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앙공동체는 놀이터가 될 수 있는가?

        정연득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2022 장신논단 Vol.54 No.5

        There are many young adult Christians complaining that their faith communities are making them feel frustrated and suffocated. The faith community is supposed to allow people to experience freedom through the truth. Unfortunately enough, it is not true in reality. For this reason, more and more young people are leaving their church. Why? Obviously, this is not just a problem for young people. Why does the faith community that teaches the Gospel of freedom rather make people frustrated? This paper is an attempt to respond to the situation above. The research question for this study will be, “What does it take for the faith community to become a space that provides freedom and liberation?” In this paper, it is through “play” that I try to find the possibility of the faith community as a space in which one can feel freedom and liberation. In order to find the possibility of the faith community that is experienced as a playground, this article develops as follows. First, in the introduction, the case of a young adult named J is presented. Through the case of J, who recently suffered the pain of leaving the church, I want to convey the vivid story of a young adult who experiences frustration and oppression in the faith community. Then, through Donald Winnciott’s psychoanalytic theory, I discuss the possibility of healing and growth that a play space provides in an individual’s psychological and spiritual life. Furthermore, I explore the meaning of creating a space for play in the faith community. Through Winnicott, the possibility of the faith community as a creative playing space is presented. Next, through the philosophical hermeneutics of Hans-Georg Gadamer, the possibility of play that can widen one’s understanding and existence is discussed. In the course of arguments, the possibility of the faith community as a community of interpretation is explored. Finally, through the pastoral theological vision of “a community of faith where vivid questions are alive,” I present some practical ways to help people in community like J enjoy freedom creativity in the faith community. 필자가 상담실과 강의실에서 만나 온 한국교회의 청년 중에는 신앙공동체가 그들에게 답답함을 주고 있다고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신앙공동체는 진리가 주는 자유를 경험하게 하는 곳이어야 하는데, 오히려 신앙공동체로 인해서 자유가 억압 되는 경험을 하고 있다고 호소한다. 젊은이들이 교회를 떠나는 이유가 되고 있다. 신앙공동체는 왜 젊은이들에게 자유와 해방감을 주지 못하고 있을까? 이것은 단지 청년들만 느끼는 문제는 아니다. 신앙공동체는 왜 사람들에게 답답함을 안겨줄 까? 이 글은 이러한 문제의식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신앙공동체가 자유와 해방을 선사해주는 공간이 되는 데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라는 연구질문에 대해 필자는 ‘놀이’를 통해서 그 가능성을 모색한다. 신앙공동체가 놀이터로 경험될 수 있다면 구성원들이 답답함과 억압을 경험하는 것이 아니라 창조적 자유를 누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놀이터로 경험되는 신앙공동체의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해서 이글은 다음과 같은 방향으로 전개될 것이다. 우선, 서론을 통해 필자가 만났던 J라는 청년의 사례를 제시한다. 최근 교회를 떠나는 아픔을 겼었던 J의 사례를 통해 신앙 공동체에서 답답함과 억압을 경험하는 한 청년의 생생한 이야기를 전달하고자 한다. 이어서, 도널드 위니캇(Donald Winnciott)의 정신분석 이론을 통해서 한 개인의 심리적 삶과 영적 삶에서 놀이터라는 공간이 제공할 치유와 성장의 가능성에 대해 논의한다. 나아가 신앙공동체 안에 놀이를 위한 공간을 만든다는 것의 의미를 모색한다. 위니캇을 통해 창조적 놀이 공간으로서의 신앙공동체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다음으로, 한스-게오르크 가다머(Hans-Georg Gadamer)의 철학적 해석학을 통해 놀이가 가진 이해 및 존재 확장의 가능성을 논한다. 이를 통해 놀이하는 해석공동체로서의 신앙공동체의 가능성을 모색한다. 마지막으로 ‘생생한 질문이 살아 있는 놀이터 신앙공동체’라는 목회신학적 비전을 통해 J와 같은 신앙인이 자유 롭고 창조적으로 신앙생활을 하도록 돕기 위한 실천적 방안을 모색한다.

      • KCI등재

        신앙공동체의식 검사도구 개발과 타당화: 기독교인 성인을 대상으로

        오태균,권재기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19 기독교교육정보 Vol.0 No.6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ense of faith community test tool for adult Christians. In or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researchers examined the sub-domain that explains the sense of the faith community and examined the validity of the faith community sense. The researchers have continued to examine whether the sense of faith community is equally measurable as a test tool for adult Christians. The Delphi survey of the third phase resulted in 128 questions, and the last 60 items were developed for the test tool. The domain of faith community sense was divided into four factors such as relational factor, conscious factor, environmental factor, and emotional factor.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four components of the study consisted of a good model for the faith community sense than other alternative structural models, and it was confirmed that this model was a valid instrument for measuring the sense of community of faith. In order to confirm whether or not the gender and age groups can use the tools of sense test of faith community verified by the multiple 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urthermore, it is confirmed that the form identity, the measurement identity, the segment identity, the partial dispersion / covariance identity, and the similarity are verified. The major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y developing a more realistic and systematic system of sense test for the Christians, it provided an opportunity to establish the sense of faith community, which was not established in the previous research. Second, based on the test results of the community sense developed in this study, it can help the Christian adults to confirm their current spirit level and strengthen the sense of necessary community. And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change of sense of faith community through continuous accumulation of test results. 본 연구는 현대 기독교인의 지역 교회내에서 신앙공동체 의식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30대 이상의 남녀 성인기독교인들을 대상으로 신앙공동체의식 검사도구를 개발, 타당화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결과, 총 3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 결과 128개의 문항을 도출하였고, 최종 60개 문항의 신앙공동체의식 검사도구를 개발하였다. 신앙공동체의식의 영역은 관계적 요인, 의식적 요인, 환경적 요인, 그리고 정서충족적 요인 등 4개 요인으로 구분된다. 개발된 도구의 타당성 검증 결과에서는 신앙공동체의식 검사가 다른 대안적 구조모형보다 양호한 모형으로 나타나 이 모형이 신앙공동체의식을 측정하는 타당한 도구임이 확인되었고, 각 하위요인별 신뢰도 역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앙공동체의식 검사도구를 성별과 연령별 모두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인가를 확인하기 위해 다집단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구인동동성을 검증한 결과, 형태동일성, 측정동일성, 절편동일성, 부분 분산/공분산동일성이 확보되어 구인동등성이 검증되었으며, 이는 30대 이상의 기독교 성인남녀 모두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지지하는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이를 통한 연구의 주요한 의의로는 첫째, 이 검사 도구 개발을 통해 기존의 선행연구에서 확립되지 못했던 신앙공동체의식을 독립적인 평가 영역으로 확립시키는 계기를 제공하였다는 점과, 이를 기초로 성도들이 현재 자신의 신앙공동체의식 수준을 확인하고 필요한 신앙공동체의식을 강화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이 있다. 둘째, 주기적인 기독교인의 신앙공동체의식 검사를 실시하여 검사결과의 지속적인 누적을 통해 교인들의 신앙공동체의식의 변화 추이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개신교 신앙공동체의 평화와 성숙을 위한 목회상담 - 상담적 직면과 신학적 성찰의 필요성 -

        가요한 한국실천신학회 2015 신학과 실천 Vol.0 No.43

        본 연구는 최근 언론에 보도되는 개신교 신앙공동체 내부의 심각한 갈등과 분쟁, 신앙공동체와 구성원들의 배타성, 공격성, 이분법적 성향의 문제를 목격하면서, 신앙공동체의 평화와 성숙을 이루기 위하여 목회상담이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 고민하면서 그 방안으로 상담적 직면과 신학적 성찰이 동시에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신앙공동체의 평화와 성숙의 의미를 한국어, 히브리어, 희랍어 단어의 사전적 정의와 사회문화적, 신학적 의미를 탐구했고, 제임스 W. 파울러의 신앙발달단계이론을 이용하여 정의하였다. 기독교 신앙공동체 초기의 갈등과 분쟁의 현상에 대해서는 바울서신 고린도전서에 나타난 고린도교회의 상황을 분석함으로써 분쟁의 원인이 신앙의 미성숙의 문제, 신앙정체성 형성의 부족 문제임을 확인하였다. 현재 한국의 개신교 신앙공동체의 갈등과 분쟁의 원인으로는 신앙공동체의 지도자와 구성원의 심리적 문제와 신앙발달/성숙이 지연된 신학적 문제가 함께 상호 연관되어 공존함을 지적하였는데, 특히 나르시시즘 성향의 목회자/평신도 지도자와 경계선 성향의 신앙공동체 구성원들이 겪는 어려움이 신앙공동체의 갈등과 미성숙의 문제에 원인이 됨을 강조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한국사회의 개신교 공동체의 갈등과 미성숙의 문제가 심리적, 신학적 원인이 공존하기 때문에, 평화와 성숙을 이루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도 심리(상담)적, 신학적 전략이 공존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특히, 상담적 방법으로는 직면(confrontation)을, 신학적 방법으로는 신학적 성찰(theological reflection)을 제안하였는데 두 가지 방법 모두 나르시시즘, 경계선 성향의 공동체 지도자와 구성원들이 공존하는 개신교 신앙공동체에서는 실천하기에 매우 어렵지만 반드시 필요한 과정임을 신앙공동체의 예를 들어 설명하고 강조하였다. 신앙공동체는 공동체이면서 신앙을 하는(faithing) 공동체이기 때문에 신학적 성찰과 질문이 부재한 신앙공동체는 신앙정체성, 존재 이유와 목적, 의미를 분명히 하는 과정이 평화와 성숙을 경험하게 되는 길임을 강조하였다. This research is to suggest confrontation and theological reflection as necessary strategies in order to facilitate peace and maturation of Protestant faith communities in Korea. Recently, there have been so many media news reports about serious conflict and divisions within Protestant faith communities in Korea, as well as exclusivity, aggression, and dichotomous perspectives of faith communities and their members. In this article, I explored the meanings of peace and maturation in light of literal definitions in Korean, Greek, Hebrew words and sociocultural and theological interpretations of peace and maturation. In defining the meaning of maturation, I also employed James W. Fowler's faith development theory. In order to take a closer look at conflicts and divisions in early Christian community, I reviewed and analyzed conflict within the Corithian Church described in 1 Corinthians. Out of analysis, I found out that the major reasons of conflict and division were the problems of immaturity in their Christian faith and the lack of the strong sense of identity as Christians. Similarly, the major reasons of conflict and division in Korean Protestant faith communities are the combination of both psychological difficulties and spiritual immaturity, especially narcissistic and borderline tendencies of clergy, lay leaders, and lay members. In this article, I suggested that there must be both psychological and theological strategies in order to facilitate peace and maturation of Protestant faith communities. One is confrontation and the other one is theological reflection. Both strategies are not easy to actually practice to leaders and members with narcissistic and borderline tendencies, but those two methods are necessary steps for bringing peace and maturation of faith community. Confirming identity, reason and purpose of existence, and the meaning of a faith community is a way to experience peace and maturation because a faith community is a 'faithing' community.

      • KCI등재

        설교를 통한 신앙 공동체의 집단기억 형성에 관한 연구

        이승진 한국실천신학회 2010 신학과 실천 Vol.0 No.24

        기독교 신앙 공동체의 부흥은 과거에 발생한 하나님의 계시와 구원 사건들에 대한 후세대 신앙 공동체의 적극적인 기억 활동에 달려 있다. 그렇다면 과거에 발생한 하나님의 계시에 대한 선로로서의 설교가 신앙 공동체의 집단기억의 형성을 위한 토대로 작용하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본 연구는 현대 교회에서 설교를 통한 하나님의 구원 내러티브의 선포가 신앙 공동체의 영적 정체성 형성과 거룩한 규범들의 실천을 위한 토대로 작용하지 못하는 원인을, ?mile Durkheim이 주목했던 세속화에 따른 집합의식의 구조변동으로 설명한다. 종교의 세속화에 따라 집합의식에서 신성 관념이 후퇴하고 그 빈자리를 인간숭배가 대체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어서 현대사회의 집합의식이 개인숭배로 변질된 상황 속에서 신앙 공동체의 집합기억의 형성을 위한 대안을 Maurice Halbwachs의 집합기억의 사회적 형성(social formation of collective memory) 이론으로 모색할 수 있다. 또 신앙 공동체의 집합기억 형성을 위한 한 가지 방안으로서 설교를 통한 신앙 공동체의 회중 정체성의 내러티브(congregational identity narrative) 형성을 제시할 수 있다. 본고는 마지막으로는 하나님의 말씀의 선포로서의 설교가 그 설교를 청취하는 신앙 공동체 안에서 과거에 발생한 하나님의 구원 사건의 공동체적인 구현과 현재화로 실현될 수 있도록 하는 설교학적인 방안을 모색한다. 설교를 통해서 신앙 공동체의 정체성의 내러티브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 정체성의 내러티브는 과거에 발생한 하나님의 구원 역사에 관한 거대담론이 특정한 공동체 구성원들의 신앙과 삶 속에서 지속적으로 현재의 사건으로 구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고, 그런 사건들에 대한 공동체적인 경험은 신앙 공동체의 집단기억의 형성을 촉진시킬 수 있다.

      • KCI등재

        교회 신앙교육에서의 사회봉사교육과 실천과제

        이은성 한국실천신학회 2015 신학과 실천 Vol.0 No.43

        본 연구는 교회사회봉사의 당위성을 고찰해보면서 이러한 교회의 사역이 체계적이며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지기 위해서는 먼저 신앙공동체의 사회봉사에 대한 올바른 인식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보고, 사회봉사교육의 필요성과 근거 및 당면한 실천과제는 무엇인지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교회의 존재이유가 예수 그리스도께서 하신 일을 지속하기 위함이라는 관점에서 본다면, 사회봉사는 이 땅에 하나님의 나라를 건설하도록 부름 받은 교회의 본질적 사명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교회의 신앙교육 역시 이 세상 속에서 하나님의 뜻을 이루고 하나님의 나라를 확장하는 사명을 담당하도록 하는 교육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교회의 신앙교육은 그 내용에 있어서 사회봉사를 중심주제의 하나로 삼아 신앙공동체를 봉사의 실천적 삶으로 초대하는 통로역할을 다하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다른 영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루어 온 면이 있다. 성서는 교회와 사회가 하나님의 한 창조세계를 이룬다는 것을 전제한다. 그리고 이 세상에서 하나님의 통치가 구현되는 사회운동, 전인적인 구원을 지향하는 하나님 나라 운동으로서 사회봉사의 필연성을 보여주고 있다. 교회의 신앙교육이 지향해야 할 목표점으로서의 중심과제는 ‘성숙한 신앙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성숙한 신앙은 통전적 신앙을 추구해야한다는 관점에서, 신앙교육은 모든 신앙공동체에게 사회봉사적 삶을 의식하고 실천하는 성숙한 그리스도인의 삶을 살 수 있도록 초대하는 교육적 사명을 소홀히 하지 말아야 한다. 오늘의 한국사회에서 교회의 위상을 생각할 때, 교회의 신앙교육은 공동체의 구성원들로 하여금 사회봉사의 가치관과 삶을 익히고 실천하도록 교육하는 사명이 얼마나 중대한지 다시 한 번 고민하고 해결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이러한 문제의식 가운데, 본 연구는 교회가 지역사회를 향한 봉사를 보다 체계화시키고 지속적으로 활성화시키기 위한 토대로서, 먼저 교회 내에서의 교육적 실천노력이 중요함을 밝히고 그 가능성을 논의 해보고자 하였다. 연구자는 먼저 봉사공동체로서의 교회적 특성을 1) 샬롬 공동체, 2) 예수의 하나님나라운동 공동체, 3) 디아코니아 초대교회 공동체, 4) 영적성숙지향 교회공동체라는 네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면서 교회 사회봉사의 당위성을 논의하였다. 다음으로, 교회의 사회봉사교육을 위한 교육내용 구성에 있어서는 생명 살리는 교육이라는 큰 틀 안에서 1) 이웃사랑 교육, 2) 평화교육, 3) 창조보전 교육, 4) 바른 문화 형성교육이라는 네 영역으로 분류하여 보았다. 또한 교회의 사회봉사교육과 관련하여 향후 해결되어야 할 실천과제로 1) 사회봉사교육 학습교재 및 커리큘럼 개발, 2) 교회기초조직 및 종교적 활동과 연계된 사회봉사교육 강화, 3) 사회봉사교육 전담부서의 활성화 및 전문 지도력의 양성화의 문제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necessity and the direction of social service education in the practice of church education. If the church exists in order to continue the work of Jesus in this world, social service is one of the essential vocations of the church which is called to build the kingdom of God on earth. In this respect, social service education should also be considered as one of the central educational themes in church education. However, the social service education has been relatively neglected in the church education as a channel inviting faith communities into practical life of social services. This study reviews the understanding of social service in biblical context and discusses the necessity of Christian social service education in the church. As the norm of life, the community of Israel attempted to achieve ‘Shalom’ by giving the socially disadvantaged hospitality. Jesus showed his vision of God’s kingdom in the ministry of serving others. The early church also cared for socially disadvantaged people through voluntary contributions and sharing as a natural form of expressing their faith. Nurturing a person into a mature is one of the central tasks of church education, and mature faith should pursue the holistic way of practicing Christian life including social service. When it comes to the phase of the Korean church in the today’s society, the educational mission of teaching and practicing social service has more importance. The researcher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urch as a community of service from four different perspectives such as 1) shalom community, 2) Jesus’s kingdom community, 3) early churchlike diakonia community, 4) spiritual maturity-oriented community. Next, within the framework of life-saving education, four areas of educational contents are proposes such as 1) loving neighbor education, 2) peace education, 3) ecological preservation education, 4) right culture formation education. Three alternatives for the professional practice of social service education in church education that are suggested are 1) developing proper learning curriculum, 2) utilizing church group activities and church rituals as a means of social service education, 3) organizing specialized social service agencies and nurturing professional leadership.

      • KCI등재

        초기 제주도 개신교 형성사

        박정환(Park Jeong-Whan)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13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39 No.-

        일반적으로 한국교회의 교인들은 제주도 기독교의 역사가 1908년 이기풍 목사의 선교로 시작되었다고 말한다. 그러나 제주도는 이기풍 목사가 도착하기 전인 1899년 이미 천주교의 공식적인 선교가 이루어진 곳이었다. 더구나 그 시기에 제주도에는 개신교 현지인 신앙공동체가 활동하고 있었다. 한국장로교회는 신앙공동체의 존재를 알고 있었는데, 이 공동체는 1904년에 시작되었다. 그래서 한국장로교회는 이기풍 목사를 그 섬에 보냈으며, 그는 그곳에서 현지인들과 함께 선교활동을 펼쳤다. 기록에 의하면, 한국장로교회의 선교 이전, 제주도에는 두 신앙공동체가 있었다. “이호리 신앙공동체”는 김재원의 전도에 의해 1904년에 시작되었다. 이 공동체는 선교사를 제주도로 보내달라고 한국장로교회에 요청했다. 그리고 이 공동체는 선교사업의 베이스캠프가 되었으며 제주도에서 여러 교회들이 설립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었다. 조봉호에 의해 1907년에 설립된 두 번째 “금성리 신앙공동체”는 제주도를 위한 근대화 및 교육에 깊은 관심을 보였다. 이 공동체는 기독교의 신앙을 애국하는 마음으로 연결시켰다. 이들 공동체를 통해 제주도 기독교 역사에서 두 가지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첫째는 현지인들이 예배모임을 가졌고 그들이 선교사를 요청했으며, 그로 인해 제주도 교회들이 성장하게 되었다는 사실이다. 이것은 한국에서 초기에 교회들이 형성되는 맥락과 동일한 패턴을 보여주었다. 둘째는 개신교 신앙공동체들이 천주교의 선교활동이 진행 중일 때 시작되었는데, 사실상, 신앙공동체의 지도자들은 천주교와 개신교 사이의 차이점을 인식하고 있었다는 점이다. 또한 지도자들은 제주도의 근대화에 대한 간절한 열망이 있었으며, 개신교를 통해 현지인들이 품고 있었던 종교적인 질문에 답할 수 있었다. 지금까지 김재원에 대한 구전과 신앙공동체에 대한 존재가 끊임없이 학계에 소개되었다. 그러나 한국교회사 관련 학계에서는 이 사실을 좀처럼 인정하지 않았다. 그런데, 에비슨 선교사의 회고록 Memories of Life in Korea에 김재원에 대한 사실이 기록되어 있었다. 회고록의 내용은 김재원에 관한 구전과 거의 일치했다. 에비슨의 회고록이 제주도 신앙공동체의 시작과 성장을 재구성하는 데 좋은 자료가 된 셈이다. 이 두 신앙공동체는 1908년에 합류되었다. 그 결과, 초기 제주도 교회의 모습이 형성되었다. 즉 이기풍 목사의 선교활동과 함께, 초기 제주도 개신교의 두 개의 흐름이 하나로 합류되었던 것이다. 이 공동체들의 특성은 한편으로 ‘질병의 치유를 통한 선교’와 다른 한편으로 ‘근대화를 향한 선교’였다. 여기에는 현지인들과 이기풍 목사의 좋은 협력이 있었다. 이와 같이 한국장로교회의 초기 제주도 선교는 두 공동체들의 합류를 통해서 현지인들의 요청에 적극적으로 응답했다고 하겠다. Generally, Protestants say that Christian history of Jeju-do began by the mission of Rev. Lee Gee Pung in 1908. However, it had already become a mission field by the Catholic Church in 1899 before Rev. Lee arrived. Furthermore, the faith community of Protestant Church had been in activity in Jeju-do at that time. The Presbyterian Church of Korea(PCK) recognized the existence of this community, which had started in 1904. Then PCK sent Rev. Lee to the island, where he worked with the native islanders. According to records, before mission of PCK, there were two faith communities in Jeju-do. “Ihori Community” started in 1904 was founded by an evangelizing of Kim Jae Won. This community requested that PCK would send a missionary to Jeju-do. Ihori Community became the base camp of missionary work, and paved a way to establish other churches in Jeju-do. “Kumsungri Community,” the second faith community established in 1907 by Cho Bong Ho, showed deep interests in the modernization and education for Jeju-do. Kumsungri Community put the christian faith alongside the patriotic spirit. Two themes in the church history of Jeju-do can be confirmed through these communities. First, the natives conducted the service meeting and they pulled together with missionary, and then churches of Jeju-do were sprung up. This showed the same patterns as the forming context of early Korean churches. Second, these communities of Protestant Church were started during mission work of the Roman Catholic Church. Leaders of communities, in fact, were awar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Roman Catholic Church and Protestant Church. Also, they had the unquenchable thirst for the modernization of Jeju-do and thought that Protestant Church could answer some religious questions the natives had in mind. So far the oral tradition on Kim Jae Won and the existence of the faith community was presented industriously over the academic circles, but this was rarely recognized in the academic world of the history of the Korean church. Yet, Memories of Life in Korea by Oliver R. Avison keeps the record on Kim Jae Won straight. The contents of the Memories correspond closely with the oral tradition on Kim. The Memories is an excellent source for restructuring the shape and growth of Jeju-do communities. These two communities were joined in 1908. As a result, the distinct feature of Jeju-do churches was formed. That is, since the mission of Rev. Lee Gee Pung, two streams in early Jeju-do Protestant Church were consolidated into one. These streams were one : ‘Mission through the Treatments’ and the other : ‘Mission through Guidelines for Modernization.’ There was a good cooperation between the natives and Rev. Lee. Like this, the mission of PCK responded enthusiastically the needs of the natives with joining of the two communities.

      • KCI등재

        초기 제주도 개신교 형성사: 이기풍 선교사 이전 현지인 신앙공동체를 중심으로

        박정환 한국기독교역사학회 2013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39 No.-

        Generally, Protestants say that Christian history of Jeju-do began by the mission of Rev. Lee Gee Pung in 1908. However, it had already become a mission field by the Catholic Church in 1899 before Rev. Lee arrived. Furthermore, the faith community of Protestant Church had been in activity in Jeju-do at that time. The Presbyterian Church of Korea(PCK) recognized the existence of this community, which had started in 1904. Then PCK sent Rev. Lee to the island, where he worked with the native islanders. According to records, before mission of PCK, there were two faith communities in Jeju-do. “Ihori Community” started in 1904 was founded by an evangelizing of Kim Jae Won. This community requested that PCK would send a missionary to Jeju-do. Ihori Community became the base camp of missionary work, and paved a way to establish other churches in Jeju-do. “Kumsungri Community,” the second faith community established in 1907 by Cho Bong Ho, showed deep interests in the modernization and education for Jeju-do. Kumsungri Community put the christian faith alongside the patriotic spirit. Two themes in the church history of Jeju-do can be confirmed through these communities. First, the natives conducted the service meeting and they pulled together with missionary, and then churches of Jeju-do were sprung up. This showed the same patterns as the forming context of early Korean churches. Second, these communities of Protestant Church were started during mission work of the Roman Catholic Church. Leaders of communities, in fact, were awar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Roman Catholic Church and Protestant Church. Also, they had the unquenchable thirst for the modernization of Jeju-do and thought that Protestant Church could answer some religious questions the natives had in mind. So far the oral tradition on Kim Jae Won and the existence of the faith community was presented industriously over the academic circles, but this was rarely recognized in the academic world of the history of the Korean church. Yet, Memories of Life in Korea by Oliver R. Avison keeps the record on Kim Jae Won straight. The contents of the Memories correspond closely with the oral tradition on Kim. The Memories is an excellent source for restructuring the shape and growth of Jeju-do communities. These two communities were joined in 1908. As a result, the distinct feature of Jeju-do churches was formed. That is, since the mission of Rev. Lee Gee Pung, two streams in early Jeju-do Protestant Church were consolidated into one. These streams were one : ‘Mission through the Treatments’ and the other : ‘Mission through Guidelines for Modernization.’ There was a good cooperation between the natives and Rev. Lee. Like this, the mission of PCK responded enthusiastically the needs of the natives with joining of the two communities. 일반적으로 한국교회의 교인들은 제주도 기독교의 역사가 1908년 이기풍 목사의 선교로 시작되었다고 말한다. 그러나 제주도는 이기풍 목사가 도착하기 전인 1899년 이미 천주교의 공식적인 선교가 이루어진 곳이었다. 더구나 그 시기에 제주도에는 개신교 현지인 신앙공동체가 활동하고 있었다. 한국장로교회는 신앙공동체의 존재를 알고 있었는데, 이 공동체는 1904년에 시작되었다. 그래서 한국장로교회는 이기풍 목사를 그 섬에 보냈으며, 그는 그곳에서 현지인들과 함께 선교활동을 펼쳤다. 기록에 의하면, 한국장로교회의 선교 이전, 제주도에는 두 신앙공동체가 있었다. “이호리 신앙공동체”는 김재원의 전도에 의해 1904년에 시작되었다. 이 공동체는 선교사를 제주도로 보내달라고 한국장로교회에 요청했다. 그리고 이 공동체는 선교사업의 베이스캠프가 되었으며 제주도에서 여러 교회들이 설립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었다. 조봉호에 의해 1907년에 설립된 두 번째 “금성리 신앙공동체”는 제주도를 위한 근대화 및 교육에 깊은 관심을 보였다. 이 공동체는 기독교의 신앙을 애국하는 마음으로 연결시켰다. 이들 공동체를 통해 제주도 기독교 역사에서 두 가지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첫째는 현지인들이 예배모임을 가졌고 그들이 선교사를 요청했으며, 그로 인해 제주도 교회들이 성장하게 되었다는 사실이다. 이것은 한국에서 초기에 교회들이 형성되는 맥락과 동일한 패턴을 보여주었다. 둘째는 개신교 신앙공동체들이 천주교의 선교활동이 진행 중일 때 시작되었는데, 사실상, 신앙공동체의 지도자들은 천주교와 개신교 사이의 차이점을 인식하고 있었다는 점이다. 또한 지도자들은 제주도의 근대화에 대한 간절한 열망이 있었으며, 개신교를 통해 현지인들이 품고 있었던 종교적인 질문에 답할 수 있었다. 지금까지 김재원에 대한 구전과 신앙공동체에 대한 존재가 끊임없이 학계에 소개되었다. 그러나 한국교회사 관련 학계에서는 이 사실을 좀처럼 인정하지 않았다. 그런데, 에비슨 선교사의 회고록 Memories of Life in Korea에 김재원에 대한 사실이 기록되어 있었다. 회고록의 내용은 김재원에 관한 구전과 거의 일치했다. 에비슨의 회고록이 제주도 신앙공동체의 시작과 성장을 재구성하는 데 좋은 자료가 된 셈이다. 이 두 신앙공동체는 1908년에 합류되었다. 그 결과, 초기 제주도 교회의 모습이 형성되었다. 즉 이기풍 목사의 선교활동과 함께, 초기 제주도 개신교의 두 개의 흐름이 하나로 합류되었던 것이다. 이 공동체들의 특성은 한편으로 ‘질병의 치유를 통한 선교’와 다른 한편으로 ‘근대화를 향한 선교’였다. 여기에는 현지인들과 이기풍 목사의 좋은 협력이 있었다. 이와 같이 한국장로교회의 초기 제주도 선교는 두 공동체들의 합류를 통해서 현지인들의 요청에 적극적으로 응답했다고 하겠다.

      • 정토신앙 공동체와 향가

        박애경 延世大學校 文科大學 2008 人文科學 Vol.88 No.-

        이 글은 신라 향가의 발전과정을 신라 사회 불교 공동체의 동향과 관련하여 살피고자 시작되었다. 다른 시가 장르의 발생과 마찬가지로 향가 역시 민간의 노래에 기원을 두고 있지만, 장르적 정체성을 완성하는 과정에서 신앙의 집단적 표현과 의례를 위한 불교적 성격의 노래로 정착하게 되었다. 대승불교가 주를 이룬 신라사회에서는 승려와 신도가 신행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불교공동체가 만들어졌다. 특히 신라 중대 이후 신라사회에 광범위하게 자리잡은 정토신앙은 상 · 하층을 아우르는 신앙으로 광범위하게 자리잡게 되었다. 내세를 위한 정토신앙의 신행법으로는 고도의 수행법과 함께 향가와 염불 같은 보다 대중적인 방식이 장려되었다. 이글에서는 향가가 정토신앙 공동체의 신행에 개입하는 방식을 크게 선업형, 수도형, 절속형으로 나눠 살피고 이들의 신행이 향가와 관련 기록에 구현되는 방식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공동체의 유형은 기본적으로 사대대중의종교적 근기에 따라 나뉜다. 이 글에서는 그 외에 각각의 정토신앙 공동체가 각각 신라의 상대, 중대, 하대의 신행을 대표하는 방식이라는 점을 주시하고자 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quire the process of the development of Hyangga with a relation to the Buddhist communists in the Shinla Dynasty. Like any other genres of Korean classical songs and poetry Hyangga has originated from the folk songs.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style, Hyangga has been rooted on the Buddhist community as a song for propagation of religion and ritual. The majority of Buddhist communists in the Shinla Dynasty were the communists for the Pure Land Faith, which showed the speciality of Mahayana Buddhism in that period. Among the believers who pursued the Pure Land, Hyangga was enjoyed as a way of ascetic exercises or religious confession. This paper categorized the types of Buddhlst communists shown in Hyangga and following prose writings into three parts; the type of good deed, ascetic exercise and supermundane. Basically each type of community could be differentiated by the religious perseverance of ascetics. This paper calls the question each type of community shows the representative way of ascetic exercise in each period of the Shinla Dynasty.

      • KCI등재후보

        공동체문화로서 마을신앙의 활용과 의미 구현

        서해숙 ( Hae Sug Seo ) 남도민속학회 2009 남도민속연구 Vol.18 No.-

        본 연구는 호남지역을 대상으로 공동체문화로서 마을신앙의 현재적 활용과 의미 구현을 살핀 것이다. 마을신앙은 자연마을 단위로 이루어지는 신앙행위이며, 마을 구성원 공동의 합의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마을공동체적 성향을 여실히 드러낸다. 그리고 마을신앙은 마을사람들을 종교적, 사회적, 문화적으로 결속시키는 원동력으로 기능함에 따라 작게는 마을의 문화적 축소판, 크게는 민족의 문화적 축소판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마을신앙은 마을의 내적, 외적 요인에 의해서 전승되거나 지속되고 있다. 특히 현대화라는 시대적 요인에 의해 마을신앙의 종교적 의미는 과거에 비해 축소되거나 변화되는 과정을 겪고 있는 반면에 마을신앙을 통해 마을공동체로서의 사회적 의미는 오히려 확대되고 있음을 발견하게 된다. 이러한 변화는 외적인 요인에 의한 즉흥적인 변화가 아닌 필연적인 산물로 인식된다. 오늘날 이런 변화 속에서 마을신앙을 모시는 일부 마을에서 외부의 적극적인 영향을 받아 지역축제로 발돋움하고 있는 사례가 찾아진다. 진도 신비의 바닷길 축제, 광주 고싸움놀이축제, 고창 오거리 당산제, 위도 띠뱃놀이 등이 그것으로, 마을신앙이 축제의 시발점이 되고 축제의 정통성 근간이 되고 있다. 또한 축제의 규모가 작고 정형화되지는 않았으나 진도군 의신면 사상마을, 구례군 마산면 냉천마을, 고창군 해리면 상부마을의 예를 보면 마을신앙과 함께 달집태우기, 줄다리기, 민속놀이, 세시풍속 등이 연행되고 있어 축제의 기반인 유희적 의미가 확대되고 있다. 마을신앙을 통해 신을 맞이하고 달집태우기를 통해 신을 즐겁게 하는 일련의 과정이 축제로서의 원형적인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 이처럼 오늘날에도 마을신앙은 마을의 공동체의식을 유지시키는 중요한 요소로, 마을신앙 속에는 공동체문화가 응축되어 있고, 일련의 제의과정과 부수적으로 연행되는 집단놀이를 통해서 공동체문화가 실현되고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urrent use of the cult of villages and its meaningful practice for a community culture in the Honam district. The cult of villages indicate that cult activity is formed of the units of a natural village based on the village’s consensus, and thus has an inclination toward a village community. That involves unifying the village’s religious, social and cultural impetus, according to which function it can be called a cultural miniature of villages, that is, a cultural miniature of the nation. This cult is, therefore, undergoing the process of reducing or being transformed by a religious impact by virtue of modernization, whereas its social meaning as a village community has been prevailing in comparison with the past. It may well be that this transformation is recognized as a necessary product, but not a temporary change. Nowadays some villages, where the cult of villages have been conducted even in the change, raise themselves as a local festival through the external effect by such festivals as the magical sea way in Jindo county, Gossaumnori in Gwangju, Ogeri Dangsan in Gochang-ub, and Ttibaennori of Wido island in Jeollabuk-do, and so on. These festivals have suggested, of course, that the cult of village is something to do with a coming into existence and also its root lies in the legitimacy of a festival. In addition, the festivals are small on scale and not scandalized, yet it appears that when we take into account Sasang-ri at Uisin-myeon in Jondo country, Naengcheon-ri at Masan-myeon in Gurye country, Sangbu-ri at Hari-myeon in Gochang country, and so on, the entreating meaning of festivals is spread because t Daljip burning, a tug of war, a folk play, customs of times and seasons, etc. together with the cult of villages performed continuously. Likewise, even until now the cult of villages is an essential element and a community culture in it is condensed, so that it is represented through celebrations and group plays.

      • KCI등재후보

        발달장애인 신앙공동체의 예배 본질에 따른 실천적 목회

        김병석 한국설교학회 2024 설교한국 Vol.19 No.-

        발달장애인은 표현과 소통에 어려움이 있다. 하지만 신앙적 차원에서 하나님의 계시는 인간의 인의적인 성과로 성취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인간의 지능과 어떤 심리적 지수와 상관없이 신앙공동체에서 하나님의 은혜는 실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배에 있는 인간의 응답은 인간의 지능과 감수성, 정서적 상태와 밀접한 관계를 갖고 예배 양식을 구체화 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따른 실제적인 예배 신학적 접근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발달장애인은 비장애인과 비교하여 지능이 낮고 자폐 성향을 동반할 수 있어서 신앙공동체는 이들과 함께 하는 예배에서 특별한 양식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배 본질에 있어서 발달장애인이 하나님께 나아가는 예배는 비장애인의 예배와 동일한 속성을 갖는다. 발달장애인은 사회적으로 보호받아 야 하는 약자로 인식될 수 있으나 신앙적 가치나 예배자의 정체성에서는 약자나 부족한 어떤 존재가 아니다. 단지 발달장애인의 이해도와 표현 그리고 예배에 있어서 응답적인 차원의 일반적인 소통에 연약한 부분들이 드러날 수 있을 뿐이다. 예배는 인간의 지, 정, 의가 함께 활동하여 상호 교류되는 영적 사건이기 때문에 신앙공동체의 목회적 차원에서 발달장애인의 지능 수준과 두뇌를 통한 이해의 반응을 고려하는 것은 이들을 위한 배려와 섬김이 된다. 한편, 예배에는 신비가 뒤따른다. 예배에 신비적 요소가 있다고 하여서 발달장애인 신앙공동체 의 예배를 위하여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인간의 노력이 불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렇기 때문에 예배에 있어서 발달장애인에게 합리적 이성과 두뇌의 활동 및 지능적 요소들을 위하여 신앙공동체가 협력하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소통으로 작용될 수 있다. 동시에 기억해야 할 것은 발달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하는 신앙공동체는 일반 사회적 통념이나 보편타당한 합리성에만 의존해서는 기독교 예배 본질의 완성에 이를 수 없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다.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how vulnerabilities in expression and communication. However, at the level of faith, God's revelation is not an area that is achieved through human efforts, so it exists in the faith community as God's grace, regardless of human intelligence or any psychological index. Nevertheless, since human responses in worship are closely related to human intelligence, sensitivity, and emotional state and can shape the worship style, a practical theological approach to worship is necessary. Accordingly, because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ave lower intelligence and may have autistic tendencies compared to people without disabilities, the faith community can consider special styles in worship with them. However, in terms of the essence of worship, the worship in which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pproach God have the same characteristics as the worship of people without disabilities.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may be perceived as socially weak and need to be protected, but they are not weak or lacking in religious values or identity as worshipers. It is only that weaknesses in general communication at a responsive level can be revealed in the expression and worship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orship is a spiritual event in which human intelligence, emotion, and righteousness work together and interact with each other. Therefore, at the pastoral level of the faith community, considering the level of intelligence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 responses of understanding through the brain becomes consideration and service for them. Even if the faith community adjusts the level of understanding for mutual communi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uses various methods to serve them, they sometimes experience communication difficulties from the perspective of non-disabled people. There is a mystical element to worship. However, this meaning does not mean that general social human efforts are unnecessary for the worship of the faith community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Rational reason, brain activity, and intellectual elements are not unnecessary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worship, and can be positioned as mechanisms of meaningful communication. At the same time, the point to remember is that the faith communities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non-disabled people need to recognize that worship cannot be completed through general social logic or rationality alo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