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말기 환자의 수액요법에 대한 간호사의 인식

        조현숙,조옥희,유양숙,Jo, Hyeon-Sook,Cho, Ok-Hee,Yoo, Yang-Sook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10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13 No.4

        목적: 본 연구는 말기 환자에게 실시하는 수액요법에 대한 간호사들의 인식과 수액요법 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방법: 대상자는 서울에 소재한 3개 대학병원의 암 병동 간호사 87명과 보건복지부의 호스피스 시범사업 지원기관으로 선정된 1개 호스피스기관의 간호사 113명, 총 200명이었다. 자료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08년 3월 10일부터 3월 31일까지 수집하였으며, 수액요법에 대한 호스피스기관 간호사와 암 병동 간호사의 인식 차이는 $x^2test$와 ANCOVA로 알아보았다. 결과: 호스피스기관의 간호사가 암 병동 간호사에 비해 '말기 환자에게 수액을 주입하면 전신무력감이 호전되지 않는다', '수액을 주입하여도 섬망이나 안절부절함, 의식장애가 완화되지 않는다', '수액을 제한하면 폐부종이 감소되고 기침, 가래, 호흡곤란이 감소된다', '수액을 제한하면 복수가 최소화된다’고 응답한 경우가 많았다. 말기 환자에게 실시하는 수액요법에 대한 심리사회적인 측면의 인식도는 암 병동 간호사가 호스피스기관 간호사보다 높아 긍정적이었다. 호스피스기관이 암병동보다 말기 환자에게 수액을 말초정맥 혈관이나 지속적 피하 점적주사로 주입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주입하는 하루 평균 수액양이 적었다. 말기 환자에게 수액 요법을 하는 이유로 호스피스 기관은 '환자나 가족이 원해서'가 가장 많았으며, '환자 및 가족에게 치료를 지속하고 있다는 안정감을 주므로'와 '수액요법이 기본적인 처방이므로' 순이었으나 종합병원의 암 병동은 '환자나 가족에게 치료를 지속하고 있다는 안정감을 주므로', '환자나 가족이 원해서', '탈수를 교정하기 위해서' 순이었다. 결론: 종합병원의 암 병동 간호사들은 호스피스기관 간호사에 비하여 말기 환자에게 실시하는 수액요법에 대하여 긍정적이었으며, 두 기관 모두 환자나 가족이 원하여 말기 환자에게 수액요법을 시행하는 경우가 많았으므로 불필요한 수액요법을 시행하지 않도록 간호사는 물론 환자와 가족을 대상으로 교육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how nurses who take care of terminal patients perceive fluid therapy and how this therapy is currently being used in hospitals. Methods: This survey included 200 nurses, 87 of whom were working in the oncology units of 3 university hospitals in Seoul, Korea, and 113 were working in 18 hospice centers.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by means of structured questionnaires and analyzed by using the Statistical Analysis System software.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towards fluid therapy between nurses working in oncology units and those working in hospice centers were examined using the $x^2$ test and analysis of covariance. Results: Fluid therapy was perceived more negatively by the nurses from hospice centers than by those from oncology units. Continuous subcutaneous infusion was used in hospice centers, but not in oncology units. In addition, the average amount of fluid infused daily differed significantly between the oncology units and hospice centers. Conclusion: Our results show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towards fluid therapy between nurses in different clinical settings. Nurses caring for terminal and palliative care patients should not simply provide or withhold fluid therapy, but rather develop a wider range of views on fluid therapy, focusing on effective alternative interventions.

      • KCI등재후보

        신기능 저하 환자의 조영제 신독성 예방을 위한 N-acetylcysteine 복용과 수액요법의 비교

        서정숙 ( Jeong Sook Seo ),전혜정 ( Hae Jung Jun ),구호석 ( Ho Seok Koo ),이원동 ( Won Dong Lee ),강선우 ( Sun Woo Kang ),김영훈 ( Yeong Hoon Kim ),김양욱 ( Yang Wook Kim ),이정녀 ( Jeong Nyeo Lee ),박성한 ( Sung Han Park ),이준식 대한내과학회 2007 대한내과학회지 Vol.73 No.4

        목적: 조영제로 인한 신부전(contrast induced nephropathy, CIN)은 신기능 저하 환자에게 있어 급성신부전의 중요한 원인 중 하나이다. 이러한 CIN의 예방 방법으로서 N-acetylcysteine (NAC)와 수액 공급 병합요법이 효과적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단독 수액요법 또한 예방효과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신기능저하 환자에게 있어 단독 경구 NAC 투여가 단독 수액요법과 비교하여 CIN의 예방에 유사한 효과가 있는지, 혈관 확장제인 nitric oxide의 요중 배설에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함으로써 향후 충분한 수액요법을 하기 힘든 경우, 경구 NAC 투여만으로 CIN의 예방이 가능한가를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비이온성, 저삼투성 조영제를 이용한 방사선학적 검사(복부 컴퓨터 단층 촬영 또는 관상동맥 조영술)가 필요한 27명의 신기능 저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CIN의 정의는 급성 신부전이 발생할 특별한 원인 없이 조영제 사용 전에 비교하여 사용 후 48시간 내에 혈청크레아티닌이 0.5 mg/dL 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이 환자들 중 11명은 NAC 600 mg을 하루 두 번 복용시켰고, 16명은 0.45% saline을 1 mL/kg/Hr의 비율로 조영제를 투여하기 전 12시간 동안과 조영제 사용 후 12시간 동안 투여하였다. 환자들을 대상으로 조영제를 투여하기 전과 투여 후의 혈청 크레아티닌, FENa, 크레아티닌 청소율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NAC 투여한 5명과 수액 군의 10명을 대상으로 조영제 사용 전과 사용 48시간 후의 요중 nitrite를 측정하였다. 결과: 사용한 조영제의 평균 양(100.9±54.8 vs 114.7±38 mL; p=0.43) 및 기본 혈청 크레아티닌의 수치는 양 군에서 차이가 없었다(2.31±1.59 vs 2.18±1.4 mg/dL; p=0.98). CIN의 발생 빈도는 NAC군과 수액요법군에서 18.2%와 12.5%로 두 군 간의 유의할만한 차이가 없었다(p=1.0). 또한 조영제 사용 전 혈청 크레아티닌이 CIN발생에 가장 중요한 위험 요소였다. 뇨 nitrite/크레아티닌 비(μmol/mg)는 NAC군에서는 투여 전, 후 각각 1.26±0.57, 1.43±0.64였고, 수액요법군에서는 0.80±0.40, 1.18±0.60로 두 군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조영제 노출 후 수액용법군에 비해 NAC군에서 FENa는 증가하였다(p=0.04). 결론: 단독 경구 NAC 투여 역시 CIN의 예방에 효과적이었다. 이에 따라 수액투여가 금기시 되는 신기능 저하 환자에 있어 CIN의 예방에 NAC 단독요법이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Contrast induced nephropathy (CIN) is an important cause of acute renal failure in patients with renal dysfunction. We investigated whether oral NAC alone was sufficient to prevent CIN to the same extent as hydration in patients with renal dysfunction, and whether these treatments resulted in diffierences in the urinary excretion of nitric oxide, a vasodilator. Methods: A total of 27 patients with renal dysfunction, who underwent radiographic examination with nonionic and low osmolar contrast, were randomly assigned to receive either NAC (600 mg orally twice daily; N=11) or 0.45% saline hydration (1 mL/kg/Hr; N=16) 12 hours prior to and 12 hours after the contrast procedure. We measured serum creatinine (sCr), fractional excretion of sodium (FENa), creatinine clearance (CCr), and urinary nitrite before and after contrast administration. Results: The mean volume of contrast used was similar in the two groups (100.9±54.8 mL vs 114.7±38 mL; p=0.43), as was baseline sCr in the two groups (2.31±1.59 mg/dL vs 2.18±1.41 mg/dL; p=0.98). Treatment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incidence of CIN, with 18.2% and 12.5% in the NAC group and hydration group, respectively (p=1.0). The urinary nitrite/creatinine ratio (μmol/mg) was 1.26±0.57 and 1.43±0.64 at baseline and 48 hours after contrast exposure in the NAC group, respectively, and 0.80±0.40 and 1.18±0.60 in the hydration group, respectively, which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ENa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contrast exposure in the NAC group compared with hydration group (p=0.04) Conclusions: NAC alone may prevent CIN. When bolus hydration is contraindicated in patients with renal dysfunction, administration of NAC alone may be sufficient.(Korean J Med 73:361-367, 2007)

      • 진행된 위암 환자에게 발생한 범복막염 치료의 완화의학적 접근 - 대한가정의학회 완화의학연구회 세미나를 기초로 하여 -

        정윤주,김대균,최윤선,대한가정의학회 완화의학연구회,심재용,Jung, Yun-Joo,Kim, Dae-Kyun,Choi, Youn-Seon,Korean Palliative Medicine Research Group, Korean Palliative Medicine Research Group,Shim, Jae-Yong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06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9 No.1

        진행된 암에서 발생하는 범복막염은 치료하지 않으면 탈수와 패혈증으로 사망할 것이 예측되고 수술적 치료 또한 높은 사망률과 합병증을 가져오며, 적극적인 수액요법과 비위관삽입, 항생제 치료 등도 아직까지 효과가 불분명하고 오히려 증상의 악화도 가져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대한가정의학과 완화의학 연구회 세미나에서는 77세 여자 환자로 진행된 위암과 암종증으로 완화의료를 받던 중 발생한 범복막염을 수술적 치료 대신 통증조절 및 증상 완화 위중의 치료를 하여 범복막염 발생 4일 후 평화롭게 임종을 맞이하였던 증례를 보고하였고, 이 증례를 계기로 암환자에서 발생한 복막염의 치료 및 관리에 대한 문헌 고찰과 토론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환자의 여명, 환자의 임상적 상태, 수술적 위험성 등을 고려 한 후 비수술적 완화요법을 선택할 수 있다. 통증조절을 위해서는 비경구용 진통제를 사용할 수 있고, 필요한 경우 일시적인 비위 영양관을 삽입할 수 있고 분비물이 적어지면 제거한다. 초기에 충분한 양의 비경구 수액요법이 시도될 수 있으나, 환자의 상태가 호전되지 않으면, 오히려 이로 인한 부종과 호흡곤란 등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최소한의 용량을 사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항생제 사용 및 중단 여부는 환자의 자기의사결정 및 보호자와의 논의 후 임상 상태와 여명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A 77-year-old female presented panperitonitis due to advanced gastric ranter during palliative care. In the case of panperitonitis following obstruction or perforation, surgical treatment is vital to avoid fatal sepsis and dehydration. However, the risk of surgery and the residual life of a patient must be carefully considered because of high mortality and complication rate in those patients with advanced disease due to the poor condition. The therapeutic value of aggressive hydration, nasogastric tube insertion, and the use of antibiotics is also questionable. Palliative surgery was not performed on this case, and she passed away peacefully in the presence of family after 4 days of palliative medical care. Here is the appropriate management for this kind of patients we would like to recommend through review of relevant references and long discussions. Firstly, we need to predict survival time using clinical variables. Secondly, considering patient status and risk of surgery, non surgical palliative care such as pain control, transient nasogastric tube insertion, and parenteral hydration is recommended. Minimal use of fluid is desirable to minimize complications such as edema and dyspnea if massive hydration in the beginning of treatment is not proved to be effective. Even though started earlier in the course of disease, discontinuation of antibiotics could be discussed with patients and their caregiver if patient status is not improved.

      • Clinical Study of Rhabdomyolysis After Exercise

        안영준,이승림,유재호,주민홍,김성완,박지만,양보규,Ahn, Young-Joon,Yi, Seung-Rim,Yoo, Jae-Ho,Zoo, Min-Hong,Kim, Seong-Wan,Park, Ji-Man,Yang, Bo-Kyu Korean Orthopaedic Society for Sports Medicine 2007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6 No.2

        목적: 전투 경찰에게서 과도한 신체 활동 후 발생한 횡문근 융해증의 임상 양상 및 치료에 대해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6월 1 일부터 2005년 5월 23일까지 운동이나 훈련 후 발생한 근육통 및 근육종창을 주소로 본원을 방문한 전투 경찰 중에서 횡문근 융해증이 의심되어 입원한 1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혈액검사(CPK, CK-MB, AST BUN/Cr, Electrolyte) 및 임상 경과를 관찰하였다. 이 들은 모두 남자였고, 평균 연령은 20세 ($19\sim21$세) 였다. 발병 원인으로는 팔굽혀펴기 후 발생한 것이 7례, 축구 경기 후 발생한 것이 5례, 시위 진압 후 발생한 것이 1례였다. 이 학적 소견상 다양한 신체 부위에 종창 및 압통을 호소하였는데 전완부에 발생한 경우가 4례, 상완부가 3례, 견갑부가 1례, 하지가 5례였다. 횡문근 융해증의 진단기준은 내원 당시 임상증상과 함께 혈중 CPK가 1,000 IU/L이상인 경우로 하였고 약물 복용력이나 내과적 질환이 있는 경우는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99mTc-MDP 20mCi를 정맥주사 후 4시간에 bone scan을 시행하였다. 치료는 침상 안정가료 및 수액요법을 시행하였고 동통을 심하게 호소하는 환자에게는 부목고정을 실시 하였다. 결과: 전체 입원환자 13명의 평균 재원 기간은 20일 (14일$\sim$42일)이었고 내원 당시 급성신부전을 보인 1례를 제외하고는 수액 요법 및 휴식을 시행한지 평균 8일 (2일$\sim$11일) 후 혈액학적으로 CPK가 1000이 하로 감소되었으며 임상적으로도 뚜렷한 회복을 보였다. 급성신부전을 보인 1례에서는 혈액투석 및 수액요법을 시행 한 후 회복되었다. 결론: 심한 운동이나 훈련 후 부종 및 근육통을 호소하는 환자에서 운동 유발 횡문근 융해증을 의심하여 조기에 혈액검사 및 수액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Purpose: This study evaluate clinical findings & management of rhabdomyolysis after strenuous activities in military police recruit.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was carried out from June $1^{st}$, 2004 and May $23^{nd}$, 2005. The study subjects were 13 military police recruit patients who were admitted to our hospital with intractable muscle pain and swelling, and had suspicions of Rhabdomyolysis. The patients were given various blood tests (CPK, CK-MB, AST, BUN/Cr, and Electrolyte) and clinically observed. The patients were all males, and their average age was 20 $(19\sim21)$ years. Seven cases were due to push-up exercises, 5 was due to a soccer game, and 1 was due to riot control activities. The patients complained of swelling and tenderness in various parts of the extremities. Four complained of swelling and tenderness in forearm, 3 in upper arm, 1 in shoulder, and 5 in lower extremity. The diagnosis of rhabdomyolysis was made if the patient complained clinical symptom and had a blood CPK level of above 1,000 IU/L at the time of admission. Patients who took medication or had medical problem were excluded from this study. Bone scans were taken of all patients 4 hours after giving 99mTc-MDP 20mCi intravenously. Treatment was bed rest and fluid therapy. Patients who complained of excessive pain were given splint immobilization. Results: The average hospitalization day for the 13 patients was 20 days ($14\sim42$ days). Excluding one patient who exhibited ARF at time of admission, all patients showed a decrease of blood CPK below 1000 IU/L at an average hospitalization time of 8 days ($2\sim11$ days). The patient with ARF recovered after hemodialysis and fluid therapy. Conclusion: Patients complaining of swelling and severe muscle pain after excessive exercise or training should be suspicious of exercise induced rhabdomyolysis, and should be given blood tests and fluid therapy immediately.

      • KCI등재

        조영제 유발 신장병증 예방을 위한 수액요법에 관한 근거기반 임상실무지침 개발

        이경해,신경민,이현정,김소영,채정원,김미라,한민영,박진경,정미애,추상희,황정화 병원간호사회 2017 임상간호연구 Vol.23 No.1

        목적: 본 연구는 관상동맥 중재술(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PCI)을 시행 예정인 환자에서 조영제 유발 신장병증(Contrast Induced Nepropathy, CIN) 예방을 위한 근거기반 임상실무 지침 개발을 위해 시도되었다. 방법: 임상실무지침 개발은 10명의 임상전문가팀에 의해 The Scottish Intercollegiate Guidelines Network (SIGN)의 개발과정을 수정 보완한 박태남의 5단계에 따라 진행되었다. (1) PICO 형식으로 임상질문을 만들었다. (2) 2명이 독립적으로 전자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체계적 문헌고찰을 시행하여 170편이 검색되었다. 16편의 randomized controlled trial, 7편의 systematic review, 4편의 guideline인 27편의 전문을 선정하였다. 각각의 연구는 Cochran’s Risk of Bias, AMSTAR, K-AGREE II를 이용하여 비평적으로 분석하였으며, 11개의 연구가 제외되었다. (3) 근거수준과 권고등급을 결정하였다. (4) 실무지침을 완성하였다. (5) 타당성 검증은 전문가 집단에 의해 이뤄졌다. 모든 지침은 CVI 0.8 이상 측정되었다. 결과: 개발된 임상실무지침은 다음과 같다. (1) CIN 예방을 위한 임상실무지침은 0.9% 생리식염수를 사용한다. (2) 수액요법의 표준주입량은 1∼1.5ml/kg/hr이다. (3) PCI 전과 후에 각각 6∼12시간 수액주입을 시행한다. 결론: 본 연구는 임상실무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CIN 예방을 위한 수액요법에 관한 임상실무지침을 제안한다. Purpose: This study was to develop evidence-based clinical practice guideline in order to prevent contrastinduced nephropathy (CIN) for patients undergoing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PCI). Methods: The guideline was developed based on the "Scottish Intercollegiate Guidelines Network (SIGN)". The first draft of guideline was developed through 5 stages and evaluated by 10 experts.(1) Clinical questions were ensured in PICO format.(2) Two researchers conducted a systematic search through electronic database, identifying 170 studies. We selected 27 full text articles including 16 randomized clinical trials, 7 systematic reviews, and 4 guidelines. Quality of each studies were evaluated by the Cochran’s Risk of Bias, AMSTAR, K-AGREEII. Among the studies, 11 studies were excluded.(3) The strength of recommendations were classified and quality of recommendations were ranked.(4) Guideline draft was finalized.(5) Content-validation was conducted by an expert group. All contents were ranked above 0.8 in CVI. Results: Evidence-based clinical practice guideline to prevent CIN was dveloped.(1) The guideline for preventing CIN recommends using 0.9% saline.(2) Standardized rate of fluid therapy is 1 to 1.5ml/kg/hr.(3) Execute hydration for 6~12hrs before PCI and after PCI.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evidence-based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preventing CIN which can be more efficiently used in clinical practice.

      • KCI등재후보

        수액 요법: 수액의 종류와 특성

        배선준,이종화,이기영 대한의사협회 2010 대한의사협회지 Vol.53 No.12

        Fluid and electrolyte therapies including nutritional support are markedly developing in medicine and many kinds of commercial fluids are being introduced to clinical practice.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and usefulness of intravenous fluids is necessary to manage patients properly. Disputes about the usefulness of crystalloid or colloid solutions for specific clinical conditions still continue. To make ideal fluid therapy possible, many kinds of fluids will be developed and applied to clinical practice in the near future by mimicking the composition and functions of human body fluids. The selection of crystalloid and colloid solutions for fluid therapy should be performed by considering patients’clinical and pathophysiological conditions and the characteristics and usefulness of each intravenous flui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급성 췌장염의 중증도 평가 및 수액 치료

        이윤석 ( Yoon Suk Lee ),조광범 ( Kwang Bum Cho ) 대한췌장담도학회 2016 대한췌담도학회지 Vol.21 No.1

        Acute pancreatitis is one of the potentially life-threatening diseases with a wide spectrum of severity. The estimated mortality rate for all patients with acute pancreatitis is approximately 5%. Severe pancreatitis often takes a clinical course with two overlapping phases, an early and a late phase, with two peaks of mortality. According to the revised Atlanta classification system, acute pancreatitis can be divided into mild, moderately severe, or severe. It is important to identify patients with potentially severe acute pancreatitis who require aggressive early treatment. It is believed that intravenous fluid resuscitation is an important variable for improved outcomes in acute pancreatitis. Most guidelines encourage targeting fluid resuscitation toward correcting hypotension, correcting hemoconcentration, and maintaining adequate urine output. In this review article, I would like to discuss the assessment of severity and fluid administration in acute pancreatit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