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수학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규칙성 영역의 학습 자료 개발

        남승인 대구교육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0 과학·수학교육연구 Vol.23 No.1

        정보화의 시대라고 일컫는 앞으로의 사회에서는 정보를 단순히 암기 ·활용하는 것이아니라, 문제 해결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 ·분석하고, 비판 ·조직 ·종합하여 합리적으로 판단하는 능력과 새로운 정보를 산출해 내는 고차적인 지적 기능인 수학적 사고력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세계 각국에서는 수학 교육의 궁극적인 목표인 사고력 신자을 활발한 연구와 노력이 진행중이다. 수학적 사고는 학교 수학에서 지도되는 수학내용 그 자체에만 관련된 것이 아니라 이들 수학 내용을 이해하고, 지식으로 터득하는 과정에서 행하여지는 수학적인 활동과 깊은 관련이 있다고 하겠다. 본고에서는 수학적사고 구성 요소와 교수 ·학습 모형 및 수학적 사고력 지도를 위한 교사의 역할에 대해서 알아보고, 수학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중요한 학습 영역 중의 하나인 규칙성 지도내용 및 방법과 그 평가에 대해서 개괄적으로 알아보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cept of mathematical thinking ability and to develope some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y materials in pattern for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e of the most important roles in education is to improve the thinking ability of learners. The goal of mathematics education is also to foster a mathematical thinking ability through the creative process of solving many problems that we meet every day. In order to improve students' mathematical thinking ability,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fit for the students' level is really required.

      • 수학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도형 영역의 교수ㆍ학습 자료 개발에 관한 연구

        류성림 대구교육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0 과학·수학교육연구 Vol.23 No.1

        교육의 가장 큰 역할 중의 하나는 학생들의 사고력을 증진시키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수학 교육의 목적도 생활에서 접하는 여러 가지 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하는 과정을 통해 수학적 사고력을 신장시키는 것이다. 수학적 사고력의 신장을 위해서는 크게 두 가지 관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하나는 사고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수업 모델의 구성요소에 대해 논의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그러한 수업을 위한 적절한 교수 ·학습 자료를 개발하는 것이다. 수학적 사고를 향상시킬 수 있는 수학 수업의 구성 요소로는 다음과 같이 네 가지를 생각할 수 있다. 첫째는 학생들에게 사고할 기회를 충분히 주고 창의성을 개발하는 수학적 사고 문화의 조성이다. 둘째는 문제해결을 통한 수학적 사고기술의 개발이다- 셋째는 베타인지를 통한 수학적 사고 태도의 개선이다. 넷째는 타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한 비판적이고 협력적인 사고 능력의 배양이다. 또한 수학적 사고의 개발은 학생들의 사고 수준에 맞는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 바, 수학적 사고력을 신장시키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사고 수준에 맞는 교재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도형 영역에서 van Hiele의 기하 학습 사고 수준 이론에 따라 수준 1과 수준 2에서 초등학교 학생들이 할 수 있는 교수 ·학습 활동 자료를 제시하였다. One of the most important roles in education is to improve the thinking ability of students. The goal of mathematics education is also to foster a mathematical thinking ability through the creative process of solving many problems that we meet every day. It is possible that there are two methods of approach for the promotion of mathematical thinking ability at large. One is to talk about the elements of a learning model which can further thinking ability, and the other is to develop proper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The first thing we have to keep in mind is that the following four factors are the essential parts of the mathematics instruction for the advancement of thinking ability: (1) The fostering of a mathematical thinking culture that should help students develop creativity and thinking ability, (2) The teaching of mathematical thinking techniques through problem solving, (3) The improvement of a mathematical thinking attitude by means of meta-cognition, (4) The cultivation of critical and co-operative thinking ability as needed through an interaction with others.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al thinking is effective as well only when students try to solve their prob1ems in accordance with their own level. Moreover, in order to improve students' mathematical thinking ability,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fit for the students' level is really required. Therefore, this study shows that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y materials for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ll be presented, according to level 1 and level 2 in the van Hiele theory.

      • KCI등재

        초등 수학교육의 능력기반 교수학습 환경 효과 분석

        이현경 ( Hyunkyung Lee ),김지은 ( Jeeeun Kim ),이명근 ( Myunggeun Lee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20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6 No.1

        이 연구는 초등학교 수학교육에서 능력기반 교수학습 환경이 학습자의 수학적 사고력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먼저 초등 수학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기반 교수학습 모형을 설계하고, 학습관리시스템을 활용한 능력기반 교수학습 환경(a competency-based learning environment)을 구축하였다. 그리고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경기도 소재 초등학교 6학년 학급 중 사전 동질성이 확보된 두 집단을 선정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집단 간 수학적 사고력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수학적 사고력의 하위영역인 추론 영역과 문제해결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집단 간 수학적 태도에서도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수학적 태도의 하위영역인 수학학습에 대한 자아개념, 태도, 학습습관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상에서 볼 때, 초등수학교육의 능력기반 교수학습 환경은 학습자의 수학적 사고력과 수학적 태도 향상에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초등 수학교육 현장에서는 학습자가 학습 내용을 다양한 형태의 자료로 학습하고 수학적 사고력과 수학적 태도를 향상할 수 있는 교수학습 기제를 제공하여 실질적인 수학적 능력을 형성할 수 있는 교수학습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후속 연구와 관련하여서는 다양한 학습내용과 대상을 위한 능력기반 교수학습 환경의 구체적인 학습 자료의 개발과 이를 토대로 한 다각적인 연구가 요청된다.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a competency-based learning environment for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instruction in terms of improving mathematical thinking abilities and attitudes toward elementary mathematics. First, the study analyzed the problems of the education field through analysis of the 2015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and identified the causes thereof. As a solution, the study proposed a model of learner-centered learning environment. Second, the competency-based learning environment that can be applied to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instruction by using inductive reasoning and learning management system was designed. Third, the study selected two homogeneous groups at the outset out of the 6th grade classes at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Gyeonggido and experimented with them. As a result, firs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on the mathematical thinking ability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that utilized the competency-based learning environment and the control group that did not. The difference, in particular, was in the area of reasoning area and problem-solving area. Seco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athematical attitudes between the groups. The difference thereof was in all the areas of the self-concept, attitude, and learning habits in mathematics learning. Based on the results, competency-based learning environments for mathematics instruction in elementary schools can be said to have some effects on improving learners’ mathematical thinking abilities and attitudes.

      • KCI등재

        수학적 모델링 관점에서 바라본 고등학교 <정보> 교과서의 모델링 과제 분석

        오세준(Se Jun Oh)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8

        목적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정보> 교과서를 수학적 모델링의 관점에서 분석하여, 디지털 자원을 활용한 수학적 모델링 과제 설계에 있어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8종의 고등학교 <정보> 교과서에서 ‘모델링’단원과 ‘프로젝트 단원’의 과제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여 문헌 분석 하였다. 분석 대상인 모델링 과제가 수학 혹은 실생활과 연관되어 있는지 분석하였으며, 디지털 소양 등 미래 역량으로 주목받는 컴퓨팅 사고력의 단계, 수학적 모델링 사이클의 관점에서 각각 분석하였다. 결과 고등학교 <정보> 교과서의 ‘모델링’ 단원 과제의 소재는 ‘수학’을 많이 활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보> 교과에서 ‘모델링’은 추상화 방법의 하나로 다루고 있어 ‘수학적 모델링 사이클’ 과정으로 분석하면 구성하기-단순화하기-수학화로 구성되어 있었다. 반면, <정보> 교과서의 프로젝트 과제는 수학적 모델링 사이클과 컴퓨팅 사고력 과정의 구성요소들을 대부분 포함하고 있었으며, 별개의 독립된 단원으로 구성되어 모델링 과정을 체계적으로 경험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었다. 결론 2022 교육과정에서 제안한 미래사회의 역량 중 하나인 디지털 소양을 수학적 모델링을 학습하며 함양하기 위하여 ‘수학적 모델링’을 <정보> 교과의 모델링 과제와 연계하여 지도하는 체계적인 논의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정보> 교과서의 모델링 과제, 프로젝트 과제를 수학교과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활용할 수 있으며, 수학적 모델링과 관련된 프로젝트 과제를 독립적인 단원으로 구성하여 수학 교과서를 구성하는 방안에 대한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igh school information textbooks from the perspective of mathematical modeling, with the goal of gaining insights for designing mathematical modeling tasks using digital resources. Methods To achieve this objective, the study selected the ‘modeling’ unit and ‘project unit’ tasks from eight high school information textbooks for analysis, and conducted a literature review. The study examined whether the modeling tasks were related to mathematics or real-life scenarios, and analyzed them through the lens of the mathematical modeling cycle and computational thinking skills, which are increasingly recognized as crucial competencies for the future workforce, including digital literacy. Results The material in the ‘Modeling’ unit of the high school <information> textbook was heavily based on ‘mathematics’. <Information> ‘Modeling’ is treated as a method of abstraction in the textbook, and when analyzed as a process of ‘mathematical modeling cycle’, it consists of constructing, simplifying, and mathematizing.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treatment of ‘modeling’ in the information textbooks was distinct from ‘mathematical modeling,’ as it was seen primarily as a method of abstraction. However, the project tasks in the information textbooks included most of the components of the mathematical modeling cycle and the computational thinking process, and were organized as independent units for a systematic experience of the modeling process. Conclusion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concludes that a systematic discussion is needed to teach ‘mathematical modeling’ in connection with modeling tasks in the information textbooks in order to foster digital literacy, which is a crucial competency for future societies. Additionally, the modeling and project tasks in the information textbooks can be modified and supplemented to be incorporated into mathematics courses. Finally, the study recommends organizing project tasks related to mathematical modeling into independent units to better structure mathematics textbooks.

      • KCI등재

        메타인지 전략 학습을 통한 수학적 사고력 신장 방안 연구

        박혜연,정순모,김응환 한국학교수학회 2014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Vol.17 No.4

        21세기 지식 기반 사회에 적합한 인재는 자기주도적으로 지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자 율적이고 창의적인 사고력을 갖춘 사람으로, 수학교육 현장에서는 학생들의 창의사고력이 강 조되고 있다. 이러한 창의사고력은 자신의 사고과정을 모니터하고 조절·통제하는 메타인지 능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메타인지와 관련된 여러 연구결과들의 통합을 통해 ‘메타인지능력과 수학적 사고력과의 상관관계, 메타인지 전략을 활용한 교수·학습 방법 및 그 효과, 메타인지 능력 향상을 통한 수학적 사고력 신장 방안’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The study aimed to explore how to improve mathematical thinking through metacognitive learning by stressing metacognitive abilities as a core strategy to increase mathematical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abilities. Theoretical exploration was followed by an analysis of correlations between metacognitive abilities and various ways of mathematical thinking. Various metacogni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used by many teachers at school were integrated for sharing. Also, the methods of learning application and assessment of metacognitive thinking were explor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etacognitive abilities were positively related to 'reasoning, communication, creative problem solving and commitment' with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mathematical thinking. Second, various megacognitive ability-appli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had positive impacts on definitive areas such as 'anxiety over Mathematics, self-efficacy, learning habit, interest, confidence and trust' as well as cognitive areas such as 'learning performance, reasoning, problem solving, metacognitive ability, communication and expression', which is a result applicable to top, middle and low-performance students at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facilities. Third, 'metacognitive activities, metaproblem-solving process, personal strength and weakness management project, metacognitive notes, observation tables and metacognitive checklists' for metacognitive learning were suggested as alternatives to performance assessment covering problem-solving and thinking processes. Various metacognitive learning methods helped to improve creative and systemic problem solving and increase mathematical thinking. They did not only imitate uniform problem-solving methods suggested by a teacher but also induced direct experiences of mathematical thinking as well as adjustment and control of the thinking process. The study will help teacher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metacognition, devise and apply teaching or learning models for their teaching environments, improving students' metacognitive ability as well as mathematical and creative thinking.

      • KCI등재

        한국과 미국의 초등학교 6학년군 학생들의 수학 창의성과 수학적 사고력의 비교

        이강섭 ( Kang Sup Lee ),황동주 ( Dong Jou Hwang ) 한국수학교육학회 2011 수학교육논문집 Vol.25 No.1

        본 연구는 한국교육개발원에서 개발한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를 사용하여 한국과 미국의 초등학교 6학년군 학생들의 수학 창의성과 수학적 사고력을 비교한 것이다. 연구 대상은 한국의 6학년 학생 212명과 미국의 5~7학년 학생 148명이며, 2009년 4월에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도구에 대한 검증은 SPSS 12.0K로 신뢰도(Cronbachh α)와 변별도를 구하고 Rasch의 1모수 문항반응이론으로 적합도지수와 난이도를 구하였으며, 연구 자료에 대한 통계적 분석은 t-검정, 일원변량분석과 Scheffe의 다중비교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로서, 한국 학생들이 미국 학생들보다 수학 창의성과 수학적 사고력에서 높은 점수를 얻었고 또 수학 창의성과 수학적 사고력에서 수학 개념의 이해가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미국 학생들의 경우 초등학교 5학년과 6학년은 수학 창의성의 모든 하위 영역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수학적 사고력에서는 6개의 하위영역 중 4개에서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것은 초등학교 5학년과 6학년을 하나의 학년군으로 하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시사점을 줄 것이다. In this study, the instrument of mathematical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test were considered the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American sixth grade students in mathematical creativity ability and mathematical thinking ability. The instrument consists of 9 items. The participants for the study were 212 Korean and 148 American students. SPSS were carried out to verify the validities and reliability. Reliabilities(Cronbach α) in mathematical creativity ability is 0.9047 and in mathematical thinking ability is 0.9299 which were satisfied internal validity evaluation on the test items. Internal validity were analyzed by BIGSTEPS based on Rasch`s 1-parameter item response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serve as a foundation for understanding the Korean and American students differences in mathematical creativity ability and mathematical thinking ability. Especially we get the some informations on mathematical creativity ability for American`s fifth grade to seventh grade students.

      • FIE-B(FUG) 집단 프로그램이 유아의 인지기능 및 수학적 사고력 증진에 미치는 효과

        배경미 인지발달중재학회 2013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4 No.2

        본 연구는 취학 전 아동을 대상으로 이스라엘의 사고력 프로그램인 FIE-Basic 프로그램 훈련이 유아들의 인지기능 및 수학적 사고력 증진에 효과가 있는지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만4∼5세 유아 50명이 실험집단에 25명, 통제집단에 25명에 참여하였다. 실험집 단의 유아들에게는 FIE-Basic 프로그램 특히 FUG(From Unit to Group) 프로그램을 집단 으로 주 3회(회당 90분씩) 8주간 총20회 실시 하였으며, 통제집단의 유아들에게는 유치원 교 육과정의 생활주제에 따른 집단 활동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보면, 첫째, FIE-B (FUG) 집단 프로그램 참여 유아들이 통제집단 유아들보다 비언어성 지능검사(CTONI-2) 그림 지 능과 전체지능 점수에서 향상을 보였다. 그러나 FIE-B (FUG) 집단 프로그램 참여유아와 통제집단 유아들은 수학적 사고력 증진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CTONI-2의 도형지능 검사에서는 효과가 없었는데. 이것은 CTONI-2 그림검사는 구체적인 사물이나 자연물 등의 그림에 대한 분류, 서열, 유추문제로, 본 연구의 단기집중 프로그램으 로는 구체물에 대한 사고력은 향상시켰지만 보다 추상적인 대상에 대한 사고까지 발전시키 지는 못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 수학능력 향상에 영향이 없었 던 것은 단기 집중 훈련으로는 수와 같은 추상적인 개념에 대한 이해 수준까지의 변화를 일 으키기 어려운 것으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장기적인 중재학습 경험을 통해 FIE-B(FUG) 프로그램의 수학적 사고력이 증진 되는지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사고력 중심 유아수학교육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이은영(Eun Young Le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3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8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수학적 사고력을 증진시키는데 필요한 유아교사의 교수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사교육 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준비단계, 분석단계, 구성단계의 3단계를 거쳐 진행되었다. 먼저, 준비단계에서는 관련 문헌들을 고찰하고, 분석단계에서는 유아교사의 수학교육에 대한 신념, 수학적 사고력에 대한 인식 및 유아수학교육의 현황을 조사하였다. 구성단계에서는 준비단계와 분석단계에서 얻은 결과와 시사점을 토대로 프로그램 모형 초안을 구성한 후, 이를 2인의 전문가로부터 자문을 얻어 최종적으로 사고력 중심 유아수학교육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모형을 완성하였다. 사고력 중심 유아수학교육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목적은 유아교사로서 유아의 수학적 사고력을 증진시키는데 필요한 전문적인 교수 역량을 계발하는데 있다. 교육내용에는 지식, 기능, 태도의 3개 영역에 따라 총 12개 내용이 선정되었다. 본 프로그램은 3단계의 교수-학습과정에 따라 이루어지며, 수업계획안과 모의수업 녹화 자료를 교수-학습자료로 활용하고, 강의하기, 토의하기, 공유하기, 모의 수업하기, 반성적 사고하기의 교수전략을 적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프로그램을 위한 평가는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으로 질적인 평가와 양적인 평가를 모두 실시하도록 되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odel of a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that, ultimately, will enhance young children`s mathematical thinking ability. The study is carried out in three steps: preparation, analysis, and development. The program`s goal is to expand preschool teachers` professional capability for developing young children`s mathematical thinking ability. The program`s 12 contents are selected according to three aspects: knowledge, skill, and attitude. The three-fold teaching-learning method of this program consists of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teaching-learning materials, and teaching strategy.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is divided into three steps: looking into math activities, seeking ways for improving mathematical thinking, and applying and assessing math activities focused on mathematical thinking. The materials are mathematics lesson plans for young children and video files of teachers` simulated instructions. Finally, the teaching strategies comprise lectures, discussions, sharing ideas, simulating instructions, and reflective thinking. The evaluation of this program is implemented by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 KCI등재

        수학과학영재의 컴퓨팅 사고력 예측변인 규명 연구

        김동심 한국영재학회 2019 영재교육연구 Vol.29 No.3

        본 연구는 수학과학영재의 컴퓨팅 사고력(창의성, 알고리즘적 사고, 협력, 비판적 사고 및 문제해결력)을 예측하는 변인을 찾기 위해, 자기조절학습, 수학적 자기효능감, 그릿을 예측변인으로 선정하여 이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A지역의 B, C영재교육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97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고,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과학영재의 창의성, 알고리즘적 사고 및 비판적 사고에 수학적 자기효능감과 자기조절학습이 유의하게 예측한다. 둘째, 수학과학영재의 협력에 수학적 자기효능감이 유의하게 예측한다. 셋째, 수학과학영재의 문제해결력에 자기조절학습, 수학적 자기효능감 및 그릿이 유의하게 예측한다. 넷째, 수학과학영재의 통합적 컴퓨팅 사고력에 수학적 자기효능감, 자기조절학습, 그릿 순으로 예측력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수학과학영재의 컴퓨팅 사고력을 예측하는 변인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고, 이 결과를 바탕으로 수학과학영재교육 운영에 있어서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variables affecting computational thinking of mathematics and science gifted students. This study supposes that variables affecting are self-regulated learning, mathematics self-efficacy, and grit. Computational thinking is composed of creativity, algorithmic thinking, cooperativity, critical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97 mathematics and science gifted students in gifted institut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 hypothetical model proposed self-regulated learning, mathematics self-efficacy, and grit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creativity, algorithmic thinking, cooperativity, critical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as dependent variables.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self-regulated learning and mathematics self-efficacy significantly predicted creativity, algorithmic thinking, and critical thinking. Mathematics self-efficacy significantly predicted cooperativity. Also, self-regulated learning, mathematics self-efficacy, and grit significantly predicted problem solving. Lastly, self-regulated learning, mathematics self-efficacy, and grit significantly predicted computational thinking.

      • KCI등재

        EPL을 활용한 수학문제해결 통합교육프로그램의 학년 수준 비교

        한선관,김수환 한국정보교육학회 2010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4 No.3

        이 연구에서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를 활용하여 수학문제해결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정보수학통합교육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프로그램을 3학년과 5학년 학생들에게 적용하고 수학적 사고력과 태도의 차이를 양적검사와 질적 검사로 분석하였다. 검사 결과 우선, 학생 인터뷰, 설문조사와 교사 관찰 결과 스크래치를 활용한 수학문제해결이 동기유발 및 사고과정의 시각화와 메타인지 측면에서 효과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수학적 사고력과 수학적 태도에 대한 t-검정 결과에서 효과가 입증되었으며, 3학년이 5학년보다 긍정적으로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것은 스크래치가 가지고 있는 메타 인지적 사고와 시각화된 특징이 기존 공식위주의 수학 문제 해결에 익숙한 고학년보다 저학년들이 문제를 유연하게 받아 해결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러한 결과는 수학문제해결에 있어 초등학교 저학년부터 EPL을 적용한 수업이 효과적이며 기존 수학교육에서 교수 전략을 제고해야 하는 단서를 제공하였다. In this paper, we proposed the integrated education program of informatics and math for solving problem using EPL. We applied a integrated math curriculum with EPL and analyzed mathematical thinking and attitude to the 3rd and 5th students. We used mathematical thinking test, mathematical attitude test and interview through student review. We also analyzed data of observers who ar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results of test are as follows; First, we found effective points of meta-cognition and visualization of thought in solving the mathematical problem using Scratch. Second, mathematical thinking and attitude showed the result that 3rd grade students are more increased than 5th grade students in pre and post t-test of the mathematical. Consequently, we expect that the integrated education program of informatics and math using EPL can be applied to solve problem in math eff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