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도권 1인가구의 통행발생 특성에 관한 연구

        안효원,이종호,오승훈,Ahn, Hyo Won,Rhee, Jong Ho,Oh, Seung Hwoon 대한토목학회 2013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3 No.6

        Single-person household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have increased sharply during recent 20-30 years. Despite of decreasing in the total population, the number of single-person household is predicted to increase continuously. However, the effect of single-person household growth on the domestic transport sector has not been studied concretely. In this study, the differences on trip generation characteristics by household size and attributes were figured out by analyzing Seoul Metropolitan Area Household Travel Behavior Survey (SMA-HTBS). Firstly, trip generation rates (trips/day/person) were produced by household attribute, household member attribute and trip attribute based on SMA-HTBS. Secondly, trip generation rate of single-person household and that of multi-person (2 or more) household were compared by significance test. It was found that trips generation characteristics of single-person household is quite different from those of multi-person household by housing type, residential type, living area, and transport mode. The result of this paper is expected to contribute developing more sophisticated trip generation model and transport policy reflecting trip generation characteristics of single-person household. 최근 20~30년사이 수도권 1인가구의 비율은 크게 증가하였으며, 총 인구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1인가구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국내 교통분야에서는 1인가구 증가가 교통분야에 미치는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수도권 가구통행실태조사를 활용하여 가구 속성별로 가구규모에 따른 통행발생의 차이를 알아보기로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수도권 가구통행실태조사 자료에서 가구 속성과 가구원 속성, 통행 속성에 대하여 가구규모별로 통행발생횟수(/일/인)을 산출하였다. 유의성검토를 거쳐 1인가구와 타 규모(2인 이상)가구와의 비교를 통하여 1인가구만의 통행발생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전체적으로 1인가구의 통행발생은 타 규모 가구의 통행발생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주택종류, 거주형태, 지역, 통행수단 속성에서도 차별된 통행발생 특성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가 1인가구의 통행발생 특성을 반영한 통행발생모형 구축 등 교통정책개발에 이바지하길 기대하여본다.

      • KCI등재

        Change in Travel Behavior of the Elderly in Seoul Metropolitan Area

        Shi Hak Noh(노시학),Chang-Hyeon Joh(조창현) 대한지리학회 2011 대한지리학회지 Vol.46 No.6

        우리나라 인구의 급격한 노령화 추세로 인해 노인 인구의 모빌리티는 중요한 사회적 이슈가 되어 있다. 본 연구는 청장년과 비교한 노인의 통행행태의 특성을 검토하고 세계에서 가장 빠른 노령화가 진행되는 우리나라에서 그러한 특성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02년도와 2006년도의 수도권 가구통행실태조사 자료를 분석한다. 연구 결과, 노인통행은 청장년과는 많은 측면에서 큰 차이들을 보이며, 노인 인구, 특히 66세에서 69세 사이의 '젊은' 노인 인구의 모빌리티는 크게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최근의 도시 대중교통체계 개편은 이러한 노인 인구의 모빌리티 증진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Mobility of elderly people is an important issue in Korea (ROK) where the aging process of the population is so rapid.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elderly travel behavior in comparison to younger people and the changes in such characteristics given that Korea (ROK) has the world's fastest aging population. To this end, the paper analyzes two recent large scale survey data sets, each including more than a quarter of a million individuals' travel diaries in metropolitan Seoul, collected in 2002 and 2006, respectively. The analysis found that elderly travel differs greatly from younger people's in many aspects, and the mobility of the elderly, particularly those aged 66 to 69, has increased a great deal. Recent reforms of public transportation systems in the city could contribute to the increase in elderly mobility.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