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여성의 외모에 관한 코퍼스 분석 - 신체 및 신체 변형에 관한 뉴스 기사 분석을 중심으로 -

        안진현,하지수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9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9 No.2

        한국 여성들은 전례 없이 외모를 중시하는 사회 속에 살고 있다. 아름다운 외모에 관한 이미지는 시각문화 로 공유되면서 여성들에게 중요한 가치로 자리 잡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 사회 전반에 걸쳐 사회·문화를 반영하고 동시에 사회·문화에 영향을 주는 이데올로기를 형성해온 미디어 속에서 한국 여성의 신체와 신체 변형에 대한 언어적 표현을 수집하고 신체 변형의 어휘적인 특징과 의미를 연구하는 코퍼스 분석을 통해, 한국 여성의 외모를 규정하는 언어적 현상을 실증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2000년부터 2017년 뉴스 기사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 여성의 신체 및 신체 변형에 관한 코퍼스를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 째, 한국 미디어는 여성의 신체 각 부분에 대하여 이상적 이미지가 구체적으로 드러나며, 신체 변형에서는 새로움을 추구하고 변화하는 패션의 속성이 나타나고 있었다. 미디어에서 나타나는 여성의 신체 변형에 관한 다양한 보도들은 여성이 신체 변형을 익숙하게 받아들이도록 함으로써 신체 변형이 타고난 외모를 훼손하는 행위가 아니라 앞으로의 외모를 위해 관리하는 행위로 인식되는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미디어에 나타난 여성의 신체 및 신체 변형에 관한 어휘적 의미는 가치 획득, 소비와 투자, 유행과 정보, 효율과 효과, 세분화, 반작용과 다변화, 판단과 평가, 자기관리의 일상화, 성적 대상화, 사회 문제의 비판 및 개선으로 범주 화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외모의 개념, 의미, 속성으로 계층화된 외모 텍사노미를 도출하고 이를 기준으로 대량의 텍스트에서 외모에 관한 언어 행위를 확인하고자 하며, 언어 현상으로부터 신체와 외모가 갖는 중요 성을 확인하는 의류학의 향후 관련 연구의 확장을 도모하고자 한다. 또한 한국 사회에서 여성의 외모를 이루 는 신체와 신체 변형에 대한 수식과 표현을 수집한 실증적 연구이자, 미디어에 나타난 현대 한국 여성들의 외모 기준을 언어적 차원에서 제시할 수 있는 자료가 될 것이라 기대한다. Korean women are living a life in a society where much unprecedented emphasis is put on appearance. Images of beautiful looks are being shared with women as the visual culture and established as significant values to them.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empirical linguistic phenomena that define Korean women's appearance through corpus analysis which investigated how linguistic expressions are used for the body and body modifications of women and lexical characteristic and meaning of body modification in the media both reflecting society and culture and influencing them at the same time throughout the Korean society. The followings are a summary of the results of the Corpus analysis on the body and body modification of Korean women based on news articles analysis from 2000 to 2017. First, Korean media showed an ideal image of a female body by part and the body modification revealed an attribute of fashion changing and pursuing the new. A variety of reports about women's body modifications in the media have influenced women's acceptance of body modifications so they are perceived as management for future appearance, rather than damaging their innate appearance. Second, lexical meanings of the female body and body modification in media could be categorized into value acquisition, consumption & investment, fashion & information, efficiency & effect, segmentation, reaction & diversification, judgment & evaluation, routine of self-management, sexual objectification, criticism and improvement of social issues. This study derived the taxonomy of appearance stratified by its concept, meaning and attribute, based on above, identified speech acts of appearance from a large quantity of texts, so intends to expand the range of research that discovers the importance of body and appearance they have in studies of clothing and textile from linguistic phenomena. It is also an empirical research that collects the modifications and expressions of the body and body modification composing the appearance of women in Korean society, and it is expected to be a material to suggest contemporary Korean women’s standard of appearance from a verbal dimension.

      • KCI등재

        노인 척추 변형 환자의 수술적 결정

        김용찬(Yong-Chan Kim),주형석(Hyung-Suk Juh),이근호(Keunho L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19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4 No.1

        전 세계적으로 노인 인구는 급증하는 추세이며 노인 척추 변형 환자에 대한 변형 교정 수술도 점점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노인 환자들을 대상으로 척추 변형 교정 수술 시 합병증을 줄이기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들, 그리고 수술 후 좋은 임상적인 결과를 예측하기 위한 객관적인 인자들에 대해 아직 많은 논의가 되지 않았다. 노인 척추 변형 환자에서 수술 전 고려해야 될 사항으로 Cumulative Illness Rating Scale for Geriatrics 및 Charlson Comorbidity Index scores 등의 지표를 이용하여 내과적 동반 질환을 확인해야 한다. 이들 지표는 술 후 합병증의 발생률과 연관이 있으며 수술 전 내과적인 질환을 조절하여 이 지표 수치를 낮춘 이후 수술을 시행할 경우 합병증을 줄일 수 있다. 두 번째, 수술 전 골밀도 검사를 시행하여 골다공증의 정도를 확인해야 한다. 심한 골다공증이 동반된 노인 척추 변형 환자의 경우 기기술과 관련된 합병증을 줄이기 위한 여러 가지 수술적인 기법들이 알려져 있으며 수술 전 골형성 유도제를 사용하여 골밀도를 교정하는 방법도 시도해볼 수 있다. 세 번째, 전 신체 시상학 정렬을 고려해야 한다. 노인 척추 변형 환자에서 고관절, 슬관절 등의 하지 관절의 퇴행성 변화와 변형을 동반하고 있는 경우가 흔하며 또한 척추의 변형이 보상작용으로 하지 관절의 변형을 일으키기도 한다. 최근 전 신체 시상학 정렬이 이전 사용되었던 척추나 골반에 국한된 지표보다 임상적인 상태를 더 잘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변형 교정 수술 시 전 신체 시상학 정렬을 고려하여야 하겠다. 결론으로 노인 척추 변형 환자에서 변형 교정 수술을 시행할 경우 내과적인 동반 질환, 골다공증의 정도를 확인하여 합병증을 줄이기 위해 수술 전 미리 교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교정 수술 시 골반이나 척추에 국한된 지표에 비하여 임상적인 상태를 더 잘 예측할 수 있는 전 신체 시상학 정렬을 고려해야 한다. Globally, the elderly population is increasing rapidly, which means that the number of deformity correction operations for elderly spine deformity patient has increased. On the other hand, for aged patients with deformity correction operation, preoperative considerations to reduce the complications and predict a good clinical outcome are not completely understood. First, medical comorbidity needs to be evaluated preoperatively with the Cumulative Illness Rating Scale for Geriatrics or the Charlson Comorbidity Index scores. Medical comorbidities are associated with the postoperative complication rate. Managing these comorbidities preoperatively decreases the complications after a spine deformity correction operation. Second, bone densitometry need to be checked for osteoporosis. Many surgical techniques have been introduced to prevent the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posterior instrumentation for osteoporosis patients. The preoperative use of an osteogenesis inducing agent – teriparatide was also reported to reduce the complication rate. Third, total body sagittal alignment need to be considered. Many elderly spine deformity patients accompanied degenerative changes and deformities at their lower extremities. In addition, a compensation mechanism induces the deformed posture of the lower extremities. Recently, some authors introduced a parameter including total body sagittal alignment, which can predict the clinical outcome better than previous parameters limited to the spine or pelvis. As a result, total body sagittal alignment needs to be considered for elderly spine deformity patients after a deformity correction operation. In conclusion, for elderly spine deformity patients, medical comorbidities and osteoporosis need to be evaluated and managed preoperatively to reduce the complication rate. In addition, total body sagittal alignment needs to be considered, which is associated with better clinical outcomes than the previous parameters limited to the spine or pelvis.

      • KCI등재

        한국인의 신체관과 문신문화

        김가현,하지수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8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8 No.1

        한국은 역사적으로 자체적인 문신문화가 없는 국가이지만 현대사회에 들어서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문신이 패션의 한 형태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 타투이스트와 같은 비의료인에 의한 문신 시술은 불법이며 문신을 한 사람에 대한 사회적 시선 또한 부정적인 경향이다. 이러한 사회적 제약의 배경에 대해 본 연구에서는 사회 전반적으로 퍼져있는 신체관에서 그 근거를 찾아보았다. 한국인의 신체관과 문신문화를 사적으로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문신은 고대부터 현대까지 전 시대 동안 모두 타국으로부터 받아들인 문화로 자국만의 깊이 있는 문신문화가 존재하지 않았다. 때문에, 문신을 하는 사회문화적 의미가 충분하지 않으며, 몸을 깨끗이 유지해야 한다는 전통적 신체관을 지닌 한국인에게 문신은 그저 신체를 훼손하는 부정적인 행위로 받아들여졌다. 둘째, 한국에서의 문신은 가리고 싶거나 가려야만 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그간 한국은 문신문화가 발달하지 않은 국가로, 문신의 심미성에 대한 이해가 역사적으로 없었다. 이에 기존의 ‘낙인’ 이라는 사회적 의미를 벗어나 하나의 패션으로 받아들여지는 중간과정이 부재하다. 셋째, 한국에서 문신의 유행과 잔존해있는 부정적인 인식의 대립은 내재된 신체관의 약화로 결론지을 수 있다. 과거에는 국가적 통제가 필요 없을 만큼 개인들의 유교적 신체관이 확고했기에 자의로 신체를 변형하는 현상이 적었지만 현재는 규제가 등장할 만큼 문신 인구가 늘고 있다. 이는 유교적 신체관이 강하게 남아있는 기성세대와 비교적 그 강도가 약한 신세대 간의 갈등으로 볼 수 있겠다. 따라서 이러한 배경을 지닌 한국 사회에서 문신을 패션으로 받아들이게 되는 단계까지는 오랜 시간이 걸릴 것으로 사료되며, 현재는 그 과도기라 할 수 있다. In the modern Korean society, tattoo is considered as a form of fashion or self-expression among the young generation, although Korea hasn’t had tattoo culture in the history. However, it is illegal to get a tattoo by non-medical personnel such as a tattooist, and the society tends to have prejudice toward tattooed people. This study found grounds for these social limitations from the body philosophy deep-rooted in society at large. The findings of the historical review on the Korean body philosophy and Korean culture of tattoo are as follows. First, in the Korean history, tattoo has been foreign culture all the time, and there is no indigenous tattoo culture. Thus, for Korean people with traditional body philosophy, sociocultural meaning of the practice is not sufficient, and only negative sense that tattoo is one of the acts mutilating the body remains. Second, tattoo has been considered as a secret that has to be covered or a mark that everyone wants to hide. So far, Korean tattoo has only had social meaning of ‘stigma’ and has never been understood as ‘art’; therefore, accepting it as ‘fashion’ all of a sudden has been difficult for Korean people. Third, conflict between today's tattoo fashion and remaining negative sense can be interpreted as weakening of inherited traditional philosophy on body. In the past, because of individuals’ firm traditional value, few people did body modification, so social control on tattooing didn’t exist. However, population with tattoo has been increasing insomuch that there are regulations nowadays. This phenomenon can be seen as a generation discord between the older generation with strong Confucian value on body and the new generation with rather fragile value. In such a society, it will take time to adopt tattoo as fashion, and the conflict can be interpreted as a transitional phenomenon.

      • KCI등재

        현대미술에 함의된 ‘몸’ 연구

        양경식(Yang Kyeong Sig) 한국미술교육학회 2016 美術敎育論叢 Vol.30 No.4

        이 논문은 현대미술에 함의된 몸에 관한 연구다. 우리가 지금 왜 몸을 논해야만 하는지 몸에 관한 철학적 담론을 근거로 정신에 비해 열등한 대상으로 취급받아 왔던 몸을 다시 제고할 것이다. 몸은 우리의 존재와 사유의 근거임에도 불구하고 오랫동안 부정적인 대상으로 간주되어 왔다. 그러나 이제 몸은 정신에 종속되는 관계를 벗어나 철학이나 미술을 비롯한 많은 분야에서 새로운 관심사로 부상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 새롭게 부상하는 몸이 미술의 영역에서는 어떻게 작용하며 전개되어 왔는지 살펴볼 것이며, 1960년대부터 20세기 말까지 진행된 신체미술은 ‘특정한 장소로서의 신체’, ‘개념적 성격의 신체’, ‘페미니즘과 신체’로 분류하여 논의를 진행할 것이다. 이후 21세기에 들어서면서 몸은 성형되고 변형되고 인공기관과 결합되는 등 놀라운 변화를 겪게 된다. 디지털 혁명과 유전자 공학에 힘입어 인간은 더이상 이성을 근간으로 하는 인간주체가 아니라 새로운 형태의 인간 이해를 요구하고 있으며 신체는 계속 수정되고 있다. 이른바 포스트휴먼 시대가 도래 한 것이다. 이처럼 몸에 가해지는 다양한 시술들이 사소한 일상처럼 느껴지는 포스트휴먼 시대에 예술가들이 몸을 다루는 방식과 해석은 과거와 어떻게 다른지 신체 경계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논의할 것이다. 또한 신체변형 미술에 관한 작업사례를 제시하여 포스트휴먼 시대의 신체는 우리에게 어떠한 것들을 수용하고 융합하게 하는지 알아 볼 것이다. The main purpose is to investigate the physical body inherent in contemporary art. For the current study, two questions are raised: 1) Why we discuss the body at current arts and 2) What is the real value of body arts. It is true that body arts is inferior to mind counterparts from a philosophical discourse. For a long time, to deal with a physical body is not a welcoming subject treating it as a negative subject at best from a reasonal aspect. However, getting over the traditional thoughts which put the mind and reasons over the physical body, the physical body is becoming a main subject from a philosophical and visual art point of view. The current study is to examine what is the thing which affects the newly emerging physical body arts and how it is developed in the visual art field. For this study, we examine the body arts which are made a progress from the 1960’s to the 1990’s. The subject of current study is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body as specific site, body as conceptual framework, and feminism and body. Later, with beginning of the 21st century, the arts in dealing with physical body go through great changes into the new areas: plastic surgery, body distortion, and prosthesis surgery. Along with digital revolution and genetic engineering, human being is no longer entity just based on rational reasons. Instead, human investigation into a new phase of human relationship with physical body witnesses its modification. With the idea of post-modern, this paper discusses new perspectives about artists’ interpretation and working on body parts as their subject during post-human era. In addition, the more focus of the present study goes on to visual art works on distorted body art followed by the discussion on in what way they present physical body in post-human era.

      • KCI등재후보

        간호학과 학생의 신체변형장애에 관한 연구

        김지욱(Jee-Wook Kim),김수영(Soo-Young Kim),강문희(Moon-Hee Gang),이선우(Sun-Woo Lee),김정란(Jeong-Lan Kim),왕성근(Seong-Keun Wang),신윤오(Yun-O Shin),이태경(Tae-Kyung Lee),지익성(Ik-Seung Chee)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2007 생물치료정신의학 Vol.13 No.2

        Objectives: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prevalence, characteristics and comorbidity of BDD in Korean nurse college students. Methods:Korean versions of BDDE-SR, MOCI, BDI, SES, LSAS were applied to 607 Korean nurse college students. Results:1) Five factors were extracted in BDDE-SR by factor analysis with the Varimax rotation. They were‘preoccupation, distress, embarrassment factor’,‘avoidance factor’,‘checking, comparing, camouflaging factor’,‘dissatisfaction factor’,‘importance factor’. 2) Sex differences in dissatisfied body parts on whole body, head hair, whole face, genitals, breasts were significant by chi-square test. 3) Eighteen participants(2.97%) were satisfied with DSM-IV criteria A and B of body dysmorphic disorder(BDD group). 4) The most dissatisfied body part was entire leg, eye, nose, waist-abdomen, calves in BDD group. 5) Differences between BDD group and non-BDD group on age and weight were significant by Mann-Whitney U-tests. 6) Differences between BDD group and non-BDD group on BDI, MOCI, LSAS-anxiety scale, LSAS-avoidance scale, SES were significant by Mann- Whitney U-tests. 7) Differences between men and female on BDDE-SR factor 1, BDDE-SR factor 2, BDDE-SR factor 3, BDDE-SR total factors, LSAS-avoidance scale were significant by Mann-Whitney U-tests. 8)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ost contributing variance toward the total factor score of BDDE-SR of participants was BDI, and others were BMI, LSAS-anxiety scale, age, MOCI, SES in order of contribution. Conclusion:Our results indicate that BDD is a common disorder and is highly associated with depression, anxiety,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symptoms, poor self-esteem. The authors suggest that future researches should be directed to obtaining clinical data of the patients with BDD. 목적 : 저자들은 대전지역 간호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신체 변형장애의 임상 특성과 관련 심리적 변인을 알아보기 위해 연구하였다. 방법 : 한국판 신체변형장애 척도, 한국판 Maudsley 강박행동 질문지, 한국판 Beck 우울증 척도, 한국판 자아존중감 척도, 한국판 Liebowitz 사회 불안 척도를 607명의 간호학과 학생에게 시행하였다. 결과 : BDD군은 18명(2.97%)이었으며 가장 마음에 들지 않는 신체 부위로 다리 전체, 눈, 코, 허리-배, 종아리 순을 보고하였다. non-BDD군보다 BDD군에서 우울감, 강박증, 자존심 저하, 사회 불안-회피 성향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간호학과 학생 전체를 대상으로 신체 변형장애 성향에 가장 영향을 주는 변인은 우울감이었으며 BMI, 사회 불안 성향, 연령, 강박증, 자존감 순이었다. 여학생의 경우 신체변형장애 성향에 영향을 주는 변인은 우울감, BMI, 사회 불안 성향, 연령, 강박증, 자존감 순이었다. 남학생의 경우 신체변형장애 성향에 영향을 주는 변인은 우울감, 강박증 순이었다. 결론 : 본 연구는 향후 신체변형장애 연구에 유용한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많지 않은 표본수를 감안할 때 우리의 연구를 실증하기 위해 보다 많은 표본을 대상으로 연구가 시행되어야 할 것이며 신체변형장애 환자들에 대한 임상 특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미술 속의 포스트휴먼 신체와 의학

        전혜숙 미술사학연구회 2011 美術史學報 Vol.- No.37

        This essay is on the relation of contemporary art with the medicine. Contemporary medical science has transformed our view of the body as never before, dislocating and fragmenting our sense of personal identity, of boundary, scale and time. There are many recent works that represent the reconsidered human body-identities and the ontological crisis of human being, in according to accept medicine, biology, and technology into bodies. These artworks have caught the strange and charmed landscape of human internal bodies through high-tech medical instruments like MRI, CT etc. They put the emphasis on the fact that medical and biological technologies for human enhancement have changed the comprehension and representation about human bodies and human identities. In this essay, I would focus on aspects and problems revealed in the meeting place of medical technology and body-discourses, with the human projects which investigate internal body, or determine the sequence of DNA and the mapping of genes of human genome, like VHP(Visible Human Project) and HGP(Human Genome Project). There are three kinds of ways that artists treat with the problems combined with medical technology, body, and art. First is the using of the visualized internal body images from the convergence of art and IT technology. In these cases, artists usually take strategies of shock from the fragmented and severed bodies in the context of postmodern meaning. Second is the work that artists perform art-scientific but critical-implicated performances with DNA as scientists usually do. Third is the case of treating with the ethical and philosophical issues about persistent changes of human identites. Since 1990s, artists have started to include references to and use of new technology in their works. As contemporary scientists reconfigure and recreate the body at delicate level, so contemporary artists who treat with human bodies are being the biological and scientific attitudes. Biology is similar to photography, video, and computers in that it can be successfully adapted by artists for use as an art medium. But unlike photography or video, biological equipment is not readily available outside research facilities. As a consequence, artists willing to explore the use of biology as an art medium still have to collaborate with scientific laboratories. In this perspective, I dealed with artists like Paul Vanouse, Marc Quinn, Louise Wilson, Marta de Menezes, Sterlac who have used flesh, blood, DNA, and medical body images as art media or materials. Some of their works may have posthuman features mediated by technology or biology, which can be argued in the context of bio-ethics. 미술가들은 어느 시대에나 조각과 회화 혹은 어느 매체로든 몸의 재현에 집중해왔고, 특히 1960년대 이후로 전개되어온 퍼포먼스들은 실존적이든 현상학적인 의미를 지닌 것이든, 아니면 포스트모던적인 파편화되고 정보화된 신체의미든 미술가의 몸 자체를 적극적으로 이용해왔다. 최근 미술에서 인간신체에 대한 관심은 종종 MRI나 CT 같은 단층촬영기술에 의해 가능하게 된 혁신적인 신체 영상기술과 신체엔지니어링에 의존하거나 생명기술이나 의학적 방식에 직접 참여하는 ‘실험과 연구’의 양상을 띠고 있으며, 더 나아가 포스트휴먼이라고 부를 수 있는 생물학적 신체의 변형으로 옮겨가는 경우도 볼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최근 20여년 동안 열린 몇 개의 전시들에서도 볼 수 있었다. ≪포스트휴먼(Post Human)≫전(1992)과, 휘트니미술관의 ≪낯선 신체(Foreign Body)≫전(1995), 호주 퍼스 현대미술연구소의 ≪미술, 의학 그리고 신체(The Art, Medicine and the Body)≫전(1996), 도쿄 모리미술관의 ≪의학과 미술: 생명과 사랑을 위해 미래를 상상하기(Medicine and Art: Imagining a Future for Life and Love)≫전(2010) 등은 프로스테시스(prosthesis)와 생명유전공학의 기술들에 의해 변형된 신체들을 전시함으로써 충격을 주었는데, 이러한 전시들의 공통된 특징은 한결같이 의학과 생물학 그리고 새로운 기술이 신체의 영역에 들어오게 되면서 재고된 인간신체의 정체성과, 그에 따라 인간이 마주하게 된 존재론적 위기를 강조했다는 점이다. 이 전시들에 참가한 미술가들은 질병의 진단과 치료, 그리고 생명연장에 사용하는 과학적 장비들을 이용해 이전에 결코 볼 수 없었던 매혹적이고 낯선 신체내부풍경을 포착할 뿐 아니라, 인체의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들이 이제까지 인간이 신체를 이해하고 재현해온 방식에 변화를 주고 있으며 자아의 정체성과 개념의 변화에도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최근미술과 의학의 관계는 대체로 3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는 IT분야의 기술과 의학의 융합으로 구체화된 신체내부의 새로운 이미지를 미술표현의 일부로 이용하는 경우로, 이는 충격의 효과를 주고자 하는 전위적 현대미술의 문맥이 연장된 것이거나 포스트모던적인 신체의 절단 및 파편화와 연관된 것이기도 하다. 둘째는 과학자처럼 직접 DNA와 연관된 실험을 일종의 퍼포먼스로 제시하는 경우다. 세째는 신체가 과학기술과 결합되는 경우에 발생하는 인간정체성의 변화와 윤리 및 철학적 쟁점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인체내부와 유전자 정보를 밝혀내기 위한 휴먼 프로젝트들인 VHP(Visible Human Project)와 HGP(Human Genome Project)를 중심으로, 의학기술이 신체문화 담론과 만나는 지점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을 살펴보고, 폴 버나우즈(Paul Vanouse), 모나 하툼(Mona Hatoum), 루이스 윌슨(Louis Wilson), 마크 퀸(Marc Quinn), 마르타 드 메네제스(Marta de Menezes) 등의 미술가들이 그러한 문제들을 이해하고 다루는 작업방식의 특징을 고찰하고 있다. 현대과학자들이 미술가들처럼 변화시키고 재창조하듯이, 미술가들도 과학자들처럼 실험을 통한 유사—과학적 중립성이나 객관성을 가져온다. 그동안 신체를 다루었던 이전의 미술가들이 신체를 재현하거나 신체를 이용한 퍼포먼스를 보여주는 미술주체였다면, 신체를 다루는 최근의 미술가들은 실험하는 ‘연구자—학자—미술가’의 태도를 갖 ...

      • KCI등재

        사이배슬론에서 포스트휴먼 장애의 특성

        이재준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2 인문과학연구 Vol.- No.74

        ‘장애’가 ‘할 수 없음’을 의미한다면, 이는 신체 손상에 의한 혐오와 차별을 가시화하는 사회적 표상이 될 것이다. 사회적 모델의 실천적 논의들은 의료 모델을 비판하고 그것이 초래한 부정적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다른 한편 제3의 입장은 신체 손상의 의미를 축소한 대신, 장애의 사회성을 구명한 사회 모델을 비판한다. 이러한 입장에서 사이배슬론은 신체 손상과 보충 기술의 중요성에 주목하게 한다. 국제대회인 사이배슬론은 척수 손상으로 신체 기능이 저하되거나 소멸된 사람의 자립을 위해 개입하는 감각 인터페이스, 인공지능, 로봇과학기술 등의 보충 기술들을 경쟁한다. 사이배슬론은 재활의학 담론을 배경으로 생명정치를 재현한다. 특히 그것은 생명의료윤리의 자율성을 손상된 신체의 기능적 자율성으로 대체한다. 이 경우 그것은 자연적 신체의 원본성을 회복하려는 의료 모델과 달리 신체 손상을 긍정하면서, 동시에 기술적 보충을 통해 손상을 극복하려 한다는 점에서 신체 손상에 대한 이중성을 지닌다. 또한 그것은 올림픽처럼 자연적 신체 능력의 고도화를 노리는 패럴림픽과 구별된다. 그것은 보충 기술들의 경쟁이며, 거기서 장애인의 자율성은 보충 기술의 제어 능력 문제이다. 그런데 사이배슬론에서의 자율성은 신체가 손상된 인간과 보충 기계 사이의 불가피한 의존 관계를 은폐한다. 반면 이러한 자율성은 변형된 신체, 상호의존성, 개체화, 관계 존재론의 입장을 통해 비판된다. 손상된 신체는 실체화된 존재가 아니라 타자와 행위하고 관계함으로써 가변성을 지닌 변형된 신체이다. 이러한 변형, 의존, 관계의 존재론적 지평은 손상된 신체와 접속한 보충 기계의 관계를 긍정하며 장애를 포스트휴먼의 관점에서 설명한다.

      • KCI등재

        변형된 고빈도 자기통제 피드백이 저 신체적 자기효능감 아동의 태권도옆차기 학습에 미치는 영향

        정순일,이한우 대한무도학회 2018 대한무도학회지 Vol.2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appropriate frequency of transformed self-controlled feedback in children who had low level of physical self-efficacy using Taekwondo side kick. Of the 180 children, 40 children were selected through the physical self-efficacy questionnaire. Forty participants were assigned to each group. The experimental design was done under the factorial design of 4 (10%, 30%, 50%, 70% group) × 4 (division: 1-4). Data collection was averaged through acquisition and retention phases.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were summarized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participants in the acquisition phase showed that they gradually improved their performance through transformed self-controled feedback. Second, 70% transformed self-controled feedback was most effective an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30% and 50% transformed self - controled feedback. 10% transformed self-controled feedback was the least effective. These results show that for children with low physical self - efficacy, the 70% condition in the current experimental setting is most effective for children 's taekwondo side - kick learning. 본 연구의 목적은 태권도 옆차기를 사용하여 낮은 수준의 신체적 자기효능감을 보인 아동들에게서 변형된 자기통제 피드백의 적정 빈도를 확인하는 것이었다. 신체적 자기효능감 검사지를 통해 180명 중, 40명의 아동들이 선택되었다. 40명의 참여자는 각 그룹에 10명씩 배정되었다. 실험설계는 4(10%, 30%, 50%, 70%그룹) × 4 (분단: 1-4)요인설계 하에 이루어졌다. 자료 수집은 습득, 파지단계를 통해 평균을 산출하였다. 실험분석결과를 요약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습득단계의 분석에서 참여자들은 변형된 자기통제 피드백을 통해 그들의 수행을 점진적으로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파지검사와 추적 파지검사를 종합적으로 분석하면 70% 변형된 자기통제 피드백이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30%와 50% 변형된 자기통제 피드백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10% 변형된 자기통제 피드백이 가장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낮은 아동들의 경우, 현재의 실험환경에서 70% 조건이 아동들의 태권도 옆차기 학습에 가장 효율적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 KCI등재

        저소득층 아동·청소년의 비만 관리 관점에서 본 신체활동 장애요인

        유생열 ( Seang-leol Yoo ),이슬 ( Seul Lee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17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2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저소득층 아동·청소년의 신체활동 장애요인을 탐색하여 신체활동을 촉진할 수 있는 전략을 모색하는 것이다. 방법: 신체활동 장애요인의 정보를 얻어 나타난 주제에 대한 제언을 하기 위해 변형근거 이론이 활용되었다. 58명의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개별 반구조화면담, 집단 초점 면담, 현장노트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전사된 자료는 항시 비교 방법을 통해 범주화되었고, 이 자료는 요인끼리의 상호관련성이 검토되고 3 가지의 주제로 조직되었으며, 이는 다시 본 연구 자료의 개념적 틀로 형성되었다 본 연구자와 세 명의 연구보조자들이 일련의 회의를 통해 나타난 개념적 틀을 고찰, 토의하는 과정을 통해 확정되었다. 문헌연구와 두 명의 외부전문가의 피드백을 통해 본 연구의 외재적 타당성이 향상되었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세 가지의 주제에 따라 논의되었다. 이들 주제는 선행요인, 동기 유발요인, 제언이었다. 선행 요인은 신체활동에 대한 개인 내적, 외재적 장애요소였다. 동기유발 요인은 신체활동에 참여하고자 하는 개인의 욕구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요소들이다. 제언 요소는 신체활동을 증진하기 위해 참여자가 규명할 수 있는 아이디어들이다. 결론: 본 연구는 신체활동을 촉진할 수 있는 중재전략을 세우기 위해 필요한 종합적 접근방법을 강조하고 있다. 신체활동을 위한 제언은 보다 건강한 생활양식을 활성화시켜 신체활동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Purpose: The aim of the research was to investigate factors influencing physical inactivity behaviors and to identify strategies that can stimulate physical activity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from low income family. Methods: To obtain information regarding the barriers to the physical activity and give suggestions to emerged themes, modified ground theory was utilized. Semi-structured individual interview, focus group interview and field-note were employed to collect data from 58 children and adolescents. The transcripts were categorized using constant comparison method. The categories were examined for interrelationships among the categories and organized into three themes, which were examined for interrelationships to develop the conceptual framework for the data. The researchers and three research assistants reviewed, discussed, and formulated the emerging conceptual framework through a series of meetings. Review of literature and feedback from two experts were incorporated to enhance external validity of the research. Results: Results of the study were presented according to the three emerging themes: predisposing factors, motivators, and suggestions. Predisposing factors contained personal and external barriers to physical activity. Motivators included the factors that can activate personal desire to participate in physical activity. Suggestions were the ideas that participants identified to enhance physical activity. Conclusion: The research emphasized the necessity of comprehensive approach for physical activity interventions. Suggestions for physical activity were enabling factors in adopting healthier lifestyle and increased physical activity.

      • KCI등재

        변형된 교육모형을 통한 스포츠클럽 수업이 신체적 자기효능감 및 수업만족에 미치는 영향

        이제승,이태현,김영식,이성노 한국스포츠학회 2019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7 No.3

        This study developed a modified sports education model by adding an understanding-based game model to the sports education model. The purpose is to.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59 male students who took sports club classes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For data analysis, t-test was performed for factor analysis, binary mixed repetition variance analysis, and simple effect verification. The conclusions from these research procedure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of physical self-efficacy between the group using the modified sports education model and the existing sports education model, the 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physical self-efficacy in the modified sports education model. Second, the group using the modified sports education model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lass satisfaction than the group of the existing sports education model. 본 연구는 기존 스포츠교육모형에 이해중심게임모형을 결합하여 변형된 스포츠교육모형을 개발하고 기존 스포츠교육모형과 변형된 스포츠교육모형간의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수업만족도가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여 효율적인 체육교과 수업의 운영방법을 도모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J중학생 중 스포츠클럽 수업에 참여중인 남학생 259명을 대상으로 변형스포츠교육모형과 기존 스포츠모형으로 수업을 진행하여 집단 간 변화와 차이를 알아보았다. 자료 분석은 탐색적 요인분석, 이원혼합반복분산분석, 단순효과검증을 위해 t-test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절차로 얻은 결론은 첫째, 변형된 스포츠교육모형을 적용한 집단과 기존 스포츠교육모형을 적용한 집단 간의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대한 차이를 분석한 결과, 변형된 스포츠교육모형을 적용한 집단에서의 신체적 자기효능감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변형된 스포츠교육모형을 활용한 집단이 기존 스포츠교육모형의 집단보다 수업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