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학생의 시각화 경향성, 기술 학습 태도, 기술 학업 성취간의 관계 분석

        이은상 한국기술교육학회 2017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visualization tendency, learning attitude toward technology, and academic achievement in technology. Researcher administered a survey that measured visualization tendency, learning attitude toward technology, and academic achievement in technology to 382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eighth grade, consisting of 185 boys and 197 girls. Researcher analyzed the survey data using path model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Generative and instrumental visualization tendency had a direct effect on learning attitude toward technology. Generative and instrumental visualization tendency had a direct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in technology. Learning attitude toward technolog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visualization tendency and academic achievement in technology. These findings support the notion that visualization tendency is the key factor that affects learning attitude toward technology and academic achievement in technology.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is that overall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related to visualization tendency were derived in the subject of technology.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were discussed.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시각화 경향성, 기술 학습 태도, 기술 학업 성취 간의 인과 관계를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중학교 2학년 학생 382명(남 : 185, 여 : 197)을 대상으로 시각화 경향성, 기술 학습 태도, 기술 학업 성취를 측정하였으며, 경로 모형을 이용하여 연구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생성적, 수단적 시각화 경향성은 기술 교과의 학습 태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중학생의 생성적, 수단적 시각화 경향성은 기술 학업 성취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중학생의 생성적, 수단적 시각화 경향성은 기술 교과의 학습 태도를 매개하여 학업 성취에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시각화 경향성이 기술 학습 태도 및 학업 성취 모두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핵심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기술 교과에서 시각화 경향성 관련 여러 변인들 간의 영향 관계 경로를 확인하였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기술 교과에서 시각화 경향성 신장을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학습유형, 시각화 경향성, 문제해결과정과의 관계

        최은진(Eun-Jin Choi) 한국자료분석학회 2021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3 No.5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학습유형, 시각화 경향성, 문제해결 과정간의 관계를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232명의 간호대학생을 편의 수집 하였으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평균, 표준편차, 백분율, independent samples t-test, ANOVA, Pearson s correlation coefficient, logistic regression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시각화 경향성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고, 대상자의 학습유형은 적응형이 122명(54.5%)으로 가장 많았으며 확산형(49명, 21.9%), 동화형(37명, 16.5%), 수렴형(16명, 7.1%)순으로 나타났다. 확산형이 적응형에 비해 시각화 경향성 점수가 높았고 (F=5.75, p=.001) 확산형과 동화형이 적응형에 비해 문제해결과정 점수가 높았다 (F=5.42, p=.001). 시각화 경향성과 문제해결과정간에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r=.49, p<.001),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 시각화 경향성이 가장 높은 그룹이 가장 낮은 그룹에 비해 문제해결과정 점수가 높을 가능성이 17.24배 높았다(OR = 17.24, 95% Confidence Interval = 3.79~78.40). 본 연구결과는 간호대학생의 학습유형을 고려한 교수법활용과 문제해결능력을 높이기 위해 시각화 경향성을 활용한 교수법 적용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style, visualization tendency, and problem-solving process among nursing student. Participants included 232 nursing students from one college, using convenience sampling metho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IBM SPSS Statistics 22.0 Program, through independent samples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 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logistic regression. As a result, a difference was found in diverging learning style and accommodating style according to the visualization tendency (F=7.75, p=.001). There was also difference in assimilating and accommodating according to the problem-solving process (F=5.42, p=.001). Visualization tendency was related to problem-solving process positively (r=.49, p<.001).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students with visualization tendency in the top quartile group more likely presented with high score of problem-solving process (OR=17.24, 95%CI: 3.79~78.40), compared to nursing students in the lowest quartile. These findings provide the evidence of using visualization tendency as one of the helpful teaching-learning methods. To maximize the problem-solving process, educators must use the visualization tendency more concrete and active.

      • KCI등재

        여대생의 시각화 경향성이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창의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김효원(Kim Hyo w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3

        이 연구의 목적은 창의적 과제해결 맥락에서 학습자에게 요구되는 시각화 능력으로서의 시각화 경향성이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창의적 자기효능감이 매개효과가 나타나는지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광주광역시 소재 S대학의 2~3 학년 여대생 214명을 대상으로 시각화 경향성, 창의적 자기효능감, 문제해결능력 검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매개효과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적 과제해결 맥락에서 시각화 경향성이 창의적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문제해결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설정한 연구모형이 타당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시각화 경향성은 창의적 과제해결 맥락에서 창의적 자기효능감과 문제해결능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창의적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문제해결능력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문제해결능력 신장을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s the mediating effects of creativity self-efficacy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Women s University student visualization tendenc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214 data were collected from S University students in Jeolla Provinc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is model and the casual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quation model of causal relationships among visualization tendency, creative self-efficac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was valid. Second, visualization tendency positively and directly influenced problem solving ability and through mediation by creative self-efficacy had an indirect effect on problem solving ability in context of creative problem solving task.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formulated several educational suggestions with elevate university students’ problem solving ability.

      • KCI등재

        모바일 러닝 환경에서 SPAT방식의 자료 제공에 대한 학습자 인식 분석: S대학교 모바일 러닝 환경을 중심으로

        박유진 ( Yu Jin Park ),김명선 ( Myung Sun Kim ),금선영 ( Sun Young Keum ),나일주 ( Il Ju Rha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6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2 No.2

        본 연구는 모바일 러닝 환경에서 정지 이미지, 오디오, 텍스트를 통합적으로 제시하는 학습 자료 전달 방식인 SPAT방식에 대한 학습자 인식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학습자들이 인식하는 SPAT방식의 특성과 시각화 경향성에 따른 학습자의 SPAT방식 인식을 살펴보았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위해 모바일 러닝 환경에서 창의성 강의를 SPAT 방식으로 10일 간 학습한 S대학 사범대 학부생 97명을 대상으로 시각화 경향성과 SPAT방식에 대한 인식을 묻는 의미변별척도 설문을 실시하였고, 이들중 6명을 대상으로 반 구조화된 심층면담(semi-structured interview)을 실시하였다. 인터뷰 결과 학습자들은 대체로 SPAT방식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의미변별척도를 통하여 도출한 학습자 인식은 주로 ‘작고’, ‘가볍고’, ‘빠르다’는 것이었으며 ‘딱딱하다’는 느낌 또한 강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시각화경향성과 의미변별척도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재현적 시각화 경향성이 높은 학습자일수록 모바일 환경에서의 SPAT방식에 대한 인식 중 활동성 요인에서 상대적으로 부정적인 인식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학습자 인식 분석을 통해 향후 SPAT방식의 발전적인 활용 가능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learners’ perception of SPAT format which is newly suggested as a learning delivery method in mobile learning environment. SPAT is the method of combining and synchronizing three information elements, that is, still picture, audio and text in a digitally integrated format. In this study, characteristics of SPAT format in the learners’ view and relationships between the learners’ perception of SPAT format and visualization tendency were examined. 97 students in a university were participated. And the participants studied three lectures delivered in SPAT format freely during the period of 10 days in a mobile learning environment. The lecture content was on the ‘creativity.’ Afterwards, the visual tendency test and semantic differential scale on the delivery format were administered. To identify learners’ in-depth perception,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also administered. The participants of the interview were six students from the participants group. The results showed that learners mostly had a positive view on the SPAT format as a mobile learning delivery method. The semantic differential scale showed the SPAT format as it is ‘small’, ‘light’, ‘fast’, and ‘rigid’.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rs’ semantic differences on SPAT and visual tendency score were further analyzed.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the study suggested several implications of further developmental utilization of SPAT format in mobile learning.

      • KCI등재

        고전문학 모티프가 주입된 브랜드 스토리텔링의 효과성에 대한 연구 : 시각 내러티브를 중심으로

        전주언 한국마케팅관리학회 2015 마케팅관리연구 Vol.20 No.1

        In this research, the author investigates the phenomenon of “classic literature infusion,” in which the presence of classic literature has a favorable influence on the evaluation of aesthetic brand and brand storytelling qualit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effect of classic literature infusion on the evaluaion of brand storytelling. This research empirically tes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lassic literature and narrative style, while exploring the moderating role of consumer information processing (visual tendency vs. verbal tendency). Marketers are aware that the humanities elements may successfully be employed in marketing to influence consumer in a favorable way. On the basis of empirical study, the author shows the implicaion of the classic literature infusion strategy. 본 연구는 고전문학이 브랜드 스토리텔링에 주입(infusion)될 경우 소비자들이 해당 브랜드의 스토리텔링을 호의적으로 평가하여 심미적 경험을 기대할 수 있음을 검증하는 것이 목적이다. 즉 고전문학의 스토리가 내러티브(구두 vs. 시각)로 전달되어 신규 브랜드가 소개될 경우 소비자들은 해당 브랜드를 세련되게 인식하여 호의적인 태도가 형성될 것으로 예상했다. 이에 더 나아가 고전문학의 내러티브를 시각화시켜줄 수 있는 시각 내러티브(visual narrative) 형태로 전달되면 소비자들의 심적 시뮬레이션이 보다 유창해져 브랜드 스토리텔링의 효과성은 더욱 높아질 것으로 보았다. 또한 고전문학이 주입된 브랜드 스토리텔링 유형은 소비자의 정보처리 경향성(구두화 경향성 vs. 시각화 경향성)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보고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했다. 연구결과 신규 브랜드가 소개되는 과정에서 고전문학이 주입될 경우 소비자들은 해당 브랜드의 스토리텔링에 대해 호의적으로 평가했으며 특히 시각 내러티브에 대해 보다 호의적으로 평가했다. 하지만 소비자의 정보처리 경향성에 따라서 이 효과는 달라지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상의 논의에 근거하여 학문적 시사점과 향후 연구를 제안했다.

      • KCI등재

        초등학생의 시각화 경향성이 문제해결력 및 문제해결과정에 미치는 효과

        나일주 ( Il Ju Rha ),성은모 ( Eun Mo Sung ),박소영 ( So Young Park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0 초등교육연구 Vol.23 No.4

        Human`s visual activity or visualization tendency are known to have positive effects on problem solving. However, there are no research findings supporting the proposition with concrete evidences. In this respect, this research attempted to discover the relationships between visualization tendency and problem-solving ability. Furthermore, the research tried to find out whether the visualization tendency could have a predictive power on the problem-solving ability. Two hundred and thirty nine elementary school fifth grade students were involved in the data collection process. Correlation, simple regression,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employed for the data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visualization tendency has high correlation with problem- solving ability(r=.82). Furthermore, visualization tendency predicts the problem-solving ability significantly(p<.01). Among five sub categories of visualization tendency, generative visualization predicted the problem-solving ability most strongly. In contrast, representative visualization turned out to be the least critical factor comparing to other factors of visualization tendency. In terms of the overall problem-solving process, generative visualization showed the most positive influence on each stage of problem-solving process. However, at planning and implementing process, it was space-motor visualization which affects the process most significantl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 the researchers discussed the effect of visualization tendency on problem solving and several educational implication.

      • KCI등재

        초등학생의 시각화 경향성과 교과 학습태도가 교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의 구조적 관계분석

        성은모 ( Eun Mo Sung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1 초등교육연구 Vol.24 No.3

        Human`s visual activity or visualization capabilities are positively related with learning attitude or academic ability. However, there are lack of research findings supporting the proposition with concrete evidences about relationships among visualization tendency, learning attitude for the subject and academic ability. To address this respect, this research h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ause and effect among these variables. Furthermore, the research has tried to find out the specific effect among variables by estimating total effect, direct effect, and indirect effect. Two hundred forty-sev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were fifth grade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o analysis relationships and the specific effect,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bootstrapping analysis were employed. According to the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visualization tendency and learning attitude for the subject r=.55, p<.01, visualization tendency and academic ability r=.35, p<.01, learning attitude for the subject and academic ability r=.43, p<.01.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sis the cause and effects, the learning attitude for the subject was predicted by visualization tendency =0.55, p<.01, the academic ability was predicted by visualization tendency =0.17, p<.05, the academic ability was predicted by learning attitude for the subject =0.34, p<.01. Also, indirect effect and total effect of visualization tendency through the academic ability was =0.19, p<.05 and =0.34, p<.01. The measurement model provided an acceptable fit to the data; (41, N=247)=101.23, p<.01, CFI=0.95, TLI=0.92, SRMR=0.07, RMSEA=0.07.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some recommendations were discussed for the effect of visualization tendency on several educational implications.

      • KCI등재

        초등학교 IPTV 활용 수업에서 시각화 경향성이 교과태도, 학습몰입도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성은모 ( Eun Mo Sung ),임정훈 ( Jung Hoon Leem ),김세리 ( Se Ri Kim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0 초등교육연구 Vol.23 No.3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affects of visual tendency of attitude on subjects(i.e., social science, science, and english), learning flow, learning satisfaction through using the IPTV based instruction in elementary school, which is IPTV pilot schools nationwide to investigate feasibility of IPTV in classrooms since October 2009. To investigate this research, survey were conducted from 9 elementary schools including 373 students. Independent variables were visual tendency and its factors. Dependent variable for students were attitude on subjects, satisfaction, and flow. The result of students survey revealed that visual tendency was driven 3 factors; generative visualization, space-moro visualization, and instrumental visualization.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visual tendency affected attitude on subjects, learning flow. However, Learning satisfaction didn`t. Futhermore, to investigate main affects of factors in visual tendency, multi regression was conducted with dependent variabl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ome recommendations were suggested for increasing effectiveness using IPTV in instruction.

      • KCI등재

        IMRAD 글쓰기를 위한 빅데이터 분석 기술의 활용에 관한 연구

        엄태경,정다솜 인문사회 21 2017 인문사회 21 Vol.8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Big Data era in each chapter of the IMRAD format and to suggest various big data analysis techniques for academic writing. By using techniques that can analyze and visualize trends in data when setting up a research problem, new key words and constructs that were difficult to capture through literature research can be found. Unstructured data mining such as web crawling is expected to be more actively used in the future and therefore this new type of data collecting process will need to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Research method” chapter. In “Results and Discussion”, if we utilize data visualization techniques selectively, it will help readers to understand research results more intuitively and provide new insights for subsequent researches. 본 연구의 목적은 IMRAD 글쓰기 양식에 빅데이터 시대의 특징들이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는 지를 살펴보고, 각각의 장에서 다양한 빅데이터 분석 기술을 활용할 것을 제안하는 것이다. 빅데이터 분석 기술을 활용한 연구에서는 연구 문제 설정 시 데이터에서 경향성을 분석하여 시각화할 수 있는 기술을 통해 기존의 문헌 연구에서 포착하기 어려웠던 새로운 키워드와 구인을 찾아낼 수 있다. 향후 웹 크롤링과 같은비정형 데이터 마이닝이 더욱 적극적으로 활용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러한 새로운 방식의자료 수집 과정이 「연구 방법」의 장에 보다 구체적으로 기술될 필요가 있다. 「결과 및 고찰」의 장에서는 데이터 시각화 기법을 선별적으로 활용한다면 독자들의 직관적 이해를 도와 후속 연구를 위한 새로운 통찰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IPTV 학습환경에서 중,고등학생의 시각화 경향성, 교과 태도, 학습몰입 및 학습만족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임정훈,성은모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1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7 No.3

        IPTV의 주요매체특성은 고화질, 고선명성으로 대표되며, 이러한 시각적 영상자료의 활용은 학습자의 시각적 사고활동을 촉진시키고 학습자의 주의환기 및 동기를 유발함으로써 교과태도, 학습몰입 및 학습만족도 증진에 영향을 미친다고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IPTV 활용 교수학습환경에 있는 중·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시각화 경향성, 교과태도, 학습몰입도 그리고 학습만족도 간에 어떠한 구조적 인과관계가 있는지를 면밀히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에 IPTV 시범연구학교 중·고등학생 625명 (중학생 125명, 고등학생 500명)을 대상으로 시각화 경향성, 교과 학습태도, 교과 학업성취도에 대한 구조적 관계를 구조방정식을 통해 살펴보았으며, 보다 구체적인 요인들의 인과관계분석을 위해 효과분해 즉, 총 효과, 직접효과, 간접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각 변인들의 상관관계는 매우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각화 경향성 교과태도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학습몰입과 학습만족도에는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과태도는 학습몰입에는 직접적으로 학습만족도에는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학습몰입은 학습만족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요인들의 인과관계에 대한 구조모형의 적합도 분석결과, IPTV를 활용한 학습환경에서 중·고등학생의 시각화 경향성, 교과태도, 학습몰입도, 그리고 학습만족도의 구조적 관계는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IPTV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논의와 교육적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lationships among visual tendency, attitude on subjects (i.e., social science, science, and english), learning flow, and learning satisfaction through using the IPTV based instruction in middle and high school, which is IPTV pilot schools nationwide to investigate feasibility of IPTV in classrooms. To investigate this research, 625 subjects were surveyed be means of online survey system for 4 weeks. To analysis the cause and effect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employed. Also, To estimate the specific effects, there were used total effect, direct effect, and indirect effect index by Bootstrapping. All analysis were employed by SPSS 18.0 and AMOS 18.0. According to the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that ranged from r=.14 to r=.45, p<.01.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on the cause and effects, the learning attitude on subject was predicted by visualization tendency R2=0.43, p<.01, the Learning flow was predicted by learning attitude on subject R2=0.33, p<.01, the learning satisfaction was predicted by the learning flow R2=0.44, p<.01. Also, indirect effect of visualization tendency trough the learning flow was R2=0.14, p<.01 and learning satisfaction was R2=0.11, p<.01. Indirect effect of the learning satisfaction trough the learning attitude on subject was R2=0.15, p<.01. The measurement model provided an acceptable fit to the data; X2(183, N=625)=681.15, p<.01, CFI=0.94, TLI=0.92, SRMR=0.06, RMSEA=0.06.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ome recommendations were suggested for increasing effectiveness using IPTV in instru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