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한 수동표현의 대응 양상에 대한 일고찰 - 일한ㆍ한일 대역자료를 중심으로 -

        金榮敏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7 비교일본학 Vol.39 No.-

        본 논문에서는 시점이라는 관점에서 일한・한일 대역자료에서 드러나는 수동표현의 대응 양상을 분석하여 그 쓰임의 차이를 밝히고자 하다. 고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일본어 수동표현에 대한 한국어 대역표현에서는, 수동 대응 표현과 비수동 대응 표현 의 비율이 크게 다르지 않은 데 비하여, 한국어 수동표현에 한 일본어 대역표현에서는 비 수동표현으로 응하는 경우가 더 많다. 2) 수동표현으로 응하는 경우, 수동문의 쓰임의 차이가 뚜렷하게 드러나지는 않으나, 일본어 소유자수동문에 대해 한국어에서는 이중중격수동문이 대응된다는 차이가 관찰되었고, 이는 ‘전체’와 ‘부분’ 관계에 있는 명사구에 대해 시점을 취하는 방식이 두 언어 사이에 다르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3) 비수동표현으로 응하는 경우, 일본어 수동표현에 해 한국어에서는 주로 ‘동작주 를 주어로 취하는 타동사술어문’으로 응되며, 한국어 수동표현에 해 일본어에서는 대부분 ‘주어에 변화가 없는 자동사술어문’으로 응한다. 4) 일본어 수동표현에 대해 한국어에서 ‘동작주를 주어로 취하는 타동사술어문’이 많이 쓰이는 이유는, 한국어에서는 일본어에서 관찰되는 ‘시점을 일관되게 유지’하려는 성향이 강하게 작용하지 않고 오히려 동작주인 주어에 가까운 시점을 취하려는 성향이 강하기 때 문이다. 5) 한국어 수동표현에 대해 일본어에서 ‘주어에 변화가 없는 자동사술어문’이 많이 쓰이는 이유는 동작주의 의도성을 배제하고 동작이 이루어진 결과 상태만을 표현하고자 하는 의도에 의한 것이라 할 수 있다. This paper analyzes the correspondence patterns of passive expressions seen in Japanese-Korean and Korean-Japanese translation materials in terms of ‘viewpoint’ and clarifies the differences in their usage.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In the Korean translations for Japanese passive expressions, the ratio of the passive expressions and the non-passive expressions is similar, whereas the Korean passive expressions are more often translated to the non-passive expression in Japanese translations. 2) When the passive expressions correspond to the passive expressions, there is no clear difference in the use of passive expressions. However, Japanese possessor passive corresponds to the double nominative passive in Korean. This is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way to take a viewpoint on the ‘whole’ and ‘part’ relations between the two languages. 3) In the case of non-passive expressions corresponding to the passive expressions, the Japanese passive expressions mainly correspond to the transitive sentences with agent subject in Korean and most of Korean passive expressions correspond to intransitive sentences with no change in the subject. 4) The transitive sentences with agent subject are frequently used for Japanese passive expressions in Korean because the tendency to ‘keep the viewpoint constantly’ observed in Japanese is not strong, whereas the tendency to try to take a viewpoint closer to the agent subject is strong in Korean. 5) The Japanese intransitive sentences with no change in the subject are often used for Korean passive expressions because they are intended to express only the resultative state of the action, excluding the intentionality of the agent.

      • KCI등재

        일본어 수동의 한국어 비수동 번역 양상에 관한 고찰 - 일본드라마 자막번역의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

        정의상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4 비교일본학 Vol.31 No.-

        한일 양 언어의 수동은 표현형식이나 의미용법 등 세부적인 면에서 차이를 보이지만, 큰 틀에서 볼 때, 문의 구조는 유사점을 보인다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사용 빈도를 기준으로 비교해 보면, 일본어보다 한국어의 수동사용 빈도수가 낮다는 견해가 일반적이었 다. 그러나 한국어의 수동사용 빈도수가 낮은 이유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은 거의 없었 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이유를 밝히기 위해 구어표현을 잘 반영하고 있는 일본 의 최신 드라마 4편에서 사용된 수동표현을 추출하여, 이에 대응하는 한국어 자막번역의 유형 중, 수동 번역을 제외한 비수동 번역의 양상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비수동으로 번역되는 사례는 다음과 같다. 일본어 수동동사 중 한국어로는 수동으로 번역되지 않고 주로 비수동으로 번역되는 사례, 한국어 수동동사의 파생 제약에 따라 일본어에서는 가 능한 수동이 한국어로는 비수동으로 번역되는 사례, 일본어에서는 수동이지만 한국어에 는 없는 특수수동, 즉 간접수동이나 사역수동의 비수동 번역 사례, 어용적 조건에 따라 쓰여 지는 일본어 수동표현이 동일한 조건 하에서도 한국어로는 비수동으로 번역되는 사례, 일본어에서는 수동표현이 쓰이지만 번역되는 한국어의 문맥상황에 의해 비수동으 로 번역되는 사례 등, 일본어의 수동이 한국어에서 비수동으로 번역되는 다양한 사례를 살펴볼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실증적 조사결과에 근거한 비수동 번역의 다양한 사례는 결과적으로 수동사용 빈도수 저하의 요인이 되기도 하여, 일본어에 비해 한국어 수동의 생산성이 떨어진다는 종래의 견해에 대한 구체적인 이유를 밝힐 수 있었다.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the passives used in the Korean and Japanese languages in specific aspects such as expression forms and meaning, but from a large frame of view, their inquiry structures are similar. Nevertheless, to compare the frequency of their use, it was generally thought that the Korean language had lower frequency in its use than the Japanese language. However, why the frequency of use of passivity in the Korean language is low is hardly mentioned specifically. To identify the reasons, this study selected passive expressions used in four Japanese dramas which reflect current colloquial expressions and analysed the aspects of non-passive translation with the exception of passive translation out of the caption translations into Korean. As a result, cases of non-passive translation are presented as follows: Of Japanese passive verbs, cases where they were translated into non- passive Korean, not passive, those where passivity which is possible in Japanese were translated into non passive Korean according to derivational restrictions of passive Korean verbs, those where Japanese passive expressions which are used according to the language use conditions were translated into Korean non-passive under the same language use conditions, cases where there are special passives which do not exist in Korean, that is, non- passive translation of indirect or causative passivity, and cases that in spite of passive expressions which are available in Japanese, they were translated into non-passive depending on contextual situations in the Korean language. This study explained diverse cases of non-passive transl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real investigation of reasons of low frequency in use and presented specific reasons for previous results where the frequency of Korean passivity in use is lower than in Japanese.

      • KCI등재

        일본어 수동표현의 한국어의 대응 양상:능동표현을 중심으로

        김현숙(Kim Hyunsook),동주(Son Dongju)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1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2 No.2

        본고는 일본어 수동표현의 한국어 대응 양상, 특히 한국어가 능동표현으로 대응하게 되는 원인을 밝히는 것에 주목하여 그 원인을 한국어 수동표현인 이形와 지다形의 선택범위와 관련지어 설명하려고 시도하였다. 그리고 지다形의 선택범위를 객관화하기 위하여 工藤(1995)의 동사분류를 기준으로 하여 고찰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일본어 수동표현에 한국어가 능동표현으로 대응하게 되는 가장 큰 원인은 한국어 수동표현인 이形과 지다形의 제한된 선택범위와 관련이 있다는 것을 밝힐 수 있었다. 세부적으로 보면 먼저 한국어의 전형적인 수동표현인 이形의 선택범위는 한정된 동사(140개-200개 정도)만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생산성이 현저히 낮은 이形으로 인해 한국어에서 수동표현을 필요로 하는 경우, 수동 보조동사인 지다形을 그 보완으로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지다形도 의미적인 특성으로 인해 모든 동사와 결합할 수 없으며, 지다形과 결합 가능한 동사의 대부분은 ‘대상의 변화를 야기하는 동사’라는 점이다. 따라서 지다形과 결합이 용이하지 않는 동사, 다시 말해 ‘대상의 변화를 야기하지 않는 동사’이면서 동시에 이形 동사꼴이 없는 동사의 경우, 한국어는 수동표현을 나타내기 힘든 조건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은 환경에서는 일본어가 수동표현으로 나타내는 경우, 한국어는 능동표현으로 대응하게 되는 것이다. 또 ‘대상의 변화를 야기하는 동사’라고 할지라도 일본어 수동표현에 한국어가 지다形이 아닌 능동표현으로 대응할 때가 있는데, 이 때는 주어가 유정물을 취하는 경우이다. 일반적으로 지다形은 동작주가 결여된 표현을 만들기 때문에 수동표현의 주어는 무정물 주어를 취하게 된다. ‘대상의 변화를 야기하는 동사’를 취하는 수동표현은 주로 무정물 주어문이지만 동작주의 동작이 명확한 유정물 주어문을 취하는 동사의 경우는 지다形으로 대응하지 못하고 능동표현으로 대응하는 경향을 보이게 된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Korean(TL) actives corresponding to Japanese(SL) passives, especially on how Korean expressions of active voice correspond to the source expressions, seeking to explain the results in terms of the scope of selection of Korean actives, using suffix -e and jida meaning becoming. The research continues based on verb classification by Kudo(1995) and objectify the scope of Korean correspondents using the suffix jida to source expressions. The analysis shows that Korean equivalents of active voice correspond to the passives of Japanese due to the limited selection scope of Korean actives or suffix -e and jida, In detail, typical Korean passives containing the suffix-e applies to only a limited number(approximately 140~200) of verbs. Korean passives containing suffix jida, auxiliary verb of passive, with much lower frequency in its use, are used in the case of -e passives to compensate for the loss. Korean passives with the suffix jida is limited in the combination with the verbs due to their semantic features as well , and most of the verbs using the suffix jida are the verbs ‘causing change in the object of the sentence.’ To sum up, verbs that do not go along with the suffix jida , or that do not cause changes of the object and are not used with the Korean suffix have difficulties in its passives. In these conditions, Korean actives correspond to Japanese passives. Furthermore, there are cases when verbs causing change in the object are translated into Korean passives rather than being translated into passives with jida in cases where the subject of target sentence is animate. Passives of jida type are used for inanimate subject due to its syntactic feature with the absence of doers in sentences. Passives of verbs causing change in subject feature an inanimate subject and sentences with animate subjects have a tendency to correspond to actives instead of jida type passive translations.

      • KCI등재

        Agent Marking in Japanese Passive Sentences

        Han Joung-Youn 한국일본학회 2018 日本學報 Vol.0 No.116

        본고에서는 일본어 수동문의 동작주 표시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고 구체적인 용례 조사를 기반으로 기존의 고찰들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비정물 주어 수동문에 있어서의 유정물 동작주 「に」격 표시 제약은 상당히 강하게 작동하고 있으나 이러한 제약에서 자유로운 「によって」의 사용이 근대 이후 일본어 수동문의 증가 및 발달을 가져왔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것, 「に」가 수영성을 띠는 것은 동작주 표시로서 「に」만을 허용하는 경우에 한하며 「に」와 「によって」가 모두 허용되는 경우는 수영성과 무관하다는 것, 실제 용례에 있어서 「によって」가 사용되는 것은 중립적・객관적인 기술을 위해서라기보다는, 「に」는 동작주가 구문상의 필수 요소인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으므로 동작주가 필수 요소가 아닌 경우에는 「によって」를 사용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불가피하게 선택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라는 것을 밝혔다. 이러한 고찰에 입각하여 일본어 수동문을 「に」와 「によって」의 허용 여부에 따라 크게 「に」수동문, 「に」「によって」양용 수동문, 「によって」수동문의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고, 「に」수동문은 동작 대상과 동작주를 필수 요소로 요구하는 2항 술어문이며 「피해」등의 수영성을 나타내며 유정물 주어 수동문에 일반적인 유형, 「に」「によって」양용 수동문은 동작 대상과 동작주를 필수 요소로 요구하는 2항 술어문이며 수영성과는 무관하며 시각적・청각적 상황 묘사의 비정물 주어 수동문에 일반적인 유형, 「によって」수동문은 동작 대상만을 필수 요소로 요구하는 1항 술어문이며 수영성과는 무관하며 근대 이후 발달한 비정물 주어 수동문에 해당되는 유형임을 논하였다. 나아가 「に」수동문과 「に」「によって」양용 수동문은 근대 이전부터 존재했던 유형, 「によって」수동문은 근대 이후 본격적으로 발달한 유형이라는 사실과 근대 이후 가장 급증한 수동문은 동작주가 표시되지 않은 수동문이라는 사실을 고려하면, 근대 이후 일본어 수동문의 변화는 근대 이전의 2항 술어 구조의 수동문으로부터 근대 이후의 1항 술어 구조의 수동문으로의 확장이라는 관점에서 파악할 수 있다고 하는 점을 기술하였다. In this study, we scrutinized previous studies on the agent markers of Japanese passives and examined existing reviews, based on the investigation of concrete exampl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restriction of the animate-agent markerni” in inanimate-subject passive sentences is highly effective, but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that the use of “ni yotte,” which does not have this restriction, increased and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Japanese passives since the beginning of modern times. Besides,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concept of affectivity, which is a characteristic of the agent marker “ni,” is limited to the case when only “ni” is allowed, and situations in which either one of two markers, such as “ni” and “ni yotte” are allowed, are unrelated to the concept of affectivity. In actual examples, the marker “ni yotte” was found not be chosen for the neutral and objective description. The reason was that the use of “ni” is possible when the agent is a syntactically indispensable constituent, whereas the marker “ni yotte” should be used when the agent is not a indispensable constituent. Based on this investigation, Japanese passives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according to the acceptability of the two markers “ni” and “ni yotte”. First, ni-passives are two-place predicates requiring the action object and agent as indispensable constituents, as well as a typical type of animate-subject passive sentence expressing affectivity, such as inconveniences. Second, passive sentences for which either marker is acceptable are two-place predicates requiring an action object and the agent as indispensable constituents, and they are not associated with affectivity. Additionally, these sentences are a typical type of inanimate-subject passive sentence for the audio-visual description of situations. Third, ni yotte-passives are one-place predicates requiring only the action object as an indispensable constituent unrelated to affectivity. These sentences correspond to inanimate-subject passive sentences that have developed since the onset of modern times. Ni-passives and passive sentences for which either marker is acceptable existed in pre-modern times, whereas ni yotte-passives have further developed since modern times. Furthermore, a type of passive sentence of which the prevalence has rapidly increased more recently is a passive sentence in which the agent is not marked. That is, the change in Japanese passives can be understood as the structural expansion from two-place predicates in pre-modern times to today's one-place predicates that have been in use since the beginning of modern times.

      • KCI등재

        韓国人日本語学習者と日本語母語話者における受動表現使用の違いについて

        鄭在喜(정재희) 한국일본어학회 2012 日本語學硏究 Vol.0 No.35

        본 연구는 한국어와 일본어의 사태파악 스탠스의 차이를 수동표현을 이용하여 양언어의 모어화자가 일련의 사건에 있어 어떻게 사태파악을 하는지에 대해 대조 및 분석했다. 구체적으로는 수동표현이 사용되는 장면 11개를 정하여 한일 모어화자의 수동표현 사용수를 바탕으로 어디에 e점이 고정되고 어떻게 사태를 인지하여 언어화하고 있는가에 대해 질적으로 분석 및 고찰하였다. 그 결과 장면·상황별에 따른 한일 모어화자의 수동표현사용에 있어서는 한국인일본어학습자는 직접수동의 유정물수동이 쓰이는 장면에서 수동표현사용이 많았고 한국어에는 존재하지 않는 비소유물수동에 있어서는 수동표현사용이 적었다. 한편, 일본어모어화자는 전체적으로 수동표현 사용이 많았으나 이야기의 주인공에게 일어나는 일들을 중심으로 언어화하고 그러한 장면에서 수동표현을 사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한일 모어화자의 사태파악 스탠스에 관해서는 한국어모어화자라도 상급학습자인 경우에는 목표언어의 모어화자에 가까운 인지적 행위, 즉, 주체적인 성격의 인지적인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짐작할 수 있었다. 반면, 일본어모어화자는 이야기의 중심이 되는 인물에 e점을 고정하고 화자 자신이 언어화하려는 상황 안에 자신을 투영하여 이야기를 전개하는, 즉, 주체적으로 인지적 활동을 하고 있다는 점이 본 연구에서도 재확인 되었다.

      • KCI등재

        「きく」의 수동 「きかれる」에 관한 소고

        안선주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21 비교일본학 Vol.52 No.-

        본 연구에서는, ‘を’격 목적어를 가지는 ‘듣다’의 「きく」와, ‘を’격과 ‘に’격 목적어를 둘 다 필 요로 하는 ‘묻다’의 「きく」에 대한 각각의 수동 「きかれる」의 쓰임을 살펴보았다. ‘듣다’의 「きく」는 문 속에 직접수동이나 간접수동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きく」의 주어와 ‘を’ 격이 취하는 대상에 따라 나뉜다. 1인칭에 준하거나 불특정다수가 주어이면서 ‘発言’이나 ‘声’ 와 같이 사고과정을 거친 ‘의견’에 관련된 대상을 취하는 「きく」는 무생물주어의 직접수동 「き かれる」로 문에 나타나지만, 1인칭주어에 단순한 ‘소리’에 관련된 대상을 가지는 「きく」라면 수 동문은 되지 못하고 그 대신 「きこえる」가 쓰이게 된다. 이에 비해 3인칭주어에 ‘(噂/内緒/(人が 聞いて)困る)話’류의 대상을 가지는 「きく」는 간접수동으로 나타나 ‘피해’의 뉘앙스를 띄게 되며, ‘悩み/わがまま/相談事としての話’와 같은 말을 대상으로 하여 은혜의 뉘앙스를 전달하는 「きいて もらう」와 대비를 이루는 표현이 되게 된다. 덧붙이자면 일본어에서 3인칭주어의 ‘듣다’의 「きく」 는 이러한 간접수동으로 자주 문에 나타난다. 한국어의 경우 직접수동은 일본어와 같은 구문 이 가능하지만, 간접수동은 한국어로는 불가하여 ‘듣다’ 형태의 능동문이 그대로 쓰이므로, 이 러한 한일 양국어의 구문의 차이에 대한 지도가 필요할 것이다. ‘묻다’의 「きく」는 직접수동, 소유주의 수동으로 문에 나타난다. 특히 직접수동의 경우 ‘に’격 의 간접목적어와 ‘を’격의 직접목적어 중 어느 것이 수동의 주어가 되는지에 주목할 필요가 있 다. 1인칭주어일 때는 「きく」형태의 능동문이 그대로 쓰이는 일이 많지만, 3인칭주어의 「きく」는 ‘に’격의 간접목적어를 주어로 한 간접대상의 직접수동이 쓰이며 이는 「道を聞く」와 같은 콜로 케이션이 내포된 「きく」문도 포함해서이다. 실제 문 속의 ‘묻다’ 관련의 「きかれる」는 대개 이 구 문이다. 2, 3인칭주어의 「きく」는 ‘を’격의 직접목적어를 주어로 한 직접대상의 직접수동으로 쓰 일 때도 있는데, 실제로 동작주는 생략된 채 주격조사가 드러나지 않거나 주격조사 대신 取り 立て助詞 ‘は’가 쓰인 「~(は)、私にきかれても」로 문에 등장한다. 이 외에도 3인칭주어의 「きく」 는 소유주의 수동이 되기도 하는데 「(私の)名前を聞く」와 같은 구문이 쓰인 경우이다. 한국어의 경우 소유주의 수동은 별개로 하더라도 직접수동만큼은 일본어와 달리 능동문을 쓰는 것이 자 연스러우므로, 이러한 직접수동은 한국인학습자들에게 이해하기 어려운 표현일 수 있다. In this study, the usage of ‘Kikareru’, the passive for a) the two term verb ‘Kiku’ (‘to listen’) in the form of ‘を’ object and b) the three term verb ‘Kiku’ (‘to ask’) which requires both ‘を’ and ‘に’ objects, was examined. ‘Kiku’ (‘listen’) appears either directly or indirectly in the sentence, depending on the subject of ‘Kiku’ and the object taken by ‘を’. ‘Kiku’, which is similar to the first person or is the subject of an unspecified majority, and which takes an object related to an ‘opinion’ that has undergone a thought process such as ‘声’ or ‘発言’, appears in the sentence as a direct passive ‘Kikareru’ of an inanimate subject. If ‘Kiku’ has the first person subject and an object related to a simple sound, it will not be a passive sentence, and ‘Kikoeru’ will be used instead. On the other hand, ‘Kiku’, which has an object of ‘(噂/内緒/(人が聞いて)困る)’ in the third person subject, appears indirectly and passively, showing the nuance of ‘disturbance/annoyance’. It becomes an expression that contrasts with ‘きいてもらう’ which conveys the nuances of ‘grace/favor’ by targeting words such as ‘悩み/わがまま/相談事としての話’. Adding to this, in Japanese, the third person subject ‘kiku’ (‘listen’) appears frequently in the sentence in the form of such indirect passive. In the case of Korean, direct passive has the same syntax as in Japanese, but indirect passive would not make sense at all, so the active sentence in the form of ‘listen’ is used instead; an appropriate education on such differences between the two languages is thus necessary. ‘Kiku’ (‘to ask’) appears in sentences in the form of direct passive or owner’s passive. Particularly in the case of direct passive, it is important to pay attention to which one between the indirect object of ‘に’ and the direct object of ‘を’ becomes the subject of the passive. In the case of the first person subject, active sentence in the form of ‘Kiku’ is often employed as it is, but in the case of the third person subject, direct passive is used with the indirect object of the case ‘に’ as the subject because it includes ‘kiku’ with collocations, such as ‘道を聞く’. In a lot of sentences, ‘Kikareru’ appears in the form of such phrase. There are rare cases in which ‘Kiku’ of the second and third person subject is used as a direct passive with a direct object of the ‘を’ case, but practically it appears in such sentences as ‘私に きかれても’ with the subject and action owner omitted. In addition to this, the third person subject ‘kiku’ is sometimes used as the owner's passive, often when collocation is used, such as ‘(私の)名前を聞く’. In the case of Korean, it is acceptable to write the owner's passive in the same form as in Japanese. However, unlike Japanese, the direct passive is an expression that is difficult to understand for Koreans because active sentences are often used.

      • KCI등재

        이탈리아어의 수동태와 수동화 si II

        김운용 한국이탈리아어문학회 2013 이탈리아어문학 Vol.0 No.40

        Avrei voluto rappresentare la differenza fra la voce passiva e si passivante sia con esempi sia con HPSG(Head-Driven Phrase Structure Grammar). Prima di estendere la teoria, ho investigato il fenomeno e gli particolari, e poi ho provato di spiegarli con la struttura di HPSG. Per la voce passiva, ho introdotto l’opinione di Sag, Wasow & Bender(2003), e la regola passiva lessicale. E per si passivante, ho presentato la regola lessicale del si passivante. 이 연구의 목적은 수동의 의미를 표현하는데 풍부한 문법적 장치를 갖고 있는 이탈리아어의 수동구문 전반을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 수동태 구문과 수동화 si구문의 특징을 각각 보고자 한다. 이 연구의 주된 관심은 세 가지이다. 첫째는 수동태와 수동화 si의 차이이다. 일반적인 수동태는 행위자가 수의적으로 나타나는 “essere + 수동분사” 구문이지만, 수동화 si는 행위자가 나타나면 비문이 되고, 목적어 자리에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논항이 항상 복수로 사용되는 특징을 갖고 있다. 행위자가 나타날 수 있는 수동태와 행위자가 나타날 수 없는 수동화 si로 양분되어 있다. 둘째는 이탈리아어에는 수동조동사 essere, venire와 andare로 보고 있다. 상태 수동문을 이끄는 essere와, 동작을 강조하는 venire와 당위성을 나타내는 andare의 차이점을 에 관해서 다루고자 한다. essere는 단순 시제와 복합 시제에 모두 사용될 수 있지만, venire는 단순시제에만 사용되며, 행위자가 덜 나타나는 특징이 있고, andare는 동사가 일반적으로 ‘가다’라는 의미를 갖지만, 수동구문에서는 그 의미가 아니라 ‘-해져야만 한다’의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셋째는 수동의미를 갖는 형용사와 수동 조동사가 없는 수동구문을 살펴보려고 한다.

      • KCI등재

        현대 독일어 재귀대명사의 문법적 위상과 재귀동사의 수동화 가능성에 관한 연구

        류병래 한국독어학회 2007 독어학 Vol.15 No.-

        In der vorligenden Arbeit wird versucht, das Verhältnis zwischen dem grammatischen Status vom reflexiven Pronomen sich und der Passivierbarkeit von reflexiven Verben im Deutschen näher zu betrachten. Dabei wird zum Ziel gesetzt, zu zeigen, dass im Deutschen das Reflexivum sich in zwei unterschiedliche Klassen, die in der vorliegenden Arbeit jeweils anaphorisches und nicht-anaphorisches Reflexivpronomen genannt werden, aufgeteilt werden soll. Für die Unterscheidung zwischen dem anaphorischen und dem nicht-anaphorischen Reflexivpronomen braucht man eine Menge von Kriterien. Zu diesem Zweck werden insgesamt 7 Kriterien zusammmengestellt: Koordinationsprobe, Weglassprobe, Erfragbar- keitsprobe, Verschiebeprobe, Modifikationsprobe, Hervorhebungsprobe, Replazive Negation. Eine der zentralen Thesen der vorliegenden Arbeit lautet, dass reflexive Verben im Prinzip passivierbar sind. Das anaphorische Reflexivpronomen verhält sich grammatisch wie ein normales direktes Objekt und reflexive Verben mit einem anaphorischen Reflexivpronomen bilden ohne Probleme persönliche Passivsätze. Im Gegensatz dazu wird das nicht-anaphorische Reflexivpronomen als ein Teil der Verben betrachtet, was aber bedeutet, dass reflexive Verben mit einem nicht-anaphorischen Reflexivpronomen nur unpersönlich passivierbar sind. Zum Schluß hoffe ich, daß diese Arbeit die Passivierbarkeit von reflexiven Verben im Deutschen richtig zu verstehen und zu verwenden helfen kann. Das Ergebnis dieser Arbeit kann auch für den Deutschunterricht für Ausländer nützlich sein. 본 논문은 대격 재귀대명사 sich의 문법적 위상에 대하여 살펴보고, 대격 재귀대명사 sich가 쓰인 독일어 문장의 수동문 형성가능성과 sich의 문법적 위상사이에 성립하는 상관성을 밝혀, 대격 재귀대명사 sich가 쓰인 독일어 문장의 수동가능성과 불가능성에 대한 체계적 기술과 설명을 하기 위한 목적으로 쓰여졌다. 대격 재귀대명사 sich의 문법적 위상에 대한 본 논문에서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대격 재귀대명사 sich는 적어도 대용어적 sich와 비대용어적 sich로 구분되어야 한다. 대용어적 sich는 하나의 독립된 구성성분으로서 지시지표를 갖고, 따라서 명사구의 지표할당을 담당하는 결속이론의 적용을 받아 통사적으로 제약되고 의미적으로 해석을 받아야 한다. 비대용어적 sich는 형태적으로 동사와 분리되어 있기는 하나, 하나의 독립된 구성성분을 이루지 못하고 동사와 함께 하나의 어휘적 단위를 이루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통사론적․의미론적 근거가 충분히 있다. 이들의 구분을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병렬접속 테스트, 삭제 테스트, 질의-응답 테스트, 변위 테스트, 수식 테스트, 대치부정 테스트, 강조 테스트 등 7가지의 기준을 제시했다. 대격 재귀대명사 sich가 쓰인 문장의 수동화 가능성에 관한 본 논문에서의 결론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전통적인 견해와는 달리 원칙적으로 대격 대명사 sich가 쓰인 문장은 수동화가 가능하다. 대용어적 sich가 쓰인 문장은 수동화가 가능하기는 하나, 비인칭수동은 불가능하고 인칭수동만이 가능하다. 비대용어적 sich가 쓰인 문장은 원칙적으로 수동이 가능하나 인칭수동은 불가능하고 비인칭수동만이 가능하다. 왜냐 하면, 비대용어적 sich가 쓰인 문장에서 sich는 독립된 구성성분이 아니고 동사와 하나의 어휘적 단위를 이루기 때문에 기껏해야 자동사일 수밖에 없고, 자동사는 비인칭수동만 가능하지 인칭수동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본 논문의 의의는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독일어의 동사 중 대격 대명사 sich와 함께 쓰이는 비순수재귀동사들이 수동형이 불가능하다는 DUDEN견해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고, 수동이 가능한 동사와 수동이 불가능한 동사를 가려내기 위한 기준을 기존의 문헌에서 정리․제시하였다. 또한 중간태구문 Medialkonstruktionen 혹은 중간태동사 Medialverben는 일반적으로 수동이 불가능한 이유를 통합적으로 설명할 수 있었다. 일반적으로 재귀동사의 수동가능성에 대한 모국어 화자의 직관이 항상 일정한 것은 아니고, 독일에서도 지역간의 차이가 드러나는 경우가 있는 점은 비모국어화자들의 독일인 언어능력 규명에 한계로 작용하는 경우가 있다. 본 논문에서도 이 한계는 완벽하게 극복되었다고 보기 어렵다. 또한 lassen과 함께 쓰인 A.c.I.(Accusativus cum Infinitivo) 구문에 sich가 나타난 경우의 수동가능성에 대한 논의는 지면상의 제약으로 다루지 못하였다(Reis(1976), Grewendorf(1983) 참고). 이를 포함한 미진한 연구는 후일의 개인적인 연구과제로 미루기로 한다.

      • KCI등재

        자막번역에 나타난 우리말 피동 번역의 사용실태 고찰 - 일본 드라마 수동표현 회화문의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

        정의상,정일영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6 비교일본학 Vol.38 No.-

        본 논문은 일본 드라마 회화문에 사용된 수동표현 중 우리말 자막에서 피동으로 번역된 다양한 사례를 분석해 실제 언어생활에 사용되는 광의적 의미에서의 우리말 피동의 사용실태 및 특징에 대한 고찰을 목표로 하였다. 948개의 우리말 자막 피동 번역의 사례에 사용된 피동표현을 유형별 빈도순으로 나열하면, ‘어휘적 피동’이 압도적으로 많았고, 다음으로는 ‘접미 피동’, ‘구문적 피동’, ‘피동관련 술어에 의한 피동’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들 4가지 피동표현 각각의 세부 유형별 사용빈도를 나타내면, ‘접미 피동’의 경우는 ‘리’에 의한 피동이, ‘어휘적 피동’의 경우는 ‘되다’에 의한 피동이, ‘구문적 피동’의 경우는 ‘어 지다’에 의한 피동이 각각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우리말 피동표현의 사용빈도에 대한 본 논문의 분석한 결과와 기존의 이론적인 면에서의 논의가 유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본어 수동의 하위 유형별 피동 번역의 사용실태를 보면 ‘직접수동’은 전체 수동의 90% 이상을 차지하므로, 수동 전체를 대상으로 할 때와 피동 유형별 사용빈도가 거의 동일하게 나타났으나, ‘소유자수동’의 경우는 자막 번역의 피동 유형별 사용빈도가 동일하지 않았고, ‘사역수동’의자막 번역에서는 ‘직접수동’의 피동 번역에서 사용 빈도수가 낮았던 ‘게 되다’나 ‘당하다’가 가장많이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논문의 피동사례 분석 결과를 토대로, 기존의 피동관련 논의에서 나타난 몇 가지 문제점, 즉 ‘소유자피동’ 형성의 제약에 관한 문제, 우리말 ‘자동사’와 ‘피동사’의 구분처리 문제, ‘피동관련 술어에 의한 피동’의 우리말 피동의 하위범주 인정여부 문제 등에 대해서도 언급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reality of usage and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passive in broad sense meaning to be used in real language life as analysis of the passive translation’s various cases from Korean subtitles in the passive expressions used in the Japanese drama’s colloquial expression. To list the 948 passive expressions used the Korean subtitle translation in the order of frequency of type, there are a lot of ‘lexical passivity’ overwhelmingly, followed by ‘suffix passivity’, ‘syntactical passivity’ and ‘passivity of the predicate related passive’. It indicated that these 4 passive expressions’ each frequency in use of a type, each passive expressions has been used most often them in the case of ‘suffix passivity’ is the passive of ‘Lee’, for ‘lexical passivity’ is by ‘duida’ and the case of ‘passivity of the predicate related passive’ is ‘uh jida’. This study can identify the similarity between the analysis result of passive expressions’ frequency of their use and an existing theory. To identify the subordinate type’s passive translation usage of Japanese passivity, ‘directly passivity’ accounts for more than 90 percent of all passive expressions so its almost the same when it targets the entire passive and subordinate type’s passive translation usage. However in the case of the ‘owner passivity’ its does not same as the translation subtitle’s passive expressions’ frequency of usage and in ‘causative passivity’ translation subtitle, it is used the most ‘ge duida’ or ‘danghada’ even of its have low percent in directly passive’s passive translation.

      • KCI등재

        Distinguishing Factors in Semantic and Pragmatic Differences between Get- and Be-passives

        김경열(Kim Kyung-Yul),조세연(Cho Sae-Youn)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9 인문과학연구 Vol.0 No.22

        본 연구에서는 get-수동형과 be-수동형 구문사이의 의미·화용론적 차이점을 살펴보고, 두 수동형의 의미·화용론적 차이점을 구분해주는 변별요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get-수동형의 빈번한 사용이 get-수동형의 의미구조와 화용론적 필요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밝힌다. 동사 get의 다기능적 의미, 주어-지향적 표현, 화자-중심적 전략들과 같은 변별요인들이 get-수동형의 특징을 설명해주는 증거로 제시된다. 첫 번째 요인으로는, 동사 get의 다의적 의미(어휘적 의미부터 기능적 의미까지 포함)로 인해 다양한 get-문장구조(기동형 get, 수동형 get, 의무형 조동사 get 등)가 존재하고 통사-의미의 변화가 가능하다는 사실을 제안한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get-수동형은, be-수동형과 비교해볼 때, 주어-지향적, 사역적 특질을 더 보여주고 있으며, 화용-중심적 성격을 지니게 된다. 두 번째 요인으로는, 동사 get이 지니고 있는 내재적 의미로 인해, get-수동형은 수동구문 주어의 의미역할을 강조하는 경향을 보임으로써 주어-지향적 장치로서의 기능을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세 번째 요인으로는, 화용론적 관점에서 볼 때, 담화에서 get-수동형은 화용론적 동기(감정, 태도, 입장에 대한 화자의 화용론적 필요성)를 전달하는 기능을 담당하므로 화자간의 담화적 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으로 작용할 뿐 만 아니라, 다른 시각과 입장에서 수동적 행위를 표현할 수 있는 대안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This study seeks to verify whether the semantic and pragmatic differences between get-and be-passives are reflected in the possible competition between them.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distinguishing factors that characterize the semantic and pragmatic differences between get- and be-passives, and examine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overall frequency of get- and be-passives and their semantic structures and pragmatic motivations. Some distinguishing factors (i.e, multi-functional meanings, subject-recipient oriented devices, and speaker-oriented strategies, etc.) governing the choice of get-passives are suggested as evidence of the central characteristic of the get-passive. In this study, it is proposed that the polysemy in get (i.e., from lexcial meanings to functional meanings) reflects a change in the syntactic distribution of get-constructions (e.g., inchoative get, passive get, deontic modal auxiliary get). In addition, get-passives have more subject-oriented or more causative qualities than be-passives and receives a more pragmatic-oriented interpretation. Semantically, thanks to the receptive or agentive meaning of the verb get, get-passives tend to put emphasis on the semantic role of the subject and on what happens to the subject-referent as a result of the event. Finally, from a pragmatic point of view, pragmatic motivations (i.e., the speaker's affective and attitudinal value or stance) in discourse provide a relevant perspective to perceive the function of get-passives as an interpersonal grammar, which allows the speaker to report passive events with different perspectives and attitud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