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모델링 관점에 대한 논의에서 본 한국 수학교육의 관점 탐색

        이경화 대한수학교육학회 2010 수학교육학연구 Vol.20 No.3

        Attention to Korean perspective on mathematics education has been increasingly paid in international academic meetings or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ies. Personal or intuitive, vague explanation has been given based on limited literature or observations. This increasing attention and lack of studies warrant the necessity of systematic researches on it. This article aims at clarifying the research issues in searching for Korean perspective on mathematics education and finding the starting point through discussion on mathematical modeling by teacher researchers and researchers. Firstly, hypothetical perspective will be described. Secondly, Fourteen teacher educators' and seven researchers' opinion on it will be discussed. Findings imply that strong responsibility for Korean mathematics teachers to reveal theoretical aspects of mathematical knowledge, i.e., structure or essence, as well as to pursue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i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is the main aspect of Korean perspective on mathematics education. 국제 학회에서 또는 국제 비교 연구에서 한국 수학교육의 고유한 관점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아직은 개인적인 차원에서 주관적인 경험과 판단에 기초하여 우리나라의 수학교육 현황과 연구에 대해 소개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 글은 우리나라 고유의 수학교육 관점에 대한 논의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그 출발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한국의 수학교육 관점에 대한 가설을 소개한다. 또한, 이 가설을 보완하기 위해 14명의 교사 연구자들, 7명의 수학교육 연구자들이 수학적 모델링 관점의 수용을 둘러싼 논의에 반영한 의견을 수집하여 제시한다. 연구 결과, 우리나라 수학교육의 관점이 가진 고유한 측면은 ‘교사가 담당해야 할 역할에 대한 강한 책임의식’에서 찾을 수 있었다. 특히 기본과 기초를 충실히 다지고, 구조와 본질에 주목하는 진지함을 추구하며, 지나치게 열려있어 학습 가능성을 알 수 없는 의사소통 모델보다는 안정적으로 얼마간의 목표를 추구하는 조용한 실질론에 따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사범대학 수학교육과 교육과정이 예비수학교사의 교수관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사례연구

        김인경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2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the curriculum of mathematics education at the College of Education on the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teaching perspectives. Methods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teaching perspective of the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was investigated using TPI in the first week of the freshman of mathematics education, and was investigated once again in the final exam week of December, the senior just before comple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ree groups, group 1 was the freshman in 2015 and the senior in 2018, group 2 was the freshman in 2016 and the senior in 2019.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nalyzed by chi-square homogeneity test using IBM SPSS Statistics 26 program. Results As a result, both groups showed numerical changes in teaching perspective, but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were found. Conclusions There are a numerical change on the superior and inferior teaching perspcetives of freshmen and seniors in both groups. However, the mathematics education curriculum of the study subjects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teaching perspectives 목적 본 연구에서는 예비수학교사의 교수관점에 사범대학 수학교육과 교육과정이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해 보았다. 방법 이를 위하여 수학교육과 교육과정을 이수하기 시작하는 1학년 3월 첫째 주에 TPI를 사용하여 예비수학교사의 교수관점을 조사하고, 모두 이수하기 직전인 4학년 12월 기말고사 주에 다시 한번 TPI를 사용하여 교수관점을 조사하였다. 연구대상은 모두 두그룹을 선정하였다. 그룹1은 2015년 1학년과 2018년 4학년일 때, 그룹2는 2016년 1학년과 2019년 4학년일 때로, 같은 교육과정이므로 동일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정하에 선정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는 IBM SPSS Statistics 26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카이제곱 동질성 검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그 결과, 두 그룹 모두 1학년과 4학년에서 우세한 교수관점과 열세한 교수관점의 변화는 있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는 찾을 수 없었다. 결론 연구대상의 수학교육과 교육과정은 예비수학교사의 교수관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수학 교육과정 국제 비교·분석 연구 - 한국, 싱가포르, 영국, 호주, 미국의 각 관련 내용 중심으로

        최은,김서영,권오남 한국수학교육학회 2019 수학교육논문집 Vol.33 No.3

        Angle concept is widely used in all mathematics curriculums and is a basic concept in geometric domain. Since angle have a multifaceted and affect subsequent learning, it is necessary for students to understand various angle concepts. In this study, Singapore, U.K., Australia, and U.S. are selected as comparable countries to examine the angle-related contents and learning process that appear in the curriculum as a whole, and then look at the perspectives and the size aspects of angle in detail and give implications to the Korean curriculum based on them.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four countries except Korea, supplement angle, complement angle, angles on a straight line, angles at a point, and finding angle were explicitly covered in the curriculum. And most countries gradually covered angle-related contents over several years, compared to Korea which intensively studied in a particular school year. In common, definition of angle was described as static, measurement of angle was described as dynamic. But in Korean curriculum, dynamic views on angles are described later and less compared to other countries, and range of angle size was narrower than in other countries’. From this comparison, this study suggest to discuss how to place and develop various contents of characteristics of angle in curriculum, address the angle using both static and dynamic perspectives, and introduce the angle size as the amount of rotation to learn the reflex angle, 180°, 360° angle. 각 개념은 교육과정 전반에 걸쳐 나타나는 개념이며, 기하 단원에서 기본적인 개념이다. 각은 다면적인 성격을 갖고있으며 이후 학습에 영향을 주므로 학생들이 다양한 각 개념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싱가포르, 영국, 호주, 미국을 비교 대상국가로 정하여 교육과정에서 나타나는 각 관련 내용 요소와 학습시기를 전체적으로 살펴본 뒤 각에 대한 관점과 각의 크기 측면을 상세하게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교육과정에 시사점을 주고자한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를 제외한 4개국은 보각, 여각, 직선 위의 각, 한 점에서의 각, 각도 구하기를 교육과정에명시하여 다루고 있으며, 특정 학년에서 집중적으로 각 관련 내용을 학습하는 우리나라에 비해 대부분의 국가가 여러 학년에 걸쳐 점진적으로 각 관련 내용을 다루고 있었다. 대부분의 국가가 각의 정의는 정적인 관점에서, 각의 크기는 동적인 관점에서 서술하고 있었으며, 동적인 관점을 초등학교에서 도입하는 다른 국가에 비해 우리나라는 비교적 늦은 중학교에서 동적인 관점이 처음으로 나타났다. 교육과정에서 다루는 각의 크기의 범위는 우리나라가 다른국가보다 좁았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 교육과정에 각의 성질과 관련된 다양한 내용 요소를 어떻게 배치하고 전개해나갈지 논의할 것, 각의 다면적인 성격을 고려하여 정적인 관점뿐만 아니라 동적인 관점을 모두 활용하여 각을 다룰것, 회전량으로서 각의 크기를 도입하여 우각 및 180°, 360° 크기의 각을 학습할 것을 제안한다.

      • KCI등재후보

        스크래치와 엔트리의 수학교육 관점에서의 비교

        홍갑주 부산교육대학교 미래교육원 2022 초등교육연구 Vol.37 No.2

        This study compared Scratch and Entry, which are representative educational programming languages ​​used in Korea, from the viewpoint of mathematics education. Entry has relative advantages in terms of expandability and additional functions, but there was a part to consider for improvement from the point of view of mathematics education as follows. That is, it forces the use of negative numbers by providing only one direction of rotation command. There is no function of partial execution by clicking on a code block. When the stop button is pressed, the character's position, state, and variable values ​​are forced to be initialized. It is difficult to use infinite recursion. These factors act as limitations when developing mathematical applications and presenting mathematical and logical explanations for code. Based on these considerations, it was emphasized that sufficient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educational experience in setting the function of an educational programming language.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활용되는 대표적인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인 스크래치와 엔트리를 수학교육의 입장에서 비교하였다. 엔트리는 확장성과 부가기능 면에서 상대적인 장점이 있으나 수학교육의 입장에서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개선을 고려할 부분이 있었다. 즉, 한 방향의 회전 명령만 제공함으로써 음수의 사용을 강제한다. 코드블록의 클릭을 통한 부분 실행 기능이 없다. 정지 버튼을 누르면 캐릭터의 위치와 상태, 변수들의 값이 무조건 초기화 된다. 무한 재귀의 활용이 어렵다. 이러한 사항들은 수학적인 소재의 앱을 개발할 때, 코드에 대한 수학적, 논리적 설명을 제시할 때 제한점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고찰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의 기능 설정에 교육적인 경험에 대한 충분한 고려가 있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 KCI등재

        ‘교육적 관점’에서 대입전형 공정성의 의미에 대한 논의

        김재웅,강태중,박상완 한국교육개발원 2019 한국교육 Vol.46 No.1

        Purpos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meaning of fairness in college admission from the educational perspective, criticizing the conventional discourse on it as the political and social one, and to propose policy directions for improving the fairness in college admissions. Approach: In order to establish the research purposes, an on-line survey of a random sample of 178 high school teachers and 62 college admission officers and a Focus Group Interview of 13 experts were administered. Findings: It was identified that respondents’perceptions of fairness in college admission were closely related to their interests, i.e., they were likely to regard college admission system as fair when it would be favorable to them. And the authors argued that a discourse on the fairness in college admission should not be limited to a matter of a choice between CSAT and students’records, and that the aggressive use of object scores of CSAT would not be the best way to the fairness. Instead, the fairness in college admission from the educational perspective could be realized only when all the students, especially the educationally isolated students, are treated at school in an educationally proper way. Values: This study provides a foundation for comprehensive analysis to ensure the fairness of the university admissions and to extend its discussion from the educational perspective. 이 연구는 대입전형 공정성 논의가 형식적 공정성에 초점을 둔 사회적, 정치적 관점에 치우쳐 있다는 문제인식에서 대입전형 공정성의 의미를‘교육적’관점에서 분석하고 공정성 확보를 위한 대입전형 개선 방향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전국에서 무선표집한 고교 교사 178명과 입학사정관 62명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 설문조사와 13명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FGI를 통해 대입전형의 공정성에 관한 주요 이해관계자의 인식을 확인하고 공정성 확보를 위한 개선 방향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공정성 인식은 각자의 이해관계와 밀접히 관련되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객관식 시험인 수능을 대입전형에 적극 활용하는 것이 가장 공정하다는 인식은 수정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끝으로, ‘교육적’ 관점에서 대입전형의 공정성은 수능 위주 전형인가 학생부 위주 전형인가를 넘어서 학교에서 모든 학생들, 특히 ‘교육적으로’ 소외되어 있는 학생들이 교육적으로 충분히 배려 받게 될 때 실현될 수 있다는 것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