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사실파의 추상개념: 기하추사의 주체적 재인식

        박장민 미술사학연구회 2012 美術史學報 Vol.- No.38

        본 논문은 신사실파(1947-1953)에서 나타난 추상개념을 서구 기하추상의 주체적 재인식이라는 맥락에서 조망하면서, 창립회원들의 추상이 서구 추상의 문맥에서 이탈하여 자기화한 추상을 지향하였음을 규명하고자 한 연구이다. 신사실파는 해방공간에서 소수의 회원이지만 순수한 조형이념인 ‘신사실’을 표방하는 미술집단으로서 출발하였다. 신사실파는 1948년 창립전을 시작으로 혹독한 한국전쟁기에도 3회전을 가짐으로써 조형성을 우위에 둔 미술집단의 명맥을 유지했다. 그런데 신사실파는 추상작가들로 이루어진 미술집단에서 점차 구상작가들과 공존하는 복합적인 모습으로 변해갔기 때문에 이와 같은 추상과 구상의 양립은 신사실파의 특이점이라고 할 수 있다. 이렇듯 신사실로 전개한 창립회원들의 추상이 구상경향의 회원들에게 공감할 수 있는 새로운 조형의식을 제공했다는 사실은 신사실파가 기존 미술과는 다른 새로운 형식의 미술을 모색한 실험적인 미술집단이었음을 시사한다. 신사실파 창립회원들은 현실의 본질적인 특성을 추구하고 미술의 비공리성을 지지하였는데 이는 이들이 습득한 추상개념을 근간으로 한 것이다. 창립회원들은 1930-1940년대 초에 일본에서 유학을 하였고 전위미술 그룹전인 《자유미술가협회전》(1937-44)에 참여하여 두각을 나타내었다. 이 시기에 창립회원들이 수용한 추상개념은 미술의 자율성을 수호하기 위해 결집한 서구 기하추상 운동에 영향을 받았다. 이를 통해 이들은 기하추상을 다양한 추상경향의 집합으로서 자유를 상징하는 자율적인 형식을 지닌 미술로 인식하였다. 따라서 이들은 미술의 자율성을 바탕으로 각자만의 독자적인 표현을 중시하는 예술관을 공유하게 되었다. 창립회원들이 전개한 추상개념을 이해함에 있어 연관시킬 수 있는 서구 기하추상 운동은 ‘비구상’을 내세워 추상미술에 관한 다양한 미학적 이론과 실행을 통합한 파리의 ‘추상-창조’ 그룹(1931-36)과 《레알리테 누벨 전람회》를 들 수 있다. 신사실파가 기획되고 창립전을 가진 시기에 개최된《레알리테 누벨 전람회》는 추상-창조 그룹의 이념을 공식적으로 계승한 국제 기하추상 전시였다. 이 전람회의 조형이념인 ‘레알리테 누벨’은 서구 추상미술의 진영에서 통용된 새로운 사실주의로서 미술의 자율성을 옹호하는 중요한 근거였다. 신사실로 전개한 창립회원들의 추상개념은 이러한 동시대의 조형이념과 연계된 것이며 전위의 실천으로서 실험적인 미술 형식에 전념하는 이들의 형식주의적 태도 역시 추상운동과 결부된 서구 모더니스트에게서 찾아볼 수 있는 특징이었다. 새로운 민족미술의 수립을 둘러싼 이념분쟁은 첨예했으나 이를 어떻게 표현할 것인가의 문제에 있어서는 성과가 부진했던 해방공간의 특수한 상황 속에서 신사실파 창립회원들은 추상미술의 전위성을 구체적인 현실과 소통하는 추상을 시도하는 실험정신으로부터 담보하고자 하였다. 즉 이들이 신사실로 선보인 추상은 새롭게 인식한 전통과 자연이라는 경험적인 모더니티를 관념적으로 습득했던 추상형식에 주입함으로써 서구 기하추상의 문맥에서 이탈한 새로운 형태의 추상이었다. 이와 같은 이들의 개방적이고 자유로운 발상은 다른 전위경향의 구상 작가들에게 신사실파로의 참여를 이끌어낼 만큼 상당한 설득력을 얻었다고 여겨진다. 김환기와 유영국의 추상은 해방 이전의 ... This study is an attempt to search the concept of abstraction shared among the founders of ‘New Realism Group’(1947-1953) in the view of new interpretation on the western geometric abstraction in order to clarify that their abstract works are conceived in terms of their own perspectives. The New Realism Group was a small art group which formed by the abstract artists including Kim Whanki, Yoo YoungKuk and Lee KyuSang. After its first show in 1948, the group has survived in holding the third one in Busan,a refuge during the Korean war period in 1953. However, it is interesting that the group kept a foot in both abstract and figurative tendencies, by degrees three additional members, Chang WookJin, Baek YoungSu and Lee JoongSup, joined in addition to the three original members. That would imply that the members tried to explore and do experiment with form of art in searching for a new art for a new society. The founders were concerned with essential properties of reality and had the opinion that art should be cut off from social demand. Their attitudes towards art were based on notions of abstraction they have acquired. From 1930s to the early 1940s, they studied in Japan and participated in the avant-garde group, ‘The Association of Free Artists’(1937-44). At this time,their concept of abstraction was influenced by the western geometric abstraction movement, which formed to dedicate to preservation of the autonomy of art in the face of growing totalitarianism. They identified geometric abstraction in its various forms with freedom from political constraint and the concept of geometric abstraction with the pursuit of autonomy or independence. Therefore, they shared with the attitudes and understandings of abstraction which put emphasis on individual expression in terms of the autonomy of art. To understand their concept of abstraction, it can be said that two important western abstract groups were related the New Realism Group. The first one, the association ‘Abstraction-Création’(1931-36) was formed in Paris, which intended to merge the variety of aesthetic theory and practice on abstraction into non-figuative art. The other is 《Le Salon des Réalités Nouvelles》, officially a successor to the association ‘Abstraction-Création’,which held the international exhibitions showing geometric abstraction in post-war when the New Realism Group was formed and held its first show at the same time. ‘Abstract’ took a new name: Réalités Nouvelles by title of the association. This term of Réalités Nouvelles, the new realism, was in common word in the Abstract camps. It became the base of art’s autonomy. Indeed, their concept of abstraction represented ‘New Realism’ was linked to these concepts of geometric abstraction. And also they had two of formalistic characteristics which were a preoccupation with form and a stress on art’s autonomy from other concerns of social life. These characteristics are seen by modernists in abstract art movement. While diversified understandings of a new national art led to the sharp ideological conflict, but the way to express these understandings was lacked. At this time the founders attempted to embody abstract art from practice of the avant-garde linked with actual life. Indeed, merging tradition and nature newly realized as experiential modernities into form of abstraction they suggested a new interpretation on abstraction differing from the western geometric abstraction. However Kim Whanki and Yoo YoungKuk’s the abstract works were different from those under a strong influence of the western geometric abstraction in 1930s and the early 1940s. But they still refused the representation of realism and social role of art, and did experiment with the study of form independent from political constraint. At the same time, they rejected the purity of abstraction and regarded tradition and nature as new painterly modernity. Therefore, their new interpretation on abstracti...

      • KCI등재

        연작시 <밥과 자본주의>에 나타난 아시아, 자본주의, 신식민주의

        이소희(Lee, So?Hee)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2018 젠더와 문화 Vol.11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 최초의 페미니스트 시인으로 평가받는 고정희의 연작시 <밥과 자본주의>에 나타난 아시아와 자본주의, 신식민주의의 역사적 관계와 영향을 분석하여 고정희를 “아시아의 페미니스트 시인”으로 재평가 하기 위한 것이다. 고정희는 필리핀 체류 이후 전 지구적 규모로 작동하고 있는 자본주의와 신식민주의를 아시아의 역사적 맥락에서 읽어냈고 그 결과로 탄생한 것이 바로 <밥과 자본주의>를 구성하고 있는 26편의 시이다. 고정희는 아시아 밥상문화의 평등성을 강조하면서 아시아가 겪어온 식민주의, 자본주의, 신식민주의를 극복하고 새로운 아시아 공동체의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여성주의 시각의 핵심을 아시아 여성의 삶과 수난에서 찾게 되기를 열망했던 고정희는 식민 역사의 지배와 억압 속에서 살아가고 있는 아시아 민중 여성들에게 깊은 공감과 안타까움을 표현하는 동시에 힘차게 나아가는 아시아에 대한 공동체적 비전과 연대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This paper explores Goh Jung Hee"s serial poem with 26 sections, Bab and Capitalism,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of Asia, capitalism, neocolonialism and female sexuality. The most creative and noteworthy ideas in the poem are her main analyse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merican colonial capitalism and Asian basic food, bab(rice). The paper argues that Goh Jung Hee indicts American colonial capitalism for its immensely powerful and harmful influence on contemporary Filipino culture and the subjectivity of Filipino people. Furthermore, she extends this approach to the colonization history of other Asian countries, in terms of Asian women’s sexuality and suffering induced by capitalism and neocolonialism. Despite the fact that the current neocolonial reality is not without problems, Goh Jung Hee hopes for Asian solidarity and community, anticipating a hopeful future for Asia and the Asian spirit, through overcoming its history of colonization and neocolonial capitalism.

      • 탈식민주의 시각에서의 소설 읽기 試論

        임성규(Lim Sung-Kyu)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8 江原人文論叢 Vol.19 No.-

        제국주의의 문화 지배는 지금 여기에서도 진행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것은 오늘날 확연한 정치적 지배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이데올로기적 책략을 바탕으로 하여 은밀한 형태로 잠복되어 지속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맥락에서 문화 제국주의의 지배적 음모를 분쇄하는 대항 이데올로기적 실천은 문학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 중 하나라고 말할 수 있다. 문학 작품이야말로 다른 그 무엇과 비할 수 없는 이데올로기의 담지자이자 매개체이기 때문이다. 특히 이광수의 ??무정??은 그 문학 정전적인 속성으로 인해 일반 대중들의 독서 대상으로 그 자리를 굳히고 있다는 점에서 탈식민주의의 시각을 통한 전복적 읽기를 요청하고 있다. 그것은 식민지라는 당대의 상황을 넘어 현재적 관점에서 신제국주의 비판을 수행하는 일과 맞닿아 있는 것이다. 상업적인 기획에 침윤되어 통속적 재미를 일방적으로 강조하거나 개인 영달만을 합리화하는 그릇된 계몽 기획의 표지들은 사회, 문화적 맥락을 고려한 탈식민주의적인 읽기의 극복 대상이 된다. 그러므로 소설 작품이 내함하고 있는 지배 이데올로기를 간파하고 심미적 거리의 조정을 통한 거리두기를 통해 독자 내면의 주체적 자의식을 확립하는 것이 소설 독자의 응당한 책무라고 말할 수 있다. 이광수의 경우 민족의 현실과 미래를 바로보지 못하고 온정적인 시혜의식과외세에 의존한 일방적 계몽에 집착하는 폐단은 식민 이데올로기 비판을 통해 극복해야 할 과제인 것이다. 그러므로 식민 구도에 대한 대항 이데올로기적 실천이 탈식민주의에 기반을 둔 소설 텍스트 읽기를 통해 실천되어야하며, 작품의 허실을 꿰뚫을 수 있는 소설 텍스트 해석 능력을 키우기 위한 노력들이 이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 reading fiction at the viewpoint of post-colonialism. The division of rule and colonization is maintain now and here reality. This point, reading a novel is link with active interpretation operation. Actually, cultural imperialism is progressing in camera at the cultural side around us. Cultural control of imperialism is doing now and here. It is not tangible control but secret form through ideological strategy. So, counter ideological practice is direction that literary education pursuit. Because Literary text is ideological medium. Criticism on colonial ideology is one of tasks that literary education have to solve. So, role of novel reader is the triangular position of subjective the inside through critical distance with checking the West dominate ideology. One-sided enlightenment that depend on foreign have to conquer with adequate colonial ideological critique. Accordingly, endeavors that bring up novel text interpretation competence get a continuously thorough training.

      • KCI등재

        신 식민주의에 저항하는 탈 식민적 드라마

        곽진아(Kwak Jin-A),이용희(Lee Yong-Hee)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인문과학연구 Vol.0 No.32

        본 연구는 1950년대 이후 새롭게 등장한 제국주의형태인 신 식민주의의 대표적인 나라, 미국에 저항하는 탈 식민주의적 드라마를 고찰하고자 한다. 벨리나 하수 휴스턴과 제니 림은 동양 지식인 여성이라는 공통점을 바탕으로 주류의 역사에 묻혀 목소리를 낼 수 없었던 일본 전쟁신부들과 중국이민자들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인다. 미국의 거대한 역사의 흐름 속에서 발설되지 않았던 아픔들을 아시아계 미국인 작가라는 사명감을 가지고 복원해내고 있다. 작품 『차』와 『종이 천사』에서는 언어적 요소와 음악적 요소를 통하여 관객들로 하여금 중심에서 주변인으로, 위치의 전복을 통해 그들의 저항의지를 함축적으로 담아낸다. 계속해서 작품의 배경이 되는 정션 시티와 엔젤 아일랜드라는 혼성적인 공간을 통해 식민 지배 담론의 이항적 대립을 불식시키고 “사이에 낀” 존재로서의 분열된 자아의모습을보여준다. 그들이 속해있던혼성적인제3의공간은이분법적 위계질서를 불안정하게 하는, 전복적인 힘을 가진 곳으로 탈 식민주의적 의미를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휴스턴과 림은 역사 다시쓰기, 전복적인 언어와 노랫말 가사를 통한언어의 전유와 같은공통된 극작방법을 보인다. 계속해서 주인공들이 혼성적인 공간 속에서 보이는 분열된 자아의 모습을 통해 작품안에서 공통적으로 보여지는 탈 식민주의적 요소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Neo-colonialism was coined by the first president of independent Ghana, and literally it means ‘new colonialism.’ The newly emerging superpowers such as the United States continued to play a decisive role through fixing prices on world markets, multinational corporations, and a variety of educational and cultural institutions. It was more insidious and difficult to detect and resist than the older overt colonialism. This study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eo-colonialism and post-colonial drama. Velina Hasu Houston and Genny Lim are considered as Asian-American female playwrights whose mission is to dig up and restore Asian-American history, buried and ignored under the dominant American history. Therefore, these playwrights have made the biggest contribution to making the Asian community visible in the literary arena. In the text, both playwrights share similar techniques in order to destabilize the authority and power of the dominant. They commonly use English and their mother tongue in the play. By doing this, they express their resistance to English, which is a linguistic tool of the dominent. This discursive strategy emphasizes the language barrier such as the difficulty of communication between English-speaking-Americans and the immigrants. Furthermore, in terms of these two plays’ background, Angel Island and Junction city are the ‘in-between’ and hybrid spaces at the same time. These carry the burden and meaning of culture, and this is what makes the notion of hybridity so important. It is this potential of hybrid spaces to reserve the structures of domination in the colonial situation. The plays of Houston and Lim do not glorify the painful diasporic experience. They endeavor to re-member and re-write the history of America by disclosing the forgotten and hidden history of Asian-Americans through the dramatic strategies.

      • KCI등재

        역사적 트라우마와 식민지의 연속성 - 1965년 체제 이후의 김정한, 이호철 소설을 중심으로 -

        김지윤 세계문학비교학회 2019 世界文學比較硏究 Vol.69 No.-

        한일관계에 대한 새로운 성찰과 ‘1965년 체제’의 재점검이 요청되는 현 시점에서 한일협정 이후에도 온존해왔던 여러 해결되지 않은 문제들에 대해 살펴보는 것은 전후 포스트식민주의 문제를 논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부분이다. 한일협정은 중요한 안건들을 정면으로 돌파하지 못한 결함 많은 조약이었고, 과정에서 군사력을 동원해 반대운동을 제압하는 등 역사에 오점을 남기기도 했다. 많은 문제를 미해결상태로 놓아둔 채 마무리된 한일협정은 결국 지금까지도 계속되는 모순과 왜곡, 편견과 갈등을 낳고 있다. 이런 시점에서 이 글은 1965년 체제 이후의 김정한과 이호철의 소설을 주의 깊게 살펴보려 했으며, 특히 1960∼70년대에 쓴 김정한의 후기 소설들에 주목했다. 김정한은 민중의고통과 당시 부정적 현실에 대한 첨예한 비판의식과 해방과 전쟁을 거치며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남아 있는 여러 문제들이 서둘러 봉합되거나 은폐되는 데 대한 저항의 목소리를내고자 했다. 특히 그의 후기 소설 중 (신)식민주의의 문제를 다루고 있는 일군의 소설들을 다시 살펴볼 필요가 있는데, 한-일 관계를 기존의 다른 소설과는 다른 방식으로 성찰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는 역사적 기억을 반추하고 당대의 한국 현실 속에 여전히 작용하고 있는 ‘식민지성’의 남은 문제들을 한국인뿐 아니라 일본과 일본인의 입장에서도 확장시켜 바라보려고 한다. 그의 소설들은 서로 다른 시선과 기억이 교차하는 한-일간의 문제를 단순하게 그려내기보다는 그 복잡함과 모순성을 좀 더 깊이 성찰해보고 해방-전쟁-전후로 이어지는 연속적인 흐름을 냉전 구도와 세계라는 맥락 하에서 좀 더 넓게 파악하려한다. 또한 ‘구성된 평화주의’에 반발하고 ‘미국’이라는 새로운 제국을 인식하는 신식민주의적 시각을 견지하는 모습을 보인다. 나아가 김정한 소설과 그 결을 달리하는 이호철의 장편소설 역려 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들 소설들에 나타난 일본인 표상이 기존의 다른 작가들의 한국 소설 속에 재현되던방식과 차이를 보이는 부분에 주목하고, 김정한과 이호철의 소설이 갈라지는 지점도 면밀히 보려고 했다. 이 글은 1965년 체제라는 한국 역사의 중요한 지점을 김정한과 이호철 소설로 읽어보려는 하나의 시도로, 한-일 관계를 기존의 소설과는 다른 방식으로 성찰하고 있는 부분을살펴보려 했다. 이 소설들은 일본인의 시선을 통해 본 한국사회의 신식민성과, 아시아 전체로 확장되는 포스트 식민주의에 대한 작가의 문제의식을 표출한 작품이며 이 소설들에나오는 일본인 표상, 그리고 일본에 대한 인식은 우리에게 남겨진 역사적 트라우마와 (신) 식민지의 연속성이라는 측면에서 의미 있는 연구의 지점을 형성한다. These days, a new reflection on Korea-Japan relations is needed and a review of the “1965 system” is requested. At this point, it is necessary to look at the many unresolved issues that remained after the Korea-Japan agreement, the historical trauma left to us and the continuity of post-colonialism. In this regard, this paper aims to closely explore the Kim Jung-han’s and Lee Ho-chul’s novels of the time. Kim Jung-han’s later novels, written in the ‘60s and ‘70s, contain a keen sense of criticism of the negative reality at the time. It also resisted forgetting or concealing a number of unresolved issues after liberation and the war. Among his later novels, it is necessary to re-examine the novels dealing with the problem of (new)-colonialism, as they reflect on the Korea-Japan relationship in a different way from other existing novels. Kim Jung-han seeks to reflect on historical memories and look at the remaining issues which is still working in the reality of Korea in the day, not only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s but also from the perspective of Japanese. Furthermore, by reviewing the Japanese representation of Lee Ho-chul’s feature novel “Return,” which appears different from Kim Jeong-han’s, he noted that the Japanese in Kim Jeong-han’s novels are different from the way other existing authors were recreated in Korean novels. Kim Jung-han’s series of novels is a work that expresses the writer’s thoughts on the neo-coloniality of Korean society and post-colonialism, which extends throughout Asia, through the eyes of the Japanese.

      • KCI등재
      • KCI등재

        추천석사논문 : 누구를 위한 탈식민인가 -해방기 채만식 소설의 탈신민성 연구

        송상덕 ( Sang Deok Song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6 민족문학사연구 Vol.60 No.-

        이 글은 1945년 해방 이후 채만식 소설에 나타난 탈식민성(postcoloniality)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탈식민성이 이 시기의 채만식 소설에서 중요한 까닭은 채만식이 일제 말기에 스스로가 범한 대일협력이라는 과오를 반성하며 해방의 공간에서 민중 중심적인탈식민의 가능성을 탐색했기 때문이다. 본고는 해방기(1945~1950) 채만식 소설 전반에 나타나는 탈식민성을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고, 각각의 유형에 따른 탈식민적 인식을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탈식민주의 이론가이며 실천가인 프란츠 파농(Frantz Fanon)의 사상을 따르는 파농주의(Fanonism)의 시각에서채만식 소설을 분석할 것이다. 첫째로, 해방 후 지속되는 식민주의 이데올로기를 풍자하고 비판하는 소설들에서 탈식민성이 드러난다. 채만식의 해방 직후의 작품들은 식민주의 이데올로기가 제도로서 어떻게 지속되었으며, 신식민주의 기회주의자가 어떻게 탄생되었는지를 살펴본다. 먼저 「맹순사」, 「미스터방」, 「논 이야기」 등은 식민주의 이데올로기가 지속되었다는 점을 기회주의적 인물을 통해 보여준다. 다음으로 「역로」, 「도야지」는 작가의 현실 인식이 식민주의 이데올로기를 풍자하고 비판하는 것에서 자기 비판으로 나아가는 과정을 암시하고 있다. 둘째로, 민족역사와 민족문화에 대한 재인식하는 작품들에서 탈식민성이 드러난다. 장편역사소설 『옥랑사』는 주인공의 일대기와 역사의 연대기적 서술과 번갈아 나타나는데, 이는개인의 비극을 식민 침략의 사회적·역사적 맥락을 통해 이해한 것이다. 다음으로 『여자의일생』, 「역사」연작은 개화기를 조선 민중이라는 서발턴의 시각에서 재인식하고 있다. 또한조선 고전 패러디 소설 「허생전」 및 희곡 「심 봉사」는 작가의 민족문화에 대한 인식이 민중중심적이면서, 또한 근대적 욕망에 대한 비판적 거리가 나타나는 것으로 정리될 수 있다. 셋째로, 자기 비판 소설과 귀환 소설에 탈식민성이 나타난다. 「낙조」와 「민족의 죄인」은 대일협력에 대한 반성 과정 속에서 과잉결정된 조선 민족성을 수용함으로써 탈식민의 출발점을 후속세대로 상정하고 있다. 또한 「소년은 자란다」는 해방기 귀환 서사의 맥락에서 탈민족주의적 인식과 태도를 보여준다. 특히 「소년은 자란다」는 탈민족주의적 인식이 민족주의적 인식과 서로 충돌하면서 모든 타자의 인정을 추구하는 뉴휴머니즘 지향이 나타난다. 따라서 채만식은 자주적인 탈식민의 가능성을 탐색했던 것으로 보인다. 결론적으로 해방기 채만식의 전 작품은 다른 어느 시기보다도 다양한 실험적 시도를 통해 탈식민성을 추구하였다. 따라서 기존의 연구에서 시도된 문학사회학적 연구에 해방기 채만식의문학의 탈식민성을 추가함으로써 채만식 문학의 지평을 조금이나마 더 넓힐 수 있을 것이다. This thesis aims to investigate the aspect of postcoloniality in Chae Man-sik` novels during the liberation period(1945~1950). The postcolonialit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eatures of his novels because he searchs for possibility of postcoloniality in subaltern`s vision through self-criticsim. The postcoloniality in his novels could be divided into three types. And then I investigate the aspects of postcolonial vision in each type of his novels. Especially, this study accepts ideas of Frantz Fanon who as known as postcolonial thinker and revolutionist and then applies visions of Fanonism to analysis Chae Man-sik`s novels. Firstly, the postcoloniality emerges to satirize lasting colonialism. I aim to investigate how colonialism lasts and how neo-colonial opportunists were born immediately after the liberation. The Policeman Mr. Maeng, The Mr. Bang, The Story about rice-field imply that colonialism lasts in this period, and also satirize the neo-colonial opportunists. And then The Road of history, The Doyazi, show that satire techniques reach the limit. Secondly, the postcoloniality emerges to recognize korean national history and national culture. I focused on his history novels and parody of Korean classics novels in liberation period. Ok-rangsa which means ancestral shrine to admire Ok-rang is story about tragic love in the korean enlighened period. I aims to investigate meaning of descriptive dualistic structure which Ok-rangsa was composed of that. And then I could prove that this structure is related to his history vision. The Life of the woman, history novel series is related to reconstruct of korean enlighened history from subaltern`s vision. At last, The Story of Heo Saeng, The Blind Shim, which are parody of Korean classics novels, is realted to his vision about national culture. This visions is accepted from subaltern`s vision and criticism about modern desire. Thirdly, the postcoloniality emerges to self-criticism and Repatriation novels. The Sunset shows objective self-criticism. and also The Sinner of Nation accomdates overdeterminated Korean nationality in self-criticizing about obedience to Janpanese Empire. And also postcolonial praxis is achieved from future generation. The Boy is growing up has a postnational vision. Especially, The Boy is growing up aims to New-humanism through conflicting between postnational vision and national vision. Therefore, Chae Man-sik appears to search for possibility of indipendent postcoloniality. In conclusion, All about Chae Man-sik`s novels in this period pursue to postcoloniality through various attempts. Threfore It shows postcoloniality to Chae Man-sik`s novels during the libertation period.

      • KCI등재

        인공지능시대의 신식민주의: Transcendence에 나타난 지각기계와 특이점

        홍은숙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人文硏究 Vol.- No.89

        This paper examines the philosophical and sociopolitical issues aroused by Dr Will Caster’s ‘sentimental machine’ in Transcendence, along with the concepts of Alan Turing’s ‘can machines think’ and Ray Kurzweil’s ‘singularity.’ It also analyzes colonial mechanism from the perspective of ‘efficiency and morality’ in scientific progress, human ontology and epistemology in the age of AI, new governance system, and network- war between neo-Luddites and technofuturism. The sentimental machine ‘Transcendence’ passed the Turing Test with the Law of Accelerating Returns, unveiled the mystery of consciousness, and worked out its own destiny. From this point, human beings lose control and domination of AI and are in danger of falling to ‘Useless Class.’ Transcendence represents net-war(networking war) between them. The sentimental machine(Res Sapiens) becomes a whole new dominant subject and ‘Res Socialis’ by networking with other subjects and objects. The relations of AI and human reflect those of core and periphery in colonialism. Transcendence foretells cyber-colonialism and neo-colonialism. 이 논문은 앨런 튜링의 “기계가 생각할 수 있는가”와 레이 커즈와일의 특이점 개념으로 <트랜센던스>의 인공지능 과학자 윌 캐스터가 개발한 ‘지각기계’가 새로이 제기한 철학적, 사회적, 정치적 문제를 고찰한다. 이 논문은 과학적 진보의 효율성과 도덕성, 인공지능시대의 존재론과 인식론, 새로운 거버넌스, 기술혐오주의와 기술지상주의의 네트워크 전쟁의 견지에서 인공지능시대의 식민주의적 매커니즘을 분석한다. 트랜센던스는 수확과속의 법칙으로 튜링테스트를 통과하고, 인식과 지각의 신비를 해결하고, 스스로 운명을 개척한다. 이때부터 인공지능은 인간의 지배와 통제를 벗어나고, 인간은 무용계급으로 전락할 위기에 처한다. 이러한 사회적 상황에서 <트랜센던스>는 기술지상주의와 기술혐오주의 사이의 ‘네트워크 전쟁’을 재현한다. 생각하는 기계(Res Sapiens)는 생각에만 멈추지 않고 실행(Res Agent)을 하고 더 나아가 네트워크로 연결된 사회적 존재(Res Socialis)가 되어 더 이상 대상이나 사물이 아닌 인공지능시대의 주체가 된다. 식민주의는 중심과 주변부 사이의 지배와 피지배가 작동하는 방식을 일컫는 이데올로기이다. 인공지능시대에 트랜센던스는 중심으로 부상하고, 인간은 주변부로 밀려 나고, 이들 사이에 식민주의적 지배와 통제 방식이 존재한다. 트랜센던스는 사이버-식민주의라는 신식민주의를 예고한다. 인공지능에 대한 서로 다른 극단적 주장이 첨예화되자, 국가기관은 네트워크 전쟁에 하나의 주체로 개입하여, 인공지능시대의 거버넌스에 문제 제기를 한다. 이 지점에서 과학적 진보에 대한 도덕성과 효율성 논쟁이 발생한다. 이 연구는 기술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하고 인공지능 시대의 새로운 가치 제시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 KCI등재

        정양 시에 나타난 탈식민 양상과 그 의의

        김혜원(Kim, Hye-won) 한국언어문학회 2015 한국언어문학 Vol.95 No.-

        This research aims at analysing aspects of post-colonialism of Jeong Yang's poems and identifying his perception and intention of post-colonialism and investigating its value. So the research investigates aspects of post-modernism formed between colonist and the colonized in discourse of modern history, being divided into three steps of stratum focusing on the poems reveals zeitgeist and historic consciousness of Jeong Yang: external colonialism, domestic colonialism and internal colonialism of individuals. Therefore the research first identified that Jeong Yang marked America as a back of division of Korean Peninsula and dictatorship and resisted against American imperialism with rejection and independence spirit against foreign power. And then it identified that he explored identity of neo-colonialism of Korean society belonged to colonial reality even after Independence and tried to resist against domestic colonial power with anti-dictator democratic spirit. Finally it also identified the self-reflective view of Jeong Yang to overcome the colonization of mind, catching domestic colonialism and colonialism of petit bourgeois infiltrated into minds of intellectuals dexterously. Thus the research investigated significantly that post-colonial view of Jeong Yang made us prospect the world of unification, independent national defense and self-reliance economy and then discourse on post-colonialism, in that Jeong Yang showed us that source of powerful strength was forming our way of thinking and cultural style was related to the system of colony discourse.

      • KCI등재

        張承志創作初探 : 他的理想主義與抗戰文學論 His Idealism and (Political) Resistance

        千賢耕 한국중국문화학회 2004 中國學論叢 Vol.17 No.-

        張承志는 新時期 이래 中國문단에서 크게 주목을 받는 작가이다. 回族 태생, 이슬람교도 紅衛兵, 이어서 知靑으로 등단하는 등 남다른 이력부터 세인의 관심을 받았다. 개혁개방으로 인민의 경제생활이 향상되고, 이는 현대화와 시장경제체제에 대한 열렬한 찬양을 넘어 금전숭배의 물질만능사조와 필연적으로 뒤따르는 인간정신 쇠퇴라는 풍조를 낳았다. 삶의 세속화, 속류화 등에 따라 문화계 역시 오락성의 추구상업주의화가 지배적 분위기를 형성했고, 이에 문단에서는 숭고한 연간정신 삶의 궁극의 목표를 상실한데 대한 우려와 질책의 소리가 "인문정신"에 대한 논쟁으로 표출되었다. 張承志는 바로 이러한 1990년대 이후 중국인문학계의 風景에 돌발적인 존재이다. 그는 보편적 사회분위기와는 달리 인간의 존재가치에 대한 끊임없는 懷疑, 궁극적인 가치에 대한 추구, 자기수양과 불요불굴의 정신을 강조하며 "혁명시대"의 힘을 잃어가는 중국사회를 一喝하였다. 그의 작품에 항상 등장하는 "求道者"의 형상이나 끓어넘치는 젊음의 기백 등, 격정적 理想主義와 英雄主義로 대표되는 그의 작품세계는 이렇듯 꿈과 격정을 잃어버린 세대에게 희망으로 다가가며 "熱氣" "神話"등의 현상을 낳기까지 한 것이다. 그러나 한편 그의 理想主義나 英雄主義는 紅衛兵 출신이라는 개인경력과 맞물려 다른 평가를 이끌어내기도 한다. 특히 현대중국의 "암혹기"라 평가받는 文化大革命과 紅衛兵에 대해서도 張承志는 "영광의 60년대"라는 인식을 갖고 있다. 물론 張承志가 인정하는 것은 목표를 향한 열정, 전체를 위한 개인의 희생과 헌신, 절대 굴하지 않는 투쟁정신, 사회 전체의 총체적인 통일 등 그 시절이 담지했던 "理想"과 "激情"이었다. 그러나 교조적인 이상과 격정, 전체를 위한 개인의 희생과 헌신을 강요받으며, 그러한 이상주의와 영웅주의 속에 인간으로서의 존재가치를 빼앗겨야 했던 당대 중국인들은 경계와 우려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아울러 張承志의 抗戰文學論 역시 이와 유사한 양면적 평가를 받는다. "세계화"와 함께 추진되는 미국 주도의 覇權主義는 제3세계에 또 다른 식민주의(新植民主義)의 두려움을 자아내고 있다. 서구화된 생활양식이 빚어낼 수밖에 없는 서구 추수적 중국사회의 분위기는 文化帝國主義의 침략에 대한 지식인들의 "민족존망의 위기감"을 자아냈고, 張承志는 이러한 위기의식을 "서구문명"에 대한 투항에의 저항(抵抗投降), 즉 "新식민주의 반대"라는 "抗戰文學論"으로 형상화한 것이다. 이는 중국 뿐 아니라 한국을 포함한 제3세계 공통의 문제이지만, 이러한 움직임이 낳을 또다른 부정적 결과를 경계해야 할 것이다. 중국의 中華主義가 이러한 민족적 위기감과 결합할 때는 또다른 보수주의 사조가 등장할 것이고, 이는 人類共榮의 공동체적 삶을 목표로 하는 현대인에게는 더더욱 중요하고도 시급한 문제이다. 이렇게 張承志는 中國 안팎에서 각기 다른 이유로 주목을 받는 "문제적" 작가인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