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뮤지엄의 공유가치 창출을 위한 공공수장고 건립의 필요성에 대한 연구

        박진호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1

        (연구배경 및 목적) 이용자 요구의 변화는 뮤지엄 전시의 목적을 ‘사실의 전달’이 아닌 ‘경험의 제공’으로 전환시켜, 기존의 뮤지엄 공간을 이용자 중심으로 재편시키고 있다. 또한 뮤지엄 내부의 학예연구자뿐만 아니라 외부 학계연구자, 준전문가, 일반 대중 등 다양한 주체가 뮤지엄에 대한 지식정보 체계에 자유롭게 접근하기를 요구한다. ‘개방형 공공수장고’는 이러한시대적 요구에 맞물려 필연적으로 나타난 새로운 방식의 문화기관이다. 본 연구는 소장품을 공유하는 방식의 변화로써 등장하게된 국내외 개방형 수장고의 건립 배경과 활용방식을 분석하여, 국내에 지역단위 공공수장고의 형태로 적용했을 때의 미래 가치를 제안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진행되었다. (연구방법) 첫째, 공공가치재로서 뮤지엄의 환경 변화를 살펴보고, 국내외 수장고의사례를 통해 신개념 수장고의 종류와 성격을 유형화하여 설명한다. 둘째, 국내에 신개념 수장고가 건립된 현황을 시간 순으로정리한다. 국내외 유명한 독립형 수장고의 사례를 통해, 독립형 수장고의 설립형태와 활용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셋째, 지방자치단체별로 공공수장고를 건립하는 것의 필요성을 지역 문화재 확보와 박물관 기능 강화라는 두 가지 관점에서 제시한다. (결과) 지역단위 공공수장고는 발굴된 매장문화재를 귀속시킬 수 있는 기반이 될 수 있다. 출토된 매장문화재를 그 지역의 위탁기관에서 수용하기 위해서는 유적과 유구, 학술문화재를 포함해 발굴보고서에 기록된 모든 문화재를 수용할 수 있을 만큼의 수장 여력이 있어야 한다. 때문에 공공 수장고 건립은 지역의 유물이동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지역 단위별로 미래유산을 선정하고 보존할수 있는 주관 시설 역할을 할 수 있다. 박물관 기능 강화의 관점에서는 일차적으로 대다수 공립박물관이 처한 수장 포화의 해결안이 된다. 기관별로 공동 사용 목적의 독립 수장고를 확보하여, 전시 성격의 열린 수장고를 도입하고 공동으로 이용하는 전문적인 보존과학센터를 구축한다면, 예산과 인력의 절감 및 공립박물관 기능 강화의 효과가 있다. 특히 지역 박물관·미술관 협의체를 중심으로 유사성을 가진 지역 기관들이 함께 통합형 공공수장고를 운영하는 것은 인적 네트워크를 강화시키며, 효율성과 공공성을 동시에 실현할 수 있는 방법이 된다. (결론) 공립박물관 내 공동 이용 목적의 공공수장고는 어디까지나 그 지역의 필요와 가치를 정확히 분석하여 계획되어야 한다. 향후 확대되는 소장품의 성격, 수장 규모, 보존과학실의 필요 유무, 소장품 빅데이터의 통합관리 여부, 뮤지엄 교육 콘텐츠의 활성화 정도 등에 따라 공공수장고의 규모와 기능, 역할은 다양해 질 것이다. 지역의요구에 따라 전시형, 교육형, 정보형, 보존처리형 공공수장고로 기능이 달라질 것이며, 단지 창고형 공공수장고로도 그 가치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공공수장고의 필요성을 제시하는 본 연구를 바탕으로 각 지역에 적합한 공공수장고의 공유 방식을 찾는 연구가 이어져 독창적인 다양한 시설 모델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기를 바란다.

      • KCI등재

        경기문화재단 소속 뮤지엄 수장고의 실태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독립형 공유수장고 도입을 중심으로-

        박진호 ( Park Jinho ),이주형 ( Yi Joohyou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7

        (연구배경 및 목적) 경기도는 전국에서 보유 박물관과 미술관의 수가 가장 많은 지역이다. 또한 유일하게 지역의 주요 박물관과 미술관을 경기문화재단에서 통합 관리·운영하고 있어 지역 중심의 공공수장고를 건립하여 운영하기에 효율적인 형태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실질적인 운영을 살펴보면 보유자원 측면에서 서울의 박물관 수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수장공간과 인력 부족의 문제는 심각하기에 개방형 수장고와 독립 수장고로 박물관의 수장기능을 분화하고 전문성을 갖춘 사례를 적용하여 개선 방안을 구상해 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첫째, 기존 유사 주제의 선행연구를 통해 이론적 고찰을 진행하고 새롭게 구축되고 있는 신개념 수장고의 개념변화를 정리하여 특징을 유형화 한다. 둘째, 경기문화재단 소속 6개 기관의 수장고 현황과 유물의 특징을 관계자의 심층면담과 실태파악을 통해 분석하여 독립형 공유수장고의 필요성과 활용성을 도출한다. 셋째, 6개 뮤지엄 수장고의 필요기능을 충족시키는 것을 중심으로 추후 경기지역 뮤지엄이 공유할 수 있는 경기도 문화자원센터의 역할과 기능을 모색한다. 향후 국내 박물관들이 공통적으로 겪는 수장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모델로서 활용가능한 방향성을 정리하여 결론으로 맺음한다. (결과) 경기도 문화자원센터는 독립, 공동, 공공, 열린 수장고의 기능을 결합한 시설 모델이다. 독립형 공공수장고로서 개별 기관이 수장공간을 확보하는데 부담을 낮추고 장기적으로 경기지역 문화재 관리의 효율성을 높인다. 수장영역의 개방으로 문화재 관리에 대한 공감, 참여도를 촉진하고 단순 관람객이었던 대중을 후원자, 지지자로 전환하고 관련분야의 연구를 지원한다. 경기지역 문화재 관리 과정을 시스템화하여 역사문화자료의 보존 관리를 통합하는 보존과학 지원센터의 역할을 한다. 결과적으로 수장의 공유를 통해 각 박물관·미술관 간의 상호 네트워크를 유도하고 소장유물에 대한 검색루트를 단일화하는 경기문화자원 아카이브로 기능한다. (결론) 경기도가 공동으로 이용하는 문화자원센터 건립의 필요성을 논하는 이 연구를 바탕으로 도입 시 기본전제와 건립대상지 선정에 관한 의제를 도출하여 건립 타당성을 분석해야 할 것이다. 경기도 문화자원센터 사용 대상과 소장품 개방 및 정보화 서비스의 범위를 실현 가능성 있는 기준으로 선정하여 도입시설 및 공간기능의 모델을 도출해야 한다. 가장 중요한 건립 대상지 선정을 위해 안전성, 접근성, 유지관리성을 타진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연구를 통해 국내 박물관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수장기능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방안으로 새로운 문화시설의 가치를 창출하길 바란다. (Background and Purpose) Gyeonggi-do has the largest number of museums and art galleries in the country. In addition, as the Gyeonggi Cultural Foundation manages and operates the only major local museum and art galleries in the region, it can be considered an efficient form for establishing and operating a local-centered public storage facility. However, when examining the actual operation, it does not compare to the level of museums in Seoul in terms of its owned resources. In particular, the problem of lack of storage space and manpower is so serious that the museum’s storage function is divided into open and independent storage, and an improvement plan is devised by applying cases with expertise.(Method) First, theoretical considerations are conducted through prior research on similar topics, and the new concept storages are organized to categorize their characteristics. Second, the necessity and utility of an independent shared storage center are derived by analyzing the status of storage centers and characteristics of relics of the six institutions belonging to the Gyeonggi Cultural Foundation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grasping of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people concerned. Third, the role and function of the Gyeonggi Cultural Resource Center, which can be shared by museums in the Gyeonggi region in the future, will be explored, focusing on satisfying the necessary functions of the storage of the six museums.(Results) The opening of the storage area promotes sympathy and participation in the management of cultural properties, converts the public―which was simply a visitor, to supporters and supporters, and supports research in related fields. It serves as a conservation science support center that integrates th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historical and cultural data by systematizing the cultural property management process in the Gyeonggi region. As a result, it functions as an archive of Gyeonggi cultural resources that induces mutual networks between museums and art galleries through the sharing of heads and unifies the search route for the collections. (Conclusions) Based on this study, which discusses the necessity of building a cultural resource center jointly used by Gyeonggi Province, it is necessary to derive the basic premise and agenda for the selection of the site for construction, and analyze the feasibility of the construction. Models of introduced facilities and spatial functions should be derived by selecting the targets for use of the Gyeonggi Cultural Resource Center and the range of open collections and information services as feasible criteria. It is important to evaluate safety, accessibility, and maintainability to select the most important construction site. Through this study, I hope that the value of new cultural facilities can be created as a way to solve the problem of storage functions that domestic museums have in common.

      • KCI등재

        새로운 박물관 전시 전략으로서의개방형 수장고의 의미

        황규진 한국박물관학회 2022 博物館學報 Vol.- No.44

        Open storage created with the concept of democratization of museums or open museum, are spreading internationally, receiving positive reviews for the participation and accessibility of visitors to the common cultural heritage of mankind. In addition, major national museums in Korea are promoting the establishment of open storage. Open storage, which emerged as a practical way to promote better access to collections by visitors, has now become an important strategy for museums to attract and interest visitors. The spread of open storage is the result of efforts to show the hidden spaces of the museum that the general public has not seen before, such as the storage, laboratory, and conservation science room, which were spaces behind the stage of exhibitions. In a sense, what the museum wants to show through the open storage is not only the collection, but also the open storage itself. The open storage is a great exhibit in itself. The visual experience of being overwhelmed by the scale of the museum's collection is an awe created by humans, that allows us to measure the time and amount of the accumulated collection seen beyond the object, creating a ‘sublime’ experience that arouses fear or admiration.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related to open storage are limited to a small number of studies related to education or architecture and design, so conceptual and practical research on the function and meaning of open storage is insufficient. Therefore, in terms of the visitors' appreciation of open storag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kind of intentions museums are building and utilizing open storages, and to draw implications by examining the current state of domestic museum exhibitions. 열린 박물관, 박물관의 민주화라는 개념과 함께 생겨난 개방형 수장고는 인류의 공동 문화유산에 관람객의 참여와 접근성 확대라는 긍정적 평가를 받으면서 국제적으로 확산되고 있고 주요 국내 국립박물관들도 앞 다퉈 개방형 수장고 건립을 추진 중이다. 관람객의 소장품에 대한 보다 나은 접근을 촉진하는 실용적인 방법으로 부상하였던 개방형 수장고는 이제 박물관들의 관람객을 끌어들이고 흥미를 유발하기 위한 중요 전략이 되었다. 개방형 수장고의 확산은 전시라는 무대 뒤편의 공간이었던 수장고와 연구실 보존과학실 등 일반 대중들이 그동안 보지 못했던 박물관의 숨은 공간들을 보여주고자 하는 노력의 결실이다. 어떤 의미에서 박물관이 개방형 수장고를 통해 보여주고자 하는 것은 소장품들이 아니라 개방형 수장고 자체라고 할 수 도 있겠다. 개방형 수장고는 그 자체로 하나의 훌륭한 전시물인 것이다. 박물관의 소장품 규모에 압도당하게 되는 시각적 경험은 대상(object)의 너머로 보이는 축적된 수집의 시간과 양이 가늠되는, 인간에 의해 창조된 외경(畏敬)으로 공포 또는 찬양의 감정을 불러일으켜 ‘숭고(the sublime)’의 경험으로 관람객을 이끈다. 개방형 수장고 관련 선행 연구들이 대부분 교육적 측면 혹은 건축과 디자인 관련 연구에 소수 한정되어 있어, 개방형 수장고에 대한 기능과 의미에 있어 개념적, 실천적 연구는 미흡한 상황이다. 이에 개방형 수장고가 관람객의 감상의 대상이라는 측면에서 박물관들이 어떤 의도로 개방형 수장고를 건립하고 활용하고 있는지 알아보고 국내 박물관 전시현장의 현황을 살펴보면서 시사점을 도출해 보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국 · 공립 미술관의 수장고 환경조사 및 공동수장고에 관한연구

        조혜진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6 No.2

        미술관이 담당하는 기능 중 전시영역이 미술관 중심 업무로 진행되면서, 수집된 작품의 복원과 보존의 중요성을 간과하고 일시적 수장에만 그치는 문제를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수집 작품이 문화유산으로써 유물적 가치를 지각하는 인식의 전환과, 복원과 보존을 위한 학과간 연구와 보다 과학적이고 안전한 환경개선을 추구해야 할 때이다.본 연구는 수집 작품을 후대에 안전하게 전해야하는 중간 향유자의 입장에서 수장 환경개선을 위한, 선행연구 및 보고서에서 미술관 최적의 수장환경의 기준을 파악하고, 설문조사 및 자료조사를 방법으로, 국내 국공립미술관의 수장고 현황 및 환경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연면적 대비 8.72%의 수장 공간은 개관 후 5년이 지나면서 80%이상의 수장율 포화도를 보인다. 증축과 리노베이션으로 수장품을 보존하는 것은 한계에 다다른 것이며, 빠른 기간내 독립된수장고로써의 건립을 추구하여야 한다. 결론적으로, 수집 보존량의 증가를 대비하고, 건축적, 설비환경적 최적의 복원 · 보존센터로써의 공동 수장고의 건립을 제안하고자 한다. The art museum focuses on exhibiting artworks, other functions like restoration and conservation can be overlooked. It is time to review thinking about artworks as cultural heritage, disciplinary research, and a more scientific, safer environment for restoration and preservation. This study includes preceding research into the improvement of storage environments and standards of optimal storage environments from the standpoint of an intermediate organization, bequeathing collections safely to future generations. The study involve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urrent situation and environment of national and public art museum storage. Five years after inauguration, storage space, usually occupying 8.72% of total museum building floor-area has reached an 80% saturation degree. Increasing storage space by extension and renovation is limited, and independent storage should be established as soon as possible. In conclusion, the establishment of joint storage as an optimal restoration and conservation center is proposed to prepare for an increase of collections

      • KCI등재

        ‘보이는 수장고’ 의 VR 전시해석매체 활용 방안 연구

        김수지,김연희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학회 2021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기술논문지 Vol.10 No.1

        The ‘Visible Storage’ is an exhibition from the perspective of opening and sharing the museum. The number of ‘Visible Storage’ is steadily increasing internationally. In Korea, it is the first ‘Visible Storage’ that the Naju National Museum partially unveiled in 2013. However, discussions on the utilization and effectiveness of ‘Visible Storage’ continue in many ways. In this study, among the issues related to ‘Visible Storage’, collection damage caused by the opening of the Storage and visitor learning effects were selected. It focused on collection and analyzing the exhibition method of ‘Visible Storage’ in Korea and suggested using VR contents as an exhibition interpretation medium to enhance the utilization of ‘Visible Storage’. VR contents can help maximize the social role of museums such as exhibition, preservation, research and education of ‘Visible Storage’. ‘보이는 수장고’(Visible Storage)는 뮤지엄의 개방과 공유라는 관점에서 등장한 전시 방식 또는 전시관으로 최근 들어 국내외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국내에서는 2013년 국립나주박물관이 수장고를 부분 공개한 것이 최초의 ‘보이는 수장고’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보이는 수장고’의 활용도나 효과에 대한 논의가 다방면으로 지속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보이는 수장고’ 관련 주요 쟁점 중 하나인 수장고 개방에 따른 소장품의 손상과 관람객의 학습 효과에 관해 연구하고 이를 토대로 활용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국내 ‘보이는 수장고’의 전시 방식을 중점적으로 수집·분석하고,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보이는 수장고’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가상현실(VR) 콘텐츠를 전시해석매체로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보이는 수장고’는 전시와 보존·연구뿐만 아니라 교육·공중에의 개방 등 변화하며 발전하고 있는 뮤지엄의 사회적 역할에 기여할 수 있는 부분이 크며, 가상현실(VR) 콘텐츠가 그 역할을 극대화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후보

        국내 박물관 개방형 수장고의 전시디자인 사례 연구 - 국립민속박물관 파주 열린 수장고를 중심으로 -

        유민지 대한전시디자인학회 2022 전시디자인연구 Vol.19 No.1

        In the past, museums were based on the collection and possession of collections, while the paradigm of modern museums has shifted to utilization and sharing of collections. Therefore, a storage, which had been restricted from access for the preservation of collections, is evolving into an accessible and open space. In this regard, the number of open storages that have already been opened or are about to open soon, has been continuously increasing in recent years focusing on national and public museums. However, the role is still focused on ‘storage’ and ‘conservation’, centering on the storage environment and spatial composition of a storage area for the work of storage managers (curators), and simple physical accessibility, so it is insufficient in terms of exhibition and design. This study considered a series of processes and results as a case study on a storage from the multilateral approach in terms of ‘exhibition’ and ‘exhibition design’, which cannot be overlooked in an open storage, as well as in terms of ‘storage’ and ‘preservation’, through which it was confirmed that the open storage should also be established as an integrated environment under the concept of ‘exhibition’ by recognizing and approaching the collections as a content and a medium of communication, and in the process, exhibition design was also an essential element. It is suggested that research on in-depth design methodology should be continued to communicate with various visitors and to share and utilize the contents of the collection by applying more active and three-dimensional planning and design to the open storage to be built in a future. 과거 박물관이 소장품의 수집과 소유에 근간을 두었다면 현대 박물관은 소장품의 활용과 공유로 패러다임이 변화하면서 소장품 보존을 위해 접근이 제한되었던 수장고는 접근 가능한 개방적인 공간으로 진화하고 있다. 이에 등장한 개방형 수장고는 최근 국·공립 박물관을 중심으로 이미 개관되었거나, 곧 개관을 앞두고 있을 정도로 그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하지만 여전히 ‘수장’과 ‘보존’의 역할에 집중되어 수장환경과 수장고 관리자(학예사)의 작업을 위한 수장보존영역의 공간 구성에 초점이 맞추어지고 단순한 물리적 접근성 개방에 그치는 등 전시와 디자인 측면은 아쉬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수장고의 ‘수장’과 ‘보존’은 물론이거니와 개방형 수장고에서 간과할 수 없는 ‘전시’와 ‘전시디자인’의 다각적인 접근을 시도한 실제 사례 연구로 일련의 과정과 결과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개방형 수장고의 소장품을 콘텐츠이자 커뮤니케이션의 매체로서 인식 및 접근하여 ‘전시’라는 개념 아래 통합된 환경으로 구축되어야 하며, 이 과정에서 전시디자인 또한 필수 요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앞으로 생겨날 개방형 수장고는 보다 더 적극적이고 입체적인 기획과 디자인이 적용되어, 다양한 관람객과 소통하고 소장품이 지니는 콘텐츠를 공유 및 활용될 수 있도록 심도있는 디자인 방법론의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을 제언한다.

      • KCI등재

        뮤지엄 소장품과 대중의 매개 공간으로서 프랑스 개방형 수장고에 관한 연구

        박성혜(Park, Sung Hye)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4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42 No.2

        소장품의 개방과 공유를 지향하는 한국의 뮤지엄은 대중을 위한 공공 공간으로의 발전을 모색하며 개방형 수장고 건립을 통해 뮤지엄의 민주화에 나서고 있다. 본 연구는 개방형 수장고의 활용과 효용성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의 필요성에서 시작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프랑스 개방형 수장고의 컨셉과 운영 프로그램을 분석하고 그 특징을 도출함으로써 개방형 수장고의 바람직한 운영 방향에 대해 탐색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프랑스의 루브르-랑스와 뮤셈의 개방형 수장고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연구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프랑스의 뮤지엄은 개방형 수장고 안에서 보존 환경을 해치지 않으면서 다양한 매개 프로그램을 활성화해 대중의 사회교육, 대중의 참여를 적극적으로 유도하고 실천한다. 둘째, 프랑스의 뮤지엄은 개방형 수장고에서 뮤지엄 전문인력과 대중이 직접 만날 수 있게 함으로써 이들이 서로의 경험을 공유하고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하는 토대와 가능성을 확보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의 뮤지엄이 대중이 더욱더 능동적으로 소장품을 향유하고 뮤지엄의 제반 문화와 융복합적인 성격을 이해할 수 있도록 보존 · 복원 기능, 매개 기능, 전시 기능을 고루 갖춘 개방형 수장고를 건립하고 운영하기를 기대한다. Korean museums, striving for the openness and sharing of their collections, are pursuing the democratization of museums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open storage, thereby endeavoring to develop as cultural spaces for the public. This study started with the necessity of a comprehensive discussion on the utilization and effectiveness of open stor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desirable development direction of open storage management by analyzing the concept and programs of open storage in French museums and deriving its characteristic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open storages of the Louvre-Lens and the MuCEM. The research results and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French museums offer a variety of programs within open storage without compromising the preservation environment. As a result, they actively encourage social education and public participation. Second, French museums secure the foundation and possibility for mutual sharing of experiences and interactions between museum professionals and the public within open storage by enabling direct encount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Korean museums can establish and manage open storages with conservation, restoration, mediation and exhibition functions to allow the public to proactively engage with collections and understand the overall museum culture and multidisciplinary nature of museum.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보이는 수장고(Visible Storage)에 대한 주요쟁점 분석과 시사점

        도경민 한국문화예술경영학회 2018 문화예술경영학연구 Vol.11 No.2

        2010년 전후 전 세계 뮤지엄들이 수장형 전시 시스템인 보이는 수장고, 개방형 수장고를 선보이고 있다. 국내 역시 국공립 뮤지엄을 중심으로 이를 빠르게 받아들이고 있는 추세인데, 2017∼2018년 7곳이 문을 연 데 이어 2022년까지 총 12곳의 개방형 수장고가 선을 보인다.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의 인류학 뮤지엄(Museum of Anthropology)에서 시작한 보이는 수장고는 소장품의 손상 위험과 공공의 접근권 확대, 관람객 주도 학습과 뮤지엄의 교육적 역할 등의 여러 딜레마 속에 오랜 시간 답보상태에 있어 왔다. 그러나 2000년 이후 디지털 기술 등의 발달로 그 동안의 문제들을 해결하면서 또 다른 국면을 맞으며 뮤지엄의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본 연구는 보이는 수장고 관련 지난 40년 동안의 해외 연구들을 분석하여 주요 쟁점의 변화와 최근 중요하게 거론되는 이슈를 종합 분석하여 주요 쟁점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3가지 쟁점으로 ‘탈식민주의(post-colonialism)에서 자기성찰(self-reflexive)로의 전이’, ‘전달하는 지식(informative knowledge)에서 소통하는 지식(communicating knowledge)으로의 전이’, ‘보이는 수장고(Visual Storage)의 보이는 것(Visuality)에 대한 우려’ 개념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국내 동향에 비추어 국내의 보이는 수장고가 지향해야할 방향성을 집어보았다.

      • KCI등재

        뮤지엄의 개방형수장고 해외사례 연구 -국립미술품수장보존센터에 대한 제언-

        도경민,정윤희 한국박물관학회 2017 博物館學報 Vol.- No.34

        This study researches the successful management cases of museum’s open storage in order to meet the new paradigm of the 21st century museums for Korean National Art Conservation Center which is opened in 2008. The open storage’s objective is to share the humanistic value based on the concept of ‘the owner of the collection is all of us.’ A new attempt of museums is to rediscover the reason and value of the museum which is faced various challenges in 21st. century. Open storage of museums is primarily aimed at the active learning of the visitors, and in order to do so, the digitalization and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of the collection information is provided as an essential condition. Kroean National Art Conservation Center is now planning the two functions of ‘preservation and restoration of art works’ and ‘open storage’, and this is very similar of current open storage cases of other developed museums in overseas. This study analyzes the cases and features of successful museum open storage and suggests appropriate suggestions and applications for Korean National Art Conservation by looking at the operation plan of Korean National Art Conservation. 본 연구는 2018년 개관을 앞둔 국립미술품수장보존센터의 오픈에 앞서 21세기 뮤지엄의 새로운 패러다임에 맞는 개방형 수장고를 해외 사례분석을 통해 고찰해보았다. 개방형 수장고는 ‘컬렉션의 진정한 주인은 대중’이라는 개념 하에 인류가 일궈온 인문학적 가치를 더 많은 사람들과 공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뮤지엄의 새로운 시도는 21세기 뮤지엄이 직면한 다양한 도전 속에 뮤지엄의 존재 이유와 가치를 재발견하기 위함이기도 하다. 개방형 수장고는 무엇보다 관람객의 주도적인 학습을 적극적으로 유도하는 것을 주된 목표로, 이를 위해 컬렉션 정보의 디지털화 및 통합관리 시스템을 필수 조건으로 두고 있다. 국립미술품수장보존센터의 경우 소장품을 수장하면서도 특수한 목적을 동시에 지닌 해외 오프 스토리지(off-storage)의 사례와 유사한 형태를 띄는데, 이에 ‘보존․복원’이라는 특수 기능과 소장품의 개방형 수장고를 동시에 겸하는 형태로 건립 계획 중이다. 본 연구는 해외 성공적으로 운영 중인 개방형 수장고의 사례 및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립미술품수장보존센터의 운영계획을 살펴봄으로써 본 센터에 적합한 제언들을 제시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