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외계층 영재의 지능과 자아존중감, 수학적 태도 및 과학적 태도의 관계

        송경애 韓國英才學會 2014 영재교육연구 Vol.24 No.6

        본 연구는 소외계층 영재의 인지적 특성인 지능과 정의적 특성인 자아존중감, 수학적 태도 그리고 과학적 태도 등이 어떠한가, 그리고 이들 변인간의 관계가 어떠한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써 대학 영재교육원에 다니는 소외계층의 초등 저학년 147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 결과 소외계층 영재의 지능은 백분위 85점 수준, 자아존중감 75.6%, 수학적 태도 73.3%, 과학적 태도 71.3% 등의 수준으로 자아존중감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편 지능의 수준별 자아존중감, 수학적 태도 및 과학적 태도의 차이는 없었으며, 지능과 자아존중감과 수학적·과학적 태도간의 관계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자아존중감과 수학적 태도(r=.448, p=.000), 과학적 태도(r=.522, p=.000)그리고 수학적 태도와 과학적 태도(r=.458, p=.000) 간에는 상당히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 같은 결과는 소외계층의 영재아들이 일반 영재아들보다는 낮으나 잠재적인 영재성은 상당히 높고, 정의적인 요인들 간 관계가 높아 이를 계발할 수 있는 교육적 환경의 제공이 일반아들 보다 더욱 필요함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measure intelligence (cognitive characteristics), self-esteem, mathematical attitudes, and scientific attitudes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gifted students from low-income families,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these variables. 147 students in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s who were enrolled to university-based gifted education centers were participants of the stud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ercentile scores of each variable were 85% for intelligence, 75.6% for self-esteem, 73.3% for mathematical attitudes, and 71.3% for mathematical attitude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intelligence and the affective characteristics (i.e., self-esteem, mathematical attitudes, and scientific attitudes), whil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were shown between self-esteem and mathematical attitudes (r=.448, p=.000), between self-esteem and scientific attitudes (r=.522, p=.000), and between mathematical attitudes and scientific attitudes (r=.448, p=.000). The results suggest that although the gifted students from low-income families show lower levels compared to other gifted student groups, their potential level of giftedness is considerably high, which calls for appropriate educational support systems designed for this population.

      • KCI등재

        유아기 어머니의 수학적 상호작용에 대한 수학적 태도 및 수학학습관점의 영향*

        이은지(Lee, Eunji),김지현(Kim, Jihyun) 한국인간발달학회 2018 人間發達硏究 Vol.25 No.2

        이 연구는 유아기 어머니의 수학적 태도와 수학학습관점이 수학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상대 적 영향력이 어떠한지, 어머니의 수학적 태도와 수학적 상호작용 간의 관계를 수학학습관점 이 매개하는지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만 3, 4, 5세 자 녀를 둔 어머니 333명을 대상으로 질문지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편상관분석, 단계 적 중다회귀분석, Baron과 Kenny(1986)의 회귀분석을 활용한 매개효과검증 및 매개효과 유의 성 검증을 위한 Sobel test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어머니의 수학적 상호작용은 수학적 태 도, 수학학습관점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학적 상호작용에 대 해 수학적 태도와 수학학습관점을 동시에 고려할 시 수학학습관점만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 로 나타났는데, 이는 수학적 태도가 수학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수학학습관점이 완 전매개 효과를 갖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어머니의 수학적 상호작용과 관련한 변인들을 동 시에 파악함으로써, 가정에서 유아의 수학적 능력 발달을 도모하는 구체적인 지원방법에 대 한 이해를 돕는 부모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로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verify how about the relative influence of early childhood mother s mathematical attitude and view about mathematics learning on their mathematical interaction, and whether their view about mathematics learning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mathematical attitude and mathematical interaction.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333 mothers of 3, 4, and 5-year-old children attending childcare centers. We used partial correlation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o test the mediating effect(Baron & Kenny, 1986), and we used the Sobel test to check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The results showed that mother s mathematical interac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ir view about mathematics learning and mathematical attitude. Mothers view about mathematics learning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mathematical interaction, but mathematical attitudes had no influence. It is because mothers view about mathematics learning completely mediated the effect of mathematical attitude on mathematical interaction. It is meaningful to identify simultaneously the variables related to mothers mathematical interaction and provide basic idea about the development of a parent education program to help students understand specific support methods for developing mathematical ability of young children at home.

      • 프로젝트형 문제 해결 과정에서 보이는 수학적 의사소통 활동과 수학적 태도 분석

        최혜령,백석윤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06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10 No.1

        지금까지 수학적 의사소통과 수학적 태도에 관한 선행연구는 주로 쓰기 활동을 통한 자료 수집을 통해 많이 이루어져 왔다. 또한 프로젝트 활동이나 소집단 토의 활동에 대한 연구는 여러 차례 있었으나, 이를 수학적 의사소통 영역과 수학적 태도면에서 연관시켜 분석한 선행연구는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을 소집단으로 구성하여 프로젝트형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촬영하여 살펴본 후, 그 속에서 수학적 의사소통은 어떻게 전개되고 있으며, 수학적 태도의 측면에서는 어떤 현상이 관찰되는지 알아보고 그 시사점을 추출해 보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This study was proposed to analyze mathematical communication activity and mathematical attitudes while students were solving project problem and to consider how the conclusions effects mathematics education. This study analyzed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e questions for this study are following. First, how does the process of the mathematical communication activity proceed during solving project problem in a small group? Second, what reactions can be shown on mathematical attitudes during solving project problem in a small group? Four project problems sampled from pilot study in order to examine these questions were applied on two small groups consisting of four 5th grade students It was recorded while each group was finding out the solution of the given problems. Afterward, consequenc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each question after all contents were noted. Consequently, conclusions can be derived as follows. First, it was shown that each student used different elements of contents in mathematical communication activity. Second, during mathematical communication activity, most students preferred common languages to mathematical ones. Third, it was found that each student has their own mathematical attitude. Fourth, Students were more interested in the game project problem and the practical using project problem than others.

      • KCI등재

        삼각배열 문제해결과 관련된 초등영재의 수학적 사고와 태도

        임영빈,홍진곤 대한수학교육학회 2015 학교수학 Vol.17 No.3

        This study attempts to analyse mathematical thinking and attitude of students related to mathematization in the problem solving process and provide implication of teachers’ roles. For this, this study analyses mathematical thinking and attitude by dividing the process of solving problems of triangular array into several steps. And it makes a proposal for teachers questioning which can help students according to steps. Therefore this study results students’ mathematization needs various steps and compositive mathematical thinking and attitude when students solve even a problem. From the point of view of teachers who attempt to wean students on mathematization, it is necessary for teachers to observe and analyze how students have mathematical thinking and take a stand for mathematics in detail. It also indicates that it is desirable for students who can not move on next step to provide opportunities to learn on their own rather than simply providing students mathematical thinking directly. Students can derive pleasure from the process of solving difficult problems through this opportunity and realize usefulness of mathematics. Finally this experience can build mathematical attitude and prepare the ground to be able to think mathematically. 본 연구는 수학적 문제해결과 관련한 수학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학생들의 수학적 사고 및 태도를 분석하고 이러한 사고 및 태도를 유발시키는 교사의 역할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삼각배열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여러 단계로 나누어 수학적 사고 및 태도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단계별로 학생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교사의 발문을 제안했다. 그 결과 하나의 문제를 해결함에 있어서도 학생들이 경험하는 수학화는 다양한 단계와 복합적인 수학적 사고 및 태도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수업을 통해 수학화를 경험시키고자 하는 교사의 입장에서는 학생들이 어떤 수학적 사고를 하고 있으며 어떠한 수학적 태도를 취하고 있는지 자세히 관찰하고 분석할 필요가 있다. 다음 단계로 이행이 되지 않는 학생에게는 직접적으로 필요한 수학적 사고를 제시해주기보다 발문을 통해 학생 스스로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스로 생각하는 경험을 통해 학생들은 문제해결의 희열을 느끼고 수학의 유용성을 깨달을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경험이 학생들의 수학적 태도를 형성시켜 수학적으로 사고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줄 것이다.

      • KCI등재

        초등 수학교육의 능력기반 교수학습 환경 효과 분석

        이현경 ( Hyunkyung Lee ),김지은 ( Jeeeun Kim ),이명근 ( Myunggeun Lee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20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6 No.1

        이 연구는 초등학교 수학교육에서 능력기반 교수학습 환경이 학습자의 수학적 사고력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먼저 초등 수학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기반 교수학습 모형을 설계하고, 학습관리시스템을 활용한 능력기반 교수학습 환경(a competency-based learning environment)을 구축하였다. 그리고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경기도 소재 초등학교 6학년 학급 중 사전 동질성이 확보된 두 집단을 선정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집단 간 수학적 사고력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수학적 사고력의 하위영역인 추론 영역과 문제해결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집단 간 수학적 태도에서도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수학적 태도의 하위영역인 수학학습에 대한 자아개념, 태도, 학습습관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상에서 볼 때, 초등수학교육의 능력기반 교수학습 환경은 학습자의 수학적 사고력과 수학적 태도 향상에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초등 수학교육 현장에서는 학습자가 학습 내용을 다양한 형태의 자료로 학습하고 수학적 사고력과 수학적 태도를 향상할 수 있는 교수학습 기제를 제공하여 실질적인 수학적 능력을 형성할 수 있는 교수학습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후속 연구와 관련하여서는 다양한 학습내용과 대상을 위한 능력기반 교수학습 환경의 구체적인 학습 자료의 개발과 이를 토대로 한 다각적인 연구가 요청된다.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a competency-based learning environment for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instruction in terms of improving mathematical thinking abilities and attitudes toward elementary mathematics. First, the study analyzed the problems of the education field through analysis of the 2015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and identified the causes thereof. As a solution, the study proposed a model of learner-centered learning environment. Second, the competency-based learning environment that can be applied to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instruction by using inductive reasoning and learning management system was designed. Third, the study selected two homogeneous groups at the outset out of the 6th grade classes at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Gyeonggido and experimented with them. As a result, firs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on the mathematical thinking ability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that utilized the competency-based learning environment and the control group that did not. The difference, in particular, was in the area of reasoning area and problem-solving area. Seco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athematical attitudes between the groups. The difference thereof was in all the areas of the self-concept, attitude, and learning habits in mathematics learning. Based on the results, competency-based learning environments for mathematics instruction in elementary schools can be said to have some effects on improving learners’ mathematical thinking abilities and attitudes.

      • KCI등재

        수학적 과정 중심 교수학습법을 통한 만 5세 유아의 수학적 사고 변화 탐구

        정가윤,김은영 韓國英才學會 2015 영재교육연구 Vol.2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uild an instruction method focused on the mathematical process and apply it to 12, 5-year-olds from Kindergarten located in Seoul with a view to explore the changes in their mathematical thinking. In addition, surveys with parents and teachers, as well as those conducted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current situation. The effects focused on the five mathematical processes, namely problem solving, reasoning and proof, connecting, representing and communication was found to help the interactions between teacher-child and child-child stimulate the mathematical thinking of the children and induce changes. The mathematical process-focused instruction aimed to advance mathematical thinking internalized mathematical knowledge, presented an integrated problematic situation, and empathized the mathematical process, which enabled the children to solve the problem by working together with peers. As such, the mathematical thinking of the children was integrated and developed within the process of a positive change in the mathematical attitude in which mathematical knowledge is internalized through mathematical process. 본 연구에서는 유아들을 대상으로 수학적 과정 중심 교수학습법을 통한 수학적 사고 변화에 대하여 관찰하고 그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설문조사와 현장 관찰을 통한 상황분석을 실시하여 구성한 수학적 과정 중심 교수학습법을 서울에 위치한 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5세, 12명을 대상으로 적용하여 질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문제해결하기, 추론과 증명하 기, 연계하기, 표상하기, 의사소통하기의 다섯 가지 수학적 과정이 교사-유아, 유아-유아의 상 호작용을 통해 구체화되어 유아의 수학적 사고를 자극하고 변화를 창출하였다. 또한 수학적 지식이 내재되고 통합된 문제 상황을 교사가 제시하고 수학적 과정에 중점을 두어 유아들이 또래와 협력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면서 수학적 과정과 수학적 태도에 변화가 일어났다. 즉 유 아의 수학적 사고는 수학적 지식이 내재된 수학적 과정을 통해 수학적 태도의 긍정적인 변화 과정 안에서 통합되어 증진되었다.

      • KCI등재

        수학적 표상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문병환(Byeong Hwan Mun),고경미(Kyung Mee Koh),정효은(Hyo Eun Jeo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5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0 No.2

        본 연구는 수학적 표상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J도에 위치한 만5세반 40명을 연구대상으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집단에는 수학적 표상활동을 비교집단에는 일반적인 수학 활동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유아의 창의성 및 수학적 태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전경원(2000)의 창의성 검사와 황해익, 유수경, 김태연(2007)의 수학적 태도 검사를 수정 보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수학적 표상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상력을 제외한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의 하위영역 모두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학적 표상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끈기를 제외한 호기심, 적극성, 개방성, 객관성의 하위 영역 모두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the effects of mathematical representation activity on young children`s creativity and mathematics attitude. Participants of the study consist of 40 five-year-old young children from a kindergarten in J do. One class is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and given a mathematical representation activity; the other class is assigned to a comparative group and given a general math activity. The tools of measurement used in this research are the Creativity Test Tool of Children developed by Jeon, Cyeong-Won (2000) and the Mathematical Attitude Test Tools for Children developed by Hwang Hae-IK, Ryu Soo-Gyung, Kim Tae-Yeon (2007).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athematical representation activity had a positive effect on enhancement of young children`s creativit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 in their fluency, flexibility, originality. In imagination,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mathematical representation activity had a positive effect on young children`s mathematics attitud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 in their curiosity, enthusiasm, openness, objectivity. In their perseverance,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mathematical representation activity can be an effective teachinglearning method for mathematizing, improving young children`s creativity and mathematic attitudes.

      • KCI등재

        수학적 추론 활동이 유아의 문제해결 능력과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선영(Kim Sun-Young),최혜진(Choi Hye-Ji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1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6 No.5

        본 연구는 수학적 추론과정이 포함된 활동을 적용하여 유아의 문제해결 능력과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추론 활동이 문제해결 능력과 수학적 태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교수전략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고 유아교육 현장에서 유아에게 흥미 있고 교사가 쉽게 접근 할 수 있는 수학교수법으로서의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유치원에 재원하고 있는 만 5세 유아 40명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 20명의 유아에게는 추론과정이 포함된 활동을, 비교집단 20명의 유아에게는 추론과정이 포함되지 않은 활동을 실시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수학적 추론 활동은 유아의 수학적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다. 수학적 문제해결 능력의 각 하위 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분류, 패턴, 수, 측정, 도형, 통계 능력에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학적 추론활동은 유아의 수학적 태도를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tended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mathematical reasoning on the problem-solving capacity and mathematical attitude of a child. Thus, it aims to prove that the mathematical reasoning activity could be used as a teaching strategy and to point out that the reasoning activities could become a teaching method which would be easy for teachers to implement and interesting for children. For the study, 40 children of 5 years old who were attending one of the two kindergartens in Gangwon Province were selected. The effects of the mathematical reasoning activity to the problem-solving capacity and mathematical attitude of the children are as follows: First, the educational activity that utilized mathematical reasoning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the problem-solving capacity among the children. Such finding implies that the mathematical reasoning activity causes positive effects to the problem-solving capacity among the children. And second, the educational activity that utilized mathematical reasoning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Mathematical Attitude Test conducted to the children. Such finding implies that mathematical reasoning activity derives positive effects to the mathematical attitude of the children.

      • KCI등재

        수학적 창의성의 요소와 창의성 개발을 위한 수업 모델 탐색

        이대현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12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16 No.1

        학교 교육을 통하여 창의적인 인간을 양성해야 한다는 요구가 계속되고 있다. 특히 2011 수학과 교육과정 개정에서는 수학적 창의성과 인성을 길러주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교육 현장에서 학생들의 창의성 개발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학적 창의성의 요소를 추출하고, 창의성 개발을 위한 수업 모델을 탐색해 보았다. 먼저, 수학적 창의성에서의 논점과 수학적 창의성의 요소를 인지적, 정의적, 태도적 측면으로 알아보았다. 이러한 요소들은 수학적 창의성 개발 수업에서 창의성 개발에 영향을 주는 요소이며, 창의성을 평가하는 요소가 될 것이다. 이러한 기저를 바탕으로 수학 학습에서 학생들의 수학적 창의성을 기를 수 있는 8가지 수학과 창의성 개발 수업 모델을 제시하였다. 8가지 수학적 창의성 개발을 위한 수업 모델은 수학의 특성과 최근에 강조되는 수학교육 이론 및 창의성 이론을 바탕으로 하였다.

      • 어머니의 수학적 태도 및 가정수학환경이 유아의 수학적 성향에 미치는 영향

        변선주,서윤희 한국유아교육학회 2017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17 No.-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수학적 태도 및 가정수학환경이 유아의 수학적 성향과 어떠한 관계가 있으며, 설명력은 어떠한지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연구 참여에 동의한 만 5세 유아 468명과 그 어머니를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수집된 자료는 SPSS를 사용하여 상관관계 및 중다선형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어머니의 수학적 태도 및 가정수학환경은 유아의 수학적 성향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수학적 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가정수학환경 중 수학적 놀이 환경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정수학환경 중 수학적 언어자극과 어머니의 수학적 태도중 수학 불안, 수학 가치, 수학 자아개념, 수학의 즐거움, 수학 동기는 유아의 수학적 성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