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高麗俗謠 노랫말의 兩層性과 律格 意識에 關한 考察

        朴慶禹 열상고전연구회 2012 열상고전연구 Vol.35 No.-

        본고는 고려속요의 율격 체계를 노랫말의 구어적 성격과 문어적 성격이라는 언어적 양층성의 관점에서 살펴본 것이다. 고려속요의 언어적·율격적 양층성을 고려해야 하는 까닭은 속요 장르의 다잡성과 복합성 때문이다. 비련시체와 연장체의 공존, 합성 편사된 악곡의 존재, 중국 음악으로부터의 영향 여부, 각편마다 드러나는 율격적 이질성 등 독립된 하나의 장르로 묶이기에는 시 장르 내적 공통소가 분명히 드러나지 않다. 기왕의 연구에서 율격논의의 전제로 삼고 있었던 것은 고려속요는 시문학이므로 서양 시의 율격론처럼 언어학적 기저자질에 의해 율격 현상을 파악할 수 있다는 암묵적 동의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노래와 시의 층위는 다르고, 그 언어적 배열 방식 역시 다른 것이어서 노래가사인 현전 고려속요에서 시적 질서를 찾으려는 것은 원천적으로 잘못된 접근법이다. 말하자면 詩律과 歌律은 그 토대가 문어와 구어로서 각기 다르다는 것이다. 고려속요는 그 원천인 민요가 구어에 바탕을 두고 있었기에 구어적 성격을 가지고 있었을 뿐만 아니라, 중국 사악과 곡의 영향으로 인해 문어적 성격 역시 공존하고 있었다. 본고에서는 언어의 양층성을 고려하여 고려속요 노랫말의 성격과 구성의 遠因과 近因을 고찰하고 속요 율격론을 어떻게 접근해야 할 것인가에 대해 살폈다. 遠因으로는 외래악의 수용(詞樂과 散曲)을, 近因으로는 采詩의 전통과 전대 가요로부터의 영향을 들었다. 고려시기 詞와 散曲의 수입으로 인한 궁중악의 재편은 고려속요의 가사 배열에 간접적 영향을 주었다. 사와 산곡의 문어적 성격 또는 歌詩로서의 성격이 고려속요에 미친 영향은 사문학의 화려한 수사법과 작품 속 화자(여성)의 설정, 산곡의 연 구분과 합성편사 등을 생각할 수 있으며, 구어적 층위(歌詞로서의 성격)로 보았을 때는 사 문학의 다양한 가사 재배열 방식이나 산곡의 구어체 사용이 관련 있다. 큰 틀에서의 구어 층위(가사 층위)의 율격 의식이 반영된 부분과 문어 층위(歌詩 층위)의 율격 의식이 반영된 부분은 대별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으로 채시를 통해 우리 노래에 대한 전통적인 관심과 노래를 한시와 동등하게 보았던 시가의식이 속요의 문어적 층위를 강화시켰을 가능성도 생각해 볼 수 있었다. In this study, I searched the metric system of Goryeo Sokyo(高麗俗謠) from a verbal point of view which lyrics have two different layers, which are literary and colloquial. The reason why we should consider the verbal and the metrical layers of Goryeo Sokyo lies on its complexity and hybridity as a genre. Sokyo lyrics have no definite common factors as the same genre. We can find genre disaccord such as co-existence of stanza style and non stanza style, existence of reused lines from other lyrics, influence from china music and metric disagreement among works. I think the assumed premise in previous studies is that we can find metrical rule of Goryeo Sokyo by distinctive feature in linguistic as same as western metrics because sokyo is as same poetry genre as western poetry. But that is originally wrong theoretical approach in that the layer of songs is different from the layer of lyrics, and their verbal arrangements are also quite different each other. Because lyrics of Sokyo are metricized by the rule of song, not by verse. Namely, I say poetic meter is different from that of song. Lyrics of sokyo are not only based on colloquial language in which fork songs are produced, but also based on literary language influenced by Chinese old poetry(Sa(詞) and Sangok(散曲)). I researched indirect causes(influence of Sa(詞) and Sangok(散曲)) and direct causes(tradition of collecting fork songs and influence of previous songs) what had influenced to formation of lyric and its characteristic considering of verbal layers, and then how to approach to metrics of sokyo. Rearrangement of court music caused by imported chinese music(Sa(詞) and Sangok(散曲) in goryeo(高麗) dynasty had influenced the lyric arrangement indirectly. Some literary features of Sa(詞) and Sangok(散曲) had affected Sokyo such as expressive rhetoric in Sa(詞), putting stanza and reuse of same line in Sangok(散曲). On the other hand, tradition of collecting fork songs and consciousness of the equal value of their own poetry for chinese poetry would reinforce literary language layer of Sokyo.

      • KCI등재

        鄕歌에서 俗謠로, 두 가지 서정성의 대칭과 융회

        서철원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08 고전과 해석 Vol.4 No.-

        본고는 향가와 속요의 문면에서 서정성이 구현되는 양상을 시간의식과 인물형상을 중심으로 비교함으로써 이들 역사적 장르 사이의 관계를 조명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이와 같은 비교는 향가와 속요 개별 작품의 어조 특히 ‘종결어미’를 중심으로 이들의 형식적 전변 양상을 검토하면서 시작했다. 여기서 ‘종결어미’는 문법적 직능보다 문맥을 통해 형성․구축되어가는 정서적 기능으로서의 성격이 더 크다. 종결어미에 대한 본고의 분석을 통해 향가와 속요의 시간의식․인물형상에 역사적 장르에 따른 대칭이 존재하는 한편, 한국 서정시의 원류로서 이들의 서정성에 융회의 측면도 儼存함을 드러내고자 한다.향가의 시간의식은 ‘소멸’의 양상을 통해 드러난다. 화자는 소멸의 시간을 통해 더 높은 존재방식에 이르리라 생각하고 있다. 특히 화랑의 인물 형상과 그에 대한 화자 자신의 심회를 비장하고 초절적인 것으로 묘사함으로써 ‘소멸’의 의미를 종교사상의 수준으로 격상시키고 있다. 향가가 현재를 부정하면서도 그것을 극복․초월해가는 과정을 통해 미래를 비장하고 아름다운 것으로 그려내고자 했다면, 속요는 과거의 아름다운 사랑을 회복하려는 욕망의 좌절을 통해 혼란스러운 격정에 이르고 있다. 향가의 ‘성자에 가까운 화랑’ 형상과 속요의 ‘이별하는 여인들’의 형상은 이렇게 해서 이루어졌다.향가에는 지상과 천상, 현실과 신비의 세계를 오가며 초월적 권능을 지닌 인물 형상이 나타나기도 하는데, 이를 ‘天師’ 형상으로 부르고자 한다. 본래는 종교집단의 역할을 맡았을 화랑에게는 현존 향가에서 이런 성격이 드러나지 않는다. 그 대신 ‘미녀’가 지닌 외면적 아름다움에 권능을 부여하는 문화사적 징후가 곳곳에서 보인다. 고려속요에서 여성은 초월자로서 시적 ‘대상’이었던 향가의 여성들과 달리 언술의 직접 ‘주체’로서 기능한다. 속요의 여성화자는 振幅이 크거나 단일하게 집약시키기 어려운 정서를 표현하는 데 유리하다. 고려속요의 창작 집단을 妓女로 보는 연구가 가능했던 것은 이러한 성향에 기인할 것이다. 속요의 여성은 향가에서 그러했듯 권능을 지닌 초월적 존재의 역할을 지속할 수는 없었지만, 시적 대상으로만 그치지 않고 작품의 화자로서 자신의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features of symmetry and amalgamate of two Lyricism between Hyangga and Sockyo by setting some principles forth as a premise. The principles are about the emotions of equality(平淡) in Hyangga and of bending(激情) in Sockyo. We can analyzise this emotions to reach the two lyricism, through the chains of two features : Time awareness and the Characters.The time awareness of Hyangga will be summarized as 'rebirth through death', the lyric persona's desire to the eternal future. On the other hand, that of Sockyo will be a fit of passion to the happy harmony in the past, repulse to the present dissociation between lovers.For the formation of this emotions, Some characters must be built. They are the 'apostles of the heaven(天師)' and the ‘beauty(美女)’. They have the transcendental powers under the infiuence of the awareness about the beautiful(美). They only can be an object in Hyangga, otherwise they can be a subject themselves in Sockyo. It may be due to the symmetry of the awareness about the beautiful. We can reach the two distinctions of the lyricism between Hyangga and Sockyo by the time awareness and the Characters.

      • 속요의 명명 방식 고찰

        김기영(Kim, Ki-young) 충남대학교 충청문화연구소 2018 충청문화연구 Vol.21 No.-

        속요는 현대인이 여전히 공감하는 정서를 담지하고 있는 우리의 전통 시가이다. 가사 전승의 속요, 그리고 가사 부전 속요의 순으로 작품의 내용을 주목해 보고 관련 기록이 있으면 그를 참조하여 작품 이름이 작품과 어떠한 관련성 아래 명명되고 있는지 면밀히 고찰하였다. 가사가 전하는 13편의 현전 속요를 보면 대략 5가지 방법으로 명명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1) 작품 첫머리 내세우기, (2) 작품의 내용·주제 내세우기 (3) 작자 내세우기, (4) 후렴 내세우기, (5) 전래 노래의 제목 취하기가 그것이다. 이 가운데 특히 (1)에 해당하는 작품이 6편으로 가장 많거니와 (1) 의 명명법은 특히 주목되는 바가 있다. 우리가 작품명이 전하지 않는 시조작품을 일컬을 때 초장 첫 구를 작품명으로 내세우는 문학적 전통을 (1)에서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가사 부전 속요의 경우, 후대의 연구자들이 이름을 명명한 경우[이제현·민사평의 소악부시]와 원래 작품 이름이 전해지는 경우[『고려사』「악지」의 24편 가운데<동동>·<처용>·<정과정> 제외]로 나누어 살펴 볼 수 있다. 전자의 경우에는 (1) 작품 내용이나 (2) 시어, 그리고 (3) 지역성을 고려해 명명한 것으로 확인된다. 또(4) 「악지」해설문에 언급하는작품일 것으로 추정되는 작품은「악지」에서의 그 작품 이름으로 명명하였다. 후자의 경우에는 지명·강·산·성·정자·기관 등을 고려해 작품 이름이 명명되고 있음을 감지하게 된다. 또한 인명, 동식물명으로 작품 이름을 취한 경우도 있다. 이 가운데 지명으로 작품 이름을 삼은 경우가 9편으로 가장 많다. 앞으로 고대가요, 향가, 속요, 시조, 가사 등 전 시가 장르를 대상으로 할 때, 노래 이름 짓기에 어떤 원리가 작동하고 있는지 종합적으로 살펴볼 의욕을 갖게 된다. 이에 대하여는 후고를 기약하고자 한다. Folk songs are our traditional poetic songs with the sentiment with which modern people still empathize. I paid attention to the content of works in the order of folk songs with lyrics known and those with lyrics unknown, and if there were related records, referring to them, I closely studied how the names of works were named in relation to works. It can be verified that for 13 present folk songs with lyrics known, they are name in about five ways. They are: (1) naming the beginning of works, (2) naming the content or topic of works, (3) naming an author, (4) naming refrain, (5) naming the title of traditional songs. Among them, there are as many as six works applying to (1) naming the beginning of works, and it is prominent in particular. This is because when we refer to works without their titles, we can find the tradition of literature naming the first phrase of the beginning as the title (1) naming the beginning of works. In case of folk songs with lyrics unknown, we can examine the case in which later researchers named works (Soakbu poetry of Yi Je-hyun and Min Sa-pyeong) and the case in which original works weren"t transmitted (except Dongdong, Cheoyong, Jeonggwajeong among 24 works in Akji, Goryeosa) respectively. In case of the former, it is verified that they were named in terms with (1) the content of works, (2) the poetic diction, and (3) the locality. In addition, (4) the work that were presumed to be referred to as a work in the expository writing was named the name of the work in Akji. In case of the latter, it is noticed that the names of works are called in terms with place names, rivers, mountains, castles, pavilions, or institutes. Also, there are cases in which the names of works were taken with the names of people or the names of animals and plants. Among them, the case in which the names of works were taken with the names of places is the most numerous. In the future, with the objects of the genre of the whole poetic songs, I intend to examine what principle works in naming songs synthetically. With regard to this, I expect next theses.

      • KCI등재

        고려속요의 시적화자와 다층적 면모

        하성운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1 리터러시 연구 Vol.12 No.5

        Goryeo's folk songs have a very diverse process of forming, and the poetic narrator in the works has various aspects. In this paper, the poetic speaker of Koryo was viewed as a dramatic figure known to wear a mask that distinguished him from the actual poet. Based on this, the poetic speaker of the Goryeo genus was examined, and the variability of the poetic speaker that occurs in the process was tracked. In this paper, we divided the aspects of the poet of Goryeo into monolithic and polyphonic cases. First, we looked at the works featuring a poet in the Goryeo folk song. Even if the same poetic speaker appeared, there were differences in speech methods and tones. On the other hand, works featuring several poetic speakers together had a different tendency than those of monophonic poetic speakers. In <(Goryeo)Cheoyonga>, several characters appeared according to their roles in the Narye ceremony of the wall photography scene, which kicked out evil spirits and blessed them, requiring a number of poetic speakers. <SeoKyung-byeolgok> is believed to have been sung by two poetic speakers, who appear to be male and female, while exchanging conversations. In <Ssanghwajeom>, many poetic speakers appeared in the Yeonhui space and exchanged words with songs. Most of the Goryeo folk songs featuring a large number of poetic speakers were sung in a space called theatrical Stage. We looked at the variability of poetic speakers in relation to the adapt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fast-track lyrics. The poetical speaker of Goryeo's folk songs had one single voice or a number of multiple voices. Even if it was the same first-person poet's inner voice, each piece had a different way of speaking and a different tone. On the other hand, the poet and the narrator also experienced a chang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when the Goryeo song was adapted into a system-friendly content. In the lyrics of the song, which was adapted to the early Goryeo period, the poetic speaker was uniformly standardized and changed to a uniformly instructive voice. 고려속요는 본디 다기한 형성과정을 갖고 있고, 작품 속의 시적화자도 다양한 면모들 보이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고려가요의 시적화자를 실제 시인과 구별되는 가면을쓰고 연출되는 극적 인물로 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고려속요의 시적화자에 대한 면모를 살펴보고, 아울러 그것이 선초에 개작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시적화자의 변동성에 대해 추적하였다. 본고에서는 고려속요 시적화자의 면모를 탐색하기 위해 단성적인 경우와 다성적인경우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먼저 고려속요 작품에서 1명의 시적화자가 등장하는 작품을 살펴보았다. 같은 1명의 시적화자가 등장하여도 발화방식이나 어조 등에서 각각의 차이가 있었다. 반면에 한 작품에서 여러 시적화자가 등장하는 작품은 단성적인 시적화자의 경우와는 작품 성향이 달랐다. <(고려)처용가>에서는 악귀를 쫓아내고 복을 비는 벽사진경의 나례 의식에서 역할에 따라 여러 인물이 등장하면서 다수의 시적화자가 필요했다. <서경별곡>은 남녀로 보이는 2명의 시적화자가 대화를 주고받으며 가창된 것으로 판단된다. <쌍화점>에서는 연희 공간에 다수의 시적화자가 등장하여 노래로 말을 주고받는 형식이었다. 다수의 시적화자가 등장하는 고려속요는 대부분 연희 무대라는 공간에서 불렸던 특징이 있었다. 선초 속악가사의 개작과 관련하여 시적화자의 변동성을 살펴보았다. 고려속요의시적화자는 1명의 단성적인 목소리가 나오거나 다수의 다성적인 목소리가 등장하였다. 그리고 같은 일인칭 시적화자의 속요라 하더라도 작품마다 발화방식이나 어조가서로 달랐다. 반면에 조선초기에 고려속요를 체제 옹호적인 내용으로 개작하면서 시적화자도 변동을 겪게 된다. 선초에 고려속요가 개작된 속악가사에서는 시적화자가획일적으로 규범화되며 한결같이 교술적인 목소리로 바뀌었다.

      • KCI우수등재

        言語 慣習과 文學的 慣習이 韻律 層位 形成에 미친 影響에 대한 硏究

        박경우(Park, Kyung Woo) 국어국문학회 2015 국어국문학 Vol.- No.171

        본고는 구어적 관습과 문어적 관습이 운율 형성에 어떻게 관여했는가에 대한 시론적인 연구다. 운율이 시가에 어떻게 구현되어 있는가 하는 존재론적 차원이 아니라, 운율의 발생론적 문제를 파헤치고자 하였다. 서양의 운율론이 문어로 작성된 시편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것에 비해, 우리의 경우에는 구전 전승되던 노래들이 문헌에 정착된 것들이 대부분이라는 점도 본고에서 논의의 전제로 삼은 것이었다. 분석 대상으로 삼았던 고려속요가 조선조에 문자화 되었기에 중세 국어에서의 구어와 문어를 구분했고, 속요의 어떤 표현이 구어적인가 문어적인가를 판별하기 위해서는 중세 국어자료를 최대한 확보하는 일이 필요했다. 그래서 21세기세종계획의 말뭉치를 기본 검색 자료로 하여 용례들을 다양한 방식으로 검색하여 구어적 층위와 문어적 층위에서의 영향에 대해 면밀하게 고찰하였다. 그 결과 구어 층위의 언어관습으로는 비규범적 표현, 맥락 의존적 생략, 말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한 주저음과 감탄음, 속담의 변용, 방언과 토속어의 사용을, 문어 층위의 언어관습으로는 불경 언해류의 관습적 표현, 현토식 표현, 번역식 표현, 문언문 노출, 타장르의 관습 차용을 속요 텍스트에서 찾을 수 있었다. 또한 구체적인 작품 분석을 통해 각각의 언어 관습이 어떻게 한 작품에 나타나는지를 제시하였다. 본고를 통해 우리 시가의 운율 형성에 미친 언어 관습과 문학적 관습의 양상에 대한 학술적 관심이 제고되기를 바란다. This would be preliminary study on how spoken language convention and written language convention got involved in building up the korean prosody. I have tried to deal with genetic aspect of the korean prosody, not with ontologistic aspect that is about how rhythms of poetry were formulated. The major premise is that most korean old poetry were settled down in literature after being handed down orally, whereas most western poetry were in written language. It was needed to collect medieval korean language materials as much as possible in order to tell some verbal expressions between oral or literal, for works of Goryeo Sokyo(高麗俗謠) which are main subject of analysis in this paper were not written until Chosen dynasty. Basically making use of corpus of 21th century Sejong Plan, I have examined some conventional effect upon formation of metrical layers in linguistic and literature on the Goryeo Sokyo(高麗俗謠) texts with many possible search methods. I have concluded that there are some oral level language convention such as "irregular expression, omission by context, hesitation and exclamation that are used in controlling speed of speech, variation of proverbs, dialect and local language" and some literal level language convention such as "conventional expression originated in translating buddhist scriptures, expression from adding Korean endings to classical Chinese phrases, translating type phrase, exposure of classical Chinese writing work, borrowing some expressions in other genre" Also I have presented how each of language convention could be found in korean old poetry by analyzing Goryeo Sokyo(高麗俗謠) texts. I hope this paper would provoke some academic interests on language convention and literary convention which affected on the formation of korean prosody.

      • KCI등재

        俗謠律格의 理論

        손종흠 열상고전연구회 2011 열상고전연구 Vol.34 No.-

        시가는 시이면서 노래이고, 노래이면서 시라는 양면성을 지니고 있다. 시가는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소리현상인 율동에 의해 발생되는 율격을 기반으로 하는 형식에 의해 완성되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형식은 형태를 완성하는 주체이므로 율격은 시가를 시가답게 하는 핵심적인 요소가 된다. 시가는 형식을 통해서 예술적 아름다움을 완성하기 때문에 시가의 예술적 아름다움을 올바르게 분석하기 위해서는 율격에 대한 논의가 필수적이다. 이러한 점은 세계 모든 시가문학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것으로 우리 시가도 예외일 수 없다. 이처럼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시가의 율격론과 형식론은 표현수단인 언어와 표기수단인 문자가 일치하는 단계에서 시작할 수밖에 없는 성격 강하게 지니고 있다. 왜냐하면 율격과 형식에 대한 논의는 표기수단을 근거로 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런데, 한국 시가의 율격을 논의하는 데에는 시가를 노래하는 표현수단과 그것을 기록한 표기수단이 너무나 다르다는 사실이 커다란 장애가 되고 있다. 시가에 있어서 표현수단과 표기수단이 서로 다를 경우 작품의 율격에 대한 논의가 어렵다는 점으로 인해 형식론을 세우는 데에 있어서 커다란 걸림돌로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한국 시가는 우리말을 표현수단으로 하는 노래지만 그것을 기록할 때는 여러 가지 표기수단을 사용하였다. 초기에는 한자를 사용했고, 신라 시대에는 鄕札을 쓰기도 했다. 그러나 이런 기록수단들은 모두 우리 고유의 문자가 아니라 한자를 기본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우리말을 소리 나는 대로 적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한국 시가를 우리말과 가장 가까운 상태로 표기할 수 있는 것이 바로 한글이었으므로 우리 시가를 소리 나는 대로 표기하는 것은 한글이 창제되고 난 후 비로소 가능하게 된다. 그것의 최초 작품이 고려시대의 노래인 속요이기 때문에 한국 시가의 율격에 대한 이론은 속요에서 출발해야 한다는 역사적 당위성을 가지게 된다. 앞 시대의 작품으로 한자를 표기수단으로 했던 고대의 시가나 향찰로 표기된 향가 등에서는 소리의 주기적 반복에 의해 형성되는 율격에 대한 논의가 어렵거나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한국시가 율격의 이론을 속요에서 시작하려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그 동안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한국시가의 율격적 본질을 밝히려는 노력이 끊이지 않고 있어왔으며, 상당한 성과를 축적했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이러한 논의들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문제가 있었으니 그것은 바로 외국에서 다른 나라의 언어를 대상으로 만들어진 이론을 근거로 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이론들은 한국어를 표현수단으로 하는 시가의 율격적 본질에 접근하여 우리 시가가 지니고 있는 예술적 아름다움을 밝혀내는 데까지는 이르지 못했다는 지적을 피해갈 수 없다. 왜냐하면 기존의 이론만으로는 한국시가가 가지는 율격적 정형성과 특수성을 올바르게 밝혀내기가 어려웠기 때문이다. 결국 한국 시가의 율격론은 한국어가 지니고 있는 언어적 특성을 바탕으로 할 때만이 율격의 본질에 접근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한국 시가에 대한 율격의 이론이 우리 언어의 특성을 바탕으로 해야 한다는 전제를 근거로 할 때 한글로 기록된 최초의 작품인 속요를 대상으로 율격론을 전개하는 것이 가장 타당하다는 점을 쉽게 인지할 수 있다. 우리 언어는 문장 중에서 활용을 하지 않는 명사, 대명사, 語幹 등과 그것에 붙어서 활용을 함으로써 문장의 성격을 결정짓는 수식어, 조사, 어미 등의 결합에 의해 구성되는 특성을 지니는 膠着語다. 시가는 이러한 언어의 범주를 절대로 벗어날 수 없기 때문에 우리 언어의 규칙이 그대로 적용된다. 그러므로 언어를 기반으로 하는 시가의 율격 역시 이러한 언어의 규칙과 밀접한 관련을 가질 수밖에 없다는 것 또한 명백해진다. 이 점은 한국 시가의 율격에 대한 이론이 바로 우리 언어가 가지고 있는 특성에서 출발해야 함을 여실히 보여주는 증거가 되기도 한다. 이러한 생각을 바탕으로 하여 본고에서는 속요의 율격에 대한 이론을 소리의 길이를 기준으로 하는 ‘平長과 독립된 최소의 의미 단위인 ‘名’, 명과 명의 결합으로 구성되는 ‘句’, 구의 중첩에 의해 형성되는 ‘行’ 등에서 출발하도록 하였다.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조사로 이루어지는 ‘명’이 생략됨으로써 長音으로 되는 것이다. 왜냐하면 이것에 의해 소리의 장단이 정해지고, 이러한 변화에 의해 율격적 특성이 결정되기 때문이다. 즉, 작품에서 쓰인 모든 음절은 平音과 長音으로 나누어지며, 이것들이 결합함으로써 만들어내는 ‘명’이라는 단위에 의해 표현의 의미와 성격이 정해지고, ‘명’이 결합하여 만들어내는 ‘구’가 율격적 단위로 작용한다는 것이다. ‘구’가 율격적 단위로 완성되기 위해서는 일정한 단위로 반복되는 ‘행’이 전제되어야 하기 때문에 네 개의 율격적 요소는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이론을 바탕으로 할 때 속요의 율격적 특성은 평음과 장음을 바탕으로 하는 두 개의 ‘명’이 하나의 ‘구’를 이루며, 세 개의 ‘구’가 하나의 ‘행’을 형성하는 ‘三句六名으로 정식화할 수 있게 된다. Poetry has its dualistic nature being a song as well as a poem, and is composed of verse meters generated from rhythm of repeating words. Verse meter is a core factor that makes up poetry as a frame of the poetic structure contributing to poem's artistic greatnes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versification to fully analyze the poetry and eventually to evaluate its artistic value, and this is true to every kind of poetic literature in the world including Korean Poetry. Analyzing Korean Poetry, however, has encountered its limitation since classical Korean Poetry was written not in the Korean alphabet but Chinese characters. This difference between describing language and written characters makes a form of a poem hard to be studied. Thus, it becomes clear that poetry versification and format can be investigated only when language for its descriptions is in accordance with characters for its writings. Korean Poetry was written in many different forms such as Chinese characters or 'Hyangchal' in the Silla Period although it was Korean language based. These kinds of recording formats were unable to describe how each word in a poem was pronounced since they were based on Chinese character. As a result, only Korean Poetry written and passed down after the Korean alphabet(Hangul) was invented is the oldest form of poems whose versification can be theoretically analyzed as Hangul is the most likely to completely describe pronunciation of Korean. Therefore, it can be suggested that theoretical analysis for the versification in Korean poetry can be performed by looking at 'Sokyo' from the Goryeo Period, the first poem recorded in Hangul. On the other side 'Hyangga' recorded in the form of 'Hyangchal' or any other poem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older than 'Sokyo' are hard to determine its structure of verse because the versification is produced from repeating words of sound. This is another reason why Sokyo has been chosen to be focused on in this research for theoretical approach to the versification of Korean poetry. Many researchers have tried to clarify the features of versification in Korean Poetry, and their results seem somewhat successful. However, they all have the common problem in which their analysis is based on foreign theories aiming for different languages. These theories seem to fail to define the true artistic value of Korean poetry with no accessing to the features of Korean language and also the nature of the versification. In other word, such old existing theories cannot fully illustrate fixed-format and features in the versification of Korean poetry. Therefore, the nature of the versification in Korean poetry can be assessed only when Korean's lingual characteristics are taken into consideration. More importantly, at last, it also evidences that 'Sokyo' would be an appropriate model to be analyzed in terms of its versification. Korean is an agglutinative language composed of noun, pronoun, a stem of a word or such a word not used alone in a sentence, with addition of modifier, postposition, ending of a word or such a word determining a characteristic of the former. Poetry is dependent on the category of language, and thus features of Korean language have a strong influence on its poetry as well. This re-affirms a strong connection between the features of a language and its poetic versification, emphasizing that the nature of Korean language has to be understood first so as to analyze the versification of Korean poetry. In the basis of such ideas, this research analyzes and defines the versification of 'Sokyo' by focusing on 'Peyongjang(平長)' in which length of a sound is an important measure, 'Name (名, Myeong)', which is the smallest unit of an independent word, 'Phrase (句, Goo)', that is made of 'Myeong' and 'Myeong', 'Verse(行, Haeng)', which is produced from repetition of phrase, and so on. Here, it is important to notice that a prolonged sound(長音, Jangeum) is produced by omitting 'Myeong' that is made of postposition because it determines rhythm of a sound, and so features of versification is also determined by these changes. All of syllables in Korean poetry are divided into lax consonants(平音, Pyeongeum) and a prolong sound, and their further combinations build an unit called name(名) responsible for meanings and features and bindings of the names create phrase that is an unit for versification. In order for phrase to be completely made up, the four units for versification are intimately connected to one another with repeating verse. From this theoretical background, Samguryukmyeong(三句六名) can be defined where lax consonants(平音) and prolonged sounds are produced from three phrases that are composed of two verses each.

      • KCI등재

        향가와 속요의 사이 - 시행 구성과 어조, 정서의 대칭을 중심으로

        서철원 국문학회 2014 국문학연구 Vol.0 No.30

        Between Sokyo and Hyangga, have been discussed in a manner that you can assume that Relation, focus on the differences in the background of the work. This article has a variance that is comparison from the side of Sokyo and configuration of line, but rather, it is a point that there be a two axis poetry history by the action of the difference. Hyangga while trying to relatively free Shigyo configuration based on customs and meaning of writers through the line too long or intermediate line of short first, Sokyo iterative Len row and quantity similar by placing, and a configuration more regular in the field of Music. If you look at the Sokyo and word length, Hyangga attempt to voice stand deeply sinking vibrates to Sokyo. On the other hand, Jeongeupsa is composed of 3 stages, there is a current affairs in conjunction with the personality of Baekjegayo as Engen of Sokyo. 향가와 속요의 사이는 그 연속적 계승관계를 전제하거나, 작품과 배경의 차이에 주목하는 방식으로 논의되어 왔다. 양자는 시행 구성과 정서의 측면에서 대비되는 차이점을 지니고 있지만, 오히려 그 차이점 덕분에 이루어진 어조와 정서의 대칭 양상이 후대 시가사의 두 축이 될 수 있었다고 본다. 향가는 짧은 첫 행 또는 중간의 지나치게 긴 행을 통해 작가의 의도와 관습에 따른 비교적 자유로운 시행 구성을 시도하는 반면, 속요는 비슷한 분량과 패턴의 행과 연을 반복 배치함으로써 악곡의 자장 안에서 한결 규칙적인 구성을 취한다. 어조 및 정서를 놓고 보면 향가는 단일한 어조와 감탄사를 통해 하나의 정서에 깊이 침잠하지만, 속요는 이리저리 진동하는 입체적인 목소리를 시도한다. 특히 <정읍사>의 3단 구성은 분연체 속요와 유사한 구성의 초기형을 연상케 하는데, 속요의 연원이 백제가요와 관련되었다면 이로부터 향가와 속요의 병존 가능성을 떠올릴 만하다. 향가와 속요는 시행 구성과 어조, 정서뿐만 아니라 지역적 기반과 화자의 성격, 세계관 등의 많은 부분에서 대칭점이 많다. 이들 자질을 보다 체계화하여 초기 시가사의 문제를 해명하는 것이 앞으로의 과제라 할 것이다.

      • KCI등재

        향가와 속요의 추상적 심상과 그 시적 성취에 관한 재론

        서철원(Seo Cheol-won) 韓國批評文學會 2011 批評文學 Vol.- No.42

        이 논문은 향가와 속요의 문면에서 추상적 어휘를 통해 구축된 심상의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추상적 심상은 향가에서 여러 문맥적 요소의 개입을 통해 추상적 어휘에 그 본래 의미와는 다른 의미망을 추가, 부연하는 시도로부터 출발하였다. 7세기 향가의 '건달바'와 정토 관계 어휘로부터 기존과는 다른 의미망의 추가, 부연 양상을 살펴볼 수 있다. 다음 세대에 이르러 추상적 심상은 2개의 어휘를 결합시켜 초월세계와 현실세계를 편조(遍照)하는 심상의 구현을 시도하는 방향으로 발전하였다. 나아가 8세기 향가에서 '미륵좌주'와 '미타찰'에서 합성어를 통해 초월과 현실이 서로 아우르고 넘나드는 모습을 엿볼 수 있다. 한편 「원가」는 텍스트가 성취한 서정성과는 별개의 역할이 작품에 부연되어 현실적 권능을 지니게 되었다. 이는 문면에 드러나지 않은 추상적 심상의 기능이 확대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상의 3가지 경향은 속요에서 다음과 같은 형태로 지속 또는 변용되고 있다. 추상적 심상이 직접 드러난 사례로서 후대의 속요 「이상곡」은 주체의 강인한 의지를 묘사하기 위해 추상적 심상의 본래 의미를 유지하면서도 또 한편으로 축소, 부정하기도 하는 입체적인 태도를 보인다. 한편 8세기 향가가 보였던 역동적인 심상은 추상적 개념 어휘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구현되고 있다. 이는 「정읍사」의 "진 데"와 같은 중의성을 지닌 어휘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속요에서 전체적 시상 전개로부터 일탈한 단락은 작품의 원형(原型)에는 없었던 이전가치를 추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는데, 이는 문면의 서정성과는 별개의 현실적 효능이 덧붙여졌던 「원가」의 성과를 연상시킨다. 요컨대 속요는 향가의 추상적 심상 자체를 계승한 것은 아니지만, 향가가 이룬 ①문맥을 통한 의미망 추가, ②역동적·이중적 의미의 심상 구축, ③문면에 드러나지 않은 효능의 추가 등의 성과를 다소 다른 방향에서 구현하고 있다. 이는 추상적 심상을 통해 향가가 이룬 성과를 새로운 작시 원리에 따라 변주(變奏)한 것이다. This thesis is composed to interpret the abstract image of complicated phrases considering homogeneity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subject of the lyrics and receiver, and also resurface the results of the art works. The main subject of this study is like following. First, I analyzed the phrases twice which shows abstract image from each text of Hyang-ga and Sok-yo. Above all, I investigated such phrases only considering the context in the texts. And in the case of such phrases, already pointed out to be complicated. I selected the meaning referring to the existing issues. And then, I amplified the meaning in the way of considering the culture-historical context during the time of creation and enjoyment. And for last, I examined the effect on the communion between the subject of lyricism and object by the abstract image of each texts, considering the complexity of meaning. Second, I reflected the poetic achievements of Hyang-ga and Sok-yo on the basis of the results that analyzed the phrases of abstract images. And the duality of the levels-the religious and shamanistic level which belongs to the poetic diction of Hyang-ga, and the positive and poetic level which belongs to the poetic diction of Sok-yo-have been also discussed in the production of the studies. The analyzation about inner and outer context of text in this study is standard to reflect the 'duality'. Through this study, I could clearly reveal the surface of lyricism in Hyang-ga and Sok-yo. Third, I attempted to prove the two levels of original Korean lyric poems by comparing the poetic achievements of Hyang-ga and Sok-yo. Sok-yo is the genre which collects and revives the folk songs from all over the country and lets the role of the female speaker stand out, while Hyang-ga is the style ofGyeong-Ju which is developed by focusing on matters like death and extinction. Along with these, the fact that Hyang-ga and Sok-yo have contrasting aspects in many parts have been revealed in depth.

      • KCI등재

        <만전춘별사>의 악장(樂章)적 성격 고찰

        김영수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12 東洋學 Vol.51 No.-

        Although Sok-yo(俗謠:folk songs in Koryo-dynasty) have a superior value of literature especially on lyrics but because they were regarded as lustful songs or songs that represent the love only between man and woman(男女相悅之詞) therefore Ak-jang’s characters of Sok-yo had to be studied secretly. Those songs usually showed instinctive expression focusing on farewell or love. Chosun dynasty’s main class - ‘Noble Men’(士大夫) who were fully armed with new-confucianism classified these songs as per their very strict standard and those which have been classified as ‘just korean spoken words song(without any chinese character to be written)’, ‘buddhism related songs’ and ‘lustful songs’ were secluded or revised to be more elegant by them. Ak-jang(樂章:a kind of literature) mainly consist of songs for praising and praying and they thought that finding Ak-jang’s characters from Sok-yo are not reasonable. But we found that common subject ‘Nim’(님:lover) for lover relationship of lover’s in Sok-yo and ‘Nim’ for relationship between monarch and subject are exchangeable and can be replaced each other. Therefore we concluded that it is possible to find out Ak-jang’s characters from Sok-yo. In the early-Chosun dynasty, many Ak-jang which include self-control and diligence but showed pray and praise outwardly were composed. The work called ‘Manjeonchun-byeolsa’ and ‘Ssanghwajeom’(雙花店) have been regarded as representative lustful works at the contemporary time. Moreover there is also a study saying that ‘Manjeonchun-byeolsa’ is not a consistent emotional flow but a composite song. Some of them regarded a ‘colored duck’(비오리) in the work as Casanova. But the ‘Manjeonchun-byeolsa’ is a song which includes the court ladies’ love for ‘Monarch’(戀君歌謠) and their dream to be loved by Monarch. Therefore ‘So(沼:pond)’ is splendid but it means locked court and ‘Yeohul(여흘:flowing water)’ means outside world. In the conclusion ‘Manjeonchun-byeolsa’ is a court ladies’(宮女) song to crave for the love of monarch and is a song which contains Ak-jang's character in itself. 속요(俗謠)의 악장(樂章)적 성격에 대해서는 그동안 조심스럽게 연구되어 왔다. 속요는 가사가 세련되고 문학성이 뛰어나지만 그간 음사(淫詞)나 남녀상열지사(男女相悅之詞)로 지탄받아 왔다. 그 내용이 주로 이별이나 본능적인 표현에 머물렀기 때문이다. 신유학으로 무장한 조선조 사대부들이 엄격한 가악(歌樂) 기준을 가지고 전대의 가요 중에 ‘우리말로 된 것’, ‘내용이 음란한 것’, ‘불교적인 것’은 배척하거나전아하게 다듬었기 때문이다. 또한 속요 가운데 송도(頌禱)를 위주로 하는 전아한 악장적 성격을 논한다는 것은 상호 이질적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동안 남녀상열지사(男女相悅之詞)와 충신연주지사(忠臣戀主之詞)의 공통적인 주제인 ‘님’의 속성을 파악하는 가운데 상열지사의 ‘님’이 연주지사의 ‘님(임금)’으로 상호 전용이 가능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겉으로는 송도와 찬미를 앞세우지만 내면적으로는 규계(規戒)와 권면(勸勉)을 내용으로 하는 악장은 조선초에 많이 제작되었다. 그간 「만전춘별사」는 「쌍화점」과 함께 속요의 대표적인 음사로 인식되어 왔다. 또한 「만전춘별사」는 6연이 일관된 정서의 흐름이 아니라 여러 노래를 합친 합성가요라는 연구도 있었다. 또한 ‘비오리’의 정체를 바람둥이로 보고 두 여자 사이에서 양다리를 걸치는 존재로 인식하기도 했다. 그러나, 「만전춘별사」는 궁녀들의 연군가요(戀君歌謠)이며, 승은(承恩)을 얻기 위한 궁녀들의 꿈을 노래한 가요이다. 따라서, ‘소(沼)’는 화려하지만 갇힌 궁궐이며, ‘여흘’은 바깥 세상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만전춘별사」는 임금의 은총을 갈구하는 궁녀들의 연군가요이며, 악장적 성격을 띠고 있는 속요이다.

      • KCI등재

        고전 시가 속 여성 형상의 제시 양상과 그 시가사적 함의 -고대가요, 향가, 고려속요를 대상으로-

        박상영 ( Sang Young Park ) 한민족어문학회 2013 韓民族語文學 Vol.0 No.64

        우리 문학사에서 여성에 관한 연구는 특정 갈래 혹은 개별 작품에 주로 치우쳐 왔고, 고전시가 전체의 거시적인 흐름 속에서는 논의되지 못한 감이 크다. 이에 대한 문제의식과 더불어 시작된 본 연구는 우선 고대가요에서 고려속요에 이르는 작품을 대상으로 여성 형상이 어떻게 제시되고 있으며 시대적 흐름 및 가치관의 변모에 따른 여성 형상의 미학적 함의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먼저 고대가요 속 여성은 현실적 존재이자 결핍과 욕망 부재의 여성으로서, 자신의 문제를 극복하려는 적극적 의지를 보여주는 한편 향가 속 여성은 적극적인 모습을 보여 주기도 하고(종교적 경향의 텍스트), 육감적인 여성의 모습을 보여주기도 함을 알 수 있었다(애정 중심의 현실적 경향의 텍스트). 그리고 속요의 경우는 대체로 적극적 여성상, 대상화된 여성상, 남성의 퍼소나로서의 여성상 등 다양한 층위로 나타나는데 이 중 적극적인 여성상의 경우는 전대 시가의 적극적 여성들과는 달리, 문제 상황을 행동화하는 대신 내면으로 수렴함으로써 인고의 여성, 가녀린 여성상의 이미지를 보여주고 있음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갈래별 다채로운 여성상은 고대가요의 경우, 자기중심주의가 텍스트 속에서 약한 남자와 강한 여자라는 서로 다른 방향의 양가적 형태로 나타난 것이라면, 향가와 속요의 경우는 남성들의 여성에 대한 이중적 시선이 투사된 것이라는 데 그 의미가 있다. 즉 향가의 경우는 중앙 집권적 지배체제 정비와 유교 덕목의 사회적 확산으로 여성의 입지가 상대적으로 약화되어갔던 당대 현실이 반영된 것이었고, 이는 고려조에 오면서 여성을 차별하던 사회적 분위기, 내우외환의 상황, 악부와 연관된 한시 창작의 관행 등과 결합되어 발화하지만 침묵하는 이중적 주체의 모습으로 제시되기까지 했던 것이다. 또한 고대가요-향가-고려속요를 잇는 일련의 흐름 속에서 여성은 공공의 욕망을 표출 하다가(고대가요), 이후 사적 욕망을 표출하는 주체로서 탈바꿈되는데(향가, 고려속요), 그 과정에서 남성은 신화적, 종교적 색채를 버리고 점차 경험적이고 현실적인 모습으로 나타남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남성의 위상이 약화될수록 여성은 오히려 대상화, 타자화, 대리자적 모습을 보여주면서, 결국 텍스트는 전체적으로 여류 정감의 확대와 서정성의 극대화라는 시가미학사의 중요한 본질적 문제와 맞닿아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aspects of women images and its historical implications in the Medieval Korean Classical Poetry, especially the ancient poetic songs, Hyangga, Goryeosokyo. Women images have been studied in various types of ways, however, they have never been diachronic researched in the Medieval Korean classical poetry. Women images are important because they are closely related to the lyricism and restore the women that have been marginalized in the male-dominated literary discourse. Women in the ancient poetic songs appear as a subject of singing and letting men sing. In any case, women have common characteristics such as realistic presence, women who lack desire, living in absence of happiness, but they are shown in a positive aspects to try to solve their own problems by themselves. Two types of women are discovered in Hyangga, the first image is active women who try to solve their own problems and the second image is voluptuous women who exist as an object of men`s desire. In the former case, women are mainly discovered from the text of religious tendencies and in the latter case, women are usually discovered from the text of the realistic tendencies with affection matter. In Goryeosokyo, three types of women images are discovered, active women, objectified women by men, telling but silent women who delegate men. Their images generally are presented as an image of a delicate and traditional patient female archetype by the convergence of the inner, instead of taking action to solve problems unlike other Genres. This implies its own aesthetic features in each genre, In the ancient songs, egotism which represen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ancient time appears as ambivalent form about characters in text, weak men and strong women. In both cases of Hyangga and Goryeosokyo, men`s dual perspectives about women are reflected in women images. In other words, by maintenance of centralized governance system, the social spread of the Confucian virtues, the contemporary reality that women`s position went relatively weakened was fully conveyed to Goryeo Dynasty. That`s why dual-subject that speaks but virtually is silent, can be presented in this time by the widespread social prejudice about women, Era of an uneasy situation internally and externally, influence of classical Chinese Poetry`s creation related to Akbu Poems(樂府). Moreover, this paper discovered women`s change from a subject of expressing ‘public desire’(in the ancient songs) into as a subject of expressing ‘individual`s desire’(in Hyangga, Goryeosokyo). In the process, men gradually turned into realistic presence from mythological and religious presence. As men`s status weaken, women also showed their changes into objectified women from active ones and at the same time, expansion of women`s emotion and maximizing of lyricism are discove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