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플립수업과 강의식 수업에서 간호대학생의 학습동기와 수업참여도 및 수업만족도

        이내영(Lee Nae Young),한지영(Han Ji 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8

        본 연구는 보건교육 및 방법론을 수강하는 간호대학생 49명을 대상으로 7주의 강의식 수업과 6주의 플립수업을 시행하여 대상자의 학습동기와 수업참여도 및 수업만족도를 확인ㆍ비교하였으며, 각 수업방식에서의 학습동기와 수업참여도가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학습동기, 수업참여도 및 수업만족도에서 플립수업이 강의식 수업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강의식 수업과 플립수업 모두 학습동기, 수업참여도 및 수업만족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순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의식 수업에서는 학습동기가 수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으로 44.7%의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플립수업에서는 학습동기, 수업참여도 모두 수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으로 77.1%의 설명력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보다 효율적이고 적극적인 간호학 수업을 설계하는 데 있어 플립러닝의 특성을 활용할 것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study was to investigate nurse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class participation, and class satisfaction on flipped class and teacher-centered class. Study participants were 49 nursing students enrolling in health education. The flipped class was composed of online learning, cooperative learning and teacher s statement properly for 6 weeks while and teacher-centered class consisted of a teacher s statement mostly for 7 weeks. The data were collected by quesionnaires ans were analyzed with SPSS 23.0,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aired sample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are as followers. In teacher-centered class, the mean score for learning motivation was 3.59±.43, for class participation, 3.10±.50, and for class satisfaction, 3.56±.54. In flipped class, he mean score for learning motivation was 3.73±.52, for class participation, 3.37±.33, and for class satisfaction, 3.82±.58. The flipped class was higher learning motivation, class participation, and class satisfaction than the teacher-centered class. In teacher-centered class, the regression model explained 44.7% and learning motivation was significant predictor of class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in flipped class, the regression model explained 77.0% and both learning motivation and class participation were significant predictor of class satisfaction. These study findings provided that flipped class can facilitate in increasing the learning motivation, class participation, and class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flipped class should be exploited in designing nursing classes.

      • KCI등재

        대학생이 경험하는 비대면 수업의 어려움과 수업 참여도의 관계 : 의논대상의 조절효과

        조서연(Seo-yeon Cho),오정희(Jung-hee Oh),함은혜(Eun-hye Ham),임다미(Tami Im)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2 교육과학연구 Vol.24 No.3

        본 연구는 비대면 수업에서 대학생이 경험하는 어려움과 수업참여도의 관계를 탐색하고, 변수 간 관계에서 학생들이 비대면 수업의 어려움을 의논하는 대상의 유무와 분류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충청남도 K대학의 재학생을 대상으로 수집한 설문조사에 대한 800명의 응답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논대상 유무에 따라 어려움과 참여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겻으로 나타났다. 비대면 수업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을 담당 교수나 동료학습자, 학교 직원 등과 의논하는 학생이 평균적으로 비대면 수업에서 문제를 해결하고, 수업에 효과적으로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이 비대면 수업의 어려움을 의논하는 대상에 따라 어려움과 참여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구체적으로 담당교수 혹은 기타 대상에게 어려움을 의논한 학생이 동료학습자에 어려움을 의논한 학생보다 높은 비대면 수업 참여도를 보였다. 셋째, 비대면 수업 어려움이 수업 참여도에 미치는 영향에 의논대상이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논대상이 담당교수인 학생들에 대해서 조절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고, 의논대상이 없는 학생들에 비해 비대면 수업 어려움이 참여도에 미치는 부적 영향을 완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와 추후 과제가 논의되었다.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by university students in non-face-to-face classes and class participation, and examines the influence of the presence and classification of person with whom students discuss difficulties in non-face-to-face class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800 responses to a survey collected from university students were used for analysi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difficulty and participation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discussion target. On average, students who discuss difficulties experienced in non-face-to-face classes with professors, fellow learners, and school staff solve problems and participate effectively in class.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difficulty and participation according to the person with which students discussed the difficulties. Specifically, students who discussed difficulties with their professors or other subjects showed higher participation in class than students who discussed with fellow learners. Third, it was found that the person to discuss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effect of non-face-to-face class difficulties on class participation. It was found that the moderating effect was significant for the students who discussed with the professor in charge, and the negative effect of non-face-to-face class difficulties on participation was alleviated compared to the students without the target of discussion. Finally,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and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거꾸로 수업을 활용한 과학 중심 STEAM 프로그램이 학생의 수업 참여도에 미치는 영향

        진민혜 ( Jin Min Hye ),신영준 ( Shin Young Joon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6 한국초등교육 Vol.27 No.3

        본 연구는 초등학교 5학년 과학교과를 중심으로 거꾸로 수업을 활용한 STEAM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수업 참여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 것이다. 연구 대상은 인천광역시 소 재 S초등학교 5학년이며 연구반(26명)과 비교반(26명)으로 선정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반 에는 거꾸로 수업을 활용한 과학 중심 STEAM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으며, 비교반에는 실험 위 주의 STEAM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수업 후 두 집단의 수업 참여도를 통계적으로 비교 분 석하였으며, 연구반 학생의 경우 면담을 통해서도 거꾸로 수업의 의미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반과 비교반 간의 수업 참여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나 연구반 내에서 수업 참여도 평균 점수의 상승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거꾸로 수업을 활용한 STEAM 프로그램이 학생의 수업 참여 향상에 어느 정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 가정 할 수 있었다. 또한 좀 더 명확한 원인 분석을 위해 연구반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 한 결과, STEAM 프로그램에서 거꾸로 수업 방식을 활용하는 수업 설계 전략과 학생들의 사 전 학습에 대한 부담, STEAM 프로그램 종류에 따른 거꾸로 수업의 적용 방식의 적절성 여부 등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 요인이었다. 교사의 수업 설계 전략 부족, 그리고 STEAM 프로그램에서 거꾸로 수업 방식을 적절히 활용하지 못한 부분이 있었고 일부 거꾸로 수업을 선호하지 않는 학생들은 사전 학습에 대한 부담감을 갖고 있었다. STEAM 프로그램과 거꾸로 수업의 형식적인 결합에만 치중하였던 것도 수업 참여를 높이는데 한계점을 가져다주었다. In this study, STEAM program using by Flipped Learning in the center the subject of the fifth-grade science elementary school was examined how effect on learner participation.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experiment group(26), control group(26). The experimental group was applied STEAM program using by Flipped Learning. The control group was applied to general STEAM program.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the control group at learner participation. However,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confirmed some increase in the average score at learner participation. Therefore, there can be assumed that STEAM program using by Flipped Learning effected positive impacts on the improvement of learner participation. Also it conducted a qualitative study of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for a more precise analysis. Conclusions obtained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had significant increase in the average score. This result means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improving learner participation when we utilize STEAM program using by Flipped Learning at class. Second, the short teaching method to STEAM program using by Flipped Learning, pressure of pre-study at home and the ways of Application-Methods of Flipped Learning at each STEAM program were the main reasons. Formal combining of STEAM program and Flipped Learning was also reason of the breaking point of improving the students’ learner participation.

      • KCI등재

        생태학 관점의 문법수업이 중학생의 수업참여도 및 학습경험에 미치는 영향

        김수정 한국어문학회 2022 語文學 Vol.- No.15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rammar classes from an ecological perspective on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ion in grammar classes and to identify meaningful learning experiences perceived by student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90 students from four classes in the 3rd year of △△ middle school, and the fourth class was conducted by designing a grammar class that reflects an ecological perspective. In order to measure class participation, the “class participation” scale was used among the questionnaires for measuring perceptions of participation in Korean language classes by Song Hyeon-jeong (2012).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 of the ecological perspective grammar class on learners' “class participation,” the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participation was verified. A paired sample t-test was used to analyze the questionnaire data. Inductive category analysis was used for the open-ended survey data designed to explore the learning experiences of middle school students. Following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ion in grammar classes improved through grammar classes from an ecological perspective, and it was found there was a meaningful learning experience in the areas of interest, reflection on one’s own language, and sensitivity to the Korean language for which the 2022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aims. Through this, the effectiveness of grammar classes from an ecological perspective has been verified, and it is expected that ecological grammar classes will be used in the school field in the future. 이 연구는 생태학적 관점의 문법 수업이 중학생의 문법 수업참여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학생들이 인식한 유의미한 학습경험을 파악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중학교 3학년에 재학 중인 네 학급의 90명 학생이며, 생태학적 관점이 반영된 문법 수업을 설계하여 4차시 수업을 진행하였다. 수업참여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송현정(2012)의 국어 수업참여에 대한 인식 측정 설문지 가운데 ‘수업참여’ 척도를 사용하였다. 생태학적 관점의 문법 수업이 학습자의 ‘수업참여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사전과 사후의 참여도 차이를 검증하였다. 설문지 분석 방법으로는 대응 표본 t-test를 이용하였다. 중학생의 학습경험을 탐색하기 위한 개방형 설문자료는 귀납적 범주 분석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생태학적 관점의 문법 수업을 통해 중학생들의 문법 수업참여도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이 지향하는 흥미, 자신의 언어 성찰, 국어생활에 대한 민감성 측면에서 유의미한 학습경험을 보여주었다. 이를 통해 생태학적 관점의 문법 수업의 효과성이 검증되었으며 향후 생태학적 관점의 문법 수업이 학교 현장에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 KCI등재

        대학생의 비대면 수업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학생 수업 참여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소민,김경리 한국교육방법학회 2021 교육방법연구 Vol.33 No.2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satisfaction on non-face-to-face class in a university. It was analyzed based on the response data of students in A university.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d on mediating effect of student participation.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ploring the factors that affect non-face-to-face class satisfaction, three factors(instructor preparation, school preparation, and class management) influenced satisfaction. Second, when the effect of school preparation on class satisfac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tudent participation were analyzed, student participat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preparation and satisfaction. Third, when the effect of instructor preparation on class satisfac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tudent participation were analyzed, student participat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structor preparation and satisfaction. Fourth, when the effect of class management on class satisfac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tudent participation were analyzed, student participat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lass management and satisfaction. Based on the support of the school, the preparation of the instructor, and the participation of the learners, we hope that students will be able to make more satisfying non-face-to-face class. 본 연구는 수도권 A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온라인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대학생의 비대면 수업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을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특히 대학생의 비대면 수업 만족도 영향 요인중 대학 차원의 준비, 교수자 차원의 수업 준비, 수업 운영 방식에 관한 인식이 대학생의 비대면 수업 만족도에 영향을 끼치는 경로에서 학생의 수업 참여도가 매개하는지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비대면 수업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본 결과, 교수자 차원의 수업 준비, 대학 차원의 준비, 수업 운영 방식에 대한 인식 순으로 비대면 수업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비대면 수업을 위한 대학 차원의 준비가 비대면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생 수업 참여도의 매개효과를 검토한 결과, 학생 수업 참여도가 대학 차원의 준비와 비대면 수업 만족도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였다. 셋째, 비대면 수업을 위한 교수자 차원의 수업 준비가 비대면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생 수업 참여도가 비대면 수업을 위한 교수자 차원의 수업 준비와 비대면 수업 만족도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였다. 넷째, 비대면 수업 운영 방식(성적평가 방법, 출석처리 방법, 강의 공개시간에 대한 적절성)에 대한 인식이 비대면 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생 수업 참여도가 부분적으로 매개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비대면 수업이 보다 만족스러운 수업 형태로 정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비장애학생의 통합체육 수업참여와 장애수용태도 및 수업참여도의 관계

        안수운 ( Soowoon Ahn ),김경래 ( Kyeonglae Kim ) 한국특수체육학회 2024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32 No.2

        이 연구는 비장애학생의 통합체육 수업참여와 장애수용태도 및 수업참여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직접적인 통합체육수업참여에 따라서 건강하고 긍정적인 장애수용태도를 함양하도록 하여, 올바른 수업참여도를 높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3년 C도와 D광역시에 거주하며 3월 ~ 7월 통합체육수업에 참여한 입시에 영향이 없는 비장애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해서 305명의 표본을 추출하여, 연구목적에 적합한 290명의 유효 표본을 확보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설문지는 타당성 확보를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다중회귀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해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장애학생의 통합체육 수업참여는 장애수용태도와 수업참여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비장애학생의 장애수용태도는 수업참여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비장애학생의 장애수용태도는 통합체육 수업참여와 수업참여도 사이에서 부분매개역할을 한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통합체육 수업에 참여하는 비장애학생들은 수업 참여시 접촉이나 일탈행위에 대한 반응에서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스스로에게 수업 참여수준, 동기 및 흥미도를 높이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causal relationship between integrated physical education participation, disability acceptance attitude and class participation of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as an approach to improving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expectation for their future.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 group of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living in C and D province was set up as a population in 2023 and 290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were selected by using convenience sampling, and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tegrated physical education participation has direct effect on disability acceptance attitude and Class participation. Second, disability acceptance attitude has direct effect on class participation. Third, disability acceptance attitude has partial mediation effect between integrated physical education participation and class participation. Combining these findings above, it was inferred that integrated physical education participation directly effects on disability acceptance attitude and class participation. disability acceptance attitude directly effects on class participation and partial mediation effect between integrated physical education participation and class participation.

      • 메이커 교육을 적용한 과학 수업이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도, 과학에 대한 태도 및 수업참여도에 미치는 효과

        김우식,노석구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21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학술대회 Vol.80 No.-

        본 연구의 목적은 메이커 교육을 적용한 과학 수업이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도, 과학에 대한 태도 및 수업 참여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연구 대상은 경기도 I시 소재 S초등학교 5학년 56명이다. 연구의 수행을 위해 실험반은 메이커 교육을 적용하여 재구성한 5학년 1학기 ‘태양계와 별’ 11차시를, 비교반은 과학 지도서에 제시된 방법으로 수업을 실시하였다. 학업성취도, 과학에 대한 태도, 수업참여도에 대한 두 집단의 사전검사를 실시하여 동질집단임을 확인하였으며, 연구 수행 후 사후 검사를 통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메이커 교육을 적용한 과학 수업은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 둘째, 메이커 교육을 적용한 과학 수업은 초등학생의 과학에 대한 태도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보였으며, 하위영역 중에서는 과학 탐구에 대한 태도, 과학적 태도의 수용, 과학 수업의 즐거움 영역에서는 보다 긍정적인 효과를 확인하였다. 셋째, 메이커 교육을 적용한 과학 수업은 수업 참여도에도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는데, 하위영역 중에서는 수업준비, 수업활동, 의사표현, 수업열정 영역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메이커 교육을 적용한 과학수업이 초등학생들의 학업성취도, 과학에 대한 태도, 수업참여도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추후 메이커 교육에 대한 연구에서도 본 연구가 유의미한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디자인·콘텐츠 전공 실습교육에서 원격수업 참여도가 학습자특성과 학습만족도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 - 그릿, 자기효능감, 과제가치를 중심으로

        김세화,김미진,이명희,최규혁 한국기초조형학회 2022 기초조형학연구 Vol.23 No.2

        위드코로나 환경에 들어서 대학의 원격교육은 대면수업과 병행하여 지속 운영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지난 2년간 가장 어려움이 많았던 전공실습과목의 원격수업 만족도는 크게 개선되지 않았다. 따라서 이 연구는 디자인·콘텐츠 전공 실습과목의 원격수업 학습만족도 제고를 목적으로, 수업참여와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특성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내용은 원격교육의 수업참여와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예측 변인으로 학습자특성(그릿, 자기효능감, 과제가치)을 설정하고 원격수업 참여도가 학습자특성과 학습만족도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때 원격수업의 수업유형을 동시적 원격수업과 비동시적 원격수업으로 구분하여 진행하였다. 조사에는 동시적 원격수업과 비동시적 원격수업을 혼합하여 진행하는 6강좌의 수강생 141명이 참여하였으며 36문항에 대해 답변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시적, 비동시적 원격수업 수업참여도는 학습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영향력은 비동시적 원격수업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두 유형의 원격수업 모두에서 그릿의 하위 변인인 노력지속력은 학습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효능감의 하위 변인인 정보처리 효능감은 동시적 원격수업 수업참여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자기학습 효능감은 비동시적 원격수업 수업참여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나타났다. 과제가치는 동시적, 비동시적 원격수업 모두의 수업참여도와 학습만족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데 그 영향력은 높았다. 셋째, 동시적, 비동시적 원격수업의 수업참여도는 과제가치와 학습만족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영향력은 녹화된 강의동영상을 시청하는 비동시 원격수업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디자인·콘텐츠 전공 실습과목의 원격수업에서 학생이 가치를 부여할 수 있는 ‘과제설정’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 KCI등재

        가정교과에 적용한 거꾸로 수업이 중학생의 수업참여도, 자기주도학습능력 및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조희수,장윤옥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6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8 No.4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lipped learning applied to home economics education on improving middle school students’ academic engagement,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social interac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29 third-grade students in middle school. To verify the effects of flipped learning adequately, 129 middle school students divided into two groups have participated in the study over a course of nine weeks. One group was taught in the traditional instructed learning method while the other one in the flipped learning methods. The two groups were taught in 13 sessions in total once or twice a week, and each session took 45 minutes. For pretest and post test, the questionnaire consisting of academic engagement scale, self-directed learning scale and social interaction scale were used. To analyze data, ANCOVA was used to examin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e following : First,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flipped learning are more improved than those who participate in instructed learning in academic engagement. Second, students who joined in flipped learning are much more improved than those who joined in instructed learning i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ird, students who join in flipped learning were much more improved than those who joined in instructed learning in social interaction 본 연구는 거꾸로 수업이 중학생의 수업참여도, 자기주도학습능력,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가 어떠한지를 알아보는데 그목적이 있다. 본연구의 대상은 중학교 3학년 129명으로 거꾸로 수업의 효과를 타당하게 검증하기 위해 129명의 중학생들을 2개의집단으로 나우어 9주에 걸쳐 연구를 하였다. 하나의 집단은 강의식 수업으로 13차시를 수업하였고, 다른 집단은 거꾸로 수업을 적용하여 13차시를 수업하였다. 수업참여도, 자기주도학습능력, 사회적 상호작용 척도로 구성된 질문지를 조사도구로 사용하였다. 수집된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빈도 및 백분율을 구하고, 신뢰도를 파악하기 위해서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Cronbach’s α계수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연구결과와 논의를 통해 얻은 요약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거꾸로 수업을 받은 학생들이 강의식 수업을 받은 학생들보다 수업참여도가 유의하게 더 많이 향상되는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거꾸로 수업을 받은 학생들이 강의식 수업을 받은 학생들보다 자기주도학습능력이 유의하게 더 많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거꾸로 수업을 받은 학생들이 강의식 수업을 받은 학생들보다 사회적 상호작용이 유의하게 더 많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교과는 실천교과로서 학습자가 배운 내용을 실제의 생활에 적용시켜 실천적 문제해결능력, 창의력, 대인관계능력, 의사소통능력 등의 실천적 태도를 신장시켜 주는 교과이므로 이러한 본 연구의 거꾸로 수업의 효과 검증 결과를 바탕으로 가정교과에 거꾸로수업을 적용한다면 중학생의 수업참여도, 자기주도학습능력 및 사회적 상호작용의 증진에 도움이 될 것이다.

      • KCI등재

        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한 중학교 통합체육수업이 장애학생에 대한 비장애학생의 태도와 수업참여도에 미치는 영향

        박민정 ( Min Jung Park ) 한국특수체육학회 2014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2 No.3

        본 연구는 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한 중학교 통합체육수업을 실시하였을 때, 장애학생에 대한 비장애 학생의 태도와 수업참여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B지역 소재 중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인 400명의 학생 중 스포츠클럽시간에 표현활동종목을 선택한 60명의 학생(장애학생 6명, 비장애학생 54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비장애학생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27명씩 무선배치 하였고, 장애학생 6명은 장애영역을 바탕으로 짝짓기 방법을 통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3명씩 배치하였다. 연구의 절차는 연구 참여자선정 및 집단구성, 연구참여 교사 사전연수, 사전검사, 중재기간(12주간 주 2회 45분의 수업실시), 사후검사로 구성되어 총 18주간 진행되었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장애학생의 수업참여도는 기술통계분석을, 비장애학생의 태도와 수업참여도의 경우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한 통합체육수업에 참여한 비장애학생들의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가 통제집단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한 통합체육수업에 참여한 장애학생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수업참여도 검사의 모든 하위영역에서 더 높은 점수를 얻었다. 셋째, 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한 통합체육수업에 참여한 비장애학생들이 통제집단에 비하여 수업참여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보편적 학습설계를 적용한 중학교 통합체육수업은 장애학생에 대한 바람직한 태도를 형성하는 것과 학생들의 수업 참여도를 높이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inclusive physical class applied UDL(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on the class participation and the disabilities attitude.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are 60 freshmen of A middle school located in Bucheon. The experimental group was consisted of 30 students(3 disabled included) and the control group was consisted of same numbers. 18 sessions were carried out with inclusive physical class applied UDL. In order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descriptive statics was performed on disabled while Analysis of Covariance(ANCOVA) on non-disabled.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disabilities acceptance attitude and class participation of non-disabled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Second, disabled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higher score in the inclusive physical class applied UDL than the control group. Thir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class participation of non-disavbled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