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Gliocladium virens G872와 Trichoderma harzianum T95가 생성하는 휘발성물질이 식물생장에 미치는 영향

        김용균,김한수,김근기,손홍주,최인수 密陽産業大學校 農業技術開發硏究所 1999 農業技術開發硏究所報 Vol.3 No.3

        토양 근권 사상균인 Gliocladium virens와 Trichoderma harzianum은 작물 생육에 직, 간접적으로 좋은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생육촉진과 수량의 증대에 큰 효과가 있다. G. virens G872와 T. harzianum T95 균을 종자 또는 유식물에 접종시 경우에 따라서는 특히 G. virens G872 균 처리의 경우에 심한 stunting현상을 나타내는 때가 있었으므로 밀폐된 공간을 이용하여 휘발성물질의 생성여부와 식물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G. virens G872균을 PDA배지에 배양한 batch에 주요작물의 유묘생육을 조사한 결과, 오이와 무의 유묘는 전혀 생육이 되지 않았고, 참깨와 배추도 생육억제현상이 나타났으며, CDM 배지에 배양시켰을 때 생성된 휘발성 물질은 참깨와 배우의 생육을 완전히 저해시켰다. T. harzianm T95 균을 PDA배지에 배양했을 때는 오이, 배추, 참깨의 생육을 각각 130%, 150%, 170%의 촉진시키는 효과가 나타났으며, 생육 억제효과는 크게 없었다. Gliocladium virens G872와 Trichoderma harzianum T95균이 food bsae에 따라 생성하는 휘발성물질이 작물에 따라 생육의 촉진과 억제효과가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했다. 따라서 G. virens G872균은 시설하우스나 밀폐된 공간에서 작물을 재배할 경우에는 이용하지 않는 것이 좋고, T.harzianum T95균의 경우는 휘발성물질이 식물생육을 촉진하기 때문에 시설하우스나 밀폐된 공간에서의 이용으로 생육촉진에 따른 수량증대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T.harzianm T95 균은 지상부 뿐만아니라 뿌리의 생육을 촉진시켜 주기 때문에 뿌리를 목적으로하는 작물에 사용함으로써 수량증식에 큰 역할을 할 것이다. Both Gliocladium virens and Trichoderma harzianum give large effect on promoting the plant growth and improving the yield through providing the sound environment directly or/and indirectly to the plant growth. We tested the effect of volatile substances on plant growth using the closed space because the stunting was observed when we treated the Gliocladium virens G872 and Trichoderma harzianum T95 to the seeds or seedlings. In the batch that cultured the Gliocladium virens G872 on PDA medium, we observed that the seedlings of cucumber and radish did not grow at all, and notified the growth inhibition from those of sesame and chinese cabbage. In the batch that cultured the Gliocladium virens G872 on CDM medium, we observed that the volatile substances totally inhibited the growth of sesame and chinese cabbage. When we cultured the Trichoderma harzianum T95 make on the food base affect promoting and inhibiting the growth of crops differently. Based on our results, we propose that Gliocladium virens G872 should not be used in the green house or/and closed space. However, we can expect the promoting the plant growth and improving the yield because the volatile substances promote plant growth in the case of Trichoderma harzianum T95. Furthermore, Trichoderma harzianum T95 can be used for the crops which roots are mainly because the Trichoderma harzianum T95 promote the growth of shoots as well as roots.

      • KCI등재

        순천시 신평천 인공습지 조성 후 3년간 식생 및 생활형에 대한 연구

        김창환 ( Chang Hwan Kim ),최영은 ( Young Eun Choi ),김종원 ( Jong Won Kim ),명현 ( Hyun Myong ),이숙이 ( Suk I Lee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1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5 No.1

        신평천 인공습지 조성 후 3년간의 식생 및 생활형 변화 연구를 위하여 2005년 6월부터 2007년 9월까지 현지조사를 실시하였다. 2004년에 조성된 신평천 인공습지의 식재종은 14과 18속 15종 5변종으로 총 20종류가 식재되었다. 식재종의 생활형 구성비는 전체의 65%인 대부분을 다년생이 차지하고 있으며 목본류는 물푸레나무와 왕버들, 동백나무, 남천 4종류가 식재되었다. 3년간의 조사 기간 동안 생활형의 변화는 수생식물(HH)이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며 증가하였고 소형지상식물(M), 대형지상식물(MM), 지표식물(Ch), 미소지상식물(N), 다년생식물(H)과 지표식물(Ch) 등도 증가하였다. 식생면적 변화는 애기부들, 달뿌리풀, 갈대 등은 군락면적이 증가하였으나, 다른 식재종의 면적은 급격히 감소하였다. 생활형 면적변화를 살펴보면 수생식물(HH), 1년생 수습식물(Th(w))은 점차 증가하였으며 소형지상식물(M), 지중식물(G), 미소지상식물(N) 등은 감소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식재 식물의 선정은 인공습지의 미래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며 습지 조성 후 정착된 식물상의 파악 및 이들 식물들의 생활형을 분석하여 인공습지 초기정착에 유리한 종, 천이가 진행되면서 습지의 안정화 및 다양성을 유도하는 종을 선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A field survey was conducted from June 2005 to September 2007 to explore changes of the vegetation and life form in the man-made Wetland along the Sinpyeongcheon for 3 years after its creation. A total of 20 species including 14 families, 18 genera, 15 species and 5 varieties were planted in the Wetland which was completed in 2004. Divided by life form of the planted species, a prevalent 65% of them was composed of perennation while 4 species of woody plants i.e. Fraxinus rhynchophylla, Salix glandulosa, Camellia japonica and Nandina domestica were planted there, too. The 3-year study revealed that hydatophytes (HH) scored the biggest increase in number, followed by slight increase in the number of microphanerophytes (M), megaphanerophytes (MM), chamaephytes (Ch), nanophanerophytes (N), perennial plants (H), etc., featuring generally a similar tendency for the whole period of study. The change in vegetation area increases in the area of Typha angustata, Phragmites japonica, Phragmites communis, etc. but a sharp decrease in the area of communities for other planted species. In terms of change in the area for planted species by their life form, hydatophytes (HH), HH Th (Th(w)) reported gradual increase while microphanerophytes (M), geophyte (G), and nanophanerophytes (N) continued to record a decrease. In conclusion, selection of plants to be planted turns out to play a vital role in molding the destiny of a man-made Wetland. It seems therefore extremely important to investigate the flora, and life and growth forms of the plants planted in the man-made Wetland in an effort to choose the species that can adapt themselves to the environment from the early phase on, contributing by thus to stabilization and diversification of the damp ground in line with the progression of their succession.

      • KCI등재

        갯방풍(Glehnia littoralis Fr. Schmidt ex Miq.)의 양액 염분 농도 및 생육 상태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양명균,염문선,조우재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22 농업생명과학연구 Vol.56 No.2

        최근 농지 및 수자원의 염류화로 인해 염생식물에 대한 작물화와 생육 조건 구명을 위한 연구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재배 조건 변화에 따른 작물의 생육 및 기능성 성분 변화 분석을 위해서는 양액 및 작물 생육부 시료를 채취하여 이를 전처리 및 분석해야 하여 시간적, 인적 자원의 소모가 높다. 본 연구에서는 염생식물의 최적 생육 조건 구명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비파괴적으로 재배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작물 생육부와 수경재배 근권부의 염분 농도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개발 시스템을 통해 NaCl 0 mM, 50 mM, 150 mM, 300 mM의 4가지 농도 조건에서 갯방풍을 대상으로 재배실험을 수행한 결과, 재배 중 염분 농도 수치의 변화 및 염분 농도가 높을수록 생체중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제 생육 분석 결과에 따르면 개발 시스템을 통한 모니터링 결과에 상응하는 생체중 결과를 확인하여 염생식물의 생육 모니터링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단위 생체중 당 기능성물질 함량의 경우, NaCl 농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갯방풍의 상업적 재배 조건의 구명을 위해서는 생체중 외에 기능성 성분의 모니터링을 위한 시스템 보완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Due to the recent salinization of farmland and water resources, the need for research on halophytes is increasing. However, to analyze the changes in crop growth and function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varied cultivation conditions, samples of nutrient solution and plant tissues must be collected, pre-processed, and analyzed. These are highly time-consuming and laborious. In this study, a system was developed that can non-destructively monitor the salinity concentration of the hydroponic rhizome and crop growth in real-time at the cultivation site to efficiently investigate the optimal growth conditions of halophytes. From the application experiment with Glehnia littoralis under four salinity conditions(i.e., NaCl 0 mM, 50 mM, 150 mM, 300 mM), the proposed system showed the salinity changes in the nutrient solutions and the increase of the fresh weight according to the NaCl concentration. The actual growth analysis confirm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resh weight and the salinity was corresponded to the monitoring system, indicating the system feasibility on the growth monitoring of halophytes. However, in the case of the functional materials per unit fresh weight, it was found that the functional materials per unit fresh weight increased as the NaCl concentration increased. In a further study, on-site monitoring of the functional ingredients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commercial cultivation conditions of Glehnia littoralis.

      • KCI등재

        군산시 공창제 식물상 및 생육형에 관한 연구

        강은옥,최영은,김창환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2009 휴양및경관연구 (J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Vol.3 No.1

        이 연구의 목적은 군산시 공창제의 식물상 및 생육형에 관한 것이다. 결론적으로, 군산시 공창제에서 조사된 관속식물은 86과 201속 248종 1아종 3품종 42변종으로 총 294종류로 조사되었고 한국산 관속식물 4,191종류의 7.02%에 해당된다. 관속식물의휴면형중 수생식물이 46종류로 가장 많이 조사되었고 식물종들의 3가지 주요 생활형으로서 관속식물의 지하기관형중 단립식물(R5)166종, 산포기관형중 중력산포형(D4) 137종, 생육형중 직립형(e)이 가장 많이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 결과, 공창제인공습지의 경우 점점 침입수종으로 식생유형이 변화되었고, 다년생식물에 유리한 습지로 점차적으로 안정화되어졌다. 따라서휴면형은 점차적인 천이가 진행됨에 따라 다년생식물의 구성이 높아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bout marsh flora and life form of Gongchang reservoir in Gunsan city. In conclusion, we was distributed that there are 86 families, 201 genera, 248 species, 1subspecies 42 varieties, 3 forms of vascular plant at the Gongchang reservoir area which have 294 taxa in total and are 7.02% among 4,191 of Korean vascular plant. As for the three-featured life forms of the plant species, there were 46 hydrophytes, recording the biggest number of species in dormancy form ; 166 species of R5 in radicoid form ; 137 species of D4 in disseminule form and erected type(e) existed the most in growth form. Consequently, in case of the artificial wetlands of Gongchang reservoir, it turned out that the vegetation type in which pioneer species of succession, of gredually stabilized perennial vegetation favoring wetland because because the higher dormancy form has its perennial plant' composition ratio getting, the more its successin is progressing.

      • KCI등재

        치주염 원인균에 대한 천연 식물 추출물의 항균효과

        이승희,김민정 한국콘텐츠학회 201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1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antimicroboal effect against Actinobacillus actinomycetemcomitans and Prevotella intermedia which were the bacteria causing the Periodontopathic by using 34 types of natural plant extracts. Therefore, this study measures growth inhibition activity and Minimum Inhibition Concentration (MIC) of a sample extract with the use of organic solvent extracts in order to analyze the antibacterial effect of natural plant extracts on periodontopathic bacteria. Each of the 34 types of natural plant extracts were extracted by using the ethanol, and subsequently, the size of growth inhibition zone(clear zone, ㎜) of respective extracts were measured through the disk diffusion metho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growth inhibitory activity was found for A. actinomycetemcomitans, which is the bacteria causing the Periodontitis, in 13 types of natural plant extracts such as Raphanus sativus, Akebia quinata, Paeonia lactiflora, Belamcanda chinensis, Inula britannics, Houttuynia cordata, Forsythia saxatilis, Gentiana macrophylla, Melia azedarach, Scutellaria baicalensis, Coptis chinensis, Phellodendron amurense, Kalopanax Pictus, etc. In the case of P. intermedia, the growth inhibitory activity was found in 13 types of natural plant extracts such as Raphanus sativus, Angelica acutiloba, Akebia quinata, Belamcanda chinensis, Inula britannics, Houttuynia cordata, Cinnamomum cassia, Aster tataricus, Melia azedarach, Scutellaria baicalensis, Coptis chinensis, Phellodendron amurense, Kalopanax Pictus etc. For A. actinomycetemcomitans, anti-bacterial effect was exhibited in Belamcanda chinensis, Cinnamomum cassia , Kalopanax Pictus, Phellodendron amurense, Coptis chinensis. The Coptis chinensis showed the most excellent growth inhibitory activity in all organic solvent fragment, while P. intermedia showed the growth inhibitory activity in Belamcanda chinensis, Cinnamomum cassia, Meliaazedarach, Phellodendron amurense, and Coptis chinensis. 이 연구는 34종의 천연 식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치주염 원인균 Actinobacillus actinomycetemcomitans와 Prevotella intermedia에 대한 항균효과를 조사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치주염 원인균에 대한 천연 식물 추출물의 항균효과를 연구하고자 유기용매 추출물을 이용하여 생육저지활성을 측정하고, 시료 추출물의 최소생육저해농도(Minimum Inhibition Concentration, MIC)를 측정한다. 1차적으로 34종의 각 천연 식물 추출물을 에탄올로 추출하여 디스크 확산법(disk diffusion method)을 이용하여 각 추출물의 생육저지환(clear zone, ㎜)의 크기를 측정한 결과 나복자, 목통, 백작약, 사간, 선복화, 어성초, 연교, 진교, 천련자, 황금, (천)황련, 황백, 해동피 등 13종에서 천연 식물 추출물이 치주염의 원인균인 A. actinomycetemcomitans에 대해서 생육저지 활성을 나타내었다. P. intermedia의 경우, 나복자, (일)당귀, 목통, 사간, 선복화, 어성초, 육계, 자완, 천련자, 황금, (천)황련, 황백, 해동피 등 13종에서 생육저지 활성을 나타내었다. A. actinomycetemcomitans에 대해서는 사간, 육계, 해동피, 황백, (천)황련에서 항균효과가 나타났다. (천)황련은 A. actinomycetemcomitans의 모든 유기용매 분획에서 가장 우수한 생육저지 활성을 나타내었다. P. intermedia는 사간, 육계, 천련자, 황백, 황련에서 생육저지 활성이 나타났다.

      • KCI등재

        기후변화 대응 지피식물의 식재 및 관리를 위한 침수 내성 평가

        고바울,정나라,한승원,김우영,이형석,김찬중,배종향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2023 휴양및경관연구 (J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Vol.17 No.2

        In urban areas, the frequency of abnormal weather phenomena and various environmental issues is increasing due to climate change. To enhance urban resilience, there is a growing focus on nature-based solutions. Given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vegetation and natural processes, there is a demand for plant materials that exhibit strong resilience to environmental stres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flood tolerance of 47species of cover plants, providing basic data for the selection of garden plant materials. The target plants were completely submerged up to the shoot for 3 and 7days. Subsequently, they were managed using conventional methods, and their growth was observed over a 4-week period. Flood tolerance was categorized into 5groups based on changes in plant appearance and differences in the S/R ratio (Shoot/Root ratio) between the control and treatment groups. Group A, consisting of 28species such as ‘Ligularia Fischeri’, showed no changes in appearance, and the S/R ratio was 0.8-1.2 times, indicating that they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flooding. Notably, 17species in Groups B, C, D, and E exhibited distinct changes in appearance and S/R ratio due to flooding. Among them, four species, including 'Dendranthema zawadskii', displayed significant changes in appearance, with an S/R ratio four times that of the control group (Group C). Additionally, 'Aruncus dioicus' experienced complete withered (Group E).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appropriate to consider plants in Group A when selecting plant materials that can withstand flooding. 도시 내 기후변화로 인한 이상 기상 현상과 함께 다양한 환경문제의 발생 빈도가 높아지고 있다. 도시의 회복력 향상을 위해서 자연기반해법이 대두되며, 이는 식물의 생육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환경 스 트레스에 회복력이 강한 식물 소재가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식물 소재 중 지피식물 47종을 대상으로 침수 내성을 평가하여 식재 및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되었다. 시험 식물을 3일 및 7일 간 지제부까지 완전히 침수시킨 후 관행의 방법으로 관리하여 생육 변화를 4주간 관찰하였다. 식물의 외관 변화와 대조구와 처리구간의 S/R율(Shoot / Root ratio)차이에 따라 내침수성을 5개 집단으로 구분 하였다. Group A는 ‘곰취’등 28종의 식물로 외관 변화가 없으며, 침수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는다. Group B, C, D 및 E의 17종은 침수에 의한 외관 변화나 S/R율의 차이가 뚜렷이 확인되었다. 특히 ‘구절초’등 4종은 외관의 변화가 뚜렷하고 대조구와 처리구간 S/R율이 4배 수준이며(Group C), ‘눈개승마’는 지상 부가 완전히 고사하였다(Group E). 따라서 침수에 대응한 식재 계획에서는 Group A의 식물을 이용하는 것이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동강유역 생태・경관보전지역의 관속식물

        채현희,김영철,이규송,남기흠,이새롬,이윤중,이윤경 한국환경생태학회 2019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3 No.2

        Securing reference information (inventory) is essential for proper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protected areas. Moreover, the investigation results should be available for comparison and evaluation. For this study, we established seven investigational lattices and carried out the field examinations to obtain comparable data in the Donggang river basin ecological and scenery conservation area, We conducted a total of 16 field surveys and identified a total of 830 taxa that is composed of 127 families, 408 genera, 716 species, 10 subspecies, 88 varieties, and 16 forms. We identified a total of 487 taxa in the 6th investigational lattice and 457 taxa in the 4th. We observed 6 species (grade Ⅱ)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s the endangered plants, one "species to monitor"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23 taxa designated as endemic species. Regarding the floristic characteristics plants, 15 taxa of grade Ⅴ, 27 taxa of grade Ⅳ, 38 taxa of grade Ⅲ, 31 taxa of grade Ⅱ, and 19 taxa of grade Ⅰ were identified. The 6th investigational lattice showed the largest number of taxa at 70. A total of 58 taxa were identified as the naturalized plant, and the 6th investigational lattice showed the most at 35 taxa. The Donggang river basin ecological and scenery conservation area was assessed to be an extremely important area to conserve and maintain plants species diversity not only in the regional scale but also national scale. 보호지역에서 적절한 보전과 관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기초 정보의 확보는 필수적이다. 뿐만 아니라 각각의 조사결과를 비교하여 평가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비교 가능한 정보 확보를 위해 7개의 격자를 설정하고 정밀조사를수행하였다. 총 16회의 조사를 통해 127과 408속 716종 10아종 88변종 16품종 830분류군이 정리되었다. 중점조사지역6번에서 가장 많은 487분류군이 조사되었고 다음으로는 중점조사지역 4번에서 457분류군이 조사되었다. 환경부 지정멸종위기야생식물은 6분류군이 조사되었고 관찰종으로 1분류군이 조사되었다. 한국고유종으로는 총 23분류군이 조사되었다. 식물구계학적특정식물은 Ⅴ등급이 15분류군, Ⅳ등급이 27분류군, Ⅲ등급이 38분류군, Ⅱ등급이 31분류군그리고 Ⅰ등급이 19분류군이 정리되었고 중점조사지역 6번에서 가장 많은 70분류군이 관찰되었다. 귀화식물은 총58분류군이 조사되었고 중점조사지역 6번에서 가장 많은 35분류군이 조사되었다. 동강유역생태・경관보전지역은 지역적인 규모에서 뿐만 아니라 국가적인 규모에서 식물다양성을 유지하고 보전하는데 있어서 중요성이 높다고 평가되었다.

      • KCI등재후보

        선인장과 다육식물의 혼합 식재 시 순화과정에서 차광 및 관수가 식물의 생존 및 생장에 미치는 영향

        송천영(Cheon Young Song),이상덕(Sang Deok Lee),김순재(Soon Jae Kim),이정식(Jeong Sik Lee) 한국원예학회 2006 원예과학기술지 Vol.24 No.1

        선인장 및 다육식물을 혼합식재한 후 출하 전에 고사율을 감소시키기 위한 광 및 관수처리를 하여 순화조건을 구명하였다. 선인장 종류의 비모란과 금황환, 다육식물의 불야성 및 성을녀는 2주일에 1회부터 4회까지의 범위에서 관수횟수가 많아질수록 현저히 고사율이 높았고, 차광에 있어서는 95%차광이 70%차광보다 고사율이 낮은 경향을 보였으나 큰 차이는 없었다. 합식 선인장 및 다육식물의 순화과정에서 고사율을 낮추기 위해서는 2주일에 한번 충분히 물을 주어 관리를 하면 될 것이다. 따라서 생산자는 순화과정에서 상품이 놓일 장소를 감안하여 실내에 들여 놓을 것은 95%를 차광하여 순화시키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본다. 순화 1개월 안에 주로 고사한 것이 발생하고 그 이후에는 고사한 주가 크게 발생하지 않았기 때문에 순화 기간은 1개월이면 될 것으로 본다. 선인장의 키와 다육식물의 초장은 차광 70%가 95%보다 큰 경향을 보였고, 관수횟수에 따라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선인장의 경경 및 다육식물의 폭은 차광에 따라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관수횟수가 많을수록 커지는 경향을 보였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watering and light intensity for acclimatization on survivals and growth of several cacti and succulent plants mingled planting in a pot for two months before shipment. Marginatocereus marginatus (DC.) Backbg., Myrtillocactus geometrizans (Mart.) Cons., Gymnocalycium mihanovichii var. friedrichii Werd., Eriocactus leninghausii (Hge. Jr.) Backbg., Portulacaria afra v. foliis-variegatis Jacobs., Euphorbia coerulescens Haw., Aloe mitriformis Mill., Echeveria pulvinata Rose, and Crassula perforata Thunbg. were watered 4, 2 times or 1 time per 2 weeks under 70 or 95% shade in greenhouse. Their plant growth and mortality were monitored for two month after planting in a pot. Increasing water intervals increased mortality of G. mihanovichii var. friedrichii Werd., E. leninghausii (Hge. Jr.) Backbg., A. mitriformis Mill., and C. perforata Thunb., but did not influence in the other plant. The mortality was not increased in one month later. Plant height of all plants tended to be higher under 70% shading than under 95% shading. Plant width tended to increase by increasing water intervals, but it did not influence by shading. Thus, proper light condition of acclimatization for mingled planting in a pot with several cacti and succulent plant was 95% shading, and watering one time for two weeks utilized in a interior. And the duration of acclimatization was good enough for a month.

      • KCI등재

        명월의 생육과 개화를 촉진시키는 최적의 주야간 온도 설정

        이재환,신은지,남상용 한국화훼학회 2023 화훼연구 Vol.31 No.2

        Sedum nussbaumerianum, a succulent plant belonging to the Crassulaceae family, exhibits various leaf colors, including red, yellow, and green, and produces white to pinkish flowers, making it a species with high ornamental value. However, it is a relatively unknown species with little scientific research. In this study, we designed four different day/night temperature treatments applied: 20/15, 24/19, 28/23, and 32/27℃, respectively, to determine the optimal temperature range for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S. nussbaumerianu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20/15℃ treatment exhibited the highest values for shoot length, stem diameter, leaf width, shoot fresh weight, shoot moisture content, number of flowers, and CIELAB a* values for both leaves and flowers, indicating superior color quality. On the other hand, the 24/19℃ treatment showed the highest values for plant width, root length, ground cover, number of leaves, leaf length, root fresh weight, dry weight of shoot and root, flowering rate, flower stalk length, and flower length and width. However, it had a relatively lower color quality compared to the 20/15℃ treatment. However, the growth rate was relatively better compared to 24/19℃. The 32/27℃ treatment resulted in lower growth performance, with high CIELAB L* and b* values indicating pigment bleaching due to plant stress, and 0% flowering rate due to suppressed growth and developmen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showed that L*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hoot fresh weight, while b* had negative correlations with fresh and dry weight of shoot and root, confirming the inverse proportion between plant growth and L* and b*, as reported in previous studies. In conclusion, for significant growth enhancement and promotion of flowering development of S. nussbaumerianum, we recommend cultivation under the 24/19℃ treatment, However, for the production of plants with relatively red leaf and flower colors, cultivation under the 20/15℃ treatment is recommended. 명월(Sedum nussbaumerianum)은 돌나물과(Crassulaceae) 에 속한 다육식물의 일종이다. 명월은 적색, 황색, 녹색의 다양한 엽색을 가지고 있고 백색 내지 연분홍색의 꽃을 개화하여 관상가치가 높다. 그러나 학술적으로는 거의 연구된 바가없는 미지의 식물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명월의 생육에 적합한 적정 주야간 온도를 구명하기 위해 주야간 온도를각각 20/15, 24/19, 28/23, 32/27℃의 네 가지 단계로 나누어 설계하였다. 결과에서 명월은 20/15℃ 처리구에서는 초장, 줄기의 지름, 엽폭, 지상부 생체중, 지상부 수분함량, 꽃수, 엽색과 꽃색의 CIELAB a*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 색상 품질이 우수했던 것으로 평가되었다. 한편, 24/19℃ 처리구에서는 초폭, 근장, 피복면적, 엽수, 엽장, 지하부 생체중, 지상부와 지하부 건물중, 개화율, 꽃대의 길이, 화장, 화폭이 가장높은 것으로 나타나 색상품질은 20/15℃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았으나, 생육수준은 20/15℃ 처리구에 비해 더 우수했던것으로 평가되었다. 반대로 본 연구에서 상대적으로 가장 높은 온도수준인 32/27℃에서는 생육수준이 저조하고 과거 연구에서 스트레스 지표로 사용되었던 엽색의 CIELAB L*과 b* 의 수치가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32/27℃ 처리구에서는 생식생장이 완전히 억제되어 개화율이 0%로 조사되었다. 마지막으로 피어슨 상관 계수(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분석에서 L*은 지상부 생체중과 음의 상관관계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b*는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체중및 건물중과 모두 음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과거 연구와 마찬가지로 L*과 b*가 식물의 생장과 반비례함을 알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명월의 식물체의 크기를 유의미하게증대시키고 개화를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24/19℃에서 재배할것을 권고하며, 상대적으로 짙은 적색의 엽색과 화색을 가진식물체를 재배생산 하고자 하는 경우 20/15℃에서 재배할 것을 권고한다.

      • KCI등재

        배합토종류와 식재깊이에 따른 혼합 분식 선인장과 다육식물의 생장

        송천영(Cheon Young Song),이상덕(Sang Deok Lee),박인태(In Tae Park),조창휘(Chang Hee Cho) 한국원예학회 2007 원예과학기술지 Vol.25 No.4

        선인장 및 다육식물을 화분에 함께 심을 때의 식재 깊이와 배양토의 종류 또는 혼합정도에 따라 생육에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선인장인 거취옥, 노토캑터스 마그니휘커스, 옹옥, 환락과 금황환 등 5종에 대하여 식재깊이를 3㎝, 6㎝와 9㎝로 달리하여 심은 후 4개월만에 조사한 결과 3-6㎝깊이로 심은 것이 생육이 양호하고 균일하였다. 한편 선인장 무륜주, 노토캑터스 마그니피커스, 거취옥, 성성환 및 마밀라리아 등 5종과 다육식물 사해파 십이지권 금황성, 벨루스 및 알젠티아 등 5종을 마사, 산 흙, 펄라이트의 비율을 달리한 4종류의 배양토에서 마사가 많이 함유된 것(마사 5: 산흙 3: 펄라이트 2) 보다는 펄라이트가 많이 함유된 것 (마사 2: 산흙 3: 펄라이트 5)에서 생육이 다소 양호하였고 화분의 무게가 가벼웠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lanting depth and medium composition on survivals and growth of several cacti and succulent plants mingled planting in a pot. Ferocactus horridus, Notocactus magnificus, Mammillaria klissingiana, Pseudoespostoa spp., Eriocactus leninghausii were planted deep into 3 ㎝ to 6 ㎝ showed better growth in plant height and width than that of planted deep into 9 ㎝. Soil media suitable for growth of plant and light of the weight were investigated by mixing various ratio of big size of sand, soil and perlite planting in a pot of cacti and succulents such as Pachycereus pringlei, Notocactus magnificus, Ferocactus horridus, Mammillaria spinosissima, Mammillaria spp., Faucaria tigrina, Haworthia fasciata, Echeveria pulvinata, Echeveria pumila and Crassula argentea. Their plant growth and mortality were monitored for four month after planting in a pot. The media based on big size of sand 2: soil 3: perlite 5 by volume, showed better plant growth in height and width and lighter than that of based big size of sand 5: soil 3: perlite 2. However there was no mortality of plant in all treat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