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스마트폰을 사용한 운동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신체활동량 증가에 미치는 영향

        김학균 서울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소 2011 스포츠과학리뷰 Vol.5 No.2

        전반적인 산업의 발달은 인간에게 생활의 편리함 등 많은 이점을 가져다주었지만 반대 로 여러 가지 질병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신체활동량 저하, 운동부족 등 사회적 문제점 또한 야기시켰다. 이런 상황에서 산업발달의 산물인 스마트폰을 사용한 운동프로그램 이 대학생들의 신체활동량 증가와 운동참여도를 향상 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를 규명하는데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20대 초의 남, 여 대학생 7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A(대조군), B(스마트폰 집단), C(자가 체크 집단) 세 집단으 로 선정하였다. 실험절차는 실험 시작 전 모든 집단의 실제 기초신체활동량을 측정하 기 위하여 1주간 가속도계를 착용하였으며, 운동행동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설문을 실 시하였다. 2주차부터 운동에 관한 교육과 함께 ‘매일 30분 운동프로그램’을 실천하게 하여 스마트폰과 자가 체크를 통해 운동실행여부를 기록하게 하였다. 실험이 진행되는 5주차에 실제 신체활동량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가속도계 재 착용하였으며, 실험 종 료 후 운동에 대한 태도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운동행동변화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자 료처리는 SPSS version 1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ANOVA by repeated measure, t-test를 실시하였고, 유의수준은 p<.05로 하였다. 연구결과, 스마트폰 집단과 자가 체크 집단간의 운동 빈도수는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나, 운동행동변화에 있어서는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p>.05). 신체활동량의 사전, 사후 평균값은 대조군을 제외한 스마트폰 집단과 자가 체크 집단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대조군과 스마트폰 집단 간의 신체활동량 변화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스마트폰과 자가 체크 집단 간의 신체활동량 변화는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p>.05). 결론적으로, 신체활동량과 운동참여도를 증가시키는 변인으로써 스마트폰이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반적인 운동에 관한 교육과 목표 설정, 운동기록 등도 신체활동 량을 증가시키는데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스마트폰과 신체활동과의 관계를 이해하는 기초적 연구로, 향후 신체활동량을 지속적으로 증가시 키기 위해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에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변인들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며, 세부 변인들의 효과들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Objective: Increasing physical activity level is an important issue in industrialized countries to reduce the risk of common diseases and obesity. As dramatic changes in modern lifestyle, the new technology gives unique opportunities to overcome barriers of physical inactivity. Purpose: To identify the Smartphone application exercise program can increase physical activity level and exercise participation frequency of college students. Method: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of control (ExA, n=23), exercise with smartphone application (ExB, n=30) and exercise with self-recording diary (ExC, n=17). Before and after 6-week program, their physical activity levels were assessed and completed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IPARQ) and exercise behavior change questionnaire. Participants were encouraged to 30-min daily exercise and check their exercise frequency via smartphone and self-recording diary. Comparisons between groups were made using 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and t-test for exercise frequency. Result: The exercise frequency rate of smartphone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self-record group (26 times Vs. 16 times, p=0.039). The physical activity level of smartphone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ing with control group (p=0.037)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martphone group and self-record group (p=0.411). Conclusions: Smartphone exercise was a useful tool to increase in physical activity level and exercise frequency in college students. Self-recording dairy also can be used to promoting physical activity level. Future studies need to examine more exercise promoting content in smartphone application could resulting in increasing physical activity over the long term period.

      • KCI등재

        학령기 아동의 신체활동량에 따른 정서지능과 자기통제력이 스마트폰 의존행동에 미치는 영향

        강지훈,구봉진 한국스포츠학회 2020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8 No.3

        이 연구의 목적은 학령기 아동의 신체활동량에 따른 정서지능 및 자기통제와 스마트폰 의존행동과의 관계를 파악 함으로써 신체활동량의 중재효과를 알아보고 관련 변인간의 명확성을 밝히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학령기 아동 484명이 며, 조사도구로는 정서지능, 자기통제, 스마트폰 의존행동 설문지와 신체활동량을 측정하기 위해 보행계수기를 사용하였 다. 수집된 자료는 Window용 SPSS 20.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목적에 맞게 자료처리 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 면, 첫째, 신체활동량 구분에 따라 정서지능과 자기통제의 하위요인들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신체활동량이 많을 수록 정서지능과 자기통제가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스마트폰 의존행동에서는 아동의 신체활동량에 따른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신체활동량 하 집단의 정서지능과 자기통제의 하위요인들은 대부분 스마트폰 의존행동의 하위요인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신체활동량 중 집단은 정서지능의 하위요인들은 스마트폰 의존행 동에 부적 영향을 미쳤으며, 자기통제 하위요인들은 부분적으로 스마트폰 의존행동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다. 넷째, 신체활동량 상 집단의 정서지능과 자기통제의 하위요인들은 스마트폰 의존행동의 하위요인에 부분적으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of the Physical Activity on Emotional Intelligence, Self-control and Smart Phone Dependent Behavior in Children. A total of 484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physical activity was measured by pedometer. Also, physical activity were divided into 3 groups(Low group, Middle group, High group). In order to verify psychological factors, Emotional Intelligence, Self-control and Smart Phone Dependent Behavior Inventory were used. The statistical techniques used for the analysis by using SPSS WIN 20.0 ver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children with high levels of physical activity tend to have higher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control than those with low levels of physical activity, and have a negative effect on smartphone-dependent behavior. However, children with low levels of physical activity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ir dependent behavior on smart phones because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control are low.

      • KCI등재

        초등학생의 신체활동량 특성 분석

        류종식,강호율 한국초등체육학회 2019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2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 was to determine the physical activity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using a pedometer. For this purpose, 102 third grade (50 boys, 52 girls) and 157 sixth grade (89 boys, 68 girls) students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is investigation. PE-105 (Sinwoo Electronics, Korea) pedometers were used to record daily step counts. Students wore pedometers for seven days, including weekends, except while sleeping and taking shower or bath. The methods of Tudor-Locke & Myers(2001) were accepted for the determination of daily physical activity in this study..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ades (F=6.948, p<.01), and gender (F=31.104, p<.001.)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teraction between gender and grade (F=4.19, p<.05). Post-testing showed that boys in sixth grad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boys in third grade, and boys in third grad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girls in sixth grade.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ixth and third grade. 2)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hysical activity during the week and weekends in both the third (F=13.662, p<.001) and sixth grades (F=65.963, p<.001). 3)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ade (F=16.685, p<.001) and gender (F=36.109, p<.001) for the weekly physical activity, but only in the case of the weekend physical activit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exes (F=8.312, p<.01). In conclusion the average daily physical activity rat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about 11,000 steps/day. Boys have more physical activity than girls, and the upper grades have more physical activity than the lower grades. Also, there was less physical activity on weekend than on weekday. Thus, we should develop physical activity programs for girls and weekend physical activity programs to ensure sufficient physical activity for their health. 본 연구는 보수계를 이용하여 초등학생의 신체활동량 측정 후 분석하여 그 특성을 알아보고자 함에 있다. 이를 위해 G시에 위치한 초등학교 3학년 102명(남자 50명, 여자 52명)과 6학년 157명(남자 89명, 여자 68명)이 자발적으로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대상자들은 잠을 자거나 씻는 시간을 제외하고 항상 보수계를 착용하였으며, Tudor-Locke & Myers(2001)가 제안한대로 주말 이틀을 포함한 일주일 동안 연구대상자들의 신체활동량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결과는 이원배치분산분석(two-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상호작용이 나타났을 경우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신체활동량을 분석한 결과 일일 평균 신체활동량은 약 11,000steps/day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생의 남녀 간 신체활동량 차이를 분석한 결과 남학생의 신체활동량이 여학생의 신체활동량 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생의 학년 간 신체활동량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6학년의 신체활동량이 3학년의 신체활동량 보다 높게 나타났다. 넷째, 초등학생의 주중과 주말 신체활동량을 분석한 결과 주중 신체활동량이 주말 신체활동량 보다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고학년보다 저학년의 신체활동량이 낮게 나타났으며, 주중에 비해 주말의 신체활동량이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생의 건강과 체력 증진을 위한 충분한 수준의 신체활동량을 확보하기 위해 여학생을 위한 신체활동프로그램과 주말 신체활동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고 사료된다.

      • KCI등재

        성인지적장애인과 일반인의 신체활동량, 건강체력 및 심혈관질환 위험요인 비교

        양덕일 ( Deok Il Yang ),석민화 ( Min Hwa Suk ),임강일 ( Kang Il Lim ),신윤아 ( Yun A Shin ) 한국특수체육학회 2014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2 No.2

        본 연구는 20~40대의 지적장애인 37명과 동일한 연령의 일반인 32명을 대상으로 신체활동량 수준과 신체조성, 체력수준, 심혈관질환 위험요인에 대하여 비교분석하여 동일연령에서의 차이를 살펴보고, 신체활동량 부족에 따른 심혈관질환 위험요인을 분석하여 지적장애인들의 신체활동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신체활동량 증가를 위한 접근방법 및 필요성을 제기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신체활동량은 가속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신체조성 요인은 근육량, 체지방율, BMI, 허리둘레, 허벅지둘레, 종아리둘레를 측정하였다. 체력수준은 근력, 근지구력, 심폐지구력, 민첩성, 유연성을 측정하였고, 심혈관질환 위험요인으로 혈압, 공복혈당, HDL-C, LDL-C, 중성지방을 측정하였다. 첫째, 지적장애인과 동일한 연령의 일반인의 신체활동량, 신체조성, 체력수준, 심혈관질환 위험요인을 비교분석한 결과, 지적장애인이 일반인보다 보수와 고강도 활동량에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신체조성은 지적장애인이 일반인보다 근육량, 허벅지둘레, 종아리둘레에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체력수준은 지적장애인이 일반인보다 근력, 근지구력, 심폐지구력, 유연성, 민첩성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심혈관질환 위험요인은 20대는 지적장애인이 일반인보다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30대는 수축기혈압, 이완기혈압에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고, 40대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신체활동량과 체력수준, 심혈관질환 위험요인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신체활동량과 체력의 상관관계는 활동 칼로리량, 보수, 고강도 활동량은 각각 근지구력, 근력, 심폐지구력, 유연성, 민첩성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활동량과 심혈관질환 위험요인의 상관관계는 보수가 공복혈당, 총 콜레스테롤,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강도 활동량은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력과 심혈관질환 위험요인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근지구력은 수축기혈압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공복혈당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력은 수축기혈압,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공복혈당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폐지구력은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공복혈당, 중성지방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적장애인과 일반인은 신체활동량, 신체조성, 체력수준, 심혈관질환 위험요인에서 지적장애인들이 신체활동량과 더불어 체력수준이 저하되어 있으며, 이는 심혈관질환 위험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적장애인은 20대부터 신체활동량과 체력수준이 일반인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지적장애인의 신체활동 증진 프로그램을 위한 다양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ere comparatively analyzed physical activity level, body composition, physical fitness level, an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Subjects were 37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ID) in their 20s~40s and 32 adults without intellectual disability of the same age. The analysis was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age between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and activity lack. First, as result of comparing physical activity level, adults with ID had significantly lower steps and high intensity activity than adults without ID. As result of comparing body composition, adults with ID had significantly lower muscle mass, thigh circumference, and calf circumference than adults without ID. As result of comparing physical fitness level, adults with ID had significantly lower muscular strength, muscular endurance, cardiovascular endurance, flexibility, and agility than adults without ID. As result of comparing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adults with ID had significantly low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 the 20s, had significantly low systolic blood pressure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in the 30s, and were no significant values in the 40s. Second, As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physical activity and physical fitness level, the activity calories, steps, high intensity activities each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muscular endurance, cardiovascular endurance, flexibility, and agility had negative correlation. As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steps showed to have negative correlation with fasting blood glucose, total cholesterol,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and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High intensity activity showed to have positive correlation with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As results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physical fitness an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muscular endurance showed to have positive correlation with systolic blood pressure and had negative correlation with fasting blood glucose. Cardiovascular endurance showed to have positive correlation with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and negative correlation with fasting blood glucose and Triglyceride. Therefore, in physical activity, body composition, physical fitness level, an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low physical fitness level and physical activity showed that this gives significant influence to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both adults with ID and without ID. It was especially shown that adults with ID starting from their 20s have lower physical activity and physical fitness level than without ID. In this reason, various physical activity enhancement programs are thought to be required in early adults with ID.

      • KCI등재

        초등학생의 비만 유ㆍ무에 따른 주중과 주말 신체활동량 평가

        이연식,전혜자,김혜진 한국초등체육학회 2015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21 No.3

        이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동작가속도계를 이용하여 비만아동과 정상체중아동의 신체활동량 및 신 체활동 강도를 측정, 비교 분석하고 신체활동량과 아동비만과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강 원도에 위치한 A초등학교 고학년 59명을 대상으로 동작가속도계를 이용하여 4일 동안(목, 금, 토, 일) 평상시 신 체활동량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주중과 주말에 따른 비만아동과 정상체중 아동의 신체활동량 차이 및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t-test와 양류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성별에 따른 신체활동량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신체활동량(스텝수, 칼로리, 카운트)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활동 강도의 경우, 남학생은 중강도 활동이 많고, 여학생은 저강도 활동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중, 주말의 비교에서는 주중이 주말에 비해 신체활동량(스텝수, 칼로리, 카운트)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 활동 강도는 주중이 중강도 활동이 많고, 주말에는 저강도 활동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만아동과 정상 체중아동에 따른 신체활동량은 정상체중아동이 비만아동에 비해 신체활동량(스텝수, 카운트)이 많은 것으로 나타 났다. 신체활동 강도에서는 비만아동은 저강도 활동이 많았으며 정상체중아동은 중강도 활동이 많았다. 주중, 주 말의 비교에서는 비만아동과 정상체중아동 모두 주중에 신체활동량(스텝수, 칼로리, 카운트)이 많은 것으로 나타 났다. 신체활동 강도에서는 비만아동과 정상체중아동 모두 주중에는 중강도 활동이, 주말에는 저강도 활동이 많 았다. 결론적으로 초등학생의 신체활동량은 성별과 비만유무에 따라 주중과 주말에 차이가 있다. 여학생보다는 남학생의 신체활동량이 높으며, 주말보다는 주중의 신체활동량이 많다. 특히 남녀 모두 주중 신체활동량과 비만 의 관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아동들이 학교생활을 하는 평상시 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여학생 및 비만 아동들을 위한 다양한 후속 연구들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measured physical activity and intensity of physical activity for mormal weight and obesity elementary 5th and 6th graders with accelerometer,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ity and obesity.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59 elementary school students living in Gangwondo was a population sampled. This study classified and evaluated the record of accelerometer for 4 days(weekday and weekend). The results is as follows. At first, physical activity of male students was more than female students. Male students did moderate intensity activity mainly but female students did low intensity activity mainly. Comparative study on physical activity by weekdays and weekend, physical activity on weekdays was more than weekend. Secondly, physical activity of normal weight students was more than obese students. In intensity of physical activity, obese students did low intensity activity mainly and normal weight students did moderate intensity activity mainly. Comparative study on physical activity by weekdays and weekend, physical activity of both students on weekdays was more than weekend. In conclusion,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the amount of physical activity of elementary students on weekdays and weekend depending on gender and weight(normal and obesity). So various studies and programs will have to be developed for enhancement of physical activity of obese students.

      • SCOPUSKCI등재

        남성 사무직 근로자의 신체활동량 분석

        서구민 지역사회간호학회 2003 지역사회간호학회지 Vol.14 No.1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occupational and leisure-time physical activity(LTPA) in male office workers and to examine factors related to LTPA. Method: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226 male office workers, from eight work places located in Seoul, who had no physical restrictions. Minnesota LPTA Questionnaire (Taylor et al., 1978) revised by Kim(1997) was used to measure LTPA and revised Tecumseh Occup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Motoye, 1971) was used to measure occupational physical activit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4 to May 19, 2001 using a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with interviews and self repor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dows 10.0 Program.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mean level of physical activity was 8,716.9kcal/wk. The occupational physical activity was at 6,605kcal/wk(75.8%) and the level of LTPA was 2,111.4kcal/wk (24.2%). 2. Using 2,000kcal/wk as a base for categorizing LTPA as active or inactive,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94 subjects(41.6%) in the active group. 3. Subjects in their thirties had a lower level of LTPA than subjects in other age groups(F=3.484, p〈.05). Physical activity, selfefficacy (r=.405, p=.000) and perceived health status (r=.301, p=.000) were positively related to LTPA. 4. Participants in club activities had a higher level of LTPA than those who did not (t=-2.369, p=.020). Support for physical activity(r=.164, p=0.13) was positively related to LTPA.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to increase physical activity in male office workers, physical activity promotion programs should be established according to age and sex especially for those who are in their thirties and for women, and should include strategies strengthening support through peer groups and family, developing club activities and increasing physical activity self-efficacy.

      • KCI등재

        학교환경에 따른 중학생의 신체활동량 평가

        조성준(Sung Jun Cho),김혜진(Hyeoi Jin Kim)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13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15 No.3

        이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보도계를 이용하여 학교 내 신체활동량을 측정하고 학교 내에서 신체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학교 시설, 신체활동 프로그램, 학교 특성)과 신체활동량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수도권에 위치한 중학교 4개교를 할당 표집에 의해 선정하고 학교별로 환경 변인(체육시설, 교육과정, 학교특성)을 측정하였으며, 각각 1학년 1개 학급을 선정하여 2일에 걸쳐 보도계를 착용하게 하여 신체활동량을 측정하였다. 연구대상은 4개 학교 전체 139명(남자 76명, 여자 63명)의 학생이며, 학교 등교와 동시에 보도계를 착용할 수 있도록 하고 학교에서 생활하는 동안 지속적으로 착용하게 한 후 하교 시에 반납하게 하여 자료를 정리하였다. 측정된 자료는 오전시간, 점심시간, 오후 시간으로 구분하였으며, 윈도우용 SPSS 18.0을 사용하여 분석 하였다. 학교 환경 요인이 성별에 따라 신체활동량이 차이가 나는지 알아보기 위해 이원분산분석( two-way analysis of variance: two-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변인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양류상관분석(point-biserial correlation coefficient)을 실시하였다. 이 때 통계적 유의도 수준은 α=.05로 설정하였다. 결과에 따르면, 학교 환경 요인 가운데 ‘학교시설’은 운동장의 크기가 클수록, 또한 체육관이 존재하는 학교에서 보행수가 높게 나타났다. 특히 남학생의 경우, 이러한 체육시설이 점심시간의 보행수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과정’ 요인에서는 시간 외 신체활동 프로그램 여부에 따라 남학생의 경우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존재하는 학교에서 보행수가 높은 반면, 여학생의 경우는 없는 학교에서 보행 수가 높았다. ‘학교특성’은 교사 당 학생 수에 따라 35명 미만인 학교에서 보행 수가 높았으나 여학생의 경우 35명 이상인 학교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신체활동량(스텝수)과 학교환경에 따른 상관분석 결과에 따르면, 남학생은 체육시설 및 수업 시간외 신체활동 프로그램, 학생 수와의 상관이 높게 나타났으나, 여학생의 경우에는 체육시설만이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전반적으로 학교에서의 여학생과 남학생의 기본적인 신체활동량은 차이가 있으며, 이러한 차이는 학교환경이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추후 청소년들의 신체활동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다양한 신체활동 학교환경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physical activity using a pedometer, grasp environmental factors that have a influence on physical activity and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factors and physical activity to middle school students in school. To achieve this purpose, four middle schools located in capital area were selected by means of sampling method and measure the environmental index in accordance with environment factor among schools. Among the environment factors that may affect physical activity, the environment factors divided into 3 area such as physical training facilities, physical activity program and characteristic of school. Every area evaluate the environment by selecting school based on sub-component and measured the amount of physical activity using walk inductometer "Walking style HJ-720IT made by Omron". In amount of physical activity according to gender and environmental factors, the larger playground and gyms they had, the more steps they walk for both boys and girls. In case of school with physical activity program besides school hours, boys had more steps than girls whereas girls walked more than boys in school without physical activity program. The number of classes made no difference in gender but girls walked a lot on the day in school where has over 35 students. Saturday sports program had no effects on both boys and girls, also,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boys and physical program besides school hours. Both boys and girls were not a correlated with classes, but, a small number of students had a effect on steps for boys. In conclusion, the amount of physical activ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is closely related to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middle school. Therefore, we need to consider and search the direction of program in school environmental aspects to increase the amount of physical activity.

      • KCI등재

        청소년기 여학생의 학교 내 신체활동 평가기준치 설정

        김혜진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18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2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amount of physical activity and to establish norm-refer- enced criteria of physical activity of adolescent girls. For the purpose of this, daily physical activities were measured by the accelerometer in hour and day for the female adolescents. The number of steps and exercise intensity were obtain from the accelerometer, and these data were analyzed by independent t-test with the statistical package SPSS 20.0. As results, there was marked difference between week and week- end in physical activity for girls. The youth of middle school did moderate to vigorous exercise in in- tensity for about 50 minutes, but the high-school female students did it for not more than 15minutes. Therefore, all of the middle-school and high-school girls have not satisfied the guideline of physical activ- ity as defined more than 60min moderate to vigorous physical activity. During the class of physical edu- cation the middle-school girls do physical activities two times more than the high-school girls. According to the physical activity guideline, the dose of physical activity after school was very lower than during the physical-education class. These results imply how to teach adolescent for appropriate dose and intensity of physical activity and to give effective feedback in the field of school. 이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기 여학생들의 신체활동량을 파악하고 , 신체활동량 기준치를 설정하는 것이 목적이다 . 이를 위해가속도계를 활용하여 중 , 고등학교 여학생들을 대상으로 일주일간의 신체활동량을 측정하였으며 , 요일별 , 시간대 ( 체육시간 ) 별신체활동량 ( 스텝수와 운동강도 ( 분 )) 을 평가하였다 . SPSS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 , 집단간 차이검증(t-test) 을 실시하고 5 단계 상대평가 기준치를 작성하였다 . 결과에 따르면 , 여학생들의 신체활동량은 주중과 주말에 큰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 학교급에 따라서도 주중과 주말 , 그리고 체육시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 . 중학생이 고등학생에 비해 2 배이상 많은 신체활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운동강도는 중학생은 중고강도 활동이 평균 50 분 정도를 보이고 있지만 고등학생의 경우 15 분 내외를 보이고 있다 . 두 집단 모두 신체활동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한 60 분 중고강도 활동에 못 미치는 결과이다 . 또한 스텝수를 이용하여 ‘ 매우높음 ’, ‘ 높음 ’, ‘ 보통 ’, ‘ 낮음 ’, ‘ 매우낮음 ’ 의 5 단계 상대평가 기준치를제시하였다 . 신체활동량 기준치에 따르면 , 체육시간의 경우 중학생이 고등학생에 비해 약 2 배 정도 높은 기준치를 나타내고있으며 , 주중 신체활동량은 고등학생이 중학생에 비해 4 배 이상 낮은 기준치를 나타내고 있다 . 고등학생의 경우 매우 적은신체활동량을 보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학교 현장에서 여학생들을 지도할 때 적정 신체활동량및 신체활동 강도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며 , 추후 여학생들의 신체활동량을 증진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

      • KCI등재

        신체활동량, 정서지능, 삶의 의미가 여대생의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동일,문경지,한경훈 한국청소년학회 2019 청소년학연구 Vol.26 No.3

        본 연구는 여대생 155명을 대상으로 여대생의 신체활동량, 정서지능, 삶의 의미가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주요 변인으로 신체활동량, 정서지능, 삶의 의미,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포함되었다. 변인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t 검증, 상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스포츠에 참가한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신체활동지수가 높고 주관적 건강상태, 정서지능, 삶의 의미,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든 주요 변인들 간의 유의한 정적 상관을 확인하였다. 주관적 건강상태와 신체활동량, 정서지능, 삶의 의미를 차례로 투입한 위계적 회귀분석결과, 모형 순서에 따라 설명력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여대생의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실질적인 신체활동과 더불어 심리학적 요인인 정서지능과 삶의 의미가 주요하게 영향을 미침을 시사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여대생의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신체활동량 그리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변인들에 대해 논의하였고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The pro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hysical activity, emotional intelligence and meaning in life on physical self-efficacy in female college students. A total of 155 subjects completed a survey that consisted of measures of physical activity, emotional intelligence, meaning in life, and physical self-efficacy as main variables. For data analysis, independent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2.0. The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sports showed higher physical activity index, subjective health status, emotional intelligence, meaning in life, and physical self-efficacy than those non-participated in sports. There a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all the main variables. For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physical activity, emotional intelligence, and meaning in life were added in turn 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odel’s predictive power increased according to the model ord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emotional intelligence and meaning in life in addition to actual physical activity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hysical self-efficacy of female college students.

      • KCI등재

        학령기 아동의 신체활동 장애요인 및 증진요인 탐색과 신체활동량에 따른 인식 비교

        이준석,강지훈 한국초등체육학회 2016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22 No.2

        이 연구는 향후 학령기 아동의 신체활동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신체활동 장애요인 및 증진요인탐색과 신체활동량에 따른 인식 비교를 실시하였다. 참여한 연구대상은 학령기 아동 295명이며, 이 가운데 심층면담 참여자는 20명이었다. 학령기 아동의 신체활동량을 측정하기 위해 보행계수기를 사용하였고, 신체활동 장애요인 및 증진요인을 탐색하기 위해 개방형 질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 중 신체활동량은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류하였고, 개방형 질문 자료는 귀납적 범주분석을 실시하였다. 이후, 신체활동량이 높고 낮은 아동 가운데 자발적 면담참여자에 한해 반구조화 면담을 실시한 후 녹취하였고, 워드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전사작업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신체활동 장애요인에 대한 개방형 반응은 총 892개로 나타났으며, 대중매체, 학업, 생활태도, 정신, 주변 환경, 신체저하 순으로 6개의 일반영역 주제로 범주화되었다. 신체활동 증진요인에 대한 개방형 반응은 총 772개로 나타났으며, 직접적 신체활동, 주변 환경, 마음가짐, 생활습관 개선 순으로 4개의 일반영역 주제로 범주화되었다. 심층면담 결과로서 신체활동량이 높은 아동들은 신체활동 참여와 운동을 긍정적으로 인식하였고, 부모와의 신체활동 참여기회를 통한 유대감 형성, 대중매체에 조절에 대한 부모와의 약속이행 등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반면에 낮은 아동은 신체활동 회피와 운동을 부정적으로 인식하였고, 운동참여로의 물리적 및 인적환경의 부재, 대중매체 사용 증대, 부모와의 신체활동 참여기회부족 등이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eline data for physical activity promotion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by comparing their recognition toward physical activity barriers and promotion factor according to physical activity levels. The research method of this study is as followed. A comptometer was used to measure the levels of physical activity. A opened questionnaire was employed to collect data on phsical activity barriers and promotion factors. A statistical computer program was utilized to classify physical activity level of the study subjects. An inductive contents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e data collected. An unstructured interview was performed for those subjects with voluntary will to participate in the interview. All the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the data collected was encoded using word processor. The result revealed 892 physical activity barriers, which were classified as mass media, school work, daily habit, mentality, physical environment, and physical deterioration. The result showed 772 physical activity facilitators, which include direct physical activity, physical environment, lifestyle improvement, and mind set. As for the results of in-depth interviews, children with high physical activity levels were aware of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and physical activity positively, recognizing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with their parents as an opportunity to create rapport with others and to keep their promise to control mass media usage with their parents. Children with low physical activity levels recognized physical activity avoidance and physical activity negatively, revealing the absence of physical as well as human environment, elevated mass media usage, and the lack of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with par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