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패키징디자인 스키마현상 실험과 그 활용모델

        김득수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5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3 No.2

        스키마(Schema)는 우리가 경험에 의하여 획득한 지식을 어떻게 일반화하여 사물과 상황을 인지하는데 활용하는가 알아보는 인지심리학의 한 연구 분야이다. 비주얼적으로 브랜드화 된 상품의 식별은 언어 즉 글자에 의지하지 않고 패키지의 시각적 이미지에 크게 의존한다. 브랜드 패키지 이미지의 단순화, 압축화, 일반화된 지식을 우리는 ‘패키징 스키마’라고 부를 수 있다. FMCG(Fast Moving Consumer Goods) 패키지에서 스키마 현상을 찾아보기 위하여, 스키마 차원에서 변환 또는 왜곡 가능한 유명 브랜드들의 가상 패키지 형상을 제작하고 그 표면에 원 브랜드의 그래픽을 올려 소비자의 인지 여부를 실험하였다. 이를 원본 브랜드의 인지율과 대조하여 스키마 현상을 추론 하였는데. 실험은 인지심리학에서 사용하는 이미지 순간노출 인지실험 도구인 Tachistoscope(T-scope) 기법을 컴퓨터에서 재현하여 실험하였다. 실험결과에 나타난 특기할만한 사실들로서는, 파우치 형태의 프링글스는 한 번도 시중에 나온 적이 없는 포장형태임에도 불구하고 프링글스로 인지되어서 스낵과 파우치 패키징 간의 강한 스키마 현상을 발견하였다. 반면에, 밀크팩 모양의 프링글스에서는 강한 반(反) 스키마 현상을 보였다. 삼각바 형태의 토블러론 쵸콜릿을 사각바 형태로 바꿔 제시한 실험물에서도 상당한 인식율을 보여 삼각, 사각과는 또 다른 형태 차원인 바(Bar)라고 하는 길이 효과가 브랜드 인지를 돕는 강한 스키마 현상으로 나타났다. 이 밖의 추가적인 실험결과에 나타난 FMCG 스키마 현상을 토대로 ‘쇼핑환경 패키징스키마 연합모델’, ‘스키마에 의한 감각메모리 선택 모델’ 그리고 ’패키징스키마 필터박스 모델‘ 등 디자인 리뉴얼, 리디자인 그리고 신제품 디자인 시 참고할 수 있는 모델들을 결론으로 제시했다. Schema is a tip of cognitive psychology that deals with how humans generalise information from experience and use it to recognise objects and situations. Through the package';s symbolic characteristics, leading the consumers to quickly scan the product will become an effective marketing and branding strategy. We visually distinguish packaged products largely depending on how it is packaged rather than through language, or words. At this time, the knowledge of the simplified, compressed and generalised package image within the consumer is packaging schema. Original FMCG(Fast Moving Consumer Goods) package design images are changed in the schema level and compared them with the original in an experiment. Through the experiment the schema effect is deduced from cognition ratio. This experiment was done using the T-scope experiment which is scientific instrument used by psychologistst that presents visual stimuli for brief exposures. As for a notable experiment results, Pringles pouch, despite never been released as a packaging type, was recognised as Pringles and showed strong schema effect which means chips are packaged in a pouch. However, milk pack shaped Pringles showed strong anti-schema effect. As for triangular prism shaped Toblerone, significant recognition rate was shown for rectangular prism shape; it appears that additional dimension of bar, the length effect, showed strong influence as a schema. Based on other additional FMCG products' schema effects, suggested 'Shopping Environment Packaging Schema Association Model', 'Sensory Memory Selection Model Following Schema', and 'Packaging Schema Filter Box Model’ It is expected that such models would contribute designers to consider when they do redesign, design renewal and new package design.

      • KCI등재

        스키머 이론에 따른 중학생의 지리학습에 대한 설명

        서태열(Seo Tae Yeol)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1 사회과교육 Vol.50 No.4

        이 연구는 인지심리학에 기반한 스키마 이론을 이용하여 학생들의 지리학습을 설명하고자 하며, 실제로 이러한 스키마가 지역학습에 투입되었을 때 어떤 결과가 나타나는 지를 파악하고자하였다. 중학생의 지역학습에 스키마 이론을 도입하여 학습내용에 어떤 스키마를 넣느냐에 따라서 실제 학습에서 어떤 결과가 일어나는 지를 살펴보고자, 내용 스키마와 구조 스키마를 학습한 지역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는 정보에 삽입하여 학생들의 학습반응을 살펴보았다. 학생들의 스키마를 이용한 지역학습의 실험 결과를 보면, 스키마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보다 스키마를 사용한 경우가 학습이 더 높은 성과를 보이며, 특히 내용 스키마와 구조 스키마를 모두 사용하는 것이 성과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학생들의 지리영역에서의 지역학습의 내용들이 스키마와 같은 장치들을 통하여 보다 더 구조화되고, 학생들의 실제 생활에 보다 더 호소할 수 있는 내용요소들이 포함되어야 한다는 것을 뜻하는 것이다. 그리고 보다 풍부하게 배경지식 즉 사전지식을 주면 학생들의 지역학습은 더욱 활성화된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student’s learning process of geographical “region” based on schema theory and, how student response to the schema input in the case of Korean middle school. Author tried to find out what result come out when two kinds of schema, structure schema and content schema, were got into learning contents of a region “singapore” in four way such as non schema-based, structure schema-based, content schema-based, and structure/content schema-based. The result was that the achievement score was the highest in the case that structure/content schema was used, and that the lowest in the case that non schema was used. This means that to achieve higher scores or accelerate learning in text of region, contents should be more organized using schema based on everyday life, and more affluent background knowledge or prior knowledge should be provided to activate schema.

      • KCI등재

        XML 문서에 자동 전파하는 XML 스키마 변경 접근법

        나영국,Ra, Young-Gook 한국정보처리학회 2006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Vol.13 No.5

        XML은 자기 기술적인 특징이 있기 때문에 구조를 한정하기 위해서 DTD 또는 XML 스키마를 사용한다. XML 스키마가 아직 권고안에 불과하지만 DTD는 XML 언어가 아니고 표현에도 한계가 있기 때문에 XML 스키마의 사용이 보편화 될 것이다. XML 문서의 구조와 데이터는 XML 스키마의 잘못된 디자인, 어플리케이션의 새로운 요구 등의 여러 복합적인 이유로 변할 수가 있다. 이에 우리는 XML 스키마 진화(schema evolution)을 분석하여 w;ls화의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최소한의 연산자들을 제안한다. 이러한 스키마 진화 연산자들은 XML스키마에 순응하는 XML 문서의 수가 많을 경우, XSE가 없다면 불가능한 XML 스키마와 XML 문서의 수정을 가능하게 한다. 더욱이 연산자들은 자동적으로 XML 스키마에 등록되어 있는 모든 XML 문서의 수정위치를 찾아주고 수정 후에도 XML 문서를 well-form 상태가 아닌 valid 상태를 유지시키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이 논문은 XML 스키마를 체계적으로 수정하는 첫 번째 시도이며 XML의 수정에 필요한 대부분의 연산을 제공한다. 이 논문의 연구는 XML 문서의 구조뿐만 아니라 데이터까지 쉽고 정확하게 수정하는 것을 도와주기 때문에 XML 어플리케이션의 개발과 유지를 위해 꼭 필요한 작업이다. XML has the characteristics of self-describing and uses DTD or XML schema in order to constraint its structure. Even though the XML schema is only at the stage of recommendation yet, it will be prevalently used because DTD is not itself XML and has the limitation on the expression power. The structure defined by the XML schema as well as the data of the XML documents can vary due to complex reasons. Those reasons are errors in the XML schema design, new requirements due to new applications, etc. Thus, we propose XML schema evolution operators that are extracted from the analysis of the XML schema updates. These schema evolution operators enable the XML schema updates that would have been impossible without supporting tools if there are a large number of XML documents complying the U schema. In addition, these operators includes the function of automatically finding the update place in the XML documents which are registered to the XSE system, and maintaining the XML documents valid to the XML schema rather than merely well-formed. This paper is the first attempt to update XML schemas of the XML documents and provides the comprehensive set of schema updating operations. Our work is necessary for the XML application development and maintenance in that it helps to update the structure of the XML documents as well as the data in the easy and precise manner.

      • 인라이닝을 이용한 XML 스키마의 관계형 스키마 변환 기법

        정지문,조정길 남서울대학교 공학연구센터 2003 공학연구 Vol.4 No.-

        데이터 중심의 XML 문서를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관리할 경우에 XML 스키마로부터 관계형 스키마를 추출하는 것이 보다 시급한 일이다. 또한 생성된 테이블에 XML 문서를 분할하여 저장할 경우에 많은 널 값을 초래하거나 조인 비용의 증가를 가져오기 때문에 이에 대한 해결책이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 제안한 관계형 스키마 생성의 구체적인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XML 스키마로부터 관계형 스키마를 생성하는 Schema Hybrid Inlining 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기법은 XML 스키마 그래프를 바탕으로 관계형 스키마를 생성하게 되는데, 기존의 Inlining 방식을 확장하여 출현 지시자와 진입 차수에서의 테이블 생성 방법을 휴리스틱하게 매뉴얼 처리를 하며, 유도 관계에서 최종 노드인 조상 노드는 새로운 테이블을 생성한다. When any data-centric XML documents are stored and managed in RDBMS, schema extracting from XML Schema is an imminent problem. Furthermore, when they are stored in partitioned way on created table, there will be produced lots of null values and/or be increased cost for join, so we need a solution to solve these problem. This thesis proposes a Schema Hybrid Inlining technique to generate relational schema. The suggested technique creates a relational schema based on the XML Schema graph. Also, the technique expands the legacy Inlining method to manual and heuristical processes table generation method of appearance indicator and in-degree, and an ancestor node, terminal node, createds a new table on derived relation in this technique.

      • KCI등재

        비분배적 계층구조 스키마의 분배적 계층구조 스키마로의 변환

        오미화(Mi-Hwa Oh),최인수(In-Soo Choi)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1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6 No.11

        현 OLAP 체제에서는 모든 계층구조 스키마가 분배적으로 되는 경우에만 제대로 구현되며, 실세계에서 생길 수 있는 여러 비분배적 계층구조 스키마의 경우는 구현 불가능하다. 이전 연구에서는 집성에 있어서 현실적으로 발생 할 수 있는 모든 계층구조 스키마를 하나의 분배적 계층구조와 일곱 개의 비분배적 계층구조 스키마로 분류한 바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일곱 개의 비분배적 계층구조 스키마를 분배적 계층구조 스키마로 변환시키는 기법을 제안하고 있다. 우선적으로 복잡한 비분배적 계층구조 스키마를 더 단순한 계층구조 스키마로 분할시킨 다음, 이를 분배적 계층구조 스키마로 변환시키는 것이 이 기법의 특징이다. 따라서 이 기법은실세계에서 일어날 수 있는복잡한 계층구조 스키마를 현 OLAP 체제에서 구현 가능하게끔 해준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구현의 관점과 스키마 설계의 관점에서 볼 때에 유용한 방법이 되리라 생각한다. Online analytical processing (OLAP) architecture performs only well on the facts that are summarizable along each dimension, where all hierarchy schemas are distributive, and consequently many kinds of non-distributive hierarchy schemas arising in real-world situations are not addressed by current OLAP implementations. In previous work, we presented the classification of hierarchy schemas in aggregation, including one distributive and seven non-distributive hierarchy schemas. This paper presents a transforming approach of seven non-distributive hierarchy schemas into the distributive hierarchy schema. The first thing in the approach is cutting complex non-distributive hierarchy schemas into more simpler ones, and the next is the transformation of those simpler ones into the distributive hierarchy schema. This approach will let complex hierarchy schemas arising in real world situations be addressed by current OLAP implementations. It is thought that this approach will be useful one from an implementation and schema design point of view.

      • KCI등재

        행정기관의 이미지 평가와 관리 전략

        김정헌(Kim, Jeong Heon) 한국지방정부학회 2013 지방정부연구 Vol.17 No.2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empirically the relationships variables between field schema and total organization schema (image) and management in Daegu Metropolitan City office. If develops the creativity to be local with an ultimate aim of an local administrative image, and leaves the quality of life of a local resident in order to improve, a basic direction must become development to save the maximum with a result characteristic of local idenity and image. This paper uses schema analyis, which an local community has will, and to attemrt approach in a image and local identity evalution. The analysis resualt in wade out schema typology that established schema of Daegu Metropolitan City office is pale, tale the place of new image (schema) is not clearey radiate. Especially, the task of administration agency(Daegu Metropolitan City office) schema up is underground. First of all is important of person or behavior schema of total administration agency schema up. Therefore, The task which necessary, and the design was offered to establishment adiviation of linkage system, innvation of administration organization and machineary, reform of civil servant culture, and reform of civil servant training institution, So, That is necessary and activation but two way or proactive PR, or MPR. 대구시청 의 스키마(이미지) 인식 실태는 전체적으로 추정 할 수 있는 것 보다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아직까지 대구시(청)의 새로운 스키마(이미지) 정보 능력에 대한 인지가 뚜렷하게 나타나지 못하고 있다. 즉 섬유산업을 토대로한 패션산업 도시로서의 스키마(이미지), 녹색도시 내지 그린시티(green city)로서의 스키마, IT 첨단지식ㆍ산업도시, 의료산업 중심도시로서의 스키마 탈바꿈 노력 등에 있어 분석결과 아직 긍정적이지 못한 것으로 판단된다. 여기에 대구시청은 전체적으로 기존 스키마(이미지)가 점차 희미해져가는 대신 새로운 스키마에 대한 노력이 뚜렷이 발산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대구시청이라는 행정기관은 스키마 자체가 선명하지 못하고 희미해져가는 웨이드 아웃(wade out) 유형에 가까운 것으로 보여진다. 그러므로 분석된 결과를 바탕으로 대구시청은 조직전체 스키마의 제고를 위해 노력해야 할 과제와 관리 전략은 아래와 같이 모색되었다. 첫째, 무엇보다 아직까지 대구시(청)는 지역 Identity의 확립을 위한 구체적인 노력이 없다는 점이다. 다른 경쟁관계에 있는 다른 지방자치단체의 행정기관들은 CI 전략을 훨씬 먼저 도입하여 그 실천에 노력하고 있지만, 대구시(청)는 조직전체 스키마 제고를 위한 기초 조사로서의 자기탐색ㆍ평가 작업이 없었으므로 이에 대한 작업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과제로 보여진다. 즉 대구시청의 조직전체 스키마(이미지) 제고를 위한 기초조사와 평가ㆍ종합적인 체계화 작업이 무엇보다 중요한 과제로 보여진다. 둘째, 대구시청은 분석결과 조직전체 스키마의 고양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대구시 소속 공무원들의 행태 스키마(이미지)의 변화 모색이 또한 주요한 과제로 판단된다. 즉 대구시청의 이미지 변화를 위한 공무원들의 자기변혁에 참여하도록 하는 방법의 설계가 모색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여기에는 대구시청과 관련된 조직기구 및 시설간의 조화와 발전 모색을 위한 연계 시스템의 구축과 교류 활성화, 행정기구 혁신, 공무원 문화 개혁 그리고 공무원 전문 교육기관 개혁과 활성화 등의 과제가 포함되어야 할 것으로 보여진다. 셋째, 대구시청은 새로운 스키마(이미지) 정보 및 긍정적 이미지를 지역 공중들에게 지속적으로 발신하는 과거의 일방적, 사후적(one-way, post-active publicity), 홍보위주가 아닌 새로운 차원의 사전 예방적 PR(pro-active PR), 마케팅 PR(MPR) 등의 노력, 그리고 CI 전략 및 진정한 PR 부서의 설립과 그 시스템 구축이 또한 필요한 관리 과제로 제기된다.

      • KCI등재

        건축적 스키마의 의미와 특성에 관한 연구

        오신욱,조용수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08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0 No.4

        In general, there is a heterogeneity and distance between an architecture concept and design outputs by two original differences of language and image. The distance is not narrowed. Also, when architects explain a form or image of the work through their architectural thought, they explain the form and image of the work only with the linguistic tool of ‘Concept’. However, architects do not make a creative thinking only with the concept, but progress with many images related to the shape. The shape and image are exposed through the ‘Architectural-schema’ of architects. In this study, the meaning of schema was re-interpreted through the schema theory of Kant, Bergson and Gombrich, and the schema applied to the artistic creation process. Also, Architectural-schema to be used for the architecture, one part of the art was defined and the meaning of it was analyzed in the architectural design process. Moreover, the role and characteristics of Architectural-schema which was distinguished from the schema of general recognition process was explained in the design creation process of architecture. Architectural-schema became one clue of explaining various forms and image origin in the architecture, and will be helpful in understanding the architectural thinking of architects who make various forms and image's structural origin and its image of architecture.

      • KCI등재

        강박장애 환자의 부적응적 스키마 특성

        이상원,원승희,이승재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10 인지행동치료 Vol.10 No.2

        본 연구에서는 치료 방법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도 치료가 쉽지 않으며 다수에서 인격장애를 동반하는 강박장애에 있어 스키마치료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고 강박장애 환자의 부적응적 스키마에 대해서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일 대학병원에서 강박장애를 진단 받고 외래 통원 치료 중인 만 18세에서 42세의 환자 38명이며, 정상대조군은 만 22세에서 36세의 대학원생 79명이었다. 스키마를 평가하는데 대표적인 도구인 단축형 Young 도식 질문지(Young Schema Questionnaire-Short Form 3; YSQ-SF3)를 통해 부적응적 스키마에 대해서 파악하였고, 임상적 증상의 평가를 위해 예일-브라운 강박척도(Yale-Brown Obsessive Compulsive Scale; Y-BOCS), 백 우울척도(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Maudsley 강박행동질문지(Maudsley Obsessional-Compulsive Inventory; MOCI)를 사용하였다. 나이, 교육정도 및 우울증 점수를 보정하고 비교한 결과, 강박장애 환자군이 정상대조군에 비해 결함/수치심, 위험/질병에 대한 취약성, 부정성/비관주의의 스키마 점수가 높았다. 또한 일부 스키마 점수는 강박증상과 우울증의 심각도, 그리고 강박증상의 종류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결함/수치심, 위험/질병에 대한 취약성, 부정성/비관주의의 스키마가 강박장애 환자에서 두드러진 부적응적 스키마일 수 있으며, 이런 영역에 초점을 맞춘 스키마치료의 적용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Despite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pharmacological and cognitive behavioral therapies, obsessive- compulsive disorder(OCD) that often combines with deeper underlying pathologies such as personalty problems and dysfunctional schema, is still difficult to treat. On the assumption that the schema therapy would provide additional modality to help patients with OCD, we explored maladaptive schemas in patients with OCD in this study. Thirty eight patients with OCD aged from 18 to 42 years and 79 normal control subjects aged from 22 to 36 yea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Young Schema Questionnaire-Short form 3(YSQ-SF3) was used to evaluate maladaptive schemas and the Yale-Brown Obsessive Compulsive Scale(Y-BOCS),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Maudsley Obsessional-Compulsive Inventory(MOCI) were also used for clinical symptoms. OCD patients showed higher schema scores in Defectiveness/Shame, Vulnerability to Harm or illness, Negativity/Pessimism than normal controls when age, education and depression were controlled. Several schema scores correlated with the severity of depression and obsession as well as symptom dimensions of OCD. These results suggest that Defectiveness/Shame, Vulnerability to Harm or illness, and Negativity/Pessimism may be pronounced maladaptive schemas and strategies dealing with these schemas needs to be incorporated in the schema focused therapy for patients with OCD.

      • KCI등재

        베이비 스키마 조형 요소와 비경계(非警戒) 특성의 관계 연구

        황정석,조택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5

        (연구 배경 및 목적) '귀여움'에 대한 체계적 이해는 대부분 베이비 스키마 연구에서 출발하며, 이는 양육이라는 중요한 과제를 수행하기 위한 목적으로 비경계(非警戒) 하도록 작동하고 선호된다. 베이비 스키마는 행동학과 신경학 등 과학적 연구를 통해 기본 원리와 보편적인 호감 체계를 구조화해 이해할 수 있게 되었고, 디자인 연구에서도 감성을 바탕으로 다양한 응용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조형 생산자들은 이러한 귀여움의 본질을 디자인에 적용함으로써 선호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베이비 스키마의 조형 요소를 정량화하고, 비경계 특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관계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범위 및 방법) 베이비 스키마의 행동학적 이론을 미의식과 조형 요소로 해석한 선행연구에 기반한 본 연구는 조형 요소의 조건에 맞는 베이비 스키마 선호를 정량화하고, 본 연구에서 정의된 비경계 특성으로 조형 요소와 관계를 들여다보는 것을 그 범위로 한다. 연구의 방법으로 조형 요소의 선호를 5점 척도로 빈도 측정하고, 각각 요소들이 베이비 스키마의 비경계 특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가설을 검증하였다. 베이비 스키마의 조형 요소로는 곡선, 곡면, 대칭, 비례, 반투명, 부드러움, 빛의 계조, 색의 계조 등을 설정하였으며, 이를 변수로 비경계 특성에 대한 영향을 다중 선형 회귀 분석으로 도출하였다. (결과) 본 연구를 통해 베이비 스키마의 조형 요소들이 비경계 특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곡선, 비례, 컬러 등의 요소가 비경계 특성에 대한 강력한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칭, 반투명, 부드러움, 빛 등의 요소는 본 연구에서 기대한 만큼의 영향력을 보이지 못하였다. 이는 연구 대상의 특성인 디자인 요소와 비경계 특성 간의 복잡한 상호작용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해석된다. (결론) 본 연구는 베이비 스키마의 조형 요소가 비경계 특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관계 연구로, 선행 행동학적 연구의 미의식 해석에 초점을 맞추던 베이비 스키마 디자인 연구에 대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고, 이를 통한 학문 및 실무적 인사이트를 기대한다. 그러나, 조형 요소와 특성에 대한 선형 관계 분석에 집중하였기 때문에, 여타 조형원리나 베이비 스키마의 다른 특성 요인에 대한 확장성에 한계점이 있다. 향후 더 다양한 방법의 분석을 통한 베이비 스키마의 다각적인 디자인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서울시 자치구의 이미지 비교 분석 : 금천구청과 중구청 사례를 중심으로

        주경일 ( Joo Kyung-il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8 地方行政硏究 Vol.32 No.4

        본 연구는 서울시 금천구청과 중구청을 대상으로 지역주민의 자치구에 대한 이미지 분석을 실시하되 스키마 개념을 차용하여 두 자치구의 하위 구성 이미지들을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치구 간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금천구청은 중구청에 비해 조직의 전체 이미지가 주민들에게 긍정적으로 인식되었고 하위 스키마도 사건스키마를 제외한 인물, 대상, 역할, 자기스키마에서 우위를 보였다. 반면, 중구청은 사건스키마가 긍정적으로 형성되었으나 인물, 대상 스키마 등이 부정적으로 인식되어 구청의 전체 이미지도 보통 이하 평가를 받았다. 둘째, 연령 등 인구사회학적 요인에 따라서 각 자치구의 하위 스키마 및 전체 이미지가 차이를 보였는바 특히 중구는 이러한 차이가 더욱 뚜렷하여 행정PR의 환경 탐색적 측면에서 스키마 개선을 위한 목표 공중을 설정할 때 보다 세심한 맞춤형 전략이 요구된다. 셋째, 인물, 대상, 역할스키마가 두 자치구의 전체 이미지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가운데 금천구는 인물스키마가 중구는 대상스키마가 자치구의 전체 이미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이에 따라 첫째, 금천구청은 관내 사건사고를 전담하는 새로운 부서의 신설과 이에 대한 단체장의 지원이 요구된다. 둘째, 중구청은 구정 슬로건과 목표의 재정립 및 이에 대한 홍보를 통해 주민들의 대상스키마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셋째, 20대 젊은 층과 저소득 층 등 목표 핵심 고객에 대해서는 직접적 대민접촉을 통한 구정 홍보와 행정서비스 제공 등 보다 적극적인 행정PR 전략의 수립이 요구된다.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Geumcheon-gu Office and Jung-gu Office in Seoul to analyze the local residents’ image on the borough. This study applied the concept of schema to identify the subcomponent images of the two boroughs and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borough. The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residents had more positive image on Geumcheon-gu than Jung-gu. In regard to sub-schema, Geumcheon-gu was dominant over Jung-gu in person, object, role, and self-schema excluding event schema. Although Jung-gu office had positive event schema, people had negative image in person and object schema and overall image was rated below average. Secondly, sub-schema and overall image were different based on social demographic factors such as age. As Jung-gu especially showed clear differences in sub-schema and overall image, careful and customized strategy is required in setting the goal for improving each schema in the environment investigative aspect of administrative promotion. Third, the person, object, and role schema had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the overall images of the two boroughs. The person schema had the biggest influence on the overall image of Geumcheon-gu and object schema had the biggest influence on the overall image of Jung-gu. In response, Geumcheon-gu office should establish new department in charge of events and support related organization. On contrary, Jung-gu office should re-establish slogan and goal while improving object schema through promotion. In addition, for core targets such as youth in 20s and low-income group,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ctive administrative strategy such direct contact with resident for promoting borough and providing administrative serv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