나 이 논문은 판넨베르그와 헤프너의 신학적 인간론에 대한 깊은 논의를 제공하지 않는다. 그것보다 이 논문이 관심하는 것은 그들의 신학적 인간론이 어떤 입장을 갖고 있는가를 탐구하는 것이다. 탐구하는 과정에서 신학적 인간론에 대해서 설명할 수밖에 없으나 설명 자체는 일차적인 관심에서 제외된다. 본 논문은 신학적 인간론의 신학의 위치와 역할에 대한 물음에 집중한다. 그리고 가치 판단을 한다. 그것은 보다 더 바람직한 것을 제시하기 위해서이다. 신학의 주제언 신에 대한 해명과 설명에 대한 전제로서 신학적 인간론이 바람직한 것인지 아니면 신에 대한 진술을 새롭게 구성하는 원리가 보다 더 바람직한 것인지를 제시한다. 필자는 신학적 인간론이 보다 더 바람직한 것이 되려면 구성 원리가 되어야 한다고 판단한다. 그것이 필자가 제시하는 것이다.

      • KCI등재

        마르틴 부버의 『나와 너』에 표명된 대화철학적 인간론 다시 보기 : 신학적 인간론과의 대화 가능성을 중심으로

        윤형철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022 생명과 말씀 Vol.34 No.3

        This study explores the possibility of dialogue between the anthropology of dialogue philosophy and theological anthropology by re-reading Martin Buber’s Ich und Du(I and You). Buber divides the dual ways humans treat the world into ‘I-It’ (Ich-Es) and ‘I-You’ (Ich-Du). He warned of the expansion of the world of ‘I-It’, which would lead to the destruction of impersonality by making others instrumental and objectified, and suggested reciprocal personalism of ‘I-You’ as an alternative to mitigate and correct it. Buber’s anthropology has points where it can overlap with theological anthropology: it corrects the mechanical and impersonal anthropology of modern times, emphasizes openness and love for others, raises alarms against modern inhuman behaviors that objectify and instrumentalize others, and calls for a fundamental transformation. Nevertheless, Buber’s anthropology has a fundamental limit to its application to Christian anthropology's thinking and discourse. First, Buber’s theory of God and religion, which emphasize the reality of religion,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Christian theology, which presupposes the transcendence of God, and consequently approaches panentheism. Second, Buber confines human attitude toward God to the dichotomous frame of ‘perception and presence,’ ‘propositional doctrine and personal fellowship.’ Third, unlike Christian anthropology, which accepts the total depravity of man and depends on God's sovereign work, Buber believes that the realization of true humanity depends on man’s free choice and ability to transform. Fourth, to Buber, Jesus was only a Jew who lived a prophetic life, not an object of faith who became incarnated as the triune God and accomplished redemption on the cross. This is fundamentally contrary to the theological anthropology, which explains what humans are only through the mediation of Christology. In conclusion, despite the relevance of the anthropological critical mind raised by Buber, his dialogue-philosophical anthropology allows contact with theological anthropology only in a limited range due to subtle or stark differences between Jewish and Christian beliefs. 본 연구는 마르틴 부버(Martin Buber, 1878-1965)의 『나와 너』 다시 읽기를 통해 대화철학적 인간론과 신학적 인간론과의 대화가능성을 타진한다. 부버는 인간이 세계를 대하는 이중적 방식을‘나-그것’(Ich-Es)과 ‘나-너’(Ich-Du)로 구분한다. 그는 타인을 도구화하고 대상화함으로써 비인격성의 파괴를 초래할 ‘나-그것’의세계의 확장을 경고하면서, 이를 완화하고 교정할 수 있는 대안으로 ‘나-너’의 상호적 인격주의를 제시하였다. 부버의 인간론은, 근대의 기계적이고 비인격적인 인간론을 교정하고, 타자를 향한 개방과 사랑을 강조하며, 타인을 대상화하고도구화하는 현대의 비인간적 행태에 경종을 울리며 근본적인 전환을 촉구한다는 점에서, 신학적 인간론과 중첩된다. 그럼에도, 부버의 인간론은 기독교 인간론의 사유와 담론에 원용되는 데에근본적인 한계를 보여준다. 첫째, 종교의 현실성을 강조하는 부버의 신론과 종교론은 하나님의 초월성을 전제하는 기독교 신학과중대한 차이를 보이며 만유재신론에 근접한다. 둘째, 부버는 하나님을 향한 인간의 태도를 인식과 임재, 명제적 교리와 인격적 교제라는 이분법적 틀에 가두고 대립시킨다. 셋째, 인간의 전적 타락을 받아들이며 하나님의 주권적 역사에 의존하는 기독교 인간론과 달리, 부버는 진정한 인간성의 실현이 인간의 자유로운 선택과 전환하는 능력에 달려있다고 믿는다. 넷째, 부버에게 예수는예언자적 삶을 산 유대인일 뿐 삼위일체 하나님으로 성육신하고십자가에서 구속을 이루신 신앙의 대상이 아니다. 이는 기독론의중재를 통해서만 ‘인간이 무엇인지’가 해명되는 신학적 인간론과근본적으로 어긋난다. 결론적으로, 부버가 제기한 인간론적 문제의식의 적실성에도불구하고, 그의 대화철학적 인간론은 유대교적 신념과 기독교적신념 사이의 미묘하거나 혹은 극명한 차이로 인해 제한된 범위에서만 신학적 인간론과의 접점을 허용한다.

      • KCI등재

        토마스 토렌스(Thomas Torrance)의 신학적 인간론에 대한 소고

        김학봉(Hakbong Kim)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21 선교와 신학 Vol.55 No.-

        본 논문은 토마스 토렌스의 신학적 인간론에 대해 탐구한다. 토렌스는 인간 존재를 하나님과 다른 인격들과의 상호 인격적 관계 안에서 그리고 관계를 통해 존재하고 살아가는 ‘존재-관계적 인격’(onto-relational person)으로 정의하면서 다양한 신학적, 과학적, 철학적 인식론의 이해와 활용을 통해 인간의 ‘존재-관계성’(onto-relationality)을 드러낸다. ‘관계’를 인간 인격에 필수 요소로 이해하는 토렌스의 인간론에서 고전적 인간 이해인 ‘하나님 형상 개념’은 관계적으로 해석되고, 이성과 개별성을 강조하는 왜곡된 인격 개념들은 거절되며, 인간의 지식과 존재의 본질을 비인격적이며 비관계적으로 이해하는 과학적, 철학적 사고들은 배제된다. 특별히 토렌스가 삼위일체 하나님이 인간과 맺는 인격적 관계를 인간의 ‘존재를 구성하는 관계’(being-constituting relation)로 이해하고 예수 그리스도를 그의 중재적 삶과 사역을 통해 인간을 인격화 또는 인간화시키는 ‘인격화시키는 인격’(personalizing person)으로 제시한다는 점에서, 논문은 그의 인간론이 관계 중심적이고, 그리스도 중심적이며, 삼위일체적 내용과 방향성을 지닌 신학적 인간론임을 드러내고 제시한다. 더불어, 관계 중심적 인간이해를 강조하는 토렌스의 인간론은 단지 교리적 해설에 머물지 않고 사회적, 윤리적 함의들을 가진 실천적 인간론임을 주장한다. This thesis explores the theological anthropology of Thomas Torrance. Defining the human being as an ‘onto-relational person’ who exists and lives in and through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 with God and other persons, Torrance reveals the human ‘onto-relationality’ through the understanding and utilization of wide theological, scientific, and philosophical epistemologies. In Torrance"s anthropology, which understands ‘relationship’ as an essential element of the human person, the classical understanding of humanity - ‘the concept of the image of God’ - is interpreted relationally, whilst the distorted concepts of person that emphasize reason and individuality are rejected, and scientific and philosophical thoughts that understand the nature of human knowledge and existence in impersonal and non-relational ways are excluded. In particular, Torrance understands the triune God’s personal relationship with humanity as a ‘being-constituting relation’ and presents Jesus Christ as the ‘personalizing person’ who personalizes or humanizes human beings in and through his mediatorial life and work. In this respect, the thesis reveals and suggests that his anthropology is a theological anthropology with a relation-centered, Christocentric, trinitarian content and direction in the utilization of various epistemologies. The thesis also asserts that Torrance’s anthropology, which emphasizes a relation-centered understanding of humanity, is not merely a doctrinal exposition, but a practical anthropology with social and ethical implications.

      • KCI등재

        다(多)문화사회의 관점에서 바라본 인간 - 삼위일체적 다(多)문화적 신학적 인간론의 모색

        백충현 ( Chunghyun Baik ) 한국개혁신학회 2019 한국개혁신학 Vol.64 No.-

        한 사회 안에서 외국인 거주자의 비율이 5%를 넘으면 “다문화사회(多文化社會, multi-cultural society)”라고 규정하는데, 한국은 2018년 말을 기준으로 체류외국인이 약 234만 명으로 전체인구 중에서 4.5%를 넘어섰다. 지금까지의 가파른 증가폭을 고려하면 조만간 체류외국인 비율이 5%를 넘어서서 다문화사회가 될 것이다. 그렇지만 다(多)문화에 대한 한국사회와 한국인들의 인식은 매우 열악하다. 여성가족부가 수행한 ‘국민 다문화 수용성 조사’에 따르면, 다(多)문화공존에 대한 찬성비율이 36%에 불과하여 유럽의 74%에 비하여 현저하게 낮다. 그러기에 한국 사회와 한국교회는 다(多)문화에 대한 인식을 크게 개선하여야 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논문은 “삼위일체적 다(多)문화적 신학적 인간론”을 모색한다. 먼저, 본 논문은 먼저 다(多)문화사회로 진입하고 있는 한국의 현황을 파악하고자 이와 관련된 여러 통계조사 자료들을 검토한다. 그런 다음에, 다(多)문화와 관련하여 성서적, 교회사적 등등의 논의들을 검토하면서 삼위일체적 다(多)문화신학을 개괄적으로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삼위일체적 다(多)문화적 신학적 인간론을 모색한다. 삼위일체 하나님 자신이 다(多)문화적이시며, 또한 이러한 하나님께서 창조하신 창조세계 전체가 다(多)문화적이다. 다(多)문화성 자체는 하나님의 본질과 특성일 뿐만 아니라, 인간과 사회의 존재의 원리이며, 또한 세계의 가능성과 당위성이다. 그러기에 인간의 정체성을 탐구하는 인간론도 또한 삼위일체적 다(多)문화적 인간론이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의 논의를 통하여 한국 사회와 한국 교회 안에 다(多)문화사회에 대한 인식이 개방성, 관계성, 다양성, 보편성의 관점에서 확산될 것이며, 이것은 한국 사회와 한국 교회를 정신적으로 더 풍성하게 하여 줄 것이다. 그리고 이것은 또한 한국 사회와 한국 교회의 오랜 적폐로 지적되어온 수직적 위계질서의 구조를 수평적 상호존중의 구조로 변화시켜줄 것이며, 이로 인하여 한국 사회와 한국 교회가 하나님 나라의 모습을 더 온전히 드러낼 수 있을 것이다. A multicultural society refers to a society where the number of foreign residents exceeds 5% of the whole population. At the end of 2018, Korea has around 2.34 million foreign residents, which was more than 4.5% of the entire population. Considering the steep increase until now, Korea would soon go beyond 5% in the number to be a multicultural society, However, an awareness about multiculture in Korean society and people is very low. According to a survey by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on ‘Korean Acceptance of Multiculture,’ only 36% of the whole pop-ulation agree to multicultural coexistence, which is markedly low in comparison to 74% in Europe. Thus Korean society and church are required to improve their awareness of multiculture greatly. Considering such a point, this paper tries to seek “a Trinitarian Multicultural Theological Anthropology.” First, it examines several statistical survey data to grasp Korean current situation in terms of multiculture. Then, while examining biblical and church historical discussions on multiculture, it provides an outline of a trinitarian multicultural theology. Finally, it goes further to seek a trinitarian multicultural theological anthropology. The Trinity is a multicultural God, and the whole world created by the Triune God is itself multicultural. Multiculture itself is the essence and characteristic of the Triune God, and it is also a principle of human beings and society. In this regard, multiculture is both possibility and appro-priateness of the world. Thus anthropology as an exploration of human identity should be also trinitarian and multicultural. This paper could contribute greatly to the spread of Korean awareness about a multicultural society in terms of openness, relation-ality, diversity, and universality, thereby enriching Korean society and church mentally. And it, in turn, could contribute much to solve deep-rooted problems of Korean society and church, by trans-forming their vertical hierarchy into horizontal structure of mutual respect in order that they might manifest the aspects of the Kingdom of God more fully.

      • KCI등재

        칭의와 성화 교리에 대한 여성신학적 재해석: 서린 존스(Serene Jones)의 여성신학적 인간학

        최유진 ( Yoo Jin Choi ) 한국조직신학회 2013 組織神學論叢 Vol.37 No.-

        여성은 인간인가? 하나님의 형상으로 남성과 동등한 인간으로 창조된 여성은 현실 세계에서의 성차별 경험으로 자신의 정체성과 인간됨에 대해 회의하고 고민한다. 지배적인 남성적인 담론에 의해 여성의 본성을 본질화하는 시도들은 여성들이 가진 인간으로서의 가치를 훼손시키고 여성의 행복과 복지를 가로막는 역할을 해왔다. 이런 본질주의에 반대하여 시몬느 드 보부아르의 주장“여자는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 지는 것이다”라는 진술의 기치를 따르는 구성주의자들의 도전이 예사롭지 않다. 여성의 본성이 타고난 자연스러운 것이며, 보편적인 것이며, 결정적이라는 본질주의와 이 본성은 지배 질서의 권력에 따라 사회문화적으로 구성되어온 것이기 때문에 언제나 유동적이고 변화 가능하다는 구성주의 간의 논쟁이 존재한다. 본고에서 소개할 여성신학자 서린 존스는 본질주의와 구성주의 양진영이 모두 일상 세계의 복잡성을 설명하는 데 실패했다고 본다. 그녀는 이런 일상의 복잡한 리얼리티를 고려하며, 여성주의 이론가들의 전략적 본질주의를 사용한다. 고착된 본질은 아니지만 정치적이고 실용적인 목적에 따라 본질을 상정하고, 그 본질이 상황에 따라 유동적일 수있다는 입장이다. 이런 여성주의 관점에 따라 그녀는 신학적인 종말론적 본질주의를 제안하면서 하나님께서 주신 구원의 비전에 따라 종말론적으로 열려 있는 인간이해를 제안한다. 특히 그녀는 종교 개혁 전통인 칭의와 성화 교리를 종말론적 본질주의적 관점으로 해석하여 그 순서를 바꾼다. 정체성의 경계 없이 타자로 살아온 여성을 위해 성화의 공간에서 먼저 정체성을 형성한 후, 칭의로 들어가게 함으로써 하나님의 구원의 은혜를 경험하게 한다. 본고에서는 그녀의 여성주의 관점에서 본 칭의와 성화 이론의 재해석 탐구를 위해 종교개혁/개혁교회 전통의 교리가 정체성 형성에 큰 역할을 한다는 것과 본질주의와 구성주의 논쟁을 통해 그녀 자신의 전략적 본질주의를 살펴보고, 전략적 본질주의를 신학적으로 전유한 종말론적 본질주의의 틀에서 본 칭의와 성화교리를 여성주의 관점으로 재해석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런 그녀의 시도가 한국교회 여성을 위해 어떤 유용성과 한계를 가지는지를 기술할 것이다. Is a woman a human? Is a woman who is equally created in the image of God just like a man, without suspicion and concern about her identity and her humanity? The essentialization of women`s nature by dominant male discourse, has damaged and has been harmful to women`s valuation as human. It has prevented women from being happy and flourishing. On the contrary, constructivists, following Simone de Beuvoir`s argument, “One is not born but becomes a woman,” challenge essentialists. While essentialists maintain that women`s nature is natural, universal, and determined, constructivists argue that women`s nature has been socially and culturally constructed by dominant power and thus it is fluid and changeable. This paper introduces Serene Jones who argues that both essentialists and constructivists camps fails to describe the complexity of daily life. Taking into account the normal complexity of life, she uses strategic essentialism suggested by feminist theorists. This position presents the nature of a woman is not a fixed essence but is fluid in accordance with political and practical goals in each context and situation. From this feminist perspective, she suggests that a theological eschatological essentialism, which is eschatologically open in accordance with the vision of salvation provided by God, is more accurate and useful. She reinterprets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and sanctification in the reformation tradition and thus changes orders them. For a woman who has lived as the other without the boundary of identity, Jones suggests that a woman be shaped in the place of sanctification and then enter into the place of justification in order to experience divine grace of salvation. To explore the reinterpretation of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and sanctification, this paper deals with how the understanding of doctrine in reformation tradition and reformed tradition influences the formation of one`s identity. It then describes the debate between essentialism and constructivism, and finally, Jones` position of, strategic essentialism. Furthermore, it explores her feminist reinterpretation of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and sanctification, by theologically appropriating strategic essentialism. Finally this paper describes the usefulness and limitations of Jones` studies for Korean church women.

      • KCI등재

        정(情), 하나님의 형상: 한국 여성신학적 인간론

        최유진 ( Yoojin Choi ) 한국조직신학회 2015 한국조직신학논총 Vol.41 No.-

        신학에서 말하는 인간이란 어떤 존재인가? 여타 세속 학문들이 말하는 인간에 관한 해명과 신학이 말하는 인간은 어떤 점에서 다른가? 신학적 인간학은 무엇보다도 고통 중의 인간을 규명하려는 노력이다. 왜냐하면 신학은 기본적으로 구원론적 관심으로 출발하기 때문이다. 인간은 신체적, 정신적, 영적, 관계적, 사회적, 구조적 고통 속에서 신음하면서 그 고통 속에서 해방되기 위해서 하나님을 찾는다. 다시 말하면 신학에서 말하는 인간은 고통 중에 그 고통에 저항하며 하나님을 향해 성장하는 존재이다. 본 소고는 다층적인 고통의 경험 속에서 인간이기를 포기하지 않고 인간으로 빚어지기를 매일의 삶 속에서 씨름하고 있는 한국 여성의 인간론을 기술할 것이다. 식민주의, 전쟁, 분단, 독재정권의 고통의 시기마다 한국 여성들에게 유교문화를 기본으로 한 성차별 경험은 다르게 각인되었다. 그러나 한국여성들은 고통의 경험 속에서도 정을 실천하는 삶을 살았다. 해방은 억압을 해체하는 것을 통해서만 이룰 수 있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은 흔히 정은 수동성과 무력함을 영속화시키는 것이라고 오해한다. 그러나 정은 수동적이거나 행위 주체성을 상실하는 행위가 아니다. 오히려 행위 주체성을 발휘할 수 없는 상황에 처해진 사람들이 행위 주체성을 실천을 할 수 있게 해준다. 만약 우리가 정이란 모든 생명체를 불쌍히 여기는 마음, 자신의 바운더리를 넓혀서 다른 생명들의 참된 삶(웰빙)에 예민해지는 마음이라고 정의한다면, 한국여성들이 일상 속에서 정을 구현해왔던 삶이 하나님의 형상을 구현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본고는 하나님의 형상과 정의 관계를 한국여성의 삶의 관점에서 추적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고는 한국학과 유가 사상에서 정의하고 있는 정개념, 포스트콜로니얼 이론과 후기 구조주의 관점에서 정 개념을 창의적으로 전유한 앤 조(Anne Joh)의 정 개념을 탐구한 후, 이레네우스, 어거스틴, 토마스, 바르트의 하나님 형상 이해에서 통전성, 역동성, 관계성의 개념을 정과 연결시켜 정을 하나님의 형상으로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일상적 실천을 강조하는 여성신학자들의 종말론적 본질주의적 관점에서 하나님의 형상인 정을 구현하는 인간을 기술할 것이다. From a theological anthropological perspective, a human who is crying for in the midst of four evils, physical, mental, spiritual, relational, social, and structural suffering seeks for God in order to be liberated from that suffering. In other words, what is a human being is a growing being against suffering in the midst of suffering and toward God. This paper describes Korean feminist anthropology for who struggles with being created without giving-up being a human in multiple suffering experiences. Experiencing suffering such as Japanese colonialism, Korean war, division of the country, dictatorship, combined with Confucian patriarchal culture, for Korean women sexism has differently been reinscribed in each period. However, they practiced jeong in the midst of suffering. For one who argues that we can gain liberation by deconstructing oppression, jeong is misunderstood as something to perpetuate passivity and helplessness. However, jeong is neither passive nor losing his or her agency. Rather it helps one who is situated in his or her agency practice it. In this context, we can say that Korean women``s embodyng jeong in their everyday life means embodying Imago Dei. If we defines jeong as compassionate heart with and for all life, as broadening our boundary and becoming sensitive to the wellbeing of other life, this paper traces the relation of Imago Dei with Jeong Korean from a Korean feminist perspective. For this, this paper explores the definition of jeong in Korean studies and Confucianism and the notion of jeong creatively appropriated by Anne Joh in the basis of postcololnial theories and post-structural theories. It then studies wholeness, dynamism, and relativenss in what Irenaeus, Augustine, Thomas, and Barth understand Imago Dei, relates them to jeong and suggests jeong as image of God. Finally, it describes jeong anthropology from an eschatological essentialist perspective of feminist theologians who emphasize everyday practices of jeong.

      • KCI등재

        Understanding Relationship between Body and Spirit through “Spiritual Body” as the Body of Christ

        Insoo Kim(김인수)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합신학대학원) 2020 신학논단 Vol.102 No.-

        본 논문은 몸과 영의 관계에 대한 재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몸과 영은 분리되어 있다고 생각하였는데, 이는 그레코-로만 사상 또는 (네오)플라토니즘에 기반한다. 그러나 필자는 몸과 영의 이분법적 이해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럴때, 인간에 대한 바른 이해를 정립할 수 있기 때문이다. 초기 기독교사상 또는 교리는 필자의 주장을 증명해 주는데, 특별히 칼케돈 기독론이 대표적이다. 그리스도의 인간된 몸과 신성은 위격적 연합(hypostatic union)을 이루고 있는데, 이를 통해 그리스도의 몸은 하나님의 영과 연합할 수 있다. 나아가 고린도전서 15장에서 바울은 몸과 영은 결코 분리될 수 없음을 논증한다. 그는 그리스도의 몸에 대해 설명하고자 영-몸(spiritual body)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면서 몸은 영과 분리될 수 없음을 강조한다. 몸과 영의 상호 관계성은 신학적 인간론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먼저 몸과 영이 상호 관계 속에 있음을 명확히 할 것인데, 바울 사상을 통해 그것이 가능하다. 둘째, 몸에 대한 철학적, 과학적, 미학적 연구를 살펴 본 후, 초기 기독교 사상에 등장하는 그리스도의 몸에 대한 이해를 살펴 볼 것인데, 이를 통해 몸과 영이 비이원론적 관계속에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끝으로 영의 의미와 역할에 대한 일반적 이해를 재고할 것인데, 여기서 성령은 몸과 떨어질 수 없음을 논증한다. 필자는 몸과 영이 비이원론적 관계 속에 있음을 주장하는데, 고대 교부들의 사상에서 그 근거를 찾았고, 현대적 논의와 접점을 찾음으로 신학적 인간론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추구한다.

      • KCI등재

        「영산신학저널」에서 바라본 영산신학의 내적 기조

        이신형(Shin Hyung Lee) 한국기독교학회 2014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94 No.-

        The Journal of Youngsan Theology is comprised of 151 articles that focus on a single individual’s religious ideologies. That individual is a pastor named Younggi Cho. The Journal has only one purpose to apologize for youngsan’s religious tenets. The interpreters of youngsan’s theology argue that youngsan theology is a God-centered theology, rather than human-centered. The interpreters of youngsan theology have endeavored to relate youngsan’s religious idea to reformation tradition and contemporary theology. To them, youngsan’s religious idea contains the elements that verify the sovereignty of God over the human need to search for him. As a result, they take youngsan’s religious ideas to prominent reformation figures such as Luther, Calvin, and most relevant contemporary thinkers such as Kierkegaard, Tillich, Pannenberg, and even Gardamer. In doing so, they persuade readers to accept youngsan’s theology as the relevant theology in relation to the reformation tradition and contemporary theology. I agree with them on the grounds that youngsan theology has elements that pertain to God-centered theology. Indeed, Youngsan theology has roots from the reformation tradition and is relevant to contemporary religious thinking. However, I disagree with their belief that the root of youngsan theology is mainstream reformation. Also, I do not see the relevance of youngsan theology for the contemporary theological situation lies in the mainline thinkers as they claim. I argue that the reformation roots of youngsan theology does not lie in the mainline reformers, but in Balthasar Hubmeier who initiated the anabaptist movement. It is my belief that the theology of Karl Heim is the source of the relevance of youngsan theology as the comtemporary circumstance. It is well known that Karl Heim applied the scientific understanding dimension concepts to the idea of God much like youngsan, which has unique concepts regarding the theological anthropology and the fourth dimension. I will verify the reformation roots of youngsan’s theology and contemporary thinking based on youngsan’s unique ideas, which is the main objective of this article.

      • KCI등재

        Jonathan Edwards’s Theological Anthropology: Focusing on the Comparison with John Calvin

        김도훈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22 선교와 신학 Vol.56 No.-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how Jonathan Edwards developed his distinctive theological ideas on human being while following the Reformed theology through the direct comparison between Calvin and Edwards. Edwards’s original concept of “disposition” is the basis of his theological anthropology. For Edwards, the human being is a “dispositional” being. The human being created in the image of God receives from God a “holy disposition,” which reflects not only God’s ontological divinity and holiness, but also God’s will and understanding. Corruption, for Edwards, is loss of this holy disposition, whereas regeneration is its recovery. The regenerate who newly receive a holy disposition should live a sanctified life, as a visible sign of regeneration in their life. While Edwards adopts Calvin’s understanding of regeneration and sanctification—that is, as a gradual and lifelong process—Edwards also uniquely demonstrates his own ideas on regeneration as an “immediate” phenomenon through which he implicitly emphasizes sanctification more than Calvin does. In this sense, Edwards’s anthropology is more intimately related to ethical values than Calvi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