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만화축제와 문화권 부천국제만화페스티벌을 중심으로

        한상정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20 애니메이션연구 Vol.16 No.3

        This paper starts with the following premise: that the lack of distinctiveness of most comics festivals, is largely due to the fact that considering themselves as a specialized arts festival, their organization fails to give due considerations to their cultural rights. To support this hypothesis, we analyzed a number of data coming from the Bucheon International Comics Festival, one of the principal comics festival of South Korea. In fact, Bucheon citizens' relationship to the city's festival has not been a strong one. Such a phenomenon is not uncommon among other city-based comics festivals. Yet, France appears to be an exception: most comics festivals in French cities began as citizen initiatives, and resulted in festivals bearing their local characters. This observation points to the need for Bucheon Comics International Festival to become a 'festival for Bucheon citizens'. Whether this study could be relevant to local festivals pertaining to other artistic and cultural areas, is a question which we for will the time being, leave for a future paper. 이 연구는 우리나라의 만화축제들이 차별성이 없고, 그 이유가 전문성을 이유로 시민의 문화권에 대해 고민하지 않기 때문이라는 가제에서 출발했다. 이를 논증하기 위해 부천시의, 대표적인 국내 만화축제인 부천국제만화페스티벌 자료들을 분석했다. 최근 3년간의 목적과 성과를 명기한 부분에서 부천시민에 대한 고민은미약했다. 최근 8년간 관람객 중 부천시민이 차지하는 부분은 평균 25% 정도이다. 방문횟수 차원에선 긍정적지표들이 보였으나, 완전히 부천시민과 관련한 자료로서는 한계가 있었다. 전체적으로, 부천시의 만화축제는 부천시민과의 관계가 밀접하지 않았다. 다른 도시의 다른 만화축제들도 도시만 다를 뿐 비슷한 성격을 지닌다. 반편 프랑스의 경우, 대부분의 만화축제들을 시민들이 직접 만들었고 결과적으로 그 도시에 고유한 개성적인 만화축제가 되었다. 이를 통해 부천국제만화축제가 ‘부천시민의 축제‘가 되어야 할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가 지역도시에서 열고 있는 만화축제만이 아니라 다른 문화예술축제에도 적용할 수 있는가에 대한 부분은 차후 연구과제로 남겨두려고 한다.

      • KCI등재

        다문화시민 없는 다문화교육 -한국의 다문화교육 아젠다에 대한 고찰-

        황정미 ( Jung Mee Hwang ) 한국사회역사학회 2010 담론 201 Vol.13 No.2

        이 글은 최근 급속하게 확대된 한국의 다문화교육의 아젠다를 분석한다. 한국사회의 맥락에 맞지 않는 다문화주의나 다문화정책의 확산을 비판하는 최근의 논의들을 고찰하고 여기에서 제기된 문제들, 곧 다문화정책에서 국가와 시민사회의 관계, 문화와 문화적 권리의 의미, 소수자 정책과 다문화정책의 연관성에 초점을 맞추어 다문화교육 사례들을 분석하였다. 현재 한국 다문화교육의 가장 큰 특징은 분절성이며 내국인과 이주민을 분리하는 다문화교육, 정책수행 기관별로 세분화되지만 내용상 유사한 다문화교육이 확대되고 있다. 둘째, 다문화교육에서 `문화`의 의미에 대한 체계적 접근이 부족하며, 출신 국가에 따라 고정된 문화를 전제하는 문화민족주의적 개념이 강하게 나타난다. 한국인과 이주민이 `동시대인`으로서 소통하는 동태적인 문화에 대한 관심이 부족하다. 셋째, 이주민에 대한 관심을 보편적인 사회적 소수자 지원과 연계하는 시각이 부족하다. 다문화교육에서도 문화적 차이나 타문화 이해는 자주 언급되지만 소수자에 대한 다수자의 편견을 성찰하고 반인종주의 교육을 체계화하려는 논의는 많지 않다. 다문화교육의 장기적인 비전, 다문화 시민교육의 지향점에 대한 토론이 잘 나타나지 않으며, `다문화시민`에 대한 비전이 없는 채로 다문 화교육이 남발되고 있다. 다문화교육은 단지 이주민을 위한 것이 아니라 다문화사회로 진입하고 있는 한국사회의 새로운 시민, 곧 다문화 시민의 양성과 직결되어 있으며, 이를 위한 보다 포괄적인 다문화교육의 비전이 모색되어야 한다. Multicultural education has been extended very rapidly in various areas, such as schools, local centers for multicultral family, and various NGOs. This article looks over the process of agenda formation in multicultural education which takes place both in state policy and in NGO activities in Korea. There are threefold research concerns: the relation between state and civil society in the form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agenda, the meaning of culture and cultural rights i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inority policy and multicultural education. Based on the content analysis and compar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which have been introduced and managed by NGOs and Korean governments, I find several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genda. Firstly, multicultural education is segmented into many categories mainly for the convenience of education providers to extend their resources and organizations. There have rarely been addressed any inclusive perspectives and long-term visions for multicultral education. Secondly, there is confusion on the meaning of culture in multicultural society, and the idea of cultural nationalism is still strongly dominant in many education programs. Thirdly, multicultural education needs more comprehensive perspectives that include ethnic minority problems into the frame of overall minority issues in Korean society. With regards to the cont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terculturalism and cultural differences are more emphasized than anti-racism and anti-prejudice education. It might be said that there is just multicultural education without multicultural citizen Therefore, a number of multicultural education is requred not only for immigrated people but also for the whole citizens in order to cultivate new citizenship proper to multicultural and democratic society.

      • KCI등재

        프랑스 안의 무슬림 : 공화주의와 문화갈등

        박선희(Sunhee Park) 고려대학교 일민국제관계연구원 2015 국제관계연구 Vol.20 No.1

        이 논문은 사회적 다수를 구성하는 기존의 주류 프랑스인과 프랑스 국적을 취득하고 이미 2~3세대 프랑스에서 살아온 무슬림 프랑스인이 함께 공존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다음과 같은 부문에서 고민해보고자 한다. 먼저 프랑스 국적을 취득한 최대 이주민인 무슬림 프랑스인이 프랑스 안에서 갖고 있는 위상을 고찰할 것이다. 이를 통해 프랑스가 이질적인 집단에 대한 관용정신을 갖고 있어 다른 유럽국가보다 무슬림에 대해 호의적이지만 프랑스 사회 안으로 이들이 통합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서는 회의적임을 살펴 볼 것이다. 1980년대 중반부터 개진된 국적법 개정 논의가 마그렙 이민자가 자동적으로 국적을 취득하는 것을 막기 위한 방법으로 추진되었음을 살펴봄으로써 마그렙 출신이 프랑스 사회에서 배제의 대상이었음을 살펴볼 것이다. 마그렙 출신은 비록 국적 취득이 가능했지만 다른 비이주민 출신 국적자와 비교했을 때 제한적 시민권을 향유하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 사실상(de facto)의 다문화주의 사회에서는 전통적인 시민권 개념의 확장이 필요함을 본 논문은 고찰할 것이다. 이러한 논의를 뒷받침하기 위해 공화주의자이지만 소수 문화집단의 다양성과 특수성을 향유할 수 있는 문화권(droits culturel) 인정의 필요성을 강조한 슈나페르(Schnapper)의 논의에 주목할 것이다. 다문화주의적 정책인 문화권을 인정하는 것이 프랑스가 전통적으로 갖고 있는 공화주의 원칙을 적용하는 방식과 양립가능하지 않다는 생각은 차이와의 공존을 요구하는 다문화다인종 사회에서 새로운 접점을 모색해야 함을 고찰할 것이다. 시민권 개념의 확장과 더불어서 프랑스의 비종교성 원칙도 무슬림과 공존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더 고민을 기울여야 프랑스 민주주의의 토대인 공화주의 원칙이 사실상의 다문화 사회속에서 계속해서 유효한 원칙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ways that French people who make up the majority of the French society and the second and third generation French Muslims who have acquired French citizenship can coexist concerning the following areas. First of all, the study will investigate the status of Muslims who represent the second largest religious group as well as the largest immigrant population in France. The investigation will demonstrate that although France maintains a more favorable attitude toward immigrants than other European countries due to a higher level of tolerance, the possibility that the group will be integrated into the French society is remote. Also, by looking at the discussion on the amendment of Nationality Law that, from the mid 1980s, has taken the direction to prevent the Maghreb immigrants from automatically obtaining French citizenship, the study will examine that the immigrants from Maghreb have been subject to exclusion in the French society. Maghreb immigrants, although they could obtain nationality, have only been able to enjoy limited citizenship compared to non-immigrant French, and in order to supplement this, the traditional concept of citizenship requires expansion in a virtually multicultural society. To support the discussion, this study will give attention to the arguments of Dominique Schnapper who, while being a republican,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cultural rights that incorporate the diversity and particularity of minority cultural groups. This study will also raise the need to find a new point of contact for the thought that recognizing cultural rights, which is a multiculturalist policy, is not compatible with the traditional French republicanism, in a multicultural, multiethnic society that demands coexistence with the disparity. Together with the enlargement of the concept of citizenship, French laicite principle has to contemplate the way to coexist with Muslims so that the traditional republicanism which is a foundation of French democracy can still be valid in a de facto multicultural society.

      • KCI등재

        지역사회 평생교육 맥락에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총 공급 및 참여 패턴 연구: 10년간(2008-2017) <평생교육통계> 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양은아 한국예술교육학회 2019 예술교육연구 Vol.17 No.1

        This research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educational program provision patterns in arts and culture area. The research used the official annual survey data collec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for last 10 years (2008-2017). Major findings are listed as follows. First, during the last ten years, the number of lifelong education programs provided in the area of arts and culture has been increased about 265%, significantly exceeding the average of all areas and second to the vocation and workforce education area among all six areas. Second, more than a half(58.8%) of the entire provision was concentrated in Seoul, Gyeonggi-do, Busan, and Daegu. The key educational institutions leading the provision was both “culture centers” in private department stores and “lifelong learning centers” in public sector. Third, the majority of programs were being operated by corporate institutions(79.2%) without financial support( 86.6%) through paid courses(89.6%); most had been run without public support and relied entirely on tuition fees. Fourth, aside from the theme of culture and arts, the area where the most programs using culture and arts content were provided was vocation and workforce education area improvement( 47.5%); more and various professional certificate programs are being provided by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connected to universities, distance learning organizations, etc. Fifth, an analysis of changes in arts and culture education programs for the last decade according to the sub-classification system revealed that the leisure and living sports program(359.3%) and the advanced art and culture program(307.1%) were the areas with the most growth, confirming that the base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based on local communities has continuously been expanded. In the context of realizing cultural rights for citizens,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s equipped with different professionalism need to be connected in multifaceted cooperation system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ecosystem of local arts and culture education in the future. 본 연구는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지향점으로 설정되고 있는 평생교육 맥락에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총공급 및 참여 패턴을 다각적으로 분석한 거시적 접근으로서, 지난 10년간(2008-2017)의 <평생교육통계> 데이터(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445,133개)를 활용하여 정량적, 정성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공급은 지난 10년간 265.4%, 학습자 참여는 216.9% 성장함으로써 평균 성장률(193.5%)을 크게웃돌았으며, 평생교육 프로그램 6대 영역 가운데 직업능력향상교육 다음으로 많이 공급된 분야로서 한국 평생교육 프로그램 공급을 견인하는 영역으로 드러났다. 둘째, 시·도별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공급패턴을 분석한결과, 서울, 경기, 부산, 대구 지역에 전체 공급량의 절반이 넘는 58.8%가 집중되어 있었으며, 이를 인구 만명당 프로그램 기준으로 환산하면, 울산, 대전, 서울, 대구가 주요 공급의 축을 형성하고 있었다. 이 같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공급을 주도하는 기관유형은 민간영역의 사업장부설기관과 공공영역의 평생학습관으로 상호 대칭되는 구도로 나타났다. 셋째, 문화예술교육의 운영특성을 분석한 결과, 대다수의 프로그램은 민간법인(79.2%)을 통해, 재정지원이 없는(86.6%), 유료강좌(89.6%)로 운영됨으로써, 상당수가 공적지원이 부재한, 학습자 수강료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운영구조를 드러내었다. 넷째, 평생교육 프로그램 6대 영역 가운데 문화예술교육 주제영역을 제외한 타 영역에서 ‘문화예술’을 결합한 프로그램이 가장 많이 공급된 영역은 ‘직업능력향상’ 부문(47.5%)이었으며, 대학(원)부설기관 및 원격형태기관 등을 통한 다양한 전문자격 프로그램의 공급이 확대되고 있었다. 다섯째, 지난 10년간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하위 분류체계에 따른 세부영역의 변화추이를 분석한 결과, 레저생활스포츠 프로그램(359.3%) 및 문화예술향상 프로그램(307.1%)이 가장 많이 증가한 영역으로 나타났으며, 지역사회 기반 문화예술교육의 저변이 꾸준히 확대되어 왔음을 확인하였다. 향후 시민 문화권이 실현되는 맥락으로서 지역 문화예술교육 생태계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서는 다양한 전문성을갖춘 평생교육기관과의 협력적·공생적 연계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제시되었다.

      • KCI등재

        문화예술교육의 사회적 기능과 방향을 위한 탐색적 연구

        김인설(InSul Kim) 한국문화사회학회 2017 문화와 사회 Vol.24 No.-

        이 논문은 문화예술교육과 사회정의의 관계를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문화예술교육의 사회적 기능이 사회정의 구현을 위해 어떻게 그리고 왜 가능한가를 시론적으로 탐색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중심질문은 ‘문화예술교육의 사회적 기능과 가능성은 사회정의이론을 통해 어떻게 설명되고 구조화 될 수 있는가?’이다. 이를 위해 사회정의이론의 거시담론을 구성하는 지배주의적 이론(hegemonic theory), 회의주의적 이론(skeptical theory), 다원주의적 이론(pluralistic theory)을 고찰하고, 문화예술교육의 논리적 당위성을 구축하는데 가장 유용하다고 판단되는 다원주의적 사회정의이론과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주요담론들을 연결하여 주요 공통점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논의가 현 문화예술교육정책의 방향과 지향점을 설정하는데 있어 중요한 이유와 의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nterrelated relations between the social roles of arts & cultural education and the theoretical notions of social justice. The research question is; how can the social roles and possibilities of arts & cultural education be translated into social justice theories and be structurally explained? In order to answer this question, three major theoretical discourses in social justice theories were applied: hegemonic theory, skeptical theory, and pluralistic theory in social justice. The paper argues that pluralistic theory provides the most adoptable perspective among the threes for constructing the logical justification of arts & cultural education. For closing, some possible directions and visions of arts & cultural education are shared within the social justice frame for its rationales and contributions.

      • KCI등재
      • KCI등재

        원효의 화쟁회통 담론범례

        김용환 ( Yong Hwan Kim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0 윤리교육연구 Vol.0 No.23

        윤리교육에서 의사소통의 문제는 중요한 문제이며, 오늘날의 세계시민성 함양을 위한 관건이 되고 있다. 매체기술의 발전이 미약한 과거에는 의사소통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근대이후 과학기술의 발달로 시공의 제약을 극복하고 언제 어디서나 매체에의 접근이 가능해짐으로 의사소통이 보다 다양하게 되었다. 이제는 인터넷을 이용하여 멀리 떨어져있는 타자와 대화를 나눌 수 있으며, 여론을 형성하기에 이르렀다. 윤리교육에서도 청자와 화자의 상통, 주관과 객관의 상화를 통하여 차이를 아우르는 의사소통 범례가 중시되고 있다. 인터넷 글쓰기에 나타난 의사소통 방안의 개선도 윤리교육 현장에서 고려할 문제이다. 바른 언어를 파괴하면서 새로운 인터넷 언어를 창조하는 과정에서 계층 간, 세대간, 가족 간의 갈등을 더욱 조장하기에 의사불통이 심화되고 있다. 인터넷의 익명성은 의사소통을 파편적이고 왜곡되고 단절적이며 자기중심적으로 바꾸어 놓아 타자지향의 윤리교육이 요청된다. 의사소통 과학기술의 발전이 가족 간, 지역 간, 계층 간, 민족 간, 국가 간, 세대 간의 갈등과 간격을 더욱 역설적으로 멀어지게 하기에, 다툼의 여지를 인정하는 새로운 담론범례가 요청된다. 이 글은 과학기술 매체의 발달을 감안하면서 지리적으로 가깝지만 멀리 느껴지는 한자문화권의 의사소통 방안을 모색한 글이다. 원효(607-676)의 화쟁회통의 담론범례를 오늘의 윤리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때, 청화상통(聽話相通), 주객상화(主客相和), 일심상달(一心相達)의 의사소통의 범례를 마련할 수 있다. 서구중심의 이항 대립적 사유체계가 지난 세기 동안 세계를 지배한 결과 갈등과 대립이 화해되지 못한 채, 의사불통이 누적되었다. 이러한 대립구도가 한자문화권에서도 계속 유지되기에, 상생범례 관점에서 담론범례를 제시하게 된 것이다. 화쟁회통 의사소통 범례는 이항대립의 한계를 넘어선 사유체계이다. 원효가 제시한 화쟁회통의 의사소통 범례는 매체기술이 발전된 오늘날에도 청자와 화자, 주관과 객관, 일심상달의 범례를 통하여 다문화사회에서 갈등을 대화, 협력, 개신의 방안으로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지평을 열어주고 있다. 이에 따라 원효의 화쟁회통의 의사소통 범례를 통해 전통윤리가 살아 숨 쉬는 한자문화권에서의 심층적 담론범례를 모색하고자 한다. The technology of modernized society has deepen the conflicts of sinosphere communication.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Wonhyo`s discourses, because he is not telling us materially the contents of whatever a certain Buddhistic doctrine is, but formally the way of thinking to view simultaneously the various contents of Buddha`s doctrines. This way of thinking is close to the method of inter-twining Buddhistic doctrines. The reason of inter-twining is for the purpose of viewing the world as it is. This method is useful to develope the communication of sinosphere communication. In twining the facts in the world, we can see the world in a form of complete combination. Such a world is called Mahayana. And the way of thinking in this form is called by him Hwajaeng of which the significance is interpreted as twining strifes. He names this way of twining as completely combining all kinds of doctrines. The principle of perfect combination is succinctly expressed as accomplished by the taste of them. They had pursued to European city women so that the new women who educated and westernized women had been born in those countries. They tried to show their advancement of their country to western countries. In this situation of resistance of imperialism, the discourse of women was easy to be used for the ideology of nation. So the modernistic adoration of motherhood was began by the new intellectuals. This ideology of maternity contributed to divide the women to dual status such as wise and good mother/prostitute, saint/devil. The trial of new women which pursued to new sexuality was excluded completely. The repressive situation of women has been continued in the Sinosphere communication including Korea, Japan, and China. The patriarchy system has been represented itself in the different way but it can be widespread communicated by paradigms of Reconciliation and Harmon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