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파워카드 전략을 사용한 아스퍼거 장애 아동의 스트레스 표현 행동 중재의 일반화에 관한 사례 연구 - 학교생활을 중심으로 -

        이재욱,이재욱 한국발달장애학회 2010 발달장애연구 Vol.14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스트레스 표현 행동을 하지 못해 어머니와의 관계에 어려움이 생긴 아스퍼거 장애 아동에게 파워카드 전략을 사용하여 집에서 스트레스 표현 행동을 습득시키고 나서, 이 스트레스 표현행동이 학교생활에 일반화되는 정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연구 대상 아동은 13세로 일반초등학교를 다니고 있었고, 파워카드 전략을 사용하여 집에서 월, 수, 금요일 18시 30분부터 40분간 하루 2회기씩 3주에 거쳐 용암법을 적용한 지도를 받아서 스트레스 표현 행동을 습득하였다. 스트레스 표현 행동 습득 전후의 학교생활 변화를 스트레스 감소, 발화 길이의 신장, 그리고 다양한 주제의 사용으로 나누어 알아보았다. 학교생활의 변화는 특수학급 교사와 학급 동료와의 면담과 연구 대상 아동 어머니의 기록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파워카드 전략을 이용한 스트레스 표현 행동 습득은 학교생활에서 스트레스를 감소시켜 바람직한 행동을 하게 하였고, 발화 길이 신장과 다양한 주제 사용에 크게 영향을 미쳤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eneralization of stress expression behavior in school life using Power Card Strategy to a child with Asperger Disorder. The subject participated in this study was thirteen-year child with Asperger Disorder enrolled in elementary school. The subject has been trained with Power Card Strategy for three weeks for acquiring stress behavior expression. Data was taken and analyzed from the interviews with his classmates and special classroom teacher and daily recording report written by his mother. As the result, we found that Power Card strategy was effective on generalization of stress expression behavior in school life. Also, Power Card strategy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length of utterance and the usage of various theme in school life.

      • KCI등재

        학교미술치료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정서표현과 스트레스 대처행동 및 미술자기표현에 미치는 효과

        홍현정,김선희 한국예술교육학회 2018 예술교육연구 Vol.16 No.1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fluence of art therapy on elementary school senior-grade children, especially on their emotional expressiveness, stress coping strategies as well as art self-expression. For this purpose, the 4th grade children of two-classes were selected as a participant group in Seoul. With the consent of the principal, homeroom teachers, and parents, 30 participants of one clas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EG) and 30 participants of the other class were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CG). Excluding the data of participants dropout, 42 data were obtained. 20 data of EG and 22 data of CG were examined for the final analysis. EG children were provided with the weekly class of art therapy (eight sessions over a two-month period; one session per 40 min.) instead of regular art-class. CG children were not provided with any art therapeutic activities. Both group were evaluated with the scales of emotional expressivity and of stress coping strategies, as well as DAPR(Draw A Person in the Rain) assessment. In order to present the changes before/after the school art therapy, the paired samples t-test was conducted. Also, ASEA(Art Self-Expression Assessment) was measured in EG in order to examine the changes the art works. ASEA was conducted by selecting works of the 1st and 8th session of school art therapy. This study shows that the art therapy in school gives children a positive and meaningful influence on their emotional expressiveness,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art self-expression. The result of this study proves that the school art therapy as a psychological service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provides a supportive program, which is to prevent and reduce social and emotional problems. 본 연구는 학교미술치료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정서표현과 스트레스 대처행동 및 미술자기표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검증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 N구에 소재한 사립 초등학교의 4학년 학급 아동을 대상으로교장, 담임교사와 논의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2개의 학급이 선정되었다. 실험집단 1개의 학급에는 2017년9월 12일부터 11월 16일까지 주 1회 40분씩 총 8회기에 걸쳐 미술교과 수업시간에 학교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통제집단 1개의 학급에는 동일한 기간 동안 학교미술치료를 실시하지 않았다. 연구의 측정도구로 자기보고식 설문지인 정서표현 척도, 스트레스 대처행동 척도와 미술자기표현 평정척도(ASEA), 빗속사람그림(DAPR)검사를 활용하였다. 연구 방법으로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 학급의 정서표현과 스트레스 대처행동의 평균 점수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으며, 통제집단의 평균 점수는 유의미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실험집단의 미술자기표현 평정척도의 하위요인인 주제표현, 색채, 형태, 화면의 구성, 창의성 영역의 점수가 모두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실험집단의빗속사람그림(DAPR)검사에서는 스트레스, 대처능력 점수는 유의미하게 상승하였고, 자원 점수의 변화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학교미술치료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정서표현과 스트레스 대처행동 및 미술자기표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실제 교육현장에서 학교미술치료가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이 겪는 심리적, 사회적, 행동적 측면의 문제를 조기 발견하고 예방하는 데 효과가 있음을 입증한 것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인지행동이론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알코올 사용 장애 입원환자의 분노표현과 지각된 스트레스 및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이지혜,김선희 한국심리치료학회 2022 한국심리치료학회지 Vol.14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using cognitive behavioral theory on anger control, perceived stress, and problem-solving skills in inpatients with alcohol use disorder. The participants were inpatients at a private psychiatric hospital located in S city, and of these in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alcohol use disorder, 14 were randomly sampled. Then, they were divided into 7 in experimental groups and 7 in control groups. Utilized research criteria were a Korean version of a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Perceived Stress Scale, and a drawing test named a Person Picking an Apple from a Tree(PPAT). In addition,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treatment, a preliminary test was conducted before the treatment and a follow-up test was conducted after the treatment. As a result, first, the sub-category of anger expression in the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anger control item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Second, the perceived stres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Third, among the 14 items of FEATS of the PPAT test, the logic, problem solving, and line quality sections revealed a statistically meaningful improvement. This study shows a possibility that the group art therapy using cognitive behavior theory is effective for anger control improvement, perceived decrease in stress, and changing problem-solving skills for inpatients with alcohol use disorder. In addi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e way that the PPAT test can be effectively used for alcohol use disorder patients. 본 연구는 인지행동이론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알코올 사용 장애 입원환자의 분노표현과 지각된 스트레스 및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S시 사립정신병원의 입원환자 중, 알코올 사용 장애 진단을 받은 14명을 편의표집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 7명씩 나누어 배정하였다. 한국판 상태-특성 분노 표현 척도,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 그리고 나무에서 사과 따는 사람 그림 검사(PPAT)를 사용하였고, 치료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치료 실시 전 사전 검사, 실시 후 사후 검사를 시행하였다. 그 결과, 첫째, 상태-특성 분노 표현 척도에서 분노 표현 하위 요인 중, 분노 통제 항목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둘째, 지각된 스트레스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셋째, PPAT 형식적 척도의 14개 항목 중, 논리성, 문제해결력, 그리고 선의 질 부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본 연구는 인지행동이론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알코올 사용 장애 환자들의 분노 통제력 증가, 지각된 스트레스 감소, 그리고 문제해결력 변화에 효과적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또한 PPAT 그림 검사가 알코올 사용 장애 환자들에게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 KCI등재

        집단미술치료가 정서행동문제를 지닌 학령기아동의 정서 인식 및 표현과 스트레스 대처능력에 미치는 효과

        신명진,권영란 한국미술치료학회 2018 美術治療硏究 Vol.25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effects of a group art therapy on emotional awareness and expression, and stress coping ability on school-aged children with emotional and behavior problem. Methods: A quasi-experimental with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conducted. The participants were 52 children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 on 4 elementary school in G city (Experimental group=23. Control group=29).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and the comparison group received the program after the experiment. Data were collected during June 1st and August 15th, 2015 through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at two times: prior to the intervention and after the intervention. Data were analyzed using χ2-test and t-test. Results: After the intervention, school-aged children with emotional and behavior problem in the experimental group repor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emotional awareness and, and stress coping ability(t=2.052, p=.046),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 group art therapy program for school-aged children with emotional and behavior problem is effective in improving emotional awareness and expression, and stress coping ability. Therefore further study should be done with larger and varied participants to confirm the effects of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for school-aged children. 본 연구의 목적은 집단미술치료가 정서행동문제를 지닌 학령기아동의 정서 인식 및 표현과 스트레스 대처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를 활용한 유사 실험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G시에 위치한 초등학교 4곳에 재학 중인 만 9∼11세(4∼6학년)의 학령기아동이었다. 연구기간은 2015년 6월 1일부터 8월 15일까지로 연구집단에 속한 대상자들을 세 집단으로 나누어 7∼8명의 아동을 구분하여, 각 집단별로 매주 90분으로 총 6회기를 진행하였다. 자료수집은 프로그램 시작 전과 후에 대상자가 직접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통계분석은 연구집단과 비교집단의 사전 동질성 검정과 집단미술치료 이후 정서 인식 및 표현과 스트레스 대처능력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test로 사후검정 하였다. 또한 질적자료분석은 주제내용분석(thematic content analysis) 방법에 따라 회기별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구집단과 비교집단의 정서 인식 및 표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t=2.076, p=.043). 둘째, 연구집단과 비교집단은 스트레스대처능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냈다(t=2.052, p=.046). 셋째, 질적자료 분석 결과 집단구성원들의 스트레스대처능력과 정서 인식 및 표현의 유의한 변화를 관찰할 수 있었다. 향후 학교에서 교사가 정서행동문제를 지닌 아동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진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알코올 사용 장애 진단 군을 위한 집단미술치료에서의 인지행동이론 활용에 대한 이론적 고찰

        이지혜, 김선희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7 심리치료: 다학제적 접근 Vol.17 No.2

        This study tries to look into the utilization of group art therapy using cognitive behavioral theory for a diagnostic category with alcohol use disorder. In order to conduct the study, the researcher observed the current alcohol use disorder situation of inpatients in closed wards and provided group art therapies using cognitive behavioral theory by reflecting the inpatient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anger control and perceived stress. For patients with alcohol use disorder, anger and stress act as mediums that lead to drinking. Since it is known that a cognitive factor is contributing to this process, the researcher approached the study using cognitive behavioral theory for group art therapy.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the following are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First, group art therapy intervention using cognitive behavioral theory helps to empower the ability to emit and control the anger expression of patients with alcohol use disorder in a positive direction. Second, group art therapy intervention using cognitive behavioral theory helps to relax the body and mind of alcohol use disorder patients and to minimize the degree of distortion according to individual's recall ability, thereby positively reducing perceived stress affect. Third, if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and group art therapy are used together with alcohol use disorder patients who believe they can control alcohol themselves, they can realize that their thoughts are different from what they are currently seeing through images that can be viewed as objective perspectives. It is not easy to find studies regarding group art therapy using cognitive behavior theory, which help alcohol use disorder patients, who often show irrational ways of thinking, to reorganize themselves cognitively and to explore themselves with visual languages.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examines group art therapy using cognitive behavioral theory based on advanced research related to the anger expression and perceived stress of alcohol use disorder patients, and also provides the implication of the intervention of group art therapy using cognitive behavioral theory. 본 연구는 알코올 사용 장애 진단 군을 위한 집단미술치료에서의 인지행동이론 활용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알코올 폐쇄 병동에 입원한 환자들의 알코올 사용 장애 현황을 살펴보고 이들의 심리적인 특성 중 분노표현과 지각된 스트레스에 관한 인지행동이론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를 제시하였다. 알코올 사용 장애 환자들에게 분노와 스트레스는 음주로 연결되는 매개의 역할을 한다. 이는 인지적인 요소가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집단미술치료에 인지행동이론을 활용하여 접근하였다. 문헌고찰을 토대로 본 연구의 결론 및 논의 내용을 정리하면 첫째, 인지행동이론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개입이 알코올 사용 장애 환자들의 분노 표현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발산하고 조절 할 수 있는 힘을 기르는 것에 도움이 된다. 둘째, 인지행동이론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개입이 알코올 사용 장애 환자들의 몸과 마음을 이완시켜주고, 개인의 회상 능력에 따른 왜곡의 정도를 최소화 하는데 도움을 주어 지각된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것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셋째, 스스로 술을 조절할 수 있다고 믿는 알코올 사용 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인지행동치료와 집단미술치료를 함께 활용하면 객관적인 시각으로 볼 수 있는 이미지를 통해 자신의 생각과 현재 보여 지는 것이 다르다는 것을 깨달을 수 있다. 비합리적인 사고를 가진 알코올 사용 장애 환자들에게 인지적인 재정립을 시키고 시각적인 언어로 탐색해보는 인지행동이론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의 이론적 고찰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비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알코올 사용 장애의 분노표현과 지각된 스트레스의 선행연구들을 중심으로 인지행동이론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에 대해 살펴보고, 인지행동이론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개입의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에 있어서 의의를 가진다.

      • KCI등재

        아동의 기질, 자녀양육 스트레스와 사회적 유능성의 관계에 대한 어머니 정서 표현 행동의 매개 효과

        권연희(Kwon Yeon-Hee)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0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61

        본 연구는 취학 전 아동의 기질과 자녀양육 스트레스 및 모-자 상호작용 시 어머니의 정서 표현 행동이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에 어떠한 방식으로 관계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 및 경기도 지역의 만 5세 유치반 아동 102명(남아 60명, 여아 42명)과 그들의 어머니 102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아동의 기질 중 부정적 정서성, 자녀양육 스트레스, 모-자 상호작용 시 어머니의 긍정적, 부정적 정서 표현 행동은 각각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과 유의한 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모-자 상호작용 시 어머니의 정서표현 행동은 자녀양육 스트레스와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relations of children's temperament, parenting stress, and mothers' emotional behaviors during mother-child interaction on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it explored the mediating effect of mothers' emotional behaviors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One hundred-two children(42 girls, 60 boys) and their mothers were studied. Results showed that children's negative emotionality was negatively related to their social competence. Parenting stress was negatively related to children's social competence. Mothers' emotional behaviors during mother-child interaction were related to children's social competence. Futhermore, mothers' emotional behaviors mediated the effects of parenting stress on children's social competence.

      • KCI등재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정서표현성, 아동의 내면적 문제행동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송하나 한국인간발달학회 2010 人間發達硏究 Vol.17 No.3

        This study examined mutual relationships between mothers' daily stresses, degrees of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children's in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One hundred and fourteen preschool children (56 boys and 58 girls) between the age of four to six years, and their mot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Mothers and children visited a laboratory, and completed three questionnaires. Data were analyzed using path analyses. Our results indicated that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negative expressiveness directly affected children's in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In particular, mothers' negative expressivenes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children's behavior problems. Conversely, children's in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had a significant impact upon the degrees of parenting stress and negative expressiveness experienced by mothers. These results carry with them certain implications: namely, that mothers' negative expressiveness and parenting stress can be risk factors in relation to the positive emotional interactions between mothers and their children.

      • KCI등재

        의도적인 감정표현이 근무행동에 미치는 영향 : 택배 물류센터 근로자를 중심으로

        박정훈(Park, Jeong-Hun) 한국경호경비학회 2021 시큐리티연구 Vol.- No.66

        폭력, 폭언 근절 의식수준을 정착하기 위해서는 경영자, 감독자, 용역직들의 현장 용역직 동료애가 수반 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악의적 근로자 근절이 요구된다. 해당 현장 및 회사를 파악하여 물류센터 간 정보교류를 통하여 충실도 높은 용역직을 선별하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둘째, 동료애 향상의 인성을 길러야 한다. 기업의 역할도 중요하지만 현장 용역직 근로자 간의 현실 속 동료애가 요구된다. 폭력이 발생되는 행동을 구경삼아 관전하는 근무 중 행동을 지양해야 한다. 또한 의도적 감정표현에 휘말려 발생된 폭력적인 근무행동 발생 이전 억재 효과가 일어날 수 있도록 인성 교육을 스스로 학습해야 할 것 이다. 이 연구를 통하여 고위험군 현장 내 의도적인 감정 표현에 따른 폭력적 근무행동 지양과 기본적인 동료애 필요성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 위하여 소통이 요구되는 후속 연구 및 논의가 지속되어야 한다. In order to establish the level of consciousness to eradicate violence and abusive speech, the fellowship of managers, supervisors, and service workers should be accompanied. The research results deriv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radication of malicious workers is require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ystem for selecting high-fidelity service positions through information exchange between distribution centers by identifying the relevant site and company. Second, we need to cultivate the personality of improving fellowship. The role of the company is also important, but in reality fellowship between workers in the field service is required. You should refrain from working while observing the behavior that causes violenc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self-learn character education so that the deterrence effect before violent work behavior caused by intentional expression of emotion can occur. Through this study, follow-up studies and discussions that require communication should be continued in order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need for basic companionship and avoidance of violent working behavior according to intentional expression of emotions in high-risk groups.

      • KCI등재

        분노 표현방법이 부정적 욕구 행동에 미치는 효과 분석

        이종명 한국비즈니스학회 2023 비즈니스융복합연구 Vol.8 No.6

        On the other hand, if you do not achieve your desired desires, you become stressed, and when you are exposed to this stress, it causes anger, a negative emotion, rather than a positive emotion, which is an emotional emotion. When these feelings of anger accumulate, they cause unwanted negative desires and behaviors due to obsessive thoughts that keep bringing up thoughts or emotions that one does not want to come up. In this study, as a way of expressing anger, a negative emotion caused by stress, negative desire behaviors that can occur in stages of irritation, frustration, anger, and giving up, such as e-commerce search volume, e-commerce sales volume, binge eating, alcohol, and compulsive behavior, were used to express anger, which is a negative emotion caused by stress. We wanted to study how behavior increases through emotional anger expression (irritation, frustration, anger, and giving up). As a result of this paper's research, among the ways to express anger, the influence of e-commerce search volume is in the order of irritation, frustration, and frustration, and the influence of e-commerce sales volume is in the order of irritation, anger, and frustration. Through the analysis results showing that the influence of alcohol increased in the order of frustration and anger, and the influence of obsession increased in the order of anger and frustration, we attempted to provide strategic insight in establishing marketing strateg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