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락국기」를 통해본 가야 건국주체세력 출자에 관한 연구

        김명옥(Kim Myungok)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8

        이 글은 가야계 건국주체 세력 출자에 관해서 살핀 글이다. 금관가야 건국신화인 「가락국기」는 난생신화이고, 고령 대가야 건국신화는 감응신화인데, 다 동이족계 신화이다. 두 설화는 건국주체 출자를 ‘하늘’이라고 했다. 그런데 삼국사기 「김유신열전」에 김유신의 조상을 “헌원의 후예요. 소호금천 씨의 후손”이라고 밝히고, 「문무왕릉비문」에는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 투후의 후손”이라고 했으며 「대당고김씨부인묘명」에는 소호금천 씨가 세조世祖이며, 중시조는 일제日磾라고 했다. 이러한 자료들에 따르면 가야 건국세력들의 세조는 소호금천 씨이며 중시조는 김일제이다. 소호금천 씨는 중국 산동지역에 있는 대문구문화의 주인공인데, 새를 토템으로 삼은 동이족이다. 소호금천 씨는루공토기를 제작하고, 편두를 했으며, 새를 숭배했다. 새는 태양을 상징한다. 소호금천 씨의 문화와 가야계의 문화는 매우 유사한데, 낙동강 유역에서 새 모양의 토기가 출토되고, 망자 넋을 하늘로 인도하기 위해 큰 새의 깃털을 사용하는 장례풍습, 편두 흔적, 낙동강 유역에서 출토된 루공토기 등에서 문화의 상관성이 확인된다. 김일제는 가야계 중시조로, 전국시대 동호(고조선)의 일부가 흉노에 흡수되었다가 한漢나라에 포로가 되었는데, 그의 후손들은 왕망이 세운 신新나라 조정에서 활약하다 후한이 들어서면서 요동까지 와서 은거했다. 이때 고조선유민과 융합되었고, 그 세력의 일부는 남하해서 가야를 건국했고 일부는 신라의 김 씨 왕족이 되었다. 다만 가야계 신라인들이 원시조와 중시조만을 언급하고 수로왕에 관해서는 언급하지 않는 점은 정치적 상황으로 파악했다. 이러한 역사는 천손사상을 내포한 난생신화가 고조선 이후, 은나라 및 진나라, 서국, 부여, 고구려, 신라, 가야의 건국신화로 계승된 점에서도 확인된다. 따라서 가야계의 건국세력의 원시조는 소호금천 씨, 중시조는 김일제이며, 김일제의 후손세력과 고조선의 유민이 결합한 세력을 건국세력으로 파악했다. This paper examined the power generation of founding subjects of Gaya region. The “Record of the State of Gaya” is the founding myth of Geumgwan Gaya and the myth of human birth from egg. The founding myth of Goryeong Great Gaya is the worshiping myth. Both of myths are from Eastern babarians world. In two myths, the founding subjects came from the ‘heaven.’ However, the “Biography of Kim Yu-shin” in the “History of Three Kingdoms” describes that the ancestors of Kim Yu-shin were the ‘“descendants of Heonwon and of Soho Geumcheon”. The “King Munmu Stele Inscription” says, “the ancestors of Kim Yu-shin were the descendants of Tuhu performing the religious rites for the heaven”. The “Epitaph of Daedanggo Mrs. Kim Tomb” shows that Soho Geumcheon was the founding leader and the ancestor flourishing the clan was Ilje( ). In accordance with the records above, the founding leader of the founding power was Soho Geumcheon and the ancestor flourishing the kingdom again was Kim Ilje. Soho Geumcheon is the subject of Dawenkou culture in Shandong, China, which was Eastern Barbarians worshiping a bird as totem. Soho Geumcheon made Longquan earthenware, shaped a head by pressing it and worshipped bird. The bird symbolizes the sun. The culture of Soho Geumcheon is very similar to that of Gaya world. The bird-shaped earthenwares have been found along the Nakdonggang riverside. The funeral custom using a feather of a big bird for guiding the deceased to the heaven, shaping a head by pressing and Longquan earthenware found along the Nakdonggang riverside verified the cultural correlation between Soho Geumcheon and Gaya. Kim Ilje is the ancestor flourishing Gaya world again. A part of Dongho(Gojoseon) during the age of civil wars was occupied by the Huns and he was captured by the Han. His descendants served in the royal court during the Xin dynasty established by Wang Mang and retired to Liaodong as the Later Han was established. At that period, they were united with migrants of Gojoseon. Some of them went south and built Gaya. A part of them became the royal family of Silla, the Kims. However, it is understood that Silla people included in Gaya world talked about the ancestors who founded the country and flourished the country again but didn’t mention about King Suro because of the political circumstances. The history above was confirmed by the fact that the myth of human birth from egg containing the belief on the descendants of the heaven was continued to the founding myths of Eun dynasty, Jin Dynasty, Seo dynasty, Buyeo, Goguryeo, Silla and Gaya since Gojoseon. Accordingly, the original founding father of Gaya world was Soho Geumcheon and the ancestor flourishing Gaya again was Kim Ilje. It was understood that the power combining the descendants of Kim Ilju with the migrants of Gojoseon was the founding power.

      • KCI등재

        신라 왕실 삼성(三姓)의 연원

        김기흥(Kim Ki-Heung) 한국고대사학회 2011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64

        신라의 김씨는 진흥왕대에 대중국 외교 관계에서 처음 사용되었다. 『北齊書』에 보이는 신라왕 ‘김진흥’은 ‘왕인 진흥’으로 ‘김’은 ‘왕’의 의미이다. 김씨 왕실의 바로 앞에 있었던 다른 부계 혈통의 ‘예전 왕’들은 ‘옛 왕’ 즉 ‘석김(昔金)’에서 왕을 나타내는 ‘김’을 피하고 석(昔)만을 남겨 구분한 듯하다. 석씨에 앞서 집권하였던 왕실 계통은 시조 혁거세의 이름에 보이는 ‘광명’의 의미를 취하여 ‘박’이란 성씨로 구별하였다. 三姓은 석씨계 집단의 도태 후에 칭해진 것으로서 씨족이나 족단들이 준별되는 상태에서 賜姓하여 준 것이 아니었다. 기존 왕계에 따라 성씨를 나누고, 왕실과 친연관계가 있는 귀족들에 대하여는 부계 혈연관계에 따라 구분하여 가다가 결국 상대적 친소정도에 의해 성씨를 구별하였던 것이다. 그런데 이들 지배층은 누대의 정치적 연합과 통혼관계를 통하여 복합적인 혈연관계를 형성하고 있었다. 이에 중고기 성골왕실의 근친혼이 강화되며 권부의 핵심에서 도태되었던 박씨계에 대해 김씨계는 여전히 혈연적 유대감을 갖기도 하였다. 김씨 왕비가 대외적으로 박씨를 칭하기도 하고, 신라 말에는 김씨였을 가능성이 있는 신덕왕이 박씨를 칭하는 일도 나타났다. 신덕왕은 견훤이나 궁예 등이 신성한 자임을 선전하는 중에 신라 왕실의 권위를 다시 세우고자 퇴락한 김씨왕계 대신 신라 초기 왕계인 박씨의 원손임을 천명하는 복고적 행태를 보였다. 한편, 김씨의 경우 7세기에 이르러 김알지 이외에 중국의 신화적 제왕인 소호금천씨를 시조로 보는 인식이 나타났다. 국제화의 진전 속에 왕실의 위상을 제고하기 위한 정체성의 확대 시도이며, 아울러 국가 중추세력으로 등장한 가야계 김씨까지를 포괄하기 위한 것이었다. 시조를 중국의 신화적 존재로 설정하게 되자 중국의 김씨 시조인 김일제도 먼 일족 정도로 인식할 수 있게 되었다. ‘대당고김씨부인묘명’에는 소호금천씨를 세조로 김일제를 원조라고 하고 그의 후손들이 요동에 피난한 양 말하였다. 그런데 김씨부인이 중국내에 본관을 둔 ‘경조(京兆) 김씨’ 임을 분명히 하고 중국내 연원 관계를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이 묘명의 성씨 관련 내용은 재당 신라계 귀화인들의 경계인적 사고방식에서 적극 윤색된 것으로 신라 김씨 왕실의 연원을 그대로 말한 것으로 볼 수 없다. Kim, one of the three House names(Kim, Seok, Park) that were used by members of the Shilla royal family, seems to have been used for the first time in 565, by King Jin’heung-wang in his diplomatic dealings with China. At the time, the full and formal name that was used to refer to the Shilla king in diplomatic occasions was ‘Kim Jinheung.’ From the fact that such title literally meant ‘King Jin-heung,’ we can see that the term ‘Kim’ actually had the meaning of ‘King.’ It seems that the houses which provided former kings(which would make them ‘former royal families’), yet now stripped of power and shut out by the Kim House members, were not allowed to use the name ‘Kim,’ as such last name would falsely indicate that they were the present house in power making kings. They may have only been allowed to use the name ‘Seok-Kim(昔金),’ which would have meant ’Past king’ with the prefix ‘Seok(昔),’ while ‘Kim’ alone would be the equivalent of ‘(Present) King.’ Meanwhile, the descendants of kings and Houses which predated the ‘Seok’ kings and its house were also present at the time, and have been part of the Shilla dynasty’s central nobility class for quite some time. They were not to be referred to as ‘Seok.’ So they distinguished themselves with the last name ‘Park,’ which reflected the meaning of the term ‘Gwang’myeong(“light”)’ that can be found inside the Founder Hyeok’-geo‘se’s name. (‘Hyeok’geo‘se’ is usually referred to as “Park Hyeok‘geo’se”). Then in the 7th century, a new perspective to view the name Kim started to emerge. Unlike the previous thinking which believed that Kim Al-ji, the origin of the last name Kim, was the beginning of the house, the new idea came to argue that the mythical emperor of China, ‘Soho Geumcheon,’ was the true beginning and origin of the Kim house family members. This seems to have been a result of the Shilla government’s overall efforts to lift the status of the king and also enhance its importance in the process, as it became necessary for the Shilla dynasty to boost its image and establish its prowess throughout the East Asian region. Once the founder of the House name Kim was established as an ancient and also mythical being from China’s past, another historical figure named Kim Il-je(金日?), the origin of the Chinese last name Kim and whose origin can also be traced to the Huns(‘匈奴’), came to be considered as a distant relative of the Shilla royal family as well, and even be recorded in Shilla epitaphs. This caused a debate concerning the matter of whether or not the Shilla royal Kim family was related to the Hun tribes, yet the possibility of the Shilla Kim house descending from the Huns is nearly nonexistent.

      • 金官加耶系의 始祖 出自傳承과 稱性의 變化

        李文基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2004 신라문화제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

        금관가야계가 신라사회에서 표방했던 시조 출자전승은 시조 수로의 “天降金卵 出生說”과 “少昊金天氏 出自說”의 두 유형이 있었고, 그들이 칭한 성씨도 ‘金氏’와 “新金氏”의 두 종류가 있었다. 하나의 혈연집단인 금관가야계에서 서로 다른 시조 출자전송과 성씨가 보이는 것은 각각 그것을 표방한 시대가 달랐기 때문이다. 금관가야계는 6세기말에 처음으로 김씨를 칭하면서, 시조 출자전숭으로는 “천강금란 출생설”을 내세웠고, 중대초에 이르러서는 시조 출자전승을 “소호금천씨 출자설”로 바꾸어 표방하였다. 이는 중대 왕실과 동일한 혈족으로 인식되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금관가야계의 정치ㆍ사회적 위상을 잘 보여주는 것이다. 이러한 금관가야계와 중대 왕실의 동일 혈족의식은 성덕왕대를 고비로 점차 약화되기 시작했으며, 혜공왕대를 거치면서 금관가야계의 위상은 크게 낮아졌다. 그리하여 중대말ㆍ하대초에 다시 “천강금란 출자설”로 回歸하게 되었고, 다시 9세기 후반에는 김씨 칭성을 규제 당하면서 新金氏를 칭하게 되었다. 그러나 신김씨 칭성기간은 그리 길지 않았다. 10세기 중엽부터 각 지의 호족들이 다양한 성씨를 칭하는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다시 김씨 칭성으로 되돌아갔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금관가야계의 시조 출자전승과 칭성의 변화에는 그들의 신라사회에서의 현실적인 정치ㆍ사회적 위상 변화가 배경이 되었다. The theories on the origins of the 'Kumkwankaya(金官伽倻)' generations who had a leading role in the Silla society can be categorized into two. One is that the original ancestor was born out of an egg, the other, a descendent of the 'Sohokumchun(小昊金天)' family. And also there were two ways to name the 'Kumkwankaya' generations, which were 'Kim(金)' and 'New Kim(新金).' These differences on the original ancestor and family name can be explained by that the descendents of the 'Kumkwankaya' adjusted themselves to different political situations through periods. The descendents of the 'Kumkwankaya' in the late 6th century believed that their original ancestor was born out of an egg, and called themselves 'Kim.' Around 650, however, they adopted the other theory that the founder of their family stemmed from the 'Sohokumchun' family. This indicates that they became so powerful politically and socially, that they could claim they were equal to the ruling royal family in the middle period of the Silla dynasty(中代). But they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and their consciousness of royal family became weaker in the late 8th century, when their political and social position was insecure during the rules of King Sungduk(聖德王) and King Hyekong(惠恭王). So the late 9th century saw that they were using the 'New Kim.' All this can explains that the beliefs of the 'Kumkwankaya' generations on their origin had been depended on the their political and social position in the Slila society.

      • 동이족의 위대한 영웅 치우 蚩尤 의 씨족명칭에 대한 고찰

        심백강(Shim, Baek Kang) 세계환단학회 2016 세계환단학회지 Vol.3 No.1

        태호는 복희씨, 염제는 신농씨, 소호는 금천씨, 황제는 헌원씨로 호칭된다. 이 밖에도 서경에는 숙신씨, 좌전에는 현조씨, 사기「오제본기」에는 식신씨에 대한 기록이 나온다. 이것은 상고시대에 존재했던 씨족사회를 말해준다. 치우는 황제 黃帝 시대에 서방의 황제와 맞서 싸운 동이 구려국 九黎國 의 대표적인 지도자였다. 그렇다면 복희, 소호, 신농, 황제처럼 그에게도 당연히 치우라는 명사 앞에 따라 붙는 씨족명이 있어야 사리에 맞다. 그런데 우리는 그동안 치우의 씨족명이 무엇인지에 대하여 알 길이 없었다. 왜냐하면 한족 漢族 이 중원의 집권세력으로 등장한 이후 황제 黃帝 와 대항해 싸운 치우를 의도적으로 비하시켜 각종 기록에서 치우에 대해 씨 족명을 첨가하여 정중하게 예의를 갖추어 호칭한 경우가 드물었기 때문이다. 우리는 「죽서기년竹書紀年」과 일주서 逸周書 의 상고시대 현도씨 玄都氏 관련 기록, 노사 路史 에 나오는 “현도씨 여 玄都氏 黎 ”라는 기록과 국어 「초어」주석의 “여씨 黎氏 9인은 치우의 무리이다.( 黎氏九人 蚩尤之徒 )”「상서」「여형」주석의 “구려의 임금은 호를 치우라한다.( 九黎之君 號曰蚩尤 )” 등의 여러 기록을 종합 검토해 볼 때 치우의 씨족명칭은 바로 현도씨 玄都氏 였다는 매우 중요한 결론을 도출하게 된다. 이제 우리는 치우를 붉은 악마가 아닌 황제 헌원씨처럼 우제 현도씨 尤帝 玄都氏 로 호칭해야 마땅할 것이다. Taeho, Yeomje, Soho and Hwangje have also been called as Taeho Bokhee, Yeomje Shinnong, Soho Keumcheon and Hwangje Heonwon, respectively. In addition, we can find from several historical records that a few family tribal names were utilized, like Sukshin in Seogyung, Hyunjo in Jwajeon and Sikshin in Sagi. This tells us the presence of family tribal societies in ancient times. Chiwoo was a political leader of Guryeo, which had been the rival of the country governed by Hwangje Heonwon. Therefore, a family tribal name should be added to Chiwoo, like Bokhee, Keumchon, Shinnong and Heonwon. However, we did not know the family tribal name of Chiwoo, since the Chinese Han deliberately erased the politely name of Chiwoo in most of the records for the purpose of undermining him after they emerged as the main group in the Eastern world. It could therefore be concluded that the family tribal name of Chiwoo was Hyundo from the historical records that Hyundo is Ryeo, written in Rosa, that the nine peoples of Ryeo is the group of Chiwoo in annotation at Gukeo, that the king’s name of Guryeo is Chiwoo in Sangseo, and also some of Hyundo-related writings in Jukseokinyeon and Iljuseo. Henceforth, Koreans should refer Chiwoo Emperor Chiwoo Hyundo, instead of red devil.

      • KCI등재

        신라 아찬 金恭順 神道碑片 검토

        李泳鎬 ( Lee Young-ho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22 嶺南學 Vol.- No.81

        신라 왕경인 경주 南山寺에서 새로 발견된 비편은 우리나라에서 현전하는 가장 오래된 신도비의 일부였다. 이 글은 남아있는 부분의 글자를 행별로 살펴 그 내용을 분석한 것이다. 제1행은 비석의 제목으로서 주인공의 이름이 공순이며, 관등은 6등인 아찬, 그리고 神道碑임을 명시하였다. ‘김공순’이 아닌 ‘공순’만을 밝힌 데서 성명을 연칭해서 사용하는 문화는 일반화되지 않은 사실과, ‘아찬’ 관등 아래에 존칭접미사인 ‘公’자를 붙였음을 주목하였다. 제2행부터 제8행까지는 주인공과 관련된 서술이었다. “태종대왕의 孫”이라 한 부분과 김씨의 연원을 “少昊의 후예”라 한 구절 등에서 주인공은 중대 왕실과 밀접한 인물임을 알 수 있었다. 진골 출신으로 추정되는 주인공은 20세 무렵에 천령군 태수에 부임하는 등 두드러진 활동을 보였다. 유감스럽게도 그 이하 부분의 내용은 비석의 탈락으로 알 수 없다. 그러나 아찬의 관등을 가진 인물을 위해 신도비를 건립한 것을 보면, 그는 젊은 나이에 비운의 죽음을 당한 사람이 아닐까 여겨졌다. 특히 혜공왕대 일어난 6차의 大亂에 주목하고, 혜공왕 4년(768)의 大恭의 난과 결부시켜 이의 진압에 큰 공을 세운 인물로 추측해 보았다. 또한 이 비석의 건립 연대는 “天嶺郡”이란 지명에서 유추할 수 있었다. 경덕왕 16년(757) 12월에 漢化政治로 “천령군” 지명이 탄생하였으므로, 그 이후인 8세기 후반으로 추정하였다. 그러나 시기를 압축할 경우 지명의 복고조치가 단행된 혜공왕 12년(776) 정월 이전의 어느 시점으로 보고, 특히 대공의 난이 진압된 직후일 가능성에 무게를 두었다. 그래서 그를 현창하기 위해 국가에서 세운 비석으로 이해한 것이다. 이상 새로 발견된 비편에 대한 기초적인 검토를 하였다. 그러나 발견된 비편이 원비석의 서두 일부에 불과하여 제한된 내용만을 살필 수밖에 없었다. 차후 시간을 갖고 세밀히 검토하면 새로운 사실들을 많이 밝힐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남은 비편들도 추가적으로 발견되길 기대한다. The fragments of a stele, newly discovered at the Namsan-sa temple in Gyeongju, the Silla capital, are parts of the oldest memorial stele existing in our country. This study has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partial inscription by examining the remaining characters on every line. The first line from the top concerns the stele’s title, which elucidates that it was set up to the memory of Kim Gongsun, a holder of achan, the sixth office rank of the Silla dynasty. It is revealed that the system of calling the family name and given name together did not pervade Silla society, in that this stele defined Gongsun, not Kim Gongsun. It is also remarkable that an honorific title gong was suffixed to the character achan. The seven lines ranging from the second through the eighth lines describe the peson Kim Gongsun. Inferring from the part that he was “a grandson of King Taejong” and a passage that he was “a descendant of Soho,” he is considered to be a man in close connection with the Silla’s royal household of the middle period. Presumed to be a man from the true-bone rank, he displayed distinct activity, including assuming office as magistrate of the Cheonryeong district when he was just twenty years old. Regretably, we know nothing about him beyond that, because we have just examined a part of the stele.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stele was erected to the memory of a person of the office rank of achan, however, it is supposed that he died an unnatural death while he was young. In particular, when we pay attention to the six great disturbances and consider him in relation to the Kim Daegong’s plot against the monarch in 768 (in the fourth reign year of King Hyegong), he is presumed to have been a person who performed the meritorious deed to quell Kim Daegong’s treason activity. The time of the stele’s erection might be inferred from the place name “Cheonryeong district.” Because the name resulted from the Silla policy of Sinicization in December 757 (the sixteenth reign year of King Gyeongdeok), it is presumed that it was set up roughly in the latter part of the eighth century. More specifically, it is surmised that it might have been erected at a certain point of time before January 776 (the twelfth reign year of King Hyegong), when the previous place name was restored, especially immediately after Kim Daegong’s treason was shattered. The above accounts are a product of a rudimentary analysis that has investigated the contents of the inscription only under certain restriction, because the fragments under study are no more than the opening part of the whole stele. Henceforth, a more detailed examination without being restricted by time may cause us to find much more historical facts. I hope that the still undiscovered fragments of the stele will be additionally excavated soon.

      • KCI등재

        〈大唐故金氏夫人墓銘〉과 관련한 몇 가지 문제

        권덕영(權德永) 한국고대사학회 2009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54

        〈大唐故金氏夫人墓銘〉은 1954년에 중국 陝西省 西安市 교외에서 출토되어, 현재 서안 碑林博物館에 소장되어 있다. 묘지석이 특별히 크거나 화려하지 않고 또 고관을 역임한 유명인사의 묘지가 아니어서인지, 중국학자들은 이 자료에 별다른 관심을 가지지 않았다. 그러나 한국고대사를 연구하는 입장에서 보면, 이 묘지명은 각별한 가치를 가지고 있다. 우선 〈大唐故金氏夫人墓銘〉는 현재 알려진 재당 신라인 묘지명으로서 유일한 금석문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그리고 이 묘지명은 4대에 걸친 김씨부인의 가계와 선대의 활동을 생생하게 보여준다. 즉 조부 金忠義와 부친 金公亮은 기존에 알려진 사실보다 훨씬 다양한 관직을 역임했음을 말해주고, 김씨부인의 선대는 원래 신라 왕실의 일원으로 증조부 金原得 때에 입당하여 정착했음을 암시한다. 뿐만 아니라 이 자료는 신라 왕족 김씨의 시조관념을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주지하듯이 7세기 후반 이후 신라에서는 김씨의 시조를 少昊金天氏와 金日?에서 구하는 경향이 있었다. 김씨부인묘지명은 그러한 의식을 고스란히 담고 있다. 또한 이 묘지명은 장안에 살던 재당신라인 群像들의 다양한 삶의 한 형태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 중국 고대사는 동이족의 역사

        황순종(Soonjong Hwang) 세계환단학회 2023 세계환단학회지 Vol.10 No.1

        중국 고대사의 시작은 삼황·오제인데 이들은 모두 한족이 아니라 동이족이다. 먼저 삼황이라는 복희와 신농씨는 배달국에서 서쪽으로 가서 중국을 세우고 다스린 사람들로 중국 사학계에서도 공인되고 있다. 오제도 그들의 후손으로 중국을 다스렸는데 그 첫째는 황제가 아니라 소호임이 드러났다. 오제시대 끝 머리에 요 임금이 순 임금에게 왕위를 선양하였다는 것이 공자와 사마천에 의하여 기록되었지만 이것은 사실과는 거리가 먼 것으로 드러났다. 우리 측의 기록인 『부도지』나 『태백일사』 등에 의하면 순이 요를 무력으로 유폐시킨 것으로 되어 있다. 중국 측의 『한비자韓非子』 나 『죽서기년竹書紀年』에도 순이 요를 가둔 사실을 기록했을 뿐아니라 당나라의 유지기는 『사통史通』, 청나라의 양옥승은 『사기지의史記志疑』에서 이런 사실을 문제로 삼았다. 오제 이후에 하夏 왕조를 비롯하여 상商·주周나라로 이어진 중국의 역사 또한 모두 그 시조가 오제의 후손인 동이족이었다는 것이 이 글의 또 다른골자이다. 하나라의 시조는 오제의 혈통인 우禹가 아닌 그의 아들 계로 밝혀졌는데 그도 결국 동이임은 당연하다. 그리고 제 태강 때에 동이인 이예가 나라를 빼앗은 후 다시 한착이 왕위를 이었으며, 한착이 죽은 후 소강을 왕위에 세웠다. 소강의 어머니인 후민은 역시 동이였으므로 소강이 이은 하나라는 다시 원래의 동이의 나라로 되었다. 『사기에는 이예와 한착의 두 왕이 하나라를 다스린 사실을 기록하지 않고 빼버렸는데, 『사기색은』과 『사기정의』에서 모두 이러한 사실을 지적하였다. 상나라의 시조에 대하여 『사기』에는 설契이라고 하였으나, 『사기정의』에는 『괄지지括地志』를 인용하여 순의 아들 균을 상에 봉하였으므로 상균이라 불렀다고 했다. 그런데 『사기』 「오제본기」에 보면 순의 아들이 불초하다고 기록하였기 때문에 사마천이 그를 한 나라의 시조로 내세울 수 없었다. 따라서 홍수 때 치수에 공이 많았던 설을 시조로 내세운 것이다. 그러나 시조가 설이든 상균이든 두 사람 모두 오제의 자손으로 동이임은 변하지 않는 사실이다. 끝으로 주나라의 시조는 후직后稷으로 알려져 있는데 그의 원래 이름은 기棄이다. 그는 오제의 셋째인 곡 임금의 둘째 비가 낳은 아들이다. 지금까지 본 대로 고대 중국의 역사는 삼황과 오제로부터 동이족들이 다스린 역사이며, 그들의 후손들이 이후 하·상·주 왕조에 이르기까지 다스린 우리의 역사인 것이다. The ancient history of China was started by the three kings and the following five emperors. However, they were not Chinese but Dong-y (東夷), ancient Koreans. First of all, the three kings include King Bokhee(伏羲) and King Sinnong(神農), and they were not Chinese but Dong-y. The five emperors were the descendents of the three kings, and they all went to the ancient China from Korea and ruled the China. At the end of the five-king period, King Yao(堯) handed his position to King Shun(舜) by the virtues of his follower. Moreover, it is recorded that the Chinese King Yao handed his position to the Korean-origin Shun. In recording the ancient history of China, the Confucious historians did not explain why the Korean Shun succeeded Yao. Recently, however, some newly published Korean history books made clear that King Yao and King Shun were both Koreans. These books also made it clear that King Yao gave his position to Shun not by his virtues, but by military forces. In fact, Shun attacked Yao and deprived him of the king’s position. After the five-emperor period, the Ha (夏), Sang (商) and Jou (周) dynasty respectively emerged during some two thousand years. The founders of these three dynasties were all the descendents of the former five emperors. As for the Ha dynasty, King Gye, the founder, was the son of the last king among the previous five emperors. The Sang dynasty was founded by Sanggyun, a son of King Shun, the last of the five emperors. But he was not good in his deeds, and was not accepted as the founder of Ha by the Confuciastic historians. Instead, the historians chose Sul as the founder, because he achieved a great successes in dealing with the long-lasting flood. Lastly, the Jou dynasty was founded by Hujik, the son of King Gok, the third of the previous five emperors. As shown in this short article, the ancient history of China, from the Three Kings to the dynasties of Ha, Sang and Jou, was wholly the history of ancient Korea.

      • KCI등재

        한국과 일본 천손강림신화로 본 니니기노미코토 원적 연구

        김명옥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3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origin of Ninigi No Mikoto in the Japanese mythology on the basis of the Korea-Japan Tenson Korin mythology. The mythology of Ninigi No Mikoto is similar to the founding myth of Gojoseon in some aspects and to the founding myth of Gaya in other aspects. Accordingly, this paper tries to identify the origins of those myths as the common ground of three myths. It was assumed that the origin of Ninigi No Mikoto was Korean(Gaya resident). The assumption was proved in two aspects. The first evidence is the ‘direction toward Korea’. The mythology of Ninigi No Mikoto contains the myths about Gojoseon tribe(Gaya people) exploring Japan. The place where Ninigi No Mikoto descended from the heaven was the place looking at Korea. In Japan, ‘Han(韓) was viewed as a tribe because ‘Han (韓) was called Gara(韓), which means Joseon. Next, it was demonstrated that the origin of Ninigi No Mikoto mythology was Joseon(Gaya people) on the aspect of cultural inheritance. Moreover, it was explained that TEnson Korin mythology was not originated from other countries but generated from our culture. The sun worship widely spread around Shandong region and Northeast Asia where Eastern barbarians lived. Hwanwung, the heavenly god, was recognized as the sun during Gojoseon period and the founders of kingdoms were expressed as sunlight and eggs as times went by. Accordingly, Tenson Korin ideology generated during Gojoseon period was moved to the Korean peninsula as Gojoseon(people) moved to the Korean peninsula after collapse. The history that Gojoseon(tribe) founded Gaya and explored Japan 200-300 years after founding Gaya was symbolized in Ninigi No Mikoto mythology. Thus, Tenson Korin ideology or mythology was not originated from other countries but the independent ideology of Korea and the symbol of Korean history. It is understood that every mythology in all countries reflect ethnic features of each country. Korean ancestors have been exploring new territories with the pride that they are the descendants of the heavenly god as indicated in the founding myth of Gojoseon, myth of human birth from eggs in Eastern barbarian tribes and myths in ancient Jap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