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생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생존수영교육의 수업만족과 수영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병수 한국체육교육학회 2023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8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urvival swimming education according to the gender, grade, and swimming learning experi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class satisfaction and continuing aquatic-related exercise activities,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survival swimming education activitie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t is to provide basic data.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tudents participating in survival swimming held at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Chungcheongnam-do as the population, and the sample was 3rd to 6th grade students in 5 places. It was used in the final analysis. Results: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as a result of analysis according to gender, it was found that the psychological satisfaction of class satisfaction had a common effect on the tendency and possibility of swimming continuation intention in males, and the physical satisfaction had a common effect on possibility and reinforcement. On the other hand, for women,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satisfaction of class satisfaction all affected the tendency of exercise continuation, physical satisfaction affected the possibility, and social satisfaction affected the reinforcement. Seco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y grade, it was found that class satisfaction has an effect on the intention to continue swimming. appeared to affect Third, as a result of analysis according to swimming learning experience, swimming learning experience influenced the tendency of swimming continuation intention for all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satisfaction of class satisfaction, physical satisfaction influenced the possibility, and psychological satisfaction strengthened. has been shown to have an effect on gender.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only the psychological satisfaction of class satisfaction had an effect on the tendency and likelihood factors of swimming continuation intention.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들의 성별, 학년, 수영 학습경험에 따른 생존수영 교육이 수업만족과 수중관련 운동 활동을 지속하는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하여 생존수영교육 활동에 있어서 초등학생에게 실효성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방법: 본 연구의 대상은 충청남도에 소재하고 있는 초등학교에서 실시하는 생존수영에 참여하고 있는 학생들을 모집단으로 설정하고 표본은 5곳의 3~6학년 학생들로 하였으며, 표본추출은 편의표본추출방법으로 총343부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결과: 본 연구 결과 첫째, 성별에 따른 분석 결과, 남자는 수업만족의 심리만족이 수영지속의도의 경향성, 가능성에 공통되게 영향을 미쳤으며, 신체만족이 가능성, 강화성에 공통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여자는 수업만족의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만족 모두 운동지속의 경향성에 영향을 미쳤으며, 신체적 만족은 가능성에영향을 미쳤으며, 사회적 만족은 강화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년에 따른 분석 결과, 수업만족이 수영지속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학년이 높아질수록 수업만족의 심리적 만족이 수영지속의도의 경향성, 가능성, 강화성에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영 학습경험에 따른 분석 결과, 수영학습 유경험은 수업만족의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만족 모두 수영지속의도의 경향성에 영향을 미쳤으며, 신체적 만족은 가능성에 영향을 미쳤으며, 심리적 만족은 강화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수영학습 무경험은 수업만족의 심리적 만족만 수영지속의도 경향성, 가능성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빅데이터 텍스트마이닝 분석을 통한 수영복 인식에 관한 연구

        이정학 ( Jeoung-hak Lee ),이재문 ( Jae-moon Lee ),김욱기 ( Wook-ki Kim ),김형근 ( Hyeong-geun Kim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17 체육과학연구 Vol.28 No.1

        [목적] 본 연구는 SNS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대중들이 인지하는 수영복 트렌드 변화 추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네이버(naver)와 다음(daum)에서 제공하는 블로그, 카페, 지식인(팁), 뉴스, 웹문서를 분석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검색을 위한 키워드는`수영복, 수영복브랜드`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 기간은 2014년 1월 1일부터 2015년 12월 31일까지 2년간의 자료를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 및 분석을 위하여 소셜 메트릭스 프로그램인 텍스톰(Textom)을 통해 빈도 및 메트릭스 데이터를 추출하고, UCINET6프로그램의 NetDraw 기능을 활용하여 네트워크분석과 시각화를 실시하였다. [결과] 키워드를 바탕으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연관어를 살펴본 결과, 첫째, 2014년 `수영복브랜드, 아동수영복, 래쉬가드, 여성수영복, 모델`, 2015년`수영복브랜드, 래쉬가드, 아동수영복, 여성수영복, 아레나`순으로 핵심 키워드가 나타났다. 둘째, 연결정도 중심값을 살펴보면, 2014년 `수영복브랜드, 여성수영복, 아동수영복, 래쉬가드, 아레나`, 2015년 `수영복브랜드, 래쉬가드, 여성수영복, 아동수영복, 아레나`순으로 연결 정도 중심 값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CONCOR 분석결과 2014년 `여성고객`, `커플수영복`, `래쉬가드`, `브랜드`, `아동수영복`, `패션`의 그룹이 형성되었으며, 2015년 `브랜드`, `패션`, `래쉬가드`, `구매요인`, `아동수영복`의 그룹이 형성되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nging trends of swimsuit perception by using SNS big data. [Methods] By using “swimsuit” and “swimsuit brand” as key words, data was searched through blogs, cafes, Jisiksin(Tip), news, and web documents provided by naver and daum. This study used 2 years of data from January 1st, 2014 to December 31st, 2015 and social matrix program Textom was used for extracting matrix data and analyze them for frequency. To visualize data networking, NetDraw of UCINET6 program was used. [Results] Through analyzing the popular link words to the key words, it was known that the key words were `swimsuit brand`, `children`s swimsuit`, `rash guard`, `women`s swimsuit`, and `model` in the order in 2014, and `swimsuit brand`, `rash guard`, `children`s swimsuit`, `women`s swimsuit`, and `Arena` in the order in 2015. Second, the median of connectivity values showed that it was high in `swimsuit brand`, `women`s swimsuit`, `children`s swimsuit`, `rash guard`, and `Arena` in the order in 2014, and `swimsuit brand`, `rash guard`, `women`s swimsuit`, `children`s swimsuit`, and `Arena` in the order in 2015. Third, th results of CONCOR analysis demonstrated that `female customer`, `couple swimsuit`, `rash guard`, `brand`, `children`s swimsuit`, and `fashion` were grouped in 2014, and `brand`, `fashion`, `rash guard`, `purchase factor`, and `children`s swimsuit` were grouped in 2015.

      • KCI등재

        수영종목 안전사고 실태조사 분석을 통한 도식화 모델 및 사고예방 방안 제안에 관한 고찰

        김미옥,민정욱,권연택 한국스포츠학회 2020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8 No.2

        본 연구는 선행연구들의 사고유형 분석과 함께, 과연 수영종목에서는 어떠한 부상원인, 부상환경, 부상대처의 도 식화 모델 제안과 수영종목에서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구방법은 수영종목에서 발생한 사고를 제시한 한국소비자원, 스포츠안전재단, 행정안전부, 해양경찰청 등의 정부기관 및 연구기관의 보고서를 토대로 문헌고찰 로 작성하였다. 첫째, 교육적 제안으로 수영 초급 강습 시에 수영장 안전과 수영 안전에 대한 부분을 필수로 교육시키는 것이다. 또한, 준비운동 및 정리운동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여 운동상해를 예방할 수 있는 문화를 교육을 통해 정착시켜 야 한다. 이와 함께, 수영장 시설 내 미끄러움을 방지할 수 있는 소재를 설치하여 평소 이용객들이 미끄러움으로 인한 상해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인프라적 제안으로 수영장 시설을 운영 관리하는 책임자는 시설 안전을 항시 체크하고 수영장 시설 곳곳에 뛰지마시오, 다이빙 금지 등의 안내문구를 필수로 설치해야 할 것이라 판단된다. 또한, 운동 상해 발생 시 대응 매뉴얼을 개발하여 가까운 병원과 연계하여 보다 안전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셋째, 행정적 제안으로 수영장 내 전광판을 활용하여 안전사고 빈도와 현황을 수시로 공개하여 이용자들에게 경각심을 고취시 켜야 할 것이며, 안전요원의 위기대응능력 강화를 위해서 위급상황 시뮬레이션을 훈련을 통해 보다 적극적이고 적절한 응급처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라 판단된다. Along with the analysis of accident types in the preceding studies, this study proposed a schematic model of any injury cause, injury environment, and injury treatment in swimming events and proposed measures to prevent safety accidents in swimming events. First, the educational proposal is to educate the part about swimming pool safety and swimming safety in the beginner class of swimming.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warm-up and clean-up exercises, the culture that can prevent motor injury shall be established through education. Second, it is deemed necessary to install information such as 'Don't Run' and 'No Diving' throughout the pool due to the infrastructure proposal. Anti-slip materials should be installed in swimming pool facilities so that users can prevent injuries caused by the slips. Third, as an administrative proposal, the frequency and status of safety accidents should be frequently disclosed to raise awareness among users by utilizing electronic signboards in swimming pools. In the event of an exercise injury, a response manual should be developed to create a safer environment in connection with nearby hospitals. In order to strengthen safety personnel's ability to respond to crises, it is necessary to train emergency simulation so that more active and appropriate first aid can be achieved.

      • KCI등재

        대회 참여를 목표로 하는 수영 동호인의 커뮤니티 특성이 참여만족 및 참여지속에 미치는 영향

        주형철,김범,엄장원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018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Vol.23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relationship among the community characteristics, satisfaction and continuous intention of aiming to participate in swim competitions at swimming community club. For data analysis SPSS 21.0 and AMOS 21.0 were used for demographic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nfirmator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structure equation model analysis, and Bootstrapping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among the community characteristics, reputation had a negative effect on continuous intention, and organization culture had a positive effect on continuous intention. Second, among the community characteristics, reputation had a negative effect on participants’ satisfaction, and enjoyment, social connectedness, sense of belonging had positive effects on participants’ satisfaction. Third, participants’ satisfa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continuous intention. Fourth, participants’ satisfaction had mediating effects between community characteristics(reputation, enjoyment, social connectedness, sense of belonging) and continuous intention. 이 연구는 대회참여를 목표로 하는 수영 동호회의 커뮤니티 특성이 참여만족과 참여지속의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 안산, 수원, 청주지역의 수영 동호인 368명을 연구대상으로 유목적표집 하였으며, SPSS Version 22.0과 AMO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집중타당도,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구조방정식으로 분석하였고 간접효과 및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수영 동호회의 평판은 수영 동호인의 지속의사에 부적영향을 미쳤으며 수영 동호회의 조직문화는 수영 동호인의 지속의사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영 동호회 평판은 수영 동호인의 참여만족에 부적영향을 미쳤으며 수영 동호회의 즐거움, 사회적연결감, 소속감은 수영 동호회의 즐거움, 사회적연결감, 소속감은 수영 동호인의 참여만족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영 동호인의 참여만족은 지속의사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수영동호인들이 인식한 참여만족은 커뮤니티 특성과 지속의사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부분적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초등학교 수영교육의 변천 과정 탐색 및 공시적 비교 분석을 통한 발전방안

        한준상,박상봉 한국초등체육학회 2022 한국초등체육학회지 Vol.27 No.4

        인류의 초기부터 역사에 등장하여 스포츠로 발전한 수영은 그 가치를 인정받아 초등학교 교육과정 문서에 지속적으 로 반영되었으나 실천성의 측면에서는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한편 세월호 사건 이후 본격적으로 도입된 생존수영 은 학교현장에서 활발하게 실천되고 있지만 교과교육에서의 수영과는 달리 교육과정 문서의 반영 측면에서는 부족 함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수영교육의 이러한 두 측면에 주목하여 체육과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한 통 시적 탐색과 공시적 비교 분석을 통해 현주소를 진단하고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제1차 체육과 교 육과정으로부터 현행 2015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에서의 수영교육을 되짚어 보는 과정을 거쳤고, 현 시점에서 수영 교육의 두 흐름을 비교·분석하였다. 통시적 비교를 통하여 영법수영은 교육과정의 반영성의 축소와 실천성의 부재 의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생존수영은 실천은 되고 있으나 교육과정에서의 근거가 부족한 점을 파악할 수 있 었다. 공시적 분석은 교육과정의 문서적 수준과 실천적 수준에서 이루어졌으며 현재의 수영교육이 실천성은 증대되 었지만 반영성과 실천성 측면에서 모두 새로운 문제가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생존수 영의 교육과정 문서 반영 양상에 따른 미래 수영교육의 발전방안을 세 가지로 제시하였다. Swimming, which appeared in history from the early days of mankind and developed as a sport, was recognized for its value and was continuously reflected in the documents of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but it was having difficulties in terms of practicality. On the other hand, lifesaving swimming, which was introduced in earnest after the Sewol ferry incident, is actively practiced at the school field, but unlike swimming in curriculum education, it is insufficient in terms of reflection of curriculum documents. This study focused on these two aspects of swimming education and attempted to diagnose the current situation and suggest implications through diachronic search and synchronic analysis based on th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To this end, from the first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to the current 2015 revise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swimming education was reviewed, and the two flows of swimming education were compared and analyzed at this point. Through a synchronic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swimming stroke tended to reduce the application to the curriculum and move toward absence in practicality and that lifesaving swimming was being practiced, but the basis for the curriculum was insufficient. Synchronic analysis was conducted at the document level and practical level of the curriculum, and although the practicality of the current swimming education has increased, it can be derived that new problems arise both in terms of application and practicality. Based on these results, three ways to develop future swimming education according to the pattern of application to the curriculum documents of lifesaving swimming were presented.

      • KCI등재

        생존수영 피교육생의 사회화 주관자가 인지하는 생존수영 문제점 분석 및 개선방안 제안에 관한 질적연구

        권연택 한국스포츠학회 2019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rive the improvement plan of survival swimming education by analyzing the status and problems of survival swimming program. Sampling among nomadic sampling methods studies f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provide training for swimming training in Bundang-gu, Seongnam-si, Gyeonggi-do, five swimming instructors who are entrusted with training for swimming training, and five parents whose children are training for swimming training. The participants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and the conclusions obtained through in-depth interview,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re as follows. First, as an improvement plan for survival swimming facilitie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swimming pools in elementary schools, evenly distribute and manage the educational equipment for survival swimming, and to establish an institutional system to perform survival swimming in open water on a regular basis. Second, to improve the survival swimmers, the teacher group should be educated as a semi-professional group. In addition to enhancing the professionalism of the survival swimmers, a national certified survival swimmer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Third, to improve the survival swimming program,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urvival swimming training hours and to develop a systematic survival swimming program considering the site conditions, training time, and educational equipment. 본 연구는 생존수영 프로그램의 현황 및 문제점 분석을 통해 생존수영 교육의 개선방안을 도출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었다. 유목적 표집법 중 표본추출을 통해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소재 수영의무교육을 실시하는 초등학교 교사 5명, 수영의무교육을 위탁받아서 진행하는 수영강사 5명, 자녀가 수영의무교육을 받고 있는 학부모 5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으며, 질적연구 방법인 심층면담을 통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생존수영 시설 개선방안으로는 초등학교 내 수영장 시설을 신설하고 생존수영 교육장비를 균등하게 배분 관리하며, 정기적으로 개방형 수역에서 생존수영을 실시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둘째, 생존수영 지도자 개선방안으로는 교사집단을 준전문가집단으로 교육시켜야 하며, 생존수영 지도자들의 전문성 제고와 함께, 국가공인 생존수영 자격제도를 신설해야 할 것이다. 셋째, 생존수영 프로그램 개선방안으로는 생존수영 교육시수를 확대하고 현장여건과 교육시간, 교육장비를 고려한 체계적인 생존수영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수영지신밟기의 연행적 특징과 명인들

        박기현 영남춤학회 2020 영남춤학회誌 Vol.8 No.2

        This study is a discussion to investigate the performative characteristics of “Suyeong Jisinbapgi” and the artistic activities of masters. In the Suyeong Area, since “Excursion in Suyeong (Suyeong Yaryu)” was covered with the crops and money obtained from ‘Jisinbapgi’ Jisinbapgi was considered part of “Suyeong Yaryu.” For this reason, “Suyeong Jisinbapgi” became independent from “Excursion in Suyeong” relatively late. And yet, “Suyeong Jisinbapgi” was a preceding process to perform Excursion and at the same time, a separate ritual for times and seasons to wish the village and family peace and luck. Since today, “Jisinbapgi” is often settled as a performing culture unlike in the traditional society, it gradually loses its original form, emphasizing various interesting elements. However, “Suyeong Jisinbapgi” relatively strongly maintains the basic property of Ritual for the God of the Earth, which is a play and at the same time a ritual. Since “Suyeong Jisinbapgi” has relatively recently become independent from Excursion, there have been no independent studies.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Suyeong Jisinbapgi” differentiated from other Jisinbapgi through the existing literature, recordings, video materials, and surveys on oral statements, though they were limited data.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the world of art of masters who played the central role in the process in which “Suyeong Jisinbapgi” has been handed down and designated as a cultural asset. 지신밟기는 악귀와 잡신을 물리치고 마을의 안녕과 풍작 및 가정의 복을 기원하는 벽사진경(辟邪進慶)을 목적으로 하는 제의적 놀이다. 수영에서는 지신밟기로 얻은 곡식과 돈을 <수영야류>의 경비로 충당했기 때문에 지신밟기를 <수영야류>의 사전 행사 또는 한 부분으로 여겨왔다. 이 때문에 <수영지신밟기>는 비교적 늦게 야류로부터 독립했다. 하지만 <수영지신밟기>는 야류를 연행하기 위한 선행 과정인 동시에 마을과 가정의 안녕과 복을 기원하는 개별적인 세시의례이기도 하다. 오늘날 지신밟기는 전통사회에서와 달리 공연문화로 정착된 경우가 많기 때문에 흥미와 연희성의 강조로 본래적 모습을 점점 잃어가고 있다. 하지만 <수영지신밟기>는 놀이면서도 제의라는 지신밟기의 기본 속성을 비교적 강하게 유지하고 있다. <수영지신밟기>가 야류로부터 독립된 것이 비교적 최근이기 때문에 현재까지 <수영지신밟기>에 대해서 독자적인 연구가 이루어진 바가 없다. 본고에서는 제한된 자료이지만 기존 문헌 자료와 녹음 및 영상 자료, 구술 조사를 통해 여타 지신밟기와 변별되는 <수영지신밟기>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또 <수영지신밟기>가 현재까지 전승되고, 문화재로 지정되는 과정에 중심적인 역할을 했던 명인들의 활동을 살펴보았다. <수영지신밟기>는 연희자들이 수영 지역 여타 놀이들을 오가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독자성이나 차별성이 부족한 것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그러나 이는 읍치(邑治) 단위의 연희인 수영야류의 일부분이었던 흔적이자 수영지역 민속 예술의 전반적인 특징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수영과 생존수영 교육과정의 통합운영을 위한 전략적 탐색

        김도형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4

        Objectives This study seeks to strategically explore the rationale for the integrated operation of swimming and survival swimming within th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by identifying the operating conditions and problems of the swimming and survival swimming curriculum. Methods To this end, a literature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and understand the relevant curriculum and laws, educational manuals, and previous studies. Results The swimming curriculum is operated due to the inconsistency between the curriculum and the manual within the regular subject, the burden of teachers in conducting practical classes, etc., and the survival swimming curriculum due to the burden of conducting compulsory education as a non-specialty subject, and the teacher's non-professionalism in the subject. It was identified as the actual situation and problems. Conclusions We propose as additional policies related to operation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clear achievement standards for each stage and grade of swimming and survival swimming curriculum within th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reorganization of the standard curriculum, and enhancement of the professionalism of the education subject. 목적 본 연구에서는 수영 및 생존수영 교육과정의 운영 실태와 문제점을 파악하여 체육과 교육과정 내에서의 수영과 생존수영의통합 운영을 위한 근거를 전략적으로 탐색하고자 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수영과 생존수영 교육과정과 이와 관련된 법령, 그리고 교육 매뉴얼, 선행연구 등을 분석하고 운영 실태와 문제점등을 파악하였으며, 수영과 생존수영 교육과정의 통합운영을 위한 관련 법규와 정책 등을 문헌연구하였다. 결과 수영 교육과정은 정규교과 내에서 교육과정과 매뉴얼의 불일치, 교사의 실기 수업 진행에 대한 부담 등, 그리고 생존수영 교육과정은 비교과로서의 의무교육 실시에 대한 부담, 교사의 해당과목의 비전문성 등이 운영 실태 및 문제점으로 파악되었다. 결론 초⋅중등학교 체육과 교육과정 내에서의 수영 및 생존수영 교육과정의 단계별, 학년별 명확한 성취기준의 성립을 통한 운영과이에따른 표준교육과정의 재구성, 교육주체자의 전문성 신장 등을 관련 부가 정책으로 제안한다.

      • KCI등재

        생존수영 의무교육에 대한 강사의 인식과 경험

        강민욱(Kang, Minuk),원동현(Won, Dong Hyun),조욱연(Jo, Woogyeon)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021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Vol.34 No.1

        정부는 지난 2017년 ‘제1차 국민안전교육 기본계획’ 등을 통하여 초등학생 대상 생존수영 의무교육을 2020년까지 전 학년을 대상으로 단계적 확대할 것을 발표하였다. 생존수영 의무교육을 위한 법, 제도의 변화 그리고 생존수영 활성화를 위한 방안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으며, 지금까지의 성과와 미흡한 부분에 대한 성찰이 이루어져야 할 시점이다. 생존수영 의무교육과 관련한 주요 대상은 행정관리 주체인 정부, 지방자치단체, 학교 등이 있으며, 교육대상인 학생 또는 학부모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교육을 실시하는 교사, 지도자 등이 있는데, 이들에게는 교육내용인 생존수영 특수성을 고려하여 지식전달 및 기능습득, 신체적 발달을 위한 전문 역량이 요구된다. 생존수영 교육 주관자인 강사를 대상으로 이들의 인식과 경험을 탐색하여 생존수영 의무교육의 진행 과정을 진단하고 효과적 교육 목표 달성을 위한 문제 발굴 및 발전방향을 모색하는 것은 학술적인 가치가 충분할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생존수영 강사를 모집단으로 설정한 후 비확률 표집 표본추출 방법 중 하나인 눈덩이 표집으로 연구대상을 확보하였으며, 최종 9명의 연구 참가자를 선정하였다. 2018년 12월부터 2019년 7월 까지 약 8개월 간 심층면담과 관찰을 통한 자료수집과 분석이 이루어졌다. 반구조화 면담과 비구조화된 면담을 혼합하여 수집된 자료는 자료처리방법에 따라 전사, 약호화, 범주화, 개념화 단계를 거쳐 결과로 도출되었다. 생존수영 강사들이 현장에서 체험하는 인식과 경험에 대해 의미를 부여하고 가치를 평가한 내용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제시한다. 첫째, 생존수영 강사는 의무교육 현장으로부터 주변화를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생존수영 의무교육의 활성화 및 안정적 정착을 위해서는 강사의 고용안정화를 추구해야 할 것이다. 위의 내용을 종합하여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생존수영 의무교육은 물론 제도권 교육기관에서의 생존수영 교육의 효과적인 목적 달성 및 안정적인 정착을 위하여 수영장 수, 생존수영 교육 프로그램만큼이나 강사에 대한 제도적 지원과 사회적인 관심, 논의가 촉구되어야 할 것이다. The main subjects related to compulsory survival swimming education include the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and schools, which are administrative management entities and may include students or parents who are subject to education. Besides, some teachers and leaders provide education, and they are required to have specialized competencies for knowledge transfer, skill acquisition, and physical development in consideration of the specificity of survival swimming, which is the content of education. It would be of sufficient academic value to diagnose the progress of compulsory survival swimming education by exploratory access to instructors who are in charge of survival swimming education and to discover problems and develop directions for achieving effective education goals. will be. In this study, after selecting elementary school survival swimming instructors as a population, subjects were secured through snowball sampling, one of the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s, and the final 9 study participants were selected. From December 2018 to July 2019,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were condu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observations for about 8 months. The data collected by mixing semi-structured interviews and unstructured interviews were derived as results through transcription, coding, categorization, and conceptualization according to the data processing method.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presented based on the evaluation of the value and giving meaning to the perceptions and experiences encountered by survival swim instructors in the field. First, it was found that survival swimming instructors are experiencing marginalization from the compulsory education field. Second, for the vitalization and stable settlement of compulsory survival swimming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pursue employment stabilization of instructors. In addition to compulsory survival swimming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s well as the number of swimming pools and survival swimming education programs, institutional support, and social interest in instructors, In other words, a discussion should be encouraged.

      • KCI등재후보

        수영참가자의 운동 몰입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지각된 유능감의 매개효과

        한재문,김원경 한국스포츠학회 2017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5 No.2

        본 연구는 수영 참가자를 대상으로 운동 몰입, 생활만족도, 지각된 유능감 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실증적으 로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연구대상은 수영운동에 참가하고 있는 수영참가자 342명을 편의표본 추출하였다. 본 설문은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면에 위치한 에코-랜드 수영장 회원과 인천송도에서 열린 미추홀 듀애슬론대회에 참가자 중 수영운동에 참가하는 대상자, 대한적십자사 서울지사에서 실시한 수상인명구조요원 재강습 참가자를 대상으로 하였 다. 자료 분석은 기술통계와 변수들 간 신뢰도분석을 실시하고, 타당성 검증을 위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을 실시하였다. 아울러 요인분석을 통해 도출된 운동 몰입, 생활만족도, 지각된 유능감 간의 영향관계는 경로분석을 실 시하였다. 도출된 결과로는 첫째, 수영참가자의 운동 몰입은 지각된 유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영참가자의 지각된 유능감은 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자아유능감과 내적만족 의 관계에서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영참가자의 운동 몰입은 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 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행위몰입과 외적만족, 정신만족의 관계에서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 다. 넷째, 수영참가자의 운동 몰입, 생활만족도 관계에서 지각된 유능감은 매개효과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swimming participants’exercise flow, perceived competence and life satisfaction. Using convenient sampling was adopted by the survey swimmers who are 342 in the members of swimming clubs participants. The data collected from the survey were analyzed and to identify study topic, fundamental frequency analysis. To test inter-variable validit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In addition, path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found by factor analysis among exercise flow, life satisfaction and perceived compet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wimming participants’exercise flow showed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competence. Second, swimming participants’perceived competence was found have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but showed no significant effect on self-competence and internal satisfaction. Third, swimming participants’exercise flow was found to have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but no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relationship with behavioral commitment, external satisfaction and mental satisfaction. Fo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wimming participants’exercise flow and life satisfaction; perceived competence was found to have mediation eff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