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광고일러스트레이션 양태로 본, 자연 ‘소외’

        이견실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010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Vol.11 No.24

        디지털환경의 확장과 고도산업화를 추구하는 현대사회를 가리켜 많은 사회 과학자들은 ‘소외’(疎外)의 시대로 규정하는데 주저하지 않는다. 나아가 인간은 자연의 일부라는 사실을 확인할 때, 인간의 자연소외는 더욱 근원적인 문제로 다가온다. 연구목적은, 광고일러스트레이션에 드러난 현대인의 소외 양태의 확인과 그러한 양태가 어떻게 일러스트레이션으로 형식화되는지 그리고 소외에 관련된 일러스트레이션이 어떻게 송신자의 이익과 연합하는지의 규명이다. 분석대상의 선정은 자연을 소재로 한, 일러스트레이션이 표현의 중심이 된 것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소외 이론의 발전에 공헌한 주요학자들의 선행 연구를 비평적 차원에서 검토한 후, 자연소외를 개념화하고 그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연구대상들을 분석하였다. 자연소외 양상의 분석에서 발견되는 사실은 인간에게 있어 자연 소외 양상이 근원적이었으며 자연소외 주제는 송신자의 메시지를 매우 설득적으로 만들고 그 주장을 대변했다. 결과적으로 자연이 소재가 된 광고일러스트레이션은 자연과 인간의 관계를 왜곡시키는, 또 다른 사태(이데올로기)였다. Many sociologists regard today’s society as the age of alienation and natural alienation is a more fundamental problem in that human beings are a part of nature.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aspect of contemporaries’ alienation in ad illustrations, and to clarify how the aspect is formalized in illustrations and how alienation-related illustrations are associated with the sender’s interest.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illustrations based on nature. After a critical review was performed on the studies of the main scholars who contribute to the theory of alienation, natural alienation was conceptualized and the objects were analyzed on the authority of the discussion. In result, natural alienation was fundamental to human beings and the theme of natural alienation made the sender’s message highly persuasive and stood for the insistence. In conclusion, ad illustrations, based on nature, were another event (ideology) that distor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nature.

      • KCI우수등재

        친사회적 사이버볼 게임을 통한 청소년의 소외 인식과 도움행동의 탐색: 성별과 사회적 기술 중심으로

        신제인,정경미 한국심리학회 2022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41 No.5

        소외는 사회적으로 무시당하거나 배척당하는 것으로, 또래 관계가 중요한 청소년기에 소외 경험은 외로움, 우울, 낮은 학업 성취도 등의 매우 부정적인 경험으로 이어진다. 최근 소외를 감소시키기 위해 목격자의 역할이 중시됨에 따라 소외 상황에서 이들의 행동 양상을 객관적으로 측정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타인의 소외를 목격한 후 보이는 청소년의 행동이 소외 목격 여부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 소외를 목격한 참가자의 도움행동과 사회적 기술 간의 상관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51명의 청소 년을 소외 목격 집단과 소외 비목격 집단에 무선 할당한 후 사회적 기술 향상 체계-평정 척도와 친사회적 사이버볼 게임(PCG)를 실시하였다. 친사회적 사이버볼 게임은 타인의 소외를 목격한 후 참가자의 행동을 탐색하기 위해 만들어진 컴퓨터화된 행동 과제이다. 연구 결과, 삼원상호작용이 나타나 집단별 사후 분석 을 진행하였는데, 소외 목격 집단에서 여자에 비해 남자가 소외된 플레이어에게 던진 공 횟수비율이 유의 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집단과 시간의 이원 상호작용효과가 유의미하여 사후 검정을 실시한 결과, 소외목격집단에서만목격시행전에비해목격시행후유의한향상이보고되었다. 마지막으로, 도 움행동 정도와 사회적 기술 간의 상관은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소외를 목격한 청소년이 대체로 소외된 상대를 도우며, 행동 수준은 성별에 영향을 받음을 의미한다.

      • KCI등재후보

        소외된 자를 위한 교회의 사회복지적 책무 - 사회 내 소외된 자를 섬겨야 하는 신학적 근거와 기독교 사회복지의 가능성 모색을 중심으로

        이관표 ( Lee Kanpyo ) 한국기독교철학회 2021 기독교철학 Vol.32 No.-

        본 논문은 소외된 자를 섬겨야 한다는 기독교 신학의 전제를 검토하고, 이러한 전제 안에서 사회 내 소외된 자를 위한 교회의 의미와 책무를 사회 복지적 관점에서 논의함으로써 기독교사회복지의 가능성을 모색한다. 2장에서는 기독교가 왜 소외된 자를 섬겨야 되는가의 근거를 제시하기 위해 ‘1. 소외된 자를 사랑하시는 구약의 하나님’에 대한 논의와 ‘2. 신약 성서 마태복음 25장 34-46절의 해석’을 다루고, 이를 통해 ‘소외된 자를 소외시키는 것이 결국 하나님을 소외시키는 것’이라는 신학적 담론을 확인 한다. 3장에서는 교회가 하나님의 백성이자 그리스도의 몸이기에, 복음전파와 소외된 자를 돌보아야 할 책무를 지니고 있다는 점을 기술하고, 4장 에서는 기독교사회복지의 가능성을 논한 이후, 소외된 자들을 섬겨야 하는 교회의 사회복지적 책무를, ‘가난의 소외로부터의 해방’, ‘노년의 소외 로부터의 해방’, ‘장애의 소외로부터의 해방’, ‘낯섦의 소외로부터의 해방’ 등으로 제시한다. 5장은 글을 요약한다. This thesis examines the premise of Christian theology that it should serve the marginalized and, wthin this premise, finds the possibility of Christian social welfare by discussing the meaning and responsibility of the church for the marginalized in society from a social welfare perspective. In Chapter 2, to present the reason why Christianity should serve the marginalized, ‘1. Discussion on ‘the God of the Old Testament who loves the marginalized’ and ‘2. Interpretation of Matthew 25:34-46 in the New Testament’ are dealt with, and through this, the theological discourse that ‘alienating the marginalized is ultimately alienating God’ is confirmed. Chapter 3 describes that the church, as the people of God and the body of Christ, has a responsibility to preach the gospel and care for the marginalized. Chapter 4 discusses the Possibility of Christian social welfare, and after that, it confirms: The social welfare responsibilities of the church are presented as 'liberation from the alienation of poverty', 'liberation from the alienation of old age', 'liberation from the alienation of the disabled', and 'liberation from the alienation of strangers(refugee)'.

      • KCI우수등재

        친사회적 사이버볼 게임을 통한 청소년의 소외 인식과 도움행동의 탐색: 성별과 사회적 기술 중심으로

        신제인,정경미 한국심리학회 2022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41 No.5

        The experience of ostracism during adolescence, a period where peer relationships are extremly important, leads to numerous negative conseuqnces such as loneliness, depression, and poor academic performance. Recently, the role of witnesses has been emphasized to reduce alienation, underlining the need to measure witnesses’ behaivor accuretly. The current study explores whether adolescents who witnessed ostracism help the marginalized other, whether the degree ostracism perception and helping behavior differ by gender, and lastly if there is any correlation between ostracism perception, help behavior and social skills. 151 adolesc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ostracism witnessing group or non-witnessing groups and Social Skills improvement System(SSiS-RS) and Prosocial Cyberball Game(PCG) were conducted subsequently. Prosocial Cyberball game is a cumputerized behaivoral task desinged to explore participant’s behavior after witnessing others’ exclusion. Results showed that boys helped the excluded player more frequently than girls in ostracism witnessing group. Also, only in the ostracism witnessing group, ball throw ratio was significantly higher after witnessing round. Lastly,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helping behavior and social skil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dolescents who witnessed ostracism generally help the excluded others and that the degree of the helping behavior is affected by gender. 소외는 사회적으로 무시당하거나 배척당하는 것으로, 또래 관계가 중요한 청소년기에 소외 경험은 외로움, 우울, 낮은 학업 성취도 등의 매우 부정적인 경험으로 이어진다. 최근 소외를 감소시키기 위해 목격자의 역할이 중시됨에 따라 소외 상황에서 이들의 행동 양상을 객관적으로 측정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타인의 소외를 목격한 후 보이는 청소년의 행동이 소외 목격 여부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 소외를 목격한 참가자의 도움행동과 사회적 기술 간의 상관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51명의 청소 년을 소외 목격 집단과 소외 비목격 집단에 무선 할당한 후 사회적 기술 향상 체계-평정 척도와 친사회적 사이버볼 게임(PCG)를 실시하였다. 친사회적 사이버볼 게임은 타인의 소외를 목격한 후 참가자의 행동을 탐색하기 위해 만들어진 컴퓨터화된 행동 과제이다. 연구 결과, 삼원상호작용이 나타나 집단별 사후 분석 을 진행하였는데, 소외 목격 집단에서 여자에 비해 남자가 소외된 플레이어에게 던진 공 횟수비율이 유의 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집단과 시간의 이원 상호작용효과가 유의미하여 사후 검정을 실시한 결과, 소외목격집단에서만목격시행전에비해목격시행후유의한향상이보고되었다. 마지막으로, 도 움행동 정도와 사회적 기술 간의 상관은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소외를 목격한 청소년이 대체로 소외된 상대를 도우며, 행동 수준은 성별에 영향을 받음을 의미한다.

      • KCI등재

        기형도 시에 나타난 소외 이미지 연구

        임세진 ( Se Jin Lim ) 겨레어문학회 2011 겨레어문학 Vol.47 No.-

        기형도의 시에서 ``소외``는 그의 시세계를 관류하는 기본 모티브가 되어시의식의 기저를 형성하고 있다. 이에 본고는 그의 작품에서 어떻게 소외의식이 구현되고 있는지, 특히 다양한 이미지의 구축이 소외의식의 표출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에 대한 분석을 통해 기형도 시에 나타나는 소외의 제 양상을 살펴보았다. 시인은 등장인물들을 주로 ``사내``, ``金``, ``그`` 등과 같이 익명화 시키는데, 그 익명성은 곧 주체를 상실한 소외된 인간의 전형으로 볼 수 있다. 자아로부터 소외되어 절망하는 화자는 곧 늙은이 의식을 갖게 되며, 그 늙은이 의식은 죽음으로 이어진다. 늙은이는 사회에서, 또 자신의 삶에서 주변부로 밀려난 소외인이며, 그의 미래는 곧 죽음인 것이다. 시 속에 기쁨과 희망 생성의 이미지 보다 어둡고 우울한 소멸의 이미지가 주조를 이루고 있는 것도 소외의식의 발로로 볼 수 있다. 소외의식은 자연 이미지의 차용으로 구체화된다. 그의 시는 어둡고, 추운 계절적 배경 속에 늘 눈과 비가 내리고 안개가 자욱이 끼여 있다. 안개, 구름, 비 등의 자연 현상 이미지들이 그 의미의 편차는 다소 있지만, 대체로 소외 이미지를 부조시키는 매개체로 활용되고 있다. 기형도의 시에 드러나는 소외의식은 현대의 부조리한 삶, 특히 구조적 모순이 심화됐던 1980년대 한국 사회에 대한 비판 의식에서 기원한다고 할 수 있다. 죽음과 허무로 점철된 그의 시편들은 당대의 소외된 민중들의 대표성을 띠고 있는 것이다. 본고에서 논한 소외의식이야말로 가장80년대적인 공적 감정이었으며, 시인은 그 공적 감정인 소외를 시적 모티브로 삼고 있는 것이다. ``Alienation`` in the Ki, Hyeong-do`s poetry, which is running through his poetic world, underlies the consciousness of his poems as a basic motif. Thus, this study examines the aspects of the alienation in the Ki`s poetry by analyzing how a sense of alienation is realized in his work and especially how building various images is related to expressing a sense of alienation. The poet makes characters in his poems remain anonymous by calling them ``a guy``, ``Mr. Kim,`` or ``he``, and this anonymity can be viewed as a model of an alienated man who has lost his identity. The poetic narrator, who feels frustrated by being alienated from the self, develops the consciousness of an old man, and this leads to death. An old man is an alienated person pushed out of society and his own life, and his future is nothing but death. It can be considered as a manifestation of a sense of alienation that a dark and gloomy image dominates Ki`s poetry rather than the image of joy and hope. A sense of alienation takes a concrete form by borrowing the natural images in the poems. His poetic world is dark and cold and it is always rainy, snowy, or very foggy. Although there is a little deviation in their meanings, those images of natural phenomenon such as fog, clouds, and rain are utilized as the medium that emphasizes the image of alienation. It is safe to say that the alienation expressed in Ki, Hyeong-do`s poetry results from criticism of Korean society in the 1980s where life became irrational and structural imbalance got intensified. His poems, which are riddled with death and a sense of futility, represents the alienated people of the day. The sense of alienation discussed in this thesis is the most common public emotion in the 1980s, and the poet takes that public emotion, alienation as a poetic motif.

      • KCI등재

        인간 소외와 커뮤니케이션

        박홍원(Hong-Won Park) 한국언론학회 2014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10 No.4

        소외는 현대 자본주의 사회의 병리적 상태를 가장 잘 담고 있는 용어이지만 그에 관한 이론적 관심은 이전에 비해 현저히 줄어든 것이 사실이다. 1960년대와 1970년대에 활발하게 전개되었던 소외현상에 대한 연구가 여러 가지 이유로 시들해졌기 때문이다. 하지만 1960년대나 1970년대에 비해 오늘날에는 소외를 야기할 조건들이 약화되거나 해소되었다고 보기는 어렵기 때문에 소외이론은 여전히 다양한 주체의 경험과 사회구조적 조건을 탐구하는 데 유용한 시각을 제공해줄 수 있다.이 글의 목적은 오늘날 급변하는 자본주의 사회에서 전개되고 있는 커뮤니케이션 현상을 이해하는 데 소외이론이 어떤 함의를 줄 수 있는지 논의하는 것이다. 소외이론의 핵심 개념이나 명제들은 마르크스의 이론에서 나온 것이기 때문에 이 글에서는 먼저 마르크스의 소외이론이 형성된 지적인 경로와 그 주요 내용들을 살펴보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인다. 다소 긴 분량의 문헌리뷰를 여기서 굳이 소개한 이유는 이러한 경로를 통해 완성된 소외의 개념화는 소외이론의 현재적 함의를 파악하고 논의하는데 유용한 기준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라 판단했기 때문이다. 소외의 문제는 개인의 주관적 상태나 개체적 고립감으로 이해하기보다 구조적이고 전체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필수적이다.소외이론의 현재적 함의는 디지털 기술로 급변하고 있는 자본주의 생산양식의 변화가 커뮤니케이션 노동과 실천에 미치는 영향을 간단히 언급하는 것으로 마무리한다. Alienation is a very powerful term for catching the pathological aspects of modern capitalist societies. However, for several institutional and theoretical reasons, academic concerns on the theory of alienation have withered away after the peak period of the 1960’s and 1970’s. Because it is difficult to say that the conditions of alienation are weakened or disappeared compared to 1960’s and 1970’s, the theory of alienation can still offer a very useful insight for exploring the experiences and conditions of diverse subjects and social structures in contemporary capitalist societies. The aim of this paper is to discuss the implications of alienation theory for understanding the phenomena of communication in the radically changing capitalist societies. Given that the central concepts and propositions of alienation theory came from the works of Karl Marx, this paper allots a lot of space for examining the theoretical routes and processes of the formation of Marx’s theory of alienation. The reason why a quite long theoretical review is offered here is that it would be helpful for understanding and discussing the current implications of alienation theory. It should be noted that the question of alienation has to be pursued in the context of whole social structural aspects rather than individual subjectivities or isolations. The current implications of alienation theory is briefly discussed by mentioning the influence of the radically changing mode of capitalist production with the digital informational and cultural technologies.

      • KCI등재

        소외 학생들이 경험한 학교에서의 삶-또래관계 소외 속 살아냄을 중심으로-

        김윤영,박종률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22 敎員敎育 Vol.38 No.2

        Purpose: This study is an experiential study with the purpose of phenomenologically analyzing thelife experienced by students who are marginalized in peer relationships at school, revealing in detailhow to live in alienation, and comprehensively understanding the phenomenon of alienation. Method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selected from among the 3rd grade students of B high schoolin A city, Gyeonggi-do, after nomadic sampling and validation. The experience of alienation of thestudy participants was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participant memoirs, and movie reviewsrelated to alienation, and categorization was made in the order of central meaning, revealed themes,and essential themes using an inductive thematic analysis method. The derived themes were arrangedin the dimensions of physicality, temporality, spatiality, and relationality, which are the four fundamentalexistentials suggested by Max van Manen, to phenomenologically grasp the lives of students alienatedfrom peer relationships. Results: A total of 53 central meanings and 20 revealed themes were found as a result of analyzingthe lives of students living in peer-relationship marginalized schools. Finally, 9 essential themes werederived by categorizing them. In terms of physicality, students who are alienated from peer relationshipsare ‘experienced hell in this life’, ‘limited situations’, and forced to walk a tightrope. In terms oftemporality, ‘Moebius of hardship’, ‘time of lost life’, and spatial dimension ‘in a familiar land’ Hewas living the life of ‘exile’, ‘a cliff with nowhere to go’, ‘broken chain’ in terms of relationship,and ‘solitude in the crowd’. Peer-related alienation was largely occurring in the regular curriculum,such as peer culture and class scenes in the potential curriculum.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teachers' interests and roles were discussed, andit was concluded that teachers should make continuous efforts focusing on prevention as well as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alienation. Lastly, teachers' efforts to prevent alienation were presented,and follow-up studies related to alienation were suggested. 연구목적 본 연구는 또래관계 소외 학생들이 경험한 학교에서의 삶을 현상학적으로 분석하여 소외 속살아냄을 구체적으로 드러내고 소외 현상을 종합적으로 이해하는 데에 목적을 둔 체험연구이다. 연구방법 연구 참여자는 경기도 A시 B고등학교 3학년 재학생 중 유목적 표집과 타당성 검증을 거쳐8명을 선정하였다. 심층면담, 참여자 회고록, 소외 관련 영화 감상문을 통해 연구 참여자의 소외 경험을수집하였고 귀납적 주제 분석법을 이용하여 중심의미, 드러난 주제, 본질적 주제의 순서로 범주화가 이루어졌다. 도출된 주제는 Max van Manen이 제시한 4개의 근본적 실존체(four fundamental existentials)인신체성, 시간성, 공간성, 관계성의 차원으로 배열하여 또래관계 소외 학생의 삶을 현상학적으로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또래관계 소외 학생들이 살아내는 학교에서의 삶을 분석한 결과 총 53개의 중심의미와 20개의드러난 주제가 발견되었으며, 이를 범주화하여 최종적으로 9개의 본질적 주제를 도출하였다. 또래관계소외 학생들은 신체성 차원에서 ‘이승에서 체험한 지옥’, ‘한계상황 봉착’, ‘내몰린 외줄타기’, 시간성 차원에서 ‘고난의 뫼비우스’, ‘잃어버린 삶의 시간’, 공간성 차원에서 ‘친숙한 땅에서의 유배’, ‘갈 곳 없는낭떠러지’, 관계성 차원에서 ‘끊어진 체인’, ‘군중 속 고독’의 삶을 살아내고 있었다. 또래관계 소외는 크게잠재적 교육과정 속 또래문화와 수업 장면과 같은 정규교육과정에서 일어나고 있었다. 결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사의 관심과 역할에 관해 논의하였으며, 교사는 소외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와더불어 예방에 중점을 두고 지속적으로 노력해야 한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소외를 예방할수 있는 교사의 노력 방안을 제시하였고, 소외 관련 후속 연구를 제언하였다.

      • KCI등재

        금융소외자의 다중채무현황에 따른 대출결정행동과 부채보유 특성 및 금융서비스 요구사항에 대한 연구

        김민정(Min Jeung Kim),김은미(Eun Mi Kim),곽민주(Min Joo Gwak) 한국FP학회 2017 Financial Planning Review Vol.10 No.2

        본 연구는 금융소외자의 대출결정행동과 부채보유 특성 및 금융서비스 요구사항을 살펴보고, 더 나아가 다중채무현황에 따라 대출결정행동과 부채보유 특성 및 금융서비스 요구사항이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파악하여 금융소외자의 금융생활 안정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복지재단에서 2014년 8월 1일부터 9월 15일까지 희망플러스통장과 꿈나래통장 가입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설문조사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응답자들 중 부채를 보유하고 있는 627명(62.4%)을 최종 분석에 이용하였다. 분석대상자들 중 대출받은 이용기관이 1개인 집단은 347명(55.3%), 2개인 집단은 187명(29.8%), 3개 이상인 집단은 93명(14.8%)이었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금융소외자의 90% 이상이 금융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대출검색수단으로서 조사대상자의 약 1/4정도가 관공서를 통해 정보를 얻는다고 하였다. 이를 볼 때 금융소외자를 대상으로 하는 금융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해 교육 및 실무 전문가들은 관공서 등과의 협력이 요구된다. 둘째, 첫 번째 이용한 금융기관이 시중은행(1금융권)인 금융소외자가 2개 이상의 금융기관에서 재대출을 한 비중은 13.8%였으나, 카드회사나 보험회사, 상호금융기관 등 제2금융권에서 1차 대출을 받은 금융소외자의 경우에는 20% 내외가 첫 번째 금융기관 이외에 2곳 이상의 금융기관에서 추가대출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금융소외자 중 제1금융권에서 소외당하는 경우 추가 대출을 시도할 가능성이 크며 그럴 경우 계속해서 고금리가 적용되는 제2금융권에 남아있을 가능성이 크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셋째, 3개의 금융기관에서 대출을 받은 금융소외자의 경우 1~2개 기관에서 대출을 받은 금융소외자에 비해 PC 인터넷이나 모바일 등을 통해 정보를 탐색하는 비중이 높았고, 신속하게 대출을 받을 수 있다는 이유로 해당 금융기관을 선택한 비중도 더 높았다. 또한 고금리 채무가 총부채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3개의 금융기관에서 대출을 받은 금융소외자 집단에서 상대적으로 더 높은 비중을 보였으며, 주된 대출목적은 주거목적자금이나 생활자금이었다. 넷째, 3개의 금융기관에서 대출을 받은 금융소외자는 단기연체나 채무불이행 경험 비중이 다른 금융소외자에 비해 더 많았고 채권추심경험도 더 많은 결과를 볼 때 다중채무 금융소외자가 부채상환을 잘 이행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financial decision - making behaviors and debt holdings characteristics of financially excluded households and to compare them with the number of financial institutions using debt. The data used in the analysis are the survey data from the Seoul Welfare Foundation on August 1, 2014 to September 15, 2010, for the Hope Plus bankbook and the Dream Nae - rae bankbook subscriber. Among the respondents, 62762.4%)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347 (55.3%), 187 (29.8%), and 93 (14.8%) were the subjects of the analysi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ore than 90% of financial under employers responded that they had financial education experience, considering that the target of this study is the participants of lowincome asset formation program operated by Seoul City Welfare Foundation, Education and training. About one quarter of the surveyed people were getting information through the government office. Second, the first financial institution accounted for 13.8% of loans from two or more financial institutions, which are commercial banks (one financial institution). However, in the second financial sector such as card companies, insurance companies, In the case of financial underprivers who received loans, around 20% received additional loans from two or more financial institutions in addition to the first financial institution. This suggests that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additional loans will be tried if the first marginalized banker is alienated from the financial sector, and that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second bank will continue to be in high interest rate. Third, in the case of financial aliens who have borrowed from three financial institutions, the ratio of exploring information through PC Internet or mobile is higher than that of financial aliens who have borrowed from one or two institutions. As a result, the proportion of financial institutions selected was higher. In addition, the share of high interest rate debt in total liabilities was relatively higher in the financial underwriting group, which was borrowed from three financial institutions, and the main purpose of borrowing was residential funds or living funds. Fourth, financial alienation, which was borrowed from three financial institutions, had a higher proportion of short - term delinquencies or defaults than other financial under wenters, and had more debt collection experience.

      • KCI등재

        김수영 시의 소외 연구

        박주택 ( Park Ju-taek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8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74

        김수영은 1945년 등단한 뒤 현실과 자신과의 투쟁 속에서 고립과 무력감을 드러내며 자신의 정체성을 확인하고자 통찰로 가득한 절규들을 산문의 형식을 빌려 노래하였다. 특히 김수영은 4.19를 기점으로 고립과 소외에서 벗어나기 위해 적극적으로 자유를 노래하며 현실의 처지를 설움이라고 상정하고 개인과 사회와의 통일을 좁히려는 노력을 계속해 왔다. 소외는 근대의 비인간화와 함께 인간의 문제를 상정하는 중요한 부면을 지니며 인간이 자신의 본질을 유지해야 한다는 의미를 지닌다. 본고에서는 김수영 시에 나타난 소외를 ‘문단과 자신의 시로부터의 소외’, ‘생활로부터의 소외’, ‘자기 자신으로부터의 소외’로 나누어 살펴보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김수영이 ‘조화와 통일’을 가치로 삼았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소외는 헤겔과 마르크스를 거쳐 하이데거 그리고 프롬에 이르기까지 근대의 중요한 쟁점으로 부각되었다. 하이데거는 기술 문명의 상황이 존재자를 인정하지 않는 상황에서는 허무와 불안에 빠질 수밖에 없다고 진단하며 개인이 관계하고 있는 것이 허망하다는 생각에 빠져 소외에 직면한다고 말한다. 김수영이 등단 초기 박인환과의 불화와 자신의 시에 대한 무력감을 표현한 것은 고립감을 드러내는 것이었다. 또한 생활에 있어서 번역 일을 하면서 이를 청부 번역이라고 한 것이나 마포구 구수동으로 이사한 뒤 닭을 키우며 자신은 변두리 인생이라는 자조에 빠진 것도 소외 때문이었다. 이와는 달리 자기 소외는 자신을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점에서 신경증적 증후를 드러낸다. 해방과 4.19 그리고 5.16과 같은 시대적 상황은 김수영에게 있어 설움과 비애와 같은 감정적 인식뿐만 아니라 자유, 정의, 양심과 같은 형이상학적 관념들을 요구했다. 그러나 김수영이 소외에 빠진 것은 결국 현실과 사유라는 비동일적 간극 때문이었다. 소외는 소외되기 전의 상황과 소외된 이후의 상황은 다르다. 김수영은 누구보다도 자신에 대해 깊이 있게 성찰한 시인이었다. 그는 한시도 자신을 방임하지 않았다. 현실과의 싸움만큼 자신과의 싸움을 멈추지 않았다. 현실과 시에 대해 상대적 완성과 절대적 완성을 탐색하고자 끊임없이 자신을 나아가게 했다. 그 도정을 통해 그는 조화와 통일을 현실과 시의 원리로 삼으며 소외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김수영이 리얼리즘과 모더니즘의 두 이즘 사이에서 균형을 이룬 것도 조화와 통일을 현실과 시의 궁극 원리로 삼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었다. After Kim Su-young started his literature career in 1945, he wrote a prose of percent-filled cries with insights to confirm his identity by showing his isolation and helplessness in his struggle with himself and reality. Especially, since April 19, Kim Su-young has continued efforts to narrow the gap between individuals and society by actively singing freedom to escape isolation and alienation, calling the situation as sorrow. With the dehumanization of modern world, Isolation has an important side of putting human issues on the table and means that humans must maintain their own nature. This paper divided the isolation of Kim Su-young into 'Isolation from literary world and himself’s poem', 'Isolation from life', 'Isolation from himself'. After these works, this paper want to figure out that to overcome these isolation, Kim Su-young has valued on < harmony and unity >. Isolation has emerged as an important modern issue from Hegel and Marx to Heidegger and Eric Fromm. Heidegger believes that the situation of technology civilization is bound to fall into vain and unstable when it does not recognize being. And also he said that individuals would encounter isolation indulging thinking that relationship is vain. When Kim Su-young expressed his feud with Park In-hwan and his lack of power over his poetry in the early days of his debut, Kim Su-young displayed his sense of isolation. While working as a translator for his life, he called it “contract translation” and while raising chickens after moving to Gusu-dong, Mapo-gu, he called himself as “Outsider life”, because of his isolation. On the other hand, self-isolation has neurological syndrome in that he sees himself negatively. Historical situations such as liberation, April 19, and May 16 called for metaphysical notions such as freedom, justice and conscience as well as emotional awareness such as sadness and sorrow to Kim Su-young. But the reason that Kim Su-young fall into isolation is, finally, a non-equally gap between reality and ideal. Before and after situation of isolation is different. Kim Su-young was a poet who deeply reflected on himself. He never neglect himself for a moment. He did not stop struggling with himself like struggling with reality. He made himself constantly to explore relative and absolute completion of reality and poetry. Through this course, he sought to overcome isolation by making harmony and unification a principle of reality and poetry. Kim Su-young’s balance between realism and modernism was also possible because he took harmony and unification as the ultimate principles of reality and poetry.

      • 소외계층 진로교육 활성화 방안

        김정숙,연보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8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이 연구는 진로교육법 제5조(“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장애인, 북한이탈주민, 저소득층 가정의 학생 및 학교 밖 청소년 등 사회적 배려대상자를 위한 진로교육 시책을 마련하여야 한다.”)에 의거하여 특수교육대상학생, 이주배경청소년, 학교부적응 학생 및 학교 밖 청소년 등 소외계층을 위한 진로교육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우선 소외계층 집단별 현황과 특성, 진로요구 수준을 살펴보고, 이들을 위한 진로교육 정책 현황과 정책의 한계점 및 향후 과제를 분석한 후, 소외계층 진로교육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소외계층 집단별 현황과 특성을 제시하면, 우선 특수교육대상학생의 약 70%는 지적장애 학생이며 이들 중 약 54%는 일반학교 특수학급에 재학하고 있다. 이주배경청소년은 다문화가족청소년, 중도입국청소년, 탈북청소년, 외국인근로자자녀 등 다양한 하위집단으로 구성된다. 학교부적응 유형 역시 수업 및 학업부적응, 정서적 부적응, 인간관계 부적응, 규칙 위반형 부적응, 공격성 부적응, 획일적 학교제도 거부형으로 구분되는 등 다양하며, 학교 밖 청소년은 학교를 그만 둔 이후의 경험 사건 분류를 통해 학업, 직업, 무업, 비행형 등으로 구분 가능하다. 이들 집단은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낮은 자존감으로 인한 심리적 위축 및 소극적 태도, 기초학력 부족, 자기이해 부족, 사회적 지지의 부족 등의 특성을 보이며, 낮은 진로의식 수준, 진로정보 부족과 높은 진로장벽으로 인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진로결정 및 진로준비행동에 대한 욕구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음으로, 소외계층 집단별 진로․직업교육 정책 현황을 살펴보고, 진로교육 목표 및 방향, 진로교육 콘텐츠, 진로교육 교수방법, 진로교육 전달체계 및 여건개선을 기준으로 진로․직업교육 정책의 한계점 및 향후 과제를 분석하였다. 상술한 분석 내용을 토대로, 소외계층 집단별 진로교육 활성화를 위한 4대 기본 방향을 제시하고, 4개 추진전략 및 10개 세부과제를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