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집논문 : "문학 특집"이라는 식민지적 접촉의 위상학 -「조선(朝鮮),태만(台灣),중국신예작가집(中國新銳作家集))」(1936.1)과「조선현대작가특집(朝鮮現代作家特輯)」(1937.2)을 중심으로-

        신지영 ( Ji Young Shin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6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58

        본 논문은 1930년대 중반 「문학안내」에 실린 “문학특집”이라는 식민지적 접촉의 장에 초점을 맞춰, 프로 문학의 전향, 출판자본주의의 대두, 제국주의적 검열의 심화라는 세 가지 양상 속에서 ‘식민지 문학특집’의 장이 펼쳐졌음을 분석한다. 그리고 이러한 배치 속에서 ‘문학특집’에 수록된 작품들이 제각각 어떤 전략을 모색했는가를 원본(조선어)과 번역본(일본어) 사이의 차이를 통해서 살펴본다. 이때 제국/식민지 관계뿐 아니라, 제국 문단 속 대만과 조선의 위치가 서로를 어떻게 참조하면서 제국 문단을 내면화하고 또 제국 문단에서 비껴난 접촉의 공간을 형성했는가를 모색하려고 한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사회주의 문학자들의 전향, 출판자본주의의 대두, 아시아로의 제국주의적 침략의 그림자가 뒤엉킨 상황 속에서 ‘근로자 대중’이 직접 창작하는 문학을 목표로 하여 만들어진 1930년대 중반의 「문학안내」라는 잡지의 성격을 일종의 독자란인 「안테나」에 초점을 맞춰 규명한다. 둘째로 프로문학의 교조성을 탈피한 대중성, 출판 자본주의에 대한 비판, 근로자 대중의 현실에 기반하고 그들의 손으로 생산하는 문학, 엄격한 검열에 대한 경계라는 양상 속에서 1930년대 중반의 「문학안내」의식민지 문학 소개의 장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보여준다. 이때 1935년 10월부터 시작된 「새로운 보고」란의 식민지 문학 소개가 1936년 1월호의「朝鮮·台灣·中國新銳作家集」 과 1937년 2월의 「朝鮮現代作家特輯」로 이어지는 과정을 중국, 대만, 조선의 관계성 형성 속에서 고찰한다. 이때 대만과 조선이 서로를 어떻게 참조하고 제국 문단의 위계를 내면화 하는가를 비판적으로 논한다. 셋째로 1937년 2월의 「朝鮮現代作家特輯」 에 실린 작품들의 한국어 원본과 일본어 번역본을 비교하여, 각각의 문학자들이 제국 문단에 소개되는 기회를 전략적으로 이용하여 어떤 지점을 드러내려고 했는가를, 각 문학자들이 지닌 내재적 논리(자본주의 비판, 식민지주의 비판, 식민지적 근대성 비판)를 통해서 드러내고, 이러한 논리들이 대만의 작가들의 전략과 어떤 공통점을 지녔는가를 시사한다. 결론에서는 이것이 1940년대에 이것이 문학전집으로 묶일 때 무엇이 배제되는가를 1937년 2월 「문학안내」의 문학 특집과의 관련성이 강하게 보이는 「朝鮮文學選集」(1~3)(赤塚書房, 1940)의 편집의도를 통해서 살펴본다. 그리고 문학 특집과 문학 선집과의 제도적 연계가 지닌 가능성과 한계를 1940년대라는 문단적 사상적 상황을 통해 드러내고, 1940년대에 만들어진 조선 문학 특집과의 비교가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했다. 1930년대 중반의 문단적 조건, 프로 문학의 전향, 출판자본주의의 대두, 제국주의적 검열의 심화라는 세 가지 양상 속에서 ‘식민지 문학특집’의 장은 펼쳐졌다. 그런 점에서 문학특집은 포섭과 탈주가 공존하는 장이었다. 이러한 배치 속에서 ‘문학특집’에 수록된 작품들의 원본(조선어)과 번역본(일본어) 사이의 차이를 비교해보면, 작가들이 제각각 지닌 논리(국제 사회주의 연대, 피식민지 지식인의 내면 묘사, 식민지 농촌 근대화 비판, 일본인들과의 다층적인 관계와 식민지 어촌, 하층민의 사투리) 등을 통해 번역했고 이것이 식민자로 하여금 새로운 소재=식민지 문학에 대한 호기심과 두려움을 동시에 갖는 원인이 되었다고 할 수있다. 또한 이때 제국/식민지 관계 뿐 아니라, 제국 문단 속 대만과 조선의 위치가 서로 경쟁하면서 상호 참조하는 과정을 밝혔다. In the middle of 1930’s, the proletarian literatures were undergoing conversions, the print capitalism was emerging and the imperial censorship was strictly imposed. Under the harsh circumstances, Bungaku annai [Literary guide] carried special literary issues. I examine the works in them with the focus on colonial contacts. I notice the different ways in which the works in them adopted the strategies for introducing themselves to the imperial world, while comparing the original versions with the translated ones. Besides, I look into the temporal space in which Choson and Taiwan interiorized imperial literatures by implicating each other and twisted or foiled them at the same time. Firstly, Bungaku annai aimed to produce and publish literary works created by laboring masses. It contained the section called “Antenna” which carried the readers’ opinions, which complied with the magazine’s plan. Thus, I deal with the sections to understand the nature and goals of the magazine. Secondly, I show the processes in which the magazine designed the introductory sections for the colonial literature, based on popularity free from the ideological code of proletarian creativity stemming from the laboring masses despite the harsh imposition of censorship. The introductory section named “Fresh Report”, which began in October, 1935, developed into “The Collection of New Writers from Choson, Taiwan and China,” which appeared in January, 1935 and “The Special Issue of Contemporary Writers from Choson,” in February, 1937. I consider the development and transitions in the light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China, Taiwan and Choson, with a critical discussion about the way how they implicated, compared and stratified one another. Thirdly, the works in “The Collection of New Writers from Choson, Taiwan and China” have their original versions and translated ones. Comparison between the two versions brings to light the way how the writers strategically utilized the chances to be introduced to the imperial literary world, and their criticism against capitalism, colonialism and modernity which they fostered in their inner minds. I suggest the logics and strategies the Taiwanese and Choson writers shared in common through making comparisons. Fourthly, there appeared “The Special Issue of Choson Literature” in the magazine Bungei [Literary arts] in July, 1940. It clearly shows the characteristic features in the early 1940’s, when the language, together with themes, was beginning to be incorporated into the imperial world and, thus, the “Choson” was “absent” from the colonial literary special issue. Then, writers were forced to write only in Japanese, whereas they, in the former days, could write in Korean and translate in Japanese. Here, they changed their strategies to represent their thoughts in the imperial literary situation. I treat the changing tactics they employed. Taiwan Koron [Taiwan opinion], which interiorized imperial literary systems, carried “The Special Choson Issue,” in December, 1943. None of the Choson writers, ironically, participated in arranging the Issue. However, Taiwan writers expressed their strong colonial emotions like competitiveness, empathy, jealousy and others toward the Choson literature and culture. By carefully looking into the Issue, I reify the colonial contacts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aiwan and Choson. What is remarkable here are the situations in which the victims of imperialist’s violence sold out their suffering experiences (or imparting their information) to the metropole of the empire which inflicted damages on them and the situations in which the intellectuals in the diaspora resisted the centrality the metropole suggests and at the same time they interiorized the empire. Now we ask a question how they appropriate or avoid them. I examine them in terms of the relations between the colonizer and colonized as well as between the colonized themselves. Together with them, I discuss the strategies the writers made use of when they translated their works into Japanese and expound their literary logics while deflecting the imperialist’s intents.

      • KCI등재

        제국-식민지 체제의 구멍을 응시하는 눈: 차승기의 <비상시의 문/법>에 기대어

        오태영 상허학회 2017 상허학보 Vol.49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the life and literature of empire-colonial regime by leaning on of Bisangsi ŭi Mun/bŏp by Cha, Seung-Ki. He has to deal with empire and colonial as a regime, find a void in its structure in the midst of a structure that sustains it, start from what it can say, dismantle the world constructed by the grammar of that regime, it is necessary to look for new grammar. Thus, they stare at the critical point of the transition period, which is a mixture of modern and post-modern, and explores the state of mixed state of them, in which the empire and the colony are involved but also the difference in the differential structure. In addition, the positivity of the empire-colonial regime formed by the devices of human desire and form as they operate in the process of nationalization is sharpened by the rationalization of control, the internalization of desire, and the absoluteization of visibility. In addition, the positivity of these imperial-colonial regime has been reinforced or disorganized through the politics of literature. Paying attention to the late Japanese colonial period causes concern that it is immersed in gazing at the ruins of modern criticality, empire-colonial regime, thereby fixing historic things as immutable. However, it makes it possible to discover the hybrid language which has been excluded from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literature and to grasp the cultural and ideological chain between empire and colony. In that respect it is still important to continue searching for the regime, life, and literature of the lat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the now-here critical point of modernity. And it is necessary to discover the meaning of the literary language which has violated or overturned the positivity of the modern empire-colonial regime and what it means. The Reasoning about a colony is to have an eye on the hole of the empire-colonial regime. 이 글은 차승기의 <비상시의 문/법>에 기대어 식민지 말 제국-식민지 체제의 삶과 문학에 대해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차승기는 제국과 식민지를 하나의 체제로 다뤄야 하고, 그러한 체제를 지속시키는 구조의 한가운데서 그 구조의 공백을 발견해야 하며, 말할 수 있는 것에서부터 시작해 그러한 체제의 문법이 구축해놓은 세계를 해체하거나 또 다른 문법을 모색할 필요성을 전제한다. 그리하여 근대와 현대가 뒤섞인 전환기의 임계점에 서서 그것들이 뒤섞인 상태를, 제국과 식민지가 함께 연루되어 있으면서도 차별적 구조 속에서 차이를 발생시킨 양상을 면밀하게 탐색한다. 또한, 인간 욕망의 조건이자 형식으로서의 장치들이 황민화 과정에서 작동하면서 구성한 제국-식민지 체제의 실정성을 통제적 합리화, 욕망의 내재화, 가시성의 절대화 등으로 예리하게 포착해낸다. 아울러 이러한 제국-식민지 체제의 실정성이 문학이라는 장치를 통해 강화되거나 해체되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식민지 말’에 주목하는 것은 근대의 임계점, 제국-식민지 체제의 폐허를 응시하는 데 몰입하게 하고, 그로 인해 역사적인 것을 불변적인 것으로 고정화시킬 우려를 낳는다. 하지만 그러한 집착은 한국 근대문학사에서 배제되었던 혼종적인 언어를 발견하게 하고, 제국과 식민지 사이의 문화적․사상적 연쇄 고리를 파악할 수 있게 한다. 그런 점에서 지금-여기의 또 다른 근대의 임계점에 서서 식민지 말의 체제, 삶, 문학에 대한 탐색을 지속하는 것은 여전히 중요하다. 그리고 이때 근대의 제국-식민지 체제의 실정성을 위반하거나 전복하고 있었던 문학의 언어를 발굴하고 그것이 갖는 의미에 대해 말할 필요가 있다. 식민지를 사유한다는 것은 제국-식민지 체제의 구멍을 응시하는 눈을 갖는 것이다.

      • KCI등재

        주변부의 근대-남북한의 식민지 반봉건론을 다시 생각한다-

        홍종욱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14 사이 Vol.17 No.-

        If we go back to the idea that ‘colony = modernity’, on which the theory of colonial modernity is based, and consider the colony as a field in which the heterogeneous time and space of Europe and Asia became intertwined, we have to acknowledge there are similarities between the theory of colonial modernity and the theory of colonial semi-feudalism, which had a major influence on the Korean academic world in the 1980s. The two theories are similar in that they pay attention to the heterogeneity and inequality of capitalism, or the modern. The key point of ‘the controversy on the unification of China’ in mid-1930's Japan, was how to understand coloniality. Tadao Yanaihara insisted on the theory of modernization or decolonization, and Suehiro Okami’s theory was close to that of stagnation without considering coloniality. Tsutomu Nakanishi focused on the duality of Imperialism during the development of capitalism in semi-colonies and the people’s resistance resulting from it, criticizing both Okami and Yanaihara. Jeong-sik In’s theory was close to that of Okami in that it considered Korea as semi-feudal, placing emphasis on its stagnation. However, Mun-gyu Bak and Mun-byeong Bak, considering the influence of coloniality, recognized both the possibility of differentiation in agriculture and feudalism as strengthened by Imperialism. After his conversion, In recognized the development of capitalism in Korea and denied the fact that Korea was a colony. The conclusion of ‘the controversy on the periodization of the modern’ in North Korea in 1962 can be summarized as ‘colonial semi-feudalism = modern’. It appeared to be a compromise between the theory of social economic formation and the theory of class struggle. As the historiography of self-reliance (juche) gained momentum in the 1980s, the theory of class struggle was fully adopted and the division between modern and contemporary was changed from the liberation in 1945 to the March 1st movement in 1919, indicating that anti-colonialism ironically lost substance as a result of its emphasis on self-reliance (juche). In South Korea, Byeong-jik An was strongly opposed to the idea of the development of Korean capitalism, including the theory of the bud of capitalism. In An’s theory of colonial semi-feudalism in the 1980’s, we are able to recognize his endeavor to explain the colonial experience escaping the formula of historical materialism and the theory of modernization. In contrast to Byeong-jik An, Hyeon-chae Bak and Hideki Kajimura criticized the problem of the development of Korean capitalism after once recognizing it. In 1989, Byeong-jik An published a paper in which he evaluated the development of Korean capitalism from his belief in desubordination. His change meant that he gave up trying to explain coloniality. An’s change can be viewed as a shift from Suehiro Okami to Tadao Yanaihara’s ideas in the controversy on the unification of China and can also be compared to Jeong-sik In’s conversion in colonial Korea. The difference between Byeong-jik An and Hyeon-chae Bak or Hideki Kajimura lay in the question of whether or not colonialism and the people’s resistance were considered. ‘식민지=근대’라는 식민지근대론의 원점으로 돌아가 식민지를 서구와 아시아라는 이질적인 시간과 공간이 겹쳐지는 장소로서 파악한다면, 1980년대 한국의 지식계를 강타했던 식민지반봉건론의 문제의식이 되살아나는 듯한 느낌을 받게 된다. 두 이론은 근대 혹은 자본주의의 비대칭성, 불균등성에 주목한다는 점에서 공통된다. 1930년대 중반 일본에서 벌어진 ‘중국통일화논쟁’의 핵심은 식민성을 어떻게 볼 것인가였다. 야나이하라 다다오는 근대화론 혹은 식민지탈화론의 입장이었고, 오카미 스에히로의 논의는 식민성에 대한 고려가 부족한 정체론에 가까웠다. 나카니시 쓰토무는 양자를 비판하면서 반식민지의 자본주의 발전에 있어서의 제국주의의 이중성과 그에 따른 민중의 저항에 주목하였다. 식민지조선의 인정식은 조선을 ‘반봉건제’ 사회로 보면서 그 정체성을 강조했다는 점에서 오카미와 비슷한 입장이었다. 이에 반해 박문규나 박문병은 식민지라는 규정성을 중시하면서, 제국주의에 의한 봉건제의 유지·강화와 아울러 농촌 사회 분화의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았다. 한편 전향 이후 인정식은 조선의 자본주의적 발전을 인정하면서 조선이 식민지라는 사실을 부인하게 된다. 북한의 근대사 시대구분 논쟁은 1962년 ‘식민지반봉건=근대사’라는 형태로 총화되었는데 이는 사회구성설과 계급투쟁설의 결합으로 평가할 수 있다. 1980년대 주체사관이 본격화됨에 따라 계급투쟁설이 전면적으로 채택되어 근현대의 분기점은 1945년 해방에서 1919년 3.1운동으로 변경된다. 주체가 강조되면서 역설적으로 반식민주의가 형해화된 셈이다. 한편 안병직은 자본주의 맹아론을 포함하여 한국 자본주의의 발전을 이야기하는 것에 대해 강한 거부감을 갖고 있었다. 1980년대 안병직의 식민지반봉건론에서는 근대화론이나 사적 유물론의 공식에서 벗어나 식민지 경험을 설명하고자 하는 고민이 엿보인다. 박현채나 가지무라 히데키는 안병직과 달리 한국의 자본주의화를 인정한 위에 그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1989년 안병직은 한국의 NICs적 성장에 주목하여 탈종속의 전망 아래 한국 자본주의의 성공적 발전을 평가하는 글을 발표한다. 이와 같은 방향 전환은 그가 식민성을 해명하는 문제를 포기한 것을 의미한다. 중국통일화논쟁에 비유하자면 오카미에서 야나이하라로의 방향 전환에 해당하고, 식민지기 인정식의 전향과도 흡사하다. 안병직과 가지무라 혹은 박현채의 차이는 식민주의 그리고 그것이 불러일으키는 민중의 저항을 인식했는가에 있었다.

      • KCI등재

        식민지 체험자의 기억 속의 ‘제국’과 ‘식민지’

        이규수(Yi Gyu-Soo) 부산경남사학회 2011 역사와 경계 Vol.79 No.-

        이 글에서는 전후 일본의 식민지 기억을 한일회담 전후에 결성된 후지카이 관련자들이 남긴 식민지 체험 기억을 담은 회고록과 수기를 바탕으로 귀환자의 식민지 체험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전이되고 왜곡되었는지를 검토했다. 제국의 일반 서민이 식민지를 기억하는 회로는 다양하다. 식민지 기억은 ‘식민지 권역’과 ‘비식민지 권역’이라는 기억 대상에 따라, 또 본국으로의 귀환과 현지 억류 등 원체험의 차이에 따라 재편되었다. 제국 서민의 조선에 대한 기억은 식민자로 살아온 역사를 봉인한 채 ‘경계인’으로 살아갈 수밖에 없었지만, 제국과 식민지의 관계는 여타 식민지 권역과는 다른 양상으로 기억되었다. 후지카이를 비롯한 많은 식민지 귀환자들은 패전 이후 억눌려 왔던 기억을 한일회담을 계기로 ‘재생’시켰다. 전후 일본사회가 귀환자에게 던졌던 ‘싸늘한 시선’에 억눌려 살아온 자신들의 모습에 정당성을 부여하기 위한 시도였다. 한일회담을 통한 조약 체결은 식민지로부터의 귀환자들을 ‘식민지 개발 공로자’가 아니라 ‘침략자의 첨병’으로 인식하게 했지만, 후지카이를 비롯한 많은 귀환자들은 이에 반발하여 식민지에서의 자신들의 족적을 합리화하는 ‘언설의 공간’을 만들어 나갔다. 전후 일본사회의 귀환자에 대한 따가운 시선과 식민지에 대한 향수, 자기합리화의 감정은 새로운 제국의식으로 형태를 바꾸어 표출되었다. 그것은 단순히 자기합리화의 감정을 넘어 신생 한국에 대한 차별적인 고정관념의 고착화라는 ‘기억’의 역전으로 나타난다. 귀환자들은 식민지 체험에 대해 천황제 이데올로기로 상징되는 ‘사악한 국가권력’으로부터 외지로 밀려난 ‘선량한 서민’이라는 허울 좋은 도식으로 굴절시킨 심층의식을 형성했다. 식민지 시대를 언급한 수기의 공통성은 수기의 주인공인 자신이나 자기 육친은 하나같이 조선인에게 차별의식을 품지 않은 ‘착한 일본인’으로 형상화되었다. 한일 간의 ‘기억을 둘러싼 역사전쟁’은 아직 ‘휴전’ 상태이다. 완전한 ‘정전’ 상태를 맞이하기 위해 우리는 기억을 공동으로 재생시킬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후지카이의 식민지 기억에 관한 검토는 해방 전후 연속과 단절의 문제와 관련하여 한국인의 식민지 기억과 비교 작업을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In this thesis, I examined how the colony recognition of the japanese returned was transferred and distorted after the 2nd World War. on the center of the memoirs and manuscripts of the Fujikai related persons. The circuits in which the general japanese citizens remembered were various. The colony memories were reorganized according to the memory subject such as the colony district or the non-colony district, and the difference of original experiences like the return to the country or local detention. Though the empire citizens as the colonizers must have lived as ‘the bordered people’. their memory on the relation of the empire and the colony. Chosun was very different with on that of other colony districts. Many colony returned japanese have revived the suppressed memories after the war, with the talks of Korea and Japan as a momentum. It was the trial that the returned, who have been repressed in the cold gaze of the japan society, would have to justify their own attitudes. Though the agreement concluded through the talks of Korea and Japan recognized the returned as not ‘colony developers’, but ‘advance guard of the invasion’. they, resisting to this, have built ‘the justifying space of their traces’ in the colony of Chosun. In the Japan society after the war, the colony returned people’s homesick on the colony and the self-justifying feeing were changed as a new empire consciousness. In the manuscripts on the colony. the returned people and their family have been depicted as ‘a good people’ who have never had discriminatory consciousness to the korean. It was not simply the feeling of justification, but was ‘the reversal of the memories’. the adherence of the discriminated and fixed idea to the newly-born Korea. The historical war on the memory between Korea and Japan has been ‘a suspension state’ so far. To face with the complete ‘cease-fire’. we have to take the procedure in order to revive our common memories between Korea and Japan. The examination of Fujikai’s memories on the colony should be compared with that of the korean. And also I would go on inquiring into this problem.

      • KCI등재

        조선총독부의 서구 협동조합 모방과 식민지적 변용 : 금융조합 법령을 중심으로

        문영주(Mun Young-joo) 고려사학회 2008 한국사학보 Vol.- No.32

        식민지 경제법령은 식민지배자가 의도한 경제 운영방식을 공적으로 제도화한 규칙이다. 식민지 경제법령은 두 층위에서 제정되거나 개정되었다. 하나는 식민지배의 효율성을 높이려는 수단으로 서구근대의 경제제도를 모방해서 이식하는 층위이다. 모방의 대상은 서구근대는 물론이고 서구화된 일본근대를 포함한다. 다른 하나는 이식된 제도를 식민지 조건에 맞춰 변용하는 층위이다. 서구근대 제도의 식민지적 변용과정은 식민지근대의 제도화 과정이었다. 일제시기 금융조합은 신용조합의 형태는 갖추고 있었지만, 운영방식과 사회적 역할은 식민지 개발체제에 맞도록 변용되었다. 금융조합 관련 법령의 변화는 서구 협동조합의 식민지적 변용을 제도화하는 과정이었다. 식민지배자가 독일 신용조합제도에서 모방하고 식민지에 이식한 것은 중앙집권적 관리방식이었다. 이러한 모방과 이식을 바탕으로 금융조합은 신용조합 형태의 정책금융기관으로 변용되었다. 이처럼 한국인이 식민지에서 경험한 근대는 식민지배자의 논리에 의해 모방 · 이식되어 다시 식민주의에 의해 변용된 근대였다. 여기에 한국인이 저항과 비판을 통해 주체적으로 구상하고 실현시키고자 한 근대가 섞이거나 대결하면서 식민지근대는 구성되었다. Economic laws meant for a colonized region were 'institutionalized rules' that officialized the colonial masters' intentions regarding 'economic operations' inside the colony. They were either enacted or revised within two kinds of contexts. First, there were cases in which the economic administrations of the Western world were consulted, copied and transplanted into colonial situations, under the intention of enhancing the efficiency of ruling the colony. Not only the Western modern examples but also modern examples of the Westernized Japan were consulted and mimicked. Second, there were cases, in which foreign institutions were not only transplanted but also 'indigenized' (changed and modified to fit and suit the colonial situation). The process of Western modern institutions being 'indigenized' in colonies, was also the process of the 'Colonial modernity' being 'institutionalized'. The financial associations that were founded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were colonial financial bodies that were considerably different from Western cooperative unions in nature. They had the appearance of a credit union, but the format of the cooperative union was modified to suit the Japanese imperial authorities' plans to 'develop' the colonized Joseon. Changes occurred in the laws that were related to these financial associations, were part of the institutionalizing process of colonial modernity. The Japanese authorities copied the German version of a credit union administration, and transplanted the aspect of 'centrally controlled management' into the situation of the colony economy. As a result of this copying and transplanting, the financial association system in Joseon was 'indigenized' to reflect the realities of the colony, in the format of a government-supported(by policy) financial body, with the appearance of a credit union. The modernity the Koreans experienced during the colonial period, was a modernity copied and transplanted according to the colonial masters' plans and intentions, and also a remodified one changed to suit the colonialism of the time.

      • KCI등재

        ‘외지’ 고등교육기관 학생들의 식민지 표상 연구: 일본어잡지 『청량(清涼)』과 『상풍(翔風)』을 중심으로

        김욱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2018 일본연구 Vol.29 No.-

        This paper is a study on colonial representation based on Seiryo and Shohu, which were Japanese language magazines published by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in colonial Korea and Taiwan. Imperial Japan, which succeeded in being the first East Asian nation to modernize through the Meiji restoration, perceived Chosun (Korea) and Taiwan as uncivilized regions. Japan took control of Taiwan as a result of the Sino-Japanese War and the Treaty of Shimonoseki and forcibly annexed Korea after the Japan–Korea Protectorate Treaty. Early Imperial Japan segregated colonial Korea and Taiwan from Japan based on cultural superiority, but after a dispute over mainland extension policy, it attempted to unify the three countries’ cultures and languages. One way to do this was to establish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in the two colonies for the purpose of giving the people living there the opportunity to receive higher education, at least superficially. However, entrance to these institutions was intensely competitive for colonials because their admission policies discriminated in favor of Japanese colonial residents. Students of these institutions engaged in literature activities through official Japanese-language magazines. Most Japanese students contributing to these magazines regarded the cultures of colonial Korea and Taiwan as negative representations of uncivilized regions which needed to be modernized. On the other hand, some colonial students did not hesitate to reveal their identities when contributing to Japanese magazines, especially Yu, Jin-Oh and Huang, De-Shi. Yu translated shi-ga, Korean traditional poetry, into Japanese in order to introduce classical Korean literature to Japanese students. Huang also wrote a poem written in Chinese which described contemporary colonial Taiwan, even though it was published in a Japanese magazine. It would appear from these examples that some colonial students not only tried to represent their culture positively, but also did not lose their identities 본고는 식민지 고등교육기관에 해당하는 조선의 경성제국대학 예과와 대만의 대북고등학교의 일본어 잡지 『청량』과 『상풍』을 중심으로 식민지 표상을 검토한 연구이다. 메이지 유신을 통해 동아시아에서 최초로 근대화에 성공한 제국 일본은 타지(他地)인 조선과 대만을 미개지로 인식하였다. 이후 청일전쟁을 통해 대만을 중국으로부터 할양받고, 러일전쟁 승리 이후 5년 만에 조선을 합병하였다. 제국 일본은 스스로가 우월하다는 문화관을 바탕으로 식민지인 조선과 대만을 ‘외지’로 구분하면서도 ‘내지연장주의’에 의거하여 문화적, 언어적 통일을 꾀하였으며, 그 방법의 하나로써 식민지에 고등교육기관을 세웠다. 이로서 표면적으로 식민지인은 일본인과 동등하게 일본어로 고등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가 주어졌다. 하지만 입학 정원수에 차별을 두어 식민지인이 제국대학 예과 혹은 고등학교에 진학하기엔 매우 치열한 경쟁이 필요했고, 그 수도 일본인에 비해 매우 적었다. 더구나 조선에는 대만과 다르게 고등학교가 없이 제국대학 및 그 예과만 존재하였기에 대학 진학에 크게 불리하였다. 그들은 학교에서 공인된 일본어 잡지를 통해 문예활동을 벌였는데, 일본인 학생들의 식민지문화관과 조선인, 대만인 학생들의 자기문화관은 매우 달랐다. 대부분의 일본 학생들은 조선과 대만을 문화적으로 개척해야 할 대상 혹은 전근대적인 표상으로서 식민지 문화를 바라보았다. 하지만 식민지인 학생들 중에는 자기 정체성을 일본어 잡지 안에서 드러내는 것을 서슴지 않았다. 특히 유진오는 한국의 전통시인 시가(詩歌)를 일역하여 조선인의 고전문학을 일본인 학생들에게 소개하였고, 황더시는 일본어 잡지에서 한시(漢詩)가 아닌 중국어로 된 시를 창작하여 식민지 대만의 현실을 그려냈다. 이는 식민지 지식인이 스스로의 문화를 긍정적으로 표상하려는 시도였으며, 제국 일본의 제도권 안에 속한 소수자로서 자기 정체성을 잃지 않았다는 반증이기도 하였다.

      • KCI등재

        일반논문 : 비교적 전망에서 본 식민지도시의 역사적 전개와 공간적 특징

        현재열 ( Jae Youl Hyun ),김나영 ( Na Young Kim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1 石堂論叢 Vol.0 No.50

        식민지도시 연구는 개별 식민지도시에 대한 구체적인 실증적 연구 작업과 이러한 작업의 경험적 결과에 기초한 이론적·방법론적 연구로 대별할 수 있다. 하지만 식민지도시 연구가 단순히 식민지적 경험의 구체성 확보와 그를 통한 역사의 특정 국면으로서의 식민지상 이해에만 목적을 둔 것이 아니라, 오늘날 현대의 규정적 문제점인 근대성과 그것의 가장 노골적인 발현형태로 상정되는 식민성의 이해를 목표로 한다면, 식민지도시 연구의 시점이 그 구체적·경험적 결과에만 머물러서는 안 된다. 근대성과 식민성에 대한 해명을 목표로 수행하는 식민지도시 연구는 일정한 이론적 천착과 추상적 수준에서의 방법론적 고민 위에 구체성의 확보로 들어갈 때에만 유의미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고 본다. 그런 면에서 이 연구는 개별 식민지도시에 대한 접근을 위한 전단계로서 좀 더 이론적이고 일반적인 수준에서의 식민지도시를 이해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먼저 본 연구는 일반적 수준에서의 식민지도시의 역사적 전개를 식민주의의 역사적 발전과정과 연동하여 단계별로 살펴보았고, 다음으로 식민지도시가 가진 일반적 특징과 공간적 특징, 특히 이중도시적 측면을 서구제국주의와 일본제국주의의 식민지도시들간의 비교를 통해 비판적으로 살펴보았다. 전체적인 결론은 이러하다. 19세기 이전 중상주의 시기의 ``상업적`` 식민주의 시기에는 주로 연안지역에 거점 형식의 도시를 통해 식민지도시가 전개된 반면, 19세기의 산업자본주의 시기의 ``산업적`` 식민주의 시기에는 식민지도시가 보다 복합적인 성격을 지니는 형태로 전개되었다. 특히 원료가공공업을 필두로 한 산업도시화와 화물집산지로서의 성격 강화가 주요한 특징으로 나타났다. 한편 19세기 이후 식민지도시의 공간적 측면에서 이중도시론으로 표현되는 종족이나 계급에 따른 공간적 격리(segregation) 현상 역시 이전보다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식민지도시의 일반적 특징과 관련해서는 선행연구에서 정리한 30가지 특징들을 비판적으로 살펴보아 좀 더 비교적이고 구체적인 측면에서 검토해야 할 점이 많음을 밝혔다. 특히 공간적 격리와 관계된 이중도시론이 가지는 지나친 추상성과 그로 인해 나타나는 실제 모습의 기각 부분을 도시 간 비교를 통해 드러냈고 이런 문제를 넘어서기 위한 좀 더 비교적인 측면에서의 식민지도시 연구의 필요성을 밝혔다. The studies of colonial cities can be divided into the empirical researches on each of colonial cities and the theological and methodological systematization on the basis of findings out of them. However, if these studies aim to the illumination of modernity and coloniality which are the problematic points determining this world, they may obtain the meaningful gains only when they approach the concreteness underlying some of theological excavations and methodological considerations in abstract level. Thus, this article attemp to understand the colonial cities in the theological and general level. being as a step towrd the approaches to each of colonial cities. The general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ly, the commercial colonialism period showed that the colonial cities of trading post type were scattered along various coastal regions. Secondly, the industrial colonialism in the nineteenth century witnessed that they had the multiple natures. In particular, their main characteristics included the industrial urbanization including the processing industry with inherent materials and the intensification of the nature as an entrepot. On the other hand, in the spatial aspect, the colonial cities had exposed the spatial segregation on the ethnics and classes more clearly than ever. Thirdly, the 30 general characteristics of colonial cities listed by Telkamp were examined. As a result, it can be said tha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must attain the concreteness through the empirical and comparative studies on each of colonial cities. Above all, we find out that the conception of ``colonial duality`` is abstract excessively and must miss the real livings of people. Consequently, the colonial cities must be studied in the more comparative perspective.

      • KCI등재

        식민지 근대의 공간과 탈식민적 크로노토프

        나병철 ( Byung Chul Na ) 現代文學理論學會 2011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47

        이 논문에서는 식민지 시대에 네이션과 근대적 주체가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살펴보았다. 식민지에서는 제국이 허용하는 시공간에서는 네이션도 주체도 생성되지 못한다. 본고는 그 대신 소설에서 암시적으로 표현된 시공간(크로노토프)이 식민지인의 은유적 네이션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음을 살펴보았다. 식민지 소설이 표현하는 시공간은 은유적인 크로노토프이다. 식민지 소설의 탈식민적 크로노토프가 은유적인 이유는 식민지에서 허용된 표상으로는 네이션이 생성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은유적이란 말은 결코 실제적이 아니란 뜻이 아니다. 은유적 크로노토프는 균열, 틈새, 절단된 시간 등의 실재계에 접촉한 영역에서 나타난다. 식민지인은 그곳에서 네이션의 네트워크를 생성함으로써 타자의 위치에서 주체의 위치로 전환된다. 이 식민지인의 네트워크(네이션)와 주체가 생성되는 공간은 식민지의 표상체계로는 어느 곳에서도 찾을 수 없는 공간이다. 그러나 식민지인들의 교섭이 이루어지는 한 그 곳은 어디서도 발견될 수 있는 공간이다. 예컨대 묘지, 아리랑, 낙동강 젖꼭지, 일인 카페의 대화적 공간 등이다. 이 은유적 시공간은 식민 권력에 예속된 공공 영역에서 벗어난 틈새의 공간을 생성한다. 따라서 은유적 크로노토프는 공공성에의 틈새적 침투, 신문의 수용적 비틀기, 일상의 이야기나 유언비어 같은 준공공 영역, 그리고 수면 밑의 하위문화들과 맥락을 같이 한다. 식민지에서는 그런 피식민자의 은유적 네트워크가 식민 권력의 네트워크와 경합의 장을 형성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소설적 은유란 미학적인 것이지만 식민지인에게는 그 미학적 은유가 강력한 정치적 무기였던 셈이다. 이런 우리의 논의는 수탈론과 식민지 근대화론의 이분법을 넘어선다. 식민지 근대화란 독자적인 시간을 강탈당한 묘지의 크로노토프와 표리를 이루고 있다. 또한 식민지는 경제적 수탈 이전에 문화와 역사를 강탈당했으며 그에 대한 대응이 은유적인 네이션이다. 은유적 네트워크는 오늘날 상당부분 인터넷으로 이전되었다. 그러나 새로운 트랜스내셔널한 연대를 위해 과거의 은유적 네트워크의 대응방식은 한 세기가 지난 현재에도 여전히 계속될 것이다. This thesis examined the novels in colonial period to consider the nation in colonial space. The nation of colonized could not be represented in colonial discourse. To express the nation of colonized, people needed metaphor of literature. The novel in colonial period presented this metaphor of literature. The metaphor in novel's discourse was represented by the chronotope of novel. And this metaphor expressed the network of nation of colonized. Thus the chronotope expressed by metaphor of literature was more political than time and space which were represented in colonial discourse. Because this chronotope expressed the network of nation and political unconscious of colonized. I examined Yum Sang-sub's novels and Hyun Jin-gun's novel to consider the chronotope expressed by metaphor of literature. The chronotopes of tomb, Arirang, river of Nak-dong and Japanese cafe expressed the network of nation of colonized. they also were the network of political unconscious of colonized. The chronotope of novel and the network of political unconscious of colonized are the third space in colonial period. This network expressed by metaphor of literature and the third space are still very important in transnational days.

      • KCI등재

        식민지 조선인 청년의 이동과 시선

        오태영(Oh, Tae Young)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7 한국학연구 Vol.61 No.-

        이광수의 무정 에서 식민지 조선인 청년 이형식의 이동은 자신의 정체성을 새롭게 정립하는 과정 그 자체를 보여준다. 그는 계몽적 주체로 자기를 새롭게 구축하기 위해서 전근대적인 질서와 결별해야 했고, 평양으로의 이동이라는 공간적 실천 행위를 통해 이를 수행한다. 또한, 삼랑진 수해 현장에서 조선인들의 참상을 목도한 뒤 그들에게 과학이 필요하다고 역설하면서 입신출세를 위한 자신의 이동이 식민지 조선의 문명화를 이루기 위한 것이라고 의미부여한다. 한편, 염상섭의 만세전 에서 식민지 조선인 청년 이인화는 일본에서 조선으로의 이동 과정 속에서 식민지 조선인으로서의 자기와 조우하고, 조선의 식민지적 현실을 목도한다. 제국의 수도 도쿄에서 자기를 유폐했던 그는 감시의 시선 속에서 망각하고 있었던 식민지 조선인으로서 자기를 자각하였고, 묘지와도 같은 조선의 식민지적 현실에 환멸을 느끼지 않을 수 없었다. 하지만 그러한 환멸의 시선은 되돌아와 자기 자신을 향하게 되면서 그는 자기 파탄에 직면하게 된다. 이처럼 무정 과 만세전 은 식민지 조선인 청년의 이동 과정을 서사화하고 있는데, 전자는 식민지 나르시시스트의 자기 구축 과정을, 후자는 자기 파탄 과정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시각 주체의 (몰)윤리성을 나타낸다. 하지만 이러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나르시시즘적인 욕망을 추동한 것이 제국-식민지 체제의 질서와 문법이라는 점은 강조될 필요가 있다. 식민지 조선인 청년이라는 제한적 폐쇄적 위상을 극복하고 자기를 구축하기에 여념이 없었던 그들이 자신들을 둘러싼 세계 속에서 또 다른 자기를 발견하고 동일시하려고 했던 욕망은, 비록 그것이 강화되거나 부인되는 방식으로 나타났지만, 제국-식민지 체제가 마련한 이동과 시선의 장치들에 의한 것이었다. The movement of the colonial Joseon youth in Lee, Kwang-su’s Mujeong shows the process of newly establishing his identity. He had to break up with pre-modern values and order in order to establish himself as an enlightened subject. This is accomplished through a spatial practice of moving to Pyongyang. In addition, he witness the disasters of the Koreans in the flood disaster and demand that they need science. In the meantime, it means that his movement for coming to the top is to fulfill the mission of civilization of the colonial Joseon. On the other hand, the colonial Joseon youth in Yeom, Sang-seop’s Mansejeon encountered himself as a colonial Joseon in the process of transferring from Japan to Joseon and witnessed the colonial reality of Joseon in the process of movement from Japan to Joseon. He, who had defeated himself in the imperial capital Tokyo, could not help but notice himself as a colonial Joseon who had been forgotten in the gaze of surveillance. And He could not help but feel disillusioned with the colonial reality of Joseon like the cemetery. But as the eyes of such disillusionment goes back to himself, he is confronted with his own destruction. As such, Mujeong refers to the self-building process of the colonial Narcissist, while Mansejeon represents the ethics of the visual subject in that it shows the self-corruption process. Despite these differences, however, it should be emphasized that the driving of their narcissistic desires is the order and grammar of the empire-colonial regime. They had no desire to overcome the restricted or closed status of the colonial Joseon youth and build themselves, and they desire to discover and identify another self in the world around them. Although it did appear in a way that was reinforced or denied, it was due to the devices of movement and eyes provided by the empire-colonial regime.

      • KCI등재

        식민지 체험자의 기억 속의 ‘제국’과 ‘식민지’ - 후지카이(不二會)를 중심으로

        부산경남사학회 2011 역사와 경계 Vol.79 No.-

        <P>이 글에서는 전후 일본의 식민지 기억을 한일회담 전후에 결성된 후지카이 관련자들이 남긴 식민지 체험 기억을 담은 회고록과 수기를 바탕으로 귀환자의 식민지 체험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전이되고 왜곡되었는지를 검토했다. 제국의 일반 서민이 식민지를 기억하는 회로는 다양하다. 식민지 기억은 ‘식민지 권역’과 ‘비식민지 권역’이라는 기억 대상에 따라, 또 본국으로의 귀환과 현지 억류 등 원체험의 차이에 따라 재편되었다. 제국 서민의 조선에 대한 기억은 식민자로 살아온 역사를 봉인한 채 ‘경계인’으로 살아갈 수밖에 없었지만, 제국과 식민지의 관계는 여타 식민지 권역과는 다른 양상으로 기억되었다.</P><P> 후지카이를 비롯한 많은 식민지 귀환자들은 패전 이후 억눌려 왔던 기억을 한일회담을 계기로 ‘재생’시켰다. 전후 일본사회가 귀환자에게 던졌던 ‘싸늘한 시선’에 억눌려 살아온 자신들의 모습에 정당성을 부여하기 위한 시도였다. 한일회담을 통한 조약 체결은 식민지로부터의 귀환자들을 ‘식민지 개발 공로자’가 아니라 ‘침략자의 첨병’으로 인식하게 했지만, 후지카이를 비롯한 많은 귀환자들은 이에 반발하여 식민지에서의 자신들의 족적을 합리화하는 ‘언설의 공간’을 만들어 나갔다.</P><P> 전후 일본사회의 귀환자에 대한 따가운 시선과 식민지에 대한 향수, 자기합리화의 감정은 새로운 제국의식으로 형태를 바꾸어 표출되었다. 그것은 단순히 자기합리화의 감정을 넘어 신생 한국에 대한 차별적인 고정관념의 고착화라는 ‘기억’의 역전으로 나타난다. 귀환자들은 식민지 체험에 대해 천황제 이데올로기로 상징되는 ‘사악한 국가권력’으로부터 외지로 밀려난 ‘선량한 서민’이라는 허울 좋은 도식으로 굴절시킨 심층의식을 형성했다. 식민지 시대를 언급한 수기의 공통성은 수기의 주인공인 자신이나 자기 육친은 하나같이 조선인에게 차별의식을 품지 않은 ‘착한 일본인’으로 형상화되었다. 한일 간의 ‘기억을 둘러싼 역사전쟁’은 아직 ‘휴전’ 상태이다. 완전한 ‘정전’ 상태를 맞이하기 위해 우리는 기억을 공동으로 재생시킬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후지카이의 식민지 기억에 관한 검토는 해방 전후 연속과 단절의 문제와 관련하여 한국인의 식민지 기억과 비교 작업을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한다.</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