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사회구성주의와 수업 연구의 방법론적 탐색 : A Methodological Investigation

        손민호 한국교육인류학회 2004 교육인류학연구 Vol.7 No.1

        교사와 학생 혹은 학생과 학생간에 주고받는 상호작용은 교육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관심의 대상 가운데 하나로 간주되어왔다. 특히 교육 연구에서도 사회구성주의 논의가 널리 다루어지게 됨에 따라 교육적 장면에서의 상호작용에 대한 관심은 더욱 부각되기 시작하였다. 이 글에서는 수업에서 교사와 학생이 공유하는 상호작용 혹은 학생과 학생 사이에 일어나는 상호작용 현상에 대해 어떻게 접근해 나갈 것인가 하는 연구 방법론에 관해 논의하기로 한다. 특히, 이 글에서는 사회적 상호작용을 드러내는 다양한 접근 가운데에서 민속방법론과 대화 분석에 대해 소개하기로 한다. 이 글은 최근에 논의되고 있는 사회 구성주의에 대해 우리의 이해를 보다 심화시키면서, 아울러 이러한 관점이 학교 수업에서 일어나는 사회적 상호작용에 대한 우리의 이해에 기여할 수 있는 바가 무엇인지 탐색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출발하였다. This study elucidates social constructivism as a Possibility of methodological perspective on classroom lessons. In educational studies, social constructivism has been treated as a professional discourse with which researchers prescribe classroom lesson method. Meanwhile, the contingent and social nature of construction of meaning in pedagogical settings tend to be neglected. This is noticeable when we take a close look at the way that interaction is treated in pedagogical situation. Instead, this study rehabilitates the notion of interaction as everyday practice, with introducing a methodological perspective of social constructivism. The perspective this study suggests is ethnomethodology and conversation analysis, which provide a usable tool with which we understand the nature of pedagogical, interactional practice in the everyday life world. This study shows how individuals interactionally construct knowledge and meaning through classroom lessons, and search for its implication to supplement the constructivist discourse in education.

      • KCI등재

        초등교사의 목소리를 통한 TEE 수업 실천에 대한 기반연구

        전자영,김정렬 한국외국어교육학회 2022 Foreign languages education Vol.29 No.3

        This study is to explore and analyze three current English teachers’ thoughts and attitudes on their TEE practices in elementary English classroom settings. Adopting a qualitative approach,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teachers’ journals, and informal communications from the three elementary school English teachers. The analysis of data revealed three main themes: 1) thoughts on effective TEE classes, 2) factors affecting TEE classes, 3) the difficulties of conducting TEE classes. The participants presented their views on effective TEE classes. They also expressed their opinion on the timing and usage of TEE. The teachers said TEE classes are influenced by teachers’ English communication ability and willingness to use English as the instructional language, students’ English proficiency and the class atmosphere. Finally, the participants said that TEE classes were difficult due to the same factors influencing TEE class effectiveness. This study has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of TEE implementation in elementary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