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晩明“小品”之範疇與槪念硏究的回顧和反思

        이제우 중국어문논역학회 2015 中國語文論譯叢刊 Vol.0 No.36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rrange and integrate existing works of the present writer. The article reviews major studies on Xiao-pin小品 in the Late Ming Dynasty, done after 1980s when full-scale studies on this field have started. It also elaborates the category and concept of Xiao-pin小品 in the Late Ming Dynasty. In this article, Xiao-pin小品 in the Late Ming Dynasty would b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Xuan-ben-xiao-pin選本小品, Bie-ben- xiao-pin別本小品, and Bi-ji-xiao-pin筆記小品. As to the concept of Xiao-pin小品, first, regarding the notion of Xiao-pin小品, this article understands Xiao-pin小品 literature in a comparative relation to traditional literature. Second, regarding the type of Xiao-pin小品, this article analyses Xiao-pin小品 with the perspective of literary and artistic notion of Xiao-pin小品 pieces, and of editing methods of Xiao-pin小品 selections. 본고는 만명 ‘소품’의 범주와 개념에 대한 현재까지의 연구를 종합하여 만명소품의 연구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진 1980년대 이후의 학계의 주요 연구성과를 되돌아보고, 만명 ‘소품’의 작품 범주와 개념 의미를 좀 더 명확하게 정리해보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본고에서는 그간의 여러 연구자들이 제시한 탁견을 바탕으로 만명 ‘소품’의 범주를 선본소품(‘총집’ 형식의 만명소품선집)⋅별본소품(‘별집’ 형식의 만명소품선집)⋅필기소품(‘필기’ 형식의 만명저작)으로 삼분하고, 만명 ‘소품’의 개념을, 소품 용어의 관념 연구로서 소품문학을 정통문학과의 상대관계 속에서 파악하고, 소품 작품의 유형 연구로서 소품문장의 문학예술상의 개념과 소품선집의 편집방법상의 개념으로 파악한다.

      • KCI등재

        조선(朝鮮) 후기(後期) 소품문(小品文) 창작(創作)과 명청(明淸) 소품문(小品文)

        안대회 한국중국어문학회 2007 中國文學 Vol.53 No.-

        朝鮮時代後期, 小品文創作的活躍, 給文壇帶來了新的活力。 本文將關注這一時期的小品文與明淸時代的小品文之間密切的關係, 幷從兩個方面來闡明這一關係。 首先, 我們將考察朝鮮各個時期的小品文與明淸的小品文之間的相互影響及關係。小品文從17世紀初期到19世紀中葉經過了四個發展階段, 我們通過對各階段不同發展狀況與明淸小品文的比較, 能把握各個時代、各個作家之間互相接受程度以及相異之處, 然後揭示朝鮮時代後期受明淸小品文的影響, 散文創作和著作所發生的變化: 1) 對傳統和正統的權威的否定態度; 2) 對新體制的嘗試及著述方法的多樣化; 3) 趨向于鑑賞小說和戱曲。 結果顯示, 朝鮮時代後期的小品文在積極吸收明淸小品文的基礎上, 不斷發展幷在各個不同時期都表現出逈然不同的特點。

      • KCI등재

        晩明“小品”之範疇與槪念硏究的回顧和反思

        李?雨(Jae-Woo Lee) 중국어문논역학회 2015 中國語文論譯叢刊 Vol.0 No.36

        본고는 만명 ‘소품’의 범주와 개념에 대한 현재까지의 연구를 종합하여 만명소품의 연구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진 1980년대 이후의 학계의 주요 연구성과를 되돌아보고, 만명 ‘소품’의 작품 범주와 개념 의미를 좀 더 명확하게 정리해보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본고에서는 그간의 여러 연구자들이 제시한 탁견을 바탕으로 만명 ‘소품’의 범주를 선본소품(‘총집’ 형식의 만명소품선집) · 별본소품(‘별집’ 형식의 만명소품선집) · 필기소품(‘필기’ 형식의 만명저작)으로 삼분하고, 만명 ‘소품’의 개념을, 소품 용어의 관념연구로서 소품문학을 정통문학과의 상대관계 속에서 파악하고, 소품 작품의 유형 연구로서 소품문장의 문학예술상의 개념과 소품선집의 편집방법상의 개념으로 파악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rrange and integrate existing works of the present writer. The article reviews major studies on Xiao-pin小品in the Late Ming Dynasty, done after 1980s when full-scale studies on this field have started. It also elaborates the category and concept of Xiao-pin小品in the Late Ming Dynasty. In this article, Xiao-pin小品in the Late Ming Dynasty would b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Xuan-ben-xiao-pin選本小品, Bie-benxiao- pin別本小品, and Bi-ji-xiao-pin筆記小品. As to the concept of Xiao-pin小品, first, regarding the notion of Xiao-pin小品, this article understands Xiao-pin小品literature in a comparative relation to traditional literature. Second, regarding the type of Xiao-pin小品, this article analyses Xiao-pin小品with the perspective of literary and artistic notion of Xiao-pin小品pieces, and of editing methods of Xiao-pin小品selections.

      • KCI등재

        만명(晩明) 소품문(小品文)의 장르적 위상과 그 문체(文體) 형성과정에 관한 시론(試論)

        한종진 한국중국어문학회 2008 中國文學 Vol.54 No.-

        如果說古典散文是一種以儒家統治談論爲基礎而形成的各種文體所組成的文學形式, 那?可以說晩明時期形成的具有完整結構的小品文就是以商人和遠離政權的文人爲中心、 以商業文化爲基礎形成的一種文學形式. 晩明時期, 由于文人放棄進入中央政界而與商人密切地交往, 所以傳統的寫作規范大大減弱。 文人?有個性的表達方式、 豊富的想象力和對藝術品的超越的欣賞力, 以新出現的出版市場爲背景, 一邊接受商人的經濟支援, 一邊依?能勾和商人結爲?伴關系的商業文化支配論談形成小品文的文體. 在古典散文的雜記類、 序跋類、 書牘類里, 已經出現對各種各樣寫作方式的嘗試, 而且産生了大量膨脹的現象, 在這樣的背景下也形成了與小品文體裁吻合的各種文體. 特別是雜記類文體中出現了人事雜記式小品文、 名勝營造記式小品文、 山水遊記式小品文、 書畵器物記式小品文、 托物寓意記式小品文、 日記式小品文等各種各樣的文體。這些文章在商業出版市場上發行幷且獲得了成功。?一方面, 淸言小品文是繼承八股文、 語錄體文體的基礎上接受新興文人和商人階層共享的商業文化的支配談論而形成的文體。淸言小品文也是確立小品文的文學地位的有力例證。 相反, 由于對論說類、 箴銘類、 哀祭類、 傳狀類、 碑誌類等需要對有限的事實進行客觀描述或展開論證的文體有一定的社會需求, 所以對各種文體的寫作嘗試受到了限制, 因此作品總量相對減少了。

      • KCI등재

        고전 산문의 쓰기 문화와 소품문 쓰기의 현대적 의미

        박수밀 ( Park¸ Sumil ) 한국작문학회 2021 작문연구 Vol.- No.51

        본 논문은 고전 산문이 현대의 글쓰기에 이바지할 수 있는 지점에 대해 고민해 본 것이다. 특히 소품문과 현대 글쓰기와의 연관성을 구체적으로 논의함으로써 소품문의 글쓰기에 대한 관심을 환기하고자 하였다. 먼저는 중세시대에 생활 문화에서 글쓰기가 어떤 양상으로 이루어졌는지를 살피고 고전산문의 글쓰기 특성에 대해 검토해 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고전 산문 가운데 소품문의 현대 글쓰기 활용 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소품문의 글쓰기 미학과 감성, 소품문이 추구하는 정신과 지향, 글쓰기 태도와 방식은 현대의 글쓰기와 많이 통한다. 소품문의 글쓰기는 고문(古文)처럼 외부의 권위를 빌려와 쓰는 게 아니라 자기 내부로부터 나온 솔직한 감정을 쓴다는데 큰 미덕이 있다. 또 소품문의 일상성은 단순한 유희와 잡담에 그치는 게 아니라 새로운 인식과 발견으로 나아가고 삶에 대한 통찰을 보여준다. 그리하여 현대 글쓰기에 적용할 만한 소품문의 특성을 셋으로 나누어 논의해 보았다. 소품문 작가들은 일상에서 길어 올린 깨달음을 바탕으로 관계와 존재에 대한 새로운 성찰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소품문의 자연 사물에 대한 글에는 생명, 공존, 다양성에 관한 성찰이 가득하며 오늘날의 기후 환경 위기와 연결되어 있어서 더욱 뜻깊다. 이에 자연 소재 소품문의 현대 글쓰기 적용 방향을 더욱 구체적으로 제시해 보았다. 지금까지 연구자가 꾸준히 진행해 온 생태 글쓰기 연구를 바탕으로 자연 소재 소품문이 어떠한 점에서 현대 글쓰기 교육에 유용한지를 살펴보았다. 소품문 작가들이 자연과 사물을 인간과 예술, 현실과 연결하여 관계와 존재에 대해 이야기하는 글쓰기는, 파괴와 차별의 언어로 가득한 오늘날의 글쓰기 교육에 유의미한 도움을 제공할 것이다. This study is to concern about the dedicating aspects of the classical prose for modern writing. Especially any connection between classical short essays and modern writing is investigated so that the concern of short essays writing may be newly acknowledged and increased. First the aspects of writing way into the daily life culture in the Middle Ages is to be considered, then the characteristics of classical prose writing is to be shown. On this basic study of classical prose, the way of using classical short essays in modern writing is proposed. The aesthetic and sensitivity of short essays, its seeking spirits and direction, its attitude of writing and approach are deeply connected with modern writing. The most virtue of classical short essays writing is writing sincere feelings coming from writer’s own hearts, not borrowing the external authority as the ancient texts. The routines of short essays is not limited only for pleasure and joke, but to represent the deep thinking about life, enlarging up to the new recognition and discovery. Therefore, there are three key characteristics of short essays applied to modern writing. The writers of short essays could obtain the recognition from the daily routines and reach out to the new consideration of relationship and existence. In particular, in short essays about natural things there are plenty of deep consideration about life, co-existence, variety, which mostly is meaningful in considering today’s climate crisis. On this base is shown the way of applying classical short essays about nature to modern writing. As the author of this study has been studying the ecological writing, the usefulness and dedication of short essays about nature for modern education of writing is appealed and pointed out. The writing talking about relationship and existence, with the classical short essays writers’ communicating with nature and things related with human, arts and reality, is so useful and helpful for education of today’s writing full of destruction and discrimination.

      • KCI등재

        朝鮮後期 小品文과 養生

        金聲振(Kim, Sung-jin)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0 동양한문학연구 Vol.30 No.-

        This study researches the relationship between short writings of Late Joseon and Regimen. The basis of this research is the following: Huh Kyun's Hanjeongrok, the precursor of short writings of late Joseon period, which is mainly about artistry and preservation of health. Won Kwengdo, who was a major influence on the short writings of late Joseon, as well as Park Jiwon, Lee Dukmoo, Nam Gongchul also had great interest in the preservation of health. Huh Kyun had suffered from diabetes, which is still an incurable disease. Lee Dukmoo was advised by a doctor to read the books on the preservation of health since he was frequently ill due to eye problems and intemperate surges. Park Jiwon suffered from depression, and Nam Gongchul was so ill that he had to ask doctor's advice on a daily basis. Their history of illness greatly influenced their taste in reading and lifestyle as well. Since short writings are largely related with daily life, it is reasonable for those who were frequently ill or who read many books on the preservation of health to write more on recuperation. For example, Huh Kyun wrote Lim-no-in-yang-saeng-seol(任老人養生說) and Byuk-gok-byun(辟穀辨). Park Jiwon wrote Kim-shin-seon-jeon(金神仙傳). Lee Dukmoo wrote Yi-mok-gu -shim-seo, which is about Moonsaeng, who made an effort to preserve his health and about Kim Honggi, who is the main character of Kim-shin-seon-jeon. Hanjeongrok, a book mainly about artistry and preservation of health, influenced writers of short pieces during Late Joseon. "Bo-yang-ji" from Lim-won-shib-yuk-ji(林園十六志), is a very important literatur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hort writings of Late Joseon and preservation of health. Lee Dukmoo wrote comments on each chapter of Poong-sok-go-hyub-jib(楓石鼓篋集), written by Seo Yoogu, who wrote the preface for Lee Dukmoo's Cheong-ryung-guk-ji(蜻蛉國志). Not only Lee Dukmoo and Seo Yoogu were friends, but also the contents of Lim-won-shib-yuk-ji which are inseparable from Yowha, Daewha, and Gansan like Byung-sa and Myung-san-gi. "Su-chin-yang-ro" chapter of "Bo-yang-ji" is aware of Su-chin-yang-ro-seo, which is closely related to nature excursion. This study researches the relationship between short writing and preservation of health, focusing on the influence short writing made on Late Joseon writers and their works. In addition to finding the relationship, this research also aims to find out that these grafted flowers, aesthetic trees and nature excursions are not mere tastes but a style of recuperation by showing examples of Kim Yiman and Shin Jeongha, both active 50 years ahead of Park Jiwon. Byung-sa and Myung-san-gi provided momentum to get excited over Won Kwengdo's literature. The meaning of this study is to provide clues to expand the study area of short writings of Late Joseon back to late 17th century writers such as Kim Yiman and Shin Jeongha by showing connections like Byung-sa and Myung-san-gi. More research is needed in this area. 본 연구는 朝鮮後期 小品文과 養生의 관계를 살피는 것을 목표로 한 것이다. 조선후기 소품문의 선편을 잡은 허균이 편찬한 󰡔閑情錄󰡕의 전체적인 흐름은 결국 ‘雅趣’와 ‘養生’으로 귀착될 수 있고, 조선후기 소품문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袁宏道 뿐 아니라 조선후기의 대표적인 소품가인 박지원과 이덕무, 남공철 등도 ‘養生’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는 것이 본 연구의 기본적인 전제이다. 허균은 지금도 난치병에 속하는 소갈증(=당뇨병)으로 고생을 하였고, 이덕무는 안질과 울화증을 포함한 잦은 병치레로 몸이 쇠약해져서 의원으로부터 養生書를 읽을 것을 권유받기도 하였다. 박지원은 우울증을 앓은 바 있고, 남공철은 병이 많아 날마다 의사에게 養生과 益壽의 약에 대해 물어야 할 정도였다. 이들의 病歷이 독서성향과 생활패턴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소품문은 그 무엇보다도 卽生活的인 문학이라 할 수 있으므로 잦은 병치레를 하였거나 양생관련 서적을 많이 읽은 문인들의 시문에 상대적으로 養生 관련 문구가 많을 것임은 불문가지일 것이다. 실제로 허균은 「任老人養生說」 「辟穀辨」을, 박지원은 「金神仙傳」을 지었으며, 이덕무의 『이목구심서』에는 養生에 힘쓴 閔生과 「김신선전」의 주인공인 김홍기에 대한 이야기가 실려 있다. 『한정록』은 물론 조선후기 소품문을 관류하고 있는 ‘雅趣’와 ‘養生’을 주된 내용으로 하고 있으면서 조선후기 소품가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친 책으로 『甁史』와 『名山記』를 들 수 있다. 『林園十六志』의 일부인 「葆養志」 역시 朝鮮後期 小品文과 養生의 관계를 살핌에 있어 빠뜨릴 수 없는 중요한 문헌이다. 이덕무는 『임원십육지』를 저술한 서유구의 『楓石鼓篋集』의 각편에 評語를 썼고 서유구는 이덕무의 『蜻蛉國志』에 서문을 쓰기도 했다. 이덕무와 서유구가 개인적인 친분을 가지고 있었을 뿐 아니라, 『林園十六志』의 내용 그 자체도 『甁史』와 『名山記』처럼 澆花와 對花, 그리고 看山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었다. 「葆養志」의 ‘壽親養老’라는 篇章은 『壽親養老書』를 의식한 것인데, 이 책은 山水遊覽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도 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문헌이 조선후기 소품가들에게 미친 영향 또는 이들 문헌에 대한 조선후기 소품가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조선후기 소품문과 양생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는 별도로 박지원등에 비해 반세기 이전에 활동했던 김이만과 신정하의 예를 통해, 『甁史』와 『名山記』가 袁宏道의 문학에 심취하는 경로가 되었으며, 接花와 藝木, 그리고 명산의 탐방이 단순한 기호가 아닌 일종의 養生法이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甁史』와 『名山記』를 고리로 해서 조선후기 소품문의 연구영역을 김이만과 신정하처럼 17세기 후반의 문인으로 확대할 수 있게 된 것은 본 연구의 중요한 의미로 여겨지며, 이 부분은 후속연구를 통해 좀 더 심도 있게 살펴볼 필요가 있을 듯하다.

      • KCI등재

        소품을 활용한 공포영화 스토리텔링 복합 연구

        박건용(Park, Gun Yong)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8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5 No.-

        본 연구는 영화 소품과 공포감 형성의 연관성에 대한 분석에서 시작되었다. 개봉 당시 비인기 공포 장르임에도 흥행수익 1위를 차지한 〈곤지암〉의 소품이 창출하는 공포감 형성 분석을 통해 이를 활용한 다양한 스토리텔링 기법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을 둔다. 고어 영화에서 발견되는 피, 고름, 등의 소품들에 비해 〈곤지암〉은 탁구공, 인형, 실험도구, 가발, 손전등과 같은 일상생활에서 발견되는 친숙한 사물을 활용해 낯선 두려움, 아쿠스마틱 음향, ‘비체화’, Z축 형성에 이바지하며 공포감을 창출한다. 소품의 특성상 미술을 구성하는 가구, 벽, 과는 다르게 특정 대상의 소유물인 경우가 많은데 사람의 소유물인 경우 캐릭터의 본질과 공간의 의미를 설명하는 도구로 적극 활용되며 스토리텔링에 기여하고 있지만 공포영화 소품에 관련된 연구는 활발하지 못하다. 더불어 소품인 인형을 스토리텔링 한 〈애나벨: 인형의 주인〉은 전편과 속편으로 지평을 확산하며 3억 달러 이상의 수입을 거두고 있지만 이에 비해 인형을 스토리텔링에 활용한 국내 영상 콘텐츠 제작의 활성화는 요원하다. 소품의 활용을 통한 스토리텔링 기법을 분석하는 본 논문이 공포영화 스토리텔링 기법과 다양한 공포 장르 콘텐츠 양산에 기여하기를 희망한다. This study began with an analysis of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lm props and fear form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various storytelling techniques and that utilize this analysis through the formation of fear using the props. Horror film 〈Gonjiam〉 was occupied the first place at the time of opening. even though it was unpopular genre in the box office. Compared to the blood, pus, and other items found in Gore Film, 〈Gonjiam〉 uses familiar objects found in everyday life such as table tennis balls, dolls, experimental tools, wigs, and lanterns. Futhermore these props creat fear through the formation of Acousmatic, Abjection, Unheimlich, Z-axis. Unlike furniture, wall, that make up art, props are possession of certain objects. In the case of possession of a person, props actively utilize it as a tool to explain the nature of the character and the meaning of space. Despite this importance, research on horror movie props is not active yet. 〈Annabel: Creation〉, spreading its horizons with sequel and prequel, has been earning more than $ 300 million in worldwide. Despite the importance of storytelling using props, the production of domestic contents using dolls is not active. I hope that this study that analyse storytelling techniques using props will contribute to horror movie storytelling techniques and produce various horror genre contents.

      • 盧兢 小品文攷

        안대회 우리한문학회 2002 漢文學報 Vol.6 No.-

        이 논문은 18세기의 소품작가 盧兢(1737~1790)의 소품문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노긍은 18세기 후반의 주목할 만한 작가이나 사후 조명을 받지 못했다. 하지만 그의 소품은 매우 파격적인 문체와 독특한 내용으로 인해 당대에 주목을 받았고, 논란거리를 제공하였다. 그러므로 조선후기 산문사에서 그의 소품은 일정한 위상을 차지할 수 있다. 그는 벼슬하지 못한 소외된 문사로서 狂的이고 자유분방한 삶을 살았다. 그러한 삶은 그의 소품문의 내용을 구성한다. 그는 사회에 대한 분노와 생활의 고통, 불행한 가정사를 소품문을 통하여 발설하였다. 그의 소품문은 기성 문인의 시각으로 볼 때 제대로 된 문장이라고 인정하기가 어려울 정도로 기존 문장의 틀을 벗어났다. 古文의 범주를 내용과 문체와 격조에서 벗어남으로써 그의 소품은 거의 전통적 문장을 해체하고 있다. 해체의 두드러진 특징으로 문장에서 白話를 서슴없이 구사하는 현상을 들 수가 있다. 小說이나 語錄에서 겨우 구사되는 백화를 자유롭게 구사함으로써 전형화한 고문의 세계를 해체하고 있다. 다음으로 그의 소품에서 가장 매력적이고 예술성이 풍부한 글은 자기 자신을 표현하고, 가족의 슬픈 사연을 적은 글이다. 그는 남이 흉내내기 어려운, 인간적 체취가 풍부하고 감성적 색채가 두드러진 글을 써서 독자로 하여금 깊은 감동을 자아낸다. 18세기는 조선시대 주류적 산문의 완강한 틀을 벗어나려는 노력이 부단히 전개된 시기이다. 노긍의 기발한 소품은 그 흐름에서 하나의 이정표가 될 만큼 새로운 시도를 했다는 역사적 위상을 갖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This paper analyzes the Essays written by No Kŭng(1737~1790) in the eighteenth century. No Kŭng was not posthumously appreciated, though he was a remarkable writer in the late eighteenth century. However, his Essays caught people's attention due to the exceptional style, which caused arguments during his days. Therefore, the value of his Essays can be estimated in the prose history of late Chosŏn. He was a peripherial literatus who could not get the government service, living a lunatic and liberal life. Such a life consisted of the contents of his Essays. The stylistic characteristic of his Essays deviated from that of conventional writing, and so the existing literary men hardly accept his Essays as proper writings. It is said that His Essays almost demolished the traditional writing by deviating from Ku-wen(ancient-style prose, 古文) in respects of contents, style, and tone. The first conspicuous feature of his disorganization was the free use of written colloquial Chinese(白話) in the writing. By using the written colloquial Chinese which was allowed to use only in novel or analects(語錄), he deconstructed the typified world of Ku-wen. The second was that the most attractive and artistic work was the one in which he expressed himself and wrote a sad story of his family. He produced creative, humane and emotional works, which deeply touched the reader's feeling. The eighteenth century was the period when a main stream of prose in Chosŏn began to be broken off. The original Essays by No Kŭng can be historically appreciated as a milestone of the new stream.

      • KCI등재

        소품 오브제의 활용으로 본 캐릭터라이제이션

        유수연(Su-Yeon Yoo)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8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2 No.6

        본 논문은 영화에서 소품 디자인이 계획적으로 사용될 경우 관객과의 다양한 주제 소통 효과를 획득할 수 있다는 사실을 검증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소품의 적절한 선정은 공간의 완성도를 높여 주어 안락함과 쾌적함을 주는 동시에, 개개인의 캐릭터나 감각 등을 표현하는데 매우 효과적인 시지각적 장치이다. 근래에 들어 이러한 소품의 역할이 인식되면서 그 중요성이 점점 부각되고 있다. 영화 <Piano> 에서 여자 주인공은 침묵을 유지하고 있으며 그녀의 언어를 대신하는 것은 피아노라는 소품이다. 이 소품은 영화의 주제의식 나타내고 관객과 비언어적으로 소통하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피아노 소품뿐만 아니라 다른 여러 소품들 역시도 영화의 시지각적 장치를 넘어서 캐릭터를 드러내는 내러티브 도구로 사용되고 있다. 결과적으로 영화에 사용되는 소품오브제는 준비단계에서부터 계획적으로 구성될 경우 영화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를 이끌어 낼 수 있다. 본 연구 논문에서는 필자는 연구논문의 가독성과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피아노>의 소품을 물리적 의미, 감정전달과 심리적 의미, 문화와 사회적 의미로 나누어 설명하여 진행하였다. 향후 영화의 소품 오브제의 활용과 사용에 적절한 방법론적 연구는 계속 필요할 것이다. This paper intends to prove that prop objects in movies can be purposefully used to communicate various themes to the cinema audience. This paper intends to prove that the prop objects in movies can be used to communicate messages and themes to the audience very usefully. I selected the movie “Piano” to investigate by the use of prop objects. Piano of Prop objects in 〈Piano〉 can communicate with the audiences without a dialogue of main character. At the same time, the props can make a audiences sympathy as a role playing like a main character. As a result, the prop objects used in the movie were explained to study their relevancy to the narratives of the movie. The prop objects in the movie is so useful and powerful, and then image is more important than any other things in the movie as a narrative tool and storytelling.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calculated prop objects of the movie during stage can earn positive reviews about the movie as much as possible. And prop objects of the movie deliver emotional messages to the audience of image making methods in the planning of set design for movies and their use.

      • KCI등재

        전통시기 중국의 `문학과 정치관계`에 관한 일고찰 - 당대(唐代) 리상은(李商隱) `사륙병문(四六騈文)`과 만당삼가(晩唐三家) `자세소품문(刺世小品文)`을 중심으로

        소주영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6 民族文化硏究 Vol.73 No.-

        본문은 `문학과 정치의 관계`를 논함에 있어서, 특히 당시의 혼란스러운 시대상과 맞물려 더욱 복잡하게 얽혀 서로 상반된 양상을 보여주었던 晩唐 시기의 四六騈文과 刺世小品文을 비교 고찰의 대상으로 삼았다. `문학과 정치의 관계`에 있어서 `화합과 타협` 그리고 `모순과 대립`이라는 상반된 모습을 보여준 `騈文`과 `小品文` 이라는 서로 다른 정치적인 색채를 가지고 있었던 두 가지 문학 장르를 통해서 문학작품이 시대 상황과 현실 문제를 적나라하게 나타내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인류의 발전과정에 있어서도 정치와의 결합이 필연적인 결과임을 보여주었다. 특히 이상은의 `四六騈文`은 대구와 전고의 운용, 음률의 조화 등 형식적인 아름다움을 추구하였고, 그러한 창작 기법을 종종 정치적인 공문을 작성할 때에도 활용하였다. 이로써 `정치와 문학의 화합`을 보여주는 전형적인 문학 장르가 되었다. 또 다른 하나는 현실주의 문학 사조로, `小品文`이 대표적인 장르였다. 중당 시기에 한유와 유종원이 제창하였던 고문운동의 정신을 계승하여 형식적인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변문의 창작 기교에 반대하고, 명쾌하며 소박한 그리고 자연스러운 필치를 통해 당시 사회의 병폐와 모순, 그리고 어두운 정치 현실에 대해서 신랄한 비판을 가하였다. 본문은 위와 같은 연구시각으로 이상은과 만당삼가의 정치 생애를 고찰함과 동시에 그들이 쓴 문학작품을 살펴봄으로써 그 속에 나타나 있는 당시의 정치 현실과 그러한 현실이 문인들에게 끼친 영향 및 상관관계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本文將以在晩唐散文中占有重要地位的 “?文” 與 “小品文” 爲中心, 探討 “晩唐文學與政治的關系”. 這兩種不同風格的文學體裁在探討 “晩唐文學與政治的關系” 時具有相當重要的意義和價値. 騈文較多地體現了 “文學與政治的交融”, 表現了當時旣得權益的政治圈制度文化的一面. 與此對應, 小品文更多體現了 “文學與政治的沖突”, 小品文的作者反對綺靡文學的唯美主義, 以銳利的社會洞察力, 表達了對政治的思考. 尤其對晩唐騈文與小品文的異同進行比較, 從 “政治參與” 與 “文學創作” 這兩個方面考察兩類文章及其作者在政治上的不同態度和在創作上的思考差異.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