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우리나라의 습지보전에 관한 국민인식도 분석

        방상원,신가은 한국습지학회 2009 한국습지학회지 Vol.11 No.1

        우리나라의 습지보전에 관한 국민인식도 분석을 위해 2007년 9월 5일부터 약 1개월간 일반대중 및 습지 이해당사자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우리나라의 현재 습지보전 수준과 관련하여, 전체 응답자 300명 중 9.7%만이 ‘우리나라의 습지보전이 잘되고 있다’고 응답하여, 현행 습지보전과 관련된 정책 및 제도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습지 이해당사자의 경우 습지의 공익적 가치에 대해 비교적 잘 인식하고 있으나, 일반대중들의 경우에는 습지의 공익적 가치를 잘 모르는 응답이 58.8%에 달하여, 보다 체계적인 일반대중대상 습지교육 및 홍보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습지보전의 정도가 개인과 가정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한 설문에서, 전체 응답자 중 습지의 보전이 ‘중요하다’는 응답은 63.5%이었고 15%만이 ‘중요하지 않다’고 응답하였다. 한편 습지보전의 정도가 국가의 자연환경과 발전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하여, 전체 응답자 중 ‘중요하다’라는 응답은 83.2%, ‘중요하지 않다’라는 응답은 3%에 그쳤다. 이는 습지의 보전이 개인과 가정 그리고 국가에 미치는 영향이 있고, 특히 국가에 중요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인식하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습지가 인간에게 직접적인 경제적 이익을 주지 않더라도 마땅히 보호되어야 한다는 응답이 전체 85.1%를 차지하여, 직접적인 경제적 이익이 없더라도 습지가 보호되어야 한다는 인식을 보였다. 본조사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에 우리나라 국민은 습지는 공공의 자산으로 후대에도 물려주어야 할 중요한 자연자산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습지의 가치를 고려하지 않은 무분별한 개발은 바람직하지 않은 것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order to analyze the consciousness of the general public toward wetland conservation issues, three hundred people, chosen to reflect a representative sample of the issues, including the general public and stakeholders of wetlands in Korea, were questioned for a one month period from September 5th, 2007. With regard to a question about the current level of wetland conservation in Korea, only 9.7 percent of the survey group answered that it has been adequately conserved. This suggests that there is a strong need to reform existing policies and management frameworks pertaining to wetland conservation. While the stakeholders recognized the public values derived from wetlands very well, 58.8 percent of the general public did not understand the values at all. This suggests that increased and systematic education and public relations programs for wetlands and their public values should be launched, especially for the general public. With regard to the effects brought about by levels of wetland conservation, 83.2 percent of the survey group answered that wetland conservation was very important for both the natural environment and development of Korea, while 63.5 percent of the group answered that it was very important for themselves and their family. Surprisingly, 85.1 percent of the survey group said a wetland should be conserved, even though there are no direct economic benefits from doing so. With all these survey results, the general public in Korea thinks that wetlands are an important and precious public asset which should be passed to the next generation.

      • KCI등재후보

        습지정원 활용을 위한 소규모 마을습지 분포와 주민인식 조사 연구 - 충청남도 서천군을 대상으로 -

        박미옥,서주영,구본학 (사)한국정원디자인학회 2020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Vol.6 No.1

        The study was carried out with the aim of preserving village wetlands and for efficient use in the future by understanding how small-scale village wetlands are distributed in Seocheon-gun and by conducting perception survey of village residents. 158 locations were selected for the study and we confirmed how village wetlands and the surrounding land were in use. We also studied differences in villagers’ perception depending on wether the target locations were in use or not. To study villagers’ perception, we have visited the villages and conducted a survey with 40 villagers who were both users and non-users of wetlands. The questionnaire included questions on conservation of natural ecosystems, wetland awareness, village wetland awareness, village wetland protection and necessity.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e examined the use of wetlands and the use of surrounding land with 158 village wetlands that were finally identified. As a result, much of wetland was used as an agricultural resin (73%), followed by a pond (13%). As rice paddies, fields and forests are widely distributed due to the use of surrounding land, (Second, looking at the relationship between wetland use and surrounding land use, wetland function, form, and vegetation were diverse as the use of the surrounding land was different, even if the use of wetland was the same.?) Third, reliability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frequency analysis were conducted to identify differences in recognition of wetland use.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villagers according to their experience of using wetlands or not and both group of respondents said that they should preserve village wetlands because they are assets to be preserved for the future, and educational activities to increase awareness of local residents are needed for wise use of village wetlands. Based on our research results, villagers’ perception on wetland was important in order to utilize various village wetlands as wetland gardens.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study educational programs to improve awareness on village wetland in the follow-up studies, and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expand and apply research across the country in addition to Seocheon-gun. 본 연구는 서천군 소규모 마을습지 분포를 확인하고, 직접적인 관계를 갖는 주민들의 인식 조사를 통해 마을습지가 보전되고, 현명하게 이용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는 최종 판별된 158개소를 대상으로 마을습지 습지이용과 주변토지이용을 확인하였으며, 습지이용 유무에 따른 주민들의 인식 차이를 조사하였다. 주민인식조사는 직접 방문하여 실시하였으며, 대상은 마을습지 이용자와 비이용자로 구분하여 총 40명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설문문항은 자연생태계 보전, 습지인식, 마을습지인식, 마을습지 보호 및 필요성 항목으로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종 판별된 마을습지 158개소를 가지고 습지이용과 주변토지이용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농업용수지(73%)로 많이 이용하고 있었고, 다음으로 연못(13%)이 많이 이용하고 있었다. 이는 주변 토지이용으로 논, 밭, 산림이 많이 분포하고 있어 농업용수지 이용이 가장 많은 것으로 판단되며, 연못의 경우에는 개인 집이나 절에 조성하여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습지이용과 주변토지이용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습지이용이 같더라도 주변토지이용이 달라짐에 따라 습지 기능, 형태, 식생 분포가 다양하게 나타났다. 셋째, 습지이용 유무에 따른 인식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신뢰도분석, 독립표본 t검정,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습지이용 유무에 따른 주민 인식 차이가 있었으며, 두 대상자 모두 미래를 위해 보전해야할 자산이기 때문에 마을습지를 보전해야 한다고 대답하였으며, 마을습지의 현명한 이용을 위해서 지역주민의 인식 증진 교육활동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순기능을 하는 마을습지를 습지정원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직접적인 관계를 갖고 있는 주민들의 인식이 중요하다. 향후, 후속연구에서 마을습지 인식증진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더불어 서천군 이외에 전국적으로 확대 적용 연구가 추가로 필요하다.

      • KCI등재

        조선시대 습지에 대한 인식과 이용

        도윤호,김항아,김성보,임란영,김성기,주기재 한국습지학회 2012 한국습지학회지 Vol.14 No.3

        습지에 대한 인식 정도는 습지를 보전하고 관리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인식은 단순히 한 시 대의 사회·경제적인 상황뿐만 아니라 역사, 종교, 문화 등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이를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학제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역사적으로 습지에 대해 어떻게 이해했는가를 파악하기 위해 조선시대의 사료들을 분석하였다. 조선시대의 사료들에서 습지를 지칭하는 용어를 찾고 습지를 어떻게 이용하고 관리하였는가를 파악하였다. 약 20여 개의 단어가 습지 또는 습한 환경을 지칭하고 있었는데, 대부분의 경우 습 지는 부정적인 장소로 인식하고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일부 농지로 전환이 가능하여 소출을 얻을 수 있는 곳이나 수경재배에 필요한 물을 댈 수 있는 수리시설로 이용이 가능한 곳은 중요시 여겨 특별히 관리한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습지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과 더불어 농업생산을 회복하고 증진하는 국가적인 목표를 위해 많은 습 지가 농경지로 개간되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내륙습지보호지역 협력체계로 구성된 시민과학자의 인식변화에 관한 연구 -협력체계 구성 초기 역량강화 교육 전후의 인식을 중심으로-

        여인애,이창수,김규연,반채은,조광진 한국사진지리학회 2022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32 No.4

        본 연구에서는 주민역량강화사업 초기단계에 있는 내륙습지보호지역 3개소를 대상으로 시민과학연구 역량강화 교육 전후의 인식변화를 조사하고 비물질적 보상 및 참여 지속방안을 도출하였다. 내륙습지보호지역의 지정 보전관리에 관여하는 지방정부, 지역주민의 구성 등 협력체계(Cooperative Network)를 활용하여 시민과학자를 모집⋅ 구성하고 시민과학 활동수행 시 역량강화 교육 전후로 가지는 인식변화를 분석하여 시민과학연구활동의 발전방향을제시하였다. 연구대상지역의 시민과학자 116명을 대상으로 참여 동기와 역량강화 교육 수요를 조사하고 역량강화 교육 이후 만족도와 시민과학연구활동의 도움 정도 및 개선방안을 조사하였다. 사전 설문으로 내륙습지보호지역의 협력체계로 구성된 시민과학자들의 참여 동기를 조사한 결과 전 지역에서 일관되게 해당 지역의 생물다양성에 대한 학습 욕구와 지역의 습지와 자연자원을 보호하는 활동에 참여하고자 하는 동기가 가장 높았다. 전 집단 공통으로 해당지역 내 시민과학연구활동의 지속성과 타 지역으로 확산될 필요와 함께 해당지역 습지보호지역의 생태계 보전 및 현명한 이용시설에 대한 도입 등을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 지역 공통으로 생태계 현장실습 교육에 대한 요구가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민과학자들의 참여 동기와 사전 교육 수요 응답 결과를 반영하여 습지의 가치와 시민과학연구에 대한 개론과 함께 ’22년도 연구활동방법 안내와 곤충상 조사방법론 강의와 현장실습을 수행하였다. 역량강화 교육 종료 후 교육 참여자에게 전반적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현장실습과 생물자료 수집 활동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역량강화 교육이 시민과학연구활동을 추진할 동기부여가 되는지 조사한 결과 교육 수행이 시민과학연구활동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고 있었다. 시민과학자들 응답자 다수가(23명) 역량강화 교육 전반에 걸쳐 이루어진 정보공유방식에 공감하였고 습지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생태계 교란식물 및 곤충 사진촬영 등 현장실습이 인상 깊었다고 보고하였다. 시민과학자들은 온⋅오프라인으로 전주기 정보교류의 지속 및 활성화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하였으며 시민과학연구 성과의 활용성 측면에서 직무 연계성 및 지역 문제해결의 도움도가 개선되기를 바라고 있었다. 시민과학자들은 역량강화 교육 전후로 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과 지식습득에 대한 욕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운영주체-시민과학자, 시민과학자-시민과학자 상호작용이 지속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향후 내륙습지보호지역의 시민과학연구를 발전시키기 위해서 역량강화 교육을 체계화하여 연구활동 자체의 흥미 고취와 함께 활동 자체의 보람, 학습 욕구 충족, 연구 성과의 환원, 기여도 인정 등의 방법으로 자발적 참여에 대한 보상을 제공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지방정부의 습지보전실천계획 수립과 과제 현황분석 : 경상남도를 대상으로

        김지윤,도윤호,이찬우,최기룡,주기재,조현빈 한국습지학회 2015 한국습지학회지 Vol.17 No.3

        지방자치단체 수준에서의 습지 보전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경상남도를 대상으로 실행계획과 과제현황을 분석하였다. 습지보전실천계획은 기반체계(습지조사, 습지보호지역・람사르습지 관리, 습지관리전략 수립), 습지보전 및 현명한 이 용(습지복원, 생물관리, 이용시설조성), 교육 및 인식증진, 협력체계구축(국내외 습지보전기관과의 협력)으로 구분하였 다. 2010년부터 2013년 까지 총 42개 과제(145건)가 수행되었고 총 88,899백만원이 경상남도의 14개 기관에서 수행 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과제의 규모와 예산은 점차 감소하는 추세에 있지만 지속적으로 추진되는 과제가 많으며, 수행 주체는 일부 지방자치단체에 집중되어 있는 양상을 보였다. 각 과제가 얼마나 많은 성과를 만들었는가를 판단하기에 앞서, 전통적인 습지관리방법이나 행정적・법적 지원이 충분하지 않은 상황에서 여러 가지 시도를 통해 지방정부 차원 에서 습지를 관리하고 이를 조례로 입법화한 것은 지방자치단체 수준의 습지보전에 높은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었다. 단일 지방자치단체의 역량만으로 국가 네트워크를 통한 자료 공유 또는 법적 제제는 무리가 따르므로 이를 위한 중앙정부차원의 법적 근거 마련과 타 지방자치단체와의 협력체계 구축이 시급한 것으로 판단된다. We systematically analyzed the Wetland Conservation Action Plan of Gyeongsangnam Province to evaluate conservation status in local government level. Project topics were categorized into 1) wetland infrastructure, 2) wetland conservation and wise use, 3) education and awareness, and 4) conservation framework. From 2010 to 2013, 42 projects (145 cases, 88,899 million won) were implemented by 14 affiliated organizations under Gyeongsangnam Provincial Government. The number of projects and budget size has been decreased over 4 years, besides most of main projects were continued. The budgets were largely used for wetland project of cities and counties.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various conservation projects may have considerable potential values in wetland conservation, while it is still difficult to assess their overall effectiveness in the society. Diverse wetland management practices in Gyeongsangnam Provincial Government have accumulated fundamental practices and knowledge for an effective local conservation. These administrative experiences will further benefit other local government to establish wetland management framework. To accelerate policy diffusion to other local governments, Gyeongsangnam Province needs to promote and share leading experiences and information of wetland conservation. Enhanced local government framework by the legislation at central government will further support country-level management plans and practices.

      • KCI등재

        연안습지의 가치에 대한 지역주민 인식 조사

        이경아 ( Kyeongah Lee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1

        본 연구는 습지보전법 제정이후 연안습지의 가치에 대해 지역 주민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 지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보호지역 지정 이후 지역 주민들이 습지보호지역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습지보호지역 주민을 중심으로 SPSS 통계분석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지역민들은 습지보호지역의 지정이 매우 유의미하며, ‘지역 활성화 및 소득 향상’ 등을 긍정적 효과로 보았다. 반면에 ‘어업활동 제약’ 등 일상생활에서는 대체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판단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습지보호지역의 확대를 원하는 것으로 보아 전반적으로 보호지역 지정이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주민의 자발적인 습지의 보전과 현명한 이용을 위해서 해당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체계적인 주민역량강화교육 등이 필요함을 제언한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local residents perceive the value of coastal wetlands since the enactment of the Wetland Conservation Act. Therefore, we have discussed how local residents perceive wetland conservation areas after the designation of protected area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frequency analysis and crossover analysis using SPSS statistical analysis. As a result of this study, local people designated wetland conservation area as very meaningful, and seeing ‘regional activation and income increase’ positively. On the other hand, it was judged that there was a negative impact on daily life such as ‘fishery activity restriction.’ Nonetheless, the desire to expand the wetland protection area indicates that the overall designation of the protected area has a positive effect.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systematic resident capacity building education is necessary for the residents of the area in order to preserve the welfare of the residents and wise use.

      • KCI등재

        한국과 베트남의 조우에서 나타난 서발턴 -이혜경의『기억의 습지』를 대상으로

        이남정(Lee Nam-jung) 한국비평문학회 2021 批評文學 Vol.- No.79

        본고는 한국과 베트남의 조우에서 발생하는 ‘공간성’이라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오늘날 한국과 베트남은 다양한 분야에서 교류를 주고받는 우호적 외교 관계를 구축하고 있지만 양국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고질적인 문제가 남아있음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가장 영향을 많이 주고받는 문제가 과거 베트남전쟁 파병으로 인한 문제와 국제결혼으로 인한 여러 사회문제들이다. 한국 다문화소설에서는 이러한 문제들을 다각도로 다루어 왔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대다수의 한국 다문화소설에서 ‘베트남’이라는 배경으로서의 공간성은 단지 ‘낙후된’ 동남아시아의 여러 국가 중 하나일 뿐, 주관적 배경으로서의 공간성은 나타나 있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고는 이혜경의『기억의 습지』가 베트남전에 참전했던 인물의 베트남에 대한 기억과, 그가 살고 있는 시골 마을에 시집 온 신부의 고향으로서의 베트남에 대한 기억이 공존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한국 문학작품에 나타난 베트남의 공간성을 살펴보고자 했다. 또한 이러한 분석 과정에서 한국과 베트남의 인물들이 서발턴적 성격을 뚜렷하게 띠고 있다는 점을 발견하고, 전쟁으로 인한 서발턴과 결혼 이주로 인한 여성 서발턴에 주목해 보았다. 이들 서발턴의 재현방식은 물론, 문학이라는 이름으로 자행되는 ‘인식론적 폭력’에 대해서 깊은 성찰이 필요할 때이다. This paper starts from the critical view for the Spatiality cause by the encounter of the Korea and the Vietnam. Today, the Korea and the Vietnam have an amicable diplomatic relationship with intercourses in a various area. However, serious problems between them still exist. The problem is that the Korea sent their military to the Vietnam War. In addition, there are some social issues with international marriages between them. These problems have been discussed in the Korean novels with various viewpoints. Nevertheless, the Vietnam just has been treated as just one of the undeveloped countries at the Southeast Asia. Furthermore, the Vietnam has never been ‘a Subjective Background’ in these novels. In Hye-kyung’s The Wetland of Memory, a war veteran character has a memory to be sent to the Vietnam War. Moreover, the Vietnamese woman who moved to his town for her marriage has a memory of the Vietnam as her hometown.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on them. By analyzing this novel, the Spatiality of the Vietnam was discovered in the Korean multi-cultural novels. Furthermore, It was found that both the Korean and the Vietnamese have the features of the Subaltern. So, this paper will focus on the Subaltern made by a war and by an immigration with marriage. In conclusion, ‘The Epistemological Violence’ when describing the Subaltern needs to be introspected by our new perspec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