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선박소화훈련 시뮬레이터 개발에 관한 연구

        김원욱,김대희,Kim, Won-Ouk,Kim, Dae-Hee 해양환경안전학회 2016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2 No.5

        우리나라는 세월호 사고 이후 해양안전에 대한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해양관련 종사자들에 국한하지 않고 대국민 해양안전의식 고취를 위해 학교 및 해양관련 단체에서 다양한 교육훈련 및 체험교육이 시행되고 있다. 선원의 안전교육은 SOLAS 규정에 의거 여객선은 10일, 상선은 매월 1회 소화 및 퇴선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세월호 사고 이후 교육훈련의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 교육 정원을 기존 40명에서 20명으로 줄여 모든 교육생이 실제 교육훈련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현재의 교육훈련 형태는 교재에 의거한 이론교육 실시 후 실제 실습을 행하는 2단계 교육훈련이 실시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인적, 물적 여건상 교육생들에게 많은 실습시간 부여 및 소수인원으로 구성된 실습교육이 곤란한 상황이나 시뮬레이션 기법이 도입될 경우 실습 전 숙달된 능력으로 실습교육의 빠른 진행으로 많은 실제 실습교육 수행이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이 연구에서는 해상안전교육 중 소화훈련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총 3단계로 구분한 교육훈련을 제안하고자 한다. 즉, 이론 교육 후 시뮬레이션 기법을 통한 개인별 임무 숙지 및 장비 사용법에 대한 이미지트레이닝교육을 추가하고자 한다. 이러한 시뮬레이션 기법을 사용할 경우 이론교육으로 얻어진 지식을 바탕으로 실제 훈련 전 가상으로 먼저 시행함으로서 실습교육에 빠른 적응이 가능하며 시뮬레이션 특성상 실제 훈련에서는 곤란한 긴급상황 대처훈련 및 다양한 시나리오에 의한 반복훈련이 가능하다. 이렇게 실습 전 숙달된 능력을 바탕으로 실습교육의 진행 속도를 증가시켜 많은 실제 실습교육을 수행할 수 있어 교육훈련 효율성이 증대될 것이다. 실제 교육생 설문조사에 의하면 개인별 실습시간 부족을 지적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가상현실 기법을 이용한 시뮬레이터 개발이 필요하여 이 연구에서는 개발방법에 대해 고찰하였다. After the Sewol Ferry accident, the importance of maritime safety has been emphasized in Korea. In particular, educational and experience training are not only being conducted for maritime personnel but also in schools and at maritime-related organizations in order to broadly instill maritime safety awareness. Based on SOLAS regulations, safety education for sailors conducted every 10 days passenger boats, and fire-fighting drills and abandon-ship training should be conducted once a month on merchant ships. After the Sewol Ferry accident, the maximum number of trainees was reduced from 40 to 20 in order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se training sessions by requiring all trainees to participate in the actual training. The current training process consists of two steps: textbook-based theoretical training and actual practice. Current training environment provides limited capability from human and facility recourses which limit the numbers of trainee participated and system operation time. By introducing the simulation training, it will improve the trainee skill and performance prior to the on-site training and allow the more effective and rapid progress on actual practice. Therefore, it will be proposed the three-step training method in order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n fire-fighting drill in Maritime Safety Education on this study. This study suggests a three step training method that would increase the efficiency of maritime safety education. An image-training step to enhance individual task awareness and equipment usage via simulation techniques after theoretical training has been added. To implement this simulation, a virtual training session will be conducted before actual training, based on knowledge obtained from theoretical training, which is expected to increase the speed with which trainees can adapt during the practical training session. In addition,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mulation, repeated training is possible for reaction drills in emergency circumstances and other various scenarios that are difficult to replicate in actual training. The efficiency of training is expected to improve because trainees will have practiced before practical training takes place, which will decrease the time needed for practical training and increase the number of training sessions that can be executed,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raining overall. This study considers development methods for fire-fighting drill simulations using virtual reality techniques.

      • KCI등재

        육군 과학화훈련체계의 한계와 발전방안: 메타버스 개념을 적용한 LVCG훈련체계를 중심으로

        박상근 ( Park Sang-geun ) 미래군사학회 2023 한국군사학논총 Vol.12 No.1

        본 논문은 육군의 교육훈련에서 점차 비중이 높아지고 있는 LVCG훈련체계와 최근 대두되고 있는 메타버스 개념의 연관성을 분석하고 향후 메타버스 개념을 적용한 LVCG훈련체계 발전방안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메타버스란 가상과 현실이 상호작용하며 공진화하고 그 속에서 사회·경제·문화 활동이 이루어지면서 가치를 창출하는 세상을 의미한다. 메타버스에는 가상현실, 증강현실, 미러월드, 라이프 로깅 등으로 구성된다. LVCG 훈련체계는 1990년대부터 육군의 교육훈련에 도입되었다. LVCG훈련체계는 실제환경에서 훈련하는 Live simulation과 가상환경에서 훈련하는 Virtual, Constructive, Game simulation 등으로 나뉜다. 특히 V·C·G simulation은 전에는 별도의 훈련환경으로 구분되었으나 지금은 합성훈련환경(Synthetic Training Environment)이라는 단일한 가상공간으로 통합되고 있다. LVCG훈련체계는 가상현실, 증강현실, 미러월드, 라이프 로깅 등의 속성을 모두 포함하고 있어 그 자체를 메타버스로 볼 수 있다. 미래의 LVCG훈련체계는 가상과 현실이 상호작용하는 메타버스로 진화할 것이며, 이를 위해 다양한 기술의 발전과 훈련체계에 대한 통합된 개념정립이 요구된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merging metaverse concept and the LVCG training system, which is gradually increasing in importance in the army training and education, and to find out how to develop the LVCG training system applying the metaverse concept in the future. The metaverse refers to a world in which virtual and reality interact and co-evolve, and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activities take place in it, creating value. The metaverse consists of virtual reality, augmented reality, mirror world, and life logging. The LVCG training system was introduced into Army training and education from the 1990s. The LVCG training system is divided into live simulation training in real environment and virtual, constructive and game simulation training in virtual environment. In particular, V·C·G simulation was previously classified as a separate training environment, but is now being integrated into a single virtual space called the Synthetic Training Environment. The LVCG training system includes all properties such as virtual reality, augmented reality, mirror world, and life logging, so it can be viewed as a metaverse itself. The future LVCG training system will evolve into a metaverse where virtual and reality interact, and for this, development of various technologies and establishment of an integrated concept for the training system are required.

      • KCI등재

        화재대응 모의훈련평가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김도희(Do Hee Kim),김승호(Seung Ho Kim),김봉준(Bong Jun Kim) 안전문화포럼 2023 안전문화연구 Vol.- No.25

        이번 연구는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화재대응 모의훈련평가시스템을 개발하여 현장감 있고 실질적인 화재대응 모의훈련을 통한 훈련참가자의 초기 대응능력 습득 및 정량적이고 객관적인 훈련평가시스템 구현과 더불어 평가결과를 토대로 훈련참가자들의 대응활동을 지속해서 개선해 불의의 화재사고 발생 시 신속하고 정확한 대응을 통한 화재피해 규모를 최소화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고 시스템개발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 진행절차를 수립하여 연구에 필요한 제반 기술 조사를 기반으로 화재대응 훈련평가시스템을 개발하여 시스템 작동 실험을 거쳐 평가시스템을 실험장소에 설치하고 재실자 20명을 대상으로 화재대응 모의훈련을 시행하였다. 훈련 전에 평가시스템용 스마트폰앱을 활용하여 훈련시행 일자와 시간을 입력한 다음, 참가 재실자에게 평가시스템 장치의 사용법을 설명한 후 훈련을 진행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이번 연구에서 개발한 화재대응 모의훈련평가시스템은 화재연기의 거동연출이 가능하고 시스템장치를 통해 훈련참가자들의 대응단계별 소요시간을 정량화된 수치로 측정할 수 있어 정량적인 훈련평가가 가능하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번 시스템개발과 작동실험을 통해 화재 초기대응훈련평가시스템을 이용 실제 화재상황과 비슷한 화재훈련상황을 구현할 수 있으며 화재훈련에 대한 대응단계별 정량적인 훈련평가가 가능하며 이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훈련피드백 및 지속적인 개선활동이 가능하고 훈련참가자는 정확한 대응행동을 배울 수 있고 평가는 객관적이고 정략적인 측정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developed a simulated fire response training evaluation system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to acquire training participants' initial response skills through realistic and practical fire response training, and continuously improve the response activities of training participants based on a quantitative and objective training evaluation system. With the goal of minimizing the scale of fire damage through rapid and accurate response in the event of an unexpected fire accident by establishing a research process for this purpose, developing a fire response training evaluation system based on the overall technical investigation required for research After the operation test, the evaluation system was installed in the test place, and fire response simulation training was conducted for 20 occupants. Prior to training, the evaluation system smartphone app was used to input the training date and time, and after explaining how to use the evaluation system device to the participants, the training was conducted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As a result, the fire response simulation training evaluation system developed in this study can produce the behavior of fire smoke and measure the time required for each response step of training participants through the system device as a quantified value, enabling quantitative training evaluation. was derived. Through this system development and operation experiment, 1)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fire training situation similar to an actual fire situation using the fire initial response training evaluation system, and 2), it is possible to evaluate fire training quantitatively by response stage, based on the results As a result, future training feedback and continuous improvement activities are possible, and 3) training participants can learn accurate response behaviors, and evaluation can be objectively and quantitatively measured.

      • KCI등재

        ARPA/레이더 시뮬레이션 교육 모듈의 표준화 연구

        박영수,Park, Young-Soo 해양환경안전학회 2016 海洋環境安全學會誌 Vol.22 No.6

        예비 항해사는 타선과의 충돌 가능성을 사전에 파악하여 회피할 수 있는 능력을 ARPA/레이더 시뮬레이션 교육을 통해 갖추어야 한다. 이러한 시뮬레이션 교육은 국내외 지침(해양수산부 고시, STCW 협약 등)에 교육 내용과 기간만이 명시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시뮬레이션 교육 훈련 모듈의 부재로 각 해기 교육 기관에서는 자체적으로 모듈을 구성하여 관련 증서를 발행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로 인하여 ARPA/레이더 시뮬레이션을 통한 동일한 해기 능력 함양이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해기 교육 기관별 동일한 능력 함양을 위하여 ARPA/레이더 시뮬레이션 교육 모듈을 표준화하고, 표준화된 모듈을 통한 교육 향상도에 대하여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우리나라 해기 교육 기관의 시뮬레이션 교육 형태를 조사하고, 교통 조사를 기반으로 한 실해역의 교통 흐름을 반영한 시나리오 제시, 교육 훈련 및 평가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해기사 핵심 역량 기반 모듈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2년간에 데이터를 이용하여 표준화된 모듈을 통한 교육 훈련의 향상 정도를 파악하였다. 이러한 표준화된 ARPA/레이더 시뮬레이션 모듈을 통해 각 교육 기관에서는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해기 교육이 가능하고 해기능력 향상을 통한 선박 통항 안전에 기여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 A mariner cadet gains the ability to identify and avoid potential collisions with other ships through ARPA/Radar simulation education. This research surveyed first domestic and overseas's rules (e.g., MOMAF's Standard, the STCW Convention, etc.) of the simulation education, upon investigation the only content and timing of this simulation-based education are specified according to these rules, and maritime education institutions issue the related certification autonomously after a student has taken the simulation because no simulation education module exists to further guide the ARPA/Radar simulation. As a result, it is difficult for students to acquire consistent maritime ability through ARPA/Radar simulation. This paper discusses standardization of these education modules to produce more consistent mariner ability, and verify the degree of improvement of education that would be achieved by enacting the proposed education module. The simulation education system used in maritime institutions in Korea was investigated, and scenarios reflecting traffic flow in actual waterways was proposed based on marine traffic surveys so teaching modules can educate/assess more effectively based on core marine abilities. Improvements in education and training were also verified using data collected over 2 years based on a standardized module. Each education institution can enact an effective, systematic education approach using standardized ARPA/Radar education modules proposed in this paper, and this can set a foundation to contribute to safer vessel navigation by improving maritime abilities.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감염병 발생 시나리오 기반 도상훈련을 통한 임상시뮬레이션 실습 경험

        김현진(Hyun Jin Kim),이선혜(Seonhye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6

        목적 감염병 도상훈련을 위해 제작된 키트를 통해 모의 훈련을 운영하고, 참여한 간호 학생의 경험을 주제분석을 통해 분석 하고자 한다. 방법 임상시뮬레이션 과목을 수강한 3학년 간호학생 중 감염병 모의도상 훈련에 참여하고 연구참여 동의서와 디브리핑 일지를 작성한 21명의 디브리핑 일지와 면접내용을 주제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학생들의 시뮬레이션 경험은 3가지 영역, 9개 표제와 49개 주제가 도출되었다. 시뮬레이션 교육을 통해 의료진의 업무이해, 대처행동의 중요성 인식 등을 인식하였고 상황대처로는 정확한 시나리오 수행, 수행의 미숙함, 학습과 소통이 확인되었다. 학습결과로는 감염관리 절차와 예방 관리, 의료진간의 의사소통의 중요성과 이동 동선 관리 이해로 표현하였다. 결론 감염병 도상훈련 시뮬레이션 실습은 학생들의 감염복 착탈의에 대한 체화, 의료진 업무 파악과 의사소통 방식에 실질적인 기여를 하는 것이 확인됨으로써 추후 간호대학생의 감염과 재난대비역량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양적연구, 팬데믹 상황의 의료재난 대비를 위한 병원간호사 대응훈련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개발시 의료진, 교수, 간호학생과 프로그램 개발자간 긴밀한 의사소통과 협력을 통해 보다 현장감과 학습자 중심의 개발이 요구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experiences of colleg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simulation practice of virtual map training for infectious diseases. Map training was developed to foster coping skill for disaster management. Methods We were analyzed through thematic analysis with debriefing diaries and interview contents of 21 nursing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simulation practice. This practice were consisted of the map training for infection management and dress on or take off of personal protective clothing. Results Students simulation experiences were derived from 3 domains, 9 topics and 49 themes. The perception of situations were revealed with the understanding of medical staff’s work, significance of coping behaviors, and vivid training. Their coping of situations were confirmed with accurate scenario execution, immature practices, learning and communication. Their learning outcomes were an understanding of infection control procedures and preventive management,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staffs and the management of mobility. Conclusions This study had contributed substantially to master of infectious clothing’s management and to understand the work of medical staffs and to communicate. Further researches are required to confirm factors affecting infection and disaster preparedness capacity of nursing college students, to develop hospital nurse response map training and learner-centered simulation programs for medical disasters of the pandemic.

      • 증강현실기반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재난대응 훈련방안 개발 소개

        윤준영,이종욱,정덕훈,김찬오 한국재난정보학회 2015 한국재난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15 No.11

        사회의 발전과 더불어 현시대에는 지역적으로 특성화된 재난의 급증과 함께, 각종 재난 유형의 복합화와 대형화가 일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반하여 현재 적용되고 있는 재난대응 훈련의 조치들은 증가하는 재난의 위험에 발맞추지 못한 채 한계에 부딪쳐 답보중인 상태이다. 이에 따라 재난대응역량 강화를 위하 여 현장의 긴박한 상황을 이해하여 빠른 상황판단을 할 수 있는, 현실감 있고 생동감 있는 훈련 시뮬레이 터의 개발이 추진되고 있다. 더불어, 훈련 시뮬레이터의 개발뿐 아니라 시뮬레이터의 효율적인 이용과 변화하고 있는 현대 재난에 대 한 발 빠른 대응을 위하여, 기존의 단편, 부분적인 훈련 시스템을 탈피한 새로운 훈련 시뮬레이터에 대응 하는 훈련 방안과 재난대응훈련 평가체계 방법에 관한 연구도 필요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개발되고 있는 증강현실기반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재난대응 훈련 방안 개발 내용을 소 개하며 연구의 목표와 기대성과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 KCI등재

        국방 워게임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사용의도 영향요인 분석: 5G 기반 실감형국방시뮬레이션을 중심으로

        김기봉,김병춘,권영성 한국기업교육학회 2022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24 No.3

        국방조직에서 교육훈련은 미래를 결정짓는 중차대한 과업이다. 이에 국방부는 강한 군대 건설을위해 최첨단 미래기술을 접목하여 실전적인 교육훈련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워게임 교육훈련 프로그램에 최첨단 기술인 5G기반 VR/AR을 활용한 실감형 국방시뮬레이션을 적용하면 전투환경과 유사한 실전적 훈련의 효과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의 VR/AR 기술을 적용한 실감형 국방 모의훈련은 을지프리덤가디언(UFG)이나 독수리훈련(Foal-Eagle) 같은 전구(戰區)급 대(大)부대 훈련에서 사용하는 워게임이 아닌 개인형 전술 모의훈련(Simulation)을 중점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조직의 관점에서 새로운 기술을 수용하는 데 적합한 이론으로 TOE Framework와 UTAUT를 연구모형으로 구조화하였다. 퉁계처리는 SPSS 26.0 프로그램과AMO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탐색적 및 확인적 요인분석을 하였다. 가설검증 결과, 총 13개 가설중에서 10개의 가설이 채택되고 3개의 가설이 기각되었다. 기존 선행연구와는 다르게 개인특성 독립변수인 유희성이 노력기대에, 혁신성이 노력기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평소 실감형 게임이나 콘텐츠 등을 즐기고 새로운 기술에 대해 혁신적 성향인 개인의 특성과 실감형국방 모의훈련이 배우기 쉽고 노력을 덜 들여야 사용할 것이라는 노력기대와 연관이 없다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5G 기반 실감형 국방시뮬레이션을 도입하는 과정에 개인의 사용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이 무엇인지 분석함으로써 관련 정책 수립 시 방향성을 제시하고, 실전적인 교육훈련을 위해 5G 기반 실감형 국방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도입하는 이론적 토대를 제시하였다. 또한, 기존보다한 단계 더 발전된 연구이며 미래 국방 모의훈련 발전을 위해 실용적이고 학술적인 가치가 있다는데 그 의미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모호함의 관용, 불안, 시뮬레이션 간호역량, 학습만족도 간의 관계

        고은정(Eun Jeong Ko),김은정(Eun Jung Kim) 한국자료분석학회 2020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2 No.4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모호함의 관용, 불안, 시뮬레이션 간호역량, 시뮬레이션 학습만족도 간 관련성을 파악하고 시뮬레이션 교육 전후 모호함의 관용 수준을 비교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일 대학 간호대학생 95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대상자의 모호함의 관용, 불안을 측정한 후 8주간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을 진행하였다. 코스가 끝난 후에 모호함의 관용, 간호역량, 시뮬레이션 학습만족도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대응 표본 t 검정, 카이제곱 검정, 상관관계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모호함을 견디는 능력은 65점 중 36.76±5.13으로 중간 수준이었다. 시뮬레이션 교육에서 학생의 불안 수준과 시뮬레이션 학습만족도는 음의 상관관계(r=-.21, p=.048)가 있었고 시뮬레이션 교육이 끝난 후 측정한 모호함의 관용 수준과 시뮬레이션 간호역량은 양의 상관관계(r=.24, p=.021)가 있었다. 8주간의 시뮬레이션교육 전후로 모호함의 관용 수준은 37.71±5.71점으로 유의한 변화가 있었다(t=-2.06, p=.042). 시뮬레이션 학습만족도는 시뮬레이션 간호역량과 강한 상관관계(r=.42, p<.001)를 보여서 시뮬레이션 교육의 설계 및 운영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개인의 심리적 특성이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의 학습 성과와 관련이 있으므로 추후 이를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of ambiguity tolerance, anxiety, nursing competency, and satisfaction with simulation training. A total of 95 senior nursing students currently studying at a university participated in the study in 2016. Students completed a questionnaires before and after 8-week simulation training cours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Chi-square, and paired t-test. As a result of the study, nursing students ambiguity tolerance was moderate. The higher the learner s anxiety, the lower the satisfaction with simulation training, and the higher the level of ambiguity tolerance, the higher the nursing competency. Satisfaction with simulation training showed a strong correlation with nursing competencey, which confirmed the importance of simulation education design and operation. The 8-week simulation training has developed the ambiguity tolerance of students, which can be helpful in making decisions in actual clinical practice that are unfamiliar and complex to resolve.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psychological factors of learner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to maximize achievement in high fidelity simulation training.

      • KCI등재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기능성 리듬 인지 보행 훈련이 뇌병변 장애아동의 인지능력과 모방능력에 미치는 영향

        안민지,김경래,박정민 충북대학교 국가미래기술경영연구소 2022 기술경영 Vol.7 No.3

        이 연구는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기능성 리듬 인지 보행 훈련 프로그램(2019년 8월 1일 특허 출원)을 중재하여 뇌병변 장애아동의 인지능력과 모방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프로그램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검증하고 꾸준한 신체․인지 재활이 필수적인 뇌병변 아동들에게 보다 흥미 있고 지속적인 신체활동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일상생활 수행능력 및 학습능력, 사회성 기술을 향상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10-15세 뇌병변 장애아동 36명(NEG=12, DEG=12, AEG=12)을 대상으로 24주간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기능성 리듬 인지 보행 훈련 프로그램을 중재하였다. 중재한 훈련 프로그램은 뇌병변 장애아동들의 신체활동 수행에 용이한 운동 방법으로 보행기능 개선 및 인지능력 평가를 위해 개발된 선행 프로그램들을 재구성하여 시뮬레이션 프로그램화 하였으며, 인지능력과 모방능력의 측정은 설문지를 이용한 모방인지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기능성 리듬 인지 보행 훈련 프로그램에 따른 인지능력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지남력, 운동수행력, 기억력에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으며, AEG의 경우 지각력과 주의집중력을 제외한 모든 변인에서 중재 후에 유의하게 향상되거나 DEG, NEG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기능성 리듬 인지 보행 훈련 프로그램에 따른 모방능력의 변화를 비교・분석한 결과, 숫자표현 변인과 동작 변인에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으며, 두 가지 변인 모두 AEG에서 유의한 증가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수행을 통한 뇌병변 아동들의 시각-운동 협응 능력 향상은 아동의 일상생활 전반에 걸친 신체수행 능력을 회복시켜주고 모방능력의 결함을 개선하여 학습 및 인지능력을 발달시켜줌으로써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감정적 재활을 도모하고 장애아동의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을 줄 것이라 생각된다.

      • KCI등재

        현장 경찰관 사격훈련의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황정용(Jong-yong Hwang),장승수(Seung-soo Jang) 한국민간경비학회 2022 한국민간경비학회보 Vol.21 No.3

        본 연구는 테이저나 권총 등의 경찰 교육훈련이 현장에서 활용 가능하도록 개선방향을 탐색하고 방안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현장 경찰관 7명을 대상으로 사격훈련의 개선방향에 관한 의견을 질적 연구에 의해 수집·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현실적인 시나리오에 기반해 훈련 상황을 현실과 유사하게 조성해야 한다는 의견, 가상현실을 활용한 시뮬레이션 훈련 시스템 보급으로 다수 경찰관이 훈련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 등을 확인하였다. 또한, 현재 훈련 패러다임은 사격을 한다는 사실을 기본적으로 가정하고 목표물에 정확히 사격하는 사격술 향상에 있는데 이를 바꿔야 함을 확인하였다. 실제 출동경찰관은 현장에서 대상자에게 사격을 할지 말지, 다른 저위험 수단으로 제압할지부터 고민하게 되는데 이 부분에 대한 의사결정 훈련은 아직 걸음마 단계이다. 이에 물리력 사용 보고서의 실제 사례를 바탕으로 한 시나리오의 개발, 그리고 모든 경찰관들이 훈련에 실질적으로 참가할 수 있도록 VR을 활용한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보급을 제언하였다. 또한, 출동현장의 다양한 요소를 빠르고 정확하게 인식한 뒤 사격/비사격 여부를 결정하는 훈련체계를 미국과 오스트레일리아 등 선진국의 사례를 통해 도출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피해자의 특성, 관련자와의 관계 등 맥락, 현장의 물리적 특수성 등을 파악할 능력을 키우기 위한 복합적 시나리오의 틀을 연구참여자의 제시와 선진국의 시나리오 등에서 도출하였다. This study is aim to explore the improvement direction and derive a plan so that police education and training such as tasers and pistols can be used in the field. To this end, opinions on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of shooting training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y qualitative research from seven field police office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training situation should be created similar to reality based on realistic scenarios, and that conditions for many police officers to train should be prepared by distributing simulation training systems using virtual reality. In addition, the current training paradigm is basically assumed to shoot, and it is confirmed that the shooting technique of accurately shooting at the target is improved, which should be changed. In fact, the dispatched police officer is considering whether to fire or not to fire at the target or subdue it with other low-risk means, but the decision-making training for this part is still in its infancy. Accordingly, it was suggested to develop a scenario based on the actual case of the physical force use report, and to distribute a simulation system using VR so that all police officers can actually participate in the training. Also, I tried to draw a training system that quickly and accurately recognizes various elements of the dispatch site and decides whether to shoot or not through the cases of developed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and Australia. In addition, the framework of complex scenarios to develop the ability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victims, context such as relationships with the persons concerned, and physical specificity of the field was derived from the research participants' presentation and scenarios in developed count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